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220B1 -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220B1
KR101119220B1 KR1020090116138A KR20090116138A KR101119220B1 KR 101119220 B1 KR101119220 B1 KR 101119220B1 KR 1020090116138 A KR1020090116138 A KR 1020090116138A KR 20090116138 A KR20090116138 A KR 20090116138A KR 101119220 B1 KR101119220 B1 KR 10111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ju
amyloid
water
bet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574A (ko
Inventor
양현옥
권학철
박진수
정성권
김명수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10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2Muscle relaxants, e.g. for tetanus or c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8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741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 system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tubocuraran derivatives, noscapine, bicucul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 및/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및/또는 라이코리시디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 neurodegenerative disease containing an extract of Lycoris chejuensis and/or a compound isolated therefrom}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및/또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제주상사화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 2-메톡시판크라신 (2-methoxypancracine),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 및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퇴행성 신경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퇴행성 신경 질환의 하나인 치매(dementia)는 각종 원인에 의해 발 생하는 뇌세포 손상에 의해 정상이던 기억력, 사고력, 이해력, 계산능력, 학습능력, 언어능력 및 판단력 등의 지능을 포함하는 뇌 기능이 저하된 증상을 말한다.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는 노년에 따른 뇌의 퇴행성 변화의 결과 나타나게 되는 노년성 정신 장애로서, 65세 전후부터 70세의 노년기에 주로 발생한다.
특히,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은 노인성 치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질환으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뇌내 축적과 그로 인한 신경독성이 발병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는 단백질이 뇌에 축적되어 엉키게 되는 플라그를 만들고 이로 인해 알츠하이머병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알츠하이머병에 걸리게 되면, 뇌의 전반적인 위축, 뇌실의 확장, 신경섬유의 다발성 병변(neurofibrillary tangle) 및 신경반(senile plaque) 등과 같은 병리조직학적 특징이 나타나고, 기억력, 판단력 및 언어능력 등의 지적 기능 감퇴와 행동 양상 장애가 나타나게 되며, 심하게 되면 우울증과 같은 정신의학적 증세도 동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증세들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발병 후 6 내지 8년 정도가 지나면 죽음에 이를 수 있다.
상기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는 아밀로이드 전구체(amyloid precursor protein, APP)가 막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베타-세크리테아제(BACE1)와 감마-세크리테아제의 연속적인 작용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는 크게 2가지 유형, 즉 40개 또는 4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Aβ40과 Aβ42로 나눌 수 있다. 베타-아밀로이드 중에서도 Aβ40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상대적으로 적게 만들어지는 Aβ42가 플라그를 쉽게 만들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병인물질로 지목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치매 치료제로서 타크린(tacrine; Cognex, 1994)과 도네피질(donepezil; Aricept, 1996)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아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약품들의 작용기전은 중추신경전달계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아세틸콜린의 분해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hE) 효소의 활성억제를 통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치매를 예방 및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 타크린은 효능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고 심각한 간독성의 문제점이 있으며, 도네피질은 간독성은 없으나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구토, 오심, 설사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부작용이 문제점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약물들은 뇌병변의 개선과 같은 원인적인 치료를 위한 약물이 아니라, 기억력 감퇴와 같은 치매의 주요 증상을 완화하려는 약물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원인적인 치료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치매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생성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은 거미 백합류인 히메노칼리스 리토랄리스(Hymenocallis littoralis), 히메노칼리스 라티폴리 아(Hymenocallis latifolia) 등에 함유되어 있고, 주로 항바이러스 효과 및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상기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은 치매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또한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은 거미 백합류인 히메노칼리스속(Hymenocallis sp.) 식물에 함유되어 있고, 항염증, 항산화 및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나, 치매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한편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 및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은 나르시서스 속 식물(Narcissus), 라이코리스 속 식물 (Lycoris), 판크라티움 속 식물 (Pancratium), 수선 속 식물 (Haemanthus)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라이코리시딘 및 라이코리시디놀은 항바이러스 효과 (Gabrielsen, B. et al. J. Nat . Prod. 55: 1569, 1992)와 항암효과 (Mondon, A. et al. Chem . Ber . 108: 445, 1975)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또는 치매 (알츠하이머) 예방 및 치료와 관련된 효과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
한편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는 대한민국의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흰색을 띠는 수선화과 식물로써, 최근 명명되었다(Tae and Ko, Kor. J. Pl. Tax. 23: 233, 1993). 아직까지도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에 대한 화학 분석적 연구나 생리활성 및 임상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퇴행성 신경 질환의 치료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부작용이 없으며 질환의 원인적 치료까지 가능한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연구하던 중,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 및/또는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이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고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β)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대표적인 퇴행성 신경 질환인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유효한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3350898-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9073350898-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09073350898-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09073350898-pat00004
