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144Y1 -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 Google Patents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144Y1
KR200384144Y1 KR20-2005-0004871U KR20050004871U KR200384144Y1 KR 200384144 Y1 KR200384144 Y1 KR 200384144Y1 KR 20050004871 U KR20050004871 U KR 20050004871U KR 200384144 Y1 KR200384144 Y1 KR 2003841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late
sided
lower suppor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형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riority to KR20-2005-0004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1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1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1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양쪽면에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계란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기둥의 단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지지기둥과 상기 하부지지기둥의 중간 부분 또는 기둥의 측면 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구멍과 배수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수판의 양쪽에서 침출수 또는 지하수를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은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계란판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만나는 중간 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DOUBLE-SIDED DRAIN PROCESS TYPE DRAIN BOARD}
본 고안은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쪽면에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계란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배수판에 배수구멍과 배수로를 형성하여 배수판의 양쪽에서 침출수 또는 지하수를 빠르게 배수 처리하도록 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판은 화단의 조경을 시설하기 전 또는 골프장 등 굴토마감면의 성토시 매립되게 설치하여 침출수를 배수처리하거나, 또는 옹벽의 배면에 토사의 되메우기 전에 설치하여 옹벽에 발생하는 수압을 경감시키거나, 또는 건축물 지하구조물의 굴토마감면에 설치하여 상향수압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배수판은 여러가지 모양과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있다. 그러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배수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면 배수판(10)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a는 상부면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하부면의 사시도이고, 도 1c는 측면도이다.
상기 종래의 일면 배수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다수개의 하부지지기둥(10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일면 배수판(10)의 재질은 경질폴리염화비닐(경질 PVC)등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일면 배수판(10)은 다수개의 하부지지기둥(10b)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수판의 한쪽(하부쪽)에서만 배수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량이 많은 지역에서는 지하수를 원할히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양면 배수판(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종래의 양면 배수판(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면에 상부지지기둥(20a)과 하부지지기둥(20b)이 계란판 형상으로 다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부지지기둥(20a)과 하부지지기둥(20b)의 하단부에는 배수를 위해서 배수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구멍은 침출수를 배수판의 양쪽에서 흐르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상기 양면 배수판(20)을 설치할 때에는 토사나 자갈 등에 의해 상기 배수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상기 양면 배수판(20)을 부직포(미도시)로 감싸거나 부착한 후 굴토마감면에 설치한 후 매립하거나 또는 옹벽의 배면에 설치한 후 매립한다.
그러나, 종래의 양면 배수판(20)은 부직포를 감싸거나 부착한 후 굴토마감면이나 옹벽의 배면 등에 설치하여 매립하게 되면 상기 배수구멍이 상기 상부지지기둥(20a)과 하부지지기둥(20b)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립된 토립자 또는 부직포에 의해 배수구멍이 막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양면 배수판(20)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 유입되는 침출수(또는 지하수)를 양면으로 고르게 분배하기 위해 형성한 배수구멍이 제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배수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양면 배수판(20)의 양쪽에 상기 상부지지기둥(20a)과 하부지지기둥(20b)이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 속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면 배수판(10) 또는 양면 배수판(50)은 상부면이 평평하지 않은 버림콘크리트층(미도시)위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배수판의 (하부)지지기둥(20b)(10b)의 하부면과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상부면이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배수판의 (하부)지지기둥(20b)(10b)이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상부면에서 들뜬 상태로 시공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상기 배수판으로 지하주차장을 시공할 경우 상기 배수판의 (하부)지지기둥(20b)(10b)이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운행, 주차 등에 따른 하중에 의하여 지하층 콘크리트에 진동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판의 (하부)지지기둥(20b)(10b)과 상기 버림콘크리트층의 상부면이 밀착되지 않은 부분에 전단응력이 가해져 지하층 콘크리트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부분 침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양쪽면에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계란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기둥의 단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지지기둥과 상기 하부지지기둥의 중간 부분 또는 기둥의 측면 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구멍과 배수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수판의 양쪽에서 침출수 또는 지하수를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은,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계란판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만나는 중간 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은 상기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의 단부에 개구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만나는 중간부분에 소정의 폭을 갖는 배수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로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의 측면 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의 사시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00)은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100a)과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하부지지기둥(100b)이 계란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하부지지기둥(100b)의 단부에 개구부(100c)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지지기둥(100a)과 하부지지기둥(100b)이 만나는 중간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구멍(100d)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배수구멍(100d)은 상기 상부지지기둥(100a)과 하부지지기둥(100b)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판(100)의 하부지지기둥(100b)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00c)는 후술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판(100) 위로 상기 바닥구체콘크리트층(50) 타설시 상기 다수개의 하부지지기둥(100b)의 개방부(100c)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유출되어 상기 버림콘크리트층(40)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양생된다. 