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122B1 - 무선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122B1
KR101124122B1 KR1020097022355A KR20097022355A KR101124122B1 KR 101124122 B1 KR101124122 B1 KR 101124122B1 KR 1020097022355 A KR1020097022355 A KR 1020097022355A KR 20097022355 A KR20097022355 A KR 20097022355A KR 101124122 B1 KR101124122 B1 KR 101124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eams
stream
known signal
timing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823A (ko
Inventor
세이고 나까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2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using repet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어부는, IF부, 변조부 및 베이스밴드 처리부와 협동하면서,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패킷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는, 복수의 스트림 중 하나에 배치된 제1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사용하고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제1 기지 신호에, 제1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면서,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배치된 부가적인 기지 신호에 대하여도 타이밍 시프트를 행한다. 제어부는, 타이밍 시프트량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한다.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한다.
기지 신호, 패킷 신호, 타이밍 시프트량, 우선도, 스트림

Description

무선 장치{RADIO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사용하는 무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 방식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면서, 멀티패스(multipath) 환경에서 강한 멀티캐리어 통신 방식중 하나이다. 이 OFDM 변조 방식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의 표준화 규격인 IEEE802.11a/g 및 HIPERLAN/2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LAN에서의 패킷 신호는,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전송로 환경을 통해서 전송되며, 또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수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송로 추정을 동적으로 실행한다.
수신 장치가 전송로 추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패킷 신호 내에, 2 종류의 기지 신호가 제공된다. 하나는, 버스트 신호의 선두 부분에 있어서, 모든 캐리어에 대하여 제공되는 기지 신호로서, 이는 소위 프리앰블 또는 트레이닝 신호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다. 또 하나는, 패킷 신호의 데이터 구간중에 일부 캐리어에 대하여 제공되는 기지 신호로서, 이는 소위 파일럿 신호라고 일컬어지는 것이다(예를 들 면, 이하의 비특허 문헌 1 참조).
관련 기술 리스트
[비특허 문헌 1] Sinem Coleri, Mustafa Ergen, Anuj Puri and Ahmad Bahai의 "Channel Estimation Techniques Based on Pilot Arrangement in OFDM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broadcasting, vol.48, No.3, pp.223-229, Sept. 2002.
와이어리스 통신에 있어서, 주파수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가, 적응 어레이 안테나 기술이다. 적응 어레이 안테나 기술은, 복수의 안테나의 각각에 있어서, 처리 대상의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을 제어한다. 이러한 적응 어레이 안테나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고속화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이 있다. 이 MIMO 시스템은,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가 각각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고, 병렬로 송신될 패킷 신호를 설정한다(이하, 패킷 신호에 있어서 병렬로 송신될 데이터 각각을 "스트림"이라고 함). 즉,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의 통신에 대하여, 최대 안테나 수까지의 스트림을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향상시킨다.
또한, 이러한 MIMO 시스템에, OFDM 변조 방식을 조합하면, 데이터 전송 레이트는 더욱 고속화된다. MIMO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의 통신에 사용할 안테나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데이터 레이트의 조절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적응 변조를 MIMO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데이터 레이트의 조절이 보다 상세히 이루어진다. 이러한 데이터 레이트의 조절을 보다 확실하게 실행하기 위해서, 송신 장치는, 수신 장치로부터,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 사이의 무선 전송로에 적합한 데이터 레이트에 관한 정보(이하, "레이트 정보"라고 함)를 취득해야 한다. 이러한 레이트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수신 장치에서는, 송신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와, 수신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간의 각각의 전송로 특성을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IMO 시스템에서의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에서의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의 조합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예는, 송신 장치의 안테나가 옴니 패턴을 갖고, 수신 장치의 안테나가 적응 어레이 신호 처리에서의 패턴을 갖는 경우이다. 다른 예는, 송신 장치의 안테나와 수신 장치의 안테나의 양자가, 적응 어레이 신호 처리에서의 패턴을 갖는 경우이다. 이것은, 빔포밍(beamforming)이라고도 일컬어진다. 전자의 경우는 시스템을 간략화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안테나의 지향성 패턴을 보다 상세히 제어할 수 있으므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송신 장치에서는, 송신의 적응 어레이 신호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로 추정용의 기지 신호를 미리 수신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요구에 있어서, 레이트 정보의 정확도, 및 빔포밍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송로 특성의 취득이 높은 정확도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전송로 특성의 취득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송신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와, 수신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간의 각각의 전송로 특성이 취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송신 장치 혹은 수신 장치는, 모든 안테나로부터 전송로 추정용의 기지 신호를 송신한다. 이하, 데이터의 통신에 사용할 안테나의 개수에 관계없이,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전송로 추정용의 기지 신호를 "트레이닝 신호"라고 칭할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상황하에서, 이하의 과제를 인식하기에 이르렀다. 트레이닝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전송로 추정용의 기지 신호(이하,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라고 함)가 포함되는 스트림의 수와 데이터가 포함되는 스트림의 수가 서로 다르다. 전송로 추정용의 기지 신호의 전단에는, 수신측의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설정하기 위한 기지 신호(이하, "AGC용 기지 신호"라고 함)가 배치된다.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에만 AGC용 기지 신호가 배치되는 경우,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 중 하나는, 그 전단에 AGC용 기지 신호가 수신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수신된다. 특히, 수신측에서, AGC용 기지 신호의 강도가 작으면, AGC에 있어서의 이득은, 어느 정도 큰 값으로 설정된다. 이 때에, AGC용 기지 신호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스트림의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의 강도가 크면, 상기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가, AGC에 의해 왜곡이 생길 정도로 증폭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에 기초한 전송로 추정의 오차가 커진다.
