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849B1 -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및 그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및 그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849B1
KR101117849B1 KR1020097009735A KR20097009735A KR101117849B1 KR 101117849 B1 KR101117849 B1 KR 101117849B1 KR 1020097009735 A KR1020097009735 A KR 1020097009735A KR 20097009735 A KR20097009735 A KR 20097009735A KR 101117849 B1 KR101117849 B1 KR 101117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ubiquinone
oil
sodium
polyox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6324A (ko
Inventor
히로부미 아오끼
요헤이 구라따
하루미 가마찌
히로쯔구 나까니시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1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not having P—C bonds, e.g. fosfosal, dichlorvos, malathion or mevinphos
    • A61K31/6615Compounds having two or more esterified phosphorus acid groups, e.g. inositol triphosphate, phy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6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피 투여를 통해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 유비퀴논, 유비퀴놀로부터 기대되는 작용 및 효능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28445365-pct00025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인산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산기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냄)
유비퀴논, 유비퀴놀, 피부 외용제, 화장료

Description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및 그의 사용 방법{SKIN AGENT FOR EXTERNAL USE AND COSMETIC AGENT INCLUDING UBIQUINONE DERIVATIVE OR SALT THEREOF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산기로 수식된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이들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 유비퀴논 자체 또는 유비퀴놀을 피부 세포 내에 공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비퀴논은 코엔자임 Q로도 통칭되는 천연 유래 성분이다. 코엔자임 Q10이란, 2,3-디메톡시-5-메틸-6-폴리프레닐-1,4-벤조퀴논 중 측쇄의 이소프렌 단위의 수가 10인 것을 말하며, 인간 특유의 유비퀴논이다. 이 코엔자임 Q10은 일본 약전에서는 "유비데카레논"으로서 기재되어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는 "코엔자임 Q10", 화장품 원료로서는 "유비퀴논"이라고 불린다.
유비퀴논은 미토콘드리아 내에서의 에너지 생산에 불가결한 보효소이다. 또한, 유비퀴논은 항산화 물질로서 생체 내에서 중요한 물질이며, 아마도 유비퀴논이 세포의 대사를 개선하기 때문에, 심장병, 고혈압 및 류마티스성 판막 질환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화장료로서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의 작용도 가지며,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화장료에 사용된다.
그러나 유비퀴논은 수난용성이며, 결정성이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제제화에 곤란이 따른다. 예를 들면, 에테르나 헥산 등의 비극성 탄화수소류에는 양호하게 용해되지만, 기타 용매에는 매우 용해되기 어렵다. 계면활성제나 포섭화제 등, 다양한 보조제를 사용하여 계 내에 유비퀴논을 분산시키는 방법도 다수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처방상의 제약이 많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 안정성이 낮고, 장기간 보존하면 분리 또는 석출이 발생하는 등, 제품으로서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유비퀴논 제제의 효과를 확보 또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제 중의 유비퀴논 농도를 높이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수난용성 및 결정성 때문에 가장 다용되는 수성제계에서 충분한 농도를 확보한 제제화는 곤란하였다.
또한, 유비퀴논의 2 전자 환원체인 유비퀴놀도 알려져 있으며, 유비퀴논에 비해 항산화 성분으로서 보다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비퀴놀은 식품 등으로의 응용이 검토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는 유비퀴놀을 부화(富化)한 유지 함유 식품, 특허 문헌 3에는 유비퀴놀을 포함하는 건강 식품, 특허 문헌 4에는 유비퀴놀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유비퀴놀은 물에 대한 용해성에 대해서는 유비퀴논보다 약간 우수하지만, 항산화력이 높기 때문에 산화에 대하여 불안정하고,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유비퀴논으로 변환된다. 즉, 유비퀴놀은 물에 난용이며, 산화되기 쉽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유비퀴논 이상으로 제제화가 곤란하다.
이 유비퀴논의 수난용성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유비퀴논에 화학적인 극성 수식을 가하여 친수성을 높이는 시도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5에는 친수기로 치환한 수용성 유비퀴논 프로드러그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친수성 유비퀴논의 제형은 어디까지나 경구제 및 주사제로서의 사용이며, 그 지견도 매우 한정적이다. 따라서, 친수성 유비퀴논의 경피 투여에 대한 지견은 없으며, 피부 외용제로서의 용도는 전혀 예상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친수성 유비퀴논 프로드러그는, 극성기 수식 유비퀴논이 생체 내의 효소 활성에 의해 항산화성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로 변환될 경우 효과를 가질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친수성 유비퀴논 유도체 자체가 유비퀴논보다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갖고, 피부에서의 항산화성, 즉 항노화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은 전혀 예상되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58-180410호 공보
특허 문헌 2: WO2003/061395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9422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6305호 공보
특허 문헌 5: WO96/1762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경피 투여를 통해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 유비퀴논, 유비퀴놀로부터 기대되는 작용 및 효능을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로서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 또는 유비퀴논 또는 유비퀴놀을 피부 세포 내에 공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인산기로 수식된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수용성이 높고, 고농도의 수계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를 제조하는 데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피부 세포에 효율적으로 도입되어 그 유도체 자체가 높은 항산화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유비퀴논으로 및 피부 제제 또는 화장료의 항산화능의 활성 본체인 유비퀴놀로 변환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사항을 포함한다.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Figure 112009028445365-pct00001
(식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인산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 적 어도 하나는 인산기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냄)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0.0005 내지 50 질량%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에서의 R1 및 R2가 모두 인산기이고, n이 9인 피부 외용제.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화학식 1>
Figure 112009028445365-pct00002
(식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인산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산기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냄)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0.0005 내지 50 질량%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6〕 상기 〔4〕에 있어서, 항산화 화장료인 화장료.
〔7〕 상기 〔4〕에 있어서, 항노화 화장료인 화장료.
〔8〕 상기 〔4〕에 있어서, 피부 거칠음 방지용 화장료인 화장료.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의 염,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 세포 내로의 공여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9028445365-pct00003
(식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인산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산기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냄)
〔10〕 상기 〔9〕에 있어서,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 중 적어도 하나가 피부에 도포된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의 탈인산화에 의해 생성된 것인 피부 세포 내로의 공여 방법.
〔11〕 상기 〔9〕에 있어서, 유비퀴논이 유비퀴놀의 산화에 의해 생성된 것인 피부 세포 내로의 공여 방법.
〔12〕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 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로의 도포가 상기 〔1〕에 기재된 피부 외용제를 사용하여 행해지는 피부 세포 내로의 공여 방법.
〔13〕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로의 도포가 상기 〔4〕에 기재된 화장료를 사용하여 행해지는 피부 세포 내로의 공여 방법.
〔1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층의 재생 촉진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9028445365-pct00004
(식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인산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산기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냄)
〔1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거칠음 개선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9028445365-pct00005
(식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인산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산기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냄)
〔1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9028445365-pct00006
(식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인산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산기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냄)
〔1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칼 소거 방 법.
<화학식 1>
Figure 112009028445365-pct00007
(식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인산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산기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냄)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인산기로 수식된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은 수용성이 높고, 고농도의 수계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로 제제화될 수 있다. 수계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를 경피 투여하면,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은 그 자체로서 피부 세포 내에 도입되어 항산화 작용을 발생시키고, 피부 세포 내에서 유비퀴논으로 및 피부 제제 또는 화장료의 항산화능의 활성 본체인 유비퀴놀로 변환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화장료, 및 상기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를 도포함으로써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 유비퀴논, 유비퀴놀을 피부 세포 내로 공여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비 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28445365-pct00008
(식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인산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산기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냄)
이러한 인산기로 수식된 유비퀴논 유도체(이하 간단히 "유비퀴논 유도체"라고도 함)는 통상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비퀴논의 퀴논기를 환원하여 퀴놀형으로 유도하고, 통상법에 의해 수산기를 인산화한다. 이러한 방법은, 미국 특허 제2962519호에 개시되어 있다.
유비퀴논 유도체는, 그 수용해성이 유비퀴논류에 비해 현저히 높다. 예를 들면, 측쇄 이소프렌 단위의 수가 10인 유비퀴논의 물에의 용해도는 상온하에 100 ppm 미만이지만, 2 인산기로 수식된 그의 유도체의 용해도는 1 %를 초과한다. 즉, 인산화된 유비퀴논 유도체는 유비퀴논에 대하여, 100배를 충분히 초과하는 수용해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안정적이면서도 고농도의 수계 제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석출 등의 염려도 없다. 또한, 인산화된 유비퀴논 유도체의 수계 제제의 라디칼 소거능은 유비퀴논보다 높고, 이러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 제는 높은 항산화능을 갖는다.
유비퀴논 유도체는 염의 형태일 수도 있다. 유비퀴논 유도체의 인산기의 음이온과 조합으로 염을 구성하는 양이온의 구체예로서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아연 이온 및 암모늄 이온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피부 외용제, 특히 화장료로의 용도의 면에서는 나트륨 이온 및 칼륨 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는 단독으로, 또는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의 염과 조합으로 사용된다.
