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832B1 -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832B1
KR102553832B1 KR1020210098710A KR20210098710A KR102553832B1 KR 102553832 B1 KR102553832 B1 KR 102553832B1 KR 1020210098710 A KR1020210098710 A KR 1020210098710A KR 20210098710 A KR20210098710 A KR 20210098710A KR 102553832 B1 KR102553832 B1 KR 10255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stening
book
shelf
activ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7013A (ko
Inventor
박영우
이경룡
김준영
김범
김나눔
육기철
홍화정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098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83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북 기능을 수행하는 청취 수단을 조작 및 보조함에 있어, 독서 활동에 대한 친숙감을 높일 수 있는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에 따르면, 청취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일종의 서적의 외관을 갖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조작부가 마치 선반에서 책을 뽑아드는 것처럼 물리적으로 조작되어야만 오디오북 기능을 수행하는 청취 수단이 제어될 수 있게 되므로, 주로 청각에만 의존하는 오디오 북 청취 활동에 실제 독서 활동에 필요한 물리적 행위들이 의식적으로 연계될 수 있게 되어 실제 독서 활동에 대한 친숙감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복합적 인체 감각 활동들이 상호 연동하여 수행됨에 따라, 해당 감각 활동들간 연계를 위한 통합적 사고력, 인식 능력 등이 함양 내지 증진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Controlling and assisting device for listening means}
본 발명은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음원인 청취 대상을 재생하는 청취 수단을 조작하고, 이러한 청취 수단의 작동을 보조하기 위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 시청, 음악 시청 등의 활동이 높아져 이로 인해 평균 독서율이 급감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정서적 함양 수준이 크게 좌우되는 영유아 시기에 있어 독서 활동이 부족하게 되면, 난독증, 정서적 결핍 등 각종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 및 고착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선행하는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12-0135137 호에는 '텍스트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간의 맵핑 자동 생성'이 개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행문헌에는 텍스트를 청각적으로 현출시키는 오디오 북에 관한 기술 개념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르는 경우 스마트 기기만 소지하고 있다면 청취 방식으로 독서 활동이 수행될 수 있어, 독서 활동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져 독서율이 증가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디오 북 방식에 따르면, 기존의 독서 활동과 달리 책장을 넘기는 것과 같은 물리적 활동의 수반이 발생할 수 없게 되어 독서의 본래 방식에 대한 친숙함이 함양될 수 없고, 거의 청각에만 의존하여 독서 활동이 진행되는 특성상 무료함이 금새 찾아오게 되는 등 각종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12-0135137 호
상술한 과제 해결의 일환으로, 본 발명은 오디오 북 기능을 수행하는 청취 수단을 조작 및 보조함에 있어, 본래의 독서 방식이 연상 작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나란히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조작부, 상기 바디부의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작부의 기울어짐 상태에 대응하여 디지털 음원인 적어도 하나의 청취 대상을 청취 수단이 재생시키도록 하는 재생부와, 상기 조작부의 기울어짐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청취 수단에 메모리된 상기 청취 대상의 관련 정보인 청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현출시키는 리스트 현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조작부가 수납되도록 책 선반 구조로 형성되는 선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조작부는, 서적에 대응되는 외형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취 대상의 진행율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부의 높이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책갈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취 정보는, 저작물의 제호 및 저작자 명을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 현출부는, 상기 청취 정보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청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순차적으로 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에 따르면, 청취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일종의 서적의 외관을 갖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조작부가 마치 선반에서 책을 뽑아드는 것처럼 물리적으로 조작되어야만 오디오북 기능을 수행하는 청취 수단이 제어될 수 있게 되므로, 주로 청각에만 의존하는 오디오 북 청취 활동에 실제 독서 활동에 필요한 물리적 행위들이 의식적으로 연계될 수 있게 되어 실제 독서 활동에 대한 친숙감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복합적 인체 감각 활동들이 상호 연동하여 수행됨에 따라, 해당 감각 활동들간 연계를 위한 통합적 사고력, 인식 능력 등이 함양 내지 증진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작부가 틸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작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에 현황 모드가 수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에 