KR101125261B1 - 에어 샤워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샤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261B1
KR101125261B1 KR1020090112893A KR20090112893A KR101125261B1 KR 101125261 B1 KR101125261 B1 KR 101125261B1 KR 1020090112893 A KR1020090112893 A KR 1020090112893A KR 20090112893 A KR20090112893 A KR 20090112893A KR 101125261 B1 KR101125261 B1 KR 101125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ower
injector
air injecto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178A (ko
Inventor
차현록
이준호
이성호
임대영
오익현
강창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1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26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샤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샤워부스 내부에 위치된 사람의 주위에 공기를 분사하여 신체와 의복 등에 부착된 오염물, 세균, 냄새 등을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에어 샤워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 샤워 장치는, 내부에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샤워부스; 상기 샤워부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 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전면부에 설치된 공기분사기; 상기 공기분사기에 고압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 및 상기 공기분사기와 급기수단 간의 공기 공급 경로에 설치되어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인가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어, 샤워, 부스, 공기분사기, 분사노즐

Description

에어 샤워 장치 {AIR SHOWER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 샤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부스 내부에 고속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목욕 후 신체에 잔류된 물을 수건 없이 제거할 수 있고 의복이나 신체에 부착된 오염물과 냄새를 제거할 수도 있는 에어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목욕 후에 신체에 잔류된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수건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건을 이용하여 물을 닦는 것은 그 자체의 신체적 동작에도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수건을 세탁하고 건조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수건의 세탁과정에 사용되는 세제가 수질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부가 민감한 사람의 경우 수건의 마찰로 인해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고, 특히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오염물이나 세제 찌꺼기, 세균 등으로 인해 건강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수건을 대체하여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물기를 제거하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일상의 생활 환경에서 사람의 주변에는 오염물과 세균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이물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이물들은 사람의 신체나 의복 등에 부착 및 흡수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가급적 자주 깨끗하게 제거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활 중에는 다양한 냄새, 예를 들어 음식 냄새와 같은 좋지 못한 냄새가 신체나 의복에 흡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역시 불쾌감을 유발하므로 제거를 요하는 대상이 된다.
상기한 오염물이나 세균, 냄새 등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물과 세제 등으로 신체와 의복을 세척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척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요하기 때문에, 부착된 이물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잦은 세척과 세탁을 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일이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신체나 의복을 가격하거나 흔들어 이물을 대충 털어내고, 스프레이 형태의 살균제, 항균제, 탈취제 등을 뿌려 세균이나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신체나 의복을 사람이 털어내는 것은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이물질의 제거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살균제, 항균제, 탈취제와 같은 약품의 사용은 사용시 불편과 불쾌감, 부작용 등을 유발하고, 신체적 특징이나 의복의 재질에 따라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샤워부스 내부에 위치된 사람의 주위에 공기를 분사하여 신체와 의복 등에 부착된 오염물, 세균, 냄새 등을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에어 샤워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사용자가 출입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샤워부스; 상기 샤워부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 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전면부에 설치된 공기분사기; 상기 공기분사기에 고압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 및 상기 공기분사기와 급기수단 간의 공기 공급 경로에 설치되어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인가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사기는 배면부에 스크류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홀더는 상기 샤워부스의 내부 후방 측에 수직으로 장착된 이송스크류에 나선결합하며, 상기 이송스크류는 그 하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직립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의 상부측에는 기어를 통하여 모터의 출력축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모터는 샤워부스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샤워부스의 내부 후방 측에 가이드바가 직립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바는 공기분사기의 배면부에 장착된 가이드홀더와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공기분사기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공기분사기는 사용자의 신체 주위를 복수의 방향으로 감싸도록 U자 형태로 굴곡 또는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분사노즐이 복수의 방향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기분사기의 전면부에는 분사노즐의 공기 분사공 부분이 외부로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여 분사노즐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가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샤워부스를 이루는 벽체는 한 쌍의 배면벽체가 서로 직교하도록 연결되고, 양측 배면벽체의 전방에 각각 전면벽체가 직교하도록 연결되며, 양측 전면벽체의 사이에 출입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분사노즐을 구비한 공기분사기를 통해 소형화된 샤워부스의 내부에 고속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목욕 후 사용자의 신체에 잔류된 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욕 후 물기 제거가 편리하게 되고, 수건의 세탁과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건의 