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050B1 - 바닥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바닥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050B1
KR101120050B1 KR1020090084516A KR20090084516A KR101120050B1 KR 101120050 B1 KR101120050 B1 KR 101120050B1 KR 1020090084516 A KR1020090084516 A KR 1020090084516A KR 20090084516 A KR20090084516 A KR 20090084516A KR 101120050 B1 KR101120050 B1 KR 10112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lates
unit
floor construction
construc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742A (ko
Inventor
김주태
이경화
Original Assignee
이경화
김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화, 김주태 filed Critical 이경화
Priority to KR1020090084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050B1/ko
Priority to JP2011525996A priority patent/JP2012502204A/ja
Priority to AU2009292322A priority patent/AU2009292322A1/en
Priority to EP09813239A priority patent/EP2327845A2/en
Priority to CA2747849A priority patent/CA2747849A1/en
Priority to PCT/KR2009/005114 priority patent/WO2010030117A2/ko
Priority to MX2011002517A priority patent/MX2011002517A/es
Priority to US12/741,072 priority patent/US8684717B2/en
Publication of KR2011002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04F21/24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of masses made in situ, e.g. smooth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시공면에 배치되는 가이드유닛과, 가이드유닛에 안내되어 이동하면서 시공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시공면의 평탄화를 위한 시공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시공면, 바닥, 마감, 평탄화

Description

바닥시공장치 {APPARATUS FOR CONSTRUCTING FLOOR}
본 발명은 시공면을 마감 처리하기 위하여 시공면을 평탄화하는 바닥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바닥이나 보도, 도로 등과 같은 실외의 바닥은 실용성 및 심미성의 요구수준에 따라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타일, 보도블럭 또는 마감재 등으로 마감 처리되고 있고, 타일, 보도블럭 또는 마감재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시공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시공면을 타일, 보도블럭 또는 마감재 등으로 마감 처리하기 위해서는 시공면의 평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종래의 경우에는 시공면의 평탄화를 위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소정의 공구를 가지고 시공면의 전체 위치를 돌아다니면서 직접 바닥을 고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시공면의 평탄화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없고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면적의 시공면을 평탄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작업자가 요구되므로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는 등 시공면의 평탄화 과정에 소 요되는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면에 배치되는 가이드유닛과, 가이드유닛에 안내되어 이동하면서 시공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시공면의 평탄화를 위한 시공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하자보수로 인한 제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바닥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면의 형상에 맞게 평탄화유닛의 아랫면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는 바닥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시공면의 평탄화를 위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배치형상을 유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평탄화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시공면의 평탄화 과정 동안 시공면에 도포된 물질의 잔여분이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는 요홈부 및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는, 상하방향으로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연결된 형태의 높이에 비하여 큰 높이를 가지는 기준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면에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상기 평탄화유닛의 양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시공면에 배치되어 상기 평탄화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하나 이상의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평탄화유닛에는 상기 레일 상에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평탄화유닛과 연결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에는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의 하측에도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과 상기 바퀴 사이에는 상기 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과 상기 바퀴 사이에는 상기 바퀴를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에는 상기 프레임의 이동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화유닛에는, 상기 평탄화유닛의 상기 레일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유닛은 하나의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화유닛은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하나의 레일과 연결되며, 상기 평탄화유닛의 상기 레일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하나의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화유닛은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하나의 레일과 연결되며, 상기 평탄화유닛의 상기 레일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레일은 적어도 한 부분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시공면에 배치되는 가이드유닛과, 가이드유닛에 안내되어 이동하면서 시공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시공면의 평탄화를 위한 시공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평탄화유닛의 복수의 플레이트가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시공면의 높낮이에 맞게 복수의 플레이트의 상하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하여 평탄화유닛의 아랫면의 형상을 시공면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양의 물질을 시공면에 