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851B1 -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키패드 백라이팅 광 파이프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키패드 백라이팅 광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851B1
KR101121851B1 KR1020057025165A KR20057025165A KR101121851B1 KR 101121851 B1 KR101121851 B1 KR 101121851B1 KR 1020057025165 A KR1020057025165 A KR 1020057025165A KR 20057025165 A KR20057025165 A KR 20057025165A KR 101121851 B1 KR101121851 B1 KR 10112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light pipe
buttons
circuit boar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7281A (ko
Inventor
닐 케네스 재코브스
그레그 마이클 모간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6003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2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백라이팅 키패드(4)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1)를 제공하며, 이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는, 하우징과, 회로 보드(15)와, 광 파이프(3)를 포함한다. 회로 보드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실장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비한다. 키패드는 회로 보드의 최상위면(16)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 베이스(12)를 구비한다. 베이스는, 회로 보드로부터 멀어지면서 연장되는 복수의 버튼(9) 및 적어도 하나의 표면 실장 발광 다이오드(LE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15)을 구비한다. 광 파이프는 키패드의 버튼에 대응하는 개구(18)를 구비한다. 광 파이프는, 버튼이 개구를 통해 연장되도록 키패드 상에 위치하여 광이 광 파이프를 통해 버튼으로 분산된다. 하우징은 버튼에 대응하는 복수의 애퍼처(20)를 구비하는 탑 커버(2)를 포함한다. 복수의 구획부(10)는 탑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키패드의 베이스 및 광 파이프와 접촉한다. 복수의 구획부는 이들 사이의 버튼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원격 제어부, 백라이팅, 광 파이프, 발광 다이오드

Description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키패드 백라이팅 광 파이프{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KEYPAD BACK LIGHTING LIGHT PIPE}
본 발명은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의 키패드를 조명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의 키패드를 백라이팅하기 위한 광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백라이팅에 의해 조명되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는 전형적으로 투 커버 하우징내에 포함된 광 파이프, 회로 보드, 및 키패드로 구성된다. 키패드는 회로 보드의 최상위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하우징의 최상위 커버에서의 애퍼처를 통해 돌출되는 복수의 버튼을 구비한다. 회로 보드의 최상위면 상에 배열된 도전성 컨택트에 인접하는 버튼 각각의 베이스 상에 컨택트가 제공된다. 키패드를 조명하기 위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회로 보드의 최상위면 상에 배열된다.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된 광을 분산하는 광 파이프는 회로 보드 및 키패드 사이에 배열된다. 광 파이프는 각 버튼 상의 컨택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회로 보드 측으로 버튼을 가압하면, 버튼의 베이스 상에 제공되어 있는 컨택트가 개구를 통해 연장되어 도전성 컨택트와 접속하여 전기적 접속을 이룬다.
광 파이프는 회로 보드 및 키패드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원격 제어부의 높이가 광 파이프의 두께를 보상할 정도로 크도록 설계 초기에 광 파이프의 두께를 고려해야 한다. 광 파이프를 추가하면 원격 제어부의 높이를 증가하기 때문에, 광 파이프는 기존의 원격 제어부를 백라이팅을 갖는 원격 제어부로 변환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상이한 툴링(tooling)을 이용하여 백라이팅을 갖는 그리고 백라이팅을 갖추지 않는 원격 제어부를 제조해야 한다. 또한, 회로 보드 및 키패드 사이의 광 파이프의 위치 설정에는, 광 파이프가 비교적 편평해야 하며 실질적으로 키패드와 동일한 크기이어야 하며 이에 따라 원격 제어부의 크기 및 형상을 지시해야 한다. 광 파이프가 비교적 편평해야 하며 키패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광을 캐치 및 분포할 수 있는 공간 양은 제한되며 광 분포를 변조하는 기능이 제한된다.
본 발명은 백라이팅 키패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는 하우징, 회로 보드, 키패드, 및 광 파이프를 포함한다. 최상위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은 복수의 애처퍼 및 하나의 버튼 커버를 구비한다. 회로 보드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다. 키패드는 최상위 커버의 애퍼처를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버튼을 갖는 베이스를 구비한다. 광 파이프는 하우징의 최상위 커버 및 키패드 사이의 키패드의 최상위면 상에 위치하여 광이 광 파이프를 통해 버튼으로 분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의 확대도.