세탁으로 인한 수질 오염도 방지할 수 있고, 수건의 사용 시 발생했던 마찰, 오염물, 세제찌꺼기, 세균 등으로 인한 위생 문제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공기의 분사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와 의복에 부착된 오염물, 냄새 등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잦은 세탁 없이 간편하게 오염물과 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고, 살균제, 항균제, 탈취제 등의 약품 사용으로 인한 불편과 불쾌감,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기분사기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분사기를 소형화하면서도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물과 오염물 등의 제거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최적의 범위에 공기 분사가 이루어져 보다 신속하게 물과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고, 장치 작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 수동 또는 자동으로 공기분사기가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물이나 오염물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작은 크기로도 넓은 범위에 공기를 조사할 수 있어 공기분사기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 샤워부스를 이루는 벽체의 후방이 실내의 구석 부분에 대응되는 모서리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설치 공간을 줄여 공간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6) 공기분사기의 전면부에 보호커버를 설치하여 분사노즐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분사는 원활하게 하면서도 분사노즐의 신체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샤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에어 샤워 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어 샤워 장치는 샤워부스(10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되는 공기분사기(11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샤워부스(100)는 사람이 에워 샤워를 행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치 장소의 환경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내부에 사람이 수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샤워부스(100)는 하부에 바닥체(101)가 구비되고, 이 바닥체(101)의 상부에 샤워 공간을 외부와 구획하는 벽체(102, 103, 104, 105)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체(101)는 상면을 사람이 밟고 설 수 있도록 수평 지지면을 이루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람의 몸에서 떨어지는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배수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102, 103, 104, 105)는 실내의 구석 부분에 설치하여 공간 소요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쌍의 배면벽체(102, 103)가 서로 직각을 이루어 연결되고, 각 배면벽체(102, 103)의 전방에 각각 전면벽체(104, 105)가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며, 양측 전면벽체(104, 105) 사이에 출입구가 구비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상기 출입구는 상시 개방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어(106)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바닥체(101)의 전방부는 출입구의 외부로 연장되고, 경사지게 형성되어 출입 시 단턱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하고, 물이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면벽체(102, 103)와 전면벽체(104, 105)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결합된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금속, 수지, 무기소재 등 다양한 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단일체 또는 복합체를 이루는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기(110)는 내부에 공기이송관로가 구비된 본체(110) 및 상기 공기이송관로와 연통되어 본체(110)의 전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이송관로는 공기공급관을 통해 외부에 설치된 압축기 등의 급기수단으로 연결되어 압축된 고압 공기가 각 분사노즐(111)을 통해 샤워부스 내부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기(110) 또는 공기공급관에 공기 공급을 차단 및 인가하도록 개폐 동작되는 밸브가 설치된다. 이 밸브는 전자적 제어가 용이하도록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분사기(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10)의 신체 주위를 감싸도록 본체(110)가 대략 벌어진 U자 형태로 형성되어 각 면의 분사노즐(111)이 사용자(10)의 전방과 양측방을 향해 배열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본체(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각 방향을 향하는 부분을 평판 형태로 개별 제작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공 편의성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기(110)를 샤워부스(10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는 전동식 이송기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는 유체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동식 이송기구로 이루어질 경우,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공기분사기(110)에 상하 방향 이동력을 가하는 다양한 방식의 동력전달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이송스크류, 체인과 스프로켓, 벨트와 풀리, 케이블과 도르레, 랙과 피니언 등과 같은 통상의 직선왕복이송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수단은 이송스크류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샤워부스(100)의 내부 후방 측에 이송스크류(121)가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직립 설치되고, 이 이송스크류(121)를 회전시키는 모터(120)가 샤워 부스(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120)의 출력축과 이송스크류(121) 간의 동력 전달은 기어(126, 127) 또는 벨트 및 풀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송스크류(121)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공기분사기(110)의 배면부에 이송스크류(121)와 나선 결합된 스크류홀더(112)가 구비된다. 또한, 공기분사기(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으로서, 상기 샤워부스(100)의 내부 후방 측에 가이드바(123)가 직립 설치되고, 상기 공기분사기(110)의 배면부에 상기 가이드바(123)와 슬라이드 결합된 가이드홀더(12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샤워부스(10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분사기(110)의 작동과 이동 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30)과 상기 공기분사기(110)에 아로마향을 공급하여 공기와 함께 분사되도록 하는 향공급장치(140)가 구비된다. 또한, 샤워부스(100)의 내부에는 사용자(10)의 출입에 따라 공기분사기(110)의 작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체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 샤워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샤워부스(100)의 내부에 사용자(10)가 들어가면,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작동을 위한 명령 또는 설정 입력을 위한 대기 모드에 있거나 사전에 설정된 작동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을 행한다.