도포할 수 있어 시공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시공면에 도포된 물질의 평탄화를 위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11)와, 복수의 플레이트(11)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플레이트(11)를 지지하여 복수의 플레이트(11)의 배치형상을 유지하는 지지부재(12)와, 지지부재(1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를 포함하는 평탄화유닛(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11)는 각각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플레이트(11)의 좁은 면이 인접하는 플레이트(11)와 연결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각 플레이트(11)의 길이 및 폭은 시공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플레이트(11)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의 플레이트(11)는 그 수평방향으로의 단면형상이 삼각형, 다각형, 원형 또는 유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수평방향으로의 단면형상은 물질을 시공면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선 택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11)가 서로 연결되는 양쪽 부분에는 돌출부(111) 및 요홈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11)의 돌출부(111)가 인접하는 플레이트(11)의 요홈부(11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플레이트(1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플레이트(11)가 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시공면에 도포된 물질을 평탄화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플레이트(11)가 배치된 형상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11)의 각 하단부(113)는 시공면에 도포된 물질에 접촉되는 부분의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11)는 각 하단부(113)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11)의 각 하단부(113)는 플레이트(11)의 일면으로부터 수평방향 연장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1)의 하단부(113)는 플레이트(11)의 일면과 이루는 각도가 대략 직각이 되도록 연장되어, 플레이트(11)의 형상이 알파벳 "L"자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플레이트(11)가 시공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커지게 하여 시공면을 더욱 균일하게 평탄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의 하단부(113)의 시공면과 접촉되는 면에는 소정의 홈(11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113a)의 형성에 의하여 플레이트(11)와 시공면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레이트(11)를 시공면에 대하여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플레이트(11)는 지지부재(12) 및 고정부재(13)에 의한 고정이 해제된 경우, 복수의 플레이트(11)는 각각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평탄화되는 시공면의 높낮이에 맞게 플레이트(11)의 상하방향으로의 위치조절에 하여, 시공면에 도포된 물질을 시공면의 높낮이에 맞게 평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11)는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데, 각 플레이트(11)의 상하방향으로의 조절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레이트(11)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눈금(1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12)는, 복수의 플레이트(11)의 배치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플레이트(11)가 서로 연결된 형태의 전체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다. 지지부재(12)는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전방측면 및 후방측면에 각각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며, 지지부재(12)의 일면은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전방측면 및 후방측면에 밀착된다. 지지부재(12)는 자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전방측면에 배치된 지지부재(12)와 후방측면에 배치된 지지부재(12)가 자력에 의하여 서로 끌어당겨지도록 하여 복수의 플레이트(11)의 배치형상을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레이트(11)에는 플레이트(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15)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재(12)의 복수의 플레이트(11)에 밀착되는 면에는 플레이트(11)의 홈(115)에 대응하는 형상의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지지부재(12)가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전방측면 및 후방측면을 밀착할 때, 플레이트(11)의 홈에 지지부재(12)의 돌기(121)가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재(12)가 복수의 플레이트(11)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지지부재(12)에 홈이 형성되고 플레이트(11)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부재(12)의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부재(13)는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어, 지지부재(12)를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전방측면 및 후방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13)는 대략 플레이트(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부재(12)가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전방측면 및 후방측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체결된다. 고정부재(13)의 체결을 위해서는 고정부재(13) 및 플레이트(11)를 관통하는 나사(13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3)에는, 시공면의 평탄화 과정 동안 시공면에 도포된 물질의 잔여분이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부재(13)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플레이트(14)가 구비될 수 있다. 