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584B1 -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584B1
KR102152584B1 KR1020170146887A KR20170146887A KR102152584B1 KR 102152584 B1 KR102152584 B1 KR 102152584B1 KR 1020170146887 A KR1020170146887 A KR 1020170146887A KR 20170146887 A KR20170146887 A KR 20170146887A KR 102152584 B1 KR102152584 B1 KR 102152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ngea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moisturizing
tamras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350A (ko
Inventor
양미숙
고재영
강유미
김용진
박녹현
이은수
이창석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146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584B1/ko
Priority to PCT/KR2018/013151 priority patent/WO2019088720A1/ko
Priority to CN201880070927.9A priority patent/CN111315354A/zh
Publication of KR2019005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높은 농도의 히드란게놀 및 특정성분을 함유하는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항노화 및 보습에 극히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aging and moisturizing including extract of Jejudo hydrangea}
본 발명은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드란게놀 및 특정성분을 포함하는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및 보습에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삶이 윤택해짐에 따라 신체의 내적인 노화뿐만 아니라 외적인 부분의 노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연구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외적인 노화에 관한 가장 큰 관심분야가 피부이다. 피부의 노화는 생물학적 과정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나는 연대학적 노화인 내인적인 노화와 햇볕에 노출되는 부위에 일어나는 퇴행성 변화와 연대학적 노화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광인성 노화로 구분된다.
이러한 노화과정으로 피부는 건조해지고, 주름이 생기며 피부의 탄력을 잃게 된다. 피부노화에 관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부분이 자유전자기(free radical)와 활성산소종(Reactive oxigen species)이다. 이들은 자연적으로 생체내에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태양광선 노출이나 여러가지의 화학물질 등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생성된 자유전자기나 활성산소종은 피부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긴 물질은 멜라닌과 주름을 생성시키는 원인물질로 여겨진다.
이러한 노화의 원인물질과 더불어 피부내 탄력을 유지시켜 주는 고분자 기질들(콜라겐, 히아루론산, 엘라스틴) 등에 활성산소를 노출함으로써 이들 기질들이 순차적으로 절단됨이 밝혀졌다.
이에 피부노화방지를 위해서는 과잉의 활성산소종 생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생성된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피부의 주름을 일으키는 효소들의 억제, 색소침착을 진행하는 효소의 활성억제 등과 연관된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론에 도달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관체계를 갖추어 피부의 항노화, 미백 및 보습용 화장용 조성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화장료 조성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128765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러 천연물들을 연구하던 중 탐라산수국 추출물이 다른 수국 추출물과 달리 항노화, 보습에 있어 현저한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히드란게놀을 포함하는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안정성이 우수하고 안전한 동시에 항노화,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에 극히 현저한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탐라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탐라산수국 추출물은 히드란게놀이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면적비로 8%이상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향상된 항노화, 미백 및 보습효과를 가지기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탐라산수국 추출물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결과를 가질 수 있다.
0.1 <I2/I1< 0.3 (1)
[상기 식 1에서
I2는 탐라산수국을 메탄올 용매에서 10ug/mL의 농도로 254nm의 UV 디텍터, 1.0 ml/min, 40℃, C18 칼럼이 장착된 HPLC (0.1% TFA H20: 0.1% TFA MeOH=40:60)로 분리시 24분 내지 27분사이의 보유시간에 나타나는 가장 큰 피크의 면적값이며;
I1는 I2와 동일한 조건에서의 34분 내지 36분사이의 보유시간에 나타나는 가장 큰 피크의 면적값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탐라산수국과 귤피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탐라산수국 및 귤피의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탐라산수국과 귤피의 혼합추출물은 탐라산수국과 귤피가 3 : 7 내지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라산수국 추출물은 C1-C4 알코올, 또는 C1-C4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로하여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판디올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활성제 및 지질소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항노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우에서 선택된 화장품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특정한 성분을 함유하는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항노화,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에 현저하게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탐라산수국과 귤피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항노화,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에 대해 우수한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저장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며, 나아가 천연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안정성도 우수하다.
도 1은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254 nm의 파장에서 분석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탐라산수국 추출물과 일반 수국 추출물을 254 nm의 파장에서 분석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탐라산수국 추출물의 MMP-1 발현 저해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CON1: MMP 발현을 유발하기 위해 UVB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CON2: MMP 발현을 유발하기 위해 UVB를 조사하고,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 RA: retinoic acid-양성 대조군, 12: 탐라산수국 추출물 12 ppm, 25: 탐라산수국 추출물 25 ppm,50: 탐라산수국 추출물 50 ppm).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탐라산수국 추출물 및 탐라산수국과 귤피의 혼합추출물의 보습 유전자 발현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CON: 물질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 12: 탐라산수국 추출물 12 ppm, 25: 탐라산수국 추출물 25 ppm, 50: 탐라산수국 추출물 50 ppm).
