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892B1 -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892B1
KR101117892B1 KR1020100027135A KR20100027135A KR101117892B1 KR 101117892 B1 KR101117892 B1 KR 101117892B1 KR 1020100027135 A KR1020100027135 A KR 1020100027135A KR 20100027135 A KR20100027135 A KR 20100027135A KR 101117892 B1 KR101117892 B1 KR 101117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groove
drive shaft
movable body
pitch
tubul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457A (ko
Inventor
우경구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EP10159224.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241255B1/en
Priority to JP2010092563A priority patent/JP2010250319A/ja
Priority to US12/760,302 priority patent/US8631747B2/en
Publication of KR2010011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89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높이조절장치는 영상기기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샤프트와, 구동샤프트에 나합되어 구동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가동체와, 구동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를 구비한다. 구동샤프트는 그 외주면에 제1 피치를 갖는 제1 나선홈과 제1 피치와 다른 제2 피치를 갖는 제2 나선홈을 가진다. 제1 가동체는 제1 나선홈에서 구동샤프트에 나합되고, 제2 가동체는 제2 나선홈에서 구동샤프트에 나합된다. 제1 가동체에는 초음파진단기기의 조작패널이 장착되고, 제2 가동체에는 초음파진단기기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다. 구동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제1 가동체와 제2 가동체는 다른 속도 및 거리로 상하방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HEIGHT ADJUSTMENT DEVICE FOR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진단기기와 같은 의료영상시스템의 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 및 그 사이의 거리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진단기기와 같은 의료영상시스템은 조작자가 명령 입력을 위해 조작하는 조작패널과 초음파진단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초음파진단기기는 조작자의 편의를 위해 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장치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장치는 링크기구에 의해 상하방으로 이동 또는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종래기술의 일예로서, 초음파진단기기의 조작패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미국특허 제6,663,56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조절장치를 갖춘 종래의 초음파진단기기의 경우, 조작자가 조작패널의 높이 조정과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 조정을 개별적으로 행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장치가 각자의 기구에 의해 각각 높이가 조절되므로, 초음파진단기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수단이 함께 설치되는 가동체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수단의 양자가 하나의 가동체에 설치되어 가동체에 의해 함께 이동되는 것은 이들의 높이가 조작자의 신장 또는 자세에 대응하도록 조절이 될 수 없어서, 조작자에게 불편함을 준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기기의 조작패널 및 디스플레이수단의 높이 및 그 사이의 거리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기기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피치를 갖는 제1 나선홈과 상기 제1 피치와 다른 제2 피치를 갖는 제2 나선홈을 외주면에 구비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제1 나선홈에서 상기 구동샤프트에 나사결합되는 제1 가동체와, 상기 제2 나선홈에서 상기 구동샤프트에 나사결합되는 제2가동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샤프트는 일부분에 상기 제1 나선홈을 구비하고 나머지 부분에 상기 제2 나선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나선홈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선홈과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나선홈의 폭은 상기 제1 나선홈의 폭과 다를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제1 가동체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동체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동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제1 관상부재와, 상기 제1 관상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나선홈에서 상기 구동샤프트에 나사결합되는 제1 너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동체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제2 관상부재와, 상기 제2 관상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나선홈에서 상기 구동샤프트에 나사결합되는 제2 너트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다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제1 가이드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관상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벽과 동일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 가이드벽을 통해 이동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관상부재의 상단에 마련되고 다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제2 가이드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관상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벽과 동일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 가이드벽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샤프트는 상기 제1 관상부재 및 상기 제2 관상부재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샤프트를 연결하는 기어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구동샤프트를 연결하는 기어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영상기기는 초음파진단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체에는 상기 초음파진단기기의 조작패널이 장착되고 상기 제2 가동체에는 상기 초음파진단기기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에 의하면, 전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구동샤프트에 의해 초음파진단기기의 조작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와 이간거리와가 조작자의 신장 또는 자세에 맞추어 동시에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영상기기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너트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다.
도 5는 구동샤프트의 다른 실시예를 가지는 영상기기를 보인다.
도 6은 도 1의 높이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높이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조작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조작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를 보인다.
