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198B1 - 태반에서 추출된 펩타이드 혼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태반에서 추출된 펩타이드 혼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198B1
KR101121198B1 KR1020090044103A KR20090044103A KR101121198B1 KR 101121198 B1 KR101121198 B1 KR 101121198B1 KR 1020090044103 A KR1020090044103 A KR 1020090044103A KR 20090044103 A KR20090044103 A KR 20090044103A KR 101121198 B1 KR101121198 B1 KR 10112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ion
leu
seq
human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079A (ko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주)노바셀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바셀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노바셀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9004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198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by hydrolysis, i.e. solvolysi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4Osteocytes, Osteoblasts, Odontocytes; Bones, Tee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13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 C12N2506/1346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from mesenchymal stem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태반에서 추출된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태반을 약산 용액으로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반으로부터 펩타이드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펩타이드 혼합물의 골분화 유도에 있어서의 용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태반에서 추출된 펩타이드 혼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Peptide mixture extracted from human placenta,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태반에서 추출된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태반을 약산 용액으로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반으로부터 펩타이드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펩타이드 혼합물의 골분화 유도에 있어서의 용도가 제공된다.
태반(placenta)은 한방에서 자하거(紫河車)라고도 칭해지며, 그 구성성분으로 필수 아미노산 외에 수십 종류의 아미노산, 펩타이드, 비타민, 다당류, 핵산, 미네랄, 효소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류가 포함되어 있어 피로회복, 면역증강 등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태반은 아미노산 티로신으로부터 멜라닌 과립 생성을 촉매하는 효소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멜라닌 색소를 포함하는 세포의 배출을 촉진하는 작용을 발휘하여 기미 예방과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결국 색소 침착을 예방하는 작용뿐만 아니라 미백작용 도 나타내게 된다.
또한, 태반의 조직 대사 촉진작용이 피지의 분비선 기능을 높여 피지의 분비를 정상화한 결과 잔주름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진피 조직이 탄력성을 잃게 되면 깊은 주름과 피부 처짐이 일어나는데, 진피 조직에서는 섬유아 세포가 콜라 겐 및 콜라겐을 묶어주는 엘라스틴과 그 사이를 채워주는 히아루론산을 생성한다. 따라서, 섬유아세포의 쇠퇴가 깊은 주름의 원인이 되는 바, 태반에는 섬유아세포의 증식인자(FGF)가 포함되어 있어 섬유아 세포의 증식, 재생을 촉진하며 이의 활성화를 통해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의 양을 증가시켜 피부의 신축성이나 탄력성을 회복하여 깊은 주름과 피부처짐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태반의 세포 성장/증식 촉진 효과에 주목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태반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화장품 또는 의약용으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종래의 태반 추출 방법으로서, 강산(보통 3N 염산)이나 강알칼리를 이용하여 가수분해 하는 방법이 행해져 왔으나, 이 방법에서는 장시간 고온 처리를 행하는 과정에서 태반이 가지고 있는 각종 아미노산, 성장 촉진인자, 사이토카인, 히아루론산, 성장인자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비활성화 되거나 소멸되는 문제가 있다. 산처리 방법 이외에 가수분해효소를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태반 추출물에 가수분해효소가 불순물로 포함되는 단점과 고비용의 생산과정 및 반응의 반복재현성의 부분에서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단순하고 저비용의 반복재현성이 확보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태반 추출물의 효과에 대한 생리화학적 검증이 적절한 과정을 통하여 과학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과학적인 시스템에서의 가수분해물이 가지는 효과의 검증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태반을 특정 조건에서 펩타이드 상태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새로운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태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일례는 태반을 pH 2 내지 3 의 초산 용액으로 95 내지 105℃에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상기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골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상기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및/또는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태반에 pH 2 내지 3 의 초산 용액을 첨가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골수로부터 분리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상기 펩타이드 혼합물과 함께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태반을 pH 2 내지 3 의 산 용액으로 95 내지 105℃에서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펩타이드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태반을 염산 등의 강산 또는 강알칼리 및/또는 펩신과 같은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장시간 가수분해하여 태반 추출물을 얻었는데, 이러한 경우 태반에 존재하는 단백질이 완전히 분해되어 아미노산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백질이 아미노산 상태로 완전 분해되고 고온 처리 과정을 거침으로써, 아미노산, 성장촉진인자, 사이토카인, 히아루론산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비활성화 되거나 소멸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태반을 95 내지 105℃의 온도 범위에서 pH 2-3 의 약산, 예컨대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및 포름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으로 가수분해하게 되면, 태반에 포함된 단백질이 아미노산 상태로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약 7 내지 40 개의 아미노산 길이의 펩타이드 상태로 분해된다. 기존의 방법과 같이 태반을 강산 또는 강알칼리 및/또는 가수분해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가수분해물에 존재하는 아미노산들은 기능적 단위로서 작용할 수 없지만,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펩타이드 혼합물 내의 펩타이드들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유효성분으로서 작용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태반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인태반 또는 돈태반일 수 있다. 가수분해시 pH 가 너무 낮으면 가수분해 선별성 (아스파라긴산 부위만 분해)이 떨어져서 강산을 사용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완전히 분해되고, pH가 높으면 가수분해 반응의 효율이 낮아지므로, 태반이 아미노산으로 완전히 분해되지 않으면서 적정한 가수분해 효과를 얻기 위하여, 약산을 사 용하여 pH를 2 내지 3 범위로 맞추어 가수분해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pH가 상기 범위로 맞추어진다면 사용 가능한 약산의 종류에는 크게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포름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이 펩타이드로 효과적으로 분해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수분해 온도는 약 95℃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얻어진 펩타이드의 열에 의한 변성을 막기 위하여 약 105℃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태반의 가수분해 온도는 95 내지 105℃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가수분해 시간은 충분하고 적정한 가수분해 결과를 얻기 위하여, 1 내지 4시간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조건 하에서는 아스파라긴산 부위만 선별적으로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다양한 펩타이드 성분이 얻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산도(pH)가 낮아지면 가수분해의 아스파라긴산 부위에 대한 선별성이 떨어져 강산의 경우와 같이 펩타이드 형태가 아닌 아미노산 형태로 가수분해되고, 산도가 높아지면 가수분해반응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태반을 pH 2-3의 약산으로 95 내지 105℃에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가수분해물에 함유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약 7-40개, 바람직하게는 7-30개의 아미노산 길이의 다양한 펩타이드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참조). 이들 펩타이드들은 기능 발휘에 충분한 아미노산 길이를 가짐으로써 각각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는 새로운 유효성분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분석된 펩타이드들은 다음의 단백질로부터 유래하는 7-40개, 바람직하게는 7-30개 아미노산 길이의 펩타이드, 즉 다음의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 연속하는 7-40개, 바람직하게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들이다: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베타(Hemoglobin subunit beta, 예컨대, Accession No. P6887),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감마-1(Hemoglobin subunit gamma-1, 예컨대, Accession No. P69891), H3L(H3-Histone H3-like, 예컨대, Accession No. Q6NXT2), 융모성 소마토맘모트로핀 호르몬(Chorionic somatomammotropin hormone, 예컨대, Accession No. P01243), 비트로넥틴(Vitronectin, 예컨대, Accession No. P04004), 피브로넥틴(Fibronect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51), 아넥신 A5(Annexin A5, 예컨대, Accession No. P08758), 아넥신 A2(Annexin A2, 예컨대, Accession No. P07355), ACTB(Actin, cytoplasmic 1, 예컨대, Accession No. P60709), 이뮤노글로불린 감마-3 체인 C 부위(Ig gamma-3 chain C region, 예컨대, Accession No. P01860),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알파(Hemoglobin subunit alpha, 예컨대, Accession No. P69905), 미토콘드리아 말레이트 탈수소효소(Malate dehydrogenase,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40926), S10AB(Protein S100-A11, 예컨대, Accession No. P31949), 아넥신 A1(Annexin A1, 예컨대, Accession No. P04083), 아넥신 A3(Annexin A3, 예컨대, Accession No. P12429), 미토콘드리아 10kD 열충격 단백질(10 kDa heat shock protein,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61604), 혈청 알부민(Serum album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68), ACTA (Actin, aortic smooth muscle, 예컨대, Accession No. P62736), ERH(Enhancer of rudimentary homolog, 예컨대, Accession No. P84090),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 결 합 단백질 G(I)/G(S)/G(O) 서브유닛 감마-12(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G(I)/G(S)/G(O) subunit gamma-12, 예컨대, Accession No. Q9UBI6), 단백질-글루타민 감마-글루타밀트랜스퍼레이즈 2(Protein-glutamine gamma-glutamyltransferase 2, 예컨대, Accession No. P21980), 라스-관련 C3 보툴리눔 톡신 서브스트레이트 2(Ras-related C3 botulinum toxin substrate 1, 예컨대, Accession No. P63000), 미토콘드리아 ATP 신테이즈 서브유닛 알파(ATP synthase subunit alpha,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25705), 프로히비틴(Prohibitin, 예컨대, Accession No. P35232), 아민 옥시데이즈 [플라빈-함유] A(Amine oxidase [flavin-containing] A, 예컨대, Accession No. P21397), TINAL(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ntigen-like, 예컨대, Accession No. Q9GZM7), 아포리포프로테인 A-1(Apolipoprotein A-I, 예컨대, Accession No. P02647), 미토콘드리아 60kD 열충격 단백질(60 kDa heat shock protein,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10809),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Cu-Zn](Superoxide dismutase [Cu-Zn], 예컨대, Accession No. P00441), NADH-사이토크롬 b5 리덕테이즈 1(NADH-cytochrome b5 reductase 1, 예컨대, Accession No. Q9UHQ9), 뉴런 특이적 칼슘 결합 단백질 히포칼신(Neuron-specific calcium-binding protein hippocalcin, 예컨대, Accession No. P84074), S10A6(Protein S100-A6, 예컨대, Accession No. P06703), 미토콘드리아 ATP 신테이즈 서브유닛 델타(ATP synthase subunit delta,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30049), 탄산탈수효소(Carbonic anhydrase 1, 예컨대, Accession No. P00915), 클러스테린(Clusterin, 예컨대, Accession No. P10909), 미오신 조절 경쇄 MRLC2(Myosin regulatory light chain MRLC2, 예컨대, Accession No. O14950), 아넥신 A6(Annexin A6, 예컨대, Accession No. P08133), 막통과 당단백질 NMB(Transmembrane glycoprotein NMB, 예컨대, Accession No. Q14956), 콜라겐 알파-3(VI) 체인(Collagen alpha-3(VI) chain, 예컨대, Accession No. P12111), 갈렉틴-1(Galectin-1, 예컨대, Accession No. P09382), 피브리노겐 베타 체인(Fibrinogen beta chain, 예컨대, Accession No. P02675), 알파-2-HS-당단백질(Alpha-2-HS-glycoprote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65), 세포분열 조절 단백질 42(Cell division control protein 42 homolog, 예컨대, Accession No. P60953), 세로트랜스페린(Serotransferr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87), 아넥스 A4(Annexin A4, 예컨대, Accession No. P09525), S10AA(Protein S100-A10, 예컨대, Accession No. P60903), 시냅스 당단백질 SC2(Synaptic glycoprotein SC2, 예컨대, Accession No. Q9NZ01), 구아닌 뉴크레오타이드 결합 단백질 G(I)/G(S)/G(O) 서브유닛 감마-5(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G(I)/G(S)/G(O) subunit gamma-5, 예컨대, Accession No. P63218), 탈린-1(Talin-1, 예컨대, Accession No. Q9Y490), 트리펩티딜 펩티데이즈 1(Tripeptidyl-peptidase 1, 예컨대, Accession No. O14773), 미토콘드리아 3-케토아실-CoA 티올레이즈(3-ketoacyl-CoA thiolase,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42765), 미토콘드리아 글루타메이트 탈수소효소 1(Glutamate dehydrogenase 1,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00367), 니도겐-2(Nidogen-2, 예컨대, Accession No. Q14112), 알파-2-HS-당단백질(Alpha-2-HS-glycoprote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65), 펩티딜-프롤릴 시스 -트랜스 아이소머레이즈 B(Peptidyl-prolyl cis-trans isomerase B, 예컨대, Accession No. P23284), 미토콘드리아 ATP 신테이즈 서브유닛 베타(ATP synthase subunit beta,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06576), NADH 탈수소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서브유닛 2(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1 alpha subcomplex subunit 2, 예컨대, Accession No. O43678), 클라트린 중쇄 1(Clathrin heavy chain 1, 예컨대, Accession No. Q00610), 기저막 특이적 헤파린 설페이트 프로테오슬리칸 코어 단백질(Basement membrane-specific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core protein, 예컨대, Accession No. P98160), K0146(Uncharacterized protein KIAA0146, 예컨대, Accession No. Q14159), 아포리포프로테인 (a)(Apolipoprotein(a), 예컨대, Accession No. P08519), 및 미토콘드리아 티오레독신(Thioredoxin,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Q99757).
