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498B1 -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498B1
KR101117498B1 KR1020100005320A KR20100005320A KR101117498B1 KR 101117498 B1 KR101117498 B1 KR 101117498B1 KR 1020100005320 A KR1020100005320 A KR 1020100005320A KR 20100005320 A KR20100005320 A KR 20100005320A KR 101117498 B1 KR101117498 B1 KR 101117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rail
artificial turf
inle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496A (ko
Inventor
박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노
Priority to KR102010000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4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조 잔디와 접하는 콘크리트의 상부에 수로를 형성하여 인조잔디로부터 투과된 물이 측면으로 흐르게 되고 그리고 측면으로 흐른 물이 다시 정해진 장소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레일 및 그와 같은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수레일은 내부가 빈 기둥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바닥 면에 다수 개의 투수 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천장 면에 형성되면서 내부와 외부가 서로 소통 가능하도록 만드는 입구가 형성된 몸체; 및 입구에 제거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Drain Rail for Artificial Turf and Method of Construction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 잔디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조 잔디와 접하는 콘크리트의 상부에 수로를 형성하여 인조잔디로부터 투과된 물이 측면으로 흐르게 되고 그리고 측면으로 흐른 물이 다시 정해진 장소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배수레일 및 그와 같은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란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나일론과 같은 합성 섬유로 만들어진 잔디를 말하고 주로 스포츠 구장에 사용된다. 인조잔디의 시공을 위하여 지하 약 60 ㎝의 깊이에 배수관을 매설하여 잡석을 채워 다짐 시공을 하고 그리고 다시 잡석 위에 모래층을 형성하여 다짐 시공을 한다. 이후 모래층 위에 아스팔트 층이나 콘크리트 층과 같은 경화 기층을 형성하여 인조잔디를 시공한다. 필요에 따라 모래층 위에 부직포가 설치되거나 경화 기층 상부에 발포 고무 매트나 고무 매트와 같은 충격 흡수 층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인조잔디의 기층을 형성하는 약 100 ㎜의 두께가 되는 콘크리트 층은 표면 배수를 위하여 약 0.5 %의 구배 또는 경사가 형성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배가 콘크리트 층에 만들어지는 경우 경기 중 공이 경사를 따라 흘러가거나 경기장 중앙의 수분이 가장자리 방향으로 흐르면서 가장자리에 수분이 몰려서 중앙과 가장자리 사이에 표면 감각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조잔디표면의 경사를 최소로 만들면서 표층 배수 이외에 인조잔디의 후면 부분을 통한 전체 배수를 유도하여 인조잔디 전체가 위치에 상관없이 건조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잔디의 표층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수분의 투수를 유도하면서 콘크리트 층에 배수레일을 설치하여 투과된 물이 전면 배수가 될 수 있어 잔디 구장 전체가 동시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가 빈 기둥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바닥 면에 다수 개의 투수 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천장 면에 형성되면서 내부와 외부가 서로 소통 가능하도록 만드는 입구가 형성된 몸체; 및 입구에 제거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몸체 외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날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몸체의 바닥 면에 배수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몸체의 천장 면에 형성되어 몸체의 내부와 외부가 소통되도록 하는 입구를 형성하는 이격 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캡은 돌기 벽 또는 밀폐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조 잔디의 시공 방법은 인조 잔디가 설치되는 장소에 속이 빈 몸체, 몸체와 외부를 소통시키는 입구 및 입구를 개폐시키는 캡을 가지는 배수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배수레일의 캡을 제거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 상면에 인조 잔디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콘크리트 층의 상면에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수레일 설치 위치가 결정된 이후 배수레일을 연결하는 용접 철망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요철 형상은 요철 롤러 또는 격자 철망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캡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콘크리트 층 위에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수레일은 고정 날개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요철 형상은 격자 형상 또는 원형 격자 형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레일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은 인조잔디가 포설될 수 있는 고층 빌딩 사이의 조경 공간 또는 경기장가 같은 임의의 장소에 적용되어 빠른 시간에 인조잔디가 건조되도록 하면서 전체 인조잔디가 동시에 건조되어 위치에 따른 인조잔디에 대한 감각의 차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레일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레일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의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하여 인조잔디가 포설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R)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 롤러(3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요철 롤러에 의하여 요철 형상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요철 형상을 만들기 위한 격자 철망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고정 철망의 실시 예 및 고정 철망의 설치 위치에 대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레일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배수레일(10)은 내부가 빈 기둥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바닥 면에 다수 개의 투수 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천장 면에 형성되면서 내부와 외부가 서로 소통 가능하도록 만드는 입구(111)가 형성된 몸체(11); 및 입구(111)에 제거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12)을 포함한다.
