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673B1 -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 Google Patents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673B1
KR101120673B1 KR1020110117244A KR20110117244A KR101120673B1 KR 101120673 B1 KR101120673 B1 KR 101120673B1 KR 1020110117244 A KR1020110117244 A KR 1020110117244A KR 20110117244 A KR20110117244 A KR 20110117244A KR 101120673 B1 KR101120673 B1 KR 101120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library
information
intelligent
intelligent book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희주
Original Assignee
나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희주 filed Critical 나희주
Priority to KR102011011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 상기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하는 도서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책꽂이을 이용한 도서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서관리서버는, 다수의 책 각각에 부착된 바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그룹화된 책 중 대표책이 선정되어 상기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 중 선택된 지능형 책꽂이의 거치대에 거치된 뒤,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지능형 책꽂이의 인식표에 거치된 책에 대한 정보를 구현하여 구독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수집수단;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책에 대한 구독 요청에 따라 구독자에게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담은 태그표를 발부하여, 상기 구독자에게 상기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책을 대여하도록 하는 태그표발급수단; 상기 구독자가 상기 대여된 책에 대한 반납에 따라 상기 대여된 책을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바코드 리더로의 접촉시 상기 대여된 책에 해당하는 바코드 정보와 상기 바코드 리더의 정보 비교를 위해 상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한 뒤, 상기 수신된 바코드 정보와 상기 바코드 리더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여된 책이 거치될 거치대로의 정위치로 반납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위치판단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교사들 휴대폰으로 어린이들의 현재 가져간 도서 위치, 반납된 도서 위치, 및 그 도서 내용, 수량 등의 정보가 2단 CTR 암호화 방식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2단 CTR암호화 방식은, 외부서버로부터 목적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키1 및 암호키2를 이용해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암호키2에 의한 블록 암호 암호화를 적용하여 E-Nonce를 생성하는 1단 CTR암호화를 수행단계와 상기 목적콘텐츠를 블록화하여 복수의 평문블록으로 정렬시키고, 상기 E-Nonce와 평문블록 각각을 배타적 논리합을 수행하여 2단 암호화된 암호문블록을 생성하는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책의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책의 내용을 쉽게 파악하여 어린이들의 학습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책의 수용수를 높이기 위한 지능형 책꽂이을 이용하여 학습 효과와 동시에 정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지나가다 지붕에 있는 전면으로 펼쳐진 책을 보고서 흥미에 빠지도록 하고, 어린이들이 해당 책을 뽑아 보고자 한다면 교사와 같은 관리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저장된 책을 찾아내 위치 태그표를 끊어주어 그걸 보고서 어린이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서관리 시스템 및 도서 관리 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로 구체적으로는 어린이는 책의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하여 책의 전면을 보고 내용을 쉽게 파악, 책을 좋아하도록 해 주고 학습 효과를 높이며, 비좁은 공간에서 책의 수용수를 높이는데 있다. 또한 교육현장에서는 교육공학적으로 설계되어 특정한 도서관을 마련하지 않는 장소에 상관하지 않고 지능형 책꽂이를 배치, 도서 환경을 마련하여 학습 효과와 더불어 주제별로 다양한 도서를 쉽게 목록 화하고 관리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도서 활용 및 관리를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Intelligent bookshelf usin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ooks}
본 발명은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린이는 책의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책의 전면을 보고 내용을 쉽게 파악, 책을 좋아하도록 해 주고 학습 효과를 높이며, 비좁은 공간에서 책의 수용수를 높이고, 교육 현장에서는 교육공학적으로 설계되어 특정한 도서관을 마련하지 않는 장소에 상관하지 않고, 지능형 책꽂이를 배치, 도서 환경을 마련하여 학습 효과와 더불어 주제별로 다양한 도서를 쉽게 목록화하고, 관리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도서 활용, 정리 및 관리를 하는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책장은 책이 수직으로 꽂혀서 해당 책의 모서리 정보를 통해 책의 내용을 유추하는 제목과 저자를 알 수 있을 뿐 어린이들이 책의 내용을 파악하기 힘들다. 또한, 전면으로 책이 펼쳐져서 진열되는 책장은 그 책 수용수가 얼마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상술한 책장들은 어린이들의 발달 특성상, 책을 꺼내어 읽은 후 꺼낸 책의 위치와 자리를 찾아 정리하기 가 어려워 1:1의 지도교사나 어른이 정리해줘야 하는 등 문제점이 많았던 것으로 특히, 유아교육기관의 현장교사들의 독서교육에 있어서의 도서 관리적인 문제가 많았다.
