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07Y1 -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07Y1
KR910000407Y1 KR2019880016497U KR880016497U KR910000407Y1 KR 910000407 Y1 KR910000407 Y1 KR 910000407Y1 KR 2019880016497 U KR2019880016497 U KR 2019880016497U KR 880016497 U KR880016497 U KR 880016497U KR 910000407 Y1 KR910000407 Y1 KR 910000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level
unit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6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073U (ko
Inventor
심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6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407Y1/ko
Publication of KR900008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를 절개시킨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회로의 구체적인 일실시예.
제4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중량센서부 7 : 수위센서부
8 : 이상수위감지부 7 : 물넘침 수위감지/제어부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기의 양에따른 급수수위의 설정 및 감지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설정수위를 초과하였을 시는 이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진 수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초기에 배수행정을 시작하여 어느 설정된 시간까지 세척조내의 물을 배수시킨 다음 바로 급수행정에 들어가 플로트 스위치에 의해 설정되어진 수위만큼 세척조내로 물을 공급한후 세척행정으로 들어가게되며, 급수 또는 세척행정의 진행중 이상수위로 되었음이 감지되면 현재 진행중인 행정을 중지하고 배수펌프를 구동시켜 세척조내의 물을 배수시키는 초기상태로 돌아가도록 되어진 것으로서 급수수위의 제어에 있어 식기의 양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량의 세척수만을 공급하게 되므로 식기가 많을 경우에는 세척수의 부족으로 인해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행정이 종료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척행정의 종료후 배수 행정시 오물 찌꺼기 등에 의해 급수 또는 이상수위감지 스위치가 감지불능 상태로 되었을 경우 제급수 행정시 수위제어가 되지 않게되므로 세척조내의 물이 넘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의 양에 따른 급수수위의 설정 및 감지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설정수위를 초과하였을 시는 이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진 것으로 이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부를 절개시킨 사시도로서 SW1은 이상수위 감지용 플로트 스위치 이고, SW2는 물넘침 수위감지용 플로트 스위치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로서 식기거치용 래크(RX)의 가이드레일 역할을 하는 중량센서(PS,PS′)는 상기 래크(RX)에 거치되어진 식기의 양, 즉 그 중량에 따라 하강정도를 달리하여 제3도의 중량센서부(6)내 압변저항(PT1,PT2)의 저항치를 가변토록 되어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회로의 구체적인 일실시예로서 각조키를 선택조작하는 키조작부(1)와, 파워스위치(SW3), 트랜스(T), 브리지다이오드(BD), 콘덴서(OP1,C1), 저항(R1), 정전압다이오드(ZD1) 및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부(2)와 시스템운용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입력되는 데이터를 설정되어진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에따른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마이컴(3)과, 저항(R22-R25), 트랜지스터(Q7-Q14), 다이오드(D6-D9) 및 릴레이(Ry2-Ry5)로 구성되어 히터(H), 급수밸브(V), 배수펌프(DP) 및 세척펌프(WP)등 각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하 구동부(4)와, 상기 마이컴(3)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 그에 따른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5)와, 가변저항(VR1-VR3), 저항(R1-R7,R26), 압력에 따라 저항치가 가변되는 압변저항(PT1,PT2) 및 비교기(OP1,OP2)로 구성되어 래크(RK)에 거치되어진 식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 센서부(6)와, NOT게이트(IC1-IC3), 압력에 따라 인덕턴스의 값이 가변되는 가변 인덕턴스(L), 저항(R19,R27) 및 콘덴서(C2,C3)로 구성되어 설정되어진 수위에 따른 감지를 하기위한 수위 센서부(7)와, 스위치(SW1), 저항(R19,R20) 및 콘덴서(C6)로 구성되어 세척 또는 헹굼행정을 위한 적정수위를 초과 하였는가를 감하는 이상수위 감지부(8)와, 스위치(SW2), 저항(R10-R18, R21,R28), 트랜지스터(Q2-Q5), 정전압 다이오드(ZD2), 비교기(OP3), 콘덴서(OP2,C7), 다이오드(D1) 및 릴레이(Ry1)로 구성되어 물넘침 수위의 감지 및 제어를 위한 물넘침수위 감지/제어부(9)로 이루어진 것으로 미 설명부호 Sry1-Sry3는 릴레이 접점이다.