도 2는 최상위 커버가 제거된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광 파이프의 밑면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4-4 라인을 따라 절취한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의 단면도.
도 1은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1)를 도시한다. 원격 제어부(1)는, 최상위 커버(2) 및 밑면 커버(6)로 이루어지는 투 커버 하우징, 광 파이프(3), 키패드(4), 및 회로 보드(5)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보드(5)는, 전원(17)에 결합된 복수의 회로 트레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된 카본 컨택트와 같은 복수의 도전성 컨택트(19)가 제공된 최상위면(16)을 구비한다. 회로 보드(5)의 최상위면(16)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복수의 표면 실장 발광 다이오드(LED; 14)가 배열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는 LED(14)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어 있지만, LED는 임의의 방식으로 배열되어 원하는 광 분포를 얻을 수 있다. LED(14)는 회로 트레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며 키패드(4) 상에 압력이 가해질 때 광을 방출하도록 전기적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4)는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버튼(9)을 갖는 베이스(2)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택트(18)는 각 버튼(9)의 밑면 상에 제공된다. 컨택트(18)는, 회로 보드(5) 측으로 버튼(9)을 가압하면 컨택트(18)가 도전성 컨택트(19)와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회로 보드(5)의 도전성 컨택트(19)에 대응한다. 베이스(12)를 따라 버튼(9)에 인접하는 복수의 LED 수용 슬롯(15)이 배치된다. LED 수용 슬롯(15)은 회로 보드(5)의 최상위면(16) 상에 배열된 LED(14)의 위치에 대응한다. 키패드(4)는, 반투명 고무 재료와 같이 반투명이거나 유연한 투광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파이프(3)는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버튼(9)의 높이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버튼(9)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8)는, 버튼(9)이 개구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광 파이프(3)의 최상위면(26)으로부터 광 파이프(3)의 밑면(22)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길게 연장된(elongated) 컷아웃(24)이 개구(8)에 인접한다. 컷아웃(24)은, 최상위 커버(2) 상의 돌출부(25)가 컷아웃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광 파이프(3)의 최상위면(26)으로부터 광 파이프(3)의 밑면(22)으로 연장되며, 이는 상세히 후술한다. 복수의 광 분산 슬롯(13)은 광 파이프(3)의 밑면(22)을 따라 개구(8) 및 컷아웃(24)에 인접한다. 광 분산 슬롯(13)은 키패드(4) 상의 LED 수용 슬롯(15)에 대응하며 광 분포에 일조하도록 각진 상승부를 구비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는, 광 파이프(3)가 키패드(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고 있지만, 광 파이프(3)는 임의의 형상 및 크기를 구비하여 원하는 광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 파이프(3)의 광 분산 슬롯(13)은 원하는 광 분포를 얻도록 형성 및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상위 커버(2)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키패드(4)상의 버튼(9)에 대응하는 복수의 애퍼처(20)를 구비한다. 애퍼처(20)는 버튼(9)이 애퍼처 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복수의 이격된 구획부(divider; 10)는 애퍼처(20)에 인접하며 최상위 커버(2)의 내면 (21) 상에 배열된다. 구획부(10)는 키패드(4)를 향하여 최상위 커버(6)의 내면(21)으로부터 연장된다. 구획부(10)는, 광 파이프(3)의 최상위면(26)과 접촉하여 광 파이프(3)를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복수의 구획부(10)는 광 파이프(3)의 컷아웃(24)에 대응하는 돌출부(25)를 구비한다. 돌출부(25)는 키패드(4)의 베이스(12)와 접촉하도록 컷아웃(24) 내에 수용된다. 