리스트업 모드가 수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책갈피부의 일 작동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일부 확대 및 절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 표현들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복수형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1000)는 디지털 음원인 청취 대상이 메모리되고 이를 재생하는 청취 수단(hd)과 별도로 연계 및 통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언급된 메모리 방식에는 청취 대상이 청취 수단(hd)에 전자적으로 저장되거나, 다른 기기 또는 온라인 플랫폼에 연계된 재생 활동이 청각을 포함한 종합 감각에 작용되도록 청취 수단(hd)에 전달 및 구현되는 모든 작용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취 대상이란 일종의 오디오 북과 같이 서적의 내용이 청각 매체로 재생될 수 있는 디지털 파일이거나, 음악 등 다른 음원 종류가 디지털 파일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취 대상은 언급된 파일 포맷 뿐만이 아닌 온라인 플랫폼 등에 업로드된 전자적 매체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는 상기 청취 수단(hd)이 스마트 기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 랩탑, 데스크탑, PDA 등과 같이 디지털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들이 선택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청취 수단(hd)은 자체 내장 스피커, 별도의 스피커 연결, 별도의 이어폰 연결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청취 대상을 청각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1000)는 유선 인터넷 전산망, 와이파이, 블루투스, 그 외 사물인터넷 수단 등 각종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청취 수단(hd)과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1000)는 물리적인 조작을 통해 상기 청취 수단(hd)을 제어하고, 청취 대상의 각종 현황을 별도의 물리적 수단을 통해 시각적으로 현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 조작을 위한 별도의 운동 행위가 필요하게 되고, 물리적 매체의 작동이 시각적으로 나타남으로써 청각 대상의 각종 현황 파악이 가능해지므로, 청각을 통한 독서 등 청취 활동에 인체의 다양한 감각을 필요로 하는 종합 인지 및 사고 활동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복합적 인체 감각 활동들이 상호 연동하여 수행됨에 따라, 해당 감각 활동들간 연계를 위한 통합적 사고력, 인식 능력 등이 함양될 수 있게 되고 해당 청취 활동의 무료함이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체적 구동 원리 및 장점들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1000)는 선반부(100), 바디부(200), 조작부(300), 책갈피부(500) 및 디스플레이부(4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언급된 본 발명의 각 구성들 및 그 결합 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선반부(100)는 일종의 책 선반 구조로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110)와, 사이드 플레이트(120)와, 받침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는 지면에 놓일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지닌 평판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책 형상 구조물의 하부면이 접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2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의 양 단에 하나씩 상부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책 형상 구조물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 플레이트(130)는 상기 각 사이드 플레이트(120)를 연결하고 상기 각 사이드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구비되며, 이에 책 형상 구조물의 정면 또는 배면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각 플레이트(110, 120, 130)간 구성을 통해, 상기 선반부(100)는 전방과 상부가 개구된 구조를 지니게 되어 해당 개구부로 책 형상 구조물이 인출입될 수 있고, 책 형상 구조물의 하부면, 정면 또는 배면 및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 안착되어 거치될 수 있는 일종의 책 선반 구조를 지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00)는 케이스 부재(210)와, 와이어 홀(220)과, 부속 수납부(230)와, 투과창(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부재(210)는 상기 선반부(100)에 수납 및 분리 가능한 일종의 책 형상의 외관을 지닌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홀(220)은 상기 케이스 부재(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케이스 부재(210)의 내외측을 연통하고, 후술할 와이어 부재(520)가 상기 와이어 홀(220)을 통해 상기 케이스 부재(210)의 내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속 수납부(230)는 상기 케이스 부재(210)의 내측을 중공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이에 후술할 책갈피부(500)의 일부 구성들이 설치 및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홀(220)이 상기 부속 수납부(230)와 케이스 부재(210)의 외부를 상호 연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과창(240)은 상기 케이스 부재(210)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부속 수납부(230)의 내측 구조가 시각적으로 관찰될 수 있도록 소정의 투명도를 지닌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0)는 전체적으로 책 형상의 외형을 지니며,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들을 더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작부가 틸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작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300)는 연장 플레이트(310)와, 프레임(320)과, 조작 바디(330)와, 회전축 