한편,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AGC용 기지 신호가 배치되는 경우, AGC용 기지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수와,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수가 서로 다르다. 이에 따라, 데이터의 복조에 있어서, AGC용 기지 신호에 의해 설정된 이득이 적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복조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송로 추 정용의 기지 신호를 전송할 때에, 수신 정확도의 악화를 억제하는 무선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장치는,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패킷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장치로서, 복수의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신호의 전단에 기지 신호를 배치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 기지 신호가 배치되는 타이밍 및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 부가적인 기지 신호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패킷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생성부에서 생성한 패킷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생성부는,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 하나에 배치된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기지 신호에,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배치된 부가적인 기지 신호에 대하여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며, 타이밍 시프트량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있어서 기지 신호가 배치되는 타이밍과,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있어서 기지 신호가 배 치되는 타이밍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양자의 스트림의 수신 전력을 서로 가깝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정확도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기지 신호 및 부가적인 기지 신호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단위가 반복됨으로써 형성되며 소정의 단위의 부호의 조합은, 스트림간에 직교 관계가 성립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면서, 복수의 스트림의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단위의 부호의 조합이 고정되도록 규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부호의 조합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처리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기지 신호 및 부가적인 기지 신호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단위가 반복됨으로써 형성되며, 소정의 단위의 부호의 조합은, 스트림간에 직교 관계가 성립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면서, 소정의 단위의 부호의 조합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부호의 조합부터 순차적으로 부호의 조합을 사용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부호의 조합부터 순차적으로 부호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도가 높은 부호의 조합부터 순차적으로 부호의 조합을 사용하므로,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과,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한 전송로 특성의 계산 양쪽에 대하여, 공통의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또한 무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패킷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장치로서, 복수의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서의 데이터 신호의 전단에 기지 신호를 배치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 기지 신호가 배치되는 타이밍 및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 부가적인 기지 신호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패킷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생성부에서 생성한 패킷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생성부는,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 하나에 배치된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기지 신호에,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배치된 부가적인 기지 신호에 대하여도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복수의 스트림에 대하여 각각 서로 다른 값의 타이밍 시프트량이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있어서 기지 신호가 배치되는 타이밍과,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있어서 기지 신호가 배치되는 타이밍을 어긋나게 한다. 이에 따라, 양자의 스트림의 수신 전력을 서로 가깝게 할 수 있어, 수신 정확도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기지 신호 및 부가적인 기지 신호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소정의 단위가 반복됨으로써 형성되며, 소정의 단위의 부호의 조합은, 스트림간에 있어서 직교 관계가 성립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면서, 소정의 단위의 부호의 조합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부호의 조합부터 순차적으로 부호의 조합을 사용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부호의 조합부터 순차적으로 부호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도가 높은 부호의 조합부터 순차적으로 부호의 조합을 사용하므로,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과,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한 전 송로 특성의 계산 양쪽 모두에 대하여, 공통의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생성부는, 데이터 신호에 대해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있으며, 타이밍 시프트량으로서,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한다. 이 경우, 데이터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전술한 임의의 무선 장치는, 변형한 신호를 송신부에 출력하는 변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형부는,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수를 복수의 스트림의 수까지 확장한 후에, 확장된 스트림에 대하여, 확장된 스트림 중 하나에 배치된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기지 신호에,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는 제1 처리부와,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의 수를 복수의 스트림의 수까지 확장한 후에, 확장된 스트림에 대하여, 확장된 스트림 중 하나에 배치된 부가적인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부가적인 기지 신호에, 부가적인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는 제2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처리부에서 확장된 스트림에 대하여 사용되는 타이밍 시프트량의 각각과, 제2 처리부에서 확장된 스트림의 각각에 대하여 사용되는 타이밍 시프트량의 각각이, 동일한 값으로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생성부에서의 타이밍 시프트량의 절대치는, 변형부에서의 타이밍 시프트량의 절대치보다도 큰 값으로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는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지 신호는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구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요약에서는, 모든 특징들을 기술할 필요는 없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들 기술된 특징들의 하위 조합이 될 수도 있다.
전송로 추정용의 기지 신호를 전송할 때에, 수신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이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기술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모든 특징 및 조합들은 본 발명에 있어 반드시 필수적인 것인 아니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개요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어도 두 개의 무선 장치를 포함하는 MIMO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장치 중 한쪽은 송신 장치에 상당하고, 다른 쪽은 수신 장치에 상당한다. 송신 장치는,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패킷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특히, 송신 장치가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때의 처리를 설명한다. 전술한 레이트 정보에 의한 적응 변조 처리 및 빔포밍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면 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GC용 기지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와,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가 서로 다른 경우, 수신 장치 에서의 전송로 특성의 추정 오차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송신 장치는,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를,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부분과,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부분으로 분리한다. 여기서,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 중,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응한 부분을 제1 기지 신호라고 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응한 부분을 제2 기지 신호라고 한다. 송신 장치는, AGC용 기지 신호의 후단에 제1 기지 신호를 배치하고, 제1 기지 신호의 후단에 제2 기지 신호를 배치한다. 또한, 송신 장치는, 제2 기지 신호의 후단에 데이터 신호를 배치한다. 즉, 송신 장치는, 데이터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에 대하여, AGC용 기지 신호와 제1 기지 신호의 후단에 공백 기간을 설정하고, 공백 기간의 후단에 데이터 신호를 배치한다. 여기서, 공백 기간은,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서 제2 기지 신호가 배치되어 있는 기간에 상당한다.
수신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스트림에 배치될 AGC용 기지 신호간의 상관과, 복수의 스트림에 배치될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간의 상관은, 각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이하, "AGC용 기지 신호"와 "전송로 추정용 기지 신호"를 총칭해서 "기지 신호"라고도 함). 이 때문에, 기지 신호간에 있어서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가 실행된다. 이러한 처리는, 일반적으로 CDD(Cyclic Delay Diversity)라고 불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스트림의 수에 따른 타이밍 시프트량이 규정되어 있고, 또한 타이밍 시프트량에는 각각의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다. 송신 장치는, 제1 기지 신호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부터 순차적으로 사용 하고, 제2 기지 신호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즉, 타이밍 시프트량으로서, 동일한 값이 사용되는 빈도가 높게 되어, 처리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특히, 도 1은, OFDM 변조 방식에서의 신호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OFDM 변조 방식에서의 복수의 캐리어 중 하나를 서브캐리어라고 일반적으로 부른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하나의 서브캐리어를 "서브캐리어 번호"로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 MIMO 시스템에는, 서브캐리어 번호 "-28"부터 "28"까지의 56 서브캐리어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서브캐리어 번호 "0"은, 베이스밴드 신호에서의 직류 성분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서, 널(null)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MIMO 시스템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시스템(이하, "종래 시스템"이라고 함)에는, 서브캐리어 번호 "-26"부터 "26"까지의 52 서브캐리어가 규정되어 있다. 종래 시스템의 일례는, IEEE802.11a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이다. 복수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 하나의 신호의 단위이며, 시간 영역의 하나의 신호의 단위는, "OFDM 심볼"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가변으로 설정된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된다. 여기서는, 변조 방식에는, BPSK(Binary Phase-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64-QAM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이들 신호에는, 오류 정정 방식으로서, 컨볼루션 부호화가 적용된다. 컨볼루션 부호화의 부호화율은, 1/2, 3/4 등으로 설정된다. 병렬로 송신할 데이터의 수는, 가변으로 설정된다. 데이터는, 패킷 신호로서 송신되고, 병렬로 송신될 패킷 신호의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림"이라고 불린다. 그 결과, 변조 방식, 부호화율, 스트림의 수의 값이 가변으로 설정됨으로써, 데이터 레이트도 가변으로 설정된다. "데이터 레이트"는, 이들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어도 되고, 이들 중 하나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종래 시스템에 있어서, 변조 방식이 BPSK이고, 부호화율이 1/2인 경우, 데이터 레이트는 6Mbps로 된다. 한편, 변조 방식이 BPSK이고, 부호화율이 3/4인 경우, 데이터 레이트는 9Mbps로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장치(10)로 총칭되는 제1 무선 장치(10a) 및 제2 무선 장치(10b)를 포함한다. 제1 무선 장치(10a)는, 안테나(12)로 총칭되는 제1 안테나(12a), 제2 안테나(12b), 제3 안테나(12c) 및 제4 안테나(12d)를 포함하고, 제2 무선 장치(10b)는, 안테나(14)로 총칭되는 제1 안테나(14a), 제2 안테나(14b), 제3 안테나(14c) 및 제4 안테나(14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무선 장치(10a)가 송신 장치에 대응하고, 제2 무선 장치(10b)가 수신 장치에 대응한다.
통신 시스템(100)의 구성으로서, MIMO 시스템의 개략을 설명한다. 데이터는, 제1 무선 장치(10a)로부터 제2 무선 장치(10b)로 송신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1 무선 장치(10a)는, 제1 안테나(12a) 내지 제4 안테나(12d)의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스트림의 데이터를 각각 송신한다. 그 결과, 데이터 레이트가 고속으로 된다. 제2 무선 장치(10b)는, 제1 안테나(14a) 내지 제4 안테나(14d)에 의해, 복수의 스트림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무선 장치(10b)는, 적응 어레이 신호 처리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분리하여, 복수의 스트림의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복조한다.