또 다른 측면은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 상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 및 이들의 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은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은 제주상사화로부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 또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은 제주상사화로부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 또는 상기 화학식 4로 라이코리시디놀 (lycoricidinol)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는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3350898-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09073350898-pat00006
<화학식 3>
Figure 112009073350898-pat00007
<화학식 4>
Figure 112009073350898-pat00008
또 다른 예는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메톡시판크라신(2- methoxypancracine), 상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 및 이들의 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a)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를 물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물, 헥산, 염화메틸렌, 초산에틸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매와 물을 부피 기준으로 1~7:10, 바람직하게는 3~7: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7:10 (유기용매 부피:물 부피)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 또는 상기 화학식 3으로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a')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를 물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물, 헥산, 염화메틸렌, 초산에틸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매와 물을 부피 기준으로 7.1~15:10, 바람직하게는 9~15: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15: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3~15:10 (유기용매 부피:물 부피)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 또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제주상사화의 인경 또는 뿌리를 이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추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 방법은 가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전기적 추출법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추출 방법일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추출 후,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농축 및/또는 동결 건조 방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은 물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예컨대 70 내지 100 %(v/v)의 C1 내지 C4 의 저급알코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제주상사화 부피의 1 내지 5 부피배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추출 시간은 1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2~5시간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i) 제주상사화를 물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ii) 물, 헥산,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로 추출함으로써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은 부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iii) 상기 (ii)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아세토니트릴,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첨가하여 추가적으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은 상기 (ii)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아세톤과 물의 혼합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 용매 중의 아세톤과 물의 혼합비는 부피를 기준으로 1:4 내지 4:1 (아세톤 부피:물 부피)인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주상사화의 구근에 에탄올을 첨가하고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실시예 1-1> 참조). 또한 상기 제조 된 제주상사화의 에탄올 추출물에 물, 헥산, 염화메틸렌, 부탄올을 각각 첨가하여 추가로 추출함으로써, 헥산 분획물, 염화메틸렌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그리고 물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실시예 1-2> 참조). 또한 상기 제조된 분획물 중에서 아밀로이드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부탄올 분획물에 아세톤, 물 또는 아세톤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부탄올 소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실시예 1-2> 참조).
상기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 라이코리시딘(lycoridine), 및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은 그 자체, 또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모든 유기산일 수 있으며, 예컨대,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탄산, 아스파르트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모든 무기산일 수 있으며, 예컨대,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 라이코리시딘(lycoridine), 및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방법에 따라 상기 화합물이 함 유된 천연물로부터 분리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합성 방법에 따라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의 전초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주상사화의 에탄올 추출물을 아밀로이드 전구체(amyloid precursor protein, APP)가 형질감염(transfection)된 HeLa 세포주에 투여한 결과,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1> 참조). 또한 상기 제주상사화의 헥산 분획물, 염화메틸렌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실험예 1-2> 참조). 또한 상기 제주상사화의 부탄올 소분획물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실험예 1-2>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는 상기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또는 라이코리시디놀을 아밀로이드 전구체(amyloid precursor protein, APP)가 형질감염(transfection)된 HeLa 세포주에 투여한 결과, 베타-아밀로이드 생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3>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는 상기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이 억제되는 원인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β)의 생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에 의해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β)의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은 베타-세크리테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β)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하여 베타-아밀로이드가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실험예 4> 참조).