따라서, 상기 버림콘크리트층(40)을 통하여 침투된 지하수를 상기 배수판(100)에서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압력이 낮은 배수로 측으로 유도한 후 집수정(10)으로 배수를 행하여 상기 배수판(100) 위에 설치된 콘크리트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0)의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도 별도로 높이를 조정할 필요 없이 상기 배수판(100)의 상부에 콘크리트층을 타설하면 상기 배수판(100)의 하부지지기둥(100b)에 형성된 개방부(100c)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유출되어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0)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양생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0)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기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누름콘크리트층(40)이 평평하지 않은 지하주차장에 배수시공을 행하였을 때 차량의 운행, 주차 등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누름콘크리층(60) 및 상기 바닥구체콘크리트층(50)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구멍(100d)은 상기 배수판(100) 하부로 유입된 지하수가 상기 배수판(100)의 상부로도 흐르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배수판(100)은 유입된 지하수를 상기 다수개의 배수구멍(100d)을 통해 상기 배수판(100)의 양쪽에서 동시에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를 빠르게 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판(100)은 축구장이나 공원 잔디밭, 골프장 등과 같은 장소의 배수 공사시 또는 하단의 조경 공사시 또는 옹벽 공사시의 배수공사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판(100)을 이용한 배수시공방법은 먼저, 굴토마감면 위에 상기 배수판(100)을 부직포로 감싸서 설치하되 유입된 지하수가 집수정 또는 집수정과 연결된 트렌치로 배수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부직포로 감싼 배수판 위에 토사를 매립함으로써 배수시설을 완공한다. 이때, 상기 배수판(100) 아래 또는 위로 유입된 지하수는 상기 배수판(100)의 하부지지기둥(100b)에 형성된 개방부(100c)와 상기 다수개의 배수구멍(100d)을 통해 상기 배수판(100)의 양쪽에서 배수된다. 한편, 상기 배수판(100)은 PVC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공기된 사출 공정에 의해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의 사시도 및 부분 평면도이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00)은 상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100a)과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하부지지기둥(100b)이 계란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100a)과 상기 하부지지기둥(100b)의 단부에 각각 개구부(100e)(100c)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지지기둥(100a)과 하부지지기둥(100b)이 만나는 중간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구멍(100d)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배수구멍(100d)은 상기 상부지지기둥(100a)과 하부지지기둥(100b)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110)의 사시도이다.
상기 제 3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110a)과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하부지지기둥(110b)이 계란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기둥(110a)과 하부지지기둥(110b)이 만나는 중간부분에 소정의 폭을 갖는 배수로(110c)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110)은 상기 상부지지기둥(110a)과 상기 하부지지기둥(110b)이 만나는 중간부분과 상기 배수로(110c)에 다수개의 배수구멍(110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배수구멍(110d)은 상기 상부지지기둥(110a)과 하부지지기둥(110b)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수로(110c)는 상기 배수판(110) 상부 또는 하부로 유입된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10) 또는 집수정과 연결된 트렌치로 빠르게 배수시키는 배수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배수구멍(110d)은 상기 배수판(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수판(110) 아래에(또는 위에) 흐르는 물이 상기 다수개의 배수구멍(110d)을 통해 상기 배수판(110) 위로도(또는 아래로도)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수판(1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토출된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10) 또는 집수정과 연결된 트렌치로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판(1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상부지지기둥(110a) 및/또는 하부지지기둥(110b)의 단부에 개구부(100e)(100d)를 형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120)의 사시도이다.
상기 제 4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120a)과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하부지지기둥(120b)이 계란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지지기둥(120a) 및 하부지지기둥(120b)의 단부에 개구부(120e)(120f)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지지기둥(120a)과 하부지지기둥(120b)이 만나는 중간부분에 소정의 폭을 갖는 배수로(120c)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120)은 상기 상부지지기둥(120a)과 상기 하부지지기둥(120b)이 만나는 중간부분과 상기 배수로(120c)에 다수개의 배수구멍(120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배수구멍(120d)은 상기 상부지지기둥(110a)과 하부지지기둥(110b)의 측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도, 상기 배수로(120c)는 상기 배수판(120) 상부 또는 하부로 유입된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10) 또는 집수정과 연결된 트렌치로 빠르게 배수시키는 배수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배수구멍(120d)은 상기 배수판(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수판(120) 아래에(또는 위에) 흐르는 물이 상기 다수개의 배수구멍(120d)을 통해 상기 배수판(120) 위로도(또는 아래로도)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수판(120)의 상부 또는 하부로 토출된 지하수를 상기 집수정(10) 또는 집수정과 연결된 트렌치로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을 지하층 바닥시공공사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토된 지층(20) 위에 잔토, 자갈 또는 버럭 등으로 굴토마감면(30)을 평탄하게 형성하고, 그 위에 몰탈을 타설하여 버림콘크리트층(40)을 소정의 높이(예를 들어, 6 내지 10㎝)로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버림콘크리트층(40) 위에 상기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100)(110)(120)을 설치하여 집수정(10) 또는 집수정과 연결된 트렌치로 연결한 후 상기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100)(110)(120) 위에 몰탈을 타설하여 바닥구체콘크리트층(50)을 소정의 높이(예를 들어, 30㎝ 내지 1m 이상)로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바닥구체콘크리트층(50) 위에 몰탈을 타설하여 누름콘크리트층(60)을 소정의 높이(예를 들어, 10㎝ 정도)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100)(110)(120)은 상기 버림콘크리트층(40)의 상부로 토출된 지하수를 집수정(10) 또는 집수정과 연결된 트렌치로 빠르게 배수시키기 위해서 설치한 것이다.
