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073B1 -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073B1
KR101122073B1 KR1020040047783A KR20040047783A KR101122073B1 KR 101122073 B1 KR101122073 B1 KR 101122073B1 KR 1020040047783 A KR1020040047783 A KR 1020040047783A KR 20040047783 A KR20040047783 A KR 20040047783A KR 101122073 B1 KR101122073 B1 KR 101122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fruit
turn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3239A (ko
Inventor
조인행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073B1/ko
Publication of KR2005012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6Outlets for discharging by over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마이컴이 오프된 상태에서 급수 에러 발생시 자동으로 시스템 전원을 공급하여 급수 에러에 따른 시스템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의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섬프(Sump)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 전원의 일단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 상기 전원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온/오프되는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어 과수(Overflow) 감지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과수 감지용 스위치; 상기 전원스위치 또는 과수 감지용 스위치가 온 되어 일정 정전압이 인가되면 시스템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시스템 전원이 과수 감지용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온 되면 배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전원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어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릴레이; 그리고, 상기 전원 릴레이와 직렬로 연결되어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수 펌프의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펌프 구동 스위치로 구성된다.
식기 세척기/과수(Overflow)/배수펌프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System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verflow of The Dish Washer}
도 1은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배수 펌프 결선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마이컴 50: 배수펌프
60: 전원 71: 과수 감지용 스위치
75: 정류회로 81: 전원 스위치
83: 전원 릴레이 85: 트라이악
90: 전원회로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스템 마이컴이 오프된 상태에서 급수 에러 발생시 자동으로 시스템 전원을 공급하여 급수 에러에 따른 시스템 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사 후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자동 세척하는 기기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의 구조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터브(Tub)(1)가 형성되고, 터브(1) 내부에 식기를 수납하는 상측 랙(10)과 하측 랙(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랙(10, 11)의 하측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하측 분사아암(8, 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1) 하면에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Sump)(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프(3) 내부에는 세척수를 여과하는 필터(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터브(1)의 하부에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섬프(3)의 하측 내부에 세척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순환펌프(5)에는 하측 분사아암(9)과 연결되는 하측 유로(6)와 상측 분사아암(8)과 연결되는 상측유로(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섬프(3)의 하부에 세척이 끝나면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배수펌프(12)가 설치되어 있고 세척을 위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수단(13)이 상기 섬프(3)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위 감지수단(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프(3)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플로우 미터(Flow Meter)(13a)와,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누수 감지수단(13b)과, 과수(Overflow)를 감지하기 위한 과수 감지수단(13c)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수 및 과수 감지수단(13b, 13c)은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로 인해 센서내의 물질이 부력을 받아 수면으로 뜨게 되면서 소정 수위에서 해당 스위치(SW 1, SW 2)를 온 시키게 되는데, 상기 누수 및 과수 감지수단(13b, 13c)의 스위치(SW 1, SW 2)가 온 되는 수위를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누수와 과수를 판단한다.
즉, 누수 감지용 스위치(SW 1)가 정상적인 행정 시점에 오프 상태이면 누수로 판단하고, 과수 감지용 스위치(SW 2)가 온 되면 과수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서, 과수시 시스템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구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양단에 배수펌프(12)가 직접 연결되어 구성되고, 전원의 일단과 배수펌프(12)의 일단 사이에 과수 감지용 스위치(SW 2)가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과수 감지용 스위치(SW 2)가 온 되면 시스템 마이컴의 제 어와는 상관없이 전원의 양단이 배수펌프(12)와 연결되어 배수펌프(12)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펌프(12)의 개방으로 인해 배수가 이루어지면서 과수 감지용 스위치(SW 2)가 다시 오프되고 이어 배수펌프(12)의 전원이 차단되어 배수를 중단하게 된다.
즉, 종래는 급수밸브의 고장이나 다른 이유로 인해 정상적인 급수가 아닌 과수가 발생했을 때 상기 과수 감지용 스위치(SW 2)가 온 되면서 배수 펌프(12)가 구동하여 강제 배수되는 결선상태를 갖는다.
