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138A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138A
KR20060044138A KR1020040091958A KR20040091958A KR20060044138A KR 20060044138 A KR20060044138 A KR 20060044138A KR 1020040091958 A KR1020040091958 A KR 1020040091958A KR 20040091958 A KR20040091958 A KR 20040091958A KR 20060044138 A KR20060044138 A KR 20060044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photo coupler
dishwash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행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4138A/ko
Publication of KR20060044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26Rinsing phases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전달소자인 포토 커플러의 불량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드레인 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급수시 발생되는 오버 플로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드레인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레인 펌프 구동부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의 출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와, 상기 전달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형태에 따라 정상 운전상태 또는 상기 전달부의 불량여부를 파악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며, 은 마이컴으로 입력되는 신호 형태에 따라 세척 행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포토커플러가 불량 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세척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식기세척기/포토커플러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A) dish washer and method of contorll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공급부 200 : 드레인 펌프 구동부(트라이악)
300 : 드레인 펌프 400 : 감지부(프로트 스위치)
500 : 전달부(포토 커플러)
600 : 마이컴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되는 신호 형태를 파악하여 포토 커플러의 불량여부 및 동작상태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사 후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자동 세척하는 기기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의 구조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터브(Tub)(1)가 형성되고, 터브(1) 내부에 식기를 수납하는 상측 랙(Rack)(10)과 하측 랙(1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랙(10, 11)의 하측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하측 분사 아암(8, 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브(1)의 하부에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Sump)(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프(3) 내부에는 세척수를 여과하는 필터(2)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터브(1)의 하부에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섬프(3)의 하측 내부에 세척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순환펌프(5)에는 하측 분사아암(9)과 연결되는 하측 유로(6)와 상측 분사아암(8)과 연결되는 상측유로(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섬프(3)의 하부에 세척이 끝나면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드레인 펌프(12)가 설치되어 있고 세척을 위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수단(13)이 상기 섬프(3)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사용자가 식기량, 식기 종류 등을 고려하여 행정 명령을 입력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도시 생략)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행정 명령에 해당하는 세척 알고리즘에 따라 각종 부하를 제어하게 되는데, 먼저 급수 밸브(도시 생략)가 열리면서 섬프(3)에 세척수가 공급된다.
섬프(3) 내부의 세척수가 설정 수위까지 도달하게 되면 급수를 중단하고 히터(도시 생략)를 구동하여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가열한 후 순환펌프(5)를 구동시켜 상기 가열된 세척수를 상측유로(7)와 하측유로(6)를 통해 상/하측 분사아암(8, 9)으로 공급한다.
상기 상/하측 분사아암(8, 9)를 통해 세탁수를 분사하여 상/하측 랙(10, 11)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오버 플로우를 감지하는데 있어서, 실제로 오버 플로우가 발생하였는데도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가 불량인 것을 파악하지 못하여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식기 세척기의 동작중 오버 플로우 상태를 감지하는데 있어서,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포토 커플러)의 불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드레인 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급수시 발생되는 오버 플로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드레인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레인 펌프 구동부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의 출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와, 상기 전달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형태에 따라 정상 운전상태 또는 상기 전달부의 불량여부를 파악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는 플로트(Float) 스위치로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는 트라이악으로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전달부는 포토 커플러로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달부로부터 하이(High) 또는 펄스 형태의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운전 상태로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기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전달부로부터 로우(Low)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달부가 불량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프로트 스위치, 포토 커플러, 트라이악 및 마이컴을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세척코스를 선택한 후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명 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코스에 따라 해당 세척 행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포토 커플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형태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되는 신호 형태에 따라 정상운전상태 또는 상기 포토 커플러의 불량상태등을 판단하여 해당 상태별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토 커플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형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 커플러로부터 상기 마이컴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High) 신호, 펄스(Pulse) 신호 및 로우(Low) 신호 중 어떤 형태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해당 상태별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 커플러로부터 하이(High) 또는 펄스(Pulse) 신호가 입력되면 세척기가 정상운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따라 해당 세척행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 커플러로부터 기 설정시간 이상 로우(Low)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포토 커플러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포토커플러의 에러를 표시한 후 세척동작을 중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 원공급부(100)와, 급수시 발생되는 오버 플로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400)와, 드레인 펌프(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레인 펌프 구동부(200)와, 상기 감지부(400) 및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200)의 상태에 따라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부(500)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따라 해당 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전달부(5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형태를 파악하여 현재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상기 전달부(500)가 불량상태 인지를 파악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400)는 정상 상태에서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오버 플로우 발생시 온 상태로 접점이 이동되는 프로트(Float)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200)는 상기 마이컴(6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는 트라이악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달부(500)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로 구성되며,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200)가 구동되거나, 상기 감지부(400)가 온(On) 상태로 접점이 이동되면 하이(High) 신호를 상기 마이컴(600)에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전원공급부(10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마이컴(6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에 따라 해당 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펌프(300)가 구동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드레인 펌프 (300)가 구동되었으면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200)에서 상기 드레인 펌프(300)로 구동 신호를 주어서 구동되거나, 상기 감지부(400)가 온(On) 상태로 접점 이동될 경우 상기 마이컴(600)에는 하이(High) 신호가 전달된다.
