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469B1 -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469B1
KR101118469B1 KR1020090119537A KR20090119537A KR101118469B1 KR 101118469 B1 KR101118469 B1 KR 101118469B1 KR 1020090119537 A KR1020090119537 A KR 1020090119537A KR 20090119537 A KR20090119537 A KR 20090119537A KR 101118469 B1 KR101118469 B1 KR 101118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support
unit
input device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724A (ko
Inventor
이덕호
박민규
이민형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11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469B1/ko
Priority to CN2009102593585A priority patent/CN102088053A/zh
Priority to TW98144530A priority patent/TW201120966A/zh
Publication of KR2011006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46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e Bond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는, 리드 프레임을 이송하는 이송부에 설치되며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복수의 가이드; 상기 리드 프레임을 이송부에 한 장씩 투입하는 투입부; 및 상기 투입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투입부는 리드 프레임을 수직하강 방식에 의해 상기 이송부에 한 장씩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투입부와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부에 리드 프레임을 하나씩 공급하는 수직하강 투입방식으로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에 의해 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게 되고 동작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엘이디, 리드 프레임, 이송레일, 투입, 이송

Description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Loading apparatus of lead frame}
본 발명은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하강 투입방식의 간단한 구조로 공간의 효율적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LED)는 다수의 엘이디 칩들이 형성된 웨이퍼(wafer)를 접착 시트에 접착하는 접착공정, 상기 접착 시트에 접착된 상기 웨이퍼를 절단하여 상기 다수의 엘이디 칩을 각각 개별화하는 소잉 공정, 개별화된 상기 엘이디 칩을 상기 접착 시트로부터 분리하는 다이 분리 공정, 상기 접착 시트로부터 분리된 상기 엘이디 칩을 리드 프레임에 본딩하는 다이 본딩 공정, 상기 엘이디 칩을 리드 프레임의 접속 패드와 와이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본딩 공정, 상기 엘이디 칩을 에폭시(epoxy) 수지로 몰딩하는 몰딩 공정 등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 중 상기 다이 본딩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층된 다수의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하나씩 다이 본딩 장치로 이송하는 공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적층된 리드 프레임들으로부터 하나씩 후술하는 이송부로 이동시키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와, 상기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에 의해 이동된 리드 프레임을 다이 본딩 장치로 이송하는 이송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이하, 종래기술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에 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10)는, 복수개의 리드 프레임(LF)을 적재하는 적재유닛(20) 및 상기 적재유닛(20)에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을 이송부(40)의 레일(41) 상으로 이동시키는 공급유닛(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적재유닛(20)은 리드 프레임(LF)의 적재 높이(또는 중량)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여 일정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작업자가 직접 상기 적재유닛(20)에 리드 프레임(LF)을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30)은 안내 지지대(31)와, 상기 적재유닛(20)에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을 홀딩하여 이송부(40)의 이송레일(41) 상으로 이동시키는 홀더(32), 및 일단은 상기 홀더(32)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안내 지지대(31)에 연결되어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로드(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10)에 따르면, 공급유닛(30)이 상기 적재유닛(20)에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을 이송부(40)의 이송레일(41) 상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즉, 공급유닛(30)이 안내 지지대(31)를 따라 이동하고 승강이동하는 것에 의해 적재유닛(20)에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을 하나씩 이송부(40)에 공급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10)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적재유닛(20)으로부터 이송부(40)로 리드 프레임(LF)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종래기술에 따르면, 다이본딩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비효율적이었고 하나의 공정을 완료하기 위한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생산성 저하가 불가피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르면, 홀더에 의한 리드 프레임의 파지가 불완전할 경우 이동하는 도중 낙하함으로써 전체 공정이 정지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하강 투입방식의 간단한 구조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생산성을 크게 높이도록 하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는,
리드 프레임을 이송하는 이송부에 설치되며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복수의 가이드;
상기 이송부에 리드 프레임을 한 장씩 투입하는 투입부; 및
상기 투입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투입부는 수직하강 방식에 의해 리드 프레임을 상기 이송부에 한 장씩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 실시예로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적재된 리드 프레임의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적재된 리드 프레임의 최하단 한 장을 지지 또는 상기 이송부에 하강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는 리드 프레임을 향해 왕복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지지부는 리드 프레임을 향해 왕복 구동하거나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실시예로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에 얹어진 리드 프레임의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지지부와, 상기 리드 프레임의 최하단 한 장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누름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는 리드 프레임을 향해 왕복 구동하거나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리드 프레임의 이송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실시예로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적재된 리드 프레임의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이 각각 한 장씩 얹어지는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는 리드 프레임을 향해 왕복 구동하거나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유닛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송부 상에서 가이드를 지지하는 결합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구에는 가이드의 폭 크기에 대응되는 폭 크기를 가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에 따르면, 투입부와 구동수단에 의해 이송부의 이송레일에 리드 프레임을 한 장씩 공급하는 수직하강 투입방식으로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에 의해 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동작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유지관리에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하강 투입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리드 프레임의 이동중 낙하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구동수단을 일부 변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LF)을 수직하강 방식에 의해 이송부(100)에 한 장씩 투입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A)는, 이송부(100)에 설치되며 적층 또는 적재되는 리드 프레임(LF)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LF)을 수용하는 가이드(200)와, 상기 이송부(100)에 리드 프레임(LF)을 한 장씩 투입하는 투입부(300) 및 상기 투입부(30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00)이 포함한다.