몸체(11)는 금속,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물이 유입되어 일시 저장이 되거나 또는 흐를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속이 빈 사각 기둥의 형상이 되는 경우 몸체(11)는 바닥 면(B), 측면(S) 및 천장 면(T)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닥 면(B)에 다수 개의 배수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 홀(112)은 몸체(11)로 유입된 물이 지중으로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바닥 면(B)의 면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직경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몸체(11)의 측면(S)에 배수레일(10)이 정해진 매설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날개(11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날개(113)는 측면(S)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측면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고정 날개(113)는 배수레일(10)이 매설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과정에서 배수레일(10)이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고정 날개(113)의 형상은 도 1a에 제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철망을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11)의 천장 면(T)에 물이 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111)는 몸체(11)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천장 면(T)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입구(111)는 천장 면(T)의 중앙 부분에 이격 거리를 가진 2개의 이격 벽(114)이 위쪽으로 돌출되고 이격 벽(114)이 만드는 틈이 몸체(11)의 내부와 연결되는 개방 입구가 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격 벽(114)은 몸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위쪽으로 돌출 정도 또는 이격 거리는 몸체(11) 전체의 높이 또는 천장 면(T)의 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 거리는 천장 면(T) 폭의 1/10 내지 1/3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돌출 높이는 몸체(11) 높이의 1/10 내 1/2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설명을 하는 것처럼 이격 벽(114)이 반드시 위쪽으로 돌출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구(111)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도 1a에 제시된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배수레일(10)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경우 입구(111)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몸체(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입구(111)를 임시적으로 밀폐하기 위한 캡(12)이 입구(111)에 끼워질 수 있다. 만약 입구(111)가 도 1a에 도시된 형상을 가진다면 캡(12)은 몸체(11) 또는 입구(11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덮개 면(121), 덮개 면(12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면서 입구(111)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 벽(122) 및 덮개 면(121)의 양쪽 끝으로부터 돌기 벽(12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돌기 벽(122)으로부터 이격 벽(114)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보호 벽(123a, 123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캡(12)은 입구(111)를 밀폐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이격 벽(114)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벽을 형성하여 입구(111) 전체를 덮는 형상을 가진다. 캡(12)은 이와 같이 삽입 홈(111)과 이격 벽(114)을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보호하고 이와 동시에 캡(12)은 아래에서 설명을 하는 것처럼 콘크리트의 타설 후 몸체(11)로부터 제거되는 것에 의하여 집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돌기 벽(122)의 아래쪽 연장 길이는 보호 벽(114)의 아래쪽 연장 길이에 비하여 작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 벽(122)의 연장 길이는 보호 벽(114)의 연장 길이의 1/4 내지 4/5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 벽(122)의 연장 길이를 작게 하는 것은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캡(12)이 몸체로부터 제거되는 과정에서 작은 압력으로 쉽게 돌기 벽(122)이 입구(1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입구(111)를 통한 콘크리트의 유입은 실질적으로 보호 벽(123a, 123b)에 의하여 차단된다. 그러므로 돌기 벽(122)은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보호 벽(114)을 통하여 작용하는 측압으로부터 입구(111)의 간격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고려하면 돌기 벽(122)은 입구(111)의 위쪽 끝 부분에만 끼워지는 정도의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만약 보호 벽(123a, 123b)의 강도가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측면으로 작용하는 압력에 대한 충분한 강성을 가진 소재라면 돌기 벽(12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도 입구(111)의 틈 크기가 보장되기 어려우므로 소재 강도에 상관없이 돌기 벽(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에 제시된 캡(12)의 형상은 입구(111)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만약 입구 (111)가 다른 형상이 된다면 캡(12)의 형상 또한 다르게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레일(1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몸체(11)는 바닥 면(B), 측면(S) 및 천장 면(T)으로 이루어지고 측면(S)의 중간 부분에 몸체(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고정 날개(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 면(B)에 다수 개의 배수 홀(112)이 형성된 것은 도 1a의 실시 예와 유사하다.
