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004B1 -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 Google Patents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004B1
KR101124004B1 KR1020100133387A KR20100133387A KR101124004B1 KR 101124004 B1 KR101124004 B1 KR 101124004B1 KR 1020100133387 A KR1020100133387 A KR 1020100133387A KR 20100133387 A KR20100133387 A KR 20100133387A KR 101124004 B1 KR101124004 B1 KR 101124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implant
crown
alveolar bone
crow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10013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과; 상기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 사이에 일체로 고정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브리지 크라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리지 크라운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는 치조골에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기 위한 접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임플란트 시술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손상된 다수의 치아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고, 또한 브리지 크라운의 접합 돌기가 접착제를 통해 치조골에 고정됨으로써, 브리지 크라운이 양측의 임플란트 크라운과 하측의 치조골에 의해 함께 지지될 수 있어서, 브리지 크라운이 이탈될 염려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노인들의 경우와 같이 연속적으로 손상된 다수의 치아가 손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남아있는 치아를 브리지의 지대치로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더욱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Prosthesis structure for bridge implant}
본 발명은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보철 방식으로 치조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과, 상기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 사이에 일체로 고정 연결되는 다수의 브리지 크라운을 치조골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특히 노인들에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정상인의 경우 성장함에 따라 유치가 영구치로 교체되면서 일생을 영구치를 이용하여 음식물 분해 등의 구강활동, 정확한 발음 구현, 외형상의 심미감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영구치에 충치나 잇몸질환 등의 각종 구강질환에 의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손상된 치아가 발생될 경우 음식물 섭취가 대단히 불편하거나 정확한 발음을 구현하기 힘들고, 타인에게 미관상 좋지 않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어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많은 장애 요소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치아 손상은 노인들에게 더욱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손상된 치아를 치료, 복원하기 위해 인공 치아로 이루어지는 보철물을 이용하여 시술함으로써, 치아가 손상된 환자 또는 노인으로 하여금 저작기능을 회복하여 음식물 섭취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심미적 안정감과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손상된 치아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는 임플란트와 브리지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일 예로, 충치나 약해진 치아를 감싸주어 상실된 치아 부위를 수복하기 위해, 손상된 치아의 양측에 위치한 자연 치아와 동일한 형태의 캡을 일체로 구비하고, 그 상방에 덮어 씌우듯 끼우는 방식을 일명 크라운 브리지(crown & bridge)라 한다. 이와 같은 크라운 브리지 방식의 인공 치아를 이용한 보철물 시술은 양측의 지대치를 윗면 1~2mm, 측면 0.5~2mm 정도를 강제로 삭제한 후 인상(impression)을 체득한 상태에서, 자연 치아와 같은 형태 및 색조를 제공하는 치과용 세라믹 또는 아크릴수지로 전장하여 주조 형성된 금관 형태의 크라운 브리지 보철물을 얻은 후, 결손된 손상 치아 양 측면에 위치하는 지대치에 덮어 씌우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술방법은 시술의 간편함과 저렴한 비용으로 시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크라운 브리지 보철물이 덮여지는 부위만큼 자연 치아를 전체적으로 삭제해야 하므로, 그 시술과정에서 치아의 신경을 훼손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시술과정 동안 환자에게 고통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삭제된 치아의 신경이 훼손되거나 정상적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은 물론, 크라운 브리지가 덮여진 상태에서 오랫동안 보철물을 사용하다 보면 그 사이로 이물질 등이 끼게 되고, 삭제된 자연 치아를 둘러싸는 치관에 틈이 발생되어 충치로 전이되므로, 자연 치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브리지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임플란트(implants)라는 나사를 턱뼈 속에 심어 보철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 (dental implants)는 치과용 보철물을 치과 환자의 하악골 또는 상악골에 있는 치조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임플란트가 지정된 장소에 체결된 후 설치대는 제거되고 폐기되며, 덮개 볼트가 임플란트의 상면에 부착되고, 지정된 부위를 감싸고 있는 골조직은 수개월 동안 임플란트로 성장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임플란트는 골조직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변의 골조직이 임플란트에 충분히 융착되면, 덮개 볼트는 제거하고 인상 코핑이 임플란트에 부착되는데, 임플란트와 인근 치아의 인상(impression)을 뜨고 임플란트 부위를 감싸고 있는 환자 입 부위 모델로 인상을 사용해서 치과용 보철물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치과용 보철물은 여타의 부착수단에 의해 지대치에 부착되어지는 바, 상기 지대치는 임플란트에 치과용 보철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플랫폼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브리지는 2개의 정상적인 자연 치아 사이에 1개의 치아가 손상된 경우에 이용되고, 임플란트는 독립적으로 1개 또는 다수의 손상된 치아를 대체할 수 있는 치료 수단이다.