유비퀴논 유도체는, 인간 피부 세포에 도입되면 대응하는 유비퀴논류 및 유비퀴놀류로 변환된다. 즉, 세포에 투여된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는, 세포 내에서 빠르게 탈인산화되어 그의 일차산물인 유비퀴놀을 거쳐서 유비퀴논이 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세포 내에 유리된 유비퀴놀로부터 산화 생성되는 유비퀴논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투여된 유비퀴논처럼, 세포 내에서 유비퀴놀로 환원되며 산화 환원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며, 이러한 기작에 의해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비퀴논 제제를 투여한 경우와 동등한 효능을 발현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는,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 이외에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여전히 달성하는 한 배합할 수도 있다.
배합 가능한 성분의 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성분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류: 지랍,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 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세레신, 파라핀,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미소결정질 왁스,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미네랄유 및 바셀린 등.
천연 왁스류: 호호바 오일,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쌀겨 왁스, 셸락, 라놀린, 밍크 피지 왁스, 고래 왁스, 사탕수수 왁스, 향유고래유, 밀랍, 몬탄 왁스.
천연 유지류: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호마유, 쌀겨유, 쌀유, 쌀 배아유, 콘유, 대두유, 옥수수유, 살구씨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포도씨유, 면실유, 야자유, 수소 첨가 야자유, 우지, 경화유, 마유(馬油), 밍크유, 난황유, 난황 지방유, 로즈힙유(rose hip oil), 쿠쿠이넛유(kukui nut oil), 달맞이꽃유, 소맥 배아유, 낙화생유, 동백유, 애기동백유, 카카오지, 목랍, 우골지, 우각유, 돈지, 마지, 양지, 쉬어버터(shea butter), 마카다미아넛유(macadamia nut oil) 및 메도폼유(meadowfoam oil) 등.
지방산류: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및 야자유 지방산 등.
고급 알코올류: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라우릴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타놀, 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및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등.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류: 바틸 알코올, 키밀 알코올, 셀라킬 알코올 및 이소스테아릴 글리세릴 에테르 등.
에스테르류: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에틸 올레에이트, 에틸 리놀레에이트, 이소프로필 리놀레에이트, 세틸 카프릴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옥틸 미리스테이트, 데실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옥타데실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올레일 올레에이트, 세틸 리시놀레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라우레이트,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스테아레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이소데실 올레에이트, 옥틸도데실 올레에이트, 옥틸도데실 리시놀레에이트, 에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스테아릴 2-에틸헥사노에이트, 헥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올레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ㆍ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올레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ㆍ카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카프릴레이트ㆍ카프레이트ㆍ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운데실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테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 트리틸 테트라미리스테이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세틸 옥타노에이트, 이소스테아릴 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이소펠라르고네이트, 헥실데실 디메틸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 디메틸옥타노에이트, 2-에틸헥실 이소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레이트, 라우릴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세틸 락테이트, 옥틸도데실 락테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부틸 시트레이트, 트리옥틸 시트레이트, 트리이소세틸 시트레이트, 트리옥틸도데실 시트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2-에틸헥실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2-에틸헥실 숙시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부틸 아디페이트, 디옥틸 아디페이트, 디헵틸운데실 아디페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디옥틸 세바케이트,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릴 올레에이트, 디히드로콜레스테릴 올레에이트, 피토스테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피토스테릴 올레에이트, 이소세틸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12-스테아로일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폴리옥시프로필렌 (1) 세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3) 폴리옥시프로필렌 (1) 이소세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옥틸 이소노나노에이트, 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및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등.
실리콘유류: 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 폴리실 록산, 메틸 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 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 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 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 트리실록산, 데카메틸 테트라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 헥사실록산, 고중합 메틸 폴리실록산, 디메틸 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 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 실록산/메틸(폴리옥시프로필렌)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 실록산/메틸 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 실록산/메틸 스테아록시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및 아미노 변성 실리콘 등.
고분자류: 알긴산나트륨, 카라기난, 한천, 퍼셀레란, 구아검, 모과씨, 곤약 만난, 타마린드검, 타라검, 덱스트린, 전분, 로커스트콩검, 아라비아검, 가티검, 카라야검, 트래거캔스검, 아라비노칼락탄, 펙틴, 마르멜로, 키토산, 전분, 커드란, 크산탄검, 젤란검,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 풀루란, 미소결정질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 전분,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전분 포스페이트, 양이온화 구아검, 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화 구아검, 알부민, 카제인, 젤라틴,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아미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폴리에틸렌이민, 고중합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말레산 공중합체, 비닐피리딘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계 중합체, 비닐 알코올/비닐피 롤리돈 공중합체, 질소 치환 아크릴아미드계 중합체, 아미노 변성 실리콘, 양이온화 중합체, 디메틸아크릴 암모늄계 중합체, 아크릴산계 음이온 중합체, 메타크릴산계 음이온 중합체, 변성 실리콘, 알킬(C10-30)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저급 알코올류: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및 벤질 알코올 등.
다가 알코올류: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3-부탄디올,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3-메틸-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4-펜탄디올, 1,5-펜탄디올, 2,4-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및 1,6-헥산디올 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칼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에탄올아민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칼륨 라우레이트, 나트륨 라우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레이트, 칼륨 미리스테이트, 나트륨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판올아민 미리스테이트, 칼륨 팔미테이트, 나트륨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판올아민 팔미테이트, 칼륨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스테아레이트, 칼륨 올레에이트, 나트륨 올레에이트, 나트륨 피마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연 운데실레네이트, 아연 라우레이트, 아연 미리스테이트,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아연 팔미테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 아레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칼슘 미리스테이트,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알루미늄 디미리스테이트, 알루미늄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아세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아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에테르 아세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에테르 아세테이트, 나트륨 스테아로일 락테이트, 나트륨 이소스테아로일 락테이트, 라우로일사르코신 나트륨, 사르코신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사르코신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사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로일 사르코신, 라우로일 사르코신 칼륨, 라우로일 사르코신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오일 사르코신, 미리스토일 사르코신 나트륨, 나트륨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탐산, 야자유 지방산 칼륨 아실글루타메이트, 야자유 지방산 나트륨 아실글루타메이트, 야자유 지방산 트리에탄올아민 아실글루타메이트, 라우로일 아실글루탐산, 칼륨 라우로일 아실글루타메이트, 나트륨 라우로일 아실글루타메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로일 아실글루타메이트, 미리스토일 아실글루탐산, 칼륨 미리스토일 아실글루타메이트, 나트륨 미리스토일 아실글루타메이트, 스테아로일 아실글루탐산, 칼륨 스테아로일 아실글루타메이트, 디나트륨 스테아로일 아실글루타메이트, 경화 우지 지방산 나트륨 아실글루타메이트, 야자유 지방산/경화 우지 지방산 나트륨 아실글루타메이트, 메틸알라닌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알라닌 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 메틸알라닌 나트륨, 라우로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메틸타우린 칼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타우린 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메틸타우린 마그네슘 야자유 지방 산 에스테르, 미리스토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팔미토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스테아로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올레오일 메틸타우린 나트륨, 나트륨 알칸술포네이트, 나트륨 테트라데센술포네이트, 디옥틸나트륨 술포숙시네이트, 라우릴 디나트륨 술포숙시네이트, 에틸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나트륨 술포네이트, 나트륨 라우릴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술페이트, 나트륨 세틸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킬 (11,13,15) 술페이트, 나트륨 알킬 (12,13)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킬 (12,13) 술페이트, 암모늄 알킬 (12,14,16) 술페이트, 디에탄올아민 알킬 (12,13)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킬 (12 내지 14)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킬 (12 내지 15) 술페이트, 마그네슘 트리에탄올아민 야자유 알킬술페이트, 암모늄 라우릴술페이트, 칼륨 라우릴술페이트, 마그네슘 라우릴술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 라우릴술페이트, 디에탄올아민 라우릴술페이트, 나트륨 미리스틸술페이트, 나트륨 스테아릴술페이트, 나트륨 올레일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일술페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술페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1) 알킬 (11,13,15) 에테르 술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1) 알킬 (11,13,15) 에테르 술페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3) 알킬 (11 내지 15) 에테르 술페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2) 알킬 (12,13) 에테르 술페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3) 알킬 (12 내지 14) 에테르 술페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3) 알킬 (12 내지 15) 에테르 술페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2) 라우릴에테르 술페이트,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3) 미리스틸에테르 술페이트, 고급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술페이트 나트륨, 라우릴인산, 나트륨 라우릴포스페이트, 칼륨 세틸포스페이트, 디에탄올아민 세틸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세틸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세틸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인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옥틸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10) 알킬 (12,13)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12 내지 15) 에테르 인산,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12 내지 16) 에테르 인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포스페이트 및 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디옥틸아민, 디메틸스테아릴아민, 트리라우릴아민,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사카린,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알킬 (20 내지 22)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알킬 (16, 18)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사카린, 알킬 (28)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2EO), 디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옥시에틸렌 (1) 폴리옥시프로필렌 (25) 디에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트리(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암 모늄 클로라이드 (5EO),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 (12 내지 15)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 (12 내지 18)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 (14 내지 18)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세틸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이소스테아릴라우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미리스틸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라우로일콜아미노포르밀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스테아로일콜아미노포르밀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이소퀴놀륨 브로마이드, 메틸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및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등.
