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812B1 - 여닫이문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812B1
KR101117812B1 KR1020090099463A KR20090099463A KR101117812B1 KR 101117812 B1 KR101117812 B1 KR 101117812B1 KR 1020090099463 A KR1020090099463 A KR 1020090099463A KR 20090099463 A KR20090099463 A KR 20090099463A KR 101117812 B1 KR101117812 B1 KR 10111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swing door
locking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679A (ko
Inventor
정 열 한
Original Assignee
정 열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열 한 filed Critical 정 열 한
Priority to KR102009009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81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실내측에 형성되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의 일측에 내설되어 제1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속되거나 해제되는 제1 잠금 바와, 제1 하우징의 타측에 내설되어 제1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걸고리에 결속하거나 해제되는 제2 잠금 바와, 여닫이문의 실외측에 형성되는 제2 하우징과, 제1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와, 제2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제1 손잡이부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래치를 슬라이딩시키는 제2 손잡이부와, 제1 및 제2 하우징에 각각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명령을 입력받아 제1 및 제2 잠금 바를 해제하는 제1 및 제2 인증 입력부와, 제1 또는 제2 인증 입력부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제1 및 제2 잠금 바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제1 손잡이부의 회전 또는 제1 인증 입력부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구동부를 구동시켜 제1 및 제2 잠금 바를 해제되고, 제2 인증 입력부의 인증명령에 의해서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를 해제하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잠금 바를 연동하여 결속하거나 해제함으로써, 여닫이문의 보안성을 보다 강화하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닫이문, 잠금 바.

Description

여닫이문 잠금 장치{A Locking Device for Door Hinge}
본 발명은 여닫이문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닫이문에 적어도 둘 이상의 잠금 바를 형성하여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연동하여 결속하거나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여닫이문의 보안성을 보다 강화하고,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어 잠금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현관 출입문, 은행 금고, 또는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 잠금 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도어 잠금 장치는, 도어(1)에 삽입되는 모티스와, 도어(1)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측 하우징과, 도어(1)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측 하우징(20)을 구비한다. 모티스는, 케이스와, 도어(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잠금 바(3) 및 래치(4)와, 케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잠금 바(3)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구동부재는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잠금 바(3) 및 래치(4)는 도어(1)에 대향하는 측벽에 각각 형성된 잠금 바 홈(5) 및 래치 홈(6)에 결속되거나 해제된다.
한편, 도어(1)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측 하우징에는, 구동부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1)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하우징(20)에는, 실내측 하우징(20)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24)와,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작버튼(26)과,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수납함(22)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잠금 장치에서는 실외측 하우징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에 의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실내측 하우징에 구비된 동작버튼(26)을 눌러 구동신호를 발생시켜서,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도어 잠금 장치는 잠금 바 및 래치에 의해서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력에 의해서 쉽게 개방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별도의 다른 잠금 장치를 도어에 구비하여 설치하더라도 각각의 잠금 장치를 개별적으로 작동시켜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닫이문에 적어도 둘 이상의 잠금 바를 형성하여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결속하거나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여닫이문의 보안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닫이문에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의 잠금 바를 연동하도록 하여 각 잠금 바의 연동된 결속 및 해제에 의한 여닫이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여닫이문의 개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닫이문에 장착되어 대향하는 측벽 또는 상기 여닫이문에 대향하는 다른 여닫이문과 결속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닫이문의 실내측에 형성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상기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속되거나 해제되는 제1 잠금 바와, 상기 제1 잠금 바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래치와,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상기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걸고리에 결속하거나 해제되는 제2 잠금 바와, 상기 여닫이 문의 실외측에 형성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와,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래치를 슬라이딩시키는 제2 손잡이부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 각각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를 해제하는 제1 및 제2 인증 입력부와, 상기 제1 또는 제2 인증 입력부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손잡이부의 회전 또는 상기 제1 인증 입력부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를 해제되고, 상기 제2 인증 입력부의 인증명령에 의해서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를 해제하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잠금 바 및 제2 잠금 바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호 