이와 같이, 제주상사화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또는 라이코리시디놀은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지고 있어, 이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한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퇴행성 신경 질환은 신경, 특히 뇌신경의 퇴행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며, 예컨대, 치매(dementia),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헌팅톤병(Huntington's disease), 픽병(Pick's Disease) 및 파킨스-ALS(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치매 복합증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퇴행성 신경 질환은 치매, 특히 알츠하이머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제주상사화 추출물,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및/또는 라이코리시디놀의 함량은 사용 형태, 사용 목적, 환자 상태, 및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제주상사화 추출물의 함량은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표현된 것이며, 상기 고형분 중량은 추출물 중 용매 성분을 제거하고 남은 성분의 중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경피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라이코리시디놀 또는 상기 제주상사화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부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을 수 있고,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및/또는 여러 가지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경피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효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0.5 내지 50㎎/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kg일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 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환자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의미하며, 예컨대, 퇴행성 신경 질환, 예컨대, 치매,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치료가 필요한 인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 효과가 있는 각종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의 식품을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품으로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라이코리시디놀 및/또는 제주상사화 추출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하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라이코리시디놀 및/또는 제주상사화 추출물과 치매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은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및/또는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제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라이코리시디놀 및/또는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포함하 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중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라이코리시디놀 및/또는 제주상사화 추출물의 함량은 최종 식품의 형태, 용도 및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예컨대 식품 100g당 약 0.001~20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라이코리시디놀 및/또는 상기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퇴행성 신경 질환, 특히 치매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i) 제주상사화를 물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임의적으로
(ii) 상기 (i)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물, 헥산, 초산에틸, 염화메틸렌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로 추출하는 단계; 및 임의적으로
(iii) 상기 (ii)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아세토니트릴,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첨가하여 추가적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dihydrolycoricidine) 또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의 제조방법은 (a) 제주상사화 (Lycoris chejuensis)를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물, 헥산, 염화메틸렌, 초산에틸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매와 물을 부피를 기준으로 1~7:10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 또는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의 제조방법은 (a')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를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물, 헥산, 염화메틸렌, 초산에틸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일종 이상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매와 물을 부피비로 7.1~15:10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여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또는 (a') 단계에서 제주상사화의 전초를 이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방법에 따라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은 예를 들면, 가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전기적 추출법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방법일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추출 후, 당업계에 공지된 농축 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또는 (a') 단계에서 유기용매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물 또는 유기용매는 제주상사화 부피의 1 내지 5배 부피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추출 시간은 1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2~5 시간으로 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 또는 (b') 단계에서, 상기 (a) 또는 (a')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물, 헥산, 염화메틸렌, 초산에틸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추출함으로써 각 용매에 따른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은 부탄올인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 또는 (c') 단계에서 수행되는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예컨대 HP-20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C18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b) 또는 (b')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에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아세톤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또는 아세톤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HP-20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또는 라이코리시딘을 제조하기 위하여 아세톤과 물의 혼합비를 부피비로 3~7:10으로 하여 HP-20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2-메톡시판크라신 또는 라이코리시디놀을 제조하기 위하여 아세톤과 물의 혼합비를 부피비로 7.1~15:10로 하여 HP-20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또는 라이코리시딘을 제조하기 위하여 아세톤과 물의 혼합비를 부피비로 1:1.5로 하여 HP-20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2-메톡시판크라신 또는 라이코리시디놀을 제조하기 위하여 아세톤과 물의 혼합비를 부피비로 1:0.67로 하여 HP-20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난 후, 순차적으로 C18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또는 라이코리시디놀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니트릴(0.02 부피%의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함유) 및 물의 혼합용액을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아세토니트릴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C18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및 라이코리시디놀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2-메톡시판크라신, 라이코리시딘, 라이코리시디놀 또는 제주상사화 추출물은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고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β) 생성의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베타-아밀로 이드 및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β)에 의하여 유도되는 신경세포 독성 및 이로 인해 유발되는 신경 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제주상사화 ( Lycoris chejuensis ) 추출물의 제조
