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220B1 -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및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및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220B1
KR101120220B1 KR1020107012282A KR20107012282A KR101120220B1 KR 101120220 B1 KR101120220 B1 KR 101120220B1 KR 1020107012282 A KR1020107012282 A KR 1020107012282A KR 20107012282 A KR20107012282 A KR 20107012282A KR 101120220 B1 KR101120220 B1 KR 10112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wave
patient
walking distance
distance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495A (ko
Inventor
히로요시 세키이
슈로 하야시
미츠오 요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00103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8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running, jogging or speed-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4/00Training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운동 요법용 장치(1)는, 환자에게 고정된 상태에서 하지의 맥파를 검출하는 맥파 센서(16)와, 환자의 보행에 의한 보행 거리를 검출하는 보행 센서(15)와, 목표 거리 설정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목표 거리 설정부(30)는 맥파 센서(16)에서 검출된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맥파가 소정 형상으로 될 때까지 보행한 환자의 보행 거리에 근거하여, 운동 요법용의 목표 보행 거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및 진단 장치{APPARATUS FOR EXERCISE THERAPY AND DIAGNOSTIC APPARATUS FOR LOWER LIMB ARTERIAL OBSTRUCTION}
본 발명은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에 이용되는 운동 요법용 장치 및 하지 동맥 폐색증의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습관 등의 변화에 의해서, 폐색성 동맥 경화증(arteriosclerosis oblierans; ASO)이나 말초 순환 장해(peripheralarterial occlusive diseases; PAOD) 등의 만성 하지 동맥 폐색증이 발증(發症)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폐색성 동맥 경화증의 증상은 폰테인(fontaine) 분류에 따라 Ⅰ도부터 Ⅳ도의 4개로 분류되어 있다. 폰테인 분류 Ⅰ도의 증상은 하지에 냉기나 저림을 느끼는 정도의 가벼운 증상이다. 또한, 폰테인 분류 Ⅱ도의 증상은, 일정한 거리를 걸으면 하지에 경련을 느껴서 걸을 수 없지만, 잠시 쉬면 회복하여 다시 걸을 수 있는 증상이다. 이 증상을 간헐성 파행(跛行)이라고 말하며, 보행 개시부터 통증에 의해서 걸지 못할 때까지의 거리를 동통(疼痛) 출현 거리(파행 거리)라고 한다. 이 간헐성 파행은, 폐색성 동맥 경화증의 환자가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이며, 걷고 있으면 하지의 장딴지 부근이 죄어오는 것처럼 아파, 계단을 오르는 것이 특히 괴로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폰테인 분류 Ⅲ도의 증상은, 야간 등에 안정(安靜)하고 있더라도 하지가 너무 아픈 증상이다. 폰테인 분류 Ⅳ도의 증상은, 하지에 궤양이 생겨서, 괴사(壞死)하는 증상이다. 역학 조사에 의하면, 폰테인 분류 Ⅰ도 및 Ⅱ도로 분류되는 비교적 경도인 증례(症例)의 연간 발생수는 인구 100만명당 5만~10만명이며, 폰테인 분류 Ⅲ도 및 Ⅳ도로 분류되는 비교적 중증의 증상은 동(同) 500~1000명 정도이다.
폐색성 동맥 경화증이나 말초 순환 장해의 일반적인 치료 가이드라인에서는, 경증예에서는, 운동 요법으로 대표되는 보존적 치료가 추장(推奬)되고 있으며, 또한, 중증예에서는, 신속한 혈행(血行) 재건술이 추장되고 있다. 운동 요법은 운동 부하를 걸음으로써 저산소 상태에 대한 허용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것이고, 일반적으로는 환자를 보행시키는 것에 의해 행한다. 이 운동 요법에 의한 증상의 개선 목표는 치료 개시 후, 3개월에서의 동통 출현 거리를 치료 전의 약 1.5배 내지 2배 정도로 연장시키는 것이다. 더 이상의 증상의 개선을 희망하는 증례에는, 혈행 재건술이 고려되게 된다. 또한, 중증예에서는, 진단이 나는대로, 가급적 조기에 카테테르(catheter)에 의한 혈관내 치료 또는 바이패스 수술 등에 의한 직접적 혈행 재건술이 필요하다. 이 혈행 재건술에 의해서도 개선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팔다리 절단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중증예에 대한 직접적 혈행 재건술이나 다리 절단은 침습(侵襲)이 크기 때문에, 그러한 중증으로 되기 전에, 하지 동맥 폐색증의 조기 발견, 중증도의 정확한 판정에 근거하는 적확(的確)한 치료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 동맥 폐색증의 중증도를 판정하는 경우에,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장치는 환자의 측정 부위에 측정광을 조사하고, 측정 부위로부터의 투과 산란광을 수광부에서 수광하여 체내의 산소 상태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6505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장치에서는, 광을 이용하여 환자의 체내 산소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고 있어, 이 빛의 투과 정도나 산란 정도는 환자의 체질 등에 따라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측정에 의해서 얻어진 산소 상태가 반드시 환자의 실제 산소 상태에 대응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지 동맥 폐색증의 중증도를 정확히 판정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하지 동맥 폐색증의 중증도를 정확히 얻는 것은, 그 후의 치료 방침을 환자의 중증도에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중요한 일이다. 특히, 운동 요법이 적응되는 중증도의 경우에는, 보행에 의한 운동 부하를 걸 필요가 있지만, 이 운동 부하는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다른 것이기 때문에, 중증도를 정확히 판정할 수 없으면, 적절한 운동 부하를 걸 수 없어, 치료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하지 동맥 폐색증의 경증예의 증상은 신경계 질환이 원인인 증상과 동일한 증상인 경우가 있다. 따라서, 환자의 통증에 대한 설명만으로는, 하지 동맥 폐색증과 신경계 질환 중 어느 쪽인지를 판정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 잠재화하고 있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환자를 놓치게 될 우려가 있다. 또, 하지 동맥 폐색증의 중증예의 2~3할은 만성 혈액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서 보인다. 혈액 투석 중에는, 물 제거와 더불어 순환 혈액량이 감소하여, 이 순환 혈액량의 감소와 더불어 하지의 허혈(虛血) 증상이 발현하지만, 당뇨병 신증(腎症)으로 혈액 투석이 필요하게 된 환자에 있어서는, 신경 장해도 갖고 있는 경우가 있어, 이 경우, 하지가 허혈 상태로 되어도 하지에 아픔을 느끼지 못하는 일이 많다. 이것이, 하지 동맥 폐색증의 조기 발견을 방해하게 되어, 증상을 진행시켜 중증화하게 되는 원인으로 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하지 동맥 폐색증의 환자의 운동 요법을 서포트(support)하여 치료 효과를 높여 증상의 조기 개선을 도모하는 것에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하지 동맥 폐색증을 적확하게 진단할 수 있게 하여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제 1 목적 및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하지의 맥파(脈波)를 검출하여 이용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발명에서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에 이용되는 운동 요법용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하지의 맥파를 검출하는 맥파 검출부와, 환자의 보행 거리를 검출하는 보행 거리 검출부와, 상기 맥파 검출부 및 상기 보행 거리 검출부가 접속되고, 상기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그 맥파가 소정 형상으로 될 때까지 보행한 환자의 보행 거리에 근거하여, 운동 요법용의 목표 보행 거리를 설정하는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맥파 검출부에 의해서 환자의 하지의 맥파가 검출됨과 아울러, 보행 거리 검출부에 의해서 환자의 보행에 의한 보행 거리도 검출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사지 말초의 맥파는, 정상이면 동맥압 파형과 상사형으로 관찰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하지 동맥 폐색증의 경증예의 환자를 관찰한 결과, 안정시의 맥파는 동맥압 파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관찰되는 한편, 보행에 의한 운동 부하를 걸어 보행하지 못하게 되는 한계에 근접해서 허혈 증상이 출현하면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이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에 근거하면, 운동 요법 중에,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이 되면, 그 환자의 상태가 보행 한계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다. 