도 9는 조작자가 기립한 상태에서 조작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상기기용 높이조절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영상기기를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영상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장치(100)는 영상기기(10)의 일예인 초음파진단장치의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체(11)는 초음파진단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다. 높이조절장치(100)는 구동샤프트(110)와, 구동샤프트(110)에 나사결합되고 나사운동에 의해 구동샤프트(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및 제2 가동체(120, 130)와, 구동샤프트(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40)을 구비한다. 제1 가동체(120)와 제2 가동체(130)에는 이들의 이동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영상기기의 부품이 장착된다. 예컨대, 제1 가동체(120)에는 영상기기의 조작패널(12)이 장착되고, 제2 가동체(130)에는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장치(13)가 장착된다.
도 3은 도 1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샤프트(110)는 본체(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동샤프트(110)는 제1 및 제2 나선홈(111, 112)을 가진다. 제1 가동체(120)는 제1 나선홈(111)에서 구동샤프트(110)에 나사결합되고, 제2 가동체(130)는 제2 나선홈(112)에서 구동샤프트(110)에 나사결합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나선홈(111)은 제1 피치(P1)를 가지고, 제2 나선홈(112)은 제1 피치(P1)와는 다른 제2 피치(P2)를 갖는다. 제2 피치(P2)는 제1 피치(P1) 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피치(P2)는 제1 피치(P1)보다 큰 값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피치(P2)는 제1 피치(P1)보다 큰 값을 가진다. 제1 피치(P1) 대 제2 피치(P2)의 비는 조작자의 착석 및 기립자세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피치(P1) 대 제2 피치(P2)의 비는 조작패널(12)과 디스플레이장치(13)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치 대 제2 피치의 비는 약 1:3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나선홈(111)은 대체로 구동샤프트(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제2 나선홈(112)은 제1 나선홈(11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나선홈(112)은 구동샤프트(110)의 외주면에서 제1 나선홈(111)과 함께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은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의 피치는 소정 구간마다 일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나선홈(111)의 3개의 피치당 제2 나선홈(112)의 1개의 피치가 일치하는 식으로,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이 구동샤프트(11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높이조절장치(100)는 제1 가동체(120)를 본체(11)에 대하여 상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151)와 제2 가동체(130)를 본체(11)에 대하여 상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152)를 구비한다.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이드부(151)는 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제2 가이드부(152)는 제1 가동체(1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151)는 다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제1 가이드벽(151a)을 구비하고, 제2 가이드부(152)는 제1 가이드벽(151a)과 같은 다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제2 가이드벽(152a)을 구비한다.
제1 가동체(120)는 본체(11)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가동체(120)는 제1 가이드부(151)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제1 관상부재(121)와, 영상기기(10)의 조작패널(1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2)와, 제1 관상부재(121)에 결합되고 제1 나선홈(111)에서 구동샤프트(110)에 나사결합되는 제1 너트부재(123)를 구비한다.
제1 관상부재(121)는 제2 가동체(130)의 일부를 그 안에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관상부재(121)는 제1 가이드벽(151a)에 의해 안내되어 제1 가동체(120)를 본체(11)에 대해 상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제1 가동체(120)가 본체(11)에 대해 구동샤프트(110)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1 관상부재(121)는 제1 가이드벽(151a)과 동일한 형상의 다각형 횡단면을 가진다. 지지부(122)는 조작패널(12) 이외에 영상기기(10)의 프로브(14)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너트부재(123)는 제1 나선홈(111)에서 구동샤프트(11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1 너트부재(123)의 내주면에는 제1 나선홈(111)과 동일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12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샤프트(110)가 회전하면, 제1 가동체(120)는 제1 나선홈(111)과 제1 너트부재(123)의 나사운동에 의해 상하방으로 이동한다.
제2 가동체(130)는 제1 가동체(120)에 삽입되어 본체(11)에 대하여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다. 제2 가동체(130)는 제2 가이드부(152)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제2 관상부재(131)와, 영상기기(10)의 디스플레이장치(1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2)와, 제2 관상부재(131)에 결합되고 제2 나선홈(112)에서 구동샤프트(110)에 나사결합되는 제2 너트부재(133)를 구비한다.