<1-1> 제주상사화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제주도에서 채집한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의 구근을 건조하여 얻어진 시료 590g을 세절한 후, 추출 용기에 넣고, 95%(v/v) 에탄올을 상기 시료 부피의 2 부피배로 가한 후,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상온에서 식혀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된 추출액을 용매가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감압 하에 40℃에서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 200g(이하 'CJ'라고 함)을 수득하였다 (수율: 33.9%).
<1-2> 제주상사화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제주상사화의 에탄올 추출물 200g을 물 1L에 현탁한 후, 헥산, 염화메틸렌 및 부탄올 각 1L를 각각 2회씩 차례로 가하여 용매 분획함으로써 헥산 분획물 1g(이하 'CJ-1'라고 함), 염화메틸렌 분획물 1g(이하 'CJ-2'라고 함) 및 부탄올(butanol) 분획물 5.5g(이하 'CJ-3'라고 함) 그리고 물 분획물 192g(이하 'CJ-4'라고 함)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제주상사화의 부탄올 분획물 5.5g을 아세톤, 물 또는 아세톤 및 물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제주상사화의 부탄올 소분획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아세톤, 물 또는 아세톤과 물의 비율을 0:10(물 단독), 2:8, 4:6, 6:4, 8:2 및 10:0(아세톤 단독)의 부피비로 변화시키면서 고정상으로서 HP-20 200g을 사용한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함으로써 8종의 제주상사화의 부탄올 소분획물[이하 'CJ-3-F1 (물 단독, 400ml), CJ-3-F2 (아세톤:물-2:8, 400ml), CJ-3-F3 (아세톤:물-4:6, 전반부 200ml), CJ-3-F4 (아세톤:물-4:6, 후반부 200ml), CJ-3-F5 (아세톤:물-6:4, 전반부 200ml), CJ-3-F6 (아세톤:물-6:4, 후반부 200ml), CJ-3-F7 (아세톤:물-8:2, 400ml), CJ-3-F8 (아세톤단독, 400ml)'라고 함]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제주상사화 추출물로부터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2-1>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또는 라이코리시딘의 분리 및 동정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부탄올 소분획물 중에 아세톤과 물의 비율을 4:6 (아세톤 부피: 물 부피) 부피비로 한 경우 얻어지는 분획물의 HPLC chromatogram (UV 파장 210nm, 이동상 10 부피% 아세토니트릴/물 ~ 20 부피% 아세 토니트릴/물 20분.)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획물에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및 라이코리시딘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아세톤과 물의 비율을 부피를 기준으로 4:6으로 한 부탄올 소분획물을 감압 농축한 후, 아세토니트릴(0.02 부피%의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함유) 및 물의 혼합용액을 용리액으로 사용하고, C18 역상 컬럼을 이용한 고속유체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을 통하여 화합물을 정제하였다. 구체적으로 10 부피% 아세토니트릴/물로부터 20 부피% 아세토니트릴/물까지 40분 동안 아세토니트릴의 조성을 높이는 농도구배로 C18 역상 컬럼을 사용한 고속유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상기 수행 결과, 제주상사화 알코올 추출물 200g으로부터 각각 10mg(수율: 0.005 %) 및 40 mg(수율 0.02 %)의 2종의 화합물을 정제하였다
상기 수율 0.005%로 수득한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NMR 분석 및 질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자량은 Agilent 1100 고속유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계(HPLC-ESI-MS)를 이용한 MS 측정을 통하여 293으로 결정하였으며, 핵자기공명기(Varian 500 ㎒ NMR)를 이용한 1H 및 13C-NMR 스펙트럼(spectrum) 분석을 통하여 화합물의 구조를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dihydrolycoricidine)으로 동정하였으며(George R. T. 및 Noeleen M. J. Nat. Prod 68: 207-211, 2005),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73350898-pat00009
미황색 반고형성 물질; 분자식 C14H15NO6; ESI-MS: m/z 294 [M+H]+; 1H NMR (500 MHz, CD3OD): δ 1.86(1H, td, J = 13.0, 3.0 Hz, H-1ax), 2.27(1H, dt, J = 13.0, 3.0 Hz, H-1eq), 3.07(1H, td, J = 13.0, 3.0 Hz, H-10b), 3.49(1H, dd, J = 13.0, 10.0 Hz, H-2), 3.89(1H, dd, J = 10.0, 3.0 Hz, H-3), 3.92(1H, dd, J = 3.0, 3.0 Hz, H-4), 4.10(1H, dt, J = 3.0, 3.0 Hz, H-4a), 6.03 and 6.05(each 1H, d, J = 1.5 Hz, OCH2O), 6.90(1H, br s, H-10), 7.40(1H, s, H-7). Exchangeable Proton Signal (500 MHz, DMSO-d6) δ7.30(1H, br s, NH), 5.00 (1H, br s, OH), 4.58(1H, br s, OH), 4.56(1H, br s, OH); 13C NMR (125 MHz, DMSO-d6) : δ 30.3 (C-1), 32.7 (C-10b), 58.2 (C-4a), 69.3 (C-2), 70.2 (C-3), 74.0 (C-4), 102.5 (OCH2O), 104.9 (C-10), 107.2 (C-7), 124.5 (C-6a), 138.8 (C-10a), 146.5 (C-8), 151.0 (C-9), 165.0 (C-6).
또한 상기 0.02%의 수율로 수득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NMR 분석 및 질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자량은 Agilent 1100 고속유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계(HPLC-ESI-MS)를 이용한 MS 측정을 통하여 291로 결정하였으며, 핵자기공명기(Varian 500 ㎒ NMR)를 이용한 1H-NMR 스펙트럼(spectrum) 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를 하기 화학식 3와 같이, 라이코리시딘(lycoricidine)으로 동정하였으며(George R.  Tettit and Joy A.  Bell,  J.  Nat.  Prod 69: 7-13, 2006),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3>
Figure 112009073350898-pat00010
미황색 반고형성 물질 분자식 C14H13NO6; ESI-MS : m/z 292 [M+H]+ 1H NMR (500 MHz, CD3OD) : δ 3.92 (1H, m, H-3), 3.94 (1H, m, H-4), 4.26 (1H, ddd, J = 4.5, 2.0, 1.5 Hz, H-2), 4.40 (1H, ddt, J = 9.5, 2.5, 1.0 Hz, H-4a), 6.06 and 6.08 (each 1H, d, J = 1.0 Hz, -OCH2O-), 6.18 (1H, m, H-1), 7.17 (1H, s, H-10), 7.40 (1H, s, H-7).
<2-2> 2- 메톡시판크라신 또는 라이코리시디놀의 분리 및 동정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부탄올 소분획물 중에 아세톤과 물의 비율을 6:4 (아세톤 부피:물 부피)의 부피비로 한 경우 얻어진 분획물의 HPLC chromatogram (UV 파장 210nm, 이동상 10%(w/v) 아세토니트릴/물 ~ 20 %(w/v) 아세토니트릴/물 20분.)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획물에 2-메톡시판크라신 및 라이코리시디놀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아세톤과 물의 비율을 6:4로 한 부탄올 소분획물을 감압 농축한 후, 아세토니트릴(0.02 부피%의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 함유) 및 물의 혼합용액을 용리액으로 사용하고, C18 역상 컬럼을 이용한 고속유체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을 통하여 화합물을 정제하였다. 구체적으로 10 부피% 아세토니트릴/물로부터 50 부피% 아세토니트릴/물까지 40분 동안 아세토니트릴의 조성을 높이는 농도구배로 C18 역상 컬럼을 사용한 고속유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상기 수행 결과, 제주상사화 알코올 추출물 200g으로부터 각각 3mg(수율: 0.0015 %) 및 80mg(수율 0.04 %)의 2종의 화합물들을 정제하였다.