본 발명은 피부의 항노화, 보습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한다.
수국은 범의귀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토양의 산성도에 따라 꽃색이 파란색, 흰색, 분홍색으로 변하며, 각지에서 화훼식물로 많이 심는다. 수국의 뿌리, 잎 및 꽃은 팔선화라고 하며, 맛은 쓰고 약간 매우며 성질이 차며, 이에 포함된 알칼로이드 성분은 항학질작용을 나타내며, 심장병, 옴, 궤양성 피부염에 사용된다.
탐라산수국은 우리나라가 원산지이고 범의귀풀과에 속하는 낙엽성관목인 수국과 동일하게 뿌리, 잎, 꽃을 약용한다. 주로중부 이남의 표고 200 내지 1,400m에서 자생하며, 겨울이면 잎이 떨어지고 없으며, 약 1m정도의 높이로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이다. 탐라산수국은 무성화에도 암술과 수술이 발달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산수국과 구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히드란게놀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정확하게 알 수는 없으나, 일반 수국에 포함되지 않은 특정성분을 히드란게놀과 특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피부의 항노화, 미백 및 보습에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라산수국 추출물은 히드란게놀 외에 탐라산수국에 포함된 특정성분은 일반적으로 수국에 포함된 히드란그산, 루틴, 다프네틴, 스킴민이 아니며 알려져 있지 않아 알 수 없는 성분으로,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0.1% TFA water, 0.1% TFA MeOH용매에서 10ug/mL의 농도로 ELSD디텍터, 1.0 ml/min, Phenomenex Luna C18 analytical 컬럼으로 분리시 24분 내지 27분 사이의 보유시간에 나타나는 가장 큰 피크에 해당되는 물질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탐라산수국 추출물은 히드란게놀을 포함하되, 히드란게놀이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한 히드란게놀 피크의 면적비로 8%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라산수국 추출물은 히드란게놀이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한 히드란게놀 피크의 면적비로 8%이상이 포함되며, 메탄올 용매에서 10ug/mL의 농도로 254nm의 UV 디텍터, 1.0 ml/min, 40℃, 100 kgf/cm2인 칼럼이 장착된 HPLC (0.1% TFA H20: 0.1% TFA MeOH=40:60)로 분리시 34분 내지 36분 사이의 보유시간에 나타나는 가장 큰 피크에 해당되는 물질이 8%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라산수국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결과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0.1<I2/I1<0.3 (1)
[상기 식 1에서
I2는 탐라산수국을 메탄올 용매에서 10ug/mL의 농도로 245 nm의 UV 디텍터, 1.0 ml/min, 40℃, 100 kgf/cm2인 칼럼이 장착된 HPLC (0.1% TFA H20: 0.1% TFA MeOH=40:60)로 분리시 24분 내지 27분 사이의 보유시간에 나타나는 가장 큰 피크의 면적값이며;
I1는 I2와 동일한 조건에서의 34분 내지 36분 사이의 보유시간에 나타나는 가장 큰 피크의 면적값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HPLC는 Puriflash 430(Interchim, France),Aremen Spot prepII시스템, 또는 Waters prep. HPLC, Agilent 1200 Series HPLC Purification Systems,Glison PLC 2020 Purification System, Hitachi HPLC Systems Prep-36 등 유사사양의 Prep HPLC에 Watchers120 ODS-AP 컬럼 또는 Waters sunfire, Waters symmetry, YMC-Triart C18, YMC-Pack ODS-A and B, ThermoHypersil ODS, Agilent ZORBAX C-18, Phenomenexsnergy C18, Phenomenexluna C18 등의 컬럼을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탐라산수국과 귤피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탐라산수국과 귤피를 3 : 7 내지 7 : 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된 탐라산수국과 귤피 혼합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기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6 내지 4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라산수국 추출물은 C1-C4 알코올, 또는 C1-C4 알코올과물의 혼합물(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1-C4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로 추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다 우수한 항노화 및 보습효과를 가지기위해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탐라산수국 추출물과 바람직한 조합의 보습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판디올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부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지방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및 지질소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우에서 선택된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탐라산수국 추출물의 제조
탐라산수국의 잎을 건조기에 넣어 완전히 건조시켰다. 건조 중량의 3배로 100% 메탄올 혹은 70% 에탄올 수용액에 침적하였다. 감압 증류 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탐라산수국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탐라산수국 추출물의 분석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메탄올 용매에서10ug/mL의 농도로 245nm의 UV 디텍터, 1.0 ml/min, 40℃, 100 kgf/cm2인 칼럼이 장착된 HPLC에 10 ul 주입한다. 0.1% TFA MeOH과 0.1% TFA H20을 이동상으로 하여 H20를 60%, MeOH를 40%로 시작하여 2:98 비율까지 변화 시킨 후 다시 초기 조건으로 돌아오는 조건으로 60분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탐라산수국과 귤피의 혼합추출물 제조
탐라산수국의 잎 건조물과 귤피 건조물을 6:4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건조 중량의 3배로 100% 메탄올 혹은 70% 에탄올 수용액에 침적하였다. 감압 증류 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탐라산수국과 귤피의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수국 추출물의 제조
수국의 잎을 건조기에 넣어 완전히 건조시켰다. 건조 중량의 3배로 100% 메탄올 혹은 70% 에탄올 수용액에 침적하였다. 감압 증류 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산수국의 추출물을 얻었다.