먼저, 상기 이송부(100)는 컨베이어 벨트 등과 같은 이송레일(110)이 구비되어 리드 프레임(LF)을 다이본딩 공정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200)는 이송부(100)의 상부에 결합구(500)를 개재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구(500)에는 상기 가이드(200)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의 폭을 가지는 가이드홈(510)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200)가 가이드홈(510)을 따라 이동한 후 리드 프레임(LF)의 폭에 맞추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200)와 가이드홈(510)의 접촉부위는 '┏┓'와 같은 형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가이드(200)가 가이드홈(5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반면 가이드홈(510)으로부터 상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부(300)는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의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제1지지부(310)와, 상기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의 최하단 한 장을 지지 또는 상기 이송부(100)의 이송레일(110)에 투입하도록 구동되는 제2지지부(3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은 구조적 특성상 서로 간격을 가지며 적재된다. 즉, 적재되어 서로 이웃하는 리드 프레임(LF)들 사이에 제1지지부(310) 또는 제2지지부(310,32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제1지지부(310)를 리드 프레임(LF)을 향해 구동시키는 제1실린더(410)와, 상기 제2지지부(320)를 리드 프레임(LF)을 향해 구동시키는 제2실린더(4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실린더(410,420)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나 공지된 다른 액추에이터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320)의 구동수단은 모터(43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모터(4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320)를 회전시켜서 리드 프레임(LF)을 지지하거나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A)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a)와 같이, 제1지지부(310)는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리드 프레임(LF)의 승강이동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드 프레임(LF)들은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제2지지부(320)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 도 3의 (b)와 같이, 제1지지부(310)는 리드 프레임(LF)을 향해 이동하여 복수개의 리드 프레임(LF) 중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320)는 리드 프레임(LF)의 최하단 한 장만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의 (c)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320)는 리드 프레임(LF)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리드 프레임(LF)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리드 프레임(LF)이 중력에 의해 이송부(100)의 이송레일(110)에 얹어지게 된다.
상기 이송레일(110)에 얹어진 리드 프레임(LF)은 다이 본딩 장치로 이송된다.
이후, 상술한 차례를 반복하여 리드 프레임(LF)을 한 장씩 이송부(100)의 이송레일(110)에 연속적으로 얹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A)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만 기술한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구동수단을 일부 변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LF)을 수직하강 방식에 의해 이송부(100')에 한 장씩 투입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A')는, 이송부(100')에 설치되며 적층 또는 적재되는 리드 프레임(LF)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LF)을 수용하는 가이드(200')와, 상기 이송부(100')에 리드 프레임(LF)을 한 장씩 투입하는 투입부(300') 및 상기 투입부(30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투입부(300')는 상기 이송부(100')에 얹어진 리드 프레임(LF)의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지지부(310')와, 상기 리드 프레임(LF)의 최하단 한 장을 상기 이송부(100')의 이송레일(110') 진행방향으로 밀어주는 푸시로드(32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푸시로드 대신 공지의 다양한 누름수단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이 이송레일(110')에 전부 얹어지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이송레일(110')의 파손이 발생하거나 출렁일 수 있으므로 리드 프레임(LF)이 얹어지는 부위에는 이송레일(110')을 구비하지 않거나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는 판 등을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푸시로드(320')는 리드 프레임(LF)을 이송레일(110')로 밀어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지지부(310')를 리드 프레임(LF)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실린더(410'), 상기 푸시로드(320')를 구동시키는 제2실린더(420'), 및 상기 제1실린더(410') 자체를 승강시키는 제3실린더(440')로 구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10')의 구동수단은 모터(43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모터(4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310') 또한 모터(4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리드 프레임(LF)을 지지하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A')의 동작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a)와 같이, 지지부(310')는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리드 프레임(LF)의 하강방향 구속을 해제한다. 이때, 상기 리드 프레임(LF)은 중력에 의해 이송부(110')의 상부에 얹어지게 된다.