구체적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공기분사기(110)의 전방에 직립한 상태에서 밸브가 개방되어 압축기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공기분사기(110)의 각 분사노즐(111)을 통해 사용자 주위로 분사된다.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모터(120)에 의해 이송스크류(121)가 회전되어 상기 공기분사기(11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전체에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분사가 이루어지면, 사용자가 목욕을 한 후일 경우에는 신체에 잔류된 물이, 사용자가 의복을 착용한 경우에는 신체와 의복에 부착된 오염물과 세균, 냄새 등이 공기의 분사압력에 의해 제거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목욕 후 수건을 사용할 필요 없이 샤워부스 내에 들어가 서있기만 하면 되므로, 목욕 후 물 제거가 편리하게 될 뿐 아니라, 수건의 세탁과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수건의 세탁으로 인한 수질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건의 사용 시 발생했던 마찰, 오염물, 세제찌꺼기, 세균 등으로 인한 위생 문제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출 후 돌아왔거나 취침 전 등 필요한 시간에 샤워부스 내부에 들어가 신체와 의복에 부착된 오염물과 냄새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필요 이상의 잦은 의복 세탁을 피할 수 있고, 살균제, 항균제, 탈취제 등의 약품 사용으로 인한 불편과 불쾌감,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기(110)가 상하로 이동되므로, 사용자의 전신에 대한 물과 오염물 등의 제거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신장 등에 따라 최적의 범위에 공기 분사가 이루어져 보다 신속하게 물과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고, 장치 작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샤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공기분사기(110)의 측방에서 본 상태로 도시한 것으로, 공기분사기(110)가 상하로 이동되는 동시에 상하로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샤워부스(100)에 직립 설치된 가이드바(151)에 가동지지체(152)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가동지지체(152)의 전방에 상기 공기분사기(110)가 핀이나 축 등을 매개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지지체(152)에 감속형 모터(155) 및 이 모터(155)에 의해 저속 회전되는 편심캠(156)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분사기(110)에 상기 편심캠(156)의 외주부에 접촉되어 이동력을 제공하는 푸셔(157)가 구비된다. 이 푸셔(157)는 접촉롤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분사기(110)의 이동수단으로서 상기 가동지지체(152)에 풀리(153)가 설치되고, 벨트(154) 또는 케이블이 상기 풀리(153)에 감겨 벨트(154)에 작용되는 이송력에 의해 가동지지체(152)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상기 모터(155)에 의해 편심캠(156)이 회전되면 상기 푸셔(157)를 통해 가해지는 이동력에 의해 공기분사기(110)가 상하로 회동되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물이나 오염물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작은 크기로도 넓은 범위에 공기를 조사할 수 있어 공기분사기(110)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분사기(110)가 편심캠(156)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복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 으나, 복원용 스프링을 공기분사기(110)와 가동지지체(152) 간에 연결하여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킨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공기분사기(110)가 상하로 이동 및 회동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분사기(11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및 회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공기분사기(110)의 회동수단은 상기 편심캠(156)과 푸셔(157)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전동식 또는 유체식 액츄에이터와 동력전달기구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기(110)의 전면부에는 사용중 안전을 위해 분사노즐(111)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11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118)는 분사노즐(111)의 공기 선단부, 즉 분사공 부분이 외부로 연통되도록 다수의 통공(119)을 구비하여 공기의 분사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분사노즐(111)이 신체와 접촉됨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샤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에어 샤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에어 샤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샤워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샤워부스 101 : 바닥체
102, 103 : 배면벽체 104, 105 : 전면벽체
110 : 공기분사기 111 : 분사노즐
112 : 스크류홀더 118 : 보호커버
119 : 통공 120 : 모터
121 : 이송스크류 123 : 가이드바
124 : 가이드홀더 130 : 콘트롤패널
140 : 향공급장치 151 : 가이드바
152 : 가동지지체 153 : 풀리
154 : 벨트 155 : 모터
156 : 편심캠 157 : 푸셔

Claims (11)

  1. 내부에 사용자(10)가 출입 가능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샤워부스(100);
    상기 샤워부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사용자(10) 측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11)이 전면부에 설치된 공기분사기(110);
    상기 공기분사기(110)에 고압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 및