부재(340)와, 센싱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플레이트(310)는 도 2 등을 통해 전술한 하부 플레이트(110)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의 전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 플레이트(31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에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거나, 이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20)과 상기 조작 바디(330)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3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 바디(330)는 상기 프레임(320)을 내측에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 바디(330)는 일종의 서적 형상의 외형을 지닐 수 있으며, 내측에 상기 프레임(320)이 구비된 조작 바디(330)는 바디부(200)와 함께 상기 선반부(100)에 나란히 수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부(200)와 조작 바디(330)의 형상 및 배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선반부(100)에는 복수 개의 서적 구조물들이 수납된 상태로 보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청취 수단(hd) 등의 제어를 위해 상술한 상태의 선반부(100)를 바라보게 되면, 청각 활동을 통해 독서 활동을 진행중인 사용자에게는 독서의 본질적 방법인 시각을 통한 활자 인식이라는 독서 관념이 연상 작용될 수 있게 되므로, 청각, 시각, 관념 작용 등과 같은 감각 및 지각 활동과, 정서 함양 작용이 종합적, 직관적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부재(340)는 일종의 힌지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 바디(330)의 전방측 하부와 상기 연장 플레이트(310)를 상호 링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3을 비교 참조하면, 상기 조작 바디(330)는 상기 회전축 부재(340)를 축으로하여 전후방으로 틸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작 바디(330)를 당기거나 밀어냄으로써 상술한 틸팅 구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조작 바디(330)의 물리적 조작을 통해 앞서 언급된 청취 수단(hd)의 제어 및 관련 현황 파악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싱부(350)는 조작 바디(330)가 기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원위치된 상태인지 또는 틸팅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일 예로, 상기 센싱부(350)는 상기 프레임(320)에 구비되는 자력 감지부(351)와, 상기 조작 바디(330)에 구비되며 자력 발생 성분을 포함하는 마그넷 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자력 감지부(351)와 마그넷 부재(352)간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자력 감지부(351)에는 상이한 자력의 크기가 측정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자력 센싱 원리를 통해 조작 바디(330)의 틸팅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 부재(352)는 상기 조작 바디(330)가 틸팅됨에 따라 상기 자력 감지부(351)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조작 바디(330)가 기준 지면에 수직한 위치인 원위치에서 틸팅되면, 상기 조작 바디(330)에 대응되는 동선으로 마그넷 부재(352) 또한 자력 감지부(351)로부터 이격되어, 이에 따라 상기 자력 감지부(351)에 센싱되는 자력 값은 비교적 낮게 측정되고, 이러한 센싱값의 변화는 조작 바디(330)가 기울어지게 이동되도록 물리적 조작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바디(330)가 서적의 외형을 지님에 따라, 이를 기울이는 물리적 조작이 수행될 시 사용자에게는 선반으로부터 책을 뽑아드는 듯한 연상 작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즉, 청각을 통한 독서 활동에 있어, 시각을 이용한 본질적 독서 활동을 연상시키는 물리적 행위가 유도됨에 따라, 앞서 언급된 각종 감각 활동, 지각 활동, 정서 함양 작용 등이 더욱 발달 내지 촉진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에 현황 모드가 수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에 리스트업 모드가 수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언급된 다른 도면들에 도 5, 도 6a 및 도 6b를 더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바디부(20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청취 대상 관련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청취 정보(hi)가 시각적으로 현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더 참조하면, 청취 수단(hd)이 현재 재생중인 청취 대상의 청취 정보(hi)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현출되는 현황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청취 정보(hi)에는 해당 저작물의 제호, 작가 등 저작자 명, 시각적 서적 매체의 표지 이미지 등 다양한 요소들이 포함 및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청취 수단(hd)에 복수 개의 저작물이 메모리되어 이에 따라 청취 정보(hi)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각각의 청취 정보(hi)가 현출되는 리스트업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a 및 도 6b의 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각 청취 정보(hi)가 디스플레이부(400)에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현출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리스트업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서적 형상을 지닌 바디부(200)에 청취 정보(hi)가 시각적으로 표출됨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선반 등에 복수 개의 서적이 꽂혀있고, 각 서적에 프린트된 제호를 통해 자신이 독서를 희망하는 서적을 선택 또는 식별한다는 것과 같은 연상 작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책갈피부의 일 작동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일부 확대 및 절개도이다.