다음,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지지부(310')는 리드 프레임(LF)을 향해 이 동하여 복수개의 리드 프레임(LF) 중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한다. 이때, 리드 프레임(LF)의 최하단 한 장은 이송부(100')에 얹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 도 6의 (c)와 같이, 상기 지지부(310')가 리드 프레임(LF)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약간 상승함으로써 적층된 리드 프레임의 바닥이 이송부(100')에 얹어진 한 장의 리드 프레임(LF)의 상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100')에 얹어진 리드 프레임(LF)을 푸시로드(320')로 이송부(100')의 이송레일(110')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술한 차례를 반복하여 한 장씩 이송부(100')의 이송레일(110')에 리드 프레임(LF)을 얹어주게 된다.
제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구동수단을 일부 변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LF)을 수직하강 방식에 의해 이송부(100")에 한 장씩 투입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A")는, 이송부(100")에 설치되며 적층 또는 적재되는 리드 프레임(LF)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리드 프레임(LF)을 수용하는 가이드(200")와, 상기 이송부(100")에 리드 프레임(LF)을 한 장씩 투입하는 투입부(300") 및 상기 투입부(30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400")이 포함된다.
먼저, 상기 투입부(300")는 상기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의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지지부(310")와, 상기 가이드(200")에 부착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LF)이 각각 한 장씩 얹어지는 복수개의 걸림턱(321")이 형성된 회전유닛(32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유닛(320")은 회전하여 걸림턱(321")에 각각 얹어진 리드 프레임(LF)을 이송부(100")의 이송레일(110")에 투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400")은 상기 지지부(310)를 리드 프레임(LF)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실린더(410"), 및 상기 회전유닛(320")을 구동시키는 스텝모터(420")로 구성된다.
상기 스텝모터(420")는 걸림턱(321")에 얹어진 리드 프레임(LF)을 한 장씩 이송부(100")의 이송레일(110")에 얹어질 수 있는 각도만큼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텝모터(42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10")의 구동수단은 모터(43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4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310") 또한 모터(4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리드 프레임(LF)을 지지하거나 하강시키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A")의 동작을 도 9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310")는 적재된 리드 프레임(LF)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리드 프레임(LF)의 하강 구속을 해제한다. 이때, 상기 리드 프레임(LF)은 중력에 의해 회전유닛(320")의 최상단 걸림턱(321")에 얹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지지부(310")는 리드 프레임(LF)을 향해 이동하여 복수개의 리드 프레임(LF) 중 걸림턱(321")에 얹어진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한다.
그리고, 스텝모터(420")를 구동하여 회전유닛(320")을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킨다.
다음, 상술한 차례를 반복하여 복수개의 걸림턱(321")에 각각 한 장의 리드 프레임(LF)이 얹어지게 된다. 이후, 소정 각도씩 회전하는 회전유닛(320")에 의해 최하단 걸림턱(321")에 얹어진 리드 프레임(LF)이 이송부(100)의 이송레일(110")에 차례대로 얹어지게 된다.