상기 단백질 유래의 펩타이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베타(Hemoglobin subunit beta, Accession No. P6887)의 경우, 71 번째 아미노산부터 110번째 아미노산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40개, 바람직하게는 71번째부터 10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1 내지 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감마-1(Hemoglobin subunit gamma-1, 예컨대, Accession No. P69891)의 경우, 21번째부터 50번째까지 또는 76번째부터 10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9 내지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H3L(H3-Histone H3-like, 예컨대, Accession No. Q6NXT2)의 경우, 101번째부터 1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16 및 1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융모성 소마토맘모트로핀 호르몬(Chorionic somatomammotropin hormone, 예컨대, Accession No. P01243)의 경우, 171번째부터 20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18 내지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비트로넥틴(Vitronectin, Accession No. P04004)의 경우, 449번째부터 478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피브로넥틴(Fibronect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51), 1506번째부터 1535번째까지, 또는 2121번째부터 215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22 내지 2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아넥신 A5(Annexin A5, 예컨대, Accession No. P08758)의 경우, 66번째부터 95번째까지 또는 291번째부터 32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25 내지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아넥신 A2(Annexin A2, 예컨대, Accession No. P07355)의 경우, 1번째부터 4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40개의 아미노산 및/또는 310번째부터 339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29 내지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ACTB(Actin, cytoplasmic 1, 예컨대, Accession No. P60709)의 경우, 206번째부터 235번째까지 또는 346번째부터 37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35 내지 3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이뮤노글로불린 감마-3 체인 C 부위(Ig gamma-3 chain C region, 예컨대, Accession No. P01860)의 경우, 276번째부터 30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38 내지 4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알파(Hemoglobin subunit alpha, 예컨대, Accession No. P69905)의 경우, 91번째부터 142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4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41 내지 4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말레이트 탈수소효소(Malate dehydrogenase,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40926)의 경우, 21번째부터 60번째 또는 181번째부터 22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4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44 내지 4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S10AB(Protein S100-A11, 예컨대, Accession No. P31949)의 경우, 1번째부터 60번째까지 중 연속하는 7-4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48 내지 5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아넥신 A1(Annexin A1, 예컨대, Accession No. P04083)의 경우, 91번째부터 12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51 및 5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아넥신 A3(Annexin A3, 예컨대, Accession No. P12429)의 경우, 194번째부터 323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5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10kD 열충격 단백질(10 kDa heat shock protein,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61604)의 경우, 1번째부터 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54 및 5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 다.
혈청 알부민(Serum album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68)의 경우, 191번째부터 220번째, 326번째부터 355번째까지, 또는 381번째부터 41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56 내지 6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ACTA (Actin, aortic smooth muscle, 예컨대, Accession No. P62736)의 경우, 206번째부터 235번째까지 또는 348번째부터 377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63 내지 6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ERH(Enhancer of rudimentary homolog, 예컨대, Accession No. P84090)의 경우, 61번째부터 9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66 내지 6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 결합 단백질 G(I)/G(S)/G(O) 서브유닛 감마-12(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G(I)/G(S)/G(O) subunit gamma-12, 예컨대, Accession No. Q9UBI6)의 경우, 41번째부터 7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6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단백질-글루타민 감마-글루타밀트랜스퍼레이즈 2(Protein-glutamine gamma-glutamyltransferase 2, 예컨대, Accession No. P21980)의 경우, 1번째부터 30번째 까지 또는 186번째부터 21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70 내지 7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라스-관련 C3 보툴리눔 톡신 서브스트레이트 2(Ras-related C3 botulinum toxin substrate 1, 예컨대, Accession No. P63000)의 경우, 1번째부터 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74의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ATP 신테이즈 서브유닛 알파(ATP synthase subunit alpha,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25705)의 경우, 524번째부터 553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7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프로히비틴(Prohibitin, 예컨대, Accession No. P35232)의 경우, 41번째부터 70번째, 또는 111번째부터 14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76 내지 7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아민 옥시데이즈 [플라빈-함유] A(Amine oxidase [flavin-containing] A, 예컨대, Accession No. P21397)의 경우, 336번째부터 36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7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TINAL(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ntigen-like, 예컨대, Accession No. Q9GZM7)의 경우, 236번째부터 27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80 내지 8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아포리포프로테인 A-1(Apolipoprotein A-I, 예컨대, Accession No. P02647)의 경우, 228번째부터 367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40개, 바람직하게는 7-35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8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60kD 열충격 단백질(60 kDa heat shock protein,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10809)의 경우, 541번째부터 56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8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Cu-Zn](Superoxide dismutase [Cu-Zn], 예컨대, Accession No. P00441)의 경우, 1번째부터 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86 및 8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NADH-사이토크롬 b5 리덕테이즈 1(NADH-cytochrome b5 reductase 1, 예컨대, Accession No. Q9UHQ9)의 경우, 201번째부터 2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8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뉴런 특이적 칼슘 결합 단백질 히포칼신(Neuron-specific calcium-binding protein hippocalcin, 예컨대, Accession No. P84074)의 경우, 164번째부터 193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8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S10A6(Protein S100-A6, 예컨대, Accession No. P06703)의 경우, 1번째부터 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9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ATP 신테이즈 서브유닛 델타(ATP synthase subunit delta,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30049)의 경우, 56번째부터 9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4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9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탄산탈수효소(Carbonic anhydrase 1, 예컨대, Accession No. P00915)의 경우, 136번째부터 16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9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클러스테린(Clusterin, 예컨대, Accession No. P10909)의 경우, 391번째부터 42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9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미오신 조절 경쇄 MRLC2(Myosin regulatory light chain MRLC2, 예컨대, Accession No. O14950)의 경우, 91번째부터 12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94 및 9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아넥신 A6(Annexin A6, 예컨대, Accession No. P08133)의 경우, 644번째부터 673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9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막통과 당단백질 NMB(Transmembrane glycoprotein NMB, 예컨대, Accession No. Q14956)의 경우, 251번째부터 28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9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콜라겐 알파-3(VI) 체인(Collagen alpha-3(VI) chain, 예컨대, Accession No. P12111)의 경우, 976번째부터 1105번째까지, 또는 1646번째부터 167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99 및 10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갈렉틴-1(Galectin-1, 예컨대, Accession No. P09382)의 경우, 106번째부터 13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101 및 10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피브리노겐 베타 체인(Fibrinogen beta chain, 예컨대, Accession No. P02675)의 경우, 251번째부터 280번째까지, 또는 306번째부터 33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 및 291번째부터 3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4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103 및 10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알파-2-HS-당단백질(Alpha-2-HS-glycoprote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65)의 경우, 338번째부터 367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0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세포분열 조절 단백질 42(Cell division control protein 42 homolog, 예컨대, Accession No. P60953)의 경우, 1번째부터 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0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세로트랜스페린(Serotransferr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87)의 경우, 101번째부터 130번째까지, 또는 491번째부터 52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 예컨대, 서열번호 109 및 11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 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아넥스 A4(Annexin A4, 예컨대, Accession No. P09525)의 경우, 290번째부터 319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1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S10AA(Protein