제2 관상부재(131)는 제1 관상부재(121)의 제2 가이드벽(152a)에 의해 안내되어 제1 관상부재(121)의 내외로 이동되면서, 제2 가동체(130)를 본체(11) 또는 제1 가동체(120)에 대해 상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제2 가동체(130)가 본체(11)에 대해 구동샤프트(110)를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2 관상부재(131)는 제2 가이드벽(152a)과 동일한 형상의 다각형 횡단면을 가진다.
도 1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구동샤프트(110)는 제1 및 제2 관상부재(121, 131)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샤프트(110)는 제1 및 제2 관상부재(121, 131)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너트부재(133)는 구동샤프트(110)의 제2 나선홈(112)에 나사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 너트부재(133)의 내주면에는 제2 나선홈(112)과 동일한 피치를 갖는 나사산(13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샤프트(110)가 회전하면 제2 가동체(130)는 제2 나선홈(112)과 제2 너트부재(133)의 나사운동에 의해 상하방으로 이동한다.
도 4는 너트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샤프트(110)와 너트부재 사이의 원활한 나사운동을 위해, 제1 및 제2 너트부재(223, 233)는 그 내주면에 제1 및 제2 나선홈(111, 112)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를 가지는 나선홈(223a, 233a)과 이 나선홈(223a, 233a)에 수용되어 구동샤프트(110)의 제1 및 제2 나선홈(111, 112) 상을 구름운동하는 볼(223b, 233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은 제1 피치를 갖는 제1 나선홈(111)에 나사결합되는 제1 너트부재(123, 223)는 제1 가동체(120)에 구비되고, 제1 피치보다 큰 제2 피치를 갖는 제1 나선홈(112)에 나사결합되는 제2 너트부재(133, 233)는 제2 가동체(130)에 구비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너트부재가 제2 가동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제2 너트부재가 제1 가동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가동체는 제1 가동체의 이동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제1 가동체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또, 제1 나선홈(111)과 제2 나선홈(112)과는 상호 다른 폭 및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작은 피치를 가지는 나선홈보다 큰 피치를 가지는 나선홈의 깊이 및 폭이 더 큰 경우, 큰 피치의 나선홈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는 작은 피치의 나선홈과의 간섭을 덜 받을 수 있다.
도 5는 구동샤프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다. 구동샤프트는 그 일부에 제1 나선홈을 구비하고 나머지 부분에 제2 나선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나선홈(211)은 구동샤프트(210)의 하측 부분에 형성되고 제2 나선홈(212)은 구동샤프트(210)의 상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나선홈(112)이 구동샤프트(110)의 외주면에서 제1 나선홈(111)과 함께 배치되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나선홈(212)은 다양한 형상, 피치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높이조절장치의 구동수단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구동수단(140)은 본체(11)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41)와, 구동샤프트(110)와 구동모터(141)를 연결하는 기어유닛(142)과, 구동모터(14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143)와, 전력공급부(14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4)와, 제어부(144)에의 명령 입력을 위한 조작부(145)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구동수단(140)은 전동 방식으로 구동샤프트(110)를 회전시킨다.
구동모터(141)는 예컨대 스텝모터로 구성되어 구동샤프트(110)의 정밀한 회전을 달성할 수 있다. 기어유닛(142)은 구동모터(141)의 회전구동력을 구동샤프트(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기어유닛(142)은 복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박스 또는 기어트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어유닛(142)에 사용되는 기어는 평기어, 워엄기어,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어유닛(142)에 의해 구동모터(141)의 회전구동력은 증대되어 구동샤프트(110)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수단(140)은 구동모터(141)의 회전축이 구동샤프트(110)에 직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44)는 조작부(145)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근거하여 전력공급부(143)를 제어하며, 이에 의해 전력공급부(143)는 구동모터(141)에의 전력공급을 실행하고 구동모터(141)의 구동방향을 결정한다.
