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647B1 -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647B1
KR101124647B1 KR1020090045650A KR20090045650A KR101124647B1 KR 101124647 B1 KR101124647 B1 KR 101124647B1 KR 1020090045650 A KR1020090045650 A KR 1020090045650A KR 20090045650 A KR20090045650 A KR 20090045650A KR 101124647 B1 KR101124647 B1 KR 101124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ic wheelchair
eye
control unit
potenti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121A (ko
Inventor
최영진
김상권
김대경
장한수
김성진
여창엽
이진희
권대현
권석주
권민주
박영목
이지영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64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by patient's head, eyes, facial muscles or vo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을 움직일 수 없는 중증 장애인이나 환자도 조향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와, 바퀴에 결합되는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 둘레에 부착되어 안구 전위(EOG : Electrooculogram) 신호를 획득하는 EOG 센서와, EOG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획득된 안구 전위 신호를 기초로 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한다.
EOG 센서, 안구 전위, 휠체어, 제어유닛

Description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Electric wheel chair using EOG signal}
본 발명은 보행이 어려운 장애인 또는 환자들이 이용하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을 위한 전동 휠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동 휠체어를 타고 길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사회 생활을 하는 장애인들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전동 휠체어의 경우, 팔 걸이 부분에 장착된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조향을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손을 움직일 수 없는 중증 장애인 또는 환자의 경우에는 전동 휠체어를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손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사람들도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조향 방식의 전동 휠체어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을 움직일 수 없는 중증 장애인이나 환자도 조향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에 결합되는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구 둘레에 부착되어 안구 전위(EOG : Electrooculogram) 신호를 획득하는 EOG 센서와, 상기 EOG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획득된 안구 전위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획득된 안구 전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안구 전위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링 된 안구 전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을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에 따른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중증 장애인이나 환자도 전동 휠체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제어유닛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100)는 본체(10)와, EOG 센서(30)와, 제어유닛(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사용자가 앉는 곳으로, 의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벼우면서 강성이 좋은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체(10)에는 바퀴, 즉 한 쌍의 구동바퀴(21)와 한 쌍의 보조바퀴(2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바퀴(21)에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축이 연동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의 구동시 구동바퀴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본체(10), 바퀴 및 모터의 구성은 시중에 보급된 전동 휠체어와 동일 내지 유사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EOG 센서(30)는 안구 전위(EOG : Electrooculogram)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안구 전위 신호란 안구 운동시 안구 주변 근육의 전기적인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말한다. 상기 EOG 센서는 사용자의 안구, 즉 눈 둘레에 복수로 부착되어, 사용자가 눈을 움직일 때 발생되는 안구 전위 신호를 획득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OG 센서(30)는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라 제작된 고글(31)에 부착되며, 고글(31) 착용시 사용자의 눈 주위에 밀착된다.
제어유닛(40)은 EOG 센서(30)에서 획득된 안구 전위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동 휠체어를 조향하기 위한 것으로, 증폭부(41)와, 필터부(42)와, A/D 변환부(43)와, 제어부(44)와, 디스플레이부(45)로 이루어진다.
증폭부(41)는 EOG 센서(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EOG 센서에서 측정된 안구 전위 신호를 수신받으며, 이 안구 전위 신호를 증폭한다. 이때, 안구 전위 신호를 차동 증폭하여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한다.
필터부(42)에서는 저역통과필터와 고역통과필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영역대의 안구 전위 신호만을 선별한다.
A/D 변환부(43)에서는 선별된 안구 전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44)는 디지털 신호를 인가받으며, 이 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표시신호를 디스플레이부(45)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5)는 화면표시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화면표시신호에 따라 전동 휠체어의 진행방향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5)에는 전동 휠체어의 진행방향이 9개로 세분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45)에는 화면표시신호에 따라 이동되며, 현재 상태에서 모터 구동시 전동 휠체어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커서(c)가 나타나있다. 그리고, 커서(c)의 이동방식은 다양하게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가 1회 수신(예를 들어, 사용자가 눈을 크게 한번 깜빡일 때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될 때마다 커 서(c)가 좌측 상단(전 좌회전)에서부터 우측 하단(후 우회전)까지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동되게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한편, 눈의 운동방향에 따라 커서(c)가 이동되게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측을 바라보는 경우 커서(c)가 전진으로 이동되고, 우측을 바라보면 커서가 우회전으로 이동되고, 좌측 아래를 바라보면 커서가 후 좌회전으로 이동되도록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는 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모터로 출력하며, 이에 따라 모터가 구동하여 전동 휠체어가 이동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100)의 작동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전동 휠체어에 앉은 후 고글을 착용하면 EOG 센서가 눈 주위에 부착된다. 이후, 정해진 패턴(예를 들어, 눈을 깜빡이거나 눈을 움직이는 등)으로 눈을 움직여 디스플레이부의 커서를 원하는 주행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최종확인과정(예를 들어, 눈을 두 번 연속으로 길게 깜빡이는 등)을 하면, 현재 커서 위치(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전동 휠체어가 움직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눈을 움직임으로써 전동 휠체어를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손을 움직일 수 없는 중증 장애인 또는 손에 깁스를 한 환자도 전동 휠체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주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전동 휠체어를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주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음성을 통해 주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EOG 센서에서 획득되는 안구 전위 신호에 의해서 전동 휠체어가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EOG 센서와 더불어 기존 전동 휠체어에 조향을 위해 구비된 조이스틱에 의해서도 전동 휠체어가 제어되도록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어유닛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10...본체
21...구동바퀴 22...보조바퀴
30...EOG 센서 31...고글
40...제어유닛 41...증폭부
42...필터부 43...A/D 변환부
44...제어부 45...디스플레이부