돌출부(25)는 광 파이프(3) 없이 제조된 원격 제어부 내에서 키패드(4)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획부(10)는, 버튼(9)이 애퍼처(20) 내에 수용될 때 구획부(10)가 버튼(9)의 측면에 인접하여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면 커버(6)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회로 보드(5)의 트레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배터리와 같은 전원(17)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구획부(11)를 구비한다. 밑면 커버(6) 및 최상위 커버(2)는 상호 인터록(interlock)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백라이팅용으로 제공되는 광 파이프(3)와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1)와의 조립을 설명한다. 도 1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보드(5)는, 도전성 컨택트(19) 및 LED(14)가 밑면 커버(6)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도록 밑면 커버(6)내에 회로 보드(5)를 위치시킴으로써 전원(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키패드(4)는 컨택트(18)가 도전성 컨택트(19)에 대응하도록 회로 보드(5)의 최상위면(16)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LED(14)가 LED 수용 슬롯(15) 내에 수용된다. 광 파이프(3)는, 광 분산 슬릿(13)이 LED에 대응하도록 개구(8)를 통해 버튼(9)을 삽입함으로써 키패드(4)의 최상위면(1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후, 키패드(4)의 버튼(9)은 버튼(9) 이 애퍼처(20)를 통해 돌출되도록 최상위 커버(2)의 애퍼처(20)에 수용되고, 구획부(10)는 버튼(9)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돌출부(25)가 키패드(4)의 베이스(12)와 접촉하도록 구획부(10)는 광 파이프(3)의 최상위면과 접촉하고 돌출부(25)는 컷아웃(24) 내에 수용된다. 최상위 커버(2) 및 밑면 커버(6)는 인터록되어 완전한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1)를 형성한다. 동작시에, LED(14)는 전원(17)에 의해 조명되고, LED(14)로부터의 광은 광 분산 슬릿(13)에 의해 광 파이프(3)를 통해 분산된다. 이에 따라 광은 키패드(4)의 버튼(9)을 조명한다.
이하, 백라이팅을 위한 광 파이프(3) 없이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1)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보드(5)는, 도전성 컨택트(19)가 밑면 커버(6)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도록 밑면 커버(6)에 회로 보드(5)를 위치시킴으로써 전원(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키패드(4)는 컨택트(18)가 도전성 컨택트(19)에 대응하도록 회로 보드(5)의 최상위면(16)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키패드(4)의 버튼(9)은, 버튼(9)이 애퍼처(20)를 통해 돌출되도록 최상위 커버(2)의 애퍼처(20)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구획부(10)는 버튼(9)의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돌출부(25)는 키패드(4)의 베이스(12)에 접촉한다. 최상위 커버(2) 및 밑면 커버(6)는 인터록되어 완전한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1)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1)의 광 파이프(3)는 최상위 커버(2) 및 키패드(4)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광 파이프(3)를 이용하여 백라이팅을 갖지 않는 기존의 원격 제어부를, 광 파이프(3)의 두께를 보상하도록 원격 제어부를 재설계하지 않고서, 백라이팅을 갖는 원격 제어부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툴링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백라이팅을 구비하지 않는 원격 제어부 및 백라이팅을 구비하는 원격 제어부를 제조할 수 있다. 별도의 툴링은 필요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백라이팅을 갖는 원격 제어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백라이팅을 갖지 않는 원격 제어부가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며 단지 차이점은 광 파이프(3)의 존재에 있다. 또한, 최상위 커버(2) 및 키패드(4) 사이의 광 파이프(3)의 위치 설정으로 인해 광 파이프(3)의 크기 및 형상을 쉽게 변경하여 광 분포를 변조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중 일부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른 많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며, 청구범위 및 그 등가의 전체 범위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결정된다.