조작부(145)는 푸시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부(145)는 영상기기(10)의 조작패널(12) 상에 설치될 수 있다(도1 참조). 또는, 조작부(145)는 본체(11)의 임의의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45)와 제어부(14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작자가 조작부(145)를 조작하면 제어부(144)가 전력공급부(143)를 제어하여 구동모터(141)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면, 구동모터(14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모터(141)의 회전구동력이 기어유닛(142)을 통해 구동샤프트(110)에 전달되어, 구동샤프트(110)가 회전한다. 그 결과, 구동샤프트(110)의 제1 및 제2 나선홈(111, 112)에 제1 및 제2 너트부재(123, 133)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가동체(120, 130)는 구동샤프트(110)의 회전에 의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가동체(120, 130)는 상이한 속도와 상이한 거리로 이동한다.
도 7은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수단(240)은 수동 방식으로 구동샤프트(110)를 회전시킨다. 구동수단(240)은 본체(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유닛(241)과 구동샤프트(110)와 회전유닛(241)을 연결하기 위한 기어유닛(242)을 구비한다. 회전유닛(241)은 본체(11)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휠과 회전휠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 기어유닛(242)은 상기 회전휠의 회전축과 구동샤프트(110)를 연결하여, 회전휠에 의한 회전구동력을 구동샤프트(110)에 전달한다. 기어유닛(242)은 구동수단(140)에서의 기어유닛(142)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조작자가 회전유닛(241)의 회전휠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회전휠의 회전구동력이 기어유닛(242)을 통해 구동샤프트(110)에 전달되고, 구동샤프트(110)가 회전하여 제 1 및 제2 가동체(120, 130)를 이동시킨다.
도 8은 조작자의 착석시에서의 조작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 및 위치를 보이고, 도 9는 조작자의 기립시에서의 조작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 및 위치를 보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장치(100)는 제1 및 제2 나선홈(111, 112)을 갖는 구동샤프트(110)에 의해 제1 및 제2 가동체(120, 130)를 각기 상이한 속도 및 거리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조작패널(12)과 디스플레이장치(13)의 높이 및 조작패널(12)과 디스플레이장치(13) 사이의 거리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조작자의 착석 또는 기립시, 조작자의 자세에 맞도록 조작패널(12)과 디스플레이장치(13)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영상기기
11: 영상기기의 본체
12: 조작패널
13: 디스플레이장치
14: 초음파프로브
100: 높이조절장치
110: 구동샤프트
111: 제1 나선홈
112: 제2 나선홈
120: 제1 가동체
121: 제1 관상부재
122: 연결부
123: 제1 너트부재
130: 제2 가동체
131: 제2 관상부재
132: 스토퍼
133: 제2 너트부재
140: 구동수단
141: 구동모터
142: 기어유닛
143: 전력공급부
144: 제어부
145: 조작부
151: 제1 가이드부
151a: 제1 가이드벽
152: 제2 가이드부
152a: 제2 가이드벽
211: 제1 나선홈
212: 제2 나선홈
223: 제1 너트부재
233: 제2 너트부재
240: 구동수단
241: 회전유닛
242: 기어유닛
P1: 제1 피치
P2: 제2 피치

Claims (10)

  1. 영상기기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피치를 갖는 제1 나선홈과 상기 제1 피치와 다른 제2 피치를 갖는 제2 나선홈을 외주면에 구비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제1 나선홈에서 상기 구동샤프트에 나사결합되는 제1 가동체와,
    상기 제2 나선홈에서 상기 구동샤프트에 나사결합되는 제2가동체와,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영상기기는 조작패널과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진단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체에는 상기 조작패널이 장착되고 상기 제2 가동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되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샤프트는 일부분에 상기 제1 나선홈을 구비하고 나머지 부분에 상기 제2 나선홈을 구비하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선홈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선홈과 함께 배치되어 있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선홈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선홈과 함께 배치되어 있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체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동체를 상기 본체에 대하여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동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제1 관상부재와, 상기 제1 관상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나선홈에서 상기 구동샤프트에 나사결합되는 제1 너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동체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제2 관상부재와, 상기 제2 관상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나선홈에서 상기 구동샤프트에 나사결합되는 제2 너트부재를 구비하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다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제1 가이드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관상부재는 