여기서, 안테나(12)의 개수는 "4"이고, 안테나(14)의 개수도 "4"이므로, 안테나(12)와 안테나(14) 사이의 전송로의 조합의 수는 "16"으로 된다. 제i 안테나(12i) 내지 제j 안테나(14j) 사이의 전송로 특성을 hij로 나타낸다. 도 2에서, 제1 안테나(12a)와 제1 안테나(14a) 사이의 전송로 특성이 h11, 제1 안테나(12a) 내지 제2 안테나(14b) 사이의 전송로 특성이 h12, 제2 안테나(12b)와 제1 안테나(14a) 사이의 전송로 특성이 h21, 제2 안테나(12b) 내지 제2 안테나(14b) 사이의 전송로 특성이 h22, 제4 안테나(12d) 내지 제4 안테나(14d) 사이의 전송로 특성이 h44로 나타내져 있다. 이들 이외의 전송로는, 도면의 명료화를 위해서 생략한다. 제1 무선 장치(10a)와 제2 무선 장치(10b)의 역할이 바뀌어도 된다. 제1 무선 장치(10a)로부터 제2 무선 장치(10b)에, 트레이닝 신호가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도 3의 (a) 및 (b)는,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패킷 포맷을 도시한다. 도 3의 (a) 및 (b)는, 트레이닝 신호의 포맷이 아니라, 통상의 패킷 신호의 포맷을 도시한다. 여기서, 도 3의 (a)는, 스트림의 수가 "4"인 경우에 대응하고, 도 3의 (b)는, 스트림의 수가 "2"인 경우에 대응한다. 도 3의 (a)에서는, 4개의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가, 송신의 대상으로 되는 것으로 하고, 제1 내지 제4 스트림에 대응한 패킷 포맷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도시된다. 제1 스트림에 대응한 패킷 신호에는, 프리앰블 신호로서 "L-STF", "HT-LTF" 등이 배치된다. "L- STF", "L-LTF", "L-SIG", "HT-SIG"는, 종래 시스템에 대응한 AGC 설정용의 기지 신호, 전송로 추정용의 기지 신호, 제어 신호, 그리고 MIMO 시스템에 대응한 제어 신호에 각각 상당한다. MIMO 시스템에 대응한 제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스트림의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HT-STF" 및 "HT-LTF"는, MIMO 시스템에 대응한 AGC 설정용의 기지 신호 및 전송로 추정용의 기지 신호에 상당한다. 한편, "DATA 1"는 데이터 신호이다. 또한, L-LTF 및 HT-LTF는, AGC의 설정뿐만 아니라, 타이밍의 추정에도 사용된다.
제2 스트림에 대응한 패킷 신호에는, 프리앰블 신호로서 "L-STF(-50㎱)"와 "HT-LTF(-400㎱)" 등이 배치된다. 또한, 제3 스트림에 대응한 패킷 신호에는, 프리앰블 신호로서 "L-STF(-100㎱)"와 "HT-LTF(-200㎱)" 등이 배치된다. 또한, 제4 스트림에 대응한 패킷 신호에는, 프리앰블 신호로서 "L-STF(-150㎱)"와 "HT-LTF(-600㎱)" 등이 배치된다. 여기서, "-400㎱" 등은, CDD에서의 타이밍 시프트량을 나타낸다. CDD란, 소정의 구간에 있어서, 시간 영역의 파형을 시프트량만큼 후방으로 시프트시키고, 소정의 구간의 최후부로부터 압출된 파형을 소정의 구간의 선두 부분에 순환적으로 배치시키는 처리이다. 이에 따라, "L-STF(-50㎱)"에는, "L-STF"에 대하여, -50㎱의 지연량으로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가 이루어지고 있다. L-STF와 HT-STF는, 800㎱의 기간의 반복에 의해 구성되고, 그 밖의 HT-LTF 등은, 3.2㎲의 기간의 반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DATA 1" 내지 "DATA 4"에도 CDD가 이루어져 있고, 타이밍 시프트량은, 전단에 배치된 HT-LTF에서의 타이밍 시프트량과 동일한 값이다.
제1 스트림에 있어서, HT-LTF가, 선두부터 "HT-LTF", "-HT-LTF", "HT-LFT", "-HT-LTF"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을 순차적으로, 모든 스트림에 있어서 "제1 성분", "제2 성분", "제3 성분", 및 "제4 성분"이라고 부른다. 수신 장치는, 모든 스트림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제1 성분-제2 성분+제3 성분-제4 성분의 연산을 행하여, 제1 스트림에 대한 소망 신호를 추출한다. 수신 장치는, 모든 스트림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제1 성분+제2 성분+제3 성분+제4 성분의 연산을 행하여, 제2 스트림에 대한 소망 신호를 추출한다. 수신 장치는, 모든 스트림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제1 성분-제2 성분-제3 성분+제4 성분의 연산을 행하여, 제3 스트림에 대한 소망 신호를 추출한다. 수신 장치는, 모든 스트림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제1 성분+제2 성분-제3 성분-제4 성분의 연산을 행하여, 제4 스트림에 대한 소망 신호를 추출한다. 가감 처리는, 벡터 연산으로 실행된다.
"L-LTF"에서부터 "HT-SIG" 등까지의 부분은, 종래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52"서브캐리어를 사용한다. "52" 서브캐리어 중의 "4" 서브캐리어가 파일럿 신호에 상당한다. 한편, "HT-LTF" 등 이후의 부분은, "56" 서브캐리어를 사용한다.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도시한 패킷 포맷 중의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과 유사하다. 여기서, 도 3의 (b)의 "HT-LTF"의 배치가, 도 3의 (a)의 "HT-LTF"의 배치와 다르다. 즉, HT-LTF에는, 제1 성분과 제2 성분만이 포함되어 있다. 제1 스트림에 있어서, HT-LTF가, 선두부터 "HT-LTF" 및 "HT-LTF"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신 장치는 모든 스트림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제1 성분+제2 성분의 연산을 행하여, 제1 스트림에 대한 소망 신호를 추출한다. 또한, 수신 장치는, 모든 스트림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제1 성분-제2 성분의 연산을 행하여, 제2 스트림에 대한 소망 신호를 추출한다.
도 4의 (a) 내지 (c)는,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트레이닝 신호용의 패킷 포맷을 도시한다. 도 4의 (a)는,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수가 "2"인 경우이고, 도 4의 (b) 및 (c)는,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수가 "1"인 경우이다. 즉, 도 4(a)에서는,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 각각에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고, 도 4의 (b) 및 (c)에서는, 제1 스트림에 데이터 신호가 배치된다. 도 4의 (a)의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 중, HT-LTF에 관한 배치까지는, 도 3의 (b)에서의 배치와 동일하다. 그러나, 그 후단에 있어서,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에는, 공백 기간이 설정된다. 한편,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에서의 공백 기간에 있어서, 제3 스트림과 제4 스트림에는, HT-LTF가 배치된다. 또한, 제3 스트림과 제4 스트림에 배치된 HT-LTF에 계속해서,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에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HT-STF"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가, 데이터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와 동등해지므로, 수신 장치에 있어서 "HT-STF"에 의해 설정된 이득에 포함되는 오차가 작게 되어, 데이터 신호의 수신 특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스트림과 제4 스트림에 배치된 "HT-LTF"는, 이들 두 개의 스트림에만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신 장치에 있어서 "HT-STF"에 의해 설정된 이득에 포함되는 오차가 작아져, 전송로 추정의 정확도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 시프트량에 대해서, "0㎱", "-400㎱", "-200㎱" 및 "-600㎱"의 순으로 우선도가 낮아지도록, 우선도가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0㎱" 의 우선도가 가장 높고, "-600㎱"의 우선도가 가장 낮아지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에서는, 타이밍 시프트량으로서, "0㎱" 및 "-400㎱"의 값이 사용되고 있다. 제3 스트림과 제4 스트림에서도 타이밍 시프트량으로서 "0㎱" 및 "-400㎱"의 값이 사용되고 있다. 그 결과, 제1 스트림에서의 "HT-LTF" 및 "HT-LTF"의 조합이 제3 스트림에서도 사용되고, 제2 스트림에서의 "HT-LTF(-400㎱)" 및 "-HT-LTF(-400㎱)"의 조합이 제4 스트림에서도 사용되므로 처리가 간이해진다.