Claims (3)

  1. 사용자가 착석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에 결합되는 모터를 구비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구 둘레에 부착되며, 안구 운동시 안구 주변 근육의 전기적인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안구 전위(EOG : Electrooculogram) 신호를 획득하는 EOG 센서와,
    상기 EOG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획득된 안구 전위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획득된 안구 전위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안구 전위 신호를 필터링(filtering)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링 된 안구 전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을 확인가능하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에 따른 상기 본체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KR1020090045650A 2009-05-25 2009-05-25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KR101124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650A KR101124647B1 (ko) 2009-05-25 2009-05-25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650A KR101124647B1 (ko) 2009-05-25 2009-05-25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121A KR20100127121A (ko) 2010-12-03
KR101124647B1 true KR101124647B1 (ko) 2012-03-19

Family

ID=4350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650A KR101124647B1 (ko) 2009-05-25 2009-05-25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0666B (zh) * 2019-11-19 2022-09-09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眼电和机器视觉的轮椅机械臂集成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057250B (zh) * 2020-09-21 2022-12-06 山西白求恩医院(山西医学科学院) 一种眼电智能轮椅及其控制方法
CN113116647B (zh) * 2021-04-02 2023-08-29 深兰智能科技研究院(宁波)有限公司 智能轮椅、智能轮椅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435A (ja) * 1999-03-29 2000-10-10 Shimadzu Corp 身体補助装置の視線入力式制御システム
JP2006280512A (ja) 2005-03-31 2006-10-19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乗り物操縦者への危険信号提示方法及び装置
JP2007097946A (ja) * 2005-10-06 2007-04-19 Hiroshima Pref Gov 電動車椅子
JP2007143886A (ja) 2005-11-28 2007-06-14 Hiroshima Univ 電動車椅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435A (ja) * 1999-03-29 2000-10-10 Shimadzu Corp 身体補助装置の視線入力式制御システム
JP2006280512A (ja) 2005-03-31 2006-10-19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乗り物操縦者への危険信号提示方法及び装置
JP2007097946A (ja) * 2005-10-06 2007-04-19 Hiroshima Pref Gov 電動車椅子
JP2007143886A (ja) 2005-11-28 2007-06-14 Hiroshima Univ 電動車椅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121A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002B1 (ko) 생체인식기반 지능형 상·하지 재활 휠체어 로봇
US20190083335A1 (en) Travel tool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10167076A (ja) 移乗支援装置
KR101124647B1 (ko) 안구 전위 신호를 이용한 전동 휠체어
CN110664553A (zh) 一种辅助老人起居的骑背式智能轮椅
Kim-Tien et al. Using electrooculogram and electromyogram for powered wheelchair
Rajesh et al. Eog controlled motorized wheelchair for disabled persons
WO2021178425A1 (en) Hybrid wheelchair
JP2007098553A (ja) ロボットシステム
CN110812023A (zh) 一种具有辅助行走训练的电动轮椅
Law et al. A cap as interface for wheelchair control
CN109662842A (zh) 基于眼镜和脑波控制的智能轮椅
KR101310840B1 (ko) 콘트롤러 가변수단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Sidik et al. A review on electric wheelchair innovation to ease mobility and as a rehabilitation tool for spinal cord impairment patient
CN104323891A (zh) 一种具有健康监护和报警功能的攀爬式电动轮椅
KR101237247B1 (ko) 보행보조장치
CN112932815B (zh) 一种护理轮椅
CN111759605A (zh) 一种智能轮椅机器人
KR101284012B1 (ko) 환상통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장치
Chawd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ybrid bci based wheelchair
KR101800557B1 (ko) 파킨슨병 환자용 보행보조장치
CN109846635B (zh) 基于眼镜和脑机接口的护理床系统
CN211356320U (zh) 智能助健轮椅
KR102643693B1 (ko) 지자계 조이스틱을 이용한 환경 감응형 전동 휠체어 시스템
CN212346945U (zh) 一种智能轮椅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