한편, 상기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100)(110)(120)은 건축물의 지하층 및 지하구조물의 영구배수처리를 위한 구조물을 설치할 때 뿐만 아니라 축구장, 공원 잔디밭, 골프장, 조경시설, 콘크리트 옹벽, 터널, 건축외벽, 연약지반 등의 배수처리를 위한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에 의하면, 양쪽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을 계란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로 및 배수구멍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배수판 하부에 설치된 콘크리트층의 상부로 토출되는 지하수를 상기 배수로와 배수구멍을 통해 집수정으로 빠르게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배수판의 지지기둥에 관통홈을 형성하여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타설되는 몰탈이 상기 관통홈을 통해 하부의 콘크리트층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수판이 설치되는 하부의 콘크리트층이 평평하지 않아도 상기 배수판의 하부가 수평을 유지하며 하부의 콘크리트층과 밀착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수판을 하나의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면 배수판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a는 상부면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하부면의 사시도이고,
도 1c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양면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의 사시도 및 부분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의 사시도 및 부분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을 지하층 바닥시공공사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110, 120 : 배수판
100a : 상부지지기둥 100b : 하부지지기둥
100c : 개구부 100d : 배수구멍
100e : 개구부 110a : 상부지지기둥
110b : 하부지지기둥 110c : 배수로
110d : 배수구멍 120a : 상부지지기둥
120b : 하부지지기둥 120c : 배수로
120d : 개구부 120e, 120f : 개구부

Claims (5)

  1.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계란판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만나는 중간 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의 단부에 개구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이 만나는 중간부분에 소정의 폭을 갖는 배수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과 하부지지기둥의 측면 부분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KR20-2005-0004871U 2005-02-23 2005-02-23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KR2003841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871U KR200384144Y1 (ko) 2005-02-23 2005-02-23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871U KR200384144Y1 (ko) 2005-02-23 2005-02-23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144Y1 true KR200384144Y1 (ko) 2005-05-11

Family

ID=4368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871U KR200384144Y1 (ko) 2005-02-23 2005-02-23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1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083B1 (ko) 2010-04-13 2011-10-13 안덕노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을 갖는 보드
KR101073084B1 (ko) 2010-04-13 2011-10-13 안덕노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을 갖는 보드
CN106284431A (zh) * 2016-09-09 2017-01-04 上海三彩科技发展有限公司 根据水的现象发明构造做法是完整的防水理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083B1 (ko) 2010-04-13 2011-10-13 안덕노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을 갖는 보드
KR101073084B1 (ko) 2010-04-13 2011-10-13 안덕노 배수와 차수 및 담수 기능을 갖는 보드
CN106284431A (zh) * 2016-09-09 2017-01-04 上海三彩科技发展有限公司 根据水的现象发明构造做法是完整的防水理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607B2 (en) System and apparatus of fluid storage using paver blocks
JPH083443Y2 (ja) 排水・保水装置
KR100243398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터널구조물의 라이닝구조
US10738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US8459896B2 (en) Permeable paving system
CN201738326U (zh) 用于地下建筑基础底板和墙体表面的排水结构
KR200383509Y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WO2018076940A1 (zh) 蓄渗系统、蜂窝式路基及其筛桶
KR200384144Y1 (ko) 양면 배수처리용 배수판
KR100643089B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
CN207891682U (zh) 一种透水地面结构
JP2012255250A (ja) 雨水処理施設
JP5271720B2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20135996A (ko) 배수관을 구비한 보도블럭
JP2000179034A (ja) 側溝、側溝の蓋部材、および境界ブロック
CA2793351C (en) Permeable paving system
KR101252583B1 (ko) 배수 장치
KR102055217B1 (ko) 지하수 배수재의 시공방법 및 이 배수재 위에 설치되는 기초 슬래브를 이용하여 배수재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차단하는 방법
GB2463680A (en) A draining paving block comprising a porous receptacle filled with aggregate
KR20120057938A (ko) 배수통을 갖는 보도블록
JP2007217885A (ja) 排水構造
KR100577851B1 (ko) 부력으로 인한 이탈방지용 도로 배수관로 보호장치
KR101248823B1 (ko) 기후 변화에 따른 홍수 및 온난화 피해 방지를 위한 도로 포장 장치
JPS6338277Y