도 7a, 7b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상기 책갈피부(500)는 보빈(510)과, 와이어 부재(520)와, 진행율 현출부(530)와, 종동기어(540)와, 원동기어(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빈(510)은 전술한 부속 수납부(230)에 구비되고,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투과창(240)을 통해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부재(520)의 일단은 상기 보빈(510)에 연결되며, 상기 보빈(5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와이어 부재(520)는 보빈(510)에 권취되고 상기 보빈(510)으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부재(520)의 말단은 앞서 언급된 와이어 홀(220)을 통해 바디부(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행율 현출부(530)는 일종의 막대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부재(520)의 말단에 연결되어 바디부(2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부재(520)가 권취 및 권출됨에 따라 상기 진행율 현출부(530)는 바디부(200)의 길이 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청취 대상의 진행율이 0%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진행율 현출부(530)는 바디부(200)의 최상부측에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청취 대상의 진행율이 증가함에 따라 도 7a 및 도 7b의 순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율 현출부(530)가 하강할 수 있다.
덧붙여, 앞서 언급된 진행율이란 각 청취 대상의 전체 재생시간 대비 상대적인 재생 진행율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540)는 보빈(510)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되고, 상기 원동기어(550)는 상기 종동기어(540)와 치합되도록 바디부(200)에 구비된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원동기어(550)에는 모터 등 별도의 동력 내지 회전력 제공수단과 각종 제어 수단이 연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원동 및 종동 관계를 통해 원동기어(550)측의 회전력이 종동기어(540)에 전달되어 상기 보빈(51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원동 및 종동 관계간 기어비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어비 조정을 통해 상기 보빈(510)의 회전 속도는 그 회전 동작이 육안으로 관찰되는데 무리가 없도록 조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빈(510)의 회전 속도가 조성됨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누적된 청취량이 보빈(510)의 회전 동작에 시각적으로 연계 및 접목되는 연상 작용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통신부(610)와, 재생부(620)와, 리스트 현출부(630)와, 책갈피 연동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각종 회로 기판, 칩셋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바디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610)는 앞서 예시적으로 언급된 각종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청취 수단(hd)과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재생부(620)는 상기 조작 바디(330)의 기울어진 상태에 대응하여 청취 수단(hd)이 청취 대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바디(330)의 틸팅 구동에 대응되는 자력 센싱값이 센싱부(350)에 측정되면, 재생부(620)는 통신부(610)를 통해 해당 센싱값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청취 수단(hd)으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청취 수단(hd)이 청취 대상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바디(330)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상술한 재생 제어 기능이 수행될 수 있고, 그 외 조작 바디(330)가 틸팅 및 원위치 이동되는 반복 회수, 조작 바디(330)가 기준 각도 이상 틸팅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조작 바디(330)가 원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등 조작 바디(330)의 조작 상태에 근거한 모든 경우의 수가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기준점 설정을 통해 상술한 재생 제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재생 기능이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재생부(620)는 통신부(610)를 통해 재생중인 청취 대상의 청취 정보(hi)를 청취 수단(hd)으로부터 수신한 후, 해당 청취 정보(hi)를 디스플레이부(400)에 현출시킬 수 있으며, 도 5에는 이에 대한 일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 현출부(630)는 조작 바디(330)의 기울어진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청취 정보(hi)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시각적으로 현출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예로, 조작 바디(330)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센싱부(350)의 자력 센싱값에 따라, 상기 리스트 현출부(630)는 통신부(610)를 통하여 청취 수단(hd)으로부터 복수 개의 청취 정보(hi)를 수신한 후, 도 6a 및 도 6b를 통해 전술한 리스트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바디(330)가 틸팅 및 원위치 이동되는 반복 회수, 조작 바디(330)가 기준 각도 이상 틸팅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조작 바디(330)가 원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등 조작 바디(330)의 조작 상태에 근거한 모든 경우의 수가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기준점 설정을 통해 리스트업 모드 수행 제어가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책갈피 연동부(640)는 청취 수단(hd)이 재생중인 청취 대상의 진행율에 대응하여 전술한 책갈피부(5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책갈피 연동부(640)는 청취 수단(hd)을 통해 재생되는 청취 대상의 진행율 관련 정보를 통신부(610)를 통해 실시간 수신하고, 이러한 진행율에 대응하여 원동기어(550)가 특정 방향 및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7a, 7b 및 도 8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진행율 현출부(530)가 지속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책갈피 연동부(640)는 전술한 현황 모드의 대상으로 지정된 청취 대상의 진행율 관련 정보를 통신부(610)를 통해 수신한 후, 원동기어(550) 등을 제어함으로써, 진행율 현출부(530)가 청취 대상의 진행율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 뿐만이 아닌,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100 : 선반부