도 4의 (b)의 제1 스트림 중, HT-LTF에 관한 배치까지는, 도 3의 (b)의 제1 스트림에 대한 배치와 동등하다. 여기서, "HT-LTF"는 하나의 위치에만 배치된다. 그러나, 그 후단에 있어서, 제1 스트림에는, 공백 기간이 설정된다. 한편, 제1 스트림에서의 공백 기간에 있어서, 제2 스트림 내지 제4 스트림에는, HT-LTF가 배치된다. 또한, 제2 스트림 내지 제4 스트림에 배치된 HT-LTF에 계속해서, 제1 스트림에는 데이터가 배치된다. 도 4의 (c)의 패킷 포맷은, 도 4의 (b)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 4의 (c)에서의 "HT-LTF"의 부호의 조합은 도 4의 (b)의 것과 다르다. 여기서, "HT-LTF"의 부호의 조합은, 스트림간에 있어서 직교 관계가 성립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c)에서는, 복수의 스트림의 각각에 대하여, "HT-LTF"의 부호의 조합이 고정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제2 스트림 내지 제4 스트림에 배치된 HT-LTF는, 도 3의 (a)에서의 제1 스트림 내지 제3 스트림에 배치된 HT-LTF와 동일하다. 즉, 제2 스트림 내지 제4 스트림이더라도, 우선도가 높은 "0㎱", "-400㎱", 및 "-200㎱"가 사용된다.
도 5는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송신되는 패킷 신호의 패킷 포맷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a)의 패킷 신호를 변형시킨 경우에 상당한다. 도 5의 "HT-SIG"까지는, 도 3의 (a)와 동일하다. 도 4의 (a)의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에 배치된 "HT-STF"와 "HT-LTF" 전에, 후술하는 직교 행렬에 의한 연산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HT-STF1" 내지 "HT-STF4"가 생성된다. "HT-LTF"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스트림 내지 제4 스트림의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타이밍 시프트량 "0㎱", "-50㎱", "-100㎱", "-150㎱"에 의한 CDD가 실행된다. 2번째의 CDD에서의 타이밍 시프트량의 절대치는, HT-STF 및 HT-LTF에 대하여 첫번째에 이루어진 CDD에서의 타이밍 시프트량의 절대치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제3 스트림과 제4 스트림에 배치된 "HT-LTF"와 "DATA 1"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도 4의 (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제1 스트림 내지 제4 스트림을 사용한 패킷 신호가 생성된다.
도 6은 제1 무선 장치(10a)의 구성을 도시한다. 제1 무선 장치(10a)는, 무선부(20)로 총칭되는 제1 무선부(20a), 제2 무선부(20b), ... 제4 무선부(20d)와, 베이스밴드 처리부(22), 변복조부(24), IF부(26),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신호로서, 시간 영역 신호(200)로 총칭되는 제1 시간 영역 신호(200a), 제2 시간 영역 신호(200b), ... 제4 시간 영역 신호(200d)와, 주파수 영역 신호(202)로 총칭되는 제1 주파수 영역 신호(202a), 제2 주파수 영역 신호(202b), 제3 주파수 영역 신호(202c) 및 제4 주파수 영역 신호(202d)를 포함한다. 제2 무선 장치(10b)는, 제1 무선 장치(10a)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신 동 작에 관한 설명은, 제2 무선 장치(10b)에서의 처리에 대응하고, 송신 동작에 관한 설명은, 제1 무선 장치(10a)에서의 처리에 대응한다. 이러한 대응은 그 반대이어도 된다.
무선부(20)는, 수신 동작으로서, 안테나(12)에 의해 수신한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의 신호를 도출한다. 무선부(20)는, 베이스밴드의 신호를 시간 영역 신호(200)로서 베이스밴드 처리부(22)에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베이스밴드의 신호는, 동상 성분과 직교 성분으로 구성되므로, 두 개의 신호선에 의해 전송되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도면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의 신호선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AGC부 및 A/D 변환부도 포함된다. AGC부는, "L-STF" 및 "HT-STF"에 있어서 게인을 설정한다.
무선부(20)는, 송신 동작으로서, 베이스밴드 처리부(22)로부터의 베이스밴드의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도출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처리부(22)로부터의 베이스밴드의 신호도 시간 영역 신호(200)로서 나타낸다. 무선부(20)는, 무선 주파수의 신호를 안테나(12)에 출력한다. 즉, 무선부(20)는, 무선 주파수의 패킷 신호를 안테나(12)로부터 송신한다. PA(Power Amplifier) 및 D/A 변환부도 포함된다. 시간 영역 신호(200)는, 시간 영역으로 변환된 멀티캐리어 신호로서, 디지털 신호인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2)는, 수신 동작으로서, 복수의 시간 영역 신호(200)를 각각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이에 따라 주파수 영역의 신호에 대하여 적응 어레이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베이스밴드 처리부(22)는, 적응 어레이 신호 처리의 결과를 주파수 영역 신호(202)로서 출력한다. 하나의 주파수 영역 신호(202)가, 송신된 복수의 스트림의 각각에 포함된 데이터에 상당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2)는, 송신 동작으로서, 변복조부(24)로부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서의 주파수 영역 신호(202)를 입력하고,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으로 변환하고, 그 후 복수의 안테나(12)의 각각에 대응시킴으로써 시간 영역 신호(200)로서 출력한다.
송신 처리에서 사용할 안테나(12)의 수는, 제어부(30)에 의해 지정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주파수 영역의 신호인 주파수 영역 신호(202)는, 도 1과 같이, 복수의 서브캐리어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서, 주파수 영역의 신호는, 서브캐리어 번호의 순번으로 배열되어, 시리얼 신호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주파수 영역의 신호의 구성을 도시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한 서브캐리어 번호 "-28"부터 "28"의 하나의 조합을 "OFDM 심볼"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i"번째의 OFDM 심볼은, 서브캐리어 번호 "1"부터 "28", 서브캐리어 번호 "-28"부터 "-1"의 순번으로 서브캐리어 성분을 배열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i"번째의 OFDM 심볼의 전에, "i-1"번째의 OFDM 심볼이 배치되고, "i"번째의 OFDM 심볼의 후에, "i+1"번째의 OFDM 심볼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의 (a) 등의 "L-SIG" 등의 부분에서는, 하나의 "OFDM 심볼"에 대하여, 서브캐리어 번호 "-26"부터 "26"의 조합이 사용된다.
이제 도 6으로 되돌아간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2)는, 도 3의 (a) 및 (b), 도 4의 (a) 및 (b)의 패킷 포맷에 대응한 패킷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CDD를 실행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2)는, 도 5의 패킷 포맷에 도시한 패킷 신호에의 변형을 실행하기 위해서, 스티어링 행렬(steering matrix)의 승산을 실행한다. 이들 처리의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변복조부(24)는, 수신 처리로서, 베이스밴드 처리부(22)로부터의 주파수 영역 신호(202)에 대하여, 복조와 디인터리브를 실행한다. 복조는 서브캐리어 단위로 이루어진다. 변복조부(24)는, 복조한 신호를 IF부(26)에 출력한다. 변복조부(24)는, 송신 처리로서, 인터리브와 변조를 실행한다. 변복조부(24)는, 변조한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202)로서 베이스밴드 처리부(22)에 출력한다. 송신 처리 시에, 변조 방식은, 제어부(30)에 의해 지정되는 것으로 한다.