그러나 상기 브리지는 다수의 치아가 연속적으로 손상된 경우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치아를 모두 대체하게 되면 그 치료 비용과 기간이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노인들의 경우에는 다수의 치아가 연속적으로 손상된 경우가 많아서 종래와 같이 일괄적으로 모든 치아에 임플란트를 적용하면 비용 부담이 일반인에 비해 더욱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인들의 경우 일부 남아있는 치아라고 해도 비정상 치아일 확률이 높아서, 남아있는 치아를 지대치로 하는 브리지를 적용하기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손상된 다수의 치아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하는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과; 상기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 사이에 일체로 고정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브리지 크라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리지 크라운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는 치조골에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기 위한 접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 크라운이 치조골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접합 돌기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리지 크라운이 치조골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접합 돌기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합 돌기는, 브리지 크라운과 동일한 성분의 몸체 외주면에 ZrO2 또는 Al2O3 재질로 도금되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성분이 표면에 코팅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에 의하면, 고가의 임플란트 시술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손상된 다수의 치아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리지 크라운의 접합 돌기가 접착제를 통해 치조골에 고정됨으로써, 브리지 크라운이 양측의 임플란트 크라운과 하측의 치조골에 의해 함께 지지될 수 있어서, 브리지 크라운이 이탈될 염려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노인들의 경우와 같이 연속적으로 손상된 다수의 치아가 손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남아있는 치아를 브리지의 지대치로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더욱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이 적용된 구강 구조를 나타내는 사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의 접합 돌기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의 접합 돌기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이 적용된 구강 구조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는, 임플란트 보철 방식으로 치조골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10)과, 상기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10) 사이에 일체로 고정 연결되는 다수의 브리지 크라운(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임플란트 크라운(10)은 일반적인 임플란트 보철 방식으로 치조골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 크라운(10)의 내부에는 어버트먼트(12)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어버트먼트(12)는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14)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임플란트 크라운(10)은 치조골에 고정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임플란트 크라운(10)을 치조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식으로는, 치아가 상실된 위치의 치조골 내에 픽스처(14)를 식립하고, 픽스처(14)의 상부에 어버트먼트(12)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견고히 고정한 후, 치과용 시멘트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12)에 임플란트 크라운(10)을 고정시키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어버트먼트(12)가 임플란트 크라운(10)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12)를 픽스처(14)에 결합시키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보철 방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10)이 양측 단부에 위치하고, 그 사이에 브리지 크라운(20)이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양측 단부에서 기둥 역할을 하기 위해 배치되는 임플란트 크라운(10)은 상기에서 설명한 임플란트 보철 방식으로 치조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10) 사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브리지 크라운(20)이 일체로 고정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양측 단부에 배치된 임플한트 크라운(10)만 치조골에 결합되어 기둥 역할을 하고, 중간에 위치하는 다수의 브리지 크라운(20)들이 모두 단순히 잇몸에 접촉하기만 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서 브리지 크라운(20)과 임플란트 크라운(10) 사이의 고정 결합이 깨지면서 브리지 크라운(20)이 손상되어 외부로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브리지 크라운(20)들이 오로지 양 측방에 결합된 임플란트 크라운(10)에만 의지하기 때문에, 치아에 대한 외부 충격 또는 반복적인 저작 작용으로 인해 브리지 크라운(20)과 임플란트 크라운(10)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양 측방의 임플란트 크라운(10)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는 브리지 크라운(20)은 더 이상 치아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10) 사이에 위치하는 브리지 크라운(20)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 치조골에 결합되기 위한 접합 돌기(30)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브리지 크라운(20)이 위치하는 잇몸 하단의 치조골에 상기 접합 돌기(30)가 삽입될 수 있는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고, 생체 적합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접합 돌기(30)를 치조골 홈에 결합시킨다.
이로써 양 측단의 임플란트 크라운(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픽스처(14)와 함께, 중심부의 브리지 크라운(20)을 지지하는 접합 돌기(30)가 기둥 역할을 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크라운(10, 20)이 모두 치조골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리지 크라운(20)의 접합 돌기(30)를 치조골에 접합시키는 접착제로는 금속 또는 세라믹, 인공 뼈 등을 신체의 자연 뼈에 부작용 없이 접합시킬 수 있는 생체 적합성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생체 적합성 접착제로는 자연산 홍합에서 채취되는 자연산 홍합 본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연산 홍합 본드 접착제는 자연산 홍합에서 채취되는 홍합 본드를 대장균에 이식하여 생산하는 것으로, 생체 접합성이 우수하여 신체의 자연 뼈에 매우 잘 부착되는 물질이다. 이외에도 상기 접착제로는 공지 기술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생체 적합성 물질들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브리지 크라운(20)의 접합 돌기(30)가 치조골에 결합되어 있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접착제의 접합력이 저하되면서 접합 돌기(30)가 치조골에서 임의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3 및 도 4, 그리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의 접합 돌기 구조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의 접합 돌기(30) 구조는, 상기 접합 돌기(30)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32)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브리지 크라운(20)이 치조골에서 분리되지 않게 구성된다.