도 1b에 제시된 실시 예는 천장 면(T)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이격 벽(114)에 의하여 입구(111)가 형성되고 그리고 그와 같은 입구(111)를 밀폐 및 보호할 수 있는 캡(12a)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a의 실시 예와 차이를 가진다. 천장 면(T)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이격 벽(114a)은 몸체(11)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유도하면서 입구(111)가 측면에서 작용하는 압력으로 인하여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2개의 이격 벽(114a)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입구(111)를 밀폐시키는 한편 집수 유로를 형성하는 캡(12a)은 몸체(11)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집수 유로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두께를 가진 보호판(121a) 및 보호판(121a)의 바닥 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입구(111)에 끼워질 수 있는 밀폐 돌기(122a)를 포함한다. 보호판(121a)은 일정한 두께로 사각 판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연장 길이는 콘크리트 층의 깊이와 집수 유로의 형성 위치에 의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판(121a)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입구(111)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밀폐 돌기(122a)는 임의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이격 벽(144a)의 연장 길이보다 짧게 연장될 수 있다. 도 1a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캡(12)은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몸체(11)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므로 밀폐 돌기(122a)는 입구(111)에 약간의 압력으로 끼워지고 그리고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인력으로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두께 및 연장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외부로부터 몸체(11)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는 통로가 되는 입구(111)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캡(12)은 입구(111)를 일시적으로 밀폐시키면서 집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몸체(11) 및 캡(12)에 대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레일(10)이 적용된 인조잔디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의 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인조잔디의 시공방법은 배수레일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P21); 고정 철망을 설치하는 단계(P22);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P23); 배수레일의 상면 캡을 제거하는 단계(P24); 콘크리트 상부 면을 정리하고 배수로를 정비하는 단계(P25); 및 인조잔디를 포설하는 단계(P26)를 포함하고 그리고 콘크리트의 상면에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하여 인조잔디가 포설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인조잔디가 포설되기 위하여 기초 지층(G) 위에 콘크리트 층(C)이 형성되고 콘크리트 층(C)에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R)가 형성되고 그리고 콘크리트 층(C) 위에 인조 잔디(P)가 포설될 수 있다. 기초 지층(G)은 예를 들어 자갈 또는 쇄석과 같이 물을 쉽게 아래로 통과시키는 골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 층(C)의 위쪽에 규석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탄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조 잔디는 부직포와 같은 기재(M) 위에 포설될 수 있다.