제2도에서와 같이 세척조(WT)내에 래크(RK)를 거치시킨후 제3도의 전원부(2)내 파워스위치(SW3)를 온시키고 키조작부(1)상의 시작키는 온시키게 되면 마이컴(3)의 출력포트(O2)가 하이레벨로 되어 부하구동부(4)내저항(R23)을 거쳐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단자를 하이레벨로 만들게되며, 이에따라 다알링톤 접속되어진 트랜지스터(Q9,Q10)가 동시에 턴온되면서 릴레이(Ry3)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릴레이 접점(Sry3)이 온상태로 되어 배수펌프(DP)가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같이 배수행정이 시작되어 어느 설정된 시간까지 세척조(WT)내의 물을 배수시킨 후 급수행정으로 들어가게 되며, 이때 급수수위의 설정은 키조작부(1)의 수위 선택키를 조작하거나 또는 중량센서부(6)에서 식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제2도에서와 같이 세척조(WT)내에 래크(RK)가 거치되어지면 상기 래크(RK)의 가이드레일 역할을 하는 중량센서(PS,PS′)는 래크(RK)에 거치되어진 식기의 양, 즉 그 중량에 따라 하강정도를 달리하여 제3도의 중량센서부(6)내 압변저항(PT1,PT2)의 저항치를 가변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B점과 C점간에는 VB=VC에서로 일정하나로 되어 서로 전압차가 발생하게되고, 이들 B점과 C점간의 전압차는 비교기(OP1)에서 증폭도으로 증폭비교된 후 다음 단 비교기(OP2)를 거쳐 마이컴(3)의 입력포트(IN1)로 인가된다.
마이컴(3)에는 상기 중량센서부(6)로부터의 신호를 설정되어진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에따른 수위를 설정한 후 출력포트(O3)가 하이레벨로 되도록 하여 부하구동부(4)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 단자를 하이레벨로 만들게되며, 이에따라 다일링톤 접속되어진 트랜지스터(Q11,Q12)가 동시에 턴온되면서 릴레이(Ry4)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릴레이 접점(Sry4)이 온상태로 되어 급수밸브(V)를 작동 시키게 된다.
급수가 시작되어 설정되어진 수위에 이르게 되면 수위센서부(7)에 의한 수위감지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수위가 높으면, 즉 수압에 크면 가변 인덕턴스(L)의 값이 작아져 A점의 주파수폭이 커지게되고 반대로 수위가 낮으면, 즉 수압이 작으면 가변 인덕턴스(L)의 값이 커져 A점의 주파수폭이 작아지게 되어 마이컴(3)의 입력포트(IN2)로 수압에 따른 주파수폭의 변화상태를 입력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마이컴(3)에서는 수위센서부(7)로부터의 주파수폭 변화신호를 설정되어진 데이터와 비교하여 설정수위에 이른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포트(O3)를 로우레벨로 만들어 급수밸브(V)의 작동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출력포트(O1)의 전위를 하이레벨로 만들어 세척펌프(WP)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수위센서부(7)가 외부적인 요인등으로 인하여 감지 불능 상태로 되었을 경우에는 세척 또는 행굼행정을 위한 적정수위를 초과하게 되는데 이를 감지하여 제어키 위한 것이 이상수위 감지부(8)로 세척조(WT)내의 수위가 적정수위를 초과하여 이상수위 감지부(8)내 스위치(SW1)가 온상태로 되면 Vcc전원이 저항(R19)을 거쳐 마이컴(3)의 입력포트(IN3)로 인가되어지므로 마이컴(3)에서는 이상수위에 이르렀음을 인지하고 출력포트(O2)를 하이레벨로 만들어 이상수위 감지부(8)의 스위치(SW1)가 오프상태로 될 때까지 배수펌프(DP)를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물넘침 수위감지/제어부(9)는 수위제어부(7) 및 이상수위 감지부(8)가 감지불능상태로 되거나 또는 급수밸브(V), 배수펌프(DP)등의 작동에 이상이 생겨 물넘침 수위에 이르렀을 경우 이의 감지 및 제어를 위한 것으로 세척조(WT)내의 수위가 물넘침 수위에 이르게 되면 물넘침 수위감지/제어부(9)내 스위치(SW2)가 온상태로 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를 하이레벨의 전위로 만들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서 다음단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E점의 전위가 F점의 전위, 기준전압보다 크게되어 비교기(OP3)의 출력 전위가 로우레벨로 되며, 또한 저항(R45)을 매개로 하여 상기 비교기(OP3)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진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서 다일링톤 접속되어진 다음단 트랜지스터(Q5,Q6)를 턴온시키게 되므로 릴레이(Ry1)가 구동되면서 메인스위치인 릴레이접점(Sry1)을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만들어 AC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식기의 양에 따른 급수수위의 설정 및 제어가 수동은 