즉, 상기 마이컴(600)은 상기 전달부(500)를 통해 하이(High)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200)에서 신호가 출력되거나, 상기 감지부(400)를 통해 오버 플로우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200)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감지부(400)도 동시에 오프 상태일 경우, 상기 전달부(500)는 상기 마이컴(600)에 펄스 형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600)에는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한 항상 하이(High) 또는 펄스 형태의 신호가 상기 전달부(500)로부터 입력되어야 하므로, 기 설정시간 동안 로우(Low)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상기 전달부(500)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원하는 세척코스를 선택한 후 동작 명령을 입력한다(S101∼S103).
이어서 상기 선택된 코스에 따라 세척행정을 수행한다(S104).
그리고, 상기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마이컴 감지신호를 확인한다(S105).
이어서 상기 마이컴에 입력된 감지신호가 기 설정시간 이상 로우(Low)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
상기 판단 결과(S106), 상기 입력된 감지신호가 기 설정시간 이상 로우(Low) 이면, 상기 전달부(포토 커플러)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에러를 표시한 후 세척구동을 멈춘다(S107∼S108).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6), 상기 입력된 감지신호가 하이(High) 또는 펄스이면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선택된 코스에 따라 세척이 완료될 때 까지 세척행정을 수행한다(S109∼S11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은 마이컴으로 입력되는 신호 형태에 따라 세척 행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포토커플러가 불량 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세척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드레인 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급수시 발생되는 오버 플로우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드레인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레인 펌프 구동부;
    상기 감지부 및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의 출력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 그리고,
    상기 전달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형태에 따라 정상 운전상태 또는 상기 전달부의 불량여부를 파악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플로트(Float)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펌프 구동부는 트라이악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포토 커플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달부로부터 하이(High) 또는 펄스 형태의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운전 상태로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기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전달부로부터 로우(Low)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달부가 불량상태인 것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프로트 스위치, 포토 커플러, 트라이악 및 마이컴을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세척코스를 선택한 후 동작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코스에 따라 해당 세척 행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포토 커플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형태를 파악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입력되는 신호 형태에 따라 정상운전상태 또는 상기 포토 커플러의 불량상태등을 판단하여 해당 상태별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커플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형태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 커플러로부터 상기 마이컴에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High) 신호, 펄스(Pulse) 신호 및 로우(Low) 신호 중 어떤 형태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상태별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 커플러로부터 하이(High) 또는 펄스(Pulse) 신호가 입력되면 세척기가 정상운전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에 따라 해당 세척행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 커플러로부터 기 설정시간 이상 로우(Low)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포토 커플러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여, 포토커플러의 에러를 표시한 후 세척동작을 중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0040091958A 2004-11-11 2004-11-11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44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58A KR20060044138A (ko) 2004-11-11 2004-11-11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58A KR20060044138A (ko) 2004-11-11 2004-11-11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138A true KR20060044138A (ko) 2006-05-16

Family

ID=3714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958A KR20060044138A (ko) 2004-11-11 2004-11-11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41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6526C (en) Appliance wash cycl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80128001A1 (en) Wash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dish washing machine
KR101375493B1 (ko) 식기 세척기
KR20040039162A (ko) 용기 세척기의 세척 주기 지속기간을 제어하고, 물 레벨을검출하고, 용기 세척기의 화학 제품 공급 라인을 준비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28000A1 (en) Wash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dish washing machine
KR101054435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460713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7371288B2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25342A (ko) 식기세척용 히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22870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44138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41371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14868B1 (ko) 식기세척기의 전원투입 초기 세척수 온도 제어장치 및 그방법
JP4707348B2 (ja) 食器洗い機
JP2000300499A (ja) 食器洗い機
KR101054159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960010939B1 (ko) 식기세척기의 가열에러 감지 방법
KR101344462B1 (ko) 세척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119092B1 (ko)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CN100502758C (zh) 一种洗碗机及其控制方法
KR2005001252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에 따른 행정 제어방법
KR0125744B1 (ko) 식기세척기의 누수감지회로 및 그 방법
KR101122073B1 (ko) 식기 세척기의 과수에 따른 시스템 제어회로 및 그 방법
KR101189370B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41902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