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644B1 -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644B1
KR101123644B1 KR1020100003232A KR20100003232A KR101123644B1 KR 101123644 B1 KR101123644 B1 KR 101123644B1 KR 1020100003232 A KR1020100003232 A KR 1020100003232A KR 20100003232 A KR20100003232 A KR 20100003232A KR 101123644 B1 KR101123644 B1 KR 10112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titanium dioxide
minutes
present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162A (ko
Inventor
성아영
김태훈
예기훈
Original Assignee
뉴바이오 (주)
대불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바이오 (주), 대불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뉴바이오 (주)
Priority to KR102010000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644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8Means for stabilising the orientation of lenses in the ey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티타늄(TiO2) 4~6중량%,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0.1~1.0중량% 및 잔부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0.1~0.3중량%를 넣어 배합한 후 몰드에 주입시키고 진공 오븐을 이용하여 68~73℃에서 35~45분, 78~83℃에서 35~45분, 98~105℃에서 35~45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시키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Contact lens comprising titanium diox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력이 나쁜 사람은 외부의 물체를 보다 선명하게 보기 위해 안경을 많이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안경은 운동시 불편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안경이 파손되는 경우 눈의 손상이 심각하며, 타인이 보기에 미관상 좋지 않게 보는 면이 많아 특히 미적 감각을 우선하는 여성들로부터 많은 외면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많은 이유로 인해 안경 이외에 외부의 물체를 보다 선명히 할 수 있는 것을 개발하고자 안구(眼球)의 전면에 렌즈를 직접 콘택트(密着)시켜 좋은 시력을 얻고자 하는 콘택트렌즈(contact lens)가 탄생하게 되었다.
현재 대부분 사용되는 콘택트렌즈는 각막과 공막(鞏膜:검은 눈동자와 그 주위의 흰 부분)에 장착하는 공각막(鞏角膜)렌즈와 각막부에 장착하는 각막렌즈가 있다. 공각막렌즈는 밀리거나 탈락하는 일이 없지만 장시간 착용하면 각막이나 공막을 상하게 하는 일이 있으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각막렌즈가 사용된다.
콘택트렌즈가 사용되는 경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주로 의학, 직업, 미용 등의 이유로 사용이 많이 되고 있다. 의학적으로는 콘택트렌즈가 아니면 시력이 충분히 교정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즉 굴절이상(屈折異常), 특히 심한 근시?난시(亂視)?부동시(不同視:좌우 눈의 굴절도의 차가 큰 것)를 비롯하여 무수정체증(無水晶體症:수술 등으로 눈 속의 렌즈를 제거한 것)이나 각막의 표면에 요철(凹凸)이 있을 때, 원추각막(圓錐角膜:각막이 원추형으로 변형된 것) 등이다. 직업상은 안경이 흐리거나 직업상 안경의 착용이 위험한 경우에 사용되며, 미용적으로는 안경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사람, 또 의안(義眼)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콘택트렌즈가 안경에 비해 좋은점은 항상 시선과 렌즈의 광축(光軸)이 일치하므로 수차(收差)가 없는 점, 좌우의 굴절도가 달라서 망막상(網膜像)의 크기에 차이가 없어 물체가 이중으로 보이거나 일그러져 보이는 일이 없으므로 시야가 넓은 점, 각막 표면에 요철이나 엷은 혼탁이 있어도 난반사(亂反射)가 없어지고 시력이 좋아지는 점, 렌즈의 착용을 겉보기로는 모른다는 점 등이다. 이에 반해 단점으로는 특별한 알레르기, 극도의 신경질, 손재주가 없는 사람에게는 부적당한 점과, 일정한 착용조건을 지켜서 사용해야 하며, 익숙할 때까지 다소 이물감(異物感)이나 충혈 등이 있다. 또 눈병, 각막?결막?공막?안검(眼瞼)의 질병, 홍채염(虹彩炎)이나 모양체염(毛樣體炎) 등이 있는 경우는 사용하면 안 된다. 처음 사용할 때는 안과의사의 정밀검사를 받아 착용하고, 눈병의 유무도 잘 조사해야 한다.