양쪽성 계면활성제: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히드로클로라이드, 라우릴디아미노에틸글리신 나트륨, 운데실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 베타인 나트륨, 운데실-N-카르복시메틸이미다졸륨 베타인, 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디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N-카르복시에톡시에틸-N-카르복시에틸에틸렌디아민 디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실-N-카르복시메톡시에틸-N-카르복시메틸에틸렌디아민 디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나트륨 라우릴아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아실-N-카르복시에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나트륨 팜유 지방산 에스테르,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스테아릴디메틸 베타인 나트륨,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아미도프로필베타인 팜유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르산 아미드 베타인 프로필아세테이트, 리시놀레산 아미드 프로필베타인, 스테아릴디히드록시에틸 베타인 및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10) 알킬 (12,13)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7,12) 알킬 (12 내지 14)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미리스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sec-알킬 (14)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이소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토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10,20) 이소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0) 아라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도데실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베헤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디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1) 폴리옥시프로필렌 (1,2,4,8)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5) 폴리옥시프로필렌 (1,2,4,8)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10) 폴리옥시프로필렌 (1,2,4,8)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0) 폴리옥시프로필렌 (1,2,4,8)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 폴리옥시프로필렌 (34)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4) 폴리옥시프로필렌 (30)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4) 폴리옥시프로필렌 (23)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 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올레에이트, 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기 유화형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미리스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팔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자기 유화형 폴리에틸렌 글리콜 (2)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 디팔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올레에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리시놀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20)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10 내지 8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50)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10)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20)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폭리옥시에틸렌 (40)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50) 수소 첨가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60) 수소 첨가 피마자유, 친유형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친유형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자기 유화형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릴 라우레이트, 글리세릴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리시놀레에이트, 글리세릴 모노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글리세릴 리놀레에이트, 글리세릴 에루케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소맥 배아유 지방산 글리세리드, 글리세릴 홍화유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릴 수소 첨가 대두 지방산 에스테르, 포화 지방산 글리세리드, 글리세릴 면실유 지방산, 모노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모노미리스테이트, 모노 우지방산 글리세리드, 모노글리세릴 라놀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릴 세스퀴올레에이트,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디아라키데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디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 이소팔미테이트, 폴리 (4 내지 10) 글리세릴 모노라우레이트, 폴리 (10) 글리세릴 모노미리스테이트, 폴리 (2 내지 1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 (2 내지 10) 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 (2 내지 10) 글리세릴 모노올레에이트, 디글리세릴 세스퀴올레에이트, 폴리 (2 내지 10) 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 (6 내지 10)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 (10) 글리세릴 트리스테아레이 트, 폴리 (10) 글리세릴 트리올레에이트, 폴리 (2) 글리세릴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 펜타스테아레이트, 폴리 (6 내지 10) 글리세릴 펜타올레에이트, 폴리 (10) 글리세릴 헵타스테아레이트, 데카글리세릴 데카스테아레이트, 폴리 (10) 글리세릴 데카올레에이트, 축합 폴리 (6) 글리세릴 리시놀레에이트,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글루코시드,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 옥시드, 라우릴디메틸아민 옥시드, 디히드록시에틸라우릴디메틸아민 옥시드, 스테아릴디메틸아민 옥시드, 올레일디메틸아민 옥시드 및 폴리옥시에틸렌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 옥시드 등.
천연계 계면활성제: 사포닌, 레시틴, 대두 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대두 리소인지질, 수소 첨가 대두 리소인지질,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난황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스핑고인지질, 스핑고미엘린, 강글리오시드, 담즙산, 콜산, 데옥시콜산, 나트륨 콜레이트, 나트륨 데옥시콜레이트, 스피쿨리스포르산, 람노리피드, 트레할로오스 리피드, 소포로리피드 및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등.
자외선 흡수제: 파라아미노벤조산, 에틸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글리세릴 파라아미노벤조에이트, 아밀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의 파라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벤질 신나메이트, 디파라메톡시 신남산 글리세릴 모노-2-에틸헥사노에이트, 메틸 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 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칼륨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나트륨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2- 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에틸 파라에톡시신나메이트 등의 신남산 유도체, 우로칸산 및 에틸 우로카네이트 등의 우로칸산 유도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나트륨,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및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5-술포벤조페논나트륨 등의 벤조페논 유도체, 에틸렌 글리콜 살리실레이트, 2-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벤질 살리실레이트, p-ter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및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2-(2'-히드록시-5'-메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및 4-tert-부틸-4'-메톡시벤조일메탄 등.
분체류 및 색재류: 카올린, 무수 규산,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견운모, 탈크, 질화붕소, 운모, 몬모릴로나이트, 삼 셀룰로오스 분말, 소맥 전분, 실크 분말, 옥수수 전분, 니트로계 색소, 아조계 색소, 니트로소계 색소, 트리페닐메탄계 색소, 크산텐계 색소, 퀴놀린계 색소, 안트라퀴논계 색소, 인디고계 색소, 피렌계 색소,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플라보노이드, 퀴논, 포르피린, 수용성 아나토, 오징어 먹물 분말, 캐러멜, 구아이아줄렌, 치자나무 청색, 치자나무 황색, 코치닐, 시코닌, 구리 클로로피린 나트륨, 파프리카 색소, 홍화 적색, 홍화 황색, 락카인산 및 리보플라빈 부티르산 등의 천연 색소, 카본 블랙, 황산화철, 흑산화철, 적산화철, 감청, 군청, 산화아연, 산화크롬, 산화티탄, 흑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수산화크롬,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티탄산리튬코 발트, 망간 바이올렛 및 펄 안료 등.
식물 추출물: 신선초 추출물, 아선약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산수국 추출물, 돌외 추출물, 무궁화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유용성 아르니카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안식향 수지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쐐기풀 추출물, 흰붓꽃 뿌리 추출물, 회향 추출물, 심황 추출물, 장미 열매 추출물, 에키나세아잎 추출물, 황금(黃芩) 뿌리 추출물, 황백 추출물, 황련 근경 추출물, 보리 추출물, 오쿠라(okura)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유용성 고추나물 추출물, 광대수염꽃 추출물, 유용성 광대수염꽃 추출물, 오노니스 추출물, 물냉이 추출물, 등화수, 감 탄닌, 갈근 추출물, 갈초근 추출물, 부들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유용성 캐모마일 추출물, 캐모마일 워터, 귀리 추출물, 당근 추출물, 유용성 당근 추출물, 당근유, 사철쑥 추출물, 감초 추출물, 감초 추출 분말, 감초 플라보노이드, 칸타리스 팅크, 라즈베리 추출물, 키위 추출물, 기나피 추출물, 오이 추출물, 살구씨 추출물, 모과씨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동백죽 추출물, 고삼 추출물, 호두 껍질 추출물, 클레마티스 추출물, 흑설탕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뽕나무 껍질 추출물, 계피 껍질 추출물, 용담 추출물, 제라늄 추출물, 홍차 추출물, 황수련 추출물, 우엉 추출물, 유용성 우엉 추출물, 소맥 배아 추출물, 가수분해 소맥 분말, 쌀겨 추출물, 쌀겨 발효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족도리풀 뿌리 추출물, 사프란 추출물, 비누풀 추출물, 유용성 셀비어 추출물, 당산사나무 열매 추출물, 초피나무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분말, 지황 뿌리 추출물, 지치 추출물, 유용성 지치 추출물, 차조기 추출물, 린덴 추출물, 유용성 린덴 추출물, 터리풀(filipendula) 추출 물, 작약 추출물, 율무 추출물, 생강 추출물, 유용성 생강 추출물, 생강 팅크, 창포 근경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유용성 자작나무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인동덩굴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유용성 쇠뜨기 추출물, 스코르디닌, 스테비아 추출물, 담쟁이덩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엘더꽃 추출물, 곱향나무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유용성 서양톱풀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유용성 세이지 추출물, 세이지 워터, 당아욱 추출물, 셀러리 추출물, 천궁 근경 추출물, 천궁 근경수, 쓴풀 추출물, 대두 추출물, 묏대추 추출물, 타임 추출물, 녹차 추출물, 차 건류액, 다실(茶實) 추출물, 정향화 추출물, 귤피 추출물, 동백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유용성 호두나무 추출물, 버찌 추출물, 가자 추출물, 왜당귀 뿌리 추출물, 유용성 왜당귀 뿌리 추출물, 왜당귀근수, 금잔화 추출물, 유용성 금잔화 추출물, 두유 분말, 복숭아씨 추출물, 광귤껍질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양지꽃 뿌리 추출물, 낫토 추출물, 인삼 추출물, 유용성 인삼 추출물, 마늘 추출물, 들장미 추출물, 유용성 들장미 추출물, 맥아 추출물, 맥아 뿌리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보리 엽즙 농축물, 증류 박하수, 풍년화수, 풍년화수 추출액, 장미 추출물, 개물통이 추출물, 연명초 추출물, 비파엽 추출물, 유용성 비파엽 추출물, 머위 추출물, 복령 추출물, 루스쿠스(butcher broom) 뿌리 추출물, 루스쿠스 뿌리 추출물 분말, 포도 추출물, 포도잎 추출물, 포도수, 헤이플라워 추출물, 수세미외 추출물, 수세미외수, 홍화 추출물, 유용성 보리자나무 추출물, 보리자나무수, 모란 추출물, 홉 추출물, 유용성 홉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엉겅퀴 열매 추출물, 칠엽수 추출물, 유용성 칠엽수 추출물, 무환자나무 껍질 추출 물, 밤 민트(balm mint) 추출물, 메리로드 추출물, 복숭아잎 추출물, 유용성 복숭아잎 추출물, 콩나물 엑기스, 수레국화 추출물, 수레국화수, 유칼립투스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백합 추출물, 율무 추출물, 유용성 율무 추출물, 쑥 추출물, 쑥물, 라벤더 추출물, 라벤더 워터, 사과 추출물, 영지버섯 추출물, 상추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장미수, 로즈마리 추출물, 유용성 로즈마리 추출물, 로먼 캐모마일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 등.