S100-A10, 예컨대, Accession No. P60903)의 경우, 1번째부터 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1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시냅스 당단백질 SC2(Synaptic glycoprotein SC2, 예컨대, Accession No. Q9NZ01)의 경우, 279번째부터 308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1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구아닌 뉴크레오타이드 결합 단백질 G(I)/G(S)/G(O) 서브유닛 감마-5(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G(I)/G(S)/G(O) subunit gamma-5, 예컨대, Accession No. P63218)의 경우, 36번째부터 6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1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탈린-1(Talin-1, 예컨대, Accession No. Q9Y490)의 경우, 661번째부터 70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 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1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트리펩티딜 펩티데이즈 1(Tripeptidyl-peptidase 1, 예컨대, Accession No. O14773)의 경우, 534번째부터 563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1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3-케토아실-CoA 티올레이즈(3-ketoacyl-CoA thiolase,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42765)의 경우, 1번째부터 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1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글루타메이트 탈수소효소 1(Glutamate dehydrogenase 1,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00367)의 경우, 529번째부터 558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1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니도겐-2(Nidogen-2, 예컨대, Accession No. Q14112)의 경우, 1271번째부터 130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19 및 120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알파-2-HS-당단백질(Alpha-2-HS-glycoprote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65)의 경우, 116번째부터 14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2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펩티딜-프롤릴 시스-트랜스 아이소머레이즈 B(Peptidyl-prolyl cis-trans isomerase B, 예컨대, Accession No. P23284)의 경우, 51번째부터 8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22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ATP 신테이즈 서브유닛 베타(ATP synthase subunit beta,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P06576)의 경우, 366번째부터 406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23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NADH 탈수소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서브유닛 2(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1 alpha subcomplex subunit 2, 예컨대, Accession No. O43678)의 경우, 41번째부터 7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2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클라트린 중쇄 1(Clathrin heavy chain 1, 예컨대, Accession No. Q00610)의 경우, 1466번째부터 149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25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기저막 특이적 헤파린 설페이트 프로테오슬리칸 코어 단백질(Basement membrane-specific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core protein, 예컨대, Accession No. P98160)의 경우, 1206번째부터 1235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2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K0146(Uncharacterized protein KIAA0146, 예컨대, Accession No. Q14159)의 경우, 101번째부터 13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27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아포리포프로테인 (a)(Apolipoprotein(a), 예컨대, Accession No. P08519) 의 경우, 4491번째부터 4520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28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티오레독신(Thioredoxin, mitochondrial, 예컨대, Accession No. Q99757) 의 경우, 137번째부터 166번째까지 중에서 연속하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서열번호 12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들로부터 유래한 7-40개 아미노산 길이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129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펩타이드 혼합물은 아스파라긴산에서만 특이적으로 가수분해가 일어나서 얻어진 것이고, 이때 가수분해는 아스파라긴산의 N 말단과 C 말단에서 무작위로 일어나므로, 상기 단백질의 구간 내의 연속하는 7-40개 또는 7-30개의 아미노산은 해당 구간 내에 존재하는 아스파라긴산 또는 그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아미노산부터 인접하거나 40번째 아미노산 이내에 내에 존재하는 아스파라긴산 또는 그 바로 앞에 위치하는 아미노산까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에 존재하는 펩타이드 종류의 예와 이들이 유래하는 단백질을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단백질 (UniProtKB) Accession No. 펩타이드
 HBB_HUMAN  Hemoglobin subunit beta GN=HBB PE=1 SV=2_2_147 P68871 D.NLKGTFATLSELHC.D (서열번호 1)
D.NLKGTFATLSELHCD.K (서열번호 2)
D.NLKGTFATLSELHCDKLHV.D (서열번호 3)
D.GLAHLDNLKGTFATLSELHC.D (서열번호 4)
D.NLKGTFATLSELHCDKLHVD.P (서열번호 5)
D.GLAHLDNLKGTFATLSELHCD.K (서열번호 6)
D.GLAHLDNLKGTFATLSELHCDKLHV.D (서열번호 7)
D.GLAHLDNLKGTFATLSELHCDKLHVD.P (서열번호 8)
 HBG1_HUMAN  Hemoglobin subunit gamma-1 GN=HBG1 PE=1 SV=2_2_147 P69891 D.LKGTFAQLSELHC.D (서열번호 9)
D.DLKGTFAQLSELHC.D (서열번호 10)
D.LKGTFAQLSELHCD.K (서열번호 11)
D.LKGTFAQLSELHCDKLHV.D (서열번호 12)
D.LKGTFAQLSELHCDKLHVD.P (서열번호 13)
D.AGGETLGRLLVVYPWTQRFF.D (서열번호 14)
D.AGGETLGRLLVVYPWTQRFFD.S (서열번호 15)
 H3L_HUMAN  Histone H3-like PE=2 SV=3_2_135 Q6NXT2 D.TNLCAIHAKRVTIMPK.D (서열번호 16)
D.TNLCAIHAKRVTIMPKD.I (서열번호 17)
 CSH_HUMAN  Chorionic somatomammotropin hormone GN=CSH1 PE=1 SV=2_27_217 P01243 D.ALLKNYGLLYCFRK.D (서열번호 18)
D.ALLKNYGLLYCFRKD.M (서열번호 19)
D.ALLKNYGLLYCFRKDM.D (서열번호 20)
 VTNC_HUMAN  Vitronectin GN=VTN PE=1 SV=1_20_478 P04004 D.PPYPRSIAQYWLGCPAPGHL.- (서열번호 21)
 FINC_HUMAN  Fibronectin GN=FN1 PE=1 SV=3_32_2386 P02751 D.YTITVYAVTGRG.D (서열번호 22)
D.TSEYIISCHPVGT.D (서열번호 23)
D.TSEYIISCHPVGTD.E (서열번호 24)
 ANXA5_HUMAN  Annexin A5 GN=ANXA5 PE=1 SV=2_2_320 P08758 D.YKKALLLLCGE.D (서열번호 25)
D.YKKALLLLCGED.D (서열번호 26)
D.TSGDYKKALLLLCGE.D (서열번호 27)
D.LKSELTGKFEKLIVALMKPSRLY.D (서열번호 28)
 ANXA2_HUMAN  Annexin A2 GN=ANXA2 PE=1 SV=2_2_339 P07355 D.YQKALLYLCGG.D (서열번호 29)
D.YQKALLYLCGGD.D (서열번호 30)
-.STVHEILCKLSLEG.D (서열번호 31)
D.TKGDYQKALLYLCGG.D (서열번호 32)
-.STVHEILCKLSLEGD.H (서열번호 33)
-.STVHEILCKLSLEGDHSTPPSAYGSVKAYTNF.D (서열번호 34)
 ACTB_HUMAN  Actin, cytoplasmic 1 GN=ACTB PE=1 SV=1_1_375 P60709 D.IKEKLCYVAL.D (서열번호 35)
D.IKEKLCYVALD.F (서열번호 36)
D.ESGPSIVHRKCF.- (서열번호 37)
 IGHG3_HUMAN  Ig gamma-3 chain C region GN=IGHG3 PE=1 SV=2_1_377 P01860 D.TLMISRTPEVTCVVV.D (서열번호 38)
D.TLMISRTPEVTCVVVD.V (서열번호 39)
D.TLMISRTPEVTCVVVDVSHE.D (서열번호 40)
 HBA_HUMAN  Hemoglobin subunit alpha GN=HBA1 PE=1 SV=2_2_142 P69905 D.KFLASVSTVLTSKYR.- (서열번호 41)
D.PVNFKLLSHCLLVTLAAHLPAEFTPAVHASL.D (서열번호 42)
D.PVNFKLLSHCLLVTLAAHLPAEFTPAVHASLD.K (서열번호 43)
 MDHM_HUMAN  Malate dehydrogenase, mitochondrial GN=MDH2 PE=1 SV=3_25_338 P40926 D.PARVNVPVIGGHAGKTIIPLISQCTPKV.D (서열번호 44)
D.PARVNVPVIGGHAGKTIIPLISQCTPKVD.F (서열번호 45)
-.AKVAVLGASGGIGQPLSLLLKNSPLVSRLTLY.D (서열번호 46)
-.AKVAVLGASGGIGQPLSLLLKNSPLVSRLTLYD.I (서열번호 47)
 S10AB_HUMAN  Protein S100-A11 GN=S100A11 PE=1 SV=2_1_105 P31949 M.AKISSPTETERCIESLIAVFQKYAGK.D (서열번호 48)
M.AKISSPTETERCIESLIAVFQKYAGKD.G (서열번호 49)
D.GYNYTLSKTEFLSFMNTELAAFTKNQK.D (서열번호 50)
 ANXA1_HUMAN  Annexin A1 GN=ANXA1 PE=1 SV=2_2_346 P04083 D.ETLKKALTGHLEEVVLALLKTPAQF.D (서열번호 51)
D.ETLKKALTGHLEEVVLALLKTPAQFD.A (서열번호 52)
 ANXA3_HUMAN  Annexin A3 GN=ANXA3 PE=1 SV=3_2_323 P12429 D.YEITLLKICGG.D (서열번호 53)
 CH10_HUMAN  10 kDa heat shock protein, mitochondrial GN=HSPE1 PE=1 SV=2_2_102 P61604 -.AGQAFRKFLPLF.D (서열번호 54)
-.AGQAFRKFLPLFD.R (서열번호 55)
 ALBU_HUMAN  Serum albumin GN=ALB PE=1 SV=2_25_609 P02768 D.KAACLLPKL.D (서열번호 56)
D.KAACLLPKLD.E (서열번호 57)
D.PHECYAKVF.D (서열번호 58)
D.PHECYAKVFD.E (서열번호 59)
D.KAACLLPKLDELR.D (서열번호 60)
D.KAACLLPKLDELRD.E (서열번호 61)
D.FVESKDVCKNYAEAKD.V (서열번호 62)
 ACTA_HUMAN  Actin, aortic smooth muscle GN=ACTA2 PE=1 SV=1_3_377 P62736 D.IKEKLCYVAL.D (서열번호 63)
D.IKEKLCYVALD.F (서열번호 64)
D.EAGPSIVHRKCF.- (서열번호 65)
 ERH_HUMAN  Enhancer of rudimentary homolog GN=ERH PE=1 SV=1_2_104 P84090 D.LSCLVYRA.D (서열번호 66)
D.LSCLVYRAD.T (서열번호 67)
D.LADLSCLVYRA.D (서열번호 68)
 GBG12_HUMAN  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G(I)/G(S)/G(O) subunit gamma-12 GN=GNG12 PE=1 SV=3_2_69 Q9UBI6 D.PLLIGIPTSENPFKDKKTC.- (서열번호 69)
 TGM2_HUMAN  Protein-glutamine gamma-glutamyltransferase 2 GN=TGM2 PE=1 SV=2_2_687 P21980 D.ICLILL.D (서열번호 70)
-.AEELVLERC.D (서열번호 71)
-.AEELVLERCD.L (서열번호 72)
D.ICLILLDVNPKFLKNAGR.D (서열번호 73)
 RAC1_HUMAN  Ras-related C3 botulinum toxin substrate 1 GN=RAC1 PE=1 SV=1_1_189 P63000 -.MQAIKCVVVG.D (서열번호 74)
(서열번호 ) ATPA_HUMAN  ATP synthase subunit alpha, mitochondrial GN=ATP5A1 PE=1 SV=1_44_553 P25705 D.AKLKEIVTNFLAGFEA.- (서열번호 75)
 PHB_HUMAN  Prohibitin GN=PHB PE=1 SV=1_1_272 P35232 D.ERVLPSITTEILKSVVARF.D (서열번호 76)
D.ERVLPSITTEILKSVVARFD.A (서열번호 77)
D.IVVGEGTHFLIPWVQKPIIF.D (서열번호 78)
 AOFA_HUMAN  Amine oxidase [flavin-containing] A GN=MAOA PE=1 SV=1_1_527 P21397 D.GSLPAIMGFILARKA.D (서열번호 79)
 TINAL_HUMAN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ntigen-like GN=TINAGL1 PE=1 SV=1_22_467 Q9GZM7 D.RVSIHSLGHMTPVLSPQNLLSC.D (서열번호 80)
D.RVSIHSLGHMTPVLSPQNLLSC.D (서열번호 81)
D.RVSIHSLGHMTPVLSPQNLLSCD.T (서열번호 82)
D.RVSIHSLGHMTPVLSPQNLLSCD.T (서열번호 83)
 APOA1_HUMAN  Apolipoprotein A-I GN=APOA1 PE=1 SV=1_25_267 P02647 D.LRQGLLPVLESFKVSFLSALEEYTKKLNTQ.- (서열번호 84)
 CH60_HUMAN  60 kDa heat shock protein, mitochondrial GN=HSPD1 PE=1 SV=2_27_573 P10809 D.AAGVASLLTTAEVVVTEIPKEEK.D (서열번호 85)
 SODC_HUMAN  Superoxide dismutase [Cu-Zn] GN=SOD1 PE=1 SV=2_2_154 P00441 -.ATKAVCVLKG.D (서열번호 86)
-.ATKAVCVLKGD.G (서열번호 87)
 NB5R1_HUMAN  NADH-cytochrome b5 reductase 1 GN=CYB5R1 PE=1 SV=1_1_305 Q9UHQ9 D.PTQCFLLFANQTEK.D (서열번호 88)
 HPCA_HUMAN  Neuron-specific calcium-binding protein hippocalcin GN=HPCA PE=1 SV=2_2_193 P84074 D.PSIVRLLQC.D (서열번호 89)
 S10A6_HUMAN  Protein S100-A6 GN=S100A6 PE=1 SV=1_1_90 P06703 D.QAIGLLVAIFHKYSGREG.D (서열번호 90)
 ATPD_HUMAN  ATP synthase subunit delta, mitochondrial GN=ATP5D PE=1 SV=2_23_168 P30049 D.VPTLTGAFGILAAHVPTLQVLRPGLVVVHAE.D (서열번호 91)