즉, 유치원 등의 어린이들 지도교사들은 책을 분류하고 어린이들의 발달과 정서 및 습성을 파악해 정해진 위치인 정 위치에 정리해두는 등 교육활동의 주제에 따라 도서를 목록 화하여 그 위치 및 수량, 종류를 다르게 배치하고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 어린이들은 보고나서 아무렇게나 놓고 가기에 정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많았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책을 소장하고 있는 유아 교육기관 등 어린이가 있는 어떤 곳에서든 책을 더욱 간편하게 진열하고 목록 화하여 읽은 다시 제자리인 정 위치에 놓도록 하기 위한 관리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책의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책의 내용을 쉽게 파악하여 어린이들의 학습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책의 수용수를 높이기 위한 지능형 책꽂이을 이용하여 학습 효과와 동시에 정리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지나가다 지붕에 있는 전면으로 펼쳐진 책을 보고서 흥미에 빠지도록 하고, 어린이들이 해당 책을 뽑아 보고자 한다면 교사와 같은 관리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저장된 책을 찾아내 위치 태그표를 끊어주어 그걸 보고서 어린이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는,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 상기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하는 도서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책꽂이을 이용한 도서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서관리서버는, 다수의 책 각각에 부착된 바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그룹화된 책 중 대표책이 선정되어 상기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 중 선택된 지능형 책꽂이의 거치대에 거치된 뒤,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지능형 책꽂이의 인식표에 거치된 책에 대한 정보를 구현하여 구독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수집수단;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책에 대한 구독 요청에 따라 구독자에게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담은 태그표를 발부하여, 상기 구독자에게 상기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책을 대여하도록 하는 태그표발급수단; 상기 구독자가 상기 대여된 책에 대한 반납에 따라 상기 대여된 책을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바코드 리더로의 접촉시 상기 대여된 책에 해당하는 바코드 정보와 상기 바코드 리더의 정보 비교를 위해 상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한 뒤, 상기 수신된 바코드 정보와 상기 바코드 리더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여된 책이 거치될 거치대로의 정위치로 반납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위치판단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교사들 휴대폰으로 어린이들의 현재 가져간 도서 위치, 반납된 도서 위치, 및 그 도서 내용, 수량 등의 정보가 2단 CTR 암호화 방식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2단 CTR암호화 방식은, 외부서버로부터 목적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키1 및 암호키2를 이용해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암호키2에 의한 블록 암호 암호화를 적용하여 E-Nonce를 생성하는 1단 CTR암호화를 수행단계와 상기 목적콘텐츠를 블록화하여 복수의 평문블록으로 정렬시키고, 상기 E-Nonce와 평문블록 각각을 배타적 논리합을 수행하여 2단 암호화된 암호문블록을 생성하는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는, 상기 판단결과 정위치인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스피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LED표시부로 청색계열의 화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정위치에 반납되었음을 알리는 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판단결과 정위치가 아닌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스피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LED표시부로 정위치의 방향성을 안내하는 화살표 기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정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안내하는 음성멘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책꽂이 각각은,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붕판; 을 더 포함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붕판의 맨 하단에 책이 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는 상기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책이 상기 거치대에 놓인 뒤 나머지 책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에 있어서, 도서관리서버가, 다수의 책 각각에 부착된 바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그룹화된 책 중 대표책이 선정되어 지능형 책꽂이의 거치대에 거치된 뒤,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인식표에 거치된 책에 대한 정보를 구현하여 구독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단계;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책에 대한 구독 요청에 따라 구독자에게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담은 태그표를 발부하여, 상기 구독자에게 상기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책을 대여하는 제 3 단계;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구독자가 상기 대여된 책에 대한 반납에 따라 상기 대여된 책을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바코드 리더로의 접촉시 상기 대여된 책에 해당하는 바코드 정보와 상기 바코드 리더의 정보 비교를 위해 상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수신된 바코드 정보와 상기 바코드 리더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여된 책이 거치될 거치대로의 정위치로 반납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판단결과 정위치인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스피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LED표시부로 청색계열의 화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정위치에 