안내플레이트(14)는 일단이 고정부재(13)에 고정되고, 타단은 플레이트(11)의 대략 수직방향, 즉, 플레이트(11)가 이동하는 전방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플레이트(11)의 일면과 안내플레이트(14)의 일면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이 될 수 있으며, 시공조건에 따라 예각 또는 둔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내플레이트(14)가 플레이트(11)의 일면에 고정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안내플레이트(14) 사이의 공간에는 복수의 플레이트(11)가 이동되면서 모 래, 시멘트, 아스콘 등의 물질이 도포된 바닥을 평탄화하는 동안 물질의 잔여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안내플레이트(14)는 물질의 잔여분이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양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물질의 잔여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안내플레이트(14)는 복수의 플레이트(11)의 배치형상을 따라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안내플레이트(14)가 이루는 공간들에 물질의 잔여분이 고르게 분배되므로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이동 시 발생되는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평탄화유닛(10)은, 복수의 플레이트(11)가 시공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시공면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평탄화유닛(10)은 복수의 플레이트(11)가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될 면을 그 높낮이의 기울기가 점차적으로 변화되도록 하여야 하는 경우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될 면 내에 단차부를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상하방향 위치(H)를 조절하여, 평탄화유닛(10)의 아랫면이 이루는 형상을 조절함으로써, 설계에 맞는 형상의 시공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는 플레이트(11)의 길이에 비하여 긴 길이를 가지고 플레이트(11)의 폭에 비하여 큰 폭을 가지는 기준플레이트(16)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플레이트(16)는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일측에서 배치되며, 복수의 플레이트(11)가 연결된 형태의 폭과 대응되고, 복수의 플레이트(11)가 연결된 형태의 높이에 비하여 큰 높이를 가진다. 이러한 기준플레이트(16)의 복수의 플레이트(11)에 대향하는 면에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눈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플레이트(11) 중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1)의 높이가 조절되는 경우에, 기준플레이트(16)의 눈금(161)을 이용하여 플레이트(11)의 상하방향 높이 및 길이가 어느 정도 조절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높이로부터 플레이트(11)와 플레이트(11) 사이의 높이 차이 및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복수의 플레이트(11)를 이동시키는 힘을 줄일 수 있도록,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양측에는 복수의 플레이트(11)를 이동시키는 이동기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이동기구는,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체(116)와, 지지체(116)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외주면이 시공면에 접촉되는 바퀴(1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평탄화유닛(1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기구에는 손잡이(17)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는 바퀴(117)의 회전을 통하여 복수의 플레이트(11)를 적은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면을 평탄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시공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평탄화유닛(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유닛(20)은, 레일(21)과, 레일(21)을 시공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장치(22)는 레일(21)의 양단부분 또는 중간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시공면으로부터의 레일(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고정장치(22)는, 레일(21)에 고정되고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갖는 브래킷(221)과, 브래킷(221)의 관통홀에 삽입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에 관통홀의 암나사산과 치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이 시공면에 지지되는 로드(222)와, 로드(222)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2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가 핸들(223)을 돌려 로드(222)를 회전시키면 브래킷(221)과 시공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레일(21)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21)의 각 부분에 설치된 고정장치(22)를 이용하여 레일(21)을 시공면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레일(21)의 수평조절을 포함한 시공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유닛(20)의 고정장치(22)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레일(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장치(22)는 레일(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1)을 시공면에 지지시킴과 아울러 레일(2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레일(21)의 하측에는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231)를 포함하는 고정기구(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작업자가 레일(21)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바퀴(231)는 레일(21)의 하측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퀴(2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유닛(10)과 가이드유닛(20)의 연결을 위하여, 레일(21)상에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평탄화유닛(10)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프레임(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1)에는 프레임(15)의 이동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21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5)의 하측, 즉, 프레임(15)과 레일(21)의 사이에는, 프레임(15)이 이동하는 경우 레일(21)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15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퀴(15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의 사용하여 시공면을 처리하는 시공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공면에는 시멘트 또는 아스콘이 도포되거나 타일 또는 보도블럭이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타일을 설치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시멘트, 모래 및 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시공면에 도포하고 시공면을 평탄화한 후 타일을 설치하는 습식방식 또는 모래가 도포된 시공면을 평탄화하고 소정의 접착제가 도포된 타일을 설치하는 건식방식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모래, 시멘트, 아스콘 등의 물질을 도포한 시공면을 평탄화하는 장치로서, 먼저, 모래, 시멘트, 아스콘 등의 물질이 도포된 시공면에 한 쌍의 레일(21)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시키고 레일(21)의 고정장치(22)를 이용하여 레일(21)을 시공면에 고정시키는 것과 아울러 레일(21)의 시공면에 대한 기울기, 예를 들어 레일(21)의 수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레일(21)을 설치하고 수평을 맞추는 과정에서 수평계가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수평계는 레일(21)에 장착될 수 있다.