물론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써 세척효과의 향상과 동시에 사용상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설정수위를 초과하였을시는 그에따라 적절히 제어가 되도록 하므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마이컴을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래크에 거치되어진 식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센서부(6)와, 설정되어진 수위에 따른 감지를 위한 수위센서부(7)와, 세척 또는 헹굼행정을 위한 적정수위를 초과하였는가를 감지하는 이상 수위감지부(8)와, 물넘침수위의 감지 및 제어를 위한 물넘침 수위감지/제어부(9)로 이루어져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위센서부(7)는 NOT게이트(IC1-IC3), 가변인덕턴스(L), 저항(R9,R27) 및 콘덴서(C2,V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물넘침 수위감지/제어부(9)는 스위치(SW2), 저항(R10-R15, R21, R28), 트랜지스터(Q2-Q5), 정전압다이오드(ZD2), 비교기(OP3), 콘덴서(CP2,C7) 다이오드(D1) 및 릴레이(Ry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KR2019880016497U 1988-10-06 1988-10-06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KR910000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497U KR910000407Y1 (ko) 1988-10-06 1988-10-06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6497U KR910000407Y1 (ko) 1988-10-06 1988-10-06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073U KR900008073U (ko) 1990-05-01
KR910000407Y1 true KR910000407Y1 (ko) 1991-01-21

Family

ID=1928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6497U KR910000407Y1 (ko) 1988-10-06 1988-10-06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4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073U (ko) 199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5586A2 (en) Methods for controlling warewasher wash cycle duration, for detecting water levels within a chamber and for priming warewasher chemical feed lines, as well as corresponding systems
US20070102030A1 (en) Dishwasher having a variable speed circulation pump controlled responsive to sensed turbidity
KR20070105051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910000407Y1 (ko)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KR101526956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974103B (zh) 一种变容洗碗机的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洗碗机
CN112666857A (zh) 一种净排泵检测电路及控制方法
KR900003574B1 (ko) 자동 식기세척기의 제어회로
KR960009221Y1 (ko) 세탁기
KR0162315B1 (ko) 세탁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방법
JP2001212397A (ja) 洗濯機の気泡感知方法
KR101119092B1 (ko)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JP2923396B2 (ja) 洗濯機
KR101122073B1 (ko)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101053592B1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890008731Y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감지 장치
JPH0451757Y2 (ko)
KR900004603Y1 (ko) 식기 세척기의 보호 장치
JPH05345094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KR940007661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행정 선택장치
KR890002140B1 (ko) 전자동 식기 세척기
KR101122870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JPH07185185A (ja) 洗濯機
JP3257183B2 (ja) 食器洗い機
JPH043085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