상기 0.0015%의 수율로 수득한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NMR 분석 및 질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자량은 Agilent 1100 고속유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계(HPLC-ESI-MS)를 이용한 MS 측정을 통하여 301로 결정하였으며, 핵자기공명기(Varian 500 ㎒ NMR)를 이용한 1H-NMR 스펙트럼(spectrum) 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를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2-메톡시판크라신(2-methoxypancracine)으로 동정되었으며(Ishizaki M. et al. J. Org. Chem 57: 7285-7295, 1992),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2>
Figure 112009073350898-pat00011
미황색 반고형성 물질 분자식 C17H19NO4; ESI-MS : m/z 302 [M+H]+
1H NMR (500 MHz, CD3OD): δ 1.45 (1H, dt, J = 12.5, 3.0 Hz, H2-4), 2.12 (1H, m, H2-4), 3.05 (2H, m, H-12), 3.38 (1H, d, J = 2.5 Hz, H-11), 3.43 (3H, s, 3-OMe), 3.45 (1H, m, H-4a), 3.47 (1H, m, H-2), 3.82 (1H, d, J = 16.5 Hz, H-6), 4.05 (1H, m, H-3), 4.31 (1H, d, J = 16.5 Hz, H-6), 5.58 (1H, m, H-10), 5.87 and 5.88 (each 1H, d, J = 1.0 Hz, OCH2O), 6.53 (1H, s, H-7), 6.61 (1H, s, H-10)
또한 상기 0.04%의 수율로 수득한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NMR 분석 및 질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자량은 Agilent 1100 고속유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계(HPLC-ESI-MS)를 이용한 MS 측정을 통하여 307로 결정하였으며, 핵자기공명기(Varian 500 ㎒ NMR)를 이용한 1H-NMR 스펙트럼(spectrum) 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를 하기 화학식 4와 같이, 라이코리시디놀(lycoricidinol)으로 동정되었으며(Shanmugham Elango and Yu-Hsin Yan,  J.  Org.  Chem 67: 6954-6959, 2002),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학식 4>
Figure 112009073350898-pat00012
미황색 반고형성 물질; 분자식 C14H13NO7; ESI-MS : m/z 308 [M+H]+; 1H NMR (500 MHz, CD3OD) : δ 3.91 (1H, m, H-3), 3.92 (1H, m, H-4), 4.24 (1H, m, H-2), 4.36 (1H, m, H-4a), 6.03 and 6.05 (each 1H, d, J = 1.0 Hz, -OCH2O-), 6.18 (1H, m, H-1), 6.75 (1H, s, H-10).
< 실험예 1>
제주상사화 ( Lycoris chejuensis ) 추출물의 베타-아밀로이드(β- amyloid ) 생성 억제 효과
<1-1> 제주상사화 에탄올 추출물의 베타-아밀로이드(β- amyloid )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제주상사화 에탄올 추출물(CJ)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에서 유래된 아밀로이드 전구체(amyloid precursor protein, APP)가 형질감염(transfection)된 HeLa 세포주를 DMEM 배양액 (Cat. # 11995, Gibco, USA)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이 세포주는 김태완 교수 (Prof. Tae-Wan Kim, Department of Pathology, Columbia University Medical Center, New York, NY10032, USA)로부터 제공받았다.
상기 세포주가 배양된 세포 배양액에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제주상사화 에탄올 추출물(CJ)을 첨가한 다음, 8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고 배양액에 분비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양을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타-아밀로이드, 즉 두 가지 유형의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를 정량하기 위하여 Human β-Amyloid[1-40](Aβ40), Human β-Amyloid [1-42](Aβ42) Colorimetric ELISA 키트를 각각 사용하였다(#KHB3482 및 #KHB3442; BioSource International, Inc., 미국). 상기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양의 정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표 1) 제주상사화 에탄올 추출물(CJ)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
Figure 112009073350898-pat00013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주상사화 에탄올 추출물(CJ)에 의하여,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다.