아미노산류 및 펩티드류: 글리신,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글루타민, 히스티딘, γ-아미노부티르산,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 ε-아미노카프로산, 가수분해 엘라스틴, 수용성 엘라스틴, 가수분해 콜라겐, 수용성 콜라겐, 카제인, 글루타티온, 소맥 펩티드 및 대두 펩티드 등.
비타민류 및 비타민 작용 인자류: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산, 레티놀 아세테이트 및 레티놀 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A류, α-카로틴, β-카로틴, γ-카로틴, δ-카로틴, 리코펜, 제아크산틴, 크립토크산틴, 에키네논 및 아스타크산틴 등의 카로테노이드류, 타이민류 등의 비타민 B1류,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 B2류, 피리독신, 피리독살 및 피리독사민 등의 비타민 B6류, 시아노코발라민 등의 비타민 B12류, 엽산류, 니코틴산, 니코틴산 아미드, 판토텐산류, 비오틴류, L-아스코르브산, 나트륨 L-아스코르베이트, L-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L-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빌 디팔미테이트, L-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디나트륨 L-아스 코르빌 술페이트 에스테르, L-아스코르빌 마그네슘, L-아스코르빌 나트륨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L-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등의 비타민 C류, 에르고칼시페롤 및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류, d-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dl-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 dl-α-토코페롤 숙시네이트,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및 d-δ-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류, 비타민 K류, 카르니틴, 페룰산, γ-오리자놀, α-리포산 및 오로트산 등.
방부제: 벤조산, 나트륨 벤조에이트, 운데실렌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데히드로아세트산, 나트륨 데히드로아세테이트, 이소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파라옥시벤조에이트, 에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부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벤질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메틸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메틸 나트륨 파라옥시벤조에이트, 페녹시에탄올, 감광소 101호, 감광소 201호 및 감광소 401호 등.
산화 방지제: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부틸히드록시톨루엔, 프로필 갈레이트, 에리토르브산, 나트륨 에리토르베이트, 파라히드록시아니솔 및 옥틸 갈레이트 등.
봉쇄제: 트리나트륨 에틸렌디아민히드록시에틸트리아세테이트, 에데트산,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트리나트륨 에데테이트, 테트라나트륨 에데테이트, 나트륨 시트레이트, 글루콘산, 피틴산, 나트륨 폴리포스페이트 및 나트륨 메타포스페이트 등.
보습제: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 나트륨 콘드로이틴술페이트, 나트륨 락테이트, 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레이트, 베타인, 유산균 배양액, 효모 추출물 및 세라마이드 등.
항염증제: 글리시리진산, 트리나트륨 글리시리지네이트, 디칼륨 글리시리지네이트, 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지네이트, β-글리시르레틴산, 글리세릴 글리시르레티네이트, 스테아릴 글리시르레티네이트, 리소자임 클로라이드, 히드로코르티손 및 알란토인 등.
pH 조정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 등.
염류: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마그네슘 및 황산나트륨 등.
α-히드록시산류: 시트르산, 글리콜산, 타르타르산 및 락트산 등.
미백제: 알부틴, α-알부틴 및 태반 추출물 등.
정유류: 안젤리카 오일, 일랑일랑 오일, 엘레미 오일, 마트리카리아 오일, 캐모마일 오일, 카르다몸 오일, 창포 오일, 갈바눔 오일, 장뇌유, 당근씨 오일, 클라리세이지 오일, 정향 오일, 계피 오일, 고수 오일, 사이프러스 오일, 백단 오일, 시더우드 오일, 시트로넬라 오일, 계피잎 오일, 자스민 무수물, 주니퍼베리 오일, 생강 추출물, 스피어민트 오일, 세이지 오일, 백향목 오일, 제라늄 오일, 타임 오일, 티트리 오일, 육두구유, 니아울리 오일, 네롤리 오일, 소나무 오일, 바질 오일, 박하 오일, 파출리 오일, 팔마로사 오일, 희향 오일, 페티그레인 오일, 흑후추 오일, 유향 오일, 베티버트 오일, 페퍼민트 오일, 베르가못 오일, 벤조인 오일, 로즈우드 오일, 마저람 오일, 몰약 오일, 멜리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라벤사라 오일, 라반딘 오일, 라벤더 오일, 린데인 오일, 장미 오일, 자단 오일, 로즈메리 오일 및 러비지 오일 등.
테르펜류: 피넨, 테르피넨, 테르피놀렌, 미르센 및 롱기폴렌 등.
향료 및 물 등.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술한 성분 이외에 추가로 기존의 화장품 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문헌 ["화장품 원료 기준 제2판 주해", 일본 공정서 협회편, 야꾸지 닛보사, 1984년], ["화장품 원료 기준 외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야꾸지 닛보사, 1993년], ["화장품 원료 기준 외 성분 규격 추보",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야꾸지 닛보사, 1993년], ["화장품 종별 허가 기준",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야꾸지 닛보사, 1993년],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야꾸지 닛보사, 1997년], ["화장품 원료 사전", 닛코 케미칼즈, 1991년] 및 ["새로운 화장품 기능 소재 300", CMC 출판, 2002년] 등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화장품 원료를 본 발명의 효과를 여전히 달성하는 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의 적용 분야로서는, 특히 화장료로서의 적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능의 원리는 유비퀴논 및 유비퀴논보다 더욱 항산화 활성이 높은 유비퀴놀의 부화에 있기 때문에, 기존의 유비퀴논을 유효 성분으로서 배합하는 제제의 효능 전체에 있어서 그 유효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유비퀴논 함유 피부 외용제의 적용 분야로서는, 항산화 화장료, 항노화 화장료, 미백 화장료, 피부 거칠음 방지용 화장료, 주름 방지 화장료 및 거무칙칙함ㆍ기미 방지 화장료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기 공지된 화장료로서의 동일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제제는 간편한 수계 처방을 이 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피부 제제 및 화장료는 고농도로 활성 성분을 함유하며 안정성 및 작용성이 높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는 경피 투여되는 한 어떠한 형태 또는 제형이어도 상관없지만,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을 원하는 피부 부위 근방의 피부와 접촉시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피부 제제 및 화장료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스킨 밀크, 스킨 크림, 파운데이션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쉐이빙 크림, 클렌징 폼, 화장수, 로션, 팩, 립스틱, 볼터치, 아이쉐도우, 매니큐어, 비누, 바디 샴푸, 핸드 소프, 샴푸, 린스, 헤어 토닉, 트리트먼트, 헤어 크림, 헤어 스프레이, 육모제, 양모제, 염모제, 정발료, 탈모제, 비듬 방지제, 치약, 의치 접착제, 구강 헹굼제, 퍼머넌트 웨이브제, 컬링제, 스타일링제, 연고제, 퍼프제, 테이프제, 입욕제, 제한제 및 일소 방지제 등을 들 수 있지만, 피부에 도포가능한 어떠한 제형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성별, 노약을 불문한다. 또한, 인간 뿐만 아니라 동물류에 도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제제 및 화장료는 임의의 형태일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고체, 액체, 반고체, 기체, 분체, 과립, 정제, 겔상 및 거품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비퀴논의 수성 제제화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한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 면에서, 상기 제형 및 형태 중에서도 수성 매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피부 제제 또는 화장료에 포함되는 물의 양은,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전량 중 0.01 내지 99.99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비퀴논 유도체의 피부 제제 및 화장료에서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으로 하는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의 효과, 환언하면 목적으로 하는 항산화 작용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현재, 후생 노동부에 의해 유비퀴논의 화장료 중 배합량은 0.03 % 이하로 규제되어 있지만, 이러한 적은 배합량이어도 그 유효성이 인지되며,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및 본 발명의 유비퀴논 유도체의 세포 내에서의 우수한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 부화 작용으로부터, 유비퀴논 유도체의 농도는 대략 0.0005 %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인 경우, 실질적으로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의 효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비퀴논 유도체의 최대 농도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 수계의 실용적인 제제로서는 50 % 이하, 바람직하게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단, 사용시에 상기한 농도가 되도록 함유량 50 % 이상의 고형제, 농축 제제 및 분산 제제로서 제공되는 제형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기재하는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를 의미한다.