메탄올 용매에서 10ug/mL의 농도로 245nm의 UV 디텍터, 1.0 ml/min, 40℃, 100 kgf/cm2인 칼럼이 장착된 HPLC에 10 ul 주입한다. 0.1% TFA MeOH과 0.1% TFA H20을 이동상으로 하여 H20를 90 %, MeOH를 10 %로 시작하여 2:98 비율까지 변화 시킨 후 다시 초기 조건으로 돌아오는 조건으로 45 분간 분석하였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본 발명의 탐라산수국의 추출물의 결과를 도 2(윗그래프:탐라산수국, 아래 그래프:수국)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탐라산수국 추출물의 MMP-1 발현 저해 실험
Hs68 세포주(Human Foreskin Fibroblast cell line)의 배양 조건은 다음과 같다. DMEM 배지(Lonza #12-604F)에 10% FBS (Gibco #16000-044) 와 항생제(1% P/S)를 넣어준 다음 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37℃, 5% CO2 조건 하에서 세포를 배양한다.
Hs68 세포를 6well plate에 well마다 1.8 x 105 cells/2mL 을 넣어주고,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Serum-free 배지로 바꿔준 후, 추가로 6시간을 배양한 다음, UVB 20mJ/cm2 자극을 주고, hydrangenol(탐라산수국 추출물) 및 양성대조군(retinoic acid, 1μM)을 농도별로 각각 처리해준다(n=3). 시료처리 48시간 후, 배양액을 취합하여 MMP-1 양을 ELISA (R&D #DY901)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그룹간 세포양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MMP-1 ELISA 결과를 CCK-8 assay(Cell Counting Kit-8 assay 하기에 기재함) 결과값으로 normalization 해준다.
Cell proliferation & toxicity assay (CCK-8)
MMP-1 측정 실험이 끝난 시점에, Hs68 세포에 CCK-8 용액 (Dojindo #CK04) 이 5% 들어있는 배양액으로 교체한 다음 2시간 추가로 37°C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다. 최종적으로 45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증식 혹은 독성여부를 control 군과 비교하여 산정한다.
MMP-1 발현 저해 실험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으며,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탐라산수국 추출물이 우수한 MMP-1 단백질발현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탐라산수국 추출물의 보습 유전자 발현 실험
HEKn 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neonatal cell)를 6well plate 에 2 x 105 개수로 seeding 하여 24시간 배양한다. 탐라산수국 추출물 12, 25, 50ppm 농도로 각각 시료처리를 한 다음, 24시간 후에, Trizol을 이용하여 세포를 lysis 및 RNA를 분리한다. RNA를 정량한 후, cDNA 합성을 한 다음, 각각의 유전자를 Taqman probe를 이용해 real time PCR을 수행한다. Internal control 유전자로서 GAPDH 유전자를 사용한다. 최종적으로 상대적 유전자 발현값을 Ct 값을 이용해 정량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탐라산수국과 귤피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
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2.00
실시예 3의 탐라산수국/귤피혼합추출물 5.00
에틸 알코올 7.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40
방부제 적량
적량
탐라산수국과 귤피 추출물을 함유한 유액 제조
성분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4.00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2.0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20
세테아릴알코올 0.5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6.50
디메치콘올 2.00
리세릴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2.50
정제수 잔량
실시예 3의 탐라산수국/귤피혼합추출물 5.00
프로필렌글라이콜 5.00
글리세린 2.00
방부제 적량
적량
탐라산수국과 귤피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 제조
실시예 3 비교예2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정제수 잔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00 글리세린 3.00
부틸렌글라이콜 5.00 부틸렌글라이콜 5.00
카보머 0.10 카보머 0.10
실시예 3의 탐라산수국/귤피혼합추출물 0.50 비교예 1의 수국 추출물 0.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8.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8.00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데센 5.00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데센 5.00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0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5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4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40
세테아릴 알코올 1.00 세테아릴 알코올 1.00
방부제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0 트리에탄올 아민 0.10
[실험예 3] 실시예 3 및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개선 및 보습 관능효과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20대 내지 60대의 건강한 여성 10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을 다른 그룹에서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을 하루 두차례 도포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매우양호, 양호, 보통, 미흡으로 나누어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응답자수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실시예 3 의 영양 크림 8 28 12 2
비교예 2의 영양크림 1 35 14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추출물이 주름 개선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탐라산수국 추출물 및 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라산수국 추출물은 히드란게놀이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면적비로 8%이상이 포함된 피부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라산수국 추출물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결과를 가지는 것인 피부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0.1<I2/I1<0.3 (1)
    [상기 식 1에서
    I2는 탐라산수국을 메탄올 용매에서 10ug/mL의 농도로 245 nm의 UV 디텍터, 1.0 ml/min, 40℃, 100 kgf/cm2인 칼럼이 장착된 HPLC (0.1% TFA H20: 0.1% TFA MeOH=40:60)로 분리시 24분 내지 27분사이의 보유시간에 나타나는 가장 큰 피크의 면적값이며;