연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잠금 바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인증 입력부는 버튼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인증 입력부는 번호 입력부, 터치식 전자키 입력부, 지문 인식부, 또는 카드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손잡이부 또는 제1 인증 입력부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의 연동 동작 또는 각각의 개별 동작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각각 내설되어 슬라이딩하는 제1 및 제2 잠금 바는 상호 수직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삽입홈 및 걸고리에 각각 결속되거나 해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닫이문에 적어도 둘 이상의 잠금 바를 형성하여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결속하거나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여닫이문의 보안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닫이문에 형성된 적어도 둘 이상의 잠금 바를 연동하도록 하여 각 잠금 바의 연동된 결속 및 해제에 의한 여닫이문의 개폐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여닫이문의 개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여닫이문 잠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의 (a)는 여닫이문의 실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여닫이문의 실내측에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여닫이문 잠금 장치의 결속 및 해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여닫이문 잠금 장치(locking device for door hinge)(200)는 제1 하우징(210), 제1 잠금 바(220), 래치(225), 제2 잠금 바(230), 제1 손잡이부(240), 제2 하우징(250), 제2 손잡이부(260), 제1 및 제2 인증 입력부(270,280), 및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여닫이문 잠금 장치(200)는 문설주(미도시)에 힌지 결합하여 회전 개폐하는 여닫이문(30)에 장착되어 대향하는 측벽(미도시), 또는 여닫이문에 대향하는 다른 여닫이문(미도시)과 결속되거나 해제되도록 한다.
우선, 제1 하우징(housing)(210)은 여닫이문(30)의 일측, 즉 실내측에 결합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하우징(210)은 사용자의 허리 높이에 대응하여 여닫이문(30)에 형성될 수 있으나, 여닫이문(30)의 설치 환경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여닫이문(30)의 문설주(미도시)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잠금 바(locking bar)(220)는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과 대향하는 제1 하우징(210)의 일측에 내설되어 제1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결속되거나 이탈하여 해제된다. 즉, 제1 잠금 바(220)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여닫이문(30)의 회전 이탈을 방지하여 여닫이문을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고정시켜 여닫이문(30)을 폐쇄한다. 한편, 제1 잠금 바(220)는 봉 형상, 원통 형상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하우징(210)의 인출홈(미도시)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잠금 바(220)가 형성되어서, 여닫이문(30)의 보안성 및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래치(latch)(225)는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과 대향하여 제1 하우징(210)의 일측에 내설되어 제1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거나 이탈하여 해제된다. 여기서, 래치(225)는 제1 잠금 바(220)와 동일한 여닫이문(30) 평면 상에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잠금 바(23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10)의 타측에 내설되어 제1 하우징(210)의 타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걸고리(미도시)에 결속하거나 해제된다. 구체적으로, 제2 잠금 바(230)는 걸고리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결속되거나 인출되어 해제되는데, 제2 잠금 바(230)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은 여닫이문(30)이 설치되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잠금 바(220)는 여닫이문(30)이 설치되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잠금 바(230)는 제1 잠금 바(220)의 연장 형성 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여닫이문(30)이 설치되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잠금 바(230)는 걸고리에 형성된 삽입홈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과 결속하므로, 여닫이문(30)의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손잡이부(240)는 제1 하우징(210)에 회전하도록 고정 형성된다. 즉, 실내측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24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를 각각 삽입홈 및 걸고리의 삽입홈으로부터 연동하여 인출시켜 여닫이문(30)을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연동되는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의 슬라이딩에 의해서, 번거로운 여닫이문의 개별적인 개폐 동작 없이 여닫이문을 보다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즉, 실내측에서 여닫이문(30)을 개방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를 개별적으로 해제할 필요가 없으므로, 여닫이문(3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제2 하우징(250)은 여닫이문(30)의 타측, 즉 실외측에 결합 형성된다. 전술한 제1 하우징(210)과 동일하게, 제2 하우징(250)은 사용자의 허리 높이에 대응하여 여닫이문(30)에 형성될 수 있으나, 여닫이문(30)의 설치 환경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여닫이문(30)의 문설주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손잡이부(260)는 제2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고정 형성되며, 전술한 제1 손잡이부(240)와 연동하여 제1 손잡이부(240)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실질적으로 래치(225)를 슬라이딩시킨다. 예컨대, 제2 손잡이부(260)의 회전은, 래치(225)의 슬라이딩 및 제1 손잡이부(240)의 회전과 연동된다. 하지만, 제2 손잡이부(26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손잡이부(240)가 연동하여 회전하지만, 제1 손잡이부(24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가 슬라이딩하지는 않는다. 즉, 실내측에서의 제1 손잡이부(240)의 회전은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를 연동하여 슬라이딩시키지만, 실외측에서의 제2 손잡이부(260)의 회전은 제1 손잡이부(240)를 연동하여 회전시키고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는 슬라이딩시키지 않 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손잡이부(240,260)는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상호 회전 연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인증 입력부(270)는 제1 하우징(210)에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명령을 입력받아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를 연동하여 해제한다. 여기서, 제1 인증 입력부(270)는 버튼 스위치로 이루질 수 있다.