콘크리트 층(C)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R)는 도 2a에 도시된 격자 형상(NS) 또는 도 2b에 도시된 원형 격자 형상(CS)이 될 수 있다. 배수 유도로(R)는 (i) 요철 롤러를 통하여 형성되거나, (ii) 격자형 철물의 매립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iii) 콘크리트 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R)를 형성하기 위한 요철 롤러(3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요철 롤러(30)는 원통 형상이 되고 표면에 구배 돌기(31)가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구배 돌기(31)란 원통의 양쪽 가장 자리로부터 중심으로 예를 들어 0.3 내지 0.8 %의 경사가 형성된 것을 말한다. 경사 방향은 중심에서 원통의 반지름이 작고 그리고 양쪽 가장 자리에서 원통의 반지름이 큰 형상이 될 수 있다. 요철 롤러(30)에 의한 요철 무늬의 형성을 위하여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층(C)에 매립된 배수레일(10)의 입구(111)와 연결되는 배수 유도로(R)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요철 롤러(3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콘크리트 층(C)이 경화되기 전에 요철 롤러(30)를 반-경화 상태의 콘크리트 층(C)의 상면을 따라 회전시키면 구배 돌기(31)에 의하여 입구(111)와 소통 가능한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R)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 형상의 유도 배수로(R)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은 요철 형상이 양각된 판(Plate)으로 경화되기 이전 상태의 콘크리트 층(C)의 표면을 찍어나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요철 형상의 유도 배수로(R)가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은 유도 배수로(R)를 형성하는 특정한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격자 철물의 매립을 이용한 요철 형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c는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R)를 형성하기 위한 격자 철물(30a)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격자 철물(30a)은 가로와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구배 그리드(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배 그리드(32)를 형성하는 각각의 판은 중앙 부분이 양 끝에 비하여 낮은 구배를 형성할 수 있고 구배의 정도는 구배 돌기(31)와 마찬가지로 0.3 내지 0.8 %가 될 수 있다. 격자형 철물(30a)은 콘크리트의 타설 전 또는 일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이후 배수레일(10)의 입구(111)와 연결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완전히 타설된 이후 콘크리트의 경화 이전에 격자형 철물(30a)이 제거되면 구배 그리드(32)에 의하여 입구(111)와 연결된 배수 유도로(R)가 형성될 수 있다.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R)를 형성하는 다른 방법은 콘크리트 칼을 이용하는 것이다. 콘크리트 층이 완전히 경화된 이후 콘크리트 칼을 이용하여 배수레일(10)의 입구(111)와 연결된 구배를 가진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R)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R)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배의 정도 또는 배수 유도로(R)의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형태로 인조잔디를 포설하기 위하여 먼저 기초 지층(G)이 형성된다. 기초 지층(G)의 형성 방법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초 지층(G) 내에 배수관이 매립될 수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기초 지층(G)이 형성되면, 배수레일(10)이 설치될 위치가 결정되어야 한다(P21). 배수레일(1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유도 배수로(R)가 형성되는 형상을 고려하여 설치될 수 있다(P21). 배수레일(10)은 캡(12)이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바닥 면(B)을 기초 지층(G)에 밀착시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된다.
배수레일(10)이 설치되면(P2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고정 철망(41)이 배수레일(10)에 설치될 수 있다(P22). 고정 철망(41)은 배수레일(10)을 서로 연결시키면서 배수레일(10)이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레일(10)과 고정 철망(41)이 용접 또는 다른 고정 수단또는 다른 쇠로 결합이 되면 배수레일(10)은 설치된 위치에서 고정되가 귀리고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 또는 타설 후 위치변동이 방지될 수 있다. 고정 철망(41)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 배수레일(10)은 예를 들어 고정 막대0)은 예수단또는 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철망(41)은 배수레일(10)의 고정 날개(1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날개(113)는 돌출된 형상으로 x다른 콘크리트 내에서 배수레일(10)의 위치를 고정하는 한편 고정 철망(41)을 콘크리트 내부의 일정 깊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고정 철망(41)과 용접과 같은 수단또는 다른 결합되어 배수레일(10)이 고정 철망(41)을 통다른 전체적으로 서로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철망(41)이 설치되면(P22)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P23). 콘크리트는 이 분야에서 공지의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귀리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가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콘크리트 칼을 이용하여 배수 유도로가 형성된다면 콘크리트의 경화 이후에 관련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콘크리트의 경화 이전에 캡(12)이 배수레일(10)로부터10)된다(P24). 캡(12)이 0)로부터배수 유도로(R)는 캡(12)또는 다른 형성된 집수 유로 또는 입구와 서로 연결이 될 수 있다. 캡(12)의 0)로 집수 유로가 콘크리트의 상면에 만들어지가 귀리고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콘크리트의 상면을 정리하가 귀리고 배수로를 정다(는 작업이 이루어진다(P25). 배수로를 정다(는 작업은 예를 들어 배수 유도로(R)의 구배를 조정하는 한편 입구 또는 집수 유로의 단면적을 균일하도록 하는 작업을 말하가 콘크리트 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로 정다 작업이 완료되면(P25) 콘크리트 층의 상면에 인조 잔디가 포설될 수 있다(P26). 인조잔디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포설될 수 있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 층과 부직포 사이에 탄성층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인조잔디의 시공방법은 전체적으로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를 통하여 인조잔디 전체에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사이에 구배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인조잔디에 대한 감각이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배수레일을 통하여 신속하게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인조잔디가 빠른 시간 내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배수레일