<1-2> 제주상사화 분획물의 베타-아밀로이드(β- amyloid )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헥산 분획물(CJ-1), 염화메틸렌 분획물(CJ-2), 부탄올 분획물(CJ-3), 및 물(CJ-4) 분획물을 각각 25μg/ml의 양으로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첨가하고,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량을 정량한 다음 그 결과를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2) 제주상사화 분획물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
Figure 112009073350898-pat00014
상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주상사화 분획물(CJ-1, CJ-2, CJ-3, CJ-4)에 의하여,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이 억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 제주상사화 부탄올 분획물(CJ-3)을 각각 5, 1, 0.5, 0.2 및 0.1μg/ml 농도로 첨가하여 추가적으로 베타-아밀로이드(Aβ42)의 생성량을 정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주상사화 부탄올 분획물(CJ-3)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베타-아밀로이드(Aβ42)의 생성이 억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βμ
한편,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부탄올 소분획물(CJ-3-F1, F2, F3, F4, F5, F6, F7, F8) 10μg/ml를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첨가하고, 베타-아밀로이드(Aβ42)의 생성량을 정량한 다음 그 결과를 표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3) 제주상사화 소분획물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
Figure 112009073350898-pat00015
상기 표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부탄올 소분획물에서 베타-아밀로이드(Aβ42)의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주상사화 추출물은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퇴행성 신경 질환, 예컨대, 치매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제주상사화 ( Lycoris chejuensis )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 및 안정성 평가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세포 사멸(cell death)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공지된 MTT Cell Proliferation assay 방법(ATCC catalog #30-1010K, Manassas, 미국)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농도의 제주상사화 에탄올 추출물(CJ) 및 제주상사화 부탄올 분획물(CJ-3)을 8시간 동안 세포에 처리한 후에 생존세포(viable cell)를 정량하고 그 결과를 표 4, 표 5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4) 제주상사화 추출물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
농  도 1.0 2.5 5 10 25 50
CJ(μg/ml)에 의한
음성대조군(100%)
대비 세포성장율 (%)
97.6 ±1.36 87.6 ±1.61 90.8 ±6.84 83.9 ±4.18 85.9 ±2.76 65.2 ±2.66
(표 5) 제주상사화 분획물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
농  도 0.1 0.2 0.5 1.0 5.0
CJ-3(μg/ml)에 의한 음성대조군(100%) 대비 세포성장율 (%) 107.6±1.71 106.2 ±4.53 107.4 ±2.43 99.1 ±7.08 81.6 ±5.21
상기 표 4, 표 5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주상사화 에탄올 추출물(CJ)을 50 μg/ml 농도로 투여한 경우 30% 이내의 세포만 사멸하였으며, 제주상사화 부탄올 분획물(CJ-3)을 5μg/ml 농도로 투여한 경우 20% 이내의 세포만이 사 멸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주상사화 추출물이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세포사멸에 의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다량 복용한다 할지라도 세포독성이 미약하므로 제주상사화 추출물은 생체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화합물의 베타-아밀로이드(β- amyloid ) 생성 억제 효과
<3-1>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의 베타-아밀로이드(β- amyloid ) 생성 억제 효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 적용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이때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표 6)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첨가 농도(μM) 50 25 10 5
음성대조군 대비 Aβ40 생성 억제율 (%) 63.0 59.8 56.1 28.4
음성대조군 대비 Aβ42 생성 억제율 (%) 92.2 88.8 63.8 58.8
상기 표 6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에 의하여,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다.
<3-2> 2- 메톡시판크라신의 베타-아밀로이드(β- amyloid ) 생성 억제 효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2-2>에서 수득한 2-메톡시판크라신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2-메톡시판크라신 적용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 5, 1, 0.5, 0.2, 0.1, 0.05μg/ml 농도의 2-메톡시판크라신을 첨가하여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때 2-메톡시판크라신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메톡시판크라신에 의하여,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다.
<3-3> 라이코리시딘의 베타-아밀로이드(β- amyloid )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인 라이코리시딘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 1, 0.1, 0.01μg/ml 농도의 라이코리시딘을 첨가하여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생 성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7과 도 8a 및 8b에 기재하였다. 이때 라이코리시딘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표 7)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
  라이코리시딘
농도 (μg/ml) 0.01 0.1 1 10
음성대조군 대비 Aβ42 생성 억제율 (%) 16.0 81.3 97.5 100
음성대조군 대비 Aβ40 생성 억제율 (%) 3.3 67.0 92.8 97.2
상기 표 7와 도 8a 및 8b에 기재된 바와 같이 라이코리시딘과 라이코리시디놀에 의하여,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3-4> 라이코리시디놀의 베타-아밀로이드(β- amyloid )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2-2>에서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인 라이코리시디놀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 1, 0.1, 0.01μg/ml 농도의 라이코리시디놀을 첨가하여 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8과 도 8a 및 8b에 기재하였다. 이때 라이코리시디놀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표 8)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효과
 농도 (μg/ml) 라이코리시디놀
0.01 0.1 1 10
성대조군 대비 Aβ42 생성 억제율 (%) 44.0 97.0 100 100
음성대조군 대비 Aβ40 생성 억제율 (%) 25.0 90.4 97.8 98.4
상기 표 8와 도 8a 및 8b에 기재된 바와 같이 라이코리시디놀에 의하여,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화합물의 베타- 세크리테아제 산물( sAPP β)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험예 3>에서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이 억제되는 원인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였다. 상기 베타-아밀로이드는 아밀로이드 전구체(APP)가 막단백 가수분해 효소인 베타-세크리테아제(BACE1) 및 감마-세크리테아제의 연속적인 작용으로 생성된다(Vassa and Citron, Neuron 27, 419-422, 2000). 보다 구체적으로 아밀로이드 전구체(APP)가 베타-세크리테아제의 작용으로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β)가 생성되고, 이것은 감마-세크리테아제의 작용으로 베타-아밀로이드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이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β)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되, sAPPβ를 정량하기 위하여 sAPPβ-Wild Type Assay Kit(Immuno-Biological Laboratories Co., Ltd., 일본)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9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이때 음성대조군은 디하 이드로라이코리시딘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로 하였다.
