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396A -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396A
KR20050012396A KR1020030051347A KR20030051347A KR20050012396A KR 20050012396 A KR20050012396 A KR 20050012396A KR 1020030051347 A KR1020030051347 A KR 1020030051347A KR 20030051347 A KR20030051347 A KR 20030051347A KR 20050012396 A KR20050012396 A KR 20050012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styrofoam
water
dishwash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행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2396A/ko
Priority to US10/882,150 priority patent/US7032434B2/en
Publication of KR2005001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3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47L15/4212Detection of water leaks; Collection of leaked water, e.g. in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내의 누수 감지장치의 고장 및 불량 발생시에 효과적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브(tub) 하측부에 형성되어 누수되는 물을 담는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에 물이 차오르면 부압에 의해 상부로 떠오르는 스티로폼과, 온으로 스위칭되어 있다가 누수됨에 따라 떠오르는 상기 스티로폼과 접촉되어 오프로 스위칭되는 플롯 스위치와, 상기 스티로폼의 좌우 움직임을 고정시켜 상기 플롯 스위치의 정확한 스위칭을 유도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플롯 스위치의 스위칭을 통해 누수를 감지하고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터브 내의 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누수에러 메시지를 나타내는 누수 감지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apparatus for leakage-detecting of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기세척기의 고장 및 불량 발생시에 효과적으로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누수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을 위생적 ·능률적으로 하는 기기로써, 식후 설거지를 합리화하여 가사노동의 경감 등 여러 가지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식기의 형상이나 재질이 일정한 미국에서는 1960년대 초부터 발매되고 있어 많은 보급률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은 식기 형상이 여러 가지이기 때문에 식기를 넣는 방법상 성능이 떨어지고, 쌀을 주식으로 하는 식생활로 전분질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 이유 등으로 개발이 뒤떨어지고 있다.
가정용인 것과 대량 취사용인 것이 있으며, 가정용인 것은 자동 온수식 바닥 설치형인 것과 순간탕비기(瞬間湯沸器)와 같은 급탕설비에 직결해서 사용하는 소형의 탁상형인 것이 있는데 모두 자동식이며, 분사방식에 의해 세제액으로 더러움을 씻어 내리고 마무리세척 후 건조된다.
또한, 보관고(保管庫)로도 사용되며, 온탕과 세척효력에 따라 살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대량 취사용인 것에는 초음파 사용의 진동방식과 분사방식의 컨베이어 형태가 있다.
이와 같은 식기세척기는 물을 사용하는 가전용품으로,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으로 누수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물을 사용하는 다른 가전용품과는 달리 거실이나 부엌에 설치되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될 경우 거실 바닥이나 부엌바닥으로 누수된 물이 흐르게 되므로, 다른 제품에 비해 누수를 효과적으로 제어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누수 감지장치는 플롯 스위치의 스위칭을 이용하여 누수여부를 감지하는데, 급수조(터브)의 하측부에 형성된 베이스 커버로 누수로 인한 물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면 베이스 커버의 중앙에 설치된 플롯 스위치가 작동하여 누수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도 1a,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1b를 참조하여 누수 감지장치를 설명하면, 터브(50) 하측부에 형성되어 누수되는 물을 담는 베이스 커버(100)와, 상기 베이스 커버(100)에 물이 차오르면 부압에 의해 상부로 떠오르는 스티로폼(300)과, 오프(off)로 스위칭되어 있다가 누수 수위량에 따라 떠오르는 상기 스티로폼(300)과 접촉되어 온(on)으로 스위칭되는 플롯 스위치(500)와, 상기 스티로폼(300)의 좌우 움직임을 고정시켜 상기 플롯 스위치(500)의 정확한 스위칭을 유도하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플롯 스위치(500)의 스위칭을 통해 누수를 감지하고 배수펌프(70)를 구동하여 베이스 커버(100) 내의 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누수에러 메시지를 나타내는 누수 감지 제어회로(4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50)와 누수 감지 제어회로(400) 사이에 식기 세척시 사용되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모터펌프(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수 감지 제어회로(400)는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누수 감지 제어회로(400)를 설명하면, 식기세척기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회로의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 구동부(30)와,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누수 감지부(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수 감지부(10)는 누수 수위량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하는 플롯 스위치(11)와, 상기 플롯 스위치(11)와 상기 제어부(20)를 연결하는 커넥터(12)(700)와, 상기 제어부(20)로 입력되는 전원을 안정적이고 노이즈가 적은 전원으로 필터링하는 안정화부(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정화부(13)는 RC로 이루어진 π형 필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기세척기는 급수행정에서 급수가 시작되면 터브(50) 내로 물이 공급되어 설정된 정상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를 계속한다.