콘택트렌즈의 종류는 여러 가지 분류에 따라 나뉠 수 있는데 이중 만드는 재질에 따라 하드렌즈와 소프트렌즈로 구분된다. 하드렌즈는 소프트렌즈에 비하여 안전성이 높고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난시가 심하거나 불규칙한 각막환자의 시력교정에 좋다. 소프트렌즈는 친수성의 특징을 지니며, 하드렌즈에 비하여 렌즈가 닿을 때 느끼는 이물감이나 각막의 압박이 적다. 이외에도 착용기간에 따라 매일착용 렌즈와 연속착용 렌즈, 일회용 렌즈로 구분된다. 또 사용목적에 따라 굴절이상 교정렌즈, 난시렌즈, 노안렌즈, 미용칼라 소프트렌즈, 미용홍채 소프트렌즈, 라식RGP렌즈, 자외선 차단 렌즈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특허 제0741611호는 실리콘을 포함한 우레탄 친수성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우레탄, N-비닐-피롤리돈,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로 하여 구성된 중합체를 포함하도록 하여 함수율 및 광투과성이 좋은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특허 제0557679호는 4차암모늄의 공중합에 의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일반 콘택트렌즈 재질에 살균제나 단백질제거제용액으로 항균성이 우수한 4차암모늄 (Quaternary ammonium group)의 공중합에 의한 콘택즈렌즈를 제공함으로써,빛 투과성, 투명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강한 항균성이 있는 렌즈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HEMA(hydroxy ethylmethacrylate), MMA(methylmetacrylate), MA(methacrylate), NVP(N-vinyl-pyroridon)는 통상의 콘텍즈렌즈 혼합비율로 혼합하며, 개시제(nitiator)이자 산화제인 AIBN(azobisiso buthylnitrile)은 모노머 총무게의 0.1%wt 혼합 후, 1중량% 이하의 4차암모늄염을 넣고, 잘 혼합하여 60℃ 열 중탕에서 약 1시간 중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4차암모늄의 공중합에 의한 콘택트렌즈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선행기술들과는 기술적 구성이 서로 상이한 발명이다.
한국특허제0741611호 한국특허제05576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 4~6중량%,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0.1~1.0중량% 및 잔부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0.1~0.3중량%를 넣어 배합한 후 몰드에 주입시키고 진공 오븐을 이용하여 68~73℃에서 35~45분, 78~83℃에서 35~45분, 98~105℃에서 35~45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시키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투과율(Optical transmittance),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우수하고,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투과율,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우수하고,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TO)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와 비교예(Blank)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Optical transmittanc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도록 하여 광투과율(Optical transmittance)이 우수하고,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TiO2),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전체 중량 대비 이산화티타늄(TiO2) 4~6중량%,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0.1~1.0중량% 및 잔부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전체 중량 대비 이산화티타늄(TiO2) 4.77중량%,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0.45중량% 및 잔부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94.78중량%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제조시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소재로서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에서 이산화티타늄을 콘택트렌즈 전체 중량 대비 4중량% 미만 사용하면 콘택트렌즈에서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고, 6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뚜렷한 자외선 차단 효과의 상승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에서 이산화티타늄은 콘택트렌즈 전체 중량 대비 4~6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TiO2)을 포함하도록 하여 광투과율(Optical transmittance)이 우수하고,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티타늄(TiO2) 4~6중량%,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0.1~1.0중량% 및 잔부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0.1~0.3중량%를 넣어 배합한 후 몰드에 주입시키고 진공 오븐을 이용하여 68~73℃에서 35~45분, 78~83℃에서 35~45분, 98~105℃에서 35~45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시키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티타늄(TiO2) 4.77중량%,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0.45중량%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94.78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0.1중량%를 넣어 배합한 후 몰드에 주입시키고 진공 오븐을 이용하여 70℃에서 40분, 80℃에서 40분 및 10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시키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제조시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소재로서 이산화티타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제조시 이산화티타늄을 콘택트렌즈 전체 중량 대비 4중량% 미만 사용하면 콘택트렌즈에서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고, 6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뚜렷한 자외선 차단 효과의 상승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에서 이산화티타늄은 콘택트렌즈 전체 중량 대비 4~6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제조시 콘택트렌즈 재료인 이산화티타늄,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배합한 후 몰드에 주입시키고 진공 오븐을 이용하여 68~73℃에서 35~45분, 78~83℃에서 35~45분, 98~105℃에서 35~45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시, 바람직하게는 70℃에서 40분, 80℃에서 40분 및 10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제조시 상기 3단계의 가열 공정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즉,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제조시 콘택트렌즈 재료를 처음부터 너무 높은 온도에서 중합하였을 시 콘택트렌즈의 기포 발생으로 불량 제품을 초래 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해 서서히 온도를 순차적으로 높였으며, 중합된 렌즈의 열처리 공정으로 마지막 98~105℃에서 35~45분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40분 가열하여 안정된 콘택트렌즈를 제조 하였습니다. 다양한 조건에 의해 콘택트렌즈 재료의 중합시 가열조건을 측정한바, 콘택트렌즈 재료를 중합시 상기에서 언급한 가열조건이 가장 이상적이었다.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94.78중량%에 교차결합제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0.45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4.77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표 1 참조).