〔합성예 1〕
유비퀴놀의 합성
유비퀴논(MW: 863.36) 30 g을 헥산 300 ㎖에 용해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10 %(w/v) 차아황산나트륨 용액 300 ㎖를 붓고, 추가로 실온하에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전량을 분액 깔때기에 옮기고, 헥산층을 분취하였다. 잔존하는 수층을 50 ㎖의 헥산으로 2회 추출하고, 앞서 분취한 헥산층과 합하였다. 이 헥산층을 탈기한 포화 식염수 50 ㎖로 6회 세정하여, 투명한 헥산층을 얻었다. 헥산을 감압 제거한 후, 하루 동안 질소 퍼지하여 크림색의 고체 29.5 g을 얻었다.
〔합성예 2〕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의 합성
합성예 1에서 얻어진 고체 3 g을 10 ㎖의 피리딘에 용해하였다. 용액을 한제(식염/얼음)욕하(-15 ℃)에 옥시염화인 3.19 g을 피리딘 5 ㎖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하하여 냉각하에 30분간 교반한 후, 상온으로 되돌려 추가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 제거한 후, 얻어진 유상물을 디에틸에테르 300 ㎖에 현탁하고, 포화 식염수를 150 ㎖를 첨가하고, 전량을 분액 깔때기에 옮겨 진탕 교반한 후 정치, 에테르층을 분취하였다. 얻어진 에테르층에 희염산(농염산:물=1:2) 120 ㎖를 첨가하여 세정한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탈수하였다. 용액을 감압 제거하여, 황색 유상물 2.5 g을 얻었다. 이것에 메탄올 30 ㎖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수산화칼륨 0.547 g을 메탄올 2 g에 용해시킨 용액을 적하하였다. 유기 용매를 감압 제거하고, 하루 동안 질소 퍼지하여 미황색 분체 2.63 g을 얻었다. 얻어진 황색 분체의 NMR 측정 및 질량 분석을 행하여,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NMR〕
Figure 112009028445365-pct00009
<방법>
장치: 부르커 어드밴스(Burker Advance)-500
용매: D2O
〔질량 분석〕
FAB-MS(-): 1023(=[M-H]-)
<방법>
직접 도입 FAB-MS법
장치: JEOL JMS-SX102A
FAB 매트릭스: 글리세린
스캔 범위: m/Z 50 내지 200
실시예 1
피부 세포로의 투여 시험
정상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NB1RGB(리가가꾸 겡뀨쇼로부터 분양)를 9 ㎝ 페트리 디쉬 위에 약 1.0×105 세포/㎖가 되도록 10 %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 접종하고, 37 ℃의 CO2 인큐베이터 중 3일마다 배지 교환하면서 7일간 콘플루엔트(confluent)에 달할 때까지 배양하였다. 7일째에 배지를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를 0.03 % 포함하는 DMEM 배지로 교환하고, 추가로 3일간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페트리 디쉬 위에서 10 ㎖의 PBS(-)로 3회 세정한 후, 트립신/EDTA를 사용하여 박리 회수하고, 1 ㎖의 PBS(-)에 재현탁시킨 후 빠르게 균질기로 파쇄하였다. 10,000 회전 및 10분의 원심 분리에 의해 불용물을 제거하고, 얻어진 상청 10 ㎕를 HPLC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그의 잔분에 등량의 헥산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탁한 후, 10,000 회전 및 3분의 원심 분리에 의해 분액하고, 상청 헥산층을 마찬가지로 HPLC에 첨가하였다.
<HPLC 조건>
칼럼: 쇼덱스(Shodex) F-511A(쇼와 덴코 제조)
칼럼 온도: 40 ℃
용리액: 메탄올/물/인산=1000/5/1
유속: 1.0 ㎖/분
검출: 포토다이오드 어레이 210-370 ㎚
합성예 1에서 사용한 유비퀴논 및 합성예 1에서 합성한 직후의 유비퀴놀을 참조물로 한 HPLC 분석의 결과, 세포 파쇄 상청으로부터 유비퀴놀-1,4-이인산과 유비퀴놀, 및 n-헥산 추출액으로부터 유비퀴놀 및 유비퀴논에 상당하는 유지 시간 및 흡광 스펙트럼(210-370 ㎚)을 제공하는 피크가 관찰되었다. 회수된 세포의 용적으 로부터 추정되는 세포에서의 상기 화합물의 농도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한 세포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처리 및 분석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시약 유비퀴논을 10 %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 0.03 % 상당량 첨가하고, 교반기로 실온에서 6 시간 동안 동안 교반한 후, 0.02 μM의 필터로 여과하여 유비퀴논 함유 배양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배양 배지의 유비퀴논 농도를 합성예 1에서 사용한 유비퀴논을 참조물로서 동일한 HPLC 조건에 의해 측정한 바, 0.007 %였다. 또한, 더 이상 장시간의 교반을 행하여도 용해 농도는 상승하지 않았으며, 유비퀴논의 상온하에서의 해당 배지에 대한 최대 용해 농도라고 생각된다.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DMEM 배양 배지 대신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비퀴논 함유 배양 배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 및 분석을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28445365-pct00010
실시예 2
화장수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1 내지 4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1 내지 4에서는 A 성분과 B 성분의 총 합계를 각각 100 %로 하였다.
<처방예 1>
A.
디칼륨 글리시리지네이트 0.2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1.0 %
시트르산 0.1 %
나트륨 시트레이트 0.3 %
정제수 잔분
B.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에이트 0.9 %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0.1 %
올리브유 0.1 %
디프로필렌 글리콜 5.0 %
메틸파라벤 0.1 %
에탄올 10.0 %
<처방예 2>
A.
나트륨 시트레이트 0.1 %
글리세린 8.0 %
나트륨 피롤리돈 카르복실레이트 1.0 %
트레할로오스 0.03 %
1,3-부틸렌 글리콜 5.0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3 %
정제수 잔분
B.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0.6 %
메틸파라벤 0.1 %
에탄올 10.0 %
<처방예 3>
A.
폴리비닐 알코올 0.1 %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2 %
글리세린 3.0 %
트리나트륨 에데테이트 0.1 %
수산화나트륨 0.05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
카페인 0.1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5 %
정제수 잔분
B.
에탄올 20.0 %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0.3 %
메틸파라벤 0.1 %
멘톨 0.1 %
처방예 1 내지 3 모두 미리 A 및 B의 각 성분을 각각 혼합하고, 50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조금씩 B를 첨가하여, 가용화하였다. 이것을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30 ℃에서 교반을 중지하고 방치하여 각각의 화장수를 얻었다.
<처방예 4>
A.
1,3-부틸렌 글리콜 5.02 %
(콜레스테릴/베헤닐/옥틸도데실)라우로일 글루타메이트 0.5 %
트레할로오스 0.03 %
트리옥타노인 0.03 %
PEG-58 수소 첨가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레이트 1.5 %
PEG-60 수소 첨가 피마자유 0.5 %
메틸파라벤 0.2 %
프로필파라벤 0.01 %
토코페롤 0.05 %
B.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5 %
나트륨 말레이트 0.1 %
말산 적량
정제수 잔분
미리 A 및 B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60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혼합하고, 냉각하여 균일한 화장수를 얻었다.
실시예 3
각질층의 재생 촉진 시험
실시예 2의 처방예 1에 따라,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1.0 %를 포함하는 화장수 A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2의 처방예 1에서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대신에, 동일한 처방에 최대한 가용화할 수 있는 유비퀴논을 사용한 화장수 B, 유비퀴놀을 사용한 화장수 C를 각각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0 % 상당의 유비퀴논 또는 유비퀴놀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제조한 후, 공경 1 ㎛의 여과지로 불용분을 여과 제거한 것을 화장수 B 및 화장수 C로 하였다.
또한, 화장수 B 및 C 중의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의 최종 농도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HPLC 분석에 의해 측정한 결과 각각, 0.011 % 및 0.023 %였다.
또한,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의 처방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화장수 D를 제조하였다.
이들 화장수 A 내지 D를 각각 단독으로, 각 5명의 피험자의 상완부 내측의 피부에 21일간 1일 2회(아침, 저녁) 도포하였다. 22일째에 단실 클로라이드를 백색 바셀린 중에 5 중량% 배합한 연고를 24 시간 폐색 도포하고, 각질층에 단실 클로라이드를 침투 결합시켰다. 그 후, 동일한 부위에 동일한 화장수를 이어서 1일 2회(아침, 저녁) 계속 도포하고, 매일 단실 클로라이드의 형광을 측정하였다. 형광이 초기 강도(단실 클로라이드 연고 도포 후 24 시간일 때)의 50 %까지 소멸되는 일수를 측정하여 5명의 피험자로부터 그 평균값을 구하고, 피부 각질층의 재생 촉진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화장수 A 도포군에서 유의한 형광 반감기의 감소, 즉 각질층의 재생 촉진이 관찰되었다.