 CAH1_HUMAN  Carbonic anhydrase 1 GN=CA1 PE=1 SV=2_2_261 P00915 D.GLAVIGVLMKVGEANPKLQKVL.D (서열번호 92)
 CLUS_HUMAN  Clusterin GN=CLU PE=1 SV=1_23_449 P10909 D.VPSGVTEVVVKLF.D (서열번호 93)
 MRLC2_HUMAN  Myosin regulatory light chain MRLC2 GN=MYLC2B PE=1 SV=2_2_172 O14950 D.VIRNAFACF.D (서열번호 94)
D.PEDVIRNAFACF.D (서열번호 95)
D.PEDVIRNAFACFD.E (서열번호 96)
 ANXA6_HUMAN  Annexin A6 GN=ANXA6 PE=1 SV=3_2_673 P08133 D.FLKALLALCGGE.D (서열번호 97)
 GPNMB_HUMAN  Transmembrane glycoprotein NMB GN=GPNMB PE=1 SV=2_22_572 Q14956 D.LPIMFDVLIH.D (서열번호 98)
 CO6A3_HUMAN  Collagen alpha-3(VI) chain GN=COL6A3 PE=1 SV=4_26_3177 P12111 D.SFQEVLRFVSEIVD.T (서열번호 99)
D.PAELEQIVLSPAFILAAESLPKIG.D (서열번호 100)
 LEG1_HUMAN  Galectin-1 GN=LGALS1 PE=1 SV=2_2_135 P09382 D.FKIKCVAF.D (서열번호 101)
D.GDFKIKCVAF.D (서열번호 102)
 FIBB_HUMAN  Fibrinogen beta chain GN=FGB PE=1 SV=2_45_491 P02675 D.SSVKPYRVYC.D (서열번호 103)
D.SSVKPYRVYCD.M (서열번호 104)
D.GKNYCGLPGEYWLGND.K (서열번호 105)
D.PYKQGFGNVATNTDGKNYCGLPGEYWLGND.K (서열번호 106)
 FETUA_HUMAN  Alpha-2-HS-glycoprotein GN=AHSG PE=1 SV=1_341_367 P02765 -.TVVQPSVGAAAGPVVPPCPGRIRHFKV.- (서열번호 107)
 CDC42_HUMAN  Cell division control protein 42 homolog GN=CDC42 PE=1 SV=1_1_188 P60953 -.MQTIKCVVVG.D (서열번호 108)
 TRFE_HUMAN  Serotransferrin GN=TF PE=1 SV=2_20_698 P02787 D.EFFSEGCAPGSKK.D (서열번호 109)
D.PQTFYYAVAVVKK.D (서열번호 110
 ANXA4_HUMAN  Annexin A4 GN=ANXA4 PE=1 SV=4_2_319 P09525 D.YRKVLLVLCGG.D (서열번호 111)
 S10AA_HUMAN  Protein S100-A10 GN=S100A10 PE=1 SV=2_2_97 P60903 -.PSQMEHAMETMMFTFHKFAG.D (서열번호 112)
 GPSN2_HUMAN  Synaptic glycoprotein SC2 GN=GPSN2 PE=1 SV=1_1_308 Q9NZ01 D.YPPLRMPIIPFLL.- (서열번호 113)
 GBG5_HUMAN  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G(I)/G(S)/G(O) subunit gamma-5 GN=GNG5 PE=1 SV=3_2_65 P63218 D.PLLTGVSSSTNPFRPQKVC.- (서열번호 114)
 TLN1_HUMAN  Talin-1 GN=TLN1 PE=1 SV=3_1_2541 Q9Y490 D.ALMQLAKAVASAAAALVLKAKSVAQRTE.D (서열번호 115)
 TPP1_HUMAN  Tripeptidyl-peptidase 1 GN=TPP1 PE=1 SV=2_196_563 O14773 D.PVTGWGTPNFPALLKTLLNP.- (서열번호 116)
 THIM_HUMAN  3-ketoacyl-CoA thiolase, mitochondrial GN=ACAA2 PE=1 SV=2_1_397 P42765 M.ALLRGVFVVAAKRTPFGAYGGLLK.D (서열번호 117)
 DHE3_HUMAN  Glutamate dehydrogenase 1, mitochondrial GN=GLUD1 PE=1 SV=2_54_558 P00367 D.LRTAAYVNAIEKVFKVYNEAGVTFT.- (서열번호 118)
 NID2_HUMAN  Nidogen-2 GN=NID2 PE=1 SV=2_31_1375 Q14112 D.PFSKLLCWA.D (서열번호 119)
D.PFSKLLCWAD.A (서열번호 120)
 FETUA_HUMAN  Alpha-2-HS-glycoprotein GN=AHSG PE=1 SV=1_19_300 P02765 D.GKFSVVYAKC.D (서열번호 121)
 PPIB_HUMAN  Peptidyl-prolyl cis-trans isomerase B GN=PPIB PE=1 SV=2_34_216 P23284 D.EDVGRVIFGLFGKTVPKTV.D (서열번호 122)
 ATPB_HUMAN  ATP synthase subunit beta, mitochondrial GN=ATP5B PE=1 SV=3_48_529 P06576 D.PAPATTFAHLDATTVLSRAIAELGIYPAV.D (서열번호 123)
 NDUA2_HUMAN  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1 alpha subcomplex subunit 2 GN=NDUFA2 PE=1 SV=3_2_99 O43678 D.LPILIRECSD.V (서열번호 124)
 CLH1_HUMAN  Clathrin heavy chain 1 GN=CLTC PE=1 SV=5_2_1675 Q00610 D.YQALRTSI.D (서열번호 125)
 PGBM_HUMAN  Basement membrane-specific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core protein GN=HSPG2 PE=1 SV=3_22_4391 P98160 D.PAAGQAAHTCFL.D (서열번호 126)
 K0146_HUMAN  Uncharacterized protein KIAA0146 GN=KIAA0146 PE=2 SV=2_1_915 Q14159 D.KTLSQLQRD.E (서열번호 127)
 APOA_HUMAN  Apolipoprotein(a) GN=LPA PE=1 SV=1_20_4548 P08519 D.SGGPLVCFEKD.K (서열번호 128)
 THIOM_HUMAN  Thioredoxin, mitochondrial GN=TXN2 PE=1 SV=2_60_166 Q99757 D.QLEAFLKKLIG.- (서열번호 129)
(표 중에서, '.'은 절단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아스파라긴산 앞 또는 뒤에서 무작위로 절단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미노산 서열 옆에 기재된 서열번호는 절단부위인 '.'사이의 아미노산 서열만을 의미한다)
상기 단백질들 중에서,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베타(Hemoglobin subunit beta, 예컨대, Accession No. P6887),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감마-1(Hemoglobin subunit gamma-1, 예컨대, Accession No. P69891), H3L(H3-Histone H3-like, 예컨대, Accession No. Q6NXT2), 융모성 소마토맘모트로핀 호르몬(Chorionic somatomammotropin hormone, 예컨대, Accession No. P01243), 비트로넥틴(Vitronectin, Accession No. P04004), 피브로넥틴(Fibronect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51), 아넥신 A5(Annexin A5, 예컨대, Accession No. P08758), 및 아넥신 A2(Annexin A2, 예컨대, Accession No. P07355)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가 전체 혼합물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고, 그 기능에 있어서도, 분비단백질, 성장인자, 세포외기질단백질(Extracellular Matrix Protein) 등과 같이 줄기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혼합물은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베타(Hemoglobin subunit beta, 예컨대, Accession No. P6887),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감마-1(Hemoglobin subunit gamma-1, 예컨대, Accession No. P69891), H3L(H3-Histone H3-like, 예컨대, Accession No. Q6NXT2), 융모성 소마토맘모트로핀 호르 몬(Chorionic somatomammotropin hormone, 예컨대, Accession No. P01243), 비트로넥틴(Vitronectin, Accession No. P04004), 피브로넥틴(Fibronectin, 예컨대, Accession No. P02751), 아넥신 A5(Annexin A5, 예컨대, Accession No. P08758), 및 아넥신 A2(Annexin A2, 예컨대, Accession No. P07355)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의 연속하는 7-40개, 바람직하게는 7-30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혼합물은 서열번호 1 내지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태반으로부터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은 태반을 pH 2 내지 3 의 산 용액으로 95 내지 105℃에서 1 내지 4 시간 동안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은 초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및 포름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약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수분해 단계에 이어 원심분리, 동결건조 등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공정을 거쳐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pH 2 내지 3 의 약산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가수분해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가수분해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불순물 또는 미분해된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원심분리 조건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2500-3500xg 에서 5 분 내지 20 분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얻어진 가수분해물 또는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산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 공정과 동결건조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 후에 원심분리 (2500-3500xg, 1분 내지 30분)과정을 거쳐 펩타이드 추출물의 상층액을 회수하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산을 제거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펩타이드 혼합물의 농도를 약 3~4mg/ml로 맞추고 0.1 내지 0.3 u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고, 상기 여과액에 통상의 보존제를 첨가하고 100 내지 130℃에서 10분 내지 40분간 고온 고압 멸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은 줄기세포, 예컨대 골수에서 유래하는 중간엽줄기세포의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키는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 및 3a 및 3b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상기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줄기세포, 예컨대 골수, 재대혈 또는 지방세포로부터 분리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상기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과 함께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 방법은 골수, 재대혈 또는 지방세포로부터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상 기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과 함께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과 함께 배양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중간엽줄기세포를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을 포함하는 분화유도배지에서 배양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화유도배지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줄기세포의 분화유도배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FBS(fetal bovine serum), 베타글리세로포스페이트(β-glycerophosphate), 100n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아스코르베이트-2-포스페이트(Ascorbate-2-phosph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화유도배지에 포함된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의 함량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충분한 골분화 효과를 얻기 위하여, 분화유도배지 100 ul 당 0.1 내지 100 u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ug,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ug 인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골분화 유도 효과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은 골재생 및/또는 다양한 골질환의 예방, 개선, 경감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상기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재생용 조성물 또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경감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형성부전증, 골절, 골연화증, 파젯병(Paget's disease), 치주질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생용 조성물 및/또는 골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골질환 부위 주입이나 골질환 부위 수술시 점적, 또는 패치에 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생용 조성물 및/또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경감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질환 종류 및 증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충분한 골재생 및/또는 골질환 예방, 개선, 경감 또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0.05 내지 2mL 로 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태반으로부터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제조 기술에 의하여, 단백질이 완전히 분해되어 아미노산 상태로 존재하는 기존의 태반 가수분해물과 구별되는 펩타이드 혼합물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펩타이드는 고유한 기능을 발휘하여 새로운 유효성분으로서 작용함으로써, 새로운 효과, 예컨대 골분화 유도 효과를 발휘하는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의 제조가 가능하여, 골재생 및 골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의 제조
정상 분만한 산모의 태반을 생리식염수로 수회 세척하고 세절하여 동결건조한 융모 조직 1g을 15 %(v/v) 초산 용액 (pH 2.5) 50mL에 녹인 후, 95℃에서 2 시간 동안 가수분해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의 조건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중 아스파라긴산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일으키도록 고안된 것이다.