그리고 상기 터브(50) 내의 물이 정상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밸브를 오프시켜 급수를 종료시키고 설정된 행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누수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게 되는데,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터브(50)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커버(100)에 물이 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 커버(100)에 물이 차오르면 도 1b와 같이 부압에 의해 가이드부(200)로 둘러싸여져 있는 스티로폼(300)이 상부로 떠오르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00)는 스티로폼(300)의 좌우 움직임을 억제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물(600)의 수위량에 따라 상하로의 움직임만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기 설정된 물(600)의 수위량만큼 베이스 커버(100)에 누수된 물이 차게 되면, 상부로 떠오른 상기 스티로폼(300)은 터브(500)의 하면에 설치된 플롯 스위치(11)(500)와 접촉되어 스위칭을 통해 누수 감지 신호를 누수 감지 제어회로(4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누수 감지 제어회로(400)는 상기 플롯 스위치(500)에 스티로폼(300)의 접촉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즉 정상적인 행정이 이루어질 때는 제어부(20)에 로우(low) 신호가 입력되고 있다가, 누수의 발생으로 인해 상기 스티로폼(300)이 상승하여 상기 플롯 스위치(11)(500)와 접촉되면 하이(high) 신호가 입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누수 감지 제어회로 내의 제어부(20)는 상기 플롯스위치(11)(500)를 통해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적인 급수행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플롯 스위치(11)(500)를 통해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렇게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적인 행정을 수행하고,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행정진행을 멈추고 부하 구동부(30)를 통해 배수펌프(70)를 구동하여 터브(50) 내의 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누수에러 메시지를 나타내준다.
이때, 상기 플롯 스위치(11)(500)는 정상적인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배수펌프의 구동으로 물이 빠질 때까지 온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는 플롯 스위치와 제어부를 연결해주는 커넥터의 접촉불량 및 작업시 실수로 삽입하지 않아 빠져있는 경우에, 또는 회로의 절단 및 중간에 위치하는 기기의 고장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신호가 누수가 발생하였어도 정상상태인 로우 신호로 계속해서 입력되게 되므로 누수 발생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식기세척기 내의 누수 감지장치의 고장 및 불량 발생시에 효과적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수 감지장치의 고장 및 불량 발생 유무를 별도의 추가 자원없이 누수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통해 누수 감지와 함께 검사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플롯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누수 감지부 11, 11', 500, 800 : 플롯 스위치
12, 700 : 커넥터 13 : 안정화부
20 : 제어부 30 : 부하 구동부
40 : 전원부 50 : 터브
60 : 모터펌프 70 : 배수펌프
100 : 베이스 커버 200 : 가이드부
300 : 스티로폼 400 : 누수 감지 제어회로
500' : 스위치 600 : 물
810 : 동작 막대부 820 : 지지대
830 : 탄성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의 특징은 터브(tub) 하측부에 형성되어 누수되는 물을 담는 베이스 커버와,상기 베이스 커버에 물이 차오르면 부압에 의해 상부로 떠오르는 스티로폼과, 온으로 스위칭되어 있다가 누수됨에 따라 떠오르는 상기 스티로폼과 접촉되어 오프로 스위칭되는 플롯 스위치와, 상기 스티로폼의 좌우 움직임을 고정시켜 상기 플롯 스위치의 정확한 스위칭을 유도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플롯 스위치의 스위칭을 통해 누수를 감지하고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터브 내의 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누수에러 메시지를 나타내는 누수 감지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이때, 상기 플롯 스위치는 상기 스티로폼과 접촉되어 양끝의 상하 움직임이 서로 역으로 동작하는 동작 막대부와, 상기 동작 막대부 중앙에 위치하여 동작 막대부 양끝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동작 막대부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티로폼에 의한 동작 막대부의 움직임을 원 위치로 유지시키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와, 상기 스티로폼과 접촉되는 동작 막대부의 다른 일측과 접촉되어 온/오프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누수 감지 제어회로는 식기세척기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회로의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 구동부와, 누수여부를 감지하여 누수 발생시 상기 제어부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누수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수 감지부는 온을 유지하고 있다가 누수가 발생되면 오프로 스위칭하는 플롯 스위치와, 상기 플롯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안정적이고 노이즈가 적은 전원으로 필터링하는 안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3b 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3b를 참조하여 누수 감지장치를 설명하면, 터브(tub)(50) 하측부에 형성되어 누수되는 물을 담는 베이스 커버(100)와, 상기 베이스 커버(100)에 물이 차오르면 부압에 의해 상부로 떠오르는 스티로폼(300)과, 온(on)으로 스위칭되어 있다가 누수 