(표 9)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의 sAPPβ 생성 억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첨가 농도(μM) 50 25 10 5
음성대조군 대비 sAPPβ 생성 억제율 (%) 36.1 28.9 12.0 6.0
상기 표 9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에 의해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β)의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은 베타-세크리테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sAPPβ 생성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하여 베타-아밀로이드가 생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5>
화합물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 및 안정성 평가
<5-1>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의 경우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이 세포 사멸(cell death)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존세포(viable cell)를 정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표 10)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첨가 농도(μM) 5 10 25 50
음성대조군 대비 세포 사멸율(%) 18.3 23.3 25.3 28.1
상기 표 10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50μM 농도로 투여한 경우 30% 이내의 세포만 사멸하였다. 따라서, 디하이드로라이코리 시딘이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세포사멸에 의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을 다량 복용한다 할지라도 세포독성이 미약하므로,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은 생체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2> 2- 메톡시판크라신의 경우
상기 <실시예 2-2>에서 수득한 2-메톡시판크라신이 세포 사멸(cell death)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존세포(viable cell)를 정량하고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메톡시판크라신을 5 μg/ml 농도로 투여한 경우 10% 이내의 세포만 사멸하였다. 따라서, 2-메톡시판크라신이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세포사멸에 의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2-메톡시판크라신을 다량 복용한다 할지라도 세포독성이 미약하므로, 2-메톡시판크라신은 생체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3> 라이코리시딘의 경우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라이코리시딘이 세포 사멸(cell death)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존세포(viable cell)를 정량하고 그 결과를 표 11과 도 12에 기재하였다.
(표 1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
 농  도 (μg/ml)  라이코리시딘
0.01 0.1 1 10
음성대조군 대비 세포사율 (%) 4.9 11.3 19.0 21.1
상기 표 11과 도 1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10 μg/ml 농도로 투여한 경우 20% 이내의 세포만 사멸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라이코리시딘이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세포사멸에 의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라이코리시딘을 다량 복용한다 할지라도 세포독성이 미약하므로, 라이코리시딘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유효한 성분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4> 라이코리시디놀의 경우
상기 <실시예 2-2>에서 수득한 라이코리시디놀이 세포 사멸(cell death)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존세포(viable cell)를 정량하고 그 결과를 표 10과 도 12에 기재하였다.
(표 1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
 농  도 (μg/ml)  라이코리시디놀
0.01 0.1 1 10
음성대조군 대비 세포사율 (%) 10.3 11.6 16.5 19.3
상기 표 12과 도 13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10 μg/ml 농도로 투여한 경우 20% 이내의 세포만 사멸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라이코리시디놀이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세포사멸 에 의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으며, 아울러, 라이코리시딘을 다량 복용한다 할지라도 세포독성이 미약하므로, 라이코시디놀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의 유효한 성분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제주상사화 추출물은 치매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치매 특히 알츠하이머병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고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β)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주상사화 에탄올 추출물(CJ)의 농도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제주상사화 분획물(CJ-1, CJ-2, CJ-3, CJ-4)의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제주상사화 부탄올 분획물(CJ-3)의 농도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제주상사화 부탄올 소분획물(CJ-3-F1, F2, F3, F4, F5, F6, F7 및 F8)의 베타-아밀로이드(Aβ42)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제주상사화 에탄올 추출물(CJ) 또는 부탄올 분획물(CJ-3)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의 첨가 농도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CTL: 음성대조군).
도 7은 2-메톡시판크라신의 농도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Aβ40, Aβ42)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CTL: 음성대조군).
도 8a 및 8b는 라이코리시딘 및 라이코리시디놀의 농도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Aβ40: 8a; Aβ42: 8b)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CTL: 음성대조군).
도 9은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의 농도에 따른 베타-세크리테아제 산물(sAPP β)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CTL: 음성대조군).
도 10는 디하이드로라이코리시딘의 농도에 따른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CTL: 음성대조군).
도 11은 2-메톡시판크라신의 농도에 따른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CTL: 음성대조군).
도 12는 라이코리시딘의 농도에 따른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CTL: 음성대조군).
도 13은 라이코리시디놀의 농도에 따른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CTL: 음성대조군).