레일(21)의 설치가 완료되면, 복수의 플레이트(11)가 장착된 평탄화유닛(10)을 레일(21)상에 배치한다. 이때, 복수의 플레이트(11)의 각 플레이트(11)는 시공면의 높낮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된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유닛(10)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레일(21)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면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이동에 따라 모래, 시멘트 또는 아스콘 등의 물질이 평탄화된다. 이때, 물질이 도포된 바닥을 평탄화하는 동안 발생하는 물질의 잔여분은 안내플레이트(14)에 의하여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양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복수의 플레이트(11)의 이동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제거된다.
그리고, 평탄화유닛(10)에 의하여 평탄화된 시공면에 타일을 설치하거나 소정의 추가작업을 수행한 후 레일(21) 및 평탄화유닛(10)을 시공면으로부터 철거함으로써, 시공면을 처리하는 시공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가이드유닛(20)상의 평탄화유닛(10)을 단순히 이동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대면적의 시공면을 평탄화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하여 시공하는 것에 비하여 시공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실시예>
이하,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평탄화유닛(10)에는 평탄화유닛(10)의 레일(21)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8)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장치(18)는, 복수의 플레이트(11) 중 외각 측에 배치된 플레이트(11)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119)에 삽입되는 나사(191)를 통하여 플레이트(11)와 연결되고 프레임(15)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브래킷(19)과, 복수의 플레이트(11) 중 외각 측에 배치된 플레이트(11)의 측면에 고정되고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을 갖는 제1부재(181)와, 제1부재(181)의 구멍에 삽입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부재(1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부재(182)의 상단에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한 핸들(183)이 구비되고 제2부재(182)의 하단은 프레임(15)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나사(191)를 플레이트(11)의 장공(119)으로부터 해제한 상태에서, 높이조절장치(18) 의 제2부재(182)가 회전되면, 제1부재(181)와 프레임(15)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평탄화유닛(10)과 시공면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장치(18)는 평탄화유닛(10)의 양측에 구비되며, 이에 따라, 평탄화유닛(10)의 양단의 높낮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21)의 수평설치가 원활하지 않은 장소에서 레일(21)의 수평을 보완하여 보다 정밀한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또한, 레일(21)의 설치면에 대하여 바닥의 평탄면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높이조절장치(18)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평탄화유닛(10)의 높이조절장치(18)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실린더와 같이, 평탄화유닛(10)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평탄화유닛(10)의 레일(21)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8)가 구비되므로, 평탄화유닛(10)과 시공면 사이의 간격 및 수평의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작업의 종류에 따라 시공면에 대한 평탄화유닛(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4실시예>
이하,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 장치로, 하나의 레일(21)로 이루어진 가이드유닛(20)과, 프레임(15)을 통하여 하나의 레일(21)과 연결되는 복수의 플레이트(11)를 가지는 평탄화유닛(10)을 포함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11)의 레일(21)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의 레일(21)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손잡이(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에 구비되는 지지체(41) 및 지지체(41)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외주면이 시공면에 접촉되는 바퀴(42)로 구성되는 이동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하나의 레일(21)을 이용하여 시공면을 평탄화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레일(21)을 모두 설치할 수 없는 좁은 면적의 시공면의 평탄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레일(21)의 수를 줄여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5실시예>
이하,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에서, 가이드유닛(20)의 레일(21)은 적어도 한 부분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레일(21) 사이에는 장공을 가지는 연결부재(52)와, 연결부재(52)의 장공 내에 삽입되고 두 개의 레일(21)이 서로 인접된 위치에 고정되는 연결핀(5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1)은 펼쳐질 수 있으며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레일(21)의 운반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제6실시예>
이하,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가이드유닛(20)의 레일(21)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탄화유닛(10)은 가이드유닛(20)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가이드유닛(20)의 레일(21)의 하측에는 바퀴(231)가 구비되므로, 가이드유닛(20)은 시공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가이드유닛(2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레일(21)에는 손잡이(24)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1)의 하측과 바퀴(231) 사이에는 바퀴(231)의 레일(21)의 하측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장치(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장치(25)를 이용하여 바퀴(231)의 레일(21)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유닛(20)의 시공면에 대한 높이 및 시공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장치(25)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실린더와 같이, 레일(21)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 다.