Claims (20)

  1. 백라이팅을 갖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로서,
    복수의 애퍼처(aperture)들을 갖는 최상위 커버, 및 밑면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회로 보드와,
    상기 최상위 커버의 애퍼처들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버튼들을 갖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키패드와,
    상기 하우징의 최상위 커버 및 상기 키패드 사이에서 상기 키패드의 최상위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광 파이프 - 상기 광 파이프를 통해 광이 상기 버튼들로 분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위 커버는 구획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들은 상기 구획부들 사이에 상기 버튼들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최상위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키패드의 베이스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획부들은, 상기 광 파이프와 접촉하고 또한 상기 광 파이프의 컷아웃(cut-out)들을 통해 상기 키패드의 베이스와 접촉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베이스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갖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회로 보드에 표면 실장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는, 상기 키패드의 버튼들에 대응하며 상기 버튼들을 수용하는 개구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들은 상기 키패드의 베이스와 접촉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분산 슬롯을 갖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들은 상기 회로 보드 상의 도전성 컨택트들에 대응하는 컨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들이 상기 회로 보드 쪽으로 눌려질 때 상기 컨택트들이 상기 도전성 컨택트들과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는 상기 키패드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12. 백라이팅을 갖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로서,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표면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회로 보드와,
    상기 회로 보드의 최상위면 상에 배치된 베이스를 갖는 키패드 - 상기 베이스는 상기 회로 보드로부터 멀어지면서 연장되는 복수의 버튼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가짐 - 와,
    상기 키패드의 버튼들에 대응하는 개구들을 갖는 광 파이프 - 상기 광 파이프는, 상기 키패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들이 상기 개구들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광 파이프를 통해 광이 상기 버튼들로 분산되게 함 -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최상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최상위 커버는, 상기 버튼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애퍼처들과 구획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들은, 상기 구획부들 사이에 상기 버튼들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최상위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키패드의 베이스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획부들은, 상기 광 파이프와 접촉하고 또한 상기 광 파이프의 컷아웃들을 통해 상기 키패드의 베이스와 접촉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들은 상기 키패드와 접촉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상기 회로 보드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배열되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는 상기 키패드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들은 상기 회로 보드 상의 도전성 컨택트들에 대응하는 컨택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들이 상기 회로 보드 쪽으로 눌려질 때, 상기 컨택트들이 상기 도전성 컨택트들과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 실장된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 분산 슬롯을 갖는,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KR1020057025165A 2003-07-01 2004-06-14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키패드 백라이팅 광 파이프 KR101121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11,692 US20050002170A1 (en) 2003-07-01 2003-07-01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keypad back lighting light pipe
US10/611,692 2003-07-01
PCT/US2004/019016 WO2005006367A1 (en) 2003-07-01 2004-06-14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keypad back lighting light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281A KR20060037281A (ko) 2006-05-03
KR101121851B1 true KR101121851B1 (ko) 2012-03-21

Family

ID=3355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165A KR101121851B1 (ko) 2003-07-01 2004-06-14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키패드 백라이팅 광 파이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50002170A1 (ko)
EP (1) EP1639615B1 (ko)
JP (1) JP2007520853A (ko)
KR (1) KR101121851B1 (ko)
CN (1) CN100433218C (ko)
DE (1) DE602004005457T2 (ko)
MY (1) MY137894A (ko)
WO (1) WO20050063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1237B2 (en) * 2003-01-31 2006-12-19 Neeco-Tron, Inc. Control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350934B2 (en) * 2005-05-03 2008-04-01 Delphi Technologies, Inc. Illuminated display system