특히, 시스템 마이컴이 오프된 상태(단, 전원코드 연결상태)에서 과수가 발생하게 되면 소프트웨어적으로 급수 에러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고 단지 회로 결선에 따라 배수 펌프의 온/오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기 때문에 펌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과수 감지용 스위치는 전원라인에 연결되어 과전류 상태에서 접점이 온/오프되기 때문에 스위치의 반복적인 온/오프로 인해 접점이 손상될 수 있으며, 채터링(Chattering)이 발생하여 화재의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마이컴이 오프된 상태에서 과수(Overflow) 발생시 시스템 전원을 자동으로 정상화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수 발생시 시스템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급수 에러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을 실행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급수 에러에 따른 회로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 수명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는 섬프(Sump)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 전원의 일단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 상기 전원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온/오프되는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어 과수(Overflow) 감지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과수 감지용 스위치; 상기 전원스위치 또는 과수 감지용 스위치가 온 되어 일정 정전압이 인가되면 시스템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시스템 전원이 과수 감지용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온 되면 배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전원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어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릴레이; 그리고, 상기 전원 릴레이와 직렬로 연결되어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수 펌프의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펌프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방법은, 섬프(Sump) 내의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와, 섬프 내의 과수(Overflow)를 감지하기 위한 과수 감지용 스위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에서,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의 명령 또는 과수 감지용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일정 정전압이 인가되면 시스템 전원을 자동으로 온 시키는 단계; 상기 과수 감지용 스위치의 신호를 읽어들여 상기 시스템 전원이 과수 감지용 스위치에 의해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전원이 과수 감지용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온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수 펌프를 구동시켜 기 설정시간 동안 배수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를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는 섬프(Sump)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50); 전원(60)의 일단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브릿지 정류회로(75); 상기 전원(60)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온/오프되는 전원 스위치(81); 상기 전원스위치(81)와 병렬로 연결되어 과수(Overflow) 감지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과수 감지용 스위치(71); 상기 전원스위치(81) 또는 과수 감지용 스위치(71)가 온 되어 일정 정전압이 인가되면 시스템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시스템 전원이 과수 감지용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온 되면 배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40); 상기 전원 스위치(81)와 병렬로 연결되어 마이컴(40)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릴레이(83); 그리고, 상기 전원 릴레이(83)와 직렬로 연결되어 마이컴(40)의 제 어에 따라 상기 배수 펌프(50)의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펌프 구동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 구동 스위치는 트라이악(Triac)(85)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전원(60)의 일단에는 브릿지 정류회로(75)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전원 스위치(8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 스위치(81)와 병렬로 전원 릴레이(83)가 연결되고, 과수 감지용 스위치(71) 또한 전원 스위치(81)와 병렬로 연결된다.
즉, 상기 과수 감지용 스위치(71), 전원 스위치(81), 전원 릴레이(83)의 각 일단은 전원(60)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수 펌프(50)의 구동을 스위칭하기 위한 트라이악(85)은 일단이 상기 전원 릴레이(83)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 펌프(50)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트라이악(85)의 제어라인은 마이컴(40)의 출력포트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펌프(50)는 일단이 전원(6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트라이악(85)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마이컴(40)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회로(90)는 상기 브릿지 정류회로(75)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40)은 과수 감지용 스위치(71)와 전원 스위치(81)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81)를 온 시키거나 섬프 내에 과수가 발생하여 과수 감지용 스위치(71)가 온 되면, 전원(60) 양단의 회로에 교류전원 이 흐르게 되고, 상기 전원(60)의 교류전원이 브릿지 정류회로(75)를 통해 정류된 후 전원회로(9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전원회로(90)는 마이컴(40)이 필요로 하는 정전압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마이컴(40)은 오프된 상태에서 정전압이 인가되면 시스템 전원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상기 전원 릴레이(83)를 온 시킨다. 상기 전원 릴레이(83)가 마이컴(40)의 제어에 따라 온 됨으로써 시스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40)은 전원 스위치(81)와 과수 감지용 스위치(71)의 스위칭 신호를 감지하여 시스템 전원이 어느 스위치에 의해 온되었는지 판단하게 된다.
상기 과수 감지용 스위치(71)가 온 상태이면 시스템 전원이 과수 감지용 스위치(71)에 의해 온되었다고 판단하고(현재 과수 상태임을 감지), 트라이악(85)을 일정시간 온 시켜 배수펌프(50)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마이컴(40)이 오프된 상태에서 일정 정전압(마이컴 구동전원)이 인가되면(S10), 전원 릴레이(83)를 온 시켜 시스템 전원을 정상화시킨다(S20).