11 : 몸체
12 : 캡
111 : 입구
112 : 배수 홀
113 : 고정 날개
114 : 이격 벽
121 : 덮개 면
122 : 돌기 벽
123a, 123b : 보호 벽
B : 바닥면
S : 측면
T : 천장 면

Claims (11)

  1. 내부가 빈 기둥 형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바닥 면에 다수 개의 투수 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천장 면에 형성되면서 내부와 외부가 서로 소통 가능하도록 만드는 입구가 형성된 몸체; 및
    입구에 제거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배수레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 외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날개를 더 포함하는 배수레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의 바닥 면에 배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레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의 천장 면에 형성되어 몸체의 내부와 외부가 소통되도록 하는 입구를 형성하는 이격 벽을 포함하는 배수레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캡은 돌기 벽 또는 밀폐 돌기를 포함하는 배수레일.
  6. 인조 잔디가 설치되는 장소에 속이 빈 몸체, 몸체와 외부를 소통시키는 입구 및 입구를 개폐시키는 캡을 가지는 배수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배수레일의 캡을 제거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 상면에 인조 잔디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콘크리트 층의 상면에 요철 형상의 배수 유도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잔디의 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배수레일 설치 위치가 결정된 이후 배수레일을 연결하는 용접 철망이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조 잔디의 시공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요철 형상은 요철 롤러 또는 격자 철망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잔디의 시공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캡을 제거하는 단계 이후에 콘크리트 층 위에 탄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조 잔디의 포설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배수레일은 고정 날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잔디의 포설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요철 형상은 격자 형상 또는 원형 격자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잔디의 포설 방법.
KR1020100005320A 2010-01-20 2010-01-20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KR10111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20A KR101117498B1 (ko) 2010-01-20 2010-01-20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320A KR101117498B1 (ko) 2010-01-20 2010-01-20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496A KR20110085496A (ko) 2011-07-27
KR101117498B1 true KR101117498B1 (ko) 2012-03-07

Family

ID=4492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320A KR101117498B1 (ko) 2010-01-20 2010-01-20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6844A (zh) * 2012-08-14 2012-11-14 中铁六局集团天津铁路建设有限公司 桩板式结构保护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406B1 (ko) 2007-10-30 2008-06-23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406B1 (ko) 2007-10-30 2008-06-23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친환경성 선로형식 도로포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496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8740B2 (ja) 自動車道路用のトンネルの監視員通路および路面排水用水路からなるトンネル構造体
KR970065905A (ko) 구조물용 보강틀 및 보강틀을 이용한 건설구조물의 시공방법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098896B1 (ko) 인조잔디 운동장용 배수블록,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625658B1 (ko)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JP3981146B1 (ja) 排水構造体の施工方法
KR101117498B1 (ko)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KR200477688Y1 (ko) 옹벽용 배수파일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JP6041118B2 (ja) 噴砂防止構造
KR100734047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설치 공정
KR20170136420A (ko) 말뚝을 이용한 옹벽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913602B1 (ko) 투수블록
KR100756664B1 (ko) 터널배수공법
JP2012255250A (ja) 雨水処理施設
KR100932106B1 (ko)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
JP2019210682A (ja) ブロック舗装の排水構造
JP6250108B2 (ja) 雨水貯留槽の設置方法
KR102051860B1 (ko) 보도용 배수 트렌치
KR200384144Y1 (ko)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KR101021112B1 (ko) 옹벽블록
JP5936047B2 (ja) 噴砂防止構造
JP2010159586A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661884B1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