    상기 공기분사기(110)와 급기수단 간의 공기 공급 경로에 설치되어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인가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사기(110)는 배면부에 스크류홀더(112)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홀더(112)는 상기 샤워부스(100)의 내부 후방 측에 수직으로 장착된 이송스크류(121)에 나선결합하며, 상기 이송스크류(121)는 그 하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직립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121)의 상부측에는 기어(126, 127)를 통하여 모터(120)의 출력축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모터(120)는 샤워부스(10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샤워부스(100)의 내부 후방 측에 가이드바(123)가 직립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바(123)는 공기분사기(110)의 배면부에 장착된 가이드홀더(124)와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모터(120)의 작동으로 공기분사기(110)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공기분사기(110)는 사용자(10)의 신체 주위를 복수의 방향으로 감싸도록 U자 형태로 굴곡 또는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분사노즐(111)이 복수의 방향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공기분사기(110)의 전면부에는 분사노즐(111)의 공기 분사공 부분이 외부로 연통되는 다수의 통공(119)을 구비하여 분사노즐(111)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118)가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부스(100)를 이루는 벽체(102, 103, 104, 105)는 한 쌍의 배면벽체(102, 103)가 서로 직교하도록 연결되고, 양측 배면벽체(102, 103)의 전방에 각각 전면벽체(104, 105)가 직교하도록 연결되며, 양측 전면벽체(104, 105)의 사이에 출입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112893A 2009-11-20 2009-11-20 에어 샤워 장치 KR101125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893A KR101125261B1 (ko) 2009-11-20 2009-11-20 에어 샤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893A KR101125261B1 (ko) 2009-11-20 2009-11-20 에어 샤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178A KR20110056178A (ko) 2011-05-26
KR101125261B1 true KR101125261B1 (ko) 2012-03-21

Family

ID=4436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893A KR101125261B1 (ko) 2009-11-20 2009-11-20 에어 샤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2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6934A (zh) * 2018-05-31 2018-10-12 安徽工程大学 一种净化厂房用风淋室
KR102226854B1 (ko) * 2020-04-16 2021-03-11 정현진 방역 장치
KR102272091B1 (ko) * 2020-06-22 2021-07-02 유버 주식회사 자외선살균시스템
KR20220015690A (ko) 2020-07-31 2022-02-08 수성정밀기계(주) 와류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드라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257B1 (ko) * 2011-11-25 2013-03-25 배정용 오일 분사 장치
KR200476026Y1 (ko) * 2013-04-24 2015-01-22 황용연 자동 청소장치
KR101761796B1 (ko) 2015-05-14 2017-07-26 (주)신성이엔지 에어 샤워
KR101597506B1 (ko) * 2015-08-20 2016-02-26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항온항습 공기조화장치
CN105381988A (zh) * 2015-11-30 2016-03-09 无锡拓能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内设隔栏的风淋室
KR20200055599A (ko) 2018-11-13 2020-05-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어 샤워 머신
CN110575997B (zh) * 2019-09-18 2021-11-23 辽宁珂思美化妆品有限公司 一种用于风淋室的便于使用型导气装置
KR102324138B1 (ko) * 2020-12-08 2021-11-11 (주)다모아테크 IoT 청정, 살균 에어클린 샤워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489A (ko) * 2003-06-27 2005-01-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급수장치
KR20080040862A (ko) * 2006-11-06 2008-05-09 수공테크 주식회사 승하강식 분사노즐을 갖는 에어 샤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489A (ko) * 2003-06-27 2005-01-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용 급수장치
KR20080040862A (ko) * 2006-11-06 2008-05-09 수공테크 주식회사 승하강식 분사노즐을 갖는 에어 샤워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6934A (zh) * 2018-05-31 2018-10-12 安徽工程大学 一种净化厂房用风淋室
KR102226854B1 (ko) * 2020-04-16 2021-03-11 정현진 방역 장치
KR102272091B1 (ko) * 2020-06-22 2021-07-02 유버 주식회사 자외선살균시스템
KR20220015690A (ko) 2020-07-31 2022-02-08 수성정밀기계(주) 와류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드라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178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261B1 (ko) 에어 샤워 장치
US11582950B2 (en) Pet bath
AU711299B2 (en) Automatic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including combined blow drying means and towel dispensing means
US7993471B2 (en) Wash chamber for automated appendage-washing apparatus
CN104398192B (zh) 洗手机
KR20190072966A (ko) 에어 샤워 장치
KR102025342B1 (ko) 좌변기용 스팀살균세척장치
CN111543767A (zh) 一种自动按摩洗头机
KR101967285B1 (ko) 자동 샤워장치
CN111268331B (zh) 一次性口罩回收处理装置
KR100846191B1 (ko) 자동샤워 장치
KR100970783B1 (ko) 손 세척장치
KR101830865B1 (ko) 손 세정장치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KR20180053847A (ko) 자동 손 세척장치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JP3161371U (ja) ペット用バスタブ
DE4006676A1 (de) Sanitaerzelle
KR20110082920A (ko) 수건의 살균 및 건조 장치
ITUD980026A1 (it) Disposititvo a pedana per la spazzolatura e l&#39;igienizzazione di calzature
KR100736171B1 (ko) 애완견 및 동물의 목욕장치
KR200426003Y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RU2786250C1 (ru) Перила для эскалатора с системой дезинфекции
WO2011138798A1 (en) Automatic retractable self-cleaning assembly for conventional toilet pots.
CN219099533U (zh) 一种服装面料抗菌防臭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