얻어진 가수분해액을 원심분리 (3,000xg, 15분) 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동결건조하여 산을 제거하고, 정제수 혹은 0.1%(v/v) 초산 용액 10mL에 녹인 후 0.22um 멤브레인 필터 (Millipore, 미국) 로 여과하여, 고온고압 멸균기 (Autoclave SP510, Yamato, 일본)에서 105℃, 15분간 멸균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1g의 동결건조된 태반으로부터 30 내지 40mg의 펩타이드 혼합물을 얻었다.
태반으로부터 추출된 펩타이드 혼합물을 SDS-PAGE를 이용하여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고, 이를 Coomassie Brilliant Blue로 염색하여, 그 분자량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태반 가수분해물은 분자량 약 4,000 ~ 5,000 Da의 펩타이드가 주종을 이루는 다양한 펩타이드의 혼합물 형태이며 (Lane 3), 기존의 인태반 추출물 (Lane 1, 멜라민, 구주제약)이나 인태반가수분해물 (Lane 2, 라이콘, 구주제약)과는 분자량의 분포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시예 2>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의 성분 분석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인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을 아질런트 1100 나노플로우 시스템 (Agilent Technologies)으로 분리한 후 연동된 QSTAR-XL 질량분석기(Applied Biosystems)로 서열분석하였다. 펩타이드의 결합과 크로마토그래픽 분리는 10㎝의 실리카 emitter(내경 75 m)에 역상 C18레진 (Agilent Technologies)이 충진된 것을 이용하였고, 펩타이드의 시료 로딩은 오토샘플러(Surveyor)로 15 μl/min의 속도로 진행시켰고, 펩타이드는 C18이 충진된 나노컬럼(길이 100 mm)를 이용하여 0.3μl/min의 속도로 분리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이동상은 0.1%(v/v)의 개미산에 0%(v/v)(A)와 100%(v/v)(B)의 아세토나이트릴을 각각 다른 구배(0-10분 구간은 B 3-15%(v/v), 10-15분 구간은 B 15-20%(v/v), 15-105분 구간은 B 20-32.5%(v/v), 105-120분 구간은 B 32.5-45%(v/v), 120-125분 구간은 B 45-90%(v/v)로 올리고 최종 90%(v/v)로 씻어주었다)를 주어 전개하였다.
용출된 펩타이드는 일렉트로스프레이하여 직접 질량분석기로 유입시켰다. 질량분석 소프트웨어는 Mascot 프로그램(버전, 2.1)을 이용,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MS와 MS/MS를 연동하여 분석하도록 수행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하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알부민 등의 분비단백질과 세포막외부구성단백질 (Extracellular Matrix 단백질), 성장호르몬, 히스톤 등 약 60여 가지의 인체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들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가수분해 조건에서 의도된 바와 같이 아스파라긴산의 아미노말단이나 카르복시말단에서 가수분해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석으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30306409-pat00001
Figure 112009030306409-pat00002
Figure 112009030306409-pat00003
Figure 112009030306409-pat00004
Figure 112009030306409-pat00005
Figure 112009030306409-pat00006
Figure 112009030306409-pat00007
Figure 112009030306409-pat00008
Figure 112009030306409-pat00009
Figure 112009030306409-pat00010
Figure 112009030306409-pat00011
Figure 112009030306409-pat00012
Figure 112009030306409-pat00013
Figure 112009030306409-pat00014
<실시예 3>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의 줄기세포 분화에 대한 효과
골수-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96-well plate에 10000개씩 분주하여 성장배지 (15% fetal bovine serum(GIBCO, 미국), DMEM (BioWhittaker, 미국), 50 U/ml penicillin, and 50 ug/ml streptomycin (Invitrogen, 미국))에서 24시간 배양 후, 성장배지를 새로이 교환하여 주고, 48시간 후 분화유도배지 (0.1M dexamethasone, 50uM ascorbate-2-phosphate, 10mM β-glycerophosphate가 추가된 성장배지)로 교환하여 주었다.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은 분화유도배지에 함께 넣어주었다 (분화유도배지 100ul당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을 각각 2.5ug, 5ug, 10ug씩 첨가).
3일에 한번씩 분화유도배지를 교환하여 주면서 분화과정을 모니터 하였다. 분화유도 12일 후 미네랄이 extracellular matrix (ECM)에 침착되는 것을 광학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Alizarin red 염색법을 사용하여 조골세포로의 분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PBS (Phosphate-buffered saline)로 세포를 2번 닦아내고, 4% paraformaldehyde 존재하의 상온에서 15분 반응시켜 세포를 고정하고, 정제수로 3번 세정하고, 100ul Alizarin red 용액 (1% Alizarin Red (sigma, A5533))을 넣고 20분간 반응시켰다. Alizarin red 용액을 제거한 후 정제수로 5번 세정하고 (이 단계에서 이미지를 얻기 위해 스캔하였다), 10% 초산용액을 100ul씩 well에 넣고 30분간 반응시켰다. 30초간 강하게 vortex하고 60℃ dry oven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증발을 방지 위해 sealing sticker를 붙여줌), 10% ammonium hydroxide를 각각의 well에 7ul씩 추가하고, 405nm에서 흡 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는 도 3a 및 3b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도 3a 및 3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이 중간엽줄기세포의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은 SDS-PAGE 를 통하여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의 분자량 분포를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Lane 1: 인태반 추출물, 멜라민 (구주제약), Lane 2: 인태반 가수분해물, 라이콘 (구주제약), Lane 3: 실시예 1의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도 2 는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에 의한 중간엽줄기세포의 조골세포로의 분화 촉진 효과를 보여주는 광학현미경 사진이다 (① 성장배지에서 12 일간 유지시킨 중간엽줄기세포; ② 분화유도배지에 12 일간 배양한 중간엽줄기세포; ③ 2.5ug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이 포함된 분화유도배지에 12 일간 배양한 중간엽줄기세포; ④ 5ug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이 포함된 분화유도배지 12 일간 배양한 중간엽줄기세포; ⑤ 10ug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이 포함된 분화유도배지에 12 일간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
도 3a 및 3b 는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에 의한 중간엽줄기세포의 조골세포로의 분화 촉진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3a 는 Alizarin red 염색 이미지 scan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고 ((1): 성장배지에서 유지시킨 중간엽줄기세포 (triplicate); (2): 분화유도배지에서 12 일간 배양한 중간엽줄기세포 (triplicate), (3): 태반-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이 포함된 분화유도배지에서 12 일간 배양한 중간엽줄기세포로 왼쪽부터 펩타이드 함량 2.5ug, 5ug, 10ug), 3b 는 흡광도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110> Sigmol, Inc. <120> Peptide mixture extracted from human placenta,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160> 129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B_HUMAN <400> 1 Asn Leu Lys Gly Thr Phe Ala Thr Leu Ser Glu Leu His Cys 1 5 10 <210> 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B_HUMAN <400> 2 Asn Leu Lys Gly Thr Phe Ala Thr Leu Ser Glu Leu His Cys Asp 1 5 10 15 <210> 3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B_HUMAN <400> 3 Asn Leu Lys Gly Thr Phe Ala Thr Leu Ser Glu Leu His Cys Asp Lys 1 5 10 15 Leu His Val <210> 4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B_HUMAN <400> 4 Gly Leu Ala His Leu Asp Asn Leu Lys Gly Thr Phe Ala Thr Leu Ser 1 5 10 15 Glu Leu His Cys 20 <210> 5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B_HUMAN <400> 5 Asn Leu Lys Gly Thr Phe Ala Thr Leu Ser Glu Leu His Cys Asp Lys 1 5 10 15 Leu His Val Asp 20 <210> 6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B_HUMAN <400> 6 Gly Leu Ala His Leu Asp Asn Leu Lys Gly Thr Phe Ala Thr Leu Ser 1 5 10 15 Glu Leu His Cys Asp 20 <210> 7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B_HUMAN <400> 7 Gly Leu Ala His Leu Asp Asn Leu Lys Gly Thr Phe Ala Thr Leu Ser 1 5 10 15 Glu Leu His Cys Asp Lys Leu His Val 20 25 <210> 8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B_HUMAN <400> 8 Gly Leu Ala His Leu Asp Asn Leu Lys Gly Thr Phe Ala Thr Leu Ser 1 5 10 15 Glu Leu His Cys Asp Lys Leu His Val Asp 20 25 <210> 9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G1_HUMAN <400> 9 Leu Lys Gly Thr Phe Ala Gln Leu Ser Glu Leu His Cys 1 5 10 <210> 10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G1_HUMAN <400> 10 Asp Leu Lys Gly Thr Phe Ala Gln Leu Ser Glu Leu His Cys 1 5 10 <210> 11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G1_HUMAN <400> 11 Leu Lys Gly Thr Phe Ala Gln Leu Ser Glu Leu His Cys Asp 1 5 10 <210> 12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G1_HUMAN <400> 12 Leu Lys Gly Thr Phe Ala Gln Leu Ser Glu Leu His Cys Asp Lys Leu 1 5 10 15 His Val <210> 13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G1_HUMAN <400> 13 Leu Lys Gly Thr Phe Ala Gln Leu Ser Glu Leu His Cys Asp Lys Leu 1 5 10 15 His Val Asp <210> 14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G1_HUMAN <400> 14 Ala Gly Gly Glu Thr Leu Gly Arg Leu Leu Val Val Tyr Pro Trp Thr 1 5 10 15 Gln Arg Phe Phe 20 <210> 15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G1_HUMAN <400> 15 Ala Gly Gly Glu Thr Leu Gly Arg Leu Leu Val Val Tyr Pro Trp Thr 1 5 10 15 Gln Arg Phe Phe Asp 20 <210> 16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3L_HUMAN <400> 16 Thr Asn Leu Cys Ala Ile His Ala Lys Arg Val Thr Ile Met Pro Lys 1 5 10 15 <210> 17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3L_HUMAN <400> 17 Thr Asn Leu Cys Ala Ile His Ala Lys Arg Val Thr Ile Met Pro Lys 1 5 10 15 Asp <210> 18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SH_HUMAN <400> 18 Ala Leu Leu Lys Asn Tyr Gly Leu Leu Tyr Cys Phe Arg Lys 1 5 10 <210> 1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SH_HUMAN <400> 19 Ala Leu Leu Lys Asn Tyr Gly Leu Leu Tyr Cys Phe Arg Lys Asp 1 5 10 15 <210> 20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SH_HUMAN <400> 20 Ala Leu Leu Lys Asn Tyr Gly Leu Leu Tyr Cys Phe Arg Lys Asp Met 1 5 10 15 <210> 21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VTNC_HUMAN <400> 21 Pro Pro Tyr Pro Arg Ser Ile Ala Gln Tyr Trp Leu Gly Cys Pro Ala 1 5 10 15 Pro Gly His Leu 20 <210> 22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FINC_HUMAN <400> 22 Tyr Thr Ile Thr Val Tyr Ala Val Thr Gly Arg Gly 1 5 10 <210> 2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FINC_HUMAN <400> 23 Thr Ser Glu Tyr Ile Ile Ser Cys His Pro Val Gly Thr 1 5 