상기의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0.1중량%를 넣어 배합한 후 몰드에 주입시키고 진공 오븐을 이용하여 70℃에서 40분, 80℃에서 40분 및 10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시켜 무새개의 고분자인 콘택트렌즈(TO로 약칭)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99.54중량%에 교차결합제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0.45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표 1 참조).
상기의 혼합물에 중합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0.1중량%를 넣어 배합한 후 몰드에 주입시키고 진공 오븐을 이용하여 80℃에서 120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시켜 콘택트렌즈(Blank로 약칭)를 제조하였다.
항목 HEMA EGDMA TiO2
비교예(Blank) 99.54 0.46 -
실시예(TO) 94.78 0.45 4.77
<시험예 1> 굴절률 및 함수율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콘택트렌즈의 굴절률(Refractive index)은 ATAGO NAR 1T(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hydrated material refractive index(nwet), dry material refractive index(ndry) 및 standard saline solution(ISO 18369-3) refractive index(nstd)값들을 각각 4회 측정 후 이들의 평균값을 각각 표 2,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콘택트렌즈의 함수율(water content)을 측정하기 위해 ISO 18369-4:2006, Ophthalmic optics - Contact lenses - Part 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ntact lens materials의 국제규격 내용 중 refractive index method에 근거하여 아래 식(1)을 통해 계산하고 4회 측정 후 이들의 평균값을 각각 표 2,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02303654-pat00001
......식(1)
하기 표 2에 기재한 실시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굴절율 및 함수율과 하기 표 3에 기재한 비교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굴절율 및 함수율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표 2에서 이산화티타늄(TiO2)를 첨가한 실시예(TO)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굴절율 ndry는 1.507, nwet은 1.432로 나타났으며, 함수율(Water content)의 평균값은 43.09%로 나타났다.
표 3에서 비교예(Blank)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굴절율은 실시예의 콘택트렌즈와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함수율은 실시예의 콘택트렌즈보다 다소 낮았다.
샘플(Sample)
Refractive index Water content
dry wet
TO-1 1.507 1.433 42.53
TO-1 1.507 1.433 42.53
TO-3 1.506 1.430 43.93
TO-4 1.506 1.431 43.35
평균(avg.) 1.507 1.432 43.09
샘플(Sample)
Refractive index Water content
dry wet
Blank-1 1.501 1.434 39.88
Blank-2 1.501 1.435 39.29
Blank-3 1.500 1.434 39.52
Blank-4 1.501 1.434 39.88
평균(avg.) 1.501 1.434 39.64
<시험예 2> 광투과율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Optical transmittance)은 TOPCON TM.
Figure 112010002303654-pat00002
및 Hitachi Model U-4001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였으며, 가시광선 및 UV-A, UV-B 영역에 대한 각각의 값들을 측정하였다.
특정 파장 λ1에서 λ2까지의 평균 투과율(τ)은 아래 식(2)를 사용하여 적분 값을 계산한 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광투과율과 시감투과율은 제조된 콘택트렌즈를 0.9%의 염화나트륨 생리 식염수에 24시간 동안 수화시킨 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0002303654-pat00003
......식(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콘택트렌즈들에 대한 광투과율의 측정값을 아래의 표 4 및 도 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비교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와 실시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을 비교해 볼 때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UV-B 파장 영역인 280~315nm와 UV-A 파장 영역인 315~400nm에서 모두 TO가 더 낮은 투과율을 보였다.
상기 식(2)에 의해 계산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 대한 광투과율의 경우 비교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Blank)는 UV-B 파장에서 89%, UV-A 파장에서 88%를 나타내었고, 실시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TO)는 UV-B 파장에서 6%, UV-A 파장에서 51%를 나타내고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는 비교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 비해 자외선 차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가시광선 영역인 400~750nm에서는 비교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Blank)와 실시예에서 제조한 콘택트렌즈(TO)가 각각 89%와 81%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콘택트렌즈의 가시광선 투과율에 적합한 측정값을 보였다(표 4 참조).