IF부(26)는, 수신 처리로서, 복수의 변복조부(24)로부터의 신호를 합성하여,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한다. IF부(26)는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한다. IF부(26)는 복호한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한다. IF부(26)는, 송신 처리로서,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입력하여 부호화한 후에,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한다. 그 후, IF부(26)는, 이에 따라 분리된 데이터를 복수의 변복조부(24)에 출력한다. 송신 처리 시에, 부호화율은, 제어부(30)에 의해 지정된다. 여기서, 부호화의 일례는, 컨볼루션 부호화이고, 복호의 일례는 비터비 복호이다.
제어부(30)는, 제1 무선 장치(10a)의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IF부(26), 변복조부(24) 및 베이스밴드 처리부(22)와 협동하여, 도 3의 (a) 및 (b), 도 4의 (a) 및 (b), 도 5와 같이,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패킷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도 3의 (a) 및 (b)의 패킷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며, 도 4의 (a) 및 (b), 도 5의 패킷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중, 대응하는 관련 부분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2)에 대하여, 복수의 스트림 중의 적어도 하나에 데이터를 배치시키고, 이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에서의 데이터의 전단에 HT-LTF를 배치시킨다. 이것은, 도 4의 (a)의 제1 스트림과 제2 스트림에서의 배치에 상당한다. 제어부(30)는, 상기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 HT-LTF가 배치되는 타이밍 및 데이터가 배치되는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 HT-LTF를 배치시킨다. 이것은, 도 4의 (a)의 제3 스트림과 제4 스트림에서의 배치에 상당한다. 이상의 결과, 베이스밴드 처리부(22)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킷 포맷의 패킷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3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2)에 대하여,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배치된 HT-LTF 등에 CDD를 실행시킨다. CDD는, 하나의 스트림에 배치된 HT-LTF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HT-LTF에, HT-LTF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실행시키는 것에 상당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배치된 HT-LTF에 대해서도 CDD를 행한다. 제어부(30)는, 타이밍 시프트량에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시프트량 "0㎱"의 우선도를 가장 높게 설정하고, 이에 계속해서 "-400㎱", "-200㎱" 및 "-600㎱"의 순으로 낮아져 가는 우선도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3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2)에,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시킨다. 예를 들면, 도 4의 (a)의 경우, 제1 스트림에 대하여 "0㎱"를 사용시키고, 제2 스트림에 대하여 "-400㎱"를 사용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시킨다. 예를 들면, 도 4의 (a)의 경우, 제3 스트림에 대하여 "0㎱"를 사용시키고, 제4 스트림에 대하여 "-400㎱"를 사용시킨다. 또한, 제어부(3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2)에, 데이터에 대하여도 CDD를 실행시키고, 타이밍 시프트량으로서,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시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4의 (a) 및 (b)와 같은 패킷 포맷의 패킷 신호가 생성된 후, 제어부(3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2)에, 이들과 같은 패킷 신호를 변형시켜, 변형된 패킷 신호를 무선부(20)에 송신시킨다. 즉, 제어부(30)는, 도 4의 (a)에 도시한 패킷 포맷을 도 5에 도시한 패킷 포맷으로 변형시킨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2)는,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수를 복수의 스트림의 수까지 확장한 후에, 확장된 스트림에 대하여, CDD를 실행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2)는,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의 수를 복수의 스트림의 수까지 확장한 후에, 확장된 스트림에 대하여, CDD를 실행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한 타이밍 시프트량과,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한 타이밍 시프트량을 동일한 값으로 되도록 설정한다.
이 구성은, 하드웨어적으로는, 임의의 컴퓨터의 CPU, 메모리 및 그 밖의 LSI에서 실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이 구성은, 메모리에 로드된 통신 기능 이 있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되지만, 여기에서는 이들 제휴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능 블록이 하드웨어만, 소프트웨어만,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도 8은, 베이스밴드 처리부(22)의 구성을 도시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2)는, 수신용 처리부(50), 송신용 처리부(52)를 포함한다. 수신용 처리부(5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2)에서의 동작 중, 수신 동작에 대응하는 부분을 실행한다. 즉, 수신용 처리부(50)는, 시간 영역 신호(200)에 대하여 적응 어레이 신호 처리를 실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의 웨이트 벡터의 도출을 실행한다. 그 후, 수신용 처리부(50)는, 어레이 합성한 결과를 주파수 영역 신호(202)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수신용 처리부(50)는, 주파수 영역 신호(202)에 기초하여 레이트 정보를 생성하여도 된다. 레이트 정보의 생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기술이면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송신용 처리부(52)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2)에서의 동작 중, 송신 동작에 대응하는 부분을 실행한다. 즉, 송신용 처리부(52)는, 주파수 영역 신호(202)를 변환함으로써, 시간 영역 신호(200)를 생성한다. 송신용 처리부(52)는, 복수의 스트림을 복수의 안테나(12)에 각각 대응시킨다. 송신용 처리부(52)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CDD를 실행한다. 송신용 처리부(52)는 스티어링 행렬의 연산을 실행할 수도 있다. 송신용 처리부(52)는, 최종적으로 시간 영역 신호(200)를 출력한다. 한편, 송신용 처리부(52)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패 킷 신호를 송신할 때에, 빔포밍을 실행하여도 된다. 빔포밍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기술이면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수신용 처리부(50)의 구성을 도시한다. 수신용 처리부(50)는, FFT부(74), 웨이트 벡터 도출부(76), 합성부(80)로 총칭되는 제1 합성부(80a), 제2 합성부(80b), 제3 합성부(80c), 제4 합성부(80d)를 포함한다.
FFT부(74)는, 시간 영역 신호(200)에 대하여 FFT를 실행함으로써, 시간 영역 신호(200)를 주파수 영역의 값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주파수 영역의 값은, 도 7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하나의 시간 영역 신호(200)에 대한 주파수 영역의 값은, 하나의 신호선을 통해 출력된다.
웨이트 벡터 도출부(76)는, 주파수 영역의 값으로부터, 서브캐리어 단위로 웨이트 벡터를 도출한다. 웨이트 벡터는, 복수의 스트림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도출되고, 하나의 스트림에 대한 웨이트 벡터는, 각각의 스트림에 대해 안테나(12)의 수에 대응한 요소를 포함한다. 복수의 스트림의 각각에 대응한 웨이트 벡터의 도출에는, HT-LTF 등이 사용된다. 웨이트 벡터를 도출하기 위해서, 적응 알고리즘이 사용되어도 되고, 혹은 전송로 특성이 사용되어도 된다. 적응 알고리즘 등에 대한 처리에는 공지의 기술이 사용되면 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웨이트 벡터 도출부(76)는, 웨이트 벡터를 도출할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성분-제2 성분+제3 성분-제4 성분 등의 연산을 실행한다. 최종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캐리어, 안테나(12) 및 스트림의 각각에 대하여 웨이트가 도출된다.
합성부(80)는, FFT부(74)에서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값과, 웨이트 벡터 도출 부(76)로부터의 웨이트 벡터를 조합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승산 대상으로서, 웨이트 벡터 도출부(76)로부터의 웨이트 벡터 중,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한 웨이트이면서, 또한 제1 스트림에 대응한 웨이트가 선택된다. 선택된 웨이트는, 안테나(12)의 각각에 대응한 값을 갖는다.