10 <210> 24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FINC_HUMAN <400> 24 Thr Ser Glu Tyr Ile Ile Ser Cys His Pro Val Gly Thr Asp 1 5 10 <210> 25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5_HUMAN <400> 25 Tyr Lys Lys Ala Leu Leu Leu Leu Cys Gly Glu 1 5 10 <210> 26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5_HUMAN <400> 26 Tyr Lys Lys Ala Leu Leu Leu Leu Cys Gly Glu Asp 1 5 10 <210> 2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5_HUMAN <400> 27 Thr Ser Gly Asp Tyr Lys Lys Ala Leu Leu Leu Leu Cys Gly Glu 1 5 10 15 <210> 28 <211> 2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5_HUMAN <400> 28 Leu Lys Ser Glu Leu Thr Gly Lys Phe Glu Lys Leu Ile Val Ala Leu 1 5 10 15 Met Lys Pro Ser Arg Leu Tyr 20 <210> 29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2_HUMAN <400> 29 Tyr Gln Lys Ala Leu Leu Tyr Leu Cys Gly Gly 1 5 10 <210> 30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2_HUMAN <400> 30 Tyr Gln Lys Ala Leu Leu Tyr Leu Cys Gly Gly Asp 1 5 10 <210> 31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2_HUMAN <400> 31 Ser Thr Val His Glu Ile Leu Cys Lys Leu Ser Leu Glu Gly 1 5 10 <210> 3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2_HUMAN <400> 32 Thr Lys Gly Asp Tyr Gln Lys Ala Leu Leu Tyr Leu Cys Gly Gly 1 5 10 15 <210> 3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2_HUMAN <400> 33 Ser Thr Val His Glu Ile Leu Cys Lys Leu Ser Leu Glu Gly Asp 1 5 10 15 <210> 34 <211> 3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2_HUMAN <400> 34 Ser Thr Val His Glu Ile Leu Cys Lys Leu Ser Leu Glu Gly Asp His 1 5 10 15 Ser Thr Pro Pro Ser Ala Tyr Gly Ser Val Lys Ala Tyr Thr Asn Phe 20 25 30 <210> 35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CTB_HUMAN <400> 35 Ile Lys Glu Lys Leu Cys Tyr Val Ala Leu 1 5 10 <210> 36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CTB_HUMAN <400> 36 Ile Lys Glu Lys Leu Cys Tyr Val Ala Leu Asp 1 5 10 <210> 37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CTB_HUMAN <400> 37 Glu Ser Gly Pro Ser Ile Val His Arg Lys Cys Phe 1 5 10 <210> 3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IGHG3_HUMAN <400> 38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1 5 10 15 <210> 39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IGHG3_HUMAN <400> 39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1 5 10 15 <210> 40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IGHG3_HUMAN <400> 40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1 5 10 15 Val Ser His Glu 20 <210> 4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A_HUMAN <400> 41 Lys Phe Leu Ala Ser Val Ser Thr Val Leu Thr Ser Lys Tyr Arg 1 5 10 15 <210> 42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A_HUMAN <400> 42 Pro Val Asn Phe Lys Leu Leu Ser His Cys Leu Leu Val Thr Leu Ala 1 5 10 15 Ala His Leu Pro Ala Glu Phe Thr Pro Ala Val His Ala Ser Leu 20 25 30 <210> 43 <211> 3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BA_HUMAN <400> 43 Pro Val Asn Phe Lys Leu Leu Ser His Cys Leu Leu Val Thr Leu Ala 1 5 10 15 Ala His Leu Pro Ala Glu Phe Thr Pro Ala Val His Ala Ser Leu Asp 20 25 30 <210> 44 <211> 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MDHM_HUMAN <400> 44 Pro Ala Arg Val Asn Val Pro Val Ile Gly Gly His Ala Gly Lys Thr 1 5 10 15 Ile Ile Pro Leu Ile Ser Gln Cys Thr Pro Lys Val 20 25 <210> 45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MDHM_HUMAN <400> 45 Pro Ala Arg Val Asn Val Pro Val Ile Gly Gly His Ala Gly Lys Thr 1 5 10 15 Ile Ile Pro Leu Ile Ser Gln Cys Thr Pro Lys Val Asp 20 25 <210> 46 <211> 3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MDHM_HUMAN <400> 46 Ala Lys Val Ala Val Leu Gly Ala Ser Gly Gly Ile Gly Gln Pro Leu 1 5 10 15 Ser Leu Leu Leu Lys Asn Ser Pro Leu Val Ser Arg Leu Thr Leu Tyr 20 25 30 <210> 47 <211> 3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MDHM_HUMAN <400> 47 Ala Lys Val Ala Val Leu Gly Ala Ser Gly Gly Ile Gly Gln Pro Leu 1 5 10 15 Ser Leu Leu Leu Lys Asn Ser Pro Leu Val Ser Arg Leu Thr Leu Tyr 20 25 30 Asp <210> 48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S10AB_HUMAN <400> 48 Ala Lys Ile Ser Ser Pro Thr Glu Thr Glu Arg Cys Ile Glu Ser Leu 1 5 10 15 Ile Ala Val Phe Gln Lys Tyr Ala Gly Lys 20 25 <210> 49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S10AB_HUMAN <400> 49 Ala Lys Ile Ser Ser Pro Thr Glu Thr Glu Arg Cys Ile Glu Ser Leu 1 5 10 15 Ile Ala Val Phe Gln Lys Tyr Ala Gly Lys Asp 20 25 <210> 50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S10AB_HUMAN <400> 50 Gly Tyr Asn Tyr Thr Leu Ser Lys Thr Glu Phe Leu Ser Phe Met Asn 1 5 10 15 Thr Glu Leu Ala Ala Phe Thr Lys Asn Gln Lys 20 25 <210> 51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1_HUMAN <400> 51 Glu Thr Leu Lys Lys Ala Leu Thr Gly His Leu Glu Glu Val Val Leu 1 5 10 15 Ala Leu Leu Lys Thr Pro Ala Gln Phe 20 25 <210> 52 <211> 2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1_HUMAN <400> 52 Glu Thr Leu Lys Lys Ala Leu Thr Gly His Leu Glu Glu Val Val Leu 1 5 10 15 Ala Leu Leu Lys Thr Pro Ala Gln Phe Asp 20 25 <210> 5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3_HUMAN <400> 53 Tyr Glu Ile Thr Leu Leu Lys Ile Cys Gly Gly 1 5 10 <210> 54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H10_HUMAN <400> 54 Ala Gly Gln Ala Phe Arg Lys Phe Leu Pro Leu Phe 1 5 10 <210> 55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H10_HUMAN <400> 55 Ala Gly Gln Ala Phe Arg Lys Phe Leu Pro Leu Phe Asp 1 5 10 <210> 5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LBU_HUMAN <400> 56 Lys Ala Ala Cys Leu Leu Pro Lys Leu 1 5 <210> 57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LBU_HUMAN <400> 57 Lys Ala Ala Cys Leu Leu Pro Lys Leu Asp 1 5 10 <210> 58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LBU_HUMAN <400> 58 Pro His Glu Cys Tyr Ala Lys Val Phe 1 5 <210> 59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LBU_HUMAN <400> 59 Pro His Glu Cys Tyr Ala Lys Val Phe Asp 1 5 10 <210> 60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LBU_HUMAN <400> 60 Lys Ala Ala Cys Leu Leu Pro Lys Leu Asp Glu Leu Arg 1 5 10 <210> 61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LBU_HUMAN <400> 61 Lys Ala Ala Cys Leu Leu Pro Lys Leu Asp Glu Leu Arg Asp 1 5 10 <210> 62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LBU_HUMAN <400> 62 Phe Val Glu Ser Lys Asp Val Cys Lys Asn Tyr Ala Glu Ala Lys Asp 1 5 10 15 <210> 6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CTA_HUMAN <400> 63 Ile Lys Glu Lys Leu Cys Tyr Val Ala Leu 1 5 10 <210> 6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CTA_HUMAN <400> 64 Ile Lys Glu Lys Leu Cys Tyr Val Ala Leu Asp 1 5 10 <210> 65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CTA_HUMAN <400> 65 Glu Ala Gly Pro Ser Ile Val His Arg Lys Cys Phe 1 5 10 <210> 66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ERH_HUMAN <400> 66 Leu Ser Cys Leu Val Tyr Arg Ala 1 5 <210> 67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ERH_HUMAN <400> 67 Leu Ser Cys Leu Val Tyr Arg Ala Asp 1 5 <210> 68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ERH_HUMAN <400> 68 Leu Ala Asp Leu Ser Cys Leu Val Tyr Arg Ala 1 5 10 <210> 69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GBG12_HUMAN <400> 69 Pro Leu Leu Ile Gly Ile Pro Thr Ser Glu Asn Pro Phe Lys Asp Lys 1 5 10 15 Lys Thr Cys <210> 70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GM2_HUMAN <400> 70 Ile Cys Leu Ile Leu Leu 1 5 <210> 7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GM2_HUMAN <400> 71 Ala Glu Glu Leu Val Leu Glu Arg Cys 1 5 <210> 7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GM2_HUMAN <400> 72 Ala Glu Glu Leu Val Leu Glu Arg Cys Asp 1 5 10 <210> 73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GM2_HUMAN <400> 73 Ile Cys Leu Ile Leu Leu Asp Val Asn Pro Lys Phe Leu Lys Asn Ala 1 5 10 15 Gly Arg <210> 74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RAC1_HUMAN <400> 74 Met Gln Ala Ile Lys Cys Val Val Val Gly 1 5 10 <210> 75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TPA_HUMAN <400> 75 Ala Lys Leu Lys Glu Ile Val Thr Asn Phe Leu Ala Gly Phe Glu Ala 1 5 10 15 <210> 76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PHB_HUMAN <400> 76 Glu Arg Val Leu Pro Ser Ile Thr Thr Glu Ile Leu Lys Ser Val Val 1 5 10 15 Ala Arg Phe <210> 77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PHB_HUMAN <400> 77 Glu Arg Val Leu Pro Ser Ile Thr Thr Glu Ile Leu Lys Ser Val Val 1 5 10 15 Ala Arg Phe Asp 20 <210> 78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PHB_HUMAN <400> 78 Ile Val Val Gly Glu Gly Thr His Phe Leu Ile Pro Trp Val Gln Lys 1 5 10 15 Pro Ile Ile Phe 20 <210> 7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OFA_HUMAN <400> 79 Gly Ser Leu Pro Ala Ile Met Gly Phe Ile Leu Ala Arg Lys Ala 1 5 10 15 <210> 80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INAL_HUMAN <400> 80 Arg Val Ser Ile His Ser Leu Gly His Met Thr Pro Val Leu Ser Pro 1 5 10 15 Gln Asn Leu Leu Ser Cys 20 <210> 81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INAL_HUMAN <400> 81 Arg Val Ser Ile