안정시부터 보행 한계에 가까운 상태로 되기까지의 환자의 보행 거리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짧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맥파와 보행 거리에 근거하여 하지 동맥 폐색증의 중증도의 판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보행 거리에 근거하여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가 운동 요법용의 목표 보행 거리를 설정하기 때문에, 중증도에 따른 운동 부하를 환자에게 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에서 설정된 목표 보행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에서 설정된 목표 보행 거리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환자의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에서 설정된 목표 보행 거리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로 된 경우에 통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에 접속된 통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지부에 상기 통지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로 된 경우에, 그것이 통지부에 의해서 통지된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통지부는 스피커, 발광부 및 진동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로 된 것을 확실히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기재된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에서 설정된 목표 보행 거리에 도달하기까지의 잔여 거리를 표시하는 잔여 거리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목표 보행 거리에 도달하기까지의 잔여 거리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장치 본체에는,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 및 보행 거리 검출부에서 검출된 보행 거리를 기억하는 기억부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환자의 과거의 맥파 및 보행 거리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발명에서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진단 장치로서, 환자의 하지의 맥파를 검출하는 맥파 검출부와, 상기 맥파 검출부가 접속되고, 해당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가 입력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맥파 검출부에 의해서 환자의 하지의 맥파가 검출되고, 이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그것이 통지된다. 이 하지의 맥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지 동맥 폐색증의 허혈 증상이 출현하면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파형으로 되는 것이기 때문에, 환자가 하지의 아픔을 호소하고 있는 경우에, 하지 동맥 폐색증에 의한 통증인지, 신경계 질환에 의한 통증인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컨대, 혈액 투석 중에 맥파 검출부에 의해 하지의 맥파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하지가 하지 동맥 폐색증에 의한 허혈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지 않더라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하지 동맥 폐색증을 조기 단계에서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그 파형으로 될 때까지 보행한 환자의 보행 거리에 근거하여 운동 요법용의 목표 보행 거리를 설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운동 부하를 환자에 대해 걸 수 있어, 치료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목표 보행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마련했기 때문에, 목표 보행 거리를 환자 본인이나 의료 종사자가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로 된 경우에 통지부에 의해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목표 보행 거리까지 보행한 것을 환자 본인이나 의료 종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통지부를 스피커, 발광부 및 진동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했기 때문에, 환자가 목표 보행 거리까지 보행한 것을 환자 본인이나 의료 종사자에게 확실히 알릴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잔여 거리를 표시하는 잔여 거리 표시부를 마련했기 때문에, 목표 보행 거리에 도달하기까지의 잔여 거리를 환자 본인이나 의료 종사자가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맥파 및 보행 거리를 기억부에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 후에 이들 데이터를 봄으로써, 증상의 개선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통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하지 동맥 폐색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또한, 적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 조기 치료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운동 요법용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운동 요법용 장치의 블록도,
도 4는 고정 벨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운동 요법용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a)는 정상인 경우의 맥파를 나타내고, (b)는 하지 동맥 폐색증 환자의 하지가 허혈 상태에 있는 경우의 맥파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1에 따른 도 2 상당도,
도 8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2에 따른 도 2 상당도,
도 9는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3에 따른 도 1 상당도,
도 10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 4에 따른 도 1 상당도,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하지 동맥 폐색증의 진단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할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운동 요법용 장치(1)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환자 A가 운동 요법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와, 장치 본체(2)를 환자 A의 하지, 예컨대, 발목 근방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밴드(고정부)(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밴드(3)는, 면 파스너(fastener) 등을 갖고 있으며, 하지에 감겨진 상태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장치 본체(2)는, 고정 밴드(3) 이외에도, 예컨대, 벨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에는, 중앙 처리 장치(CPU)(10)가 내장되어 있다. 이 CPU(10)에는, ROM(11), RAM(12), GPS(13), 시계부(14), 보행 센서(15), 맥파 센서(맥파 검출부)(16), ON/OFF 스위치(17), 2배 스위치(18), 램프(발광부)(19), 스피커(20), 진동기(진동부)(21), 송신부(22), 거리 표시부(23), 기억부(24), 입력 스위치(25), 통증 통지 스위치(26) 및 통증 해소 스위치(27)가 신호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CPU(10), ROM(11) 및 RAM(12)에 의해 본 발명의 제어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장치 본체(2)에는, 전원으로서의 충전지가 내장되어 있다. 또, 장치 본체(2)에는, 충전지 대신에 건전지를 내장하도록 하여도 좋고, 태양 전지를 탑재하도록 하여도 좋다.