승산 대상의 다른 웨이트 벡터로서, FFT부(74)에서 변환된 주파수 영역의 값 중,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한 값이 선택된다. 선택된 값은, 안테나(12)의 각각에 대응한 값을 갖는다. 선택된 웨이트와 선택된 값은, 동일한 서브캐리어에 속한다. 안테나(12)의 각각에 대응되면서, 선택된 웨이트와 선택된 값이 각각 승산되고, 승산 결과가 가산된다. 그 결과, 제1 스트림 중의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대응한 값이 도출된다. 제1 합성부(80a)에서는, 이상의 처리가 다른 서브캐리어에 대하여도 실행되어, 제1 스트림에 대응한 데이터가 도출된다.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서, 제2 스트림 내지 제4 스트림에 대응한 데이터가 각각 도출된다. 도출된 제1 스트림 내지 제4 스트림은, 제1 주파수 영역 신호(202a) 내지 제4 주파수 영역 신호(202d)로서 각각 출력된다.
도 10은, 송신용 처리부(52)의 구성을 도시한다. 송신용 처리부(52)는, 분산부(66) 및 IFFT부(68)를 포함한다. IFFT부(68)는, 주파수 영역 신호(202)에 대하여 IFFT를 실행하고, 그 후 시간 영역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IFFT부(68)는, 스트림의 각각에 대응한 시간 영역의 신호를 출력한다.
분산부(66)는, IFFT부(68)로부터의 스트림과 안테나(12)를 대응시킨다. 분산부(66)는, 도 3의 (a) 및 (b), 도 4의 (a) 및 (b)에 대응한 패킷 신호를 생성하 기 위해서 CDD를 실행한다. CDD는 행렬 C로서, 이하의 수학식 1과 같이 실행된다.
C(ℓ)=diag(1, exp(-j2πℓδ/Nout), ..., exp(-j2πℓδ/Nout-1)/Nout))
여기서, δ는 시프트량을 나타내고, ℓ은 서브캐리어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행렬 C와 스트림의 승산은 서브캐리어를 단위로 해서 실행된다. 즉, 분산부(66)는 L-STF 등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스트림 단위로 실행한다. 타이밍 시프트량은, 도 3의 (a) 및 (b), 도 4의 (a) 및 (b)에 대응하도록, 전술한 우선도에 따르면서 설정된다.
분산부(66)는, 도 4의 (a) 및 (b)와 같이 생성된 트레이닝 신호에 대하여, 스티어링 행렬을 각각 승산함으로써, 트레이닝 신호의 스트림의 수를 복수의 스트림의 수까지 증가시킨다. 분산부(66)는, 승산을 실행하기 전에, 입력한 신호의 차수를 복수의 스트림의 수까지 확장한다. 도 4의 (a)의 경우, 제1 스트림 및 제2 스트림에 배치된 "HT-STF" 등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의 수는, "2"이며, 이는 "Nin"로 표시할 것이다. 따라서, 입력한 데이터는, "Nin×1"의 벡터에 의해 표시된다. 복수의 스트림의 수는, "4"이며, 여기에서는, "Nout"로 표시된다. 분산부(66)는, 입력한 데이터의 차수를 Nin으로부터 Nout로 확장시킨다. 즉, "Nin×1"의 벡터를 "Nout×1"의 벡터로 확장시킨다. 이 때, (Nin+1)행째부터 Nout행째까지의 성분에 "0"을 삽입한다. 한편, 도 4의 (a)의 제3 스트림 및 제4 스트림에 배치된 "HT-LTF"에 대하여, Nin까지의 성분이 "0"이고, (Nin+1)행째부터 Nout행째까지의 성분에 HT-LTF(-400㎱) 등이 삽입되어 있다.
스티어링 행렬 S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S(ℓ) = C(ℓ)W
스티어링 행렬은 "Nout×Nout"의 행렬이다. W는 "Nout×Nout"의 직교 행렬이다. 직교 행렬의 일례는 월쉬 행렬이다. 여기서, ℓ은 서브캐리어 번호를 나타내고 있고, 스티어링 행렬에 의한 승산은, 서브캐리어를 단위로 하여 실행된다. C는 전술한 바와 같이, CDD를 나타낸다. 여기서, 타이밍 시프트량은, 복수의 스트림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즉, 제1 스트림에 대하여 "0㎱", 제2 스트림에 대하여 "-50㎱", 제3 스트림에 대하여 "-100㎱", 제4 스트림에 대하여 "-150㎱"와 같이 타이밍 시프트량이 규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3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2)에 CDD를 실행시킬 때에, 우선도를 규정하고,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변형예에 있어서, 제어부(30)는, 복수의 스트림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값의 타이밍 시프트량을 규정한다.
도 11의 (a) 및 (b)는,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트레이닝 신호용의 별도의 패킷 포맷을 도시한다. 도 11의 (a) 및 (b)는, 도 4의 (a) 및 (b)에 각각 대응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제1 스트림에 대하여 타이밍 시프트량 "0㎱"를 규정하고, 제2 스트림에 대하여 타이밍 시프트량 "-400㎱"를 규정하고, 제3 스트림에 대하여 타이밍 시프트량 "-200㎱"를 규정하고, 제4 스트림에 대하여 타이밍 시프트량 "-600㎱"를 규정한다. 이 때문에, 도 11의 (a)에서는, 도 4의 (a)에서의 제3 스트림과 제4 스트림에서의 타이밍 시프트량 "0㎱", "-400㎱" 대신에, "-200㎱", "-600㎱"가 사용된다. 한편, 도 11의 (b)에서는, 도 4의 (b)에서의 제2 스트림 내지 제4 스트림에서의 타이밍 시프트량 "0㎱", "-400㎱", "-200㎱" 대신에, "-400㎱", "-200㎱", "-600㎱"가 사용된다.