Figure 112009028445365-pct00011
실시예 4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 시험
하각(下脚)에 거친 피부를 가진 30대 내지 40대의 피험자 각 5명을 대상으로서,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화장수 A 내지 D를 각각 도포하였다. 구체적으로, 4주 동안 피험자의 좌측 하각 시험 부위에 화장수 A 내지 D를 각각 단독으로 1일 2회(아침, 저녁) 약 0.5 g 도포하고, 시험 개시 전 및 종료 후의 피부의 상태를 표 3에 나타낸 판정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또한, 우측 하각은 화장수를 도포하지 않고 대조로 하였다.
처리한 좌측 하각을 비처리한 우측 하각과 비교하여, 표 3의 판정 기준에 따라 피부 건조도를 평가하였다. 피부 건조도가 2 단계 이상 개선된 경우(예를 들면 +→-, ++→±)를 "유효", 1 단계 개선된 경우를 "약간 유효", 변화가 없는 경우를 "무효"로 하였다. 시험 결과는 "유효", "약간 유효"가 된 피험자의 인수로 표 4에 나타내었다. 화장수 A 사용군에서 현저한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Figure 112009028445365-pct00012
Figure 112009028445365-pct00013
실시예 5
각질 상태 개선(각질 세포의 항박리성 증대) 시험
실시예 4의 피부 거칠음 개선 시험 개시 전 및 종료 후의 피검부 피부에 멘딩 테이프(니치반사 제조)를 접착하고, 이것을 박리했을 때 테이프에 부착된 각질층 세포의 상태를 현미경 관찰하여, 표 5에 나타낸 판정 기준에 의해 피부 각질층 세포 박리성을 분류하여 각질층 상태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판정은 시험 부위의 평가점과 대조 부위의 평가점의 차가 2점 이상인 경우를 "유효", 1점인 경우를 "약간 유효", 0점인 경우를 "무효"로 하였다. 시험 결과는 "유효", "약간 유효"가 된 피험자의 인수로 표 6에 나타내었다. 화장수 A 사용군에서 현저한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다.
Figure 112009028445365-pct00014
Figure 112009028445365-pct00015
실시예 6
관능 시험
거친 피부, 잔주름, 건조 피부 등을 호소하는 30대 내지 40대 여자 피험자 각 5명에게 실시예 3에서 제조한 화장수 A 내지 D를 각각 단독으로 1일 2회(아침, 저녁) 연속 2개월간 도포하고, 효과를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는, 노화 방지 효과의 전형적인 관능 지표로 생각되는 피부의 습윤성, 평활성 및 탄력성의 각 항목에 대하여, "피부가 촉촉해짐", "피부가 매끄러워짐", "피부에 탄력이 생김"으로 회답한 인수로 표 7에 나타내었다. 화장수 A 사용군에서 현저한 관능 지표상의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관찰되었다.
Figure 112009028445365-pct00016
실시예 7
라디칼 소거능 시험
라디칼 형광 검출제 H2-DCFDA(인비트로젠사 제조)를 미리 소량의 에탄올에 용해하고, 1 mM가 되도록 10 m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첨가하고, 암소, 실온에서 60분간 가수분해 처리하여 활성화한 후, 둘베코 인산염 완충 염수(PBS)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 0.01 mM의 희석액을 얻었다.
얻어진 희석액 0.1 ㎖에 농도 1 %의 계면활성제(에말렉스 HC-40(닛본 에멀젼사 제조)) 수용액을 사용하여 최종 농도 1 %가 되도록 제조한 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용액을 유비퀴논 유도체 농도로서 최종 농도 0.006 %가 되도록 첨가하여, 시험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유비퀴논을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비퀴논 최종 농도 0.006 %의 시험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유비퀴논 용액 대신 동일한 용량의 증류수를 첨가한 시험액을 제조하여 음성 대조로서 사용하였다.
이들 3종의 시험액에 수용성 라디칼 발생제 2,2'-아조비스(2-아미노프로판)디히드로클로라이드(AAPH)를 3 mM 용액으로서 0.01 ㎖ 첨가하고, 37 ℃로 가온하였다. 첨가 30분 후의 각 용액의 여기 파장 495 ㎚, 형광 파장 525 ㎚에 의한 형광 강도를 측정하고, 유비퀴논 및 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각각의 라디칼 소거능을 형광 억제율로서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28445365-pct00017
실시예 8
유액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5 내지 7에 따라 유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5 내지 6에서는 A 성분과 B 성분의 총 합계를, 처방예 7에서는 A 내지 C 성분의 총 합계를 각각 100 %로 하였다.
<처방예 5>
A.
스쿠알란 10.0 %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3.5 %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6.5 %
피로글루탐산 폴리옥시에틸렌 수소 첨가 피마자유 이소스테아레이트
12.0 %
메틸파라벤 0.1 %
B.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1.0 %
정제수 잔분
A 및 B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는 70 ℃에서, B는 50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조금씩 B를 첨가하여 유액을 제조하였다. 유액을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정제수로 10배 희석하였다.
<처방예 6>
A.
유동 파라핀 10.6 %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0.6 %
올레일 알코올 1.2 %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3.4 %
PEG 디스테아레이트 1.9 %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테트라데실 에테르 0.4 %
B.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3 %
나트륨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0.1 %
프로필렌 글리콜 1.4 %
메틸파라벤 0.1 %
PEG-400 0.2 %
정제수 잔분
미리 A 및 B의 각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는 70 ℃에서, B는 75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이어서, B를 교반하면서 상기 B에 조금씩 A를 첨가하여 유액을 제조하였다. 유액을 교반하면서 냉각하였다.
<처방예 7>
A.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0 %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에이트 0.5 %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0 %
스테아르산 0.5 %
베헤닐 알코올 0.5 %
밀랍 0.5 %
스쿠알란 10.0 %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10.0 %
데카글리세릴 데카올레에이트 3.0 %
1,3-부틸렌 글리콜 7.0 %
메틸파라벤 0.1 %
B.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3 %
크산탄검 0.04 %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08 %
정제수 잔분
C.
트리에탄올아민 0.05 %
정제수 4.95 %
A, B 및 C의 각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 및 B는 80 ℃에서 가온 용해시키고, C는 실온에서 균일화시켰다. 그 후,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첨가하여 유액을 제조하고, 이어서 C를 유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냉각한 바, 40 ℃ 부근에서 유액상이 되었다. 상기 유액상 조성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실시예 9
겔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8 내지 13에 따라 겔을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8에서는 A 성분과 B 성분의 총 합계를, 처방예 9에서는 A 내지 E 성분의 총 합계를, 처방예 10 내지 13에서는 A 내지 C 성분의 총 합계를 각각 100 %로 하였다.
<처방예 8>
A.
한천 2.0 %
크산탄검 0.2 %
카페인 0.1 %
정제수 50.0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8 %
B.
글리세린 7.0 %
PEG-1500 8.0 %
메틸파라벤 0.1 %
정제수 잔분
A 및 B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는 90 ℃에서, B는 50 ℃에서 가온 분산시켰다. 이어서, A를 50 ℃까지 냉각하여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첨가하고, 추가로 교반하면서 30 ℃ 이하로 냉각하여 겔화시켰다. 충분히 굳어졌을 때 분산기를 사용하여 겔을 파괴하여 마이크로겔로 한 후, 탈기하여 균일 겔(반투명 겔)을 얻었다.
<처방예 9>
A.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35 %
정제수 50.0 %
B.
수산화나트륨 0.1 %
정제수 10.0 %
C.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 1 %수용액 6.0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1.0 %
정제수 잔분
D.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테트라데실 에테르 0.3 %
에탄올 5.0 %
메틸파라벤 0.1 %
2-헥실데칸산 L-카르니틴 히드로클로라이드 0.3 %
E.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0.2 %
A, B, C 및 D의 각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 및 B는 상온에서 용액을 형성시키고, C는 50 ℃에서, D는 40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첨가하여 겔상으로 하고, 추가로 C, D 및 E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그 후, 탈기하여 균일 겔(반투명 겔)을 얻었다.
<처방예 10>
A.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5 %
정제수 40.0 %
B.
수산화칼륨 0.1 %
정제수 10.0 %
C.
디프로필렌 글리콜 10.0 %
메틸파라벤 0.1 %
디칼륨 글리시리지네이트 0.05 %
가수분해 콜라겐 0.05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5 %
정제수 잔분
A, B 및 C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 및 B는 상온에서 용액을 형성시키고, C는 50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첨가하여 겔상으로 하고, 추가로 C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그 후, 탈기하여 균일 겔(반투명 겔)을 얻었다.