His Ser Leu Gly His Met Thr Pro Val Leu Ser Pro 1 5 10 15 Gln Asn Leu Leu Ser Cys 20 <210> 82 <211> 2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INAL_HUMAN <400> 82 Arg Val Ser Ile His Ser Leu Gly His Met Thr Pro Val Leu Ser Pro 1 5 10 15 Gln Asn Leu Leu Ser Cys Asp 20 <210> 83 <211> 2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INAL_HUMAN <400> 83 Arg Val Ser Ile His Ser Leu Gly His Met Thr Pro Val Leu Ser Pro 1 5 10 15 Gln Asn Leu Leu Ser Cys Asp 20 <210> 84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POA1_HUMAN <400> 84 Leu Arg Gln Gly Leu Leu Pro Val Leu Glu Ser Phe Lys Val Ser Phe 1 5 10 15 Leu Ser Ala Leu Glu Glu Tyr Thr Lys Lys Leu Asn Thr Gln 20 25 30 <210> 85 <211> 2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H60_HUMAN <400> 85 Ala Ala Gly Val Ala Ser Leu Leu Thr Thr Ala Glu Val Val Val Thr 1 5 10 15 Glu Ile Pro Lys Glu Glu Lys 20 <210> 86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SODC_HUMAN <400> 86 Ala Thr Lys Ala Val Cys Val Leu Lys Gly 1 5 10 <210> 87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SODC_HUMAN <400> 87 Ala Thr Lys Ala Val Cys Val Leu Lys Gly Asp 1 5 10 <210> 88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NB5R1_HUMAN <400> 88 Pro Thr Gln Cys Phe Leu Leu Phe Ala Asn Gln Thr Glu Lys 1 5 10 <210> 89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HPCA_HUMAN <400> 89 Pro Ser Ile Val Arg Leu Leu Gln Cys 1 5 <210> 90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S10A6_HUMAN <400> 90 Gln Ala Ile Gly Leu Leu Val Ala Ile Phe His Lys Tyr Ser Gly Arg 1 5 10 15 Glu Gly <210> 91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TPD_HUMAN <400> 91 Val Pro Thr Leu Thr Gly Ala Phe Gly Ile Leu Ala Ala His Val Pro 1 5 10 15 Thr Leu Gln Val Leu Arg Pro Gly Leu Val Val Val His Ala Glu 20 25 30 <210> 92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AH1_HUMAN <400> 92 Gly Leu Ala Val Ile Gly Val Leu Met Lys Val Gly Glu Ala Asn Pro 1 5 10 15 Lys Leu Gln Lys Val Leu 20 <210> 9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LUS_HUMAN <400> 93 Val Pro Ser Gly Val Thr Glu Val Val Val Lys Leu Phe 1 5 10 <210> 94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MRLC2_HUMAN <400> 94 Val Ile Arg Asn Ala Phe Ala Cys Phe 1 5 <210> 95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MRLC2_HUMAN <400> 95 Pro Glu Asp Val Ile Arg Asn Ala Phe Ala Cys Phe 1 5 10 <210> 96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MRLC2_HUMAN <400> 96 Pro Glu Asp Val Ile Arg Asn Ala Phe Ala Cys Phe Asp 1 5 10 <210> 97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6_HUMAN <400> 97 Phe Leu Lys Ala Leu Leu Ala Leu Cys Gly Gly Glu 1 5 10 <210> 98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GPNMB_HUMAN <400> 98 Leu Pro Ile Met Phe Asp Val Leu Ile His 1 5 10 <210> 99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O6A3_HUMAN <400> 99 Ser Phe Gln Glu Val Leu Arg Phe Val Ser Glu Ile Val Asp 1 5 10 <210> 100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O6A3_HUMAN <400> 100 Pro Ala Glu Leu Glu Gln Ile Val Leu Ser Pro Ala Phe Ile Leu Ala 1 5 10 15 Ala Glu Ser Leu Pro Lys Ile Gly 20 <210> 10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LEG1_HUMAN <400> 101 Phe Lys Ile Lys Cys Val Ala Phe 1 5 <210> 10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LEG1_HUMAN <400> 102 Gly Asp Phe Lys Ile Lys Cys Val Ala Phe 1 5 10 <210> 10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FIBB_HUMAN <400> 103 Ser Ser Val Lys Pro Tyr Arg Val Tyr Cys 1 5 10 <210> 104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FIBB_HUMAN <400> 104 Ser Ser Val Lys Pro Tyr Arg Val Tyr Cys Asp 1 5 10 <210> 105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FIBB_HUMAN <400> 105 Gly Lys Asn Tyr Cys Gly Leu Pro Gly Glu Tyr Trp Leu Gly Asn Asp 1 5 10 15 <210> 106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FIBB_HUMAN <400> 106 Pro Tyr Lys Gln Gly Phe Gly Asn Val Ala Thr Asn Thr Asp Gly Lys 1 5 10 15 Asn Tyr Cys Gly Leu Pro Gly Glu Tyr Trp Leu Gly Asn Asp 20 25 30 <210> 107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FETUA_HUMAN <400> 107 Thr Val Val Gln Pro Ser Val Gly Ala Ala Ala Gly Pro Val Val Pro 1 5 10 15 Pro Cys Pro Gly Arg Ile Arg His Phe Lys Val 20 25 <210> 108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DC42_HUMAN <400> 108 Met Gln Thr Ile Lys Cys Val Val Val Gly 1 5 10 <210> 109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RFE_HUMAN <400> 109 Glu Phe Phe Ser Glu Gly Cys Ala Pro Gly Ser Lys Lys 1 5 10 <210> 110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RFE_HUMAN <400> 110 Pro Gln Thr Phe Tyr Tyr Ala Val Ala Val Val Lys Lys 1 5 10 <210> 11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NXA4_HUMAN <400> 111 Tyr Arg Lys Val Leu Leu Val Leu Cys Gly Gly 1 5 10 <210> 112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S10AA_HUMAN <400> 112 Pro Ser Gln Met Glu His Ala Met Glu Thr Met Met Phe Thr Phe His 1 5 10 15 Lys Phe Ala Gly 20 <210> 113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GPSN2_HUMAN <400> 113 Tyr Pro Pro Leu Arg Met Pro Ile Ile Pro Phe Leu Leu 1 5 10 <210> 114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GBG5_HUMAN <400> 114 Pro Leu Leu Thr Gly Val Ser Ser Ser Thr Asn Pro Phe Arg Pro Gln 1 5 10 15 Lys Val Cys <210> 115 <211> 2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LN1_HUMAN <400> 115 Ala Leu Met Gln Leu Ala Lys Ala Val Ala Ser Ala Ala Ala Ala Leu 1 5 10 15 Val Leu Lys Ala Lys Ser Val Ala Gln Arg Thr Glu 20 25 <210> 116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PP1_HUMAN <400> 116 Pro Val Thr Gly Trp Gly Thr Pro Asn Phe Pro Ala Leu Leu Lys Thr 1 5 10 15 Leu Leu Asn Pro 20 <210> 117 <211> 2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HIM_HUMAN <400> 117 Ala Leu Leu Arg Gly Val Phe Val Val Ala Ala Lys Arg Thr Pro Phe 1 5 10 15 Gly Ala Tyr Gly Gly Leu Leu Lys 20 <210> 118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DHE3_HUMAN <400> 118 Leu Arg Thr Ala Ala Tyr Val Asn Ala Ile Glu Lys Val Phe Lys Val 1 5 10 15 Tyr Asn Glu Ala Gly Val Thr Phe Thr 20 25 <210> 119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NID2_HUMAN <400> 119 Pro Phe Ser Lys Leu Leu Cys Trp Ala 1 5 <210> 120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NID2_HUMAN <400> 120 Pro Phe Ser Lys Leu Leu Cys Trp Ala Asp 1 5 10 <210> 12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FETUA_HUMAN <400> 121 Gly Lys Phe Ser Val Val Tyr Ala Lys Cys 1 5 10 <210> 122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PPIB_HUMAN <400> 122 Glu Asp Val Gly Arg Val Ile Phe Gly Leu Phe Gly Lys Thr Val Pro 1 5 10 15 Lys Thr Val <210> 123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TPB_HUMAN <400> 123 Pro Ala Pro Ala Thr Thr Phe Ala His Leu Asp Ala Thr Thr Val Leu 1 5 10 15 Ser Arg Ala Ile Ala Glu Leu Gly Ile Tyr Pro Ala Val 20 25 <210> 124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NDUA2_HUMAN <400> 124 Leu Pro Ile Leu Ile Arg Glu Cys Ser Asp 1 5 10 <210> 125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CLH1_HUMAN <400> 125 Tyr Gln Ala Leu Arg Thr Ser Ile 1 5 <210> 126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PGBM_HUMAN <400> 126 Pro Ala Ala Gly Gln Ala Ala His Thr Cys Phe Leu 1 5 10 <210> 127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K0146_HUMAN <400> 127 Lys Thr Leu Ser Gln Leu Gln Arg Asp 1 5 <210> 128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APOA_HUMAN <400> 128 Ser Gly Gly Pro Leu Val Cys Phe Glu Lys Asp 1 5 10 <210> 129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derived from THIOM_HUMAN <400> 129 Gln Leu Glu Ala Phe Leu Lys Lys Leu Ile Gly 1 5 10

Claims (14)

  1. 태반을 pH 2 내지 3 의 산 용액으로 95 내지 105℃에서 가수분해하여 얻어지고,
    상기 산은 초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및 포름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인,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반은 인태반 또는 돈태반인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중의 연속하는 7 내지 40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베타(Hemoglobin subunit beta, Accession No. P6887),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감마-1(Hemoglobin subunit gamma-1, Accession No. P69891), H3L(H3-Histone H3-like, Accession No. Q6NXT2), 융모성 소마토맘모트로핀 호르몬(Chorionic somatomammotropin hormone, Accession No. P01243), 비트로넥틴(Vitronectin, Accession No. P04004), 피브로넥틴(Fibronectin, Accession No. P02751), 아넥신 A5(Annexin A5, Accession No. P08758), 아넥신 A2(Annexin A2, Accession No. P07355), ACTB(Actin, cytoplasmic 1, Accession No. P60709), 이뮤노글로불린 감마-3 체인 C 부위(Ig gamma-3 chain C region, Accession No. P01860),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알파(Hemoglobin subunit alpha, Accession No. P69905), 미토콘드리아 말레이트 탈수소효소(Malate dehydrogenase, mitochondrial, Accession No. P40926), S10AB(Protein S100-A11, Accession No. P31949), 아넥신 A1(Annexin A1, Accession No. P04083), 아넥신 A3(Annexin A3, Accession No. P12429), 미토콘드리아 10kD 열충격 단백질(10 kDa heat shock protein, mitochondrial, Accession No. P61604), 혈청 알부민(Serum albumin, Accession No. P02768), ACTA (Actin, aortic smooth muscle, Accession