항목 UV-B UV-A visible
비교예(Blank) 89% 88% 89%
실시예(TO) 6% 51% 8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는 콘택트렌즈에 적합한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한편, 자외선 차단에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시력이 나쁜면서 자외선에 영향을 받는 사람에게 적합한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콘택트렌즈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티타늄(TiO2) 4~6중량%,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0.1~1.0중량% 및 잔부의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0.1~0.3중량%를 넣어 배합한 후 몰드에 주입시키고 진공 오븐을 이용하여 68~73℃에서 35~45분, 78~83℃에서 35~45분, 98~105℃에서 35~45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이산화티타늄(TiO2) 4.77중량%,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0.45중량% 및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94.78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을 상기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0.1중량%를 넣어 배합한 후 몰드에 주입시키고 진공 오븐을 이용하여 70℃에서 40분, 80℃에서 40분 및 100℃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여 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1020100003232A 2010-01-13 2010-01-13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232A KR101123644B1 (ko) 2010-01-13 2010-01-13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232A KR101123644B1 (ko) 2010-01-13 2010-01-13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162A KR20110083162A (ko) 2011-07-20
KR101123644B1 true KR101123644B1 (ko) 2012-03-20

Family

ID=4492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232A KR101123644B1 (ko) 2010-01-13 2010-01-13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6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23B1 (ko) 2016-12-29 2018-06-01 뉴바이오(주) 공중합된 친수성 터폴리머와 실리콘을 포함한 하이드로겔 콘택즈렌즈 조성물
KR20190118790A (ko) 2018-04-11 2019-10-21 뉴바이오 (주) 친수성 터폴리머와 실리콘을 공중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89843A (ko) 2019-01-18 2020-07-28 뉴바이오 (주) 생체적합소재를 포함하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581A (ko) * 2007-01-31 2009-10-09 노파르티스 아게 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균성 의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581A (ko) * 2007-01-31 2009-10-09 노파르티스 아게 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균성 의료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화학회지 vol. 53, no. 3, pp. 391-394, 2009
대한화학회지 vol. 53, no. 6, pp. 819-823, 200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23B1 (ko) 2016-12-29 2018-06-01 뉴바이오(주) 공중합된 친수성 터폴리머와 실리콘을 포함한 하이드로겔 콘택즈렌즈 조성물
KR20190118790A (ko) 2018-04-11 2019-10-21 뉴바이오 (주) 친수성 터폴리머와 실리콘을 공중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89843A (ko) 2019-01-18 2020-07-28 뉴바이오 (주) 생체적합소재를 포함하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162A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ncent et al. Optical considerations for scleral contact lenses: A review
KR101227340B1 (ko) 안과용 렌즈 및 조절 오차의 저감
KR101196168B1 (ko) 작은 광학 구역을 갖는 콘택트 렌즈 및 관련 방법
KR20160026725A (ko)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자유 형태 렌즈 설계 및 방법
KR20160026773A (ko)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마스크 렌즈 설계 및 방법
TW200905250A (en)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sion and for producing multifocal contact lenses
KR20100017229A (ko) 근시 진행의 예방을 위한 안과 렌즈
KR20160026781A (ko)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다초점 렌즈 설계 및 방법
KR20160022774A (ko)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동공 크기-무관형 렌즈 설계 및 방법
KR20160022783A (ko) 근시 진행자들이 경험하는 시력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렌즈 설계 및 방법
JPH01204668A (ja) 青視症補正用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123644B1 (ko) 이산화티타늄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3643B1 (ko)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Efron et al. Tinted lenses
TWI663431B (zh) 隱形眼鏡產品
TW201818122A (zh) 利用瞳孔切趾法而具有改良的視覺效能及最小化光暈之隱形眼鏡
KR101963234B1 (ko)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솔비톨 용액중합체가 코팅된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CN115047650A (zh) 用于近视进展控制的眼科套件
Mosuela et al. Contact lenses: clinical evaluation, associated challenges and perspectives
KR101250995B1 (ko) 비닐애니솔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3605B1 (ko) 친수성 터폴리머와 실리콘을 공중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37489B1 (ko) 비닐페닐보로닉산을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Salavastru et al. Study of Myopia Correction Using Nanoporous Polymer Gas Permeable Contact Lenses.
TW202005964A (zh) 使用隱形眼鏡之系統及方法(一)
Cheng et al. Visual performance of silicone hydrogel daily disposable contact le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