또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1)과 바퀴(231)의 사이에는 바퀴(231)를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2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장치(28)의 동작에 의하여, 바퀴(231)가 레일(21)의 하측에 있는 경우 바퀴(231)를 상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레일(21)을 직접 시공면에 지지시킬 수 있으며, 바퀴(231)가 레일(21)의 상측에 있는 경우 바퀴(231)를 하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레일(21)을 바퀴(231)를 통하여 시공면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일(21)의 일측에는, 시공면에 대한 수평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수평계(2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시공면에 대한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각도계(27)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시공면 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레일(21)과 바퀴(231)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25)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시공면으로부터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7실시예>
이하,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평탄화유닛(10) 및 가이드유닛(20)의 조립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유닛(20) 이 고정되는 이동유닛(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유닛(50)에는 평탄화유닛(10) 및 가이드유닛(20)의 조립체가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이동유닛(50)의 몸체(51)에는 바퀴(5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유닛(20)과 연결되어 가이드유닛(20)을 승하강 시키는 리프트장치(5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장치(52)는 가이드유닛(20)을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가이드유닛(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동유닛(50)이 이동하는 경우, 리프트장치(52)가 구동하여 가이드유닛(20)이 시공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리프트장치(52)는 가이드유닛(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시공면에 대하여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평탄화유닛(10) 및 가이드유닛(20)의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50)이 구비되므로, 대면적의 시공면에 대한 평탄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시공장치는 건물의 실내의 시공면 및 도로나 보도와 같은 실외의 시공면을 평탄화하는 작업에 적용될 수 있으며, 건물의 내벽 및 외벽을 평탄화하는 작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의 평탄화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탄화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탄화유닛의 플레이트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탄화유닛의 플레이트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평탄화유닛의 플레이트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탄화유닛의 플레이트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평탄화유닛의 플레이트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평탄화유닛의 플레이트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평탄화유닛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평탄화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평탄화유닛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평탄화유닛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바닥시공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바닥시공장치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바닥시공장치의 평탄화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바닥시공장치의 평탄화유닛의 하측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4의 바닥시공장치를 사용하여 시공면을 처리하는 사용상태도이 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의 레일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바닥시공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평탄화유닛 11: 플레이트
12: 지지부재 13: 고정부재
14: 안내플레이트 15: 프레임
20: 가이드유닛 21: 레일

Claims (20)

  1. 시공면의 평탄화를 위하여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배치형상을 유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평탄화유닛을 포함하는 바닥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시공면의 평탄화 과정 동안 시공면에 도포된 물질의 잔여분이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는 요홈부 및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는, 상하방향으로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연결된 형태의 높이에 비하여 큰 높이를 가지는 기준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기준플레이트의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대향하는 면에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유닛의 양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퀴를 더 포함하는 바닥시공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공면에 배치되어 상기 평탄화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하나 이상의 레일로 구성되고, 상기 평탄화유닛에는 상기 레일 상에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평탄화유닛과 연결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하측에는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하측에는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상기 바퀴 사이에는 상기 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하측에는 바퀴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상기 바퀴 사이에는 상기 바퀴를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는 상기 프레임의 이동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유닛에는, 상기 평탄화유닛의 상기 레일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하나의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화유닛은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하나의 레일과 연결되며,
    상기 평탄화유닛의 상기 레일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하나의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평탄화유닛은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하나의 레일과 연결되며,
    상기 평탄화유닛의 상기 레일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적어도 한 부분이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의 적어도 하나가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시공장치.