반납되었음을 알리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5 단계 이후,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판단결과 정위치가 아닌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스피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LED표시부로 정위치의 방향성을 안내하는 화살표 기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정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안내하는 음성멘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교사들 휴대폰으로 어린이들의 현재 가져간 도서 위치, 반납된 도서 위치, 및 그 도서 내용, 수량 등의 정보가 2단 CTR 암호화 방식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2단 CTR암호화 방식은 , 제어부가, 외부서버로부터 목적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키1 및 암호키2를 이용해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암호키2에 의한 블록 암호 암호화를 적용하여 E-Nonce를 생성하는 1단 CTR암호화를 수행단계와 상기 목적콘텐츠를 블록화하여 복수의 평문블록으로 정렬시키고, 상기 E-Nonce와 평문블록 각각을 배타적 논리합을 수행하여 2단 암호화된 암호문블록을 생성하는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는, 책의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책의 내용을 쉽게 파악하여 어린이들의 학습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책의 수용수를 높이기 위한 지능형 책꽂이을 이용하여 학습 효과와 동시에 정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지나가다 지붕에 있는 전면으로 펼쳐진 책을 보고서 흥미에 빠지도록 하고, 어린이들이 해당 책을 뽑아 보고자 한다면 교사와 같은 관리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저장된 책을 찾아내 위치 태그표를 끊어주어 그걸 보고서 어린이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의 활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에 적용된 도서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도서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에 적용된 도서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능형 책꽂이(10)은 지붕판(11), 거치대(12), 인식표(13), 바코드 리더(14), 스피커(15), LED표시부(16) 및 MCU(17)를 포함한다.
지붕판(11)은 25 내지 55도로 수평면과 각도가 지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거치대(12)는 지붕판(11)의 맨 하단에 책이 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거치대(12)의 하부에 분할될 책장은 도서관리서버(30)에 의한 다수의 책에 대한 그룹화가 이루어진 뒤,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책이 거치대(12)에 놓이고 나머지 책들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된다.
인식표(13)는 전자장치로 디스플레이 장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인쇄된 종이를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자장치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인식표(12)는 각 대표책의 책의 정보를 표시하여 구독자에게 알 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각 대표책의 정보는 책의 전면 사진, 제목, 지은이, 교과과정, 내용, 책의 위치, 책 고유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 리더(14)는 다수의 책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여 통신망(20)을 통해 도서관리서버(30)로 전송하기 위해 형성된다.
스피커(15)는 지붕판(11)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다른 실시예로 지붕판(11)이 아닌 벽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스피커(15)는 구독자가 거치된 책을 대여 뒤 반납할 경우 정위치에 위치할 경우 알림음을 출력하며,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경고음과 정위치에 대한 위치정보 제공을 위해 형성된다. 여기서, 구독자는 주로 유아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LED표시부(16)는 스피커(15)의 하부에 형성되며, 다른 실시예로 벽체 또는 스피터(15)를 기준으로 다른 방향(상부, 좌측, 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LED표시부(16)는 구독자가 거치된 책을 대여 뒤 반납할 경우 정위치에 위치할 경우 청색계열의 화상을 출력하며, 정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정위치로의 방향성을 안내하는 화살표 형상을 출력할 수 있다.
MCU(17)는 상술한 인식표(13), 바코드 리더(14), 스피커(15), LED표시부(16)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통신망(20)을 통해 도서관리서버(30)와의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지능형 책꽂이(10)의 활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도면은, 도 1의 지능형 책꽂이(10)의 도면부호 A에 해당하고 동일한 형상의 지능형 책꽂이인 도면부호 B에 해당하는 것을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책꽂이에 적용된 도서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10), 통신망(20) 및 도서관리서버(30)를 포함한다.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10)은 도 1 또는 도 2의 지능형 책꽂이이 다수개 모여서 형성되며, 각각이 통신망(20)을 통해 도서관리서버(30)로 접속한다.
통신망(2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20)은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10), 도서관리서버(3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서관리서버(30)는 구독자가 책에 대한 반납에 따라 책을 지능형 책꽂이(10)의 바코드 리더(14)로의 접촉시 책에 해당하는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리더(14)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바코드 정보를 수신한다.
도서관리서버(30)는 수신된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리더(14)의 정보를 비교하여 책이 거치될 거치대(12)로의 정위치로 반납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도서관리서버(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도서관리서버(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서관리서버(30)는 송수신부(31), I/O인터페이스(32), 출력장치(33), 제어부(34) 및 데이터베이스(35)를 포함한다.