제2 인증 입력부(280)는 제2 하우징(250)에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명령을 입력받아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를 연동하여 해제한다. 여기서, 제2 인증 입력부(280)는 번호 입력부, 터치식 전자키 입력부, 지문 인식부, 또는 카드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는 제1 또는 제2 인증 입력부(270,280)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를 연동하여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에 의하면, 제1 손잡이부(240)의 회전 또는 제1 인증 입력부(270)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구동부를 구동시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가 연동하여 해제되고, 제2 인증 입력부(280)의 인증명령에 의해서 구동부를 구동시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가 연동하여 해제된다.
한편, 제1 손잡이부(240) 또는 제1 및 제2 인증 입력부(270,280)에 의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의 연동 동작 또는 각각의 개별 동작을 선택하는 스위치(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위치(290)의 선택에 의해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의 연동을 지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보안 상황에 따른 여닫이문(30)의 개폐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유연하고 유동적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여닫이문 잠금 장치(200)의 결속 및 해제 상태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여닫이문 잠금 장치(200)의 결속 동작, 즉 여닫이문 잠금 동작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 바(220) 및 래치(225)는 여닫이문(30)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서, 대향하는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홈(41,42)에 삽입되어 결속된다. 또한, 제2 잠금 바(230)는 여닫이문(30)의 타측으로부터 인출되어서, 대향하는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걸고리(43)의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결속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는 각각의 삽입홈에 연동하여 삽입되어서, 여닫이문(30)을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결속시킨다.
한편, 여닫이문 잠금 장치(200)의 해제 동작, 즉 여닫이문 풀림 동작에서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부(240)의 회전, 제1 인증 입력부(270)에 의한 인증명령, 또는 제2 인증 입력부(미도시)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구동부가 구동되어서, 제1 잠금 바(220) 및 래치(225)는 대향하는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홈(41,42)으로부터 이탈되어 해제된다. 또한, 제1 손잡이부(240)의 회전, 제1 인증 입력부(270)에 의한 인증명령, 또는 제2 인증 입력부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구동부가 구동되어서, 제2 잠금 바(230)는 대향하는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걸고리(43)의 삽입홈(미도시)으로부터 이탈되어 해제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부(240)의 회전, 제1 인증 입력부(270)에 의한 인증명령, 또는 제2 인증 입력부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구동부를 구동시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가 연동하여 해제된다.
따라서, 연동되는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의 슬라이딩에 의해서, 번거로운 여닫이문의 개별적인 개폐 동작 없이 여닫이문(30)을 보다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여닫이문 잠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잠금 바(230)는, 제1 잠금 바(2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 하우징(210)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잠금 바(230)는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과 대향하는 제1 하우징(210)의 일측에 내설되어 제1 하우징(210)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결속되거나 이탈하여 해제된다. 여기서, 본 도에 예시된 제2 잠금 바(230)의 결속 및 해제를 위한 슬라이딩 동작은 도 3의 제1 잠금 바(220)의 결속 및 해제를 위한 슬라이딩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잠금 바(230)는, 여닫이문(30)의 문설주 설치시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제1 하우징(2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210)의 양측에 제2 잠금 바(230)를 동시에 도시하였으나, 이는 좌측 및 우측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 로, 여닫이문(30)의 설치시, 제1 하우징(2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제2 잠금 바(230)가 선택적으로 설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290)에 의해서, 제1 및 제2 잠금 바(220,230)의 연동 동작 또는 각각의 개별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하우징은 여닫이문에 설치되는 잠금 장치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케이스를 지칭한다.