<처방예 11>
A.
글리세린 10.0 %
1,3-부틸렌 글리콜 6.0 %
디메티콘 2.0 %
PEG-60 수소 첨가 피마자유 0.6 %
라우레스(Laureth)-2 0.1 %
라우레스-21 0.1 %
메틸파라벤 0.26 %
프로필파라벤 0.1 %
에틸파라벤 0.1 %
페녹시에탄올 0.1 %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1 %
키토산 숙신아미드 0.01 %
효모 추출물 0.1 %
에탄올 0.01 %
향료 0.01 %
B.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1.0 %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5 %
요소 0.02 %
글루코사민 히드로클로라이드 0.01 %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01 %
정제수 50.0 %
C.
아르기닌 0.63 %
정제수 잔분
A, B 및 C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는 60 ℃에서 가온 용해시키고, B, C는 상온에서 용액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첨가하여 겔상으로 하고, 추가로 C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균일 겔(반투명 겔)을 얻었다.
<처방예 12>
A.
글리세린 50.0 %
투르말린 5.0 %
올리브유 1.0 %
PEG-12 28.0 %
PEG-75 7.5 %
폴리글리세릴 라우레이트 1.0 %
에탄올 0.49 %
(아크릴산/(C10-30)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0.11 %
메틸파라벤 0.11 %
프로필파라벤 0.02 %
은행나무 추출물 0.02 %
녹차 추출물 0.02 %
칠엽수 추출물 0.02 %
조류(algae) 추출물 0.02 %
B.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07 %
정제수 3.0 %
C.
수산화나트륨 0.01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1.0 %
정제수 잔분
A, B 및 C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는 60 ℃에서 가온 용해시키고, B 및 C는 상온에서 용액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첨가하여 겔상으로 하고, 추가로 C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균일 겔(반투명 겔)을 얻었다.
<처방예 13>
A.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
칼륨 아스코르베이트 3.0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1 %
B.
스쿠알란 50.0 %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잔분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8.0 %
C.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1.0 %
페녹시에탄올 0.5 %
α-토코페롤 0.1 %
A, B 및 C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칭량하여 A는 상온에서 비드밀로 혼련하고, B는 균일 용해될 때까지 가열하고, C는 상온에서 용해시켰다. 그 후, B를 교반하면서 상기 B에 C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한 후,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이어서, 이것에 A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균일 겔(반투명 겔)을 얻었다.
실시예 10
화장수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14 내지 16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14에서는 A 내지 D 성분의 총 합계를, 처방예 15에서는 A 성분과 B 성분의 총 합계를, 처방예 16에서는 A 내지 C 성분의 총 합계를 각각 100 %로 하였다.
<처방예 14>
A.
크산탄검 0.4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0.1 %
1,3-부틸렌 글리콜 5.0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3 %
정제수 50.0 %
B.
수산화칼륨(1 % 수용액) 2.5 %
정제수 10.0 %
C.
카페인 1.0 %
정제수 잔분
D.
메틸파라벤 0.1 %
에탄올 3.0 %
A, B, C 및 D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 B 및 D는 상온에서 용액을 형성시키고, C는 50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그 후,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첨가하여 점성 액체로 하고, 이어서 C 및 D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균일한 액체(화장수)를 얻었다.
<처방예 15>
A.
1,3-부틸렌 글리콜 10.0 %
글리세린 5.0 %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 0.2 %
크산탄검 0.2 %
디칼륨 글리시리지네이트 0.02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3 %
정제수 잔분
B.
에탄올 3.0 %
수소 첨가 레시틴 0.5 %
트리옥타노인 0.3 %
디페닐 디메티콘 0.2 %
메틸파라벤 0.22 %
페녹시에탄올 0.08 %
PEG-50 수소 첨가 피마자유 0.1 %
PEG-60 수소 첨가 피마자유 0.1 %
α-토코페롤 0.01 %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0.05 %
A 및 B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 및 B 모두 50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균일한 액체(화장수)를 얻었다.
<처방예 16>
A.
크산탄검 0.4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4 %
1,3-부틸렌 글리콜 3.0 %
글리세린 3.0 %
메틸파라벤 0.1 %
정제수 잔분
B.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2.0 %
1,2-헥산디올 4.0 %
정제수 50.0 %
C.
아스코르브산-2-마그네슘 포스페이트 1.5 %
아스코르브산-2-나트륨 포스페이트 1.5 %
나트륨 시트레이트 0.5 %
테트라나트륨 에데테이트 0.1 %
정제수 9.4 %
A, B 및 C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 및 C는 상온에서 용액을 형성시키고, B는 50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그 후,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첨가하여 점성 액체로 하고, 이어서 C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균일한 액체(화장수)를 얻었다.
실시예 11
크림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17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17에서는 A 성분과 B 성분의 총 합계를 100 %로 하였다.
<처방예 17>
A.
수소 첨가 카놀라유 알코올 4.2 %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6.0 %
스쿠알란 9.6 %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4.8 %
폴리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2.0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
프로필파라벤 0.05 %
크산탄검 0.1 %
α-토코페롤 0.5 %
B.
1,3-부틸렌 글리콜 4.8 %
글리세린 4.8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8 %
아스코르브산-2-인산-6-나트륨 팔미테이트 1.0 %
메틸파라벤 0.1 %
정제수 잔분
A 및 B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 및 B 모두 85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첨가하여 유액을 형성하고, 추가로 교반하면서 냉각하였다. 그 후, 40 ℃ 부근에서 교반을 중지하고 탈기하여,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12
시트상 팩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18 및 19에 따라 시트상 팩을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18 및 19에서는, A 성분과 B 성분의 총 합계를 각각 100 %로 하였다.
<처방예 18>
A.
글리세린 30.0 %
수산화 알루미나 마그네슘 1.0 %
B.
디이소프로판올아민 1.0 %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2.0 %
아크릴산/나트륨 아크릴레이트(50/50(몰비)) 공중합체 2.0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3 %
아스코르브산-2-마그네슘 포스페이트 3.0 %
정제수 잔분
<처방예 19>
A.
1,3-부틸렌 글리콜 30.0 %
수산화 알루미늄 겔ㆍ탄산수소나트륨 공침물 0.05 %
B.
나트륨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70/30(몰비)) 공중합체 1.0 %
폴리아크릴산 1.0 %
N-비닐 아세트아미드/나트륨 아크릴레이트(9/1(중량비)) 공중합체
3.0 %
알루미늄 락테이트 0.05 %
암모니아 10 % 수용액 0.01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3 %
정제수 잔분
어떠한 처방예에서도, A 및 B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는 상온에서 분산액을 형성시키고, B는 50 ℃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이어서, B를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되돌리고, 상기 B에 A를 서서히 첨가하면서 혼합하였다. 얻어진 졸을 폴리프로필렌제의 라이너 위에 나이프 코터로 0.5 ㎜의 클리어런스로 도공하고, 그 후 졸 위에 부직포를 점착하고,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주머니에 넣어 열 밀봉한 후, 3일간 숙성시켜 시트상 팩을 얻었다.
실시예 13
팩제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20에 따라 팩제(필오프팩)를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20에서는, A 성분과 B 성분과의 총 합계를 100 %로 하였다.
<처방예 20>
A.
폴리비닐 알코올 13.0 %
카라기난 0.5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1.0 %
정제수 잔분
B.
1,3-부틸렌 글리콜 3.0 %
메틸파라벤 0.1 %
에탄올 8.0 %
A 및 B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는 50 ℃에서 가온 팽윤시키고, B는 상온에서 용액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이것을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30 ℃ 부근에서 교반을 중지하고 방치하여, 필오프팩을 얻었다.
실시예 14
입욕제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21 및 22에 따라 입욕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21 및 22에서는, 성분의 총 합계를 각각 100 %로 하였다.
<처방예 21>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테트라올레에이트 14.0 %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3.0 %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3.0 %
스쿠알란 10.0 %
호호바 오일 20.0 %
아보카도 오일 5.0 %
프로필파라벤 0.1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1.0 %
유동 파라핀 잔분
<처방예 22>
탄산수소나트륨 35.5 %
시트르산 37.1 %
폴리에틸렌 글리콜 2.1 %
산화마그네슘 1.1 %
α-토코페롤 1.2 %
아스코르브산-2-나트륨 포스페이트 1.5 %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시드 1.5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1.0 %
상기 처방예 21 및 22 각각에서 모든 배합 성분을 상온에서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실시예 15
세안료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23 및 24에 따라 세안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23에서는 A 내지 C 성분의 총 합계를, 처방예 24에서는 A 성분과 B 성분의 총 합계를 각각 100 %로 하였다.
<처방예 23>
A.
미리스트산 15.0 %
팔미트산 5.0 %
스테아르산 3.0 %
밀랍 3.0 %
PEG-6000 2.0 %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2.0 %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0 %
농글리세린 15.0 %
B.