ROM(11)에는, 본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RAM(12)에는, 본 장치(1)의 동작 도중의 데이터가 수시로 기억되게 되어 있다. GPS(13)는,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이며, 소정의 인공위성으로부터 발신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주지(周知) 구조의 것이다. 이 GPS(13)에 의한 현재 위치의 측정 결과는 위치 데이터로서 CPU(10)에 수시로 출력되게 되어 있다. 시계부(14)는 현재의 연월일 및 시각을 CPU(10)에 수시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행 센서(15)는, 2축의 가속도 센서를 갖고 있으며, 환자 A가 걸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보행 센서(15)는 주지의 디지털 보수계 등에 탑재되어 있는 걸음수 카운터와 동일한 구조이다. 보행 센서(15)로부터는, 1보당 하나의 펄스파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보행 센서(15)로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발바닥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나, 좌우 다리나 바지 등에 부착한 금속 와이어의 신축에 따른 전위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맥파 센서(16, 16, …)는 주지의 압력 검출 센서(예컨대 압전(壓電)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밴드(3)에 부착되어 있다. 각 맥파 센서(16)는 환자 A의 발목 근방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향하고 있으며, 피하를 주행하는 동맥의 맥파를 비침습적(非侵襲的)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맥파 센서(16)는 하지에서 맥파를 검출할 수 있는 부위이면 어떤 부위에 접촉시키더라도 좋고, 예컨대 지방층이 두꺼운 비만 체형의 환자의 경우에는, 발등이나 발바닥 등에 맥파 센서(16)를 접촉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맥파 센서(16)를 접촉시키는 부위는, 의료 종사자가 손가락이 닿았을 때에 맥이 잡히는 부위가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맥파 센서(16, 16, …)는 고정 밴드(3)의 폭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도 복수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맥파를 검출할 수 있는 범위를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고정 밴드(3)의 고정 위치가 다소 어긋나더라도 맥파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맥파 센서(16, 16, …) 중, 정기적으로 검출값이 변동하고 있는 맥파 센서(16)의 신호를 CPU(10)가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 맥파 센서(16)의 위치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고정 밴드(3)의 폭 방향으로만 나열되어도 좋고, 길이 방향으로만 나열되어도 좋으며, 지그재그 격자 형상으로 나열하여도 좋다. 또한, 맥파 센서(16)의 수는 하나이더라도 좋다.
맥파 센서(16)에서 검출되는 맥파에 대해 도 6(a)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맥파는, 심장이 수축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구출파(驅出波)와, 그 구출파가 전신에 널리 퍼질 때에 말초 동맥이나 동맥 분기부 등에서 반사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반사파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상이면, 하지의 맥파는 동맥압 파형과 상사형으로 검출되는 것이다.
ON/OFF 스위치(17)는 장치 본체(2)의 전원을 ON 또는 OFF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2배 스위치(18)는 목표 보행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통증 통지 스위치(26)는 환자 A가 보행 중에 하지에 동통이 출현했을 때에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통증 해소 스위치(27)는 일단 출현한 동통이 해소되었을 때에 환자가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램프(19)는 환자 A가 동통의 출현에 의해 걷지 못할 때(동통 출현 거리까지 보행했을 때), 및, 환자 A의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로 되었을 때에 점등하는 것이다. 스피커(20)는, 마찬가지로, 환자 A가 동통 출현 거리까지 보행했을 때, 및, 환자 A의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로 되었을 때에 소정의 음성을 발하는 것이다. 진동기(21)는, 마찬가지로, 환자 A가 동통 출현 거리까지 보행했을 때, 및, 환자 A의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로 되었을 때에 진동하는 것이다. 진동기(21)는 주지의 전동식 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램프(19), 스피커(20) 및 진동기(21)는 본 발명의 통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램프(19)는 점등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고, 점멸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기억부(24)는 주지의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치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기억부(24)에는, 본 장치(1)를 이용하여 운동 요법을 행한 일시 및 장소, 보행 경로, 보행 중의 맥파, 동통 출현 거리, 보행 개시부터 동통 출현 거리까지 보행하는데 소요된 시간, 목표 보행 거리, 보행 개시부터 목표 보행 거리까지 보행하는데 소요된 시간, 통증 통지 스위치(26)가 눌려진 일시 및 보행 거리, 통증 해소 스위치(27)가 눌려진 일시 및 보행 거리, 보행 중에 휴식한 경우의 휴식 시간, 동통이 출현하고 나서 거의 없어지기까지의 회복 시간 등의 데이터가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운동 요법을 행한 장소 및 보행의 경로는 상기 GPS(13)에 의해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송신부(22)는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를, 예컨대 의료 종사자가 조작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 기기(104)(도 2에 나타냄)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주지의 송신기와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 방법으로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지의 휴대 전화나 PHS용의 수신 단말(100) 및 통신망(101)을 이용하여 인터넷(102)에 액세스하는 방법으로 하고 있다. 각종 데이터는 인터넷(102)을 경유하여 의료 기관의 환자 데이터 서버(103)에 축적되도록 되어 있다. 환자 데이터 서버(103)에 송신된 데이터는 의료 종사자나 관리자가 요구하는 형태로 처리된 후, 의료 종사자나 관리자의 단말 기기(104)에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의료 종사자나 관리자가 요구하는 형태란, 각종 수치의 그래프화 등이다.