도 11의 (c)는, 도 11의 (b)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 11의 (c)에서의 "HT-LTF"의 부호의 조합이 도 4의 (b)의 것과 다르다. 여기서, "HT-LTF"의 부호의 조합에는 미리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다. 즉, 도 3의 (a)의 제1 스트림에서의 부호의 조합의 우선도가 가장 높고, 제4 스트림에서의 부호의 조합의 우선도가 가장 낮아지는 규정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부호의 조합부터 순차적으로 부호의 조합을 사용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부호의 조합부터 순차적으로 부호의 조합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부호의 조합을 동일하게 하여 놓으면, 수신 장치가 + 및 -의 연산을 행하여 각 성분을 취출하는 경우에,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의 "HT-LTF"의 부분에 대한 전송로 특성의 계산과,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HT-LTF"의 부분에 대한 전송로 특성의 계산에 대하여, 공통의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닝 신호를 생성할 때에, HT-STF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수와,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수를 동일한 수로 한다. 이에 따라, HT-STF에 의해 설정된 이득이 데이터에 대응하므로, 데이터의 수신 특성의 악 화를 억제할 수 있다. 트레이닝 신호를 생성할 때에,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있어서 HT-LTF가 배치되는 타이밍과,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있어서 HT-LTF가 배치되는 타이밍을 어긋나게 함으로써, 양자의 수신 전력을 서로 가깝게 할 수 있다. 양자의 수신 전력을 서로 가깝게 함으로써,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HT-STF가 배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스트림에 의한 전송로 특정의 추정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타이밍 시프트량에 우선도를 규정하고,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과 데이터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의 각각에 대하여, 높은 우선도부터 순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타이밍 시프트량을 많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타이밍 시프트량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처리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트림의 수를 "2"로 하고,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수를 "1"로 하는 경우, 수신 장치는, HT-LTF의 수신 상황에 따라서, 복수의 스트림 중 어느 스트림에 데이터가 배치되어야 할지를 송신 장치에 지시할 수 있다. 즉, 송신 다이버시티를 실행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림에 배치된 HT-LTF의 각각에 대한 타이밍 시프트량은 동일한 값이므로,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이 변경되더라도, 수신 장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림의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타이밍 시프트량을 설정하므로, 균일적으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균일적으로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처리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속되는 패킷 신호에 있어서, 데이터가 배치되는 스트림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증가되는 스트림에 대한 HT-LTF는, 동일한 타이밍 시프트량으로 이미 송신되어 있으므로, 수신 장치는, 이미 도출한 타이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미 도출한 타이밍 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신 장치는, 데이터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의 증가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이며, 이들의 각 구성 요소 및 각 처리 공정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 또한 이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다는 것은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스트림의 수가 "4"인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복수의 스트림의 수는, "4"보다 작아도 되고, "4"보다 커도 된다. 이 예와 더불어, 전자의 경우, 안테나(12)의 수가 "4"보다 적어도 되고, 안테나(12)의 수가 "4"보다 커도 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다양한 스트림의 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용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리어 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 내지 (c)는 도 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레이닝 신호용의 패킷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송신될 패킷 신호의 패킷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제1 무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의 주파수 영역의 신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6의 베이스밴드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의 수신용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8의 송신용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의 (a) 내지 (c)는 도 2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레이닝 신호용의 다른 유형의 별도의 패킷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제1 무선 장치 10b: 제2 무선 장치
20a: 제1 무선부 20b: 제2 무선부
20d: 제4 무선부 22: 베이스밴드 처리부
24: 변복조부 26: IF부
30: 제어부 50: 수신용 처리부
52: 송신용 처리부 66: 분산부
68: IFFT부 74: FFT부
76: 웨이트 벡터 도출부 80a: 제1 합성부

Claims (8)

  1.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패킷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장치로서,
    복수의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1 기지 신호와, 제1 기지 신호의 후단에서, 복수의 스트림 각각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와, 제2 기지 신호의 후단에서, 제1 기지 신호와 동일한 스트림에 배치된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패킷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패킷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제2 기지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보다 제1 기지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를 적게 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하나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제2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대하여도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또한 타이밍 시프트량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는 무선 장치.
  2.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패킷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장치로서,
    복수의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1 기지 신호와, 제1 기지 신호의 후단에서, 복수의 스트림 각각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와, 제2 기지 신호의 후단에서, 제1 기지 신호와 동일한 스트림에 배치된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패킷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패킷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제2 기지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보다 제1 기지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를 적게 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하나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제2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대하여도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또한 타이밍 시프트량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는 무선 장치.
  3.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패킷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장치로서,
    복수의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1 기지 신호와, 제1 기지 신호의 후단에서, 복수의 스트림 각각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와, 제2 기지 신호의 후단에서, 제1 기지 신호와 동일한 스트림에 배치된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패킷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패킷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와,
    상기 파워 앰프에서 증폭한 패킷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제2 기지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보다 제1 기지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를 적게 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하나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제2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대하여도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또한 타이밍 시프트량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는 무선 장치.
  4.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패킷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장치로서,
    복수의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1 기지 신호와, 제1 기지 신호의 후단에서, 복수의 스트림 각각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와, 제2 기지 신호의 후단에 서, 제1 기지 신호와 동일한 스트림에 배치된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디지털 패킷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디지털 패킷 신호를 변환하는 D/A 변환부와,
    상기 D/A 변환부에서 변환한 패킷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와,
    상기 파워 앰프에서 증폭한 패킷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안테나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제2 기지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보다 제1 기지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를 적게 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하나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제2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대하여도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또한 타이밍 시프트량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는 무선 장치.
  5.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패킷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장치로서,
    복수의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1 기지 신호와, 제1 기지 신호의 후단에서, 복수의 스트림 각각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와, 제2 기지 신호의 후단에 서, 제1 기지 신호와 동일한 스트림에 배치된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패킷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패킷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제2 기지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보다 제1 기지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를 적게 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하나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제2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대하여도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또한 타이밍 시프트량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는 무선 장치.
  6. 복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패킷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장치로서,
    복수의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1 기지 신호와, 제1 기지 신호의 후단에서, 복수의 스트림 각각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와, 제2 기지 신호의 후단에서, 제1 기지 신호와 동일한 스트림에 배치된 데이터 신호가 포함된 디지털 패킷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서 생성한 디지털 패킷 신호를 변환하는 D/A 변환부와,
    상기 D/A 변환부에서 변환한 패킷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제2 기지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보다 제1 기지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배치된 스트림의 수를 적게 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하나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를 기준으로 사용하여,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 중의 다른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제2 기지 신호 내에서의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배치된 제2 기지 신호에 대하여도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또한 타이밍 시프트량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으며,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고,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타이밍 시프트량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는 무선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에 있어서, 제2 기지 신호는, 시간 영역에서 소정의 단위가 반복됨으로써 형성되고, 소정의 단위의 부호의 조합은, 스트림간에 직교 관계가 성립하도록 규정되고 있으며, 상기 소정의 단위의 부호의 조합에는 미리 우선도를 설정하고 있고, 제2 기지 신호 중,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은 부호의 조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호의 조합을 사용하고, 제2 기지 신호 중,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지 않는 스트림에 대하여도, 우선도가 높은 부호의 조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호의 조합을 사용하는 무선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순환적인 타이밍 시프트를 행하고, 타이밍 시프트량으로서, 데이터 신호가 배치되는 스트림에 대한 타이밍 시프트량을 사용하는 무선 장치.