제어부(34)는 정보수집수단(34a), 태그표발급수단(34b), 정위치판단수단(34c) 및 표시수단(34d)을 구비한다.
정보수집수단(34a)은 다수의 책 각각에 부착된 바코드를 I/O인터페이스(32)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한다.
정보수집수단(34a)은 관리자에 의해 그룹화된 책 중 대표책이 선정되어 지능형 책꽂이(10)의 거치대(12)에 거치된 뒤,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통신망(20)을 통해 지능형 책꽂이(10)의 인식표(13)에 거치된 책에 대한 정보를 구현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태그표발급수단(34b)은 거치대(12)에 거치된 책에 대한 구독 요청에 따라 구독자에게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담은 태그표를 출력장치(33)를 통해 발부하도록 I/O인터페이스(3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구독자는 태그표로 거치대(12)에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받는다.
정위치판단수단(34c)은 구독자가 책에 대한 반납에 따라 책을 지능형 책꽂이(10)의 바코드 리더(14)로의 접촉시 책에 해당하는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리더(14)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바코드 정보를 지능형 책꽂이(10)의 바코드 리더(14)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정위치판단수단(34c)은 수신된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리더(14)의 정보를 비교하여 책이 거치될 거치대(12)로의 정위치로 반납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수단(34d)은 정위치판단수단(34c)의 판단결과 정위치인 경우, 통신망(20)을 통해 지능형 책꽂이(10)의 스피커(15)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LED표시부(16)로 청색계열의 화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표시수단(34d)은 정위치판단수단(34c)의 판단결과 정위치가 아닌 경우, 통신망(20)을 통해 지능형 책꽂이(10)의 스피커(15)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LED표시부(16)로 정위치의 방향성을 안내하는 화살표 기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표시수단(34d)은 정위치가 아닌 경우, 통신망(20)을 통해 지능형 책꽂이(10)의 스피커(15)로 정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안내하는 음성멘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책꽂이을 이용한 도서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서관리서버(30)는 다수의 책 각각에 부착된 바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데이터베이스(35)에 저장한다(S1).
단계(S1)에 따라 그룹화된 책 중 대표책이 선정되어 지능형 책꽂이(10)의 거치대(12)에 거치된 뒤,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도서관리서버(30)는 통신망(20)을 통해 지능형 책꽂이(10)의 인식표(13)에 거치된 책에 대한 정보를 구현한다(S2).
단계(S2) 이후, 도서관리서버(30)는 거치대(12)에 거치된 책에 대한 구독 요청에 따라 구독자에게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담은 태그표를 발부함으로써, 구독자에게 거치대(12)에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S3).
단계(S3) 이후, 도서관리서버(30)는 구독자가 책에 대한 반납에 따라 책을 지능형 책꽂이(10)의 바코드 리더(14)로의 접촉시 책에 해당하는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리더(14)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바코드 정보를 수신한다(S4).
도서관리서버(30)는 단계(S4)에서 수신된 바코드 정보와 바코드 리더(14)의 정보를 비교하여 책이 거치될 거치대(12)로의 정위치로 반납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
단계(S5)의 판단결과 정위치인 경우, 도서관리서버(30)는 통신망(20)을 통해 지능형 책꽂이(10)의 스피커(15)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LED표시부(16)로 청색계열의 화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6).
한편, 단계(S5)의 판단결과 정위치가 아닌 경우, 도서관리서버(30)는 통신망(20)을 통해 지능형 책꽂이(10)의 스피커(15)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LED표시부(16)로 정위치의 방향성을 안내하는 화살표 기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7).
단계(S7) 이후, 도서관리서버(30)는 통신망(20)을 통해 지능형 책꽂이(10)의 스피커(15)로 정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안내하는 음성멘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8).