또한, 거리 표시부(23)는, 동통 출현 거리와, 목표 보행 거리에 도달하기까지의 잔여 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디지털 표시기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 스위치(25)는 환자 A의 보폭을 장치 본체(2)에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CPU(10)는 ROM(11)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CPU(10)에는, 초기 설정으로서, 입력 스위치(25)에 의해 환자 A의 보폭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CPU(10)는 보행 센서(15)로부터 입력된 펄스파에 근거하여 걸음수를 얻어, 이 걸음수에 보폭을 곱하여 보행 거리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보행 센서(15) 및 CPU(10)이 본 발명의 보행 거리 검출부를 구성하고 있다.
보행 거리의 산출은, ON/OFF 스위치(17)에 의해 전원이 ON 상태로 된 후, 보행 센서(15)로부터 펄스파가 입력되기 시작하면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산출된 보행 거리는, 데이터로서 CPU(10)로부터 거리 표시부(23)에 출력되어, 거리 표시부(23)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보행 거리는, GPS(13)에 의해서도 얻어지게 되어 있으며, 초기 설정시에 보폭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GPS(13)에 의해서 얻어진 이동 거리를 보행 거리로서 본 장치(1)의 제어에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GPS(13)를 이용하면, 보폭에 관계없고, 환자 A의 이동 거리를 보행 거리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 도중에 보폭이 변화된 경우에도 정확한 보행 거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GPS(13)를 이용함으로써, 환자 A의 보행 장소나 보행 경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CPU(1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맥파 센서(16)로부터 입력된 하지의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맥파 판정부(10a)가 마련되어 있다. 맥파 판정부(10a)는, 맥파 센서(16)에 의해 검출한 평상시(안정시)의 맥파(도 6(a)에 나타냄)를 기억해 두고, 이 맥파와 비교하여 피크가 대폭 낮은 맥파(도 6(b)에 나타냄)가 맥파 센서(16)에 의해 검출되었을 때에, 환자의 현재의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이라고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자 등이 지견(知見)한, 하지 동맥 폐색증 환자 A의 맥파의 특징을 이용한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사지 말초의 맥파는, 정상이면 동맥압 파형과 상사형으로 관찰되는 것이지만, 하지 동맥 폐색증의 경증예의 환자의 맥파는, 안정시에는 동맥압 파형에 가까운 모양으로 관찰되는 한편, 보행에 의한 운동 부하를 걸어 걷지 못하게 되는 한계에 근접하여 허혈 증상이 출현하면 동맥압 파형보다도 평탄에 가까운 파형으로 된다. 즉, 맥파 판정부(10a)에 의해서,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이라고 판정된다는 것은, 환자가 통증으로 인해 걷지 못하게 되고 있다고 말하게 된다. 또, 소정 형상의 파형이란, 해당 파형의 피크가 안정시의 맥파의 피크의 일정 이하로 되어 있어, 맥파에 근거해서 하지가 허혈 상태라고 판정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이며, 하나의 파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형상이 있다. 소정 형상의 파형의 피크는, 안정시의 맥파의 피크의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이다. 이 소정 형상의 파형은 환자 A마다 바꾸더라도 좋고, 공통으로 하여도 좋다.
이 맥파 판정부(10a)에 의해서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CPU(10)는 보행 거리의 산출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보행 개시로부터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이라고 판정될 때까지 보행한 거리는 동통 출현 거리로서 RAM(12)에 기억되고, 또한, 보행 개시로부터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이라고 판정될 때까지 보행한 시간이나, 동통 출현 거리까지 보행하는 데 소요된 시간(동통 출현 시간)으로서 RAM(12)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맥파 판정부(10a)에 의해서,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이라고 판정되면, CPU(10)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통지 신호를 받은 램프(19)는 점등하고, 스피커(20)는 소정의 음성을 발하며, 진동기(21)는 진동한다. 이것에 의해, 맥파가 소정 형상으로 된 것이 통지되도록 되어 있다.
맥파 판정부(10a)에 의해서,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이라고 판정된 후에, 2배 스위치(18)를 누르면, 동통 출현 거리가 2배로 되어, 이 2배로 된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로서 얻어지게 되어 있다. 이 목표 보행 거리는 CPU(10)으로부터 거리 표시부(23)에 출력되어, 거리 표시부(23)에 일시적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CPU(10)는, 2배 스위치(18)가 눌려진 후, 보행 센서(15)로부터 펄스파가 입력되기 시작한 것을 검출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보행 거리의 산출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CPU(10)는, 목표 보행 거리로부터 환자의 보행 거리를 빼는 것에 의해서, 목표 보행 거리에 도달하기까지의 잔여 거리를 얻고, 이 잔여 거리를 거리 표시부(23)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거리 표시부(23)는 잔여 거리 표시부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CPU(10)는, 전체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에 도달하면, 통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램프(19), 스피커(20) 및 진동기(21)는, 통지 신호를 받아 동작하고, 이것에 의해, 환자 A의 전체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로 된 것이 통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CPU(10) 및 2배 스위치(18)는 본 발명의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30)(도 3 참조)를 구성하고 있으며, 맥파 센서(16)에서 검출된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그 맥파가 소정 형상으로 될 때까지 보행한 환자의 보행 거리에 근거하여, 운동 요법용의 목표 보행 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목표 보행 거리는, CPU(10)에서 자동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맥파 판정부(10a)에 의해서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이라고 판정된 후에, CPU(10)는 그때까지 보행한 거리를 2배로 하여 목표 보행 거리로 한다. 이것에 의해, 환자 A는 2배 스위치(18)의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CPU(10)는, 목표 보행 거리에 도달하기 전에 통증 통지 스위치(26)가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 스위치(26)가 눌려진 시각 및 보행 거리를 RAM(12)에 기억시킨다. 또, 통증 통지 스위치(26)가 눌려진 후, 통증 해소 스위치(27)가 눌려진 것을 CPU(10)가 검출하면, 스위치(27)가 눌려진 시각 및 보행 거리를 RAM(12)에 기억시킨다.