KR1020097022355A 2005-09-15 2006-09-07 무선 장치 KR101124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692605P 2005-09-15 2005-09-15
US60/716,926 2005-09-15
PCT/JP2006/318210 WO2007032413A1 (en) 2005-09-15 2006-09-07 Preamble design for mimo-ofdm radio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748A Division KR100937802B1 (ko) 2005-09-15 2006-09-07 무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823A KR20090115823A (ko) 2009-11-06
KR101124122B1 true KR101124122B1 (ko) 2012-03-23

Family

ID=374533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748A KR100937802B1 (ko) 2005-09-15 2006-09-07 무선 장치
KR1020097022355A KR101124122B1 (ko) 2005-09-15 2006-09-07 무선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748A KR100937802B1 (ko) 2005-09-15 2006-09-07 무선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7899413B2 (ko)
EP (1) EP1925104B1 (ko)
JP (6) JP3989512B2 (ko)
KR (2) KR100937802B1 (ko)
CN (2) CN101107792B (ko)
DE (1) DE602006019279D1 (ko)
TW (2) TWI422176B (ko)
WO (1) WO2007032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5276B2 (ja) 2004-11-12 2008-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送信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無線装置
JP3989512B2 (ja) 2005-09-15 2007-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JP5044165B2 (ja) * 2006-08-14 2012-10-10 株式会社東芝 マルチアンテナ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機、受信機及び方法
JP4926251B2 (ja) 2007-10-01 2012-05-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移動局装置および送信方法
ES2601583T3 (es) 2009-02-18 2017-02-15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acceso a un canal coexistente
US8301177B2 (en) * 2009-03-03 2012-10-30 Intel Corporation Efficient paging operation for femtocell deployment
EP2491663B1 (en) * 2009-10-23 2015-07-29 Marvell World Trade Ltd. Training sequence indication for WLAN
EP2497304B1 (en) 2009-11-03 2018-06-20 Marvell World Trade Ltd. Power saving in a communication device
JP5259809B2 (ja) * 2011-12-05 2013-08-07 株式会社東芝 マルチアンテナ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機、受信機及び方法
JP5210441B1 (ja) * 2012-01-10 2013-06-1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リソース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
CN106605374A (zh) * 2014-10-07 2017-04-26 英特尔公司 高效信号字段的并行传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4655A1 (en) 2004-01-28 2005-07-28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signals, and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796A (ja) 1998-04-07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3581282B2 (ja) * 1999-09-17 2004-10-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アンテナ制御方法
US6473467B1 (en) 2000-03-22 2002-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US6751187B2 (en) * 2001-05-17 2004-06-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for transmission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ing selective channel transmission
US20020193146A1 (en) 2001-06-06 2002-12-19 Mark Wallace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69224B2 (en) * 2001-09-17 2007-09-11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efficient space-time structures for preambles, pilots and data for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s systems
GB0125178D0 (en) * 2001-10-19 2001-12-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625280B2 (ja) * 2001-11-02 2005-03-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SE0201103D0 (sv) 2002-04-11 2002-04-11 Ericsson Telefon Ab L M Diagonally Layered Multi-Antenna Transmission for Frequency Selective Channels
JP2004080110A (ja) * 2002-08-09 2004-03-11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直交周波数分割多重通信システム、及び直交周波数分割多重無線機
GB2392065B (en) 2002-08-15 2004-12-29 Toshiba Res Europ Ltd Signal decoding methods and apparatus
US7263385B2 (en) 2002-08-23 2007-08-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ing with data rate control feedback
AR045704A1 (es) * 2002-09-04 2005-11-09 Qualcomm Inc Estimacion de canales para sistemas de comunicaciones
US8320301B2 (en) 2002-10-25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IMO WLAN system
US7002900B2 (en) * 2002-10-25 2006-02-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processing for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FR2848747A1 (fr) * 2002-12-16 2004-06-18 France Telecom Procede et dispositif multi-antenne de transmission de signaux
US7310379B2 (en) * 2002-12-30 2007-12-18 Motorola, Inc. Polarization state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O2004075451A1 (ja) 2003-01-29 2004-09-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20040192216A1 (en) 2003-03-31 2004-09-30 Marzetta Thomas Louis Training for MIMO communication systems
JP4490368B2 (ja) 2003-04-21 2010-06-23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070230431A1 (en) * 2003-06-30 2007-10-04 Bas Dries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ackwards Compatible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ing Fmd-Based Preamble Structures
JP4536435B2 (ja) * 2003-06-30 2010-09-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
EP1639776B1 (en) * 2003-06-30 2015-08-26 Agere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backwards compatible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ime orthogonal symbols
JP4323985B2 (ja) 2003-08-07 2009-09-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KR100950646B1 (ko) * 2003-10-16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입다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통신 시스템의 동기화를위한 프리앰블 전송 방법
US7616698B2 (en) * 2003-11-04 2009-11-10 Atheros Communications, Inc.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system and method
JP4212548B2 (ja) 2003-12-26 2009-01-21 株式会社東芝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無線送信方法及び無線受信方法
CA2552093A1 (en) 2003-12-30 2005-07-21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magnetic field evaluation
US8194771B2 (en) * 2004-01-27 2012-06-05 Agere Systems Inc.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TWI253811B (en) * 2004-01-28 2006-04-21 Sanyo Electric Co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recep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7457232B2 (en) * 2004-02-04 2008-11-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requency switched preamble design to minimize channel estimation time in MIMO communications systems
US7423989B2 (en) 2004-02-13 2008-09-09 Broadcom Corporation Preamble formats f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7586881B2 (en) * 2004-02-13 2009-09-08 Broadcom Corporation MIMO wireless communication greenfield preamble formats
US7444134B2 (en) * 2004-02-13 2008-10-28 Broadcom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long training sequen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0798968B1 (ko) * 2004-03-13 2008-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7551589B2 (en) 2004-04-02 2009-06-23 Lg Electronics Inc. Frame structure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channel in MIMO communication system
WO2005117314A1 (en) * 2004-05-20 2005-12-08 Conexant Systems, Inc. Cyclic diversity systems and methods
US8089855B2 (en) * 2004-06-04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overhead information for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6002310A2 (en) * 2004-06-22 2006-01-05 Conexant Systems, Inc. Legacy compatible spatial multiplexing systems and methods
WO2006000091A1 (en) * 2004-06-24 2006-01-05 Nortel Networks Limited Preambles in ofdma system
US7773535B2 (en) * 2004-08-12 2010-08-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ed loop transmission
JP4364100B2 (ja) 2004-09-28 2009-11-1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7436903B2 (en) * 2004-09-29 2008-10-14 Intel Corporation Multicarri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 data streams with cyclic delay diversity
JP4065276B2 (ja) * 2004-11-12 2008-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送信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無線装置
JP2006178042A (ja) 2004-12-21 2006-07-06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US20060227891A1 (en) * 2005-04-07 2006-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hannel estimation for MIMO-OFDM using phase rotated low overhead preamble
US8014463B2 (en) * 2005-05-25 2011-09-06 Qualcomm Incorporated Delay diversity and spatial rotation systems and methods
US7738356B2 (en) * 2005-06-28 2010-06-15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stream cyclic-shifted delay transmitter
US7742390B2 (en) * 2005-08-23 2010-06-22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long preamble formats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JP4841331B2 (ja) * 2005-09-14 2011-12-21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
JP3989512B2 (ja) 2005-09-15 2007-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JP4881796B2 (ja) 2007-06-08 2012-02-22 日立アロカメディカル株式会社 X線ct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4655A1 (en) 2004-01-28 2005-07-28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signals, and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0030B (zh) 2015-09-09
EP1925104A1 (en) 2008-05-28
JP2012050123A (ja) 2012-03-08
JP4290210B2 (ja) 2009-07-01
JP4290220B2 (ja) 2009-07-01
JP2009105968A (ja) 2009-05-14
KR20090115823A (ko) 2009-11-06
KR100937802B1 (ko) 2010-01-20
JP2007082189A (ja) 2007-03-29
JP4884488B2 (ja) 2012-02-29
EP1925104B1 (en) 2010-12-29
US20070058522A1 (en) 2007-03-15
US20110170485A1 (en) 2011-07-14
JP2009055642A (ja) 2009-03-12
CN101107792A (zh) 2008-01-16
TWI499233B (zh) 2015-09-01
US20130128818A1 (en) 2013-05-23
US8380141B2 (en) 2013-02-19
JP5361972B2 (ja) 2013-12-04
CN103220030A (zh) 2013-07-24
US7899413B2 (en) 2011-03-01
JP2009027752A (ja) 2009-02-05
TW200718105A (en) 2007-05-01
TWI422176B (zh) 2014-01-01
US8976732B2 (en) 2015-03-10
JP4290218B2 (ja) 2009-07-01
JP2007236000A (ja) 2007-09-13
WO2007032413A1 (en) 2007-03-22
DE602006019279D1 (de) 2011-02-10
JP3989512B2 (ja) 2007-10-10
CN101107792B (zh) 2013-01-23
TW201419782A (zh) 2014-05-16
KR20080007514A (ko)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122B1 (ko) 무선 장치
JP4841333B2 (ja)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
JP5282119B2 (ja) 送信方法および無線装置
JP4974641B2 (ja) 無線装置
JP4922680B2 (ja)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
US7551611B2 (en) Radio apparatus
WO2007034725A1 (en) Radio apparatus
JP4841331B2 (ja)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
JP5026005B2 (ja) 無線装置
JP4591969B2 (ja) 通信方法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無線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593435B2 (ja) 送信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れ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