수위량에 따라 떠오르는 상기 스티로폼(300)과 접촉되어 오프(off)로 스위칭되는 플롯 스위치(800)와, 상기 스티로폼의 좌우 움직임을 고정시켜 상기 플롯 스위치(800)의 정확한 스위칭을 유도하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플롯 스위치(800)의 스위칭을 통해 누수를 감지하고 배수펌프(70)를 구동하여 터브(50) 내의 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누수에러 메시지를 나타내는 누수 감지 제어회로(4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롯 스위치(800)는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누수 수위량에 따라 상하부로 움직이는 스티로폼(300)과 접촉되어 양끝의 상하 움직임이 서로 역으로 동작하는 동작 막대부(810)와, 상기 동작 막대부(810) 중앙에 위치하여 동작 막대부(810) 양끝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대(820)와, 상기 동작 막대부(810)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티로폼(300)에 의한 동작 막대부(810)의 움직임을 원 위치로 유지시키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830)와, 상기 스티로폼(300)과 접촉되는 동작 막대부(810)의 다른 일측과 접촉되어 온/오프로 스위칭되는 스위치(5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수 감지 제어회로(400)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식기세척기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회로의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 구동부(30)와, 누수여부를 감지하여 누수 발생시 상기 제어부(20)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누수 감지부(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수 감지부(10)는 누수가 발생되면 온에서 오프로 스위칭하는 플롯 스위치(11')와, 상기 플롯 스위치(11')와 상기 제어부(20)를 연결하는 커넥터(12)(700)와, 상기 제어부(20)로 입력되는 전원을 안정적이고 노이즈가 적은 전원으로 필터링하는 안정화부(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정화부(13)는 저항 R1, R2와 콘덴서 C1로 이루어진 π형 필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기세척기는 급수행정에서 급수가 시작되면 터브(50) 내로 물이 공급되어 설정된 정상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를 계속한다.
상기 터브(50) 내의 물이 정상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밸브를 오프시켜 급수를 종료시키고 설정된 행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누수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하는데,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터브(50)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커버(100)에 물이 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 커버(100)에 물이 차오르면 도 3b와 같이 부압에 의해 가이드부(200)로 둘러싸여져 있는 스티로폼(300)이 상부로 떠오르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스티로폼(300)의 좌우 움직임을 억제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물(600)의 수위량에 따른 상하 움직임만을 유도한다.
그리고 설정된 물의 수위량만큼 베이스 커버(100)에 누수된 물이 차게 되면, 상부로 떠오른 상기 스티로폼(300)은 터브(50)의 하면에 설치된 플롯 스위치(800)와 접촉되어 스위칭을 통해 누수 감지 신호를 제어 회로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롯 스위치(800)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평상시에는 접점에 붙어 있는 온 상태로 유지하다가 누수가 발생되면 오프 상태로 변환시키게 된다.
즉, 물의 부하에 의해 상부로 떠오른 상기 스티로폼(300)이 동작 막대부(810)의 한쪽 끝인 제 1 측에 접촉되어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면, 상기 동작 막대부(810)의 중앙에 지지부(820)가 위치하여 상기 동작 막대부(810)를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동작 막대부(820)의 다른 한쪽 끝인 제 2 측이 하부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측을 통해 온 상태로 접점이 붙어 있던 스위치(500')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수 감지 제어회로(400)내의 제어부(20)는 상기스티로폼(300)의 접촉이 떨어지면 하이(high)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스티로폼(300)의 접촉이 붙으면 로우(low)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플롯스위치(800)(11')를 통해 제어부(20)로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적인 급수행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플롯 스위치(800)(11')를 통해 제어부(20)로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누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이렇게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 및 판단하여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적인 행정을 수행하고, 하이 신호가 입력되면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행정진행을 멈추고 부하 구동부(30)를 통해 배수펌프(70)를 구동하여 베이스 커버(10)내의 물(600)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누수에러 메시지를 나타내준다.
이와 같이, 상기 배수펌프(70)를 통해 베이스 커버(10)에 누수된 물이 배출되면, 상부로 떠오른 상기 스티로폼(300)이 다시 하부로 내려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티로폼(300)이 밀어 올렸던 동작 막대부(810)의 제 1 측은 상기 동작 막대부(810) 일 측에 형성된 탄성부(830)의 탄성력에 의해 원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동작 막대부(810)의 제 2 측에 있는 스위치(500')가 다시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스위칭된다.