KR1020090084516A 2008-09-09 2009-09-08 바닥시공장치 KR10112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516A KR101120050B1 (ko) 2009-09-08 2009-09-08 바닥시공장치
JP2011525996A JP2012502204A (ja) 2008-09-09 2009-09-09 床施工装置
AU2009292322A AU2009292322A1 (en) 2008-09-09 2009-09-09 Floor construction apparatus
EP09813239A EP2327845A2 (en) 2008-09-09 2009-09-09 Floor construction apparatus
CA2747849A CA2747849A1 (en) 2008-09-09 2009-09-09 Apparatus for constructing floor
PCT/KR2009/005114 WO2010030117A2 (ko) 2008-09-09 2009-09-09 바닥시공장치
MX2011002517A MX2011002517A (es) 2008-09-09 2009-09-09 Aparato para construir piso.
US12/741,072 US8684717B2 (en) 2008-09-09 2009-09-09 Apparatus for constructing fl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516A KR101120050B1 (ko) 2009-09-08 2009-09-08 바닥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742A KR20110026742A (ko) 2011-03-16
KR101120050B1 true KR101120050B1 (ko) 2012-03-22

Family

ID=4393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516A KR101120050B1 (ko) 2008-09-09 2009-09-08 바닥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0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788A (ko) 2021-07-14 2023-01-25 박동수 바닥타일 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6029A (zh) * 2019-06-18 2020-12-18 周惠兴 一种可伸缩式地面整平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0268A (ja) 2002-11-08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接着剤塗布用こて
KR20090065503A (ko) * 2009-06-01 2009-06-22 조봉철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0268A (ja) 2002-11-08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接着剤塗布用こて
KR20090065503A (ko) * 2009-06-01 2009-06-22 조봉철 바닥마감재 시공용 접착제의 수평도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788A (ko) 2021-07-14 2023-01-25 박동수 바닥타일 시공장치
KR20230011897A (ko) 2021-07-14 2023-01-25 박동수 바닥타일 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742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02204A (ja) 床施工装置
KR20110115629A (ko) 퍼티 도포장치
KR101651840B1 (ko)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한 피트 설비
KR101120050B1 (ko) 바닥시공장치
KR102144434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US20080248725A1 (en) Floor Grinding Machine
KR100922331B1 (ko) 바닥시공장치
KR100728712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N110374300B (zh) 石材地板系统及其施工方法
ES2564940T3 (es) Máquina de enrasar y método para nivelar bases de suelo
CN113668808B (zh) 一种防泛碱的地面及其智能化辅助施工方法
KR101627467B1 (ko) 바닥재의 시공장치
KR101924184B1 (ko) 바닥 모르타르 평탄화 규준기
CN114753606B (zh) 一种装配式地面找平装置
KR101059862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N100507185C (zh) 改进的墙面抹灰机
CN211473288U (zh) 一种建筑用地面刮平装置
CN211897735U (zh) 一种建筑施工铺地砖用匀沙设备
JP2001159240A (ja) コンクリート直仕上げ工法と治具
CN217711592U (zh) 铺地板砖平砂灰车
CN217151109U (zh) 一种可调节建筑施工用水泥抹光装置
CN219710900U (zh) 一种地砖辅助铺设装置
CN215405453U (zh) 一种混凝土浇筑面平整器
CN110453608B (zh) 一种预制立柱安装方法
CN218149467U (zh) 一种可便捷调节高度的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