한편, 단계(S8) 이후에는 도서관리서버(30)가, 교사들 휴대폰으로 어린이들의 현재 가져간 도서 위치, 반납된 도서 위치, 및 그 도서 내용, 수량 등의 정보가 2단 CTR 암호화 방식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2단 CTR암호화 방식은 , 상기 제어부가, 외부서버로부터 목적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키1 및 암호키2를 이용해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암호키2에 의한 블록 암호 암호화를 적용하여 E-Nonce를 생성하는 1단 CTR암호화를 수행단계와 상기 목적콘텐츠를 블록화하여 복수의 평문블록으로 정렬시키고, 상기 E-Nonce와 평문블록 각각을 배타적 논리합을 수행하여 2단 암호화된 암호문블록을 생성하는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지능형 책꽂이 11: 지붕판
12: 거치대 13: 인식표
14: 바코드 리더 15: 스피커
16: LED표시부 17: MCU
20: 통신망 30: 도서관리서버
31: 송수신부 32: I/O인터페이스
33: 출력장치 34: 제어부
34a: 정보수집수단 34b: 태그표발급수단
34c: 정위치판단수단 34d: 표시수단
35: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 상기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을 통신망을 통해 관리하는 도서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지능형 책꽂이을 이용한 도서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서관리서버는,
    다수의 책 각각에 부착된 바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그룹화된 책 중 대표책이 선정되어 상기 다수의 지능형 책꽂이 중 선택된 지능형 책꽂이의 거치대에 거치된 뒤,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지능형 책꽂이의 인식표에 거치된 책에 대한 정보를 구현하여 구독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수집수단;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책에 대한 구독 요청에 따라 구독자에게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담은 태그표를 발부하여, 상기 구독자에게 상기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책을 대여하도록 하는 태그표발급수단;
    상기 구독자가 상기 대여된 책에 대한 반납에 따라 상기 대여된 책을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바코드 리더로의 접촉시 상기 대여된 책에 해당하는 바코드 정보와 상기 바코드 리더의 정보 비교를 위해 상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한 뒤,
    상기 수신된 바코드 정보와 상기 바코드 리더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여된 책이 거치될 거치대로의 정위치로 반납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위치판단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교사들 휴대폰으로 어린이들의 현재 가져간 도서 위치, 반납된 도서 위치, 및 그 도서 내용, 수량 등의 정보가 2단 CTR 암호화 방식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2단 CTR암호화 방식은, 외부서버로부터 목적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키1 및 암호키2를 이용해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암호키2에 의한 블록 암호 암호화를 적용하여 E-Nonce를 생성하는 1단 CTR암호화를 수행단계와 상기 목적콘텐츠를 블록화하여 복수의 평문블록으로 정렬시키고, 상기 E-Nonce와 평문블록 각각을 배타적 논리합을 수행하여 2단 암호화된 암호문블록을 생성하는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정위치인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스피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LED표시부로 청색계열의 화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정위치에 반납되었음을 알리는 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판단결과 정위치가 아닌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스피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LED표시부로 정위치의 방향성을 안내하는 화살표 기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정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안내하는 음성멘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도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책꽂이 각각은,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붕판; 을 더 포함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지붕판의 맨 하단에 책이 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는 상기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책이 상기 거치대에 놓인 뒤 나머지 책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도서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4. 도서관리서버가, 다수의 책 각각에 부착된 바코드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카테고리 별로 그룹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상기 그룹화된 책 중 대표책이 선정되어 지능형 책꽂이의 거치대에 거치된 뒤,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인식표에 거치된 책에 대한 정보를 구현하여 구독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단계;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책에 대한 구독 요청에 따라 구독자에게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담은 태그표를 발부하여, 상기 구독자에게 상기 거치된 책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책을 대여하는 제 3 단계;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구독자가 상기 대여된 책에 대한 반납에 따라 상기 대여된 책을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바코드 리더로의 접촉시 상기 대여된 책에 해당하는 바코드 정보와 상기 바코드 리더의 정보 비교를 위해 상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수신된 바코드 정보와 상기 바코드 리더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여된 책이 거치될 거치대로의 정위치로 반납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판단결과 정위치인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스피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알림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LED표시부로 청색계열의 화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정위치에 반납되었음을 알리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 5 단계 이후,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판단결과 정위치가 아닌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스피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능형 책꽂이의 LED표시부로 정위치의 방향성을 안내하는 화살표 기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피커로 정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안내하는 음성멘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7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도서관리서버가, 교사들 휴대폰으로 어린이들의 현재 가져간 도서 위치, 반납된 도서 위치, 및 그 도서 내용, 수량 등의 정보가 2단 CTR 암호화 방식에 의해 전송되며,