그리고, 전원 스위치(81)와 과수 감지용 스위치(71)의 스위칭 신호를 읽어들여 시스템 전원이 어떤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상기 판단결과(S30), 전원 스위치(81)가 온 상태이고 과수 감지용 스위치 (71)가 오프상태이면 시스템 전원이 전원 스위치(81)에 의해 온 되었음을 판단하고 정상 운전상태를 유지한다(S40).
한편, 상기 전원 스위치(81)가 오프 상태이고 과수 감지용 스위치(71)가 온 상태이면, 시스템 전원이 과수 감지용 스위치(71)에 의해 온 되었음을 판단한다(S50). 즉, 현재 과수 상태임을 감지하여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트라이악(85)을 온 시켜 배수펌프(50)를 일정시간 구동시킨다(S60).
그리고, 배수가 완료된 후 다시 과수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상기 판단결과(S70), 과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배수펌프(50)의 구동을 중단하고(S80), 과수가 감지되면 배수펌프(50)를 계속 구동시킴과 아울러 급수 에러를 표시한다(S90).
따라서, 본 발명은 과수 감지용 스위치(71)를 기존의 전원 스위치(81)와 병렬로 회로 구성하여 시스템이 오프된 상태에서 과수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시스템 전원을 정상화한 후 배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식기 세척기의 시스템 마이컴이 오프된 상태에서 과수(Overflow) 발생시 시스템 전원을 자동으로 정상화할 수 있는 제어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과수 발생시 시스템 전원을 자동으로 정상화시켜 결선에 의한 배수 제어가 아닌 마이컴에 의한 제어를 통해 배수를 제어함으로써 회로의 과부하를 최소 화할 수 있다.
셋째, 급수 에러에 따른 회로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 수명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섬프(Sump)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
    전원의 일단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
    상기 전원의 타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온/오프되는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어 과수(Overflow) 감지 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과수 감지용 스위치;
    상기 전원스위치 또는 과수 감지용 스위치가 온 되어 일정 정전압이 인가되면 시스템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시스템 전원이 과수 감지용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온 되면 배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전원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어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시스템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릴레이; 그리고,
    상기 전원 릴레이와 직렬로 연결되어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수 펌프의 구동을 온/오프하기 위한 펌프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구동 스위치는 트라이악(Triac)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의 명령 또는 과수 감지용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일정 정전압이 인가되면 시스템 전원을 자동으로 온 시키는 단계;
    상기 과수 감지용 스위치의 신호를 읽어들여 상기 시스템 전원이 과수 감지용 스위치에 의해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전원이 과수 감지용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온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수 펌프를 구동시켜 기 설정시간 동안 배수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완료 후 과수 감지용 스위치를 통해 다시 과수가 감지되면 상기 배수 펌프를 구동시키고 급수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040047783A 2004-06-24 2004-06-24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101122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783A KR101122073B1 (ko) 2004-06-24 2004-06-24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783A KR101122073B1 (ko) 2004-06-24 2004-06-24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239A KR20050123239A (ko) 2005-12-29
KR101122073B1 true KR101122073B1 (ko) 2012-03-16

Family

ID=3729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783A KR101122073B1 (ko) 2004-06-24 2004-06-24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0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567A (ja) * 2000-08-25 2002-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JP3293256B2 (ja) * 1993-08-30 2002-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3256B2 (ja) * 1993-08-30 2002-06-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2002065567A (ja) * 2000-08-25 2002-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239A (ko) 200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7144A (en) Turbidity sensor that interrupts drain motor and water valve
CA2166526C (en) Appliance wash cycl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6725181B (zh) 一种洗碗机及其洗涤控制方法
EP1415586A2 (en) Methods for controlling warewasher wash cycle duration, for detecting water levels within a chamber and for priming warewasher chemical feed lines, as well as corresponding systems
KR101460713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EP2886702B1 (en) Overflow control system
KR101122073B1 (ko)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101119092B1 (ko)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101122870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12396A (ko)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KR101003414B1 (ko)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053593B1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119091B1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41371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5095484A (ja) 食器洗浄装置
KR101065674B1 (ko)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S63145623A (ja) 食器洗浄機
KR0125744B1 (ko) 식기세척기의 누수감지회로 및 그 방법
KR20050123241A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JPS6397133A (ja) 食器洗浄機
KR0152864B1 (ko) 식기세척기의 식기부하량 판단방법
KR910000407Y1 (ko)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KR101344462B1 (ko) 세척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130486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44138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