그리고 상기 플롯 스위치(800)(11')는 정상적인 행정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배수펌프(70)의 구동으로 물(600)이 빠질 때까지 오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식기세척기 내의 누수 감지장치의 고장 및 불량 발생시에 이를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다.
둘째, 누수 감지장치의 고장 및 불량 발생 유무를 별도의 추가 자원없이 누수를 감지하는 제어부를 통해 누수 감지와 함께 검사할 수 있다.

Claims (5)

  1. 터브(tub) 하측부에 형성되어 누수되는 물을 담는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에 물이 차오르면 부압에 의해 상부로 떠오르는 스티로폼과,
    온으로 스위칭되어 있다가 누수됨에 따라 떠오르는 상기 스티로폼과 접촉되어 오프로 스위칭되는 플롯 스위치와,
    상기 스티로폼의 좌우 움직임을 고정시켜 상기 플롯 스위치의 정확한 스위칭을 유도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플롯 스위치의 스위칭을 통해 누수를 감지하고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터브 내의 물을 배출시킴과 동시에 누수에러 메시지를 나타내는 누수 감지 제어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롯 스위치는
    상기 스티로폼과 접촉되어 양끝의 상하 움직임이 서로 역으로 동작하는 동작 막대부와,
    상기 동작 막대부 중앙에 위치하여 동작 막대부 양끝의 상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동작 막대부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티로폼에 의한 동작 막대부의 움직임을 원 위치로 유지시키려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와,
    상기 스티로폼과 접촉되는 동작 막대부의 다른 일측과 접촉되어 온/오프로 스위칭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 제어회로는
    식기세척기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회로의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 구동부와,
    누수여부를 감지하여 누수 발생시 상기 제어부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누수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부는
    온을 유지하고 있다가 누수가 발생되면 오프로 스위칭하는 플롯 스위치와,
    상기 플롯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전원을 안정적이고 노이즈가 적은 전원으로 필터링하는 안정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배수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KR1020030051347A 2003-07-04 2003-07-25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KR20050012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347A KR20050012396A (ko) 2003-07-25 2003-07-25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US10/882,150 US7032434B2 (en) 2003-07-04 2004-07-01 Water leakage detecting device in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347A KR20050012396A (ko) 2003-07-25 2003-07-25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396A true KR20050012396A (ko) 2005-02-02

Family

ID=37224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347A KR20050012396A (ko) 2003-07-04 2003-07-25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23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31B1 (ko) * 2008-01-21 2009-10-08 (주)현대큐시스 부피 가변부재를 구비하는 누수방지 장치
KR200449544Y1 (ko) * 2008-12-02 2010-07-2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
KR101065674B1 (ko) * 2003-07-25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CN113616131A (zh) * 2021-07-30 2021-11-0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及清洗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674B1 (ko) * 2003-07-25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920431B1 (ko) * 2008-01-21 2009-10-08 (주)현대큐시스 부피 가변부재를 구비하는 누수방지 장치
KR200449544Y1 (ko) * 2008-12-02 2010-07-2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누수 방지장치
CN113616131A (zh) * 2021-07-30 2021-11-0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及清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7144A (en) Turbidity sensor that interrupts drain motor and water valve
US20100175718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fluid level in a dishwasher
CN106725181B (zh) 一种洗碗机及其洗涤控制方法
US20110088724A1 (en) Rinse aid release detection method
US4271861A (en) Dishwasher fill level control arrangement
KR20050122358A (ko) 식기세척기의 수위감지장치
EP2886702B1 (en) Overflow control system
KR20050012396A (ko)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KR101003414B1 (ko)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065674B1 (ko) 식기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CN107865624B (zh) 水槽洗碗机及其清洗控制方法
KR101241866B1 (ko) 식기세척기
JP4661001B2 (ja) 食器洗い機
JP3882388B2 (ja) 食器洗浄機
KR101122073B1 (ko)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100863859B1 (ko) 식기 세척기
JPH11290258A (ja) 洗浄機
KR101119092B1 (ko)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JP2000083886A (ja) 食器洗浄機
JP4076943B2 (ja) 食器洗浄機
KR200341840Y1 (ko) 식기세척기용 누수 감지 장치
KR200272637Y1 (ko) 씽크대에 부착된 초음파 세척기
JP3870358B2 (ja) 食器洗浄機
KR101119091B1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053593B1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