잠금 바는 하우징에 내설되고 슬라이딩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실질적인 여닫이문을 개폐하는 바(bar)를 지칭한다.
인증 입력부는 여닫이문을 개폐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로서 다양한 방식의 결속 및 해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는 통상적인 모터로서 잠금 바를 실질적으로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닫이문 잠금 장치는 전술한 구성 요소를 포괄하는 전체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여닫이문에 별도로 설치되는 잠금 장치와 관련된 구성요소를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여닫이문 잠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여닫이문 잠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여닫이문 잠금 장치의 결속 및 해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여닫이문 잠금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Claims (7)

  1. 여닫이문에 장착되어 대향하는 측벽 또는 상기 여닫이문에 대향하는 다른 여닫이문과 결속되거나 해제되도록 하되, 상기 여닫이문의 실내측에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상기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속되거나 이탈하여 해제되는 제1 잠금 바; 상기 제1 잠금 바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래치; 상기 여닫이문의 실외측에 형성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래치를 슬라이딩시키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 각각 형성되고, 사용자로부터 인증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를 해제하는 제1 및 제2 인증 입력부; 상기 제1 또는 제2 인증 입력부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에 내설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타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상기 측벽 또는 다른 여닫이문에 형성된 걸고리에 결속하거나 해제되는 제2 잠금 바;를 더 포함하도록 하되,
    상기 제1 손잡이부의 회전 또는 상기 제1 인증 입력부에 의한 인증명령에 의해서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를 해제하고;
    상기 제2 인증 입력부의 인증명령에 의해서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를 해제하며;
    상기 제1 잠금 바 및 제2 잠금 바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호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 또는 제1 인증 입력부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잠금 바의 연동 동작 또는 각각의 개별 동작을 선택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각각 내설되어 슬라이딩하는 제1 및 제2 잠금 바는 상호 수직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삽입홈 및 걸고리에 각각 결속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 잠금 장치.
KR1020090099463A 2009-10-19 2009-10-19 여닫이문 잠금 장치 KR10111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463A KR101117812B1 (ko) 2009-10-19 2009-10-19 여닫이문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463A KR101117812B1 (ko) 2009-10-19 2009-10-19 여닫이문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679A KR20110042679A (ko) 2011-04-27
KR101117812B1 true KR101117812B1 (ko) 2012-03-09

Family

ID=4404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463A KR101117812B1 (ko) 2009-10-19 2009-10-19 여닫이문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184B1 (ko) 2011-05-04 2013-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열교환 장치 및 열교환 장치 제어방법
KR102021879B1 (ko) * 2018-06-26 2019-09-1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전자 도어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46B1 (ko) * 2008-08-13 2009-01-15 안병구 강화유리도어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46B1 (ko) * 2008-08-13 2009-01-15 안병구 강화유리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679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16274B2 (en) Locking system for a storage container
KR101473632B1 (ko) 금고 도어의 비상제어방법 및 금고 도어의 비상 개방장치
US9328534B2 (en) Safe and lock mechanism
US9890556B2 (en) Lever action security handle
US6883440B1 (en) Safe
MXPA05009867A (es) Caja de proteccion.
KR101117812B1 (ko) 여닫이문 잠금 장치
CA2877780C (en) Security assembly for use with a security console
CN104213759B (zh) 倾斜式门锁
KR101301675B1 (ko) 2중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금고용 도어
KR200409377Y1 (ko) 문틀 내측에 형성되는 출입문 잠금장치
KR200470342Y1 (ko)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JP5351822B2 (ja) 電気錠付き引戸装置
CN102966286B (zh) 一种防盗提款箱
JP2001227243A (ja) 収納庫
KR100702583B1 (ko) 문틀 프레임에 수용되는 출입문 잠금장치
JP2005068775A (ja) スイッチボックス
JP2018197479A (ja) 宅配ボックス
JP3183776U (ja) 錠付ハンドル
JP2010270493A (ja) ドア取付構造
JP3099121U (ja) 郵便ポスト
KR101147800B1 (ko) 잠금 장치
JP4166006B2 (ja) 収納家具の鎖錠装置
JP5159690B2 (ja) 戸枠に対する入室規制装置の取付構造
JP2004308389A (ja) セーフティ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