도면에서 최상단 걸림턱(321")에 얹어진 한 장의 리드 프레임(LF)과 그 위쪽의 적층된 리드 프레임의 바닥 사이의 간격이 적층된 리드 프레임 사이의 간격보다 매우 크게 나타나지만, 이는 과장된 것이며 실제로는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구동수단을 일부 변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구동수단을 일부 변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의 구동수단을 일부 변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100 - 이송부
110 - 이송레일 200 - 가이드
300 - 투입부 310 - 제1지지부
320 - 제2지지부 400 - 구동수단
410 - 제1실린더 420 - 제2실린더

Claims (9)

  1. 리드 프레임을 이송하는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리드 프레임이 적재되는 복수의 가이드;
    상기 이송부에 리드 프레임을 한 장씩 투입하는 투입부; 및
    상기 투입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투입부는 수직하강 방식에 의해 상기 적재된 리드 프레임 중 최하단의 리드 프레임부터 상기 이송부로 한 장씩 하강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적재된 리드 프레임의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적재된 리드 프레임의 최하단 한 장을 지지 또는 상기 이송부에 하강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리드 프레임을 향해 왕복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리드 프레임을 향해 왕복 구동하거나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이송부에 얹어진 리드 프레임의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지지부와,
    상기 리드 프레임의 최하단 한 장을 이송방향으로 밀어주는 누름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리드 프레임을 향해 왕복 구동하거나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누름수단은 상기 리드 프레임의 이송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승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적재된 리드 프레임의 최하단 한 장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지하도록 구동되는 지지부와,
    상기 가이드에 설치되며 상기 리드 프레임이 각각 한 장씩 얹어지는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리드 프레임을 향해 왕복 구동하거나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유닛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상에서 가이드를 지지하는 결합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에는 가이드의 폭 크기에 대응되는 폭 크기를 가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KR1020090119537A 2009-12-04 2009-12-04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KR101118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537A KR101118469B1 (ko) 2009-12-04 2009-12-04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CN2009102593585A CN102088053A (zh) 2009-12-04 2009-12-21 引线框定位装置
TW98144530A TW201120966A (en) 2009-12-04 2009-12-23 Lead frame positio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537A KR101118469B1 (ko) 2009-12-04 2009-12-04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724A KR20110062724A (ko) 2011-06-10
KR101118469B1 true KR101118469B1 (ko) 2012-03-12

Family

ID=4409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537A KR101118469B1 (ko) 2009-12-04 2009-12-04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18469B1 (ko)
CN (1) CN102088053A (ko)
TW (1) TW20112096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33Y1 (ko) * 1994-12-23 1998-12-01 황인길 반도체 제조장비의 반도체 패키지 이송장치
KR19990026102A (ko) * 1997-09-22 1999-04-15 윤종용 리드 프레임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와이어 본딩 장치
KR20000012855A (ko) * 1998-08-01 2000-03-06 윤종용 리드프레임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333Y1 (ko) * 1994-12-23 1998-12-01 황인길 반도체 제조장비의 반도체 패키지 이송장치
KR19990026102A (ko) * 1997-09-22 1999-04-15 윤종용 리드 프레임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와이어 본딩 장치
KR20000012855A (ko) * 1998-08-01 2000-03-06 윤종용 리드프레임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20966A (en) 2011-06-16
CN102088053A (zh) 2011-06-08
KR20110062724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4726B (zh) 一种焊条移载装盘装置
CN107244561B (zh) 一种全自动焊条装盘堆垛设备
CN103035555B (zh) 用于pecvd设备的硅片自动上下料装置
CN104148933B (zh) 一种用于tg边板组件的自动组装设备
KR20080045027A (ko) 반도체 패키지 언로딩 핸들러
KR101118469B1 (ko) 리드 프레임 투입장치
CN107298306B (zh) 一种送料装置
CN105965766A (zh) 基于远程控制的注塑机的智能输送取放镶件集成系统
CN103332426B (zh) 自动化物料传送系统
KR100795964B1 (ko) 반도체 패키지 언로딩 핸들러의 보트 회수장치
WO2009119193A1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KR100656155B1 (ko) 트레이 이송장치
CN113120534A (zh) 压合设备、输送方法、输送装置及搬送机构
KR100310818B1 (ko) 엘·오·시 패키지 제조시의 다이 본딩 공정용 에폭시 스템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폭시 스템핑 방법
CN103587747A (zh) 一种托盘自动铺纸装置
KR101842002B1 (ko) 솔더 커팅 장치
KR20090030124A (ko) 테스트 핸들러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소자 공급 배출 방법
KR20130016731A (ko) 웨이퍼 링 이송 장치
CN106796873B (zh) 半导体用等离子清洗装置
KR100815132B1 (ko) 반도체소자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101201478B1 (ko) 마그네슘 잉곳 자동 공급장치
CN112357590B (zh) 一种屏幕全自动分离设备
KR102252639B1 (ko) 전자부품 언로딩장비
WO2011132453A1 (ja) 基板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CN215885886U (zh) 绕线移料装置及绕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