    상기 2단 CTR암호화 방식은 , 제어부가, 외부서버로부터 목적콘텐츠를 수신하여 암호키1 및 암호키2를 이용해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며, 상기 암호키2에 의한 블록 암호 암호화를 적용하여 E-Nonce를 생성하는 1단 CTR암호화를 수행단계와 상기 목적콘텐츠를 블록화하여 복수의 평문블록으로 정렬시키고, 상기 E-Nonce와 평문블록 각각을 배타적 논리합을 수행하여 2단 암호화된 암호문블록을 생성하는 2단 CTR암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5. 삭제
  6. 삭제
KR1020110117244A 2011-11-10 2011-11-10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KR101120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244A KR101120673B1 (ko) 2011-11-10 2011-11-10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244A KR101120673B1 (ko) 2011-11-10 2011-11-10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673B1 true KR101120673B1 (ko) 2012-03-20

Family

ID=4614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244A KR101120673B1 (ko) 2011-11-10 2011-11-10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6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602B1 (ko) * 2014-02-27 2014-08-07 이성철 서고 관리 시스템
KR20200024471A (ko) 2018-08-28 2020-03-09 변선욱 책 위치 안내장치 및 방법
CN114557548A (zh) * 2022-02-16 2022-05-31 佛山市淇特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书柜管理系统
KR102403873B1 (ko) * 2021-11-30 2022-05-31 김민재 책 위치 알림 시스템, 책 위치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책 위치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017013A (ko) * 2021-07-27 2023-02-03 울산과학기술원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3664A (ja) * 2002-02-07 2003-08-22 Hitachi Ltd 商品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出力装置
KR20060099992A (ko) * 2005-03-1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관위치 자동 선택이 가능한 와인 냉장고 및 제어 방법
KR20100028334A (ko) * 2008-09-04 2010-03-12 (주)리테일테크 유비쿼터스 도서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3664A (ja) * 2002-02-07 2003-08-22 Hitachi Ltd 商品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出力装置
KR20060099992A (ko) * 2005-03-15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관위치 자동 선택이 가능한 와인 냉장고 및 제어 방법
KR20100028334A (ko) * 2008-09-04 2010-03-12 (주)리테일테크 유비쿼터스 도서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홍창기 외 1명. IEEE 802.11i MAC Layer 설계 및 구현. 한국통신학회논문지. 2009년, 제34권, 제8호, pp.640-647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602B1 (ko) * 2014-02-27 2014-08-07 이성철 서고 관리 시스템
WO2015130129A1 (ko) * 2014-02-27 2015-09-03 이성철 서고 관리 시스템
KR20200024471A (ko) 2018-08-28 2020-03-09 변선욱 책 위치 안내장치 및 방법
KR20230017013A (ko) * 2021-07-27 2023-02-03 울산과학기술원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KR102553832B1 (ko) * 2021-07-27 2023-07-07 울산과학기술원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KR102403873B1 (ko) * 2021-11-30 2022-05-31 김민재 책 위치 알림 시스템, 책 위치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책 위치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N114557548A (zh) * 2022-02-16 2022-05-31 佛山市淇特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书柜管理系统
CN114557548B (zh) * 2022-02-16 2024-03-15 佛山市淇特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书柜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673B1 (ko)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EP1621982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CN108074129B (zh) 数字标牌及其控制方法
KR101294553B1 (ko) 음원정보 관리 서비스 시스템
EP2500843A1 (en) Sight spot guiding system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CN103310663B (zh) 一种智能点读方法、设备及系统
Parvez Development in library services with the advent of ICT based products & services: a continuous process
CN104052765A (zh) 媒体信息传播方法及系统
CN104702561B (zh) 一种信息推送或接收的方法、装置及系统
CN110533282A (zh) 业绩数据分配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1813666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CN202889455U (zh) 信息传递装置及系统
KR101873742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4794127B (zh) 基于音频的数据标签发布系统及方法
CN115759151A (zh) 书籍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服务器
RU83863U1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правочной информ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адиочастот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CN101872462A (zh) 一种基于电子地图的信息发布系统及方法
JP2002096911A (ja) 管理システム
CN210006085U (zh) 一种实验室用的器材管理系统
CN211044184U (zh) 一种vr导航系统
CN208424599U (zh) 一种录播系统
KR20110102129A (ko) 온라인 미디어 서비스와 그 매트릭스 관리를 연동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2758504U (zh) 电子听阅读物系统
KR101949945B1 (ko) 전자책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책 단말 장치의 전자책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CN105379235A (zh) 支持交互关联系统的平面书刊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