JP4238848B2 (ja) * 2005-06-24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
JP4721833B2 (ja) * 2005-09-05 2011-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照明付キーパネル
JP4646748B2 (ja) * 2005-09-06 2011-03-09 三洋電機株式会社 照明付キーパネル
US7071434B1 (en) 2005-10-05 2006-07-04 Lear Corporation Button and light pipe mechanism and assembly
US7431487B2 (en) * 2006-03-31 2008-10-07 Lear Corporation Concatenated light pipe
US7357647B1 (en) 2007-02-22 2008-04-15 Lear Corporation Assembly for controlling a device
CN201129642Y (zh) * 2007-11-29 2008-10-0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发光二极管显示模组以及使用该模组的洗涤设备
US20110222266A1 (en) * 2010-03-12 2011-09-15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illuminated operating element
DE102014221784A1 (de) * 2014-10-27 2016-04-2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Eingabevorrichtung und einer Kodiervorrichtung
CN106558439A (zh) * 2015-09-30 2017-04-05 明光市奇美橡塑有限公司 一种遥控器橡胶按键
US20200284014A1 (en) * 2019-03-08 2020-09-10 Lixil Corporation Toilet remote controll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4748A2 (en) * 1983-09-12 1985-03-20 Carrier Corporation Variable width diffuser
US5130897A (en) * 1991-10-31 1992-07-14 At&T Bell Laboratories Light guide for a telephone dial
WO2002052594A1 (fr) 2000-12-25 2002-07-04 Sony Corporation Appareil electroniqu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4879A (en) * 1977-05-20 1978-11-07 Motorola, Inc. Illumination apparatus for use in an illuminatable pushbutton keyset and the like
JPS5686723U (ko) * 1979-12-07 1981-07-11
US4349705A (en) * 1981-05-06 1982-09-14 Northern Telecom Limited Lighted telephone dial
US4636593A (en) * 1985-03-13 1987-01-13 Motorola Inc. Light conducting, elastomeric membrane keypad
JPH0828148B2 (ja) * 1987-11-19 1996-03-21 富士通株式会社 キーボードの構造
GB2235295B (en) * 1989-08-24 1993-09-08 Technophone Ltd Light guide
US5153590A (en) * 1991-02-04 1992-10-06 Motorola, Inc. Keypad apparatus
US5644303A (en) * 1993-06-01 1997-07-01 Sony Corporation Specialized shaped universal remote commander
KR960003475U (ko) * 1994-06-08 1996-01-22 라이팅 리모트콘트롤
US5537300A (en) * 1995-02-01 1996-07-16 Kraco Enterprises, Inc. Control panel
US5746493A (en) * 1996-03-08 1998-05-05 Ericsson Inc. Light guide for a display or keyboard
US5977901A (en) * 1996-12-09 1999-11-02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 unit with backlit function indicator
US6006118A (en) * 1997-12-05 1999-12-21 Ericsson Inc. Keypad lightguides including compartments
US6950680B2 (en) * 2001-09-17 2005-09-27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N100387037C (zh) * 2001-11-13 2008-05-07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具键盘发光功能之导光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4748A2 (en) * 1983-09-12 1985-03-20 Carrier Corporation Variable width diffuser
US5130897A (en) * 1991-10-31 1992-07-14 At&T Bell Laboratories Light guide for a telephone dial
WO2002052594A1 (fr) 2000-12-25 2002-07-04 Sony Corporation Appareil electronique
KR20020073587A (ko) * 2000-12-25 2002-09-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20853A (ja) 2007-07-26
KR20060037281A (ko) 2006-05-03
EP1639615B1 (en) 2007-03-21
EP1639615A1 (en) 2006-03-29
DE602004005457T2 (de) 2007-11-29
CN1806306A (zh) 2006-07-19
WO2005006367A1 (en) 2005-01-20
DE602004005457D1 (de) 2007-05-03
CN100433218C (zh) 2008-11-12
MY137894A (en) 2009-03-31
US20050002170A1 (en)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851B1 (ko) 전자 장치 원격 제어부 키패드 백라이팅 광 파이프
JP4563895B2 (ja) バックライト機能を備えたプッシュ式スイッチ
JP2011119168A (ja) 光源ユニット及び車輌用灯具
JP4475543B2 (ja) コネクタ
CN110678918B (zh) 指示装置和电池组件
US20020056632A1 (en) Illuminated switching device for stabilized illumination to translucent portion of knob
TWM527987U (zh) 鍵盤
CN113451064A (zh) 按钮开关
KR100783563B1 (ko) 간접조명방식을 이용한 초박형 7세그먼트의 구조
JP2018156794A (ja) 照明装置
CN113631858B (zh) 车辆用灯具
KR20130135966A (ko) Led 발광 유닛
US20130329435A1 (en) Led lighting unit
KR102246802B1 (ko) 차량용 조명 기구
US20230400172A1 (en) Prefab lighting device
JP2003257271A (ja) 照光式押し釦スイッチ装置
CN218920731U (zh) 电子装置
US11858409B2 (en) Spotlight modular assembly for charging inlets
JP7266051B2 (ja) スイッチ
US6010231A (en) Light source holding device
JP2018156796A (ja) 照明装置
JP2019160815A (ja) 照明装置
MXPA05014006A (en) Electronic device remote control keypad back lighting light pipe
JPS6224897Y2 (ko)
JP2018156795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