수산화칼륨 5.5 %
정제수 14.5 %
C.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5 %
나트륨 N-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 10.0 %
정제수 잔분
A, B 및 C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 및 B는 80 ℃에서 가온 용해시키고, C는 상온에서 용액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고, 이어서 C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이것을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30 ℃ 부근에서 교반을 중지하고 방치하여, 세안료를 얻었다.
<처방예 24>
A.
라우르산 2.0 %
미리스트산 17.0 %
팔미트산 4.0 %
스테아르산 4.0 %
야자유 지방산 칼륨염 8.0 %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0 %
나트륨 N-메틸 코코일 타우레이트 10.0 %
농글리세린 10.0 %
1,3-부틸렌 글리콜 10.0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2 %
B.
수산화칼륨 5.5 %
테트라나트륨 에데테이트 0.2 %
정제수 잔분
A 및 B의 각 배합 성분을 각각 혼합하여 A는 80 ℃에서 가온 용해시키고, C는 상온에서 용액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A를 교반하면서 상기 A에 B를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그 후, 이것을 교반하면서 냉각하고, 30 ℃ 부근에서 교반을 중지하고 방치하여, 세안료를 얻었다.
실시예 16
샴푸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25에 따라 샴푸를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25에서는, 성분의 총 합계를 100 %로 하였다.
<처방예 25>
나트륨 POE (2)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30.0 %
암모늄 POE (2)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 20.0 %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6.0 %
클로로 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25 %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4.0 %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2.0 %
1,3-부틸렌 글리콜 3.0 %
디나트륨 에데테이트 0.2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0.5 %
정제수 잔분
실시예 17
헤어 토닉의 제조
하기의 처방예 26에 따라 헤어 토닉을 제조하였다. 또한, 처방예 26에서는, 성분의 총 합계를 100 %로 하였다.
<처방예 26>
살리실산 0.3 %
멘톨 0.2 %
에탄올 60.0 %
글리세린 5.0 %
테트라칼륨 유비퀴놀-1,4-디포스페이트 1.0 %
정제수 잔분
상기한 각 배합 성분을 상온에서 혼합하여 용해시켜, 헤어 토닉을 얻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26662020-pct00019
    (식 중, R1 및 R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인산기를 나타내고,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인산기이고, n은 1 내지 9의 정수를 나타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퀴논 유도체 및 그의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0.0005 내지 50 질량%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항산화 화장료인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항노화 화장료인 화장료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피부 거칠음 방지용 화장료인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97009735A 2006-10-13 2007-10-12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1117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80112 2006-10-13
JPJP-P-2006-280112 2006-10-13
JP2007264317A JP5180556B2 (ja) 2006-10-13 2007-10-10 ユビキノ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および化粧料ならびにこれらの使用方法
JPJP-P-2007-264317 2007-10-10
PCT/JP2007/070385 WO2008047882A1 (en) 2006-10-13 2007-10-12 Skin agent for external use and cosmetic agent including ubiquinone derivative or salt thereof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324A KR20090066324A (ko) 2009-06-23
KR101117849B1 true KR101117849B1 (ko) 2012-03-23

Family

ID=3892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735A KR101117849B1 (ko) 2006-10-13 2007-10-12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및 그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51509B2 (ko)
EP (1) EP2081544A1 (ko)
JP (1) JP5180556B2 (ko)
KR (1) KR101117849B1 (ko)
CN (1) CN101522161B (ko)
WO (1) WO2008047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22887A1 (en) * 2008-02-06 2010-12-23 Showa Denko K.K. Hair nourishing cosmetic
CN101307338B (zh) * 2008-07-17 2012-04-25 任雷 还原型辅酶q10的制备方法
JPWO2010021034A1 (ja) * 2008-08-20 2012-01-26 昭和電工株式会社 皮膚外用剤
CA2752342A1 (en) * 2009-02-19 2010-08-26 Elc Management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ightly bound water in hair
US9149528B2 (en) 2011-10-13 2015-10-06 Premier Dental Products Company Topical vitamin D oral supplement compositions
US9877930B2 (en) 2012-10-12 2018-01-30 Premier Dental Products Company Topical ubiquinol oral supplement compositions with amorphous calcium phosphate
US9724542B2 (en) 2012-10-12 2017-08-08 Premier Dental Products Company Remineralizing and desensitizing compositions, treat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EP3090781A1 (en) * 2015-05-08 2016-11-09 Susanne Kaufmann Anti-age composition with plant extracts
JP6878273B2 (ja) * 2015-05-11 2021-05-26 昭和電工株式会社 共重合体、二次電池の電極用バインダー、二次電池の電極用組成物、二次電池用電極
CA3056759C (en) 2016-03-22 2024-01-23 Avicenna Nutraceutical, Llc Hydrolyzed collag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WO2018222902A1 (en) 2017-06-02 2018-12-06 Extreme Fire Solutions, Llc Fire extinguishing system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000462B2 (en) * 2017-06-02 2021-05-11 Conopco, Inc. Liquid cleansing composition
US10117828B1 (en) 2017-08-26 2018-11-06 Dr. Ds' Formulas Inc. Anti-aging moisturizing emulsion
KR102152584B1 (ko) * 2017-11-06 2020-09-08 (주)아모레퍼시픽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7183022B2 (ja) * 2018-12-18 2022-12-05 株式会社コーセー 粒状組成物
KR102149954B1 (ko) * 2020-05-28 2020-09-01 김홍중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CN115368496B (zh) * 2022-08-02 2023-08-08 广州华新科智造技术有限公司 膦酸基改性聚乙烯醇及其制备方法、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2519A (en) * 1958-09-11 1960-11-29 Merck & Co Inc Phosphates of 2, 3-dimethoxy-5-methyl hydroquinones
US3127434A (en) 1959-10-20 1964-03-31 Hoffmann La Roche Dihydrovitamin k monophosphate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WO1988003015A1 (en) * 1986-10-23 1988-05-05 Arval S.P.A.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ubidecarenon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4010A (en) * 1956-02-13 1958-11-05 Rolls Roy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ator vane assemblies such as are used in axial-flowfluid machines
JPS58180410A (ja) 1982-04-16 1983-10-21 Shiseido Co Ltd 化粧料
AU4510596A (en) 1994-12-06 1996-06-26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Water soluble ubiquinone compositions, prodrug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AUPR549901A0 (en) * 2001-06-06 2001-07-12 Vital Health Sciences Pty Ltd Topical formulation containing tocopheryl phosphates
KR100612398B1 (ko) * 2000-11-14 2006-08-16 바이탈 헬스 사이언시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포스페이트 유도체의 착체
TW200302055A (en) 2002-01-18 2003-08-01 Kaneka Corp Ubiquinol-enriched fat-containing foods
JP2006016305A (ja) * 2004-06-30 2006-01-19 Masashi Fujii 老化防止など美容を目的とする皮膚外用剤。
JP2006089422A (ja) 2004-09-27 2006-04-06 Masashi Fujii 老化防止および痩身、美白などを目的とする食品または健康食品、医薬品、医薬部外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2519A (en) * 1958-09-11 1960-11-29 Merck & Co Inc Phosphates of 2, 3-dimethoxy-5-methyl hydroquinones
US3127434A (en) 1959-10-20 1964-03-31 Hoffmann La Roche Dihydrovitamin k monophosphate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WO1988003015A1 (en) * 1986-10-23 1988-05-05 Arval S.P.A.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ubidecaren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47882A1 (en) 2008-04-24
CN101522161B (zh) 2011-08-03
JP2008115170A (ja) 2008-05-22
US8551509B2 (en) 2013-10-08
JP5180556B2 (ja) 2013-04-10
US20100074879A1 (en) 2010-03-25
EP2081544A1 (en) 2009-07-29
KR20090066324A (ko) 2009-06-23
CN101522161A (zh)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849B1 (ko) 유비퀴논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090034915A (ko) 피부 외용 주름 방지제
JP4907137B2 (ja) ヒドロキシクエン酸誘導体類及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
JP5363999B2 (ja) 養毛化粧料
US20100280111A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s and cosmetics
EP1928402B1 (en) Carnitine derivative, salt thereof, external skin preparation and cosmetic preparation
KR20080100238A (ko) 미백 피부 외용제
US20100273877A1 (en) Emulsified skin external preparations and cosmetics
JP4624831B2 (ja) イノシト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5047507B2 (ja) カルニチン誘導体及びその塩、皮膚外用剤ならびに化粧料
EP2642975B1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19038754A (ja) 皮膚外用剤
JP2006028148A (ja) 外用組成物
JP2007254387A (ja) 抗老化化粧料
JP2007254373A (ja) 抗老化化粧料
JP2005187466A (ja) 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エステルの高級脂肪酸エステル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該エステルの塩の安定化方法および安定化剤
JP2005089427A (ja) 皮膚外用剤
JP2007254376A (ja) 養毛化粧料
JP2007254374A (ja) 抗肌荒れ化粧料
JP2007254388A (ja) 抗肌荒れ化粧料
JP2009184965A (ja) 美白化粧料
JP4766592B2 (ja) 多糖機能性化合物複合体
JP2007254390A (ja) 養毛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