No. P62736), ERH(Enhancer of rudimentary homolog, Accession No. P84090), 구아닌 뉴클레오타이드 결합 단백질 G(I)/G(S)/G(O) 서브유닛 감마-12(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G(I)/G(S)/G(O) subunit gamma-12, Accession No. Q9UBI6), 단백질-글루타민 감마-글루타밀트랜스퍼레이즈 2(Protein-glutamine gamma-glutamyltransferase 2, Accession No. P21980), 라스-관련 C3 보툴리눔 톡신 서브스트레이트 2(Ras-related C3 botulinum toxin substrate 1, Accession No. P63000), 미토콘드리아 ATP 신테이즈 서브유닛 알파(ATP synthase subunit alpha, mitochondrial, Accession No. P25705), 프로히비틴(Prohibitin, Accession No. P35232), 아민 옥시데이즈 [플라빈-함유] A(Amine oxidase [flavin-containing] A, Accession No. P21397), TINAL(Tubulointerstitial nephritis antigen-like, Accession No. Q9GZM7), 아포리포프로테인 A-1(Apolipoprotein A-I, Accession No. P02647), 미토콘드리아 60kD 열충격 단백질(60 kDa heat shock protein, mitochondrial, Accession No. P10809),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Cu-Zn](Superoxide dismutase [Cu-Zn], Accession No. P00441), NADH-사이토크롬 b5 리덕테이즈 1(NADH-cytochrome b5 reductase 1, Accession No. Q9UHQ9), 뉴런 특이적 칼슘 결합 단백질 히포칼신(Neuron-specific calcium-binding protein hippocalcin, Accession No. P84074), S10A6(Protein S100-A6, Accession No. P06703), 미토콘드리아 ATP 신테이즈 서브유닛 델타(ATP synthase subunit delta, mitochondrial, Accession No. P30049), 탄산탈수효소(Carbonic anhydrase 1, Accession No. P00915), 클러스테린(Clusterin, Accession No. P10909), 미오신 조절 경쇄 MRLC2(Myosin regulatory light chain MRLC2, Accession No. O14950), 아넥신 A6(Annexin A6, Accession No. P08133), 막통과 당단백질 NMB(Transmembrane glycoprotein NMB, Accession No. Q14956), 콜라겐 알파-3(VI) 체인(Collagen alpha-3(VI) chain, Accession No. P12111), 갈렉틴-1(Galectin-1, Accession No. P09382), 피브리노겐 베타 체인(Fibrinogen beta chain, Accession No. P02675), 알파-2-HS-당단백질(Alpha-2-HS-glycoprotein, Accession No. P02765), 세포분열 조절 단백질 42(Cell division control protein 42 homolog, Accession No. P60953), 세로트랜스페린(Serotransferrin, Accession No. P02787), 아넥스 A4(Annexin A4, Accession No. P09525), S10AA(Protein S100-A10, Accession No. P60903), 시냅스 당단백질 SC2(Synaptic glycoprotein SC2, Accession No. Q9NZ01), 구아닌 뉴크레오타이드 결합 단백질 G(I)/G(S)/G(O) 서브유닛 감마-5(Guanine nucleotide-binding protein G(I)/G(S)/G(O) subunit gamma-5, Accession No. P63218), 탈린-1(Talin-1, Accession No. Q9Y490), 트리펩티딜 펩티데이즈 1(Tripeptidyl-peptidase 1, Accession No. O14773), 미토콘드리아 3-케토아실-CoA 티올레이즈(3-ketoacyl-CoA thiolase, mitochondrial, Accession No. P42765), 미토콘드리아 글루타메이트 탈수소효소 1(Glutamate dehydrogenase 1, mitochondrial, Accession No. P00367), 니도겐-2(Nidogen-2, Accession No. Q14112), 알파-2-HS-당단백질(Alpha-2-HS-glycoprotein, Accession No. P02765), 펩티딜-프롤릴 시스-트랜스 아이소머레이즈 B(Peptidyl-prolyl cis-trans isomerase B, Accession No. P23284), 미토콘드리아 ATP 신테이즈 서브유닛 베타(ATP synthase subunit beta, mitochondrial, Accession No. P06576), NADH 탈수소효소 [유비퀴논] 1 알파 서브컴플렉스 서브유닛 2(NADH dehydrogenase [ubiquinone] 1 alpha subcomplex subunit 2, Accession No. O43678), 클라트린 중쇄 1(Clathrin heavy chain 1, Accession No. Q00610), 기저막 특이적 헤파린 설페이트 프로테오슬리칸 코어 단백질(Basement membrane-specific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core protein, Accession No. P98160), K0146(Uncharacterized protein KIAA0146, Accession No. Q14159), 아포리포프로테인 (a)(Apolipoprotein(a), Accession No. P08519), 및 미토콘드리아 티오레독신(Thioredoxin, mitochondrial, Accession No. Q99757).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베타(Hemoglobin subunit beta, Accession No. P6887), 헤모글로빈 서브유닛 감마-1(Hemoglobin subunit gamma-1, Accession No. P69891), H3L(H3-Histone H3-like, Accession No. Q6NXT2), 융모성 소마토맘모트로핀 호르몬(Chorionic somatomammotropin hormone, Accession No. P01243), 비트로넥틴(Vitronectin, Accession No. P04004), 피브로넥틴(Fibronectin, Accession No. P02751), 아넥신 A5(Annexin A5, Accession No. P08758), 및 아넥신 A2(Annexin A2, Accession No. P0735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인,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129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인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34 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인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형성부전증, 골절, 골연화증, 파젯병(Paget's disease) 및 치주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타이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재생용 조성물.
  11. 태반을 pH 2 내지 3 의 산 용액으로 95 내지 105℃에서 1 내지 4 시간 동안 가수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은 초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및 포름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인,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얻어진 가수분해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 함하는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의 제조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얻어진 가수분해물 또는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산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태반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의 제조 방법.
  14. 골수로부터 중간엽줄기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중간엽줄기세포를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펩타이드 혼합물과 함께 배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 방법.
KR1020090044103A 2009-05-20 2009-05-20 태반에서 추출된 펩타이드 혼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12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103A KR101121198B1 (ko) 2009-05-20 2009-05-20 태반에서 추출된 펩타이드 혼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103A KR101121198B1 (ko) 2009-05-20 2009-05-20 태반에서 추출된 펩타이드 혼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079A KR20100125079A (ko) 2010-11-30
KR101121198B1 true KR101121198B1 (ko) 2012-03-23

Family

ID=4340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103A KR101121198B1 (ko) 2009-05-20 2009-05-20 태반에서 추출된 펩타이드 혼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0655A (en) 2011-04-28 2012-11-14 Univ Aston Modulators of tissue transglutaminase
KR101315202B1 (ko) * 2011-05-19 2013-10-08 우리들생명과학 주식회사 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골분화 증가방법
KR101488949B1 (ko) * 2013-01-15 2015-01-30 주식회사 코드바이오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S2928331T3 (es) 2013-11-13 2022-11-17 Univ Minnesota Composiciones de variantes de anexina II y métodos
CN103690932B (zh) * 2013-12-26 2015-04-29 四川大学 膜联蛋白a2作为制备治疗骨质疏松药物的应用
KR102536863B1 (ko) * 2019-11-25 2023-05-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양막유래 줄기세포-조정배지를 포함하는 동물의 정액 동결보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3751B1 (ko) * 2019-12-27 2021-07-30 유바이오주식회사 돈태반 효소 가수분해물과 산 분해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0612A (ja) 1975-08-19 1984-05-10 Green Cross Corp:The 免疫制御作用を有するペプタイドの製造方法
KR20060085222A (ko) * 2006-06-27 2006-07-26 주식회사 중앙바이오텍 돼지 태반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음수 첨가제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0612A (ja) 1975-08-19 1984-05-10 Green Cross Corp:The 免疫制御作用を有するペプタイドの製造方法
KR20060085222A (ko) * 2006-06-27 2006-07-26 주식회사 중앙바이오텍 돼지 태반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음수 첨가제의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roc Natl Acad Sci U S A. 1983 Jun;80(12):3676-8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079A (ko) 201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198B1 (ko) 태반에서 추출된 펩타이드 혼합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ettner et al. Api m 6: a new bee venom allergen
DK166731B1 (da) Human granulocyt-kolonistimulerende faktor (hg-csf), fremgangsmaade til dens fremstilling samt farmaceutiske praeparater indeholdende faktoren
US6379953B1 (en) Ligands that modulate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Namba et al. Molecular cloning of the second major allergen, Cry j II, from Japanese cedar pollen
EP3162894A2 (en)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proteolytically processed polypeptides
CS91791A3 (en) Epithelium or epithelium precursors
CN113121705B (zh) 用于制备短肽混合物的融合蛋白、目的多肽、短肽混合物的制备方法及应用
CN116479077A (zh) 高活性苦荞清蛋白降血压肽的制备方法
KR20030022094A (ko) 모낭에 존재하는 새로운 제 2 케라티노사이트 성장인자유사체
CN111718399A (zh) 一种多肽及用于nk细胞培养、制备nk细胞培养基的用途
CN106905417B (zh) 一种二肽基肽酶-4抑制肽及其制备方法与其应用
Bédouet et al. Heterogeneity of proteinase inhibitors in the water-soluble organic matrix from the oyster nacre
EP0524834A2 (en) Immunosuppressive drugs containing a cysteine protease
CN106905416B (zh) 具有抑制二肽基肽酶-4的活性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TW201300027A (zh) 促肪解大豆胜肽之最適水解條件、序列及其應用
CN116606369A (zh) 螺旋藻免疫调节肽及其制备方法与应用
Pereira et al. Osteopontin expression in coculture of differentiating rat fetal skeletal fibroblasts and myoblasts
Honda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corin from the culture media of MRC-5 cells
EP0526883A2 (en) Chondromodulin-II protein
DK2240197T3 (en) Use of homeoprotein of bicoidfamilie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egeneration of retinal ganglionneuroner
CN115353551B (zh) 一种燕麦源促glp-1分泌寡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763370B (zh) 一种抗氧化十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041428B (zh) 两种ace抑制肽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81416B1 (ko)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