또한, 환자 A가 보행을 멈춘 경우에는, 보행 센서(15)로부터 펄스파가 출력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CPU(10)는 환자 A가 보행을 멈춘 것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PU(10)는, 환자 A가 보행을 멈춘 시각 및 그때까지 보행한 거리를 RAM(12)에 기억시키고, 보행을 재개한 것을 검출하면, 재개한 시각을 RAM(12)에 기억시킨다. 환자 A가 보행을 멈춘 것 및 재개한 것은 GPS(13)를 이용하여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고, 모션 센서(가속도 센서)를 별도로 마련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CPU(10)에는, 본 장치(1)를 환자 A에 적응시키기 위한 자동 조정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은, 환자 A마다 맥파의 피크가 나타나는 방법이 상이함과 아울러, 피부의 상태도 상이하기 때문에, 맥파의 검출 감도를 항상 동일하게 하면, 어떠한 환자 A에 대해서는 감도가 적합했다고 하여도, 다른 환자 A에 대해서는 감도가 지나치게 높아 노이즈가 눈에 띄거나, 반대로 감도가 지나치게 낮아 검출 불능으로 되거나 하는 것이 생각된다. 자동 조정 기능은, 본 장치(1)를 하지에 장착하기 전에, 환자 A의 상지(上肢)(예컨대 손목)의 동맥(예컨대 요골(撓骨) 동맥)의 맥파를 검출하고, 맥파가 나타나기 쉬운 환자 A의 경우에는 검출 감도를 낮추어 설정하고, 나타나기 어려운 환자 A의 경우에는 높여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 동맥 폐색증의 환자 A이더라도, 상지는 하지에 비하면 맥파가 나타나기 쉽기 때문에 검출 감도를 조정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CPU(10)은, 보행 센서(15)로부터 출력되고 있던 펄스파가 출력되지 않게 되고 나서 다시 출력되게 되기까지의 시간을 휴식 시간으로서 RAM(12)에 기억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맥파 센서(16)는 보행 센서(15)로부터 펄스파가 출력되고 있지 않을 때에도 계속 맥파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CPU(10)는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부터 안정시의 파형에 가까워질 때까지 회복하는 데 소요된 시간을 회복 시간으로서 RAM(12)에 기억시킨다.
상기 RAM(12)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는 기억부(24)에 기억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운동 요법용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운동 요법용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처음에, 장치 본체(2)를 고정 밴드(3)에 의해 환자 A의 하지에 고정한다. 이 때, 맥파 센서(16)를 피부에 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고정 밴드(3)를 묶는다. 그리고, ON/OFF 스위치(17)를 누르면 전원이 들어간다. 또한, 환자 A의 보폭을 측정한 후, 보폭을 장치 본체(2)에 입력 스위치(25)에 의해 입력한다. 또, 안정시의 맥파를 검출하여, 입력 스위치(25)의 소정의 조작에 의해 해당 맥파를 RAM(12)에 기억시켜 둔다.
보폭의 입력 후, 환자 A가 보행을 시작하면, 흐름도에서의 단계 S1로 진행하고, 환자 A의 보행 거리가 검출된다. 즉, 이 단계 S1에서는, CPU(10)에서, 보행 센서(15)로부터 입력된 펄스파의 수에 보폭을 곱하여 산출된 거리가 보행 거리로 된다. 이 보행 거리는 거리 표시부(24)에 표시된다. 또한, 보행 개시 시각이나 장소, 보행 경로도 RAM(12)에 기억된다. 단계 S1에 연속하는 단계 S2에서는, 맥파 센서(16)에서 검출된 맥파가 CPU에 입력된다.
그 후,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단계 S2에서 검출된 맥파가 RAM(12)에 기억되어 있는 안정시의 맥파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 S3에 있어서, 맥파의 피크가 일정한 값보다 높고, 상기한 소정 형상이 아닌 경우는, 아니오라고 판정되어 단계 S1로 되돌아가고, 다시 단계 S2를 지나서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 S3에서 아니오라고 판정된다는 것은, 환자 A의 하지는 아직 허혈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며, 환자 A는 보행시에 그 정도 강한 통증을 느끼지 못하고, 보행을 계속할 수 있는 상태이다.
단계 S3에 있어서, 맥파가 소정 형상인 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 예라고 판정된다는 것은, 환자 A의 하지가 허혈 상태로 되어 있어, 환자 A가 통증을 느끼고, 보행이 곤란한 상태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보행 개시로부터, 단계 S3에서 예라고 판정되기까지의 시간이 동통 출현 시간이며, 이 시간을 RAM(12)에 기억해 둔다.
단계 S3에서 예라고 판정되어 진행한 단계 S4에서는, 보행 개시로부터 단계 S3에서 예라고 판정될 때까지 보행한 거리를 동통 출현 거리로서 RAM(12)에 기억한다. 환자 A의 중증도가 높은 경우에는, 낮은 경우에 비하여 긴 거리를 한번에 걸을 수 없기 때문에, 동통 출현 거리는 환자 A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짧아진다. 이 때, 환자 A가 통증 통지 스위치(26)를 누르면, 그것이 시각 및 보행 거리와 함께 RAM(12)에 일단 기억된다.