    I1는 I2와 동일한 조건에서의 34분 내지 36분사이의 보유시간에 나타나는 가장 큰 피크의 면적값이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라산수국과 귤피 혼합추출물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로 함유되는 피부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라산수국과 귤피 혼합추출물은 탐라산수국과 귤피가 3 : 7 내지 7 : 3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추출되는 것인 피부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라산수국 추출물은 C1-C4 알코올, 또는 C1-C4 알코올과 물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인 피부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판디올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보습제를 더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활성제 및 지질소낭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을 더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우에서 선택된 화장품에 사용되는 것인 피부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46887A 2017-11-06 2017-11-06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87A KR102152584B1 (ko) 2017-11-06 2017-11-06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8/013151 WO2019088720A1 (ko) 2017-11-06 2018-11-01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201880070927.9A CN111315354A (zh) 2017-11-06 2018-11-01 含有粗齿绣球提取物的用于皮肤抗老化及保湿的化妆料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87A KR102152584B1 (ko) 2017-11-06 2017-11-06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350A KR20190051350A (ko) 2019-05-15
KR102152584B1 true KR102152584B1 (ko) 2020-09-08

Family

ID=6633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887A KR102152584B1 (ko) 2017-11-06 2017-11-06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52584B1 (ko)
CN (1) CN111315354A (ko)
WO (1) WO20190887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563B1 (ko) * 2018-07-11 2020-05-29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하이드란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CN112603881A (zh) * 2020-12-23 2021-04-06 黄景添 一种高渗透性保湿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220156309A (ko) 2021-05-18 2022-11-25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220166069A (ko) 2021-06-09 2022-12-16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14272170A (zh) * 2021-11-23 2022-04-05 河南省鸣利隆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蓝光功效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14146032A (zh) * 2021-12-02 2022-03-08 科丝美诗(中国)化妆品有限公司 一种包含粗齿绣球叶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5258B2 (ja) * 1999-05-10 2008-01-16 花王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5180556B2 (ja) * 2006-10-13 2013-04-10 昭和電工株式会社 ユビキノン誘導体またはその塩を含む皮膚外用剤および化粧料ならびにこれらの使用方法
KR100964723B1 (ko) * 2008-01-23 2010-06-21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야생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 2011-12-16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48042B1 (ko) * 2014-12-31 2022-01-10 (주)아모레퍼시픽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18854B1 (ko) * 2015-04-09 2017-03-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여정자, 황기, 귤피 및 백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8765A (ko) 2015-04-29 2016-1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5354A (zh) 2020-06-19
WO2019088720A1 (ko) 2019-05-09
KR20190051350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584B1 (ko) 탐라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2471A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80160114A1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4467B1 (ko)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1574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058926A (ko) 옥시레스베라트롤과 디오스신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40018666A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89957B1 (ko) 백향과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8335B1 (ko) 밀몽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40093485A (ko)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56620B1 (ko) 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50484B1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76692B1 (ko) 구골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971257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912A (ko) 길경, 홍삼 및 시호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EP3381441B1 (en) External use skin composition for antiaging containing germinated glycine gracil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110087363A (ko)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