110 : 하부 플레이트
120 : 사이드 플레이트
130 : 받침 플레이트
200 : 바디부
210 : 케이스 부재
220 : 와이어 홀
230 : 부속 수납부
240 : 투과창
300 : 조작부
310 : 연장 플레이트
320 : 프레임
330 : 조작 바디
340 : 회전축 부재
350 : 센싱부
351 : 자력 감지부
352 : 마그넷 부재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책갈피부
510 : 보빈
520 : 와이어 부재
530 : 진행율 현출부
540 : 종동기어
550 : 원동기어
600 : 제어부
610 : 통신부
620 : 재생부
630 : 리스트 현출부
640 : 책갈피 연동부

Claims (5)

  1.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나란히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조작부;
    상기 바디부의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조작부의 기울어짐 상태에 대응하여 디지털 음원인 적어도 하나의 청취 대상을 청취 수단이 재생시키도록 하는 재생부와, 상기 조작부의 기울어짐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청취 수단에 메모리된 상기 청취 대상의 관련 정보인 청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으로 현출시키는 리스트 현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와 상기 조작부가 수납되도록 책 선반 구조로 형성되는 선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서적에 대응되는 외형을 지니고, 상기 선반부에 책이 인출입되는 방식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선반부에 책이 인출입되는 방식으로 기울어지는 조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재생부와 상기 리스트 현출부의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는,
    상기 청취 대상의 진행율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부의 높이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책갈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정보는,
    저작물의 제호 및 저작자 명을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 현출부는,
    상기 청취 정보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청취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순차적으로 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KR1020210098710A 2021-07-27 2021-07-27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KR10255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710A KR102553832B1 (ko) 2021-07-27 2021-07-27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710A KR102553832B1 (ko) 2021-07-27 2021-07-27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013A KR20230017013A (ko) 2023-02-03
KR102553832B1 true KR102553832B1 (ko) 2023-07-07

Family

ID=8522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710A KR102553832B1 (ko) 2021-07-27 2021-07-27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8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100Y1 (ko) * 1999-12-14 2001-01-15 김도현 전자 성경책
KR101120673B1 (ko) * 2011-11-10 2012-03-20 나희주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2399B2 (en) 2011-06-03 2020-06-02 Apple Inc. Switching between text data and audio data based on a mapping
KR102061619B1 (ko) * 2018-02-23 2020-02-1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오디오 북 제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오디오 북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100Y1 (ko) * 1999-12-14 2001-01-15 김도현 전자 성경책
KR101120673B1 (ko) * 2011-11-10 2012-03-20 나희주 도서관리시스템 및 도서관리방법을 이용한 어린이용 지능형 책꽂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013A (ko)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4601B2 (en)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touch press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JP4617322B2 (ja) 自律型ロボットとの相互作用の装置と方法
US2009028233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3d positional audio function and method
US75375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exercise devices and providing motivational programming
EP2705882B1 (en) Exercise machine
KR102141044B1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사운드 출력방법
KR101686254B1 (ko) 회전 메카니즘을 가진 도킹 스테이션
US20170069221A1 (en) Tablet learning apparatus
CN101346161A (zh) 利用便携式数据存储装置控制锻炼器材的方法和系统
JP2009514296A (ja) 音声装置
CN102037425A (zh) 具有多种显示配置模式的便携式电脑
CN101125259A (zh) 摇动装置以及摇动装置的控制方法
JP4996750B1 (ja) 電子機器
WO1997045823A1 (en) Synchronized combined sound and sight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system
KR102553832B1 (ko) 청취 수단의 조작 및 보조 장치
US20120098837A1 (en) Apparatus for augmenting a handheld device
KR20050104141A (ko) 전자강의용 멀티미디어 교탁
KR1007032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악 연주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39972B1 (ko) 입체 이미지블럭을 이용한 로봇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23450A1 (en) Interactive display device
JP4952431B2 (ja) スピーカー装置
USD518017S1 (en) Portable CD player with lyrics display function
JP4133159B2 (ja) 電子計算機システム及びその稼動状況表示方法
US11853482B2 (en) Interactive display
KR20150079501A (ko) 단말기의 복합적 기능을 이용한 감성형 이북의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