상기 제1 가이드벽과 동일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 가이드벽을 통해 이동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관상부재의 상단에 마련되고 다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제2 가이드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관상부재는 상기 제2 가이드벽과 동일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 가이드벽을 통해 이동하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샤프트는 상기 제1 관상부재 및 상기 제2 관상부재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어 배치되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샤프트를 연결하는 기어유닛을 구비하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과 상기 구동샤프트를 연결하는 기어유닛을 구비하는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10. 삭제
KR1020100027135A 2009-04-15 2010-03-26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KR101117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59224.4A EP2241255B1 (en) 2009-04-15 2010-04-07 Imaging apparatus with height adjustment device
JP2010092563A JP2010250319A (ja) 2009-04-15 2010-04-13 映像機器の高さ調節装置
US12/760,302 US8631747B2 (en) 2009-04-15 2010-04-14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imag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2529 2009-04-15
KR1020090032529 2009-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457A KR20100114457A (ko) 2010-10-25
KR101117892B1 true KR101117892B1 (ko) 2012-03-07

Family

ID=4313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135A KR101117892B1 (ko) 2009-04-15 2010-03-26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250319A (ko)
KR (1) KR101117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5721A (zh) * 2014-12-23 2015-04-29 重庆宝丽佰格电子科技有限公司 显示器支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769B1 (ko) * 2012-09-28 2014-09-30 화남전자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기의 키보드 높이 제어 구조
JP6641619B2 (ja) * 2015-11-09 2020-02-05 株式会社オカムラ 支持構造
KR102545010B1 (ko) * 2017-04-18 2023-06-20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영상장치
CN111473203A (zh) * 2020-04-30 2020-07-31 深圳市优必选科技股份有限公司 升降装置及机器人
CN111963861A (zh) * 2020-07-31 2020-11-20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医学智能阅片桌显示器运动系统
CN112032488B (zh) * 2020-08-25 2022-04-08 南宁学院 一种基于pso优化神经网络的光电探测设备故障诊断装置
CN112283552B (zh) * 2020-09-05 2022-03-22 宁波市建工检测有限公司 一种气体检测设备、气体检测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3658A (ja) 1986-09-29 1988-04-14 Figaro Eng Inc 排気ガスセンサ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3658A (ja) 1986-09-29 1988-04-14 Figaro Eng Inc 排気ガスセンサ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5721A (zh) * 2014-12-23 2015-04-29 重庆宝丽佰格电子科技有限公司 显示器支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50319A (ja) 2010-11-04
KR20100114457A (ko) 201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1255B1 (en) Imaging apparatus with height adjustment device
KR101117892B1 (ko) 영상기기의 높이조절장치
US10238271B2 (en) Traction balance adjustment mechanism, manipulator and manipulator system
US20040074003A1 (en) Surgical tables
CA2661566A1 (en) Kneading and rolling robotic massage device
CN109091237A (zh) 微创手术器械辅助系统
CN106175917B (zh) 滑动交叉透视骨科椎弓根螺钉置入辅助设备
JP5605613B2 (ja) 内視鏡遠隔操作システム
EP4025152A1 (en) Seven degree of freedom positioning device for robotic surgery
KR20170062259A (ko) 2 자유도 회전의 모션 시뮬레이터
US20190175431A1 (en) Surgical tabl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9101076A (ja) 牽引部材操作装置及び内視鏡装置
JP2006528013A (ja) 治療用バース
US11096859B2 (en) Massage unit and massage machine
US20160354266A1 (en) Bathtub lift assembly
JP4404293B2 (ja) 施療機
KR102111195B1 (ko) 마사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CN206285150U (zh) 滑动交叉透视骨科椎弓根螺钉置入辅助设备
KR100970276B1 (ko) 사이드미러 제어장치
KR101824899B1 (ko) 의료용 전신 운동기구
EP3217882B1 (en) Radiological apparatus with a table movement system with variable angle rods
JP2017099437A (ja) スキャナ部の移動装置
JP4481064B2 (ja) マッサージ機
CN114727896A (zh) 升降柱
JPH0397484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