즉, 접착제에 의해 브리지 크라운(20)의 접합 돌기(30)가 치조골에 결합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제 성분이 자연 분해되어 사라지면, 접합 돌기(30) 주위의 치조골이 성장하여 접합 돌기(30)에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걸림턱(32)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접합 돌기(30)의 하단부를 제외하고, 접합 돌기(30)의 나머지 부분에는 치조골이 성장하여 접합 돌기(30)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돌기(30)의 걸림턱(32)이 치조골 내부에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접착제 성분이 모두 사라지더라도 접합 돌기(30)가 치조골에서 분리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의 접합 돌기(30) 구조는, 상기 접합 돌기(30)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34)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리지 크라운(20)이 치조골에서 분리되지 않게 구성된다.
즉, 접착제에 의해 브리지 크라운(20)의 접합 돌기(30)가 치조골에 결합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제 성분이 자연 분해되어 사라지면, 접합 돌기(30) 주위의 치조골이 성장하여 접합 돌기(30)에 맞물리게 된다. 결국,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이 성장하면서 접합 돌기(30)의 걸림홈(34) 내부로 삽입되어 걸리게 됨으로써, 접착제 성분이 모두 사라지더라도 접합 돌기(30)가 치조골에서 분리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합 돌기(30)는 치조골에 결합되므로 신체의 자연 뼈에 영향을 주지않고, 생체 내에서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동시에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크라운(20)의 접합 돌기(30)는 브리지 크라운(20)과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외주면에 ZrO2 또는 Al2O3 재질로 도금되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성분이 표면에 최종적으로 코팅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돌기(30)의 외부에 도금되는 ZrO2 또는 Al2O3 재질은 내 부식성이 강하여 생체 내에서 부식될 염려가 적으면서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제공하고, 특히 표면에 코팅되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성분은 자연 뼈와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임플란트 크라운 12; 어버트먼트
14; 픽스처 20; 브리지 크라운
30; 접합 돌기 32; 걸림턱
34; 걸림홈

Claims (4)

  1.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처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어버트먼트가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과;
    상기 한 쌍의 임플란트 크라운 사이에 일체로 고정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브리지 크라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리지 크라운 중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는 치조골에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기 위한 접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크라운이 치조골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접합 돌기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크라운이 치조골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접합 돌기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돌기는, 브리지 크라운과 동일한 성분의 몸체 외주면에 ZrO2 또는 Al2O3 재질로 도금되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성분이 표면에 코팅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KR1020100133387A 2010-12-23 2010-12-23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KR101124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387A KR101124004B1 (ko) 2010-12-23 2010-12-23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387A KR101124004B1 (ko) 2010-12-23 2010-12-23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4004B1 true KR101124004B1 (ko) 2012-03-23

Family

ID=4614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387A KR101124004B1 (ko) 2010-12-23 2010-12-23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0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174A (ko) * 1996-06-27 2000-04-25 퍼-잉파르 브라네마르크 치아 보철물 장치, 이 치아 보철물 장치용 부품및 사용 방법
KR20010023836A (ko) * 1997-09-12 2001-03-26 레나르트 태퀴스트 치과용 세라믹 인공 브릿지의 제조 방법
KR20060026002A (ko) * 2002-12-27 2006-03-22 버나드 와이즈만 제거 및 조절 가능한 영구 의치 및 브리지의 향상된구성요소
KR20080027319A (ko) * 2008-03-07 2008-03-26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및 그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174A (ko) * 1996-06-27 2000-04-25 퍼-잉파르 브라네마르크 치아 보철물 장치, 이 치아 보철물 장치용 부품및 사용 방법
KR20010023836A (ko) * 1997-09-12 2001-03-26 레나르트 태퀴스트 치과용 세라믹 인공 브릿지의 제조 방법
KR20060026002A (ko) * 2002-12-27 2006-03-22 버나드 와이즈만 제거 및 조절 가능한 영구 의치 및 브리지의 향상된구성요소
KR20080027319A (ko) * 2008-03-07 2008-03-26 권오달 치과용 보철물 및 그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dersson et al. A new Brånemark single tooth abutment: handling and early clinical experiences.
US8540512B2 (en) Dental implant system
JP2626670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スペーサ
US9675434B2 (en) Dental bridge
KR100898726B1 (ko) 임플란트의 맞춤 어버트먼트 구조
US20110272554A1 (en) Mould for chairside casting of light cured composite (or other dental material) abutments onto mini dental implants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US20090202963A1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KR100407796B1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
JP2009082171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アバットメント
EP0786966B1 (en) Support post for use in dental implant system
US1080654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JP4338882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義歯の固定基盤
KR200388933Y1 (ko) 연조직의 깊이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런트
KR100953438B1 (ko) 멀티 임플란트
KR2010001296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JP6432911B2 (ja) 1つまたは複数の外側環状体を備えたマウントエレメントを有する単一部分または複数部分から成る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KR10143554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의 지대주와 크라운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101124004B1 (ko) 브리지 임플란트용 보철물 구조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JPH07184933A (ja) 人工歯根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KR200242258Y1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