도 14는 제주상사화 추출물의 부탄올 소분획물 중 아세톤과 물의 부피 비율을 4:6으로 한 경우 얻어진 분획물의 HPLC HPLC chromatogram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제주상사화 추출물의 부탄올 소분획물 중 아세톤과 물의 부피 비율을 6:4으로 한 경우 얻어진 분획물의 HPLC HPLC chromatogram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9)

  1. 제주상사화(Lycoris cheju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주상사화 추출물은 물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주상사화 추출물은 물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물, 헥산, 염화메틸렌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주상사화 추출물은 물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 헥산, 염화메틸렌 및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로 추출한 후, 아세토니트릴,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가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인 조성 물.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신경 질환은 치매,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톤병, 픽병 및 파킨스-ALS(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치매 복합증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8. 삭제
  9. 삭제
KR1020090116138A 2009-03-04 2009-11-27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9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520 2009-03-04
KR20090018520 2009-03-04
JPJP-P-2009-244257 2009-10-23
JP2009244257A JP5323640B2 (ja) 2009-03-04 2009-10-23 済州島彼岸花抽出物及び/またはこれから分離された化合物を含む退行性神経疾患の予防及び/または治療用組成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690A Division KR20110112258A (ko) 2009-03-04 2011-08-29 2-메톡시판크라신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10086689A Division KR101163658B1 (ko) 2009-03-04 2011-08-29 디히드로라이코리시딘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574A KR20100100574A (ko) 2010-09-15
KR101119220B1 true KR101119220B1 (ko) 2012-03-20

Family

ID=422694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138A KR101119220B1 (ko) 2009-03-04 2009-11-27 제주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10086690A KR20110112258A (ko) 2009-03-04 2011-08-29 2-메톡시판크라신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10086689A KR101163658B1 (ko) 2009-03-04 2011-08-29 디히드로라이코리시딘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690A KR20110112258A (ko) 2009-03-04 2011-08-29 2-메톡시판크라신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10086689A KR101163658B1 (ko) 2009-03-04 2011-08-29 디히드로라이코리시딘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44501B2 (ko)
EP (1) EP2226077B1 (ko)
JP (1) JP5323640B2 (ko)
KR (3) KR101119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3010B2 (ja) * 2010-08-27 2015-05-27 コリア・インスティテュート・オブ・サイエンス・アンド・テクノロジー 認知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CN107561186B (zh) * 2017-09-06 2020-02-14 上海市农业科学院 一种同时检测石蒜属植物中三种生物碱含量的方法
CN109329060B (zh) * 2018-11-21 2021-06-11 江苏省中国科学院植物研究所 以换锦花石蒜鳞茎盘为外植体进行组培快繁的方法
KR102221137B1 (ko) * 2020-09-25 2021-02-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위도 상사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77757A (ko) 2022-11-25 2024-06-03 한국한의약진흥원 상사화로부터 나르시클라신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3993A (en) * 1967-03-28 1971-06-08 Shionogi & Co Plant growth regulating substances,lycoricidins
JPH11255650A (ja) * 1998-03-12 1999-09-2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アポトーシス抑制剤
US20080262223A1 (en) * 2005-03-17 2008-10-23 Ivax Pharmaceuticals S.R.O. Isolation of Galanthamine From Biological Material
WO2006122723A1 (en) * 2005-05-19 2006-11-23 Vaecgene Biotech Gmbh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 or allogeneic transplant rejections
JP5723010B2 (ja) * 2010-08-27 2015-05-27 コリア・インスティテュート・オブ・サイエンス・アンド・テクノロジー 認知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CHINESE JOURNAL OF GERONT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258A (ko) 2011-10-12
EP2226077B1 (en) 2017-05-03
US20100227851A1 (en) 2010-09-09
JP2010202635A (ja) 2010-09-16
KR20110112257A (ko) 2011-10-12
KR20100100574A (ko) 2010-09-15
JP5323640B2 (ja) 2013-10-23
EP2226077A1 (en) 2010-09-08
US9044501B2 (en) 2015-06-02
KR101163658B1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670B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3658B1 (ko) 디히드로라이코리시딘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93413B1 (ko) 뇌 신경 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 고구마 추출물 및 그의 용도
KR101187032B1 (ko) 벌개미취의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짐나스테르코리아인 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보호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110552A (ko)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67372B1 (ko) 신규 리그난 화합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18164B1 (ko) 자외선을 처리한 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60002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49190B1 (ko)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을 저해하는 그령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373755B1 (ko) 아릴나프탈렌 리그난 유도체를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70616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35690B1 (ko) 신규한 트리테르펜 사포닌 유도체 및 이의 용도
EP4454651A1 (en) Use of aristoloxazine c having anticancer anticity
KR102074303B1 (ko) 전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59452B1 (ko) 패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93778B1 (ko)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45351A (ko) 올레아노닉산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4594B1 (ko) 아떼모야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0528A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101699261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50712A (ko) 아퀼라리아 말렉센시스 추출물 유래의 후물린-타입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230094887A (ko) 신규 아사로이독사진 c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437883B1 (ko) 헥사사이클릭 다이아민 알칼로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1731A (ko) 지누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