그 후, 단계 S5로 진행하고, 램프(19)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스피커(20)로부터 음성을 발하며, 또한, 진동기(21)를 진동시켜, 맥파가 소정 형상으로 된 것을 통지한다. 계속되는 단계 S6에서는, 2배 스위치(18)가 눌려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에서 2배 스위치(18)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는 아니오라고 판정되어 단계 S5로 되돌아가서, 통지가 계속 행해진다. 2배 스위치(18)가 눌려져 단계 S6에서 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7로 진행하고, 운동 요법용의 목표 보행 거리가 산출된다. 이 목표 보행 거리는, 동통 출현 거리를 2배로 한 거리이며, 동통 출현 거리가 환자 A의 중증도에 대응한 거리이므로, 목표 보행 거리도 환자 A의 중증도에 따른 거리로 된다. 또, 2배 스위치(18)가 눌려지면 통지는 종료된다. 또, 단계 S4에 있어서, 램프(19), 스피커(20) 및 진동기(21) 중 하나만을 이용하여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고, 임의의 2개를 이용하여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환자 A는 잠시 쉬어 하지의 고통이 누그러지고 나서 보행을 시작한다. 보행을 시작하기까지의 시간은 휴식 시간이며, RAM(12)에 기억된다. 고통이 누그러졌을 때에 환자 A가 통증 해소 스위치(27)를 누르면, 그것이 시각 및 보행 거리와 함께 RAM(12)에 일단 기억된다. 환자 A가 보행을 멈추고 있을 때에도, 맥파 센서(3)에 의해서 맥파가 검출되고 있기 때문에, 맥파의 형상이 원래의 안정시의 형상에 가까워지면, 환자 A의 고통은 거의 없어져 있는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복 시간이 얻어지게 되어 있으며, 이 회복 시간도 RAM(12)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맥파의 형상이 안정시의 형상에 가까워지더라도 환자 A가 보행을 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호 대기나 용변을 위해 멈춘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단계 S7에 연속되는 단계 S8에서는, 단계 S1과 마찬가지로 환자 A의 보행 거리를 얻는다. 연속되는 단계 S9에서는, 목표 보행 거리 이상 보행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에서 목표 보행 거리 이상 보행하지 않은 아니오라고 판정되면, 단계 S8로 되돌아간다.
목표 보행 거리 이상 보행하여, 단계 S9에서 예라고 판정되면,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이 단계 S10에서는, 램프(19)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스피커(20)로부터 음성을 발하며, 또한, 진동기(21)를 진동시켜, 목표 보행 거리 이상 보행한 것을 환자 A 본인 및 주위의 사람에게 통지한다. 즉, 환자 A는, 전체 보행 거리가 동통 출현 거리의 2배로 될 때까지, 통증이 발생하면 쉬면서 보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환자 A에서는 운동 부하가 걸려 저산소 상태에 대한 허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운동 요법은, 예컨대, 1주일에 3회의 빈도로, 3개월 이상 계속 행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서 증상이 개선되어 나가면, 동통 출현 거리가 길어져, 나아가서는, 목표 보행 거리도 길어진다. 이들 거리는 거리 표시부(23)에 표시되기 때문에, 환자 A 자신도 증상의 개선 정도를 수치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치료 효과를 실감할 수 있다.
또한, 환자 A가 본 장치(1)에 의해 운동 요법을 행하면, 그것이 기록부(24)에 기록된다. 기록부(24)에 기록된 각종 데이터는 송신부(22)에 의해 인터넷(102)을 거쳐서 환자 데이터 서버(103)에 송신된다. 이 환자 데이터 서버(103)에 송신된 데이터는 의료 종사자의 단말 기기(104)에 송신된다. 이것에 의해, 의료 종사자가 환자 A의 증상의 개선 정도를 그래프나 수치로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 기억부(24)를 장치 본체(2)로부터 분리하여 환자 데이터베이스(103)에 접속하고, 기억부(24)의 데이터를 환자 데이터베이스(103)에 직접 보내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요법용 장치(1)에 의하면, 맥파 센서(16)에서 검출된 맥파가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그 파형으로 될 때까지 보행한 환자 A의 보행 거리에 근거하여 운동 요법용의 목표 보행 거리를 설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환자 A의 중증도에 따른 운동 부하를 환자에게 걸 수 있어, 치료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2)에 목표 보행 거리를 표시하는 거리 표시부(23)를 마련했기 때문에, 목표 보행 거리를 환자 A 본인이나 의료 종사자가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환자 A가 목표 보행 거리까지 보행했을 때, 램프(19), 스피커(20) 및 진동기(21)에 의해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 A가 목표 보행 거리까지 보행한 것을 환자 A 본인이나 의료 종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2)의 거리 표시부(23)에 목표 보행 거리에 도달하기까지의 잔여 거리를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잔여 거리를 환자 A 본인이나 의료 종사자가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맥파 데이터 및 보행 거리 데이터를 장치 본체(2)의 기억부(24)에 기억하여 환자 데이터 서버(103)에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종사자는 데이터를 살펴봄으로써, 증상의 개선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통 출현 거리를 2배로 하여 목표 보행 거리로 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통 출현 거리를 2배보다 작은 배율, 예컨대 1.5배로 하여 목표 보행 거리로 하도록 하여도 좋고, 2배보다 큰 배율, 예컨대, 2.5배로 하여 목표 보행 거리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배율은 단계적으로 복수 종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무단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으며, 환자 A에 따라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변형예 1과 같이, 장치 본체(2)에, 목표 보행 거리에 도달하기까지의 잔여 거리의 가늠을 표시하기 위한 제 1~제 3 램프(31, 32, 33)를 마련하여도 좋다. 제 1 램프(31)는, 녹색으로 점등하는 램프이며, 잔여 거리가 예컨대 10m 이하인 경우에 점등시키는 것이다. 제 2 램프(32)는, 잔여 거리가 10m보다 길고 50m 이하인 경우에 점등시키는 것이다. 제 3 램프(33)는, 잔여 거리가 50m보다 길고 100m 이하인 경우에 점등시키는 것이다. 이들 램프(31~33)는 CPU(10)에 접속되어 있다. CPU(10)는, 잔여 거리가 10m 이하로 되면 제 1 램프(31)만을 점등시키고, 50m 이하이고 10m보다 길면 제 2 램프(32)만을 점등시키며, 100m 이하에서 50m보다 길면 제 3 램프(33)만을 점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제 3 램프(31~33)를 점등시키는 잔여 거리는, 상기한 거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 1~제 3 램프(31~33)의 색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변형예 2와 같이, 바형의 램프(34)를 복수 마련하고, 변형예 1과 같이 잔여 거리에 따라 점등시키록 하여도 좋다. 상기 변형예 1,2에서는, 거리 표시부(23)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잔여 거리는 스피커(20)로부터 음성으로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장치 본체(2)에 램프(19), 스피커(20) 및 진동기(21)의 3개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들 중 하나 또는 2개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본 장치(1)를 이용한 운동 요법은, 의료 종사자의 감독 하에서 행하도록 하여도 좋고, 환자 A가 재택에서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환자 A의 증상에 따라서는, 본 장치(1)를 이용한 운동 요법과 병행하여 약품 요법 등의 다른 요법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맥파 센서(16)를 보행 센서(15)나 GPS(13)와 일체화하여 하지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변형예 3과 같이, 맥파 센서(16)와, CPU(10)나 GPS(13)와, 거리 표시부(23)를 별체(別體)로 하고, 맥파 센서(16)만을 하지에 고정하고, CPU(10)나 GPS(13)를 허리에 고정하며, 거리 표시부(23)를 팔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CPU(10)와 맥파 센서(16)를 유선 접속하여도 좋고, 무선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CPU(10)과 거리 표시부(23)도 유선 접속이더라도 좋고, 무선 접속이더라도 좋다. 무선 접속의 형태로서는, 통신 거리가 10m 정도의 근거리 무선 접속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Bluetooth 등의 형태가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변형예 4와 같이, 맥파 센서(16)만 고정 밴드(28)에 의해 하지에 고정하고, 다른 CPU(10)이나 GPS(13) 등을 손목에 고정 밴드(29)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여도 있다. 이 경우도 상기 변형예 3과 마찬가지로, CPU(10)와 맥파 센서(16)를 유선 접속하여도 좋고, 무선 접속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 2)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하지 동맥 폐색증의 진단 장치(50)의 블록도이다. 이 진단 장치(50)는, 실시 형태 1의 운동 요법용 장치(1)의 GPS(13), 보행 센서(15), 2배 스위치(18), 통증 통지 스위치(26) 및 통증 해소 스위치(27)가 생략된 것이며, 주요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은 상세히 설명한다.
CPU(10)는, 맥파 센서(16)에서 검출된 맥파가, 환자 A의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램프(19), 스피커(20) 및 진동기(21)에 통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통지 신호를 받은 램프(19)는 점등하고, 또한, 스피커(20)는 소정의 음성을 발하며, 또한, 진동기(21)는 진동한다. 즉, CPU(10)는, 맥파 센서(16)에서 검출된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그것을 주위의 사람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CPU(10)가 본 발명의 제어부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진단 장치(50)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진단 장치(50)를 실시 형태 1의 장치(1)와 같이 환자 A의 발목 근방에 장착한다. 이 진단 장치(50)에는, 환자 A의 동맥압 파형을 기억시켜 둔다. 동맥압 파형은 상지의 동맥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리고, ON/OFF 스위치(17)를 눌러 전원을 넣는다. 그렇게 하면, 맥파 센서(16)에 의해서 하지의 맥파가 검출되고, CPU(10)에 입력된다. 이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10)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램프(19), 스피커(20) 및 진동기(21)는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맥파가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는, 통지 신호를 출력하고, 램프(19), 스피커(20) 및 진동기(21)가 동작해서, 하지가 허혈 상태에 있는 것을 환자 A 및 주위의 사람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단 장치(1)를 사용함으로써, 환자 A가 하지의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 경우에, 하지 동맥 폐색증에 의한 통증인지, 신경계 질환에 의한 통증인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컨대, 혈액 투석 중에 하지의 맥파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하지가 허혈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환자 A가 통증을 호소하지 않더라도,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하지 동맥 폐색증을 조기 단계에서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진단 장치(50)에 의하면, 하지의 맥파가 동맥압 파형보다 평탄에 가까운 소정 형상의 파형으로 되었을 때에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지 동맥 폐색증을 조기에, 또한, 적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 조기 치료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장치 본체(2)에, 램프(19), 스피커(20) 및 진동기(21)의 3개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들 중 하나 또는 2개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운동 요법용 장치(1)를,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하지 동맥 폐색증의 진단에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운동 요법 장치(1)의 ROM(11)에, 실시 형태 2의 진단 장치(50)의 프로그램을 설치해 두고, 운동 요법 장치용의 프로그램과, 진단 장치용의 프로그램을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및 진단 장치는 폐색성 동맥 경화증 및 말초 순환 장해의 치료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
1: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2: 장치 본체
3: 고정 밴드(고정부)
10: CPU
15: 보행 센서
16: 맥파 센서
19: 램프(통지부)
20: 스피커(통지부)
21: 진동기(통지부)
23: 거리 표시부(잔여 거리 표시부)
24: 기억부
50: 하지 동맥 폐색증의 진단 장치

Claims (7)

  1.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에 사용되는 운동 요법용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하지의 맥파(脈波)를 검출하는 맥파 검출부와,
    환자의 보행 거리를 검출하는 보행 거리 검출부와,
    상기 맥파 검출부 및 상기 보행 거리 검출부가 접속되고, 상기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의 피크가 안정시의 맥파의 피크의 1/5 이하가 되었을 때에, 그 1/5 이하의 피크로 될 때까지 보행한 환자의 보행 거리에 근거하여, 운동 요법용의 목표 보행 거리를 설정하는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에서 설정된 목표 보행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환자의 보행 거리가 상기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에서 설정된 목표 보행 거리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보행 거리가 목표 보행 거리로 된 경우에 통지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에 접속된 통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지부에 상기 통지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스피커, 발광부 및 진동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환자의 보행 거리가 상기 목표 보행 거리 설정부에서 설정된 목표 보행 거리에 도달하기까지의 잔여 거리를 표시하는 잔여 거리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 및 상기 보행 거리 검출부에서 검출된 보행 거리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7. 하지 동맥 폐색증의 진단 장치로서,
    환자의 하지의 맥파를 검출하는 맥파 검출부와,
    상기 맥파 검출부가 접속되고, 상기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가 입력되는 제어부
    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맥파 검출부에서 검출된 맥파의 피크가 안정시의 맥파의 피크의 1/5 이하가 되었을 때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동맥 폐색증의 진단 장치.
KR1020107012282A 2007-11-07 2008-11-04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및 진단 장치 KR101120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89828 2007-11-07
JP2007289828 2007-11-07
PCT/JP2008/003168 WO2009060590A1 (ja) 2007-11-07 2008-11-04 下肢動脈閉塞症の運動療法用装置及び診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495A KR20100103495A (ko) 2010-09-27
KR101120220B1 true KR101120220B1 (ko) 2012-03-16

Family

ID=4062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282A KR101120220B1 (ko) 2007-11-07 2008-11-04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및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216004A1 (ko)
JP (1) JP4911226B2 (ko)
KR (1) KR101120220B1 (ko)
CN (1) CN101917951B (ko)
CA (1) CA2704827A1 (ko)
TW (1) TW200936100A (ko)
WO (1) WO2009060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1360B2 (en) * 2009-06-16 2019-08-27 Myotest Sa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the training of athletes
JP5324493B2 (ja) * 2010-02-12 2013-10-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運動指標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5631827B2 (ja) * 2011-09-13 2014-11-26 株式会社東芝 歩行評価装置
WO2013080904A1 (ja) * 2011-11-28 2013-06-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生体測定装置
JP2016150178A (ja) * 2015-02-19 2016-08-22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運動測定装置
DE102017125189B4 (de) * 2017-10-27 2019-05-2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ystem zur Unterstützung einer Bewegungsübung einer Person mit einem Objekt,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produkt
WO2019185951A1 (es) * 2018-03-27 2019-10-03 Park Lee Chuen Wook Peto de proteccion de golpes
JP7183963B2 (ja) * 2019-06-07 2022-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訓練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608A (ja) 2004-04-26 2004-09-24 Seiko Epson Corp 運動支援装置
JP2005160726A (ja) 2003-12-02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状態センシ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6655A (en) * 1987-09-16 1989-03-22 Jeol Ltd Radiation quantity stabilizing device for electron microscope
JPH054060Y2 (ko) * 1987-11-10 1993-02-01
JP2002136505A (ja) 2000-10-31 2002-05-14 Shimadzu Corp 生体測定装置
JP2002153430A (ja) * 2000-11-16 2002-05-28 Waatekkusu:Kk 運動療法支援装置
CN2640459Y (zh) * 2003-06-23 2004-09-15 袁训芝 防血栓蠕动泵
CN1838933B (zh) * 2003-08-21 2010-12-08 国立大学法人筑波大学 穿着式动作辅助装置、穿着式动作辅助装置的控制方法和控制用程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726A (ja) 2003-12-02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状態センシング装置
JP2004261608A (ja) 2004-04-26 2004-09-24 Seiko Epson Corp 運動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495A (ko) 2010-09-27
CN101917951A (zh) 2010-12-15
EP2216004A1 (en) 2010-08-11
WO2009060590A1 (ja) 2009-05-14
JP4911226B2 (ja) 2012-04-04
CN101917951B (zh) 2013-06-05
JPWO2009060590A1 (ja) 2011-03-17
CA2704827A1 (en) 2009-05-14
TW200936100A (en)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220B1 (ko) 하지 동맥 폐색증의 운동 요법용 장치 및 진단 장치
EP2911575B1 (en) Monitoring system for determining the efficacy of a compression device
AU2007270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external physical parameters having an influence on the onset or progression of a medical condition
EP194279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blood pressure of a patient
KR101000467B1 (ko) 손목 착용형 맥박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47789A1 (en) System and methods with user interfaces for monitoring physic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JP6004444B2 (ja) 末梢感覚および超感覚代行システム
US105685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flow-mediated dilation to provide an adjusted vascular age as an indicator of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US20090043230A1 (en) Biomechanical monitoring apparatus
US20120184829A1 (en) Apparatus for exercise therapy and diagnosis apparatus for lower extremity limb arterial occlusive disease
JP2011019669A (ja) 歩行診断支援システム、歩行パターン生成装置、歩行パターン生成プログラム、及び歩行パターン生成方法
JP3301294B2 (ja) 健康状態管理装置
JP3582211B2 (ja) 運動支援装置
JP2001112725A (ja) 生体情報計測装置
JP2020508722A (ja) 理学療法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をモニタ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を備えたシステム及び方法
Okamura et al. Effect of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on learning the short foot exercise
JP2004261608A (ja) 運動支援装置
JP2002153430A (ja) 運動療法支援装置
JP2017158909A (ja) 歩行評価補助具及び、その端末とシステム
WO2005020808A1 (en) Blood pressure monitor
JP2004121865A (ja) 健康状態管理装置
Stockwell Outpatient physical therapy for a patient following open reduction internal fixation due to bimalleolar fracture
JP2020065622A (ja) 超音波治療システム
Siegelová et al. Day-to-day variability of 24-hour mean blood pressure in man: seven-day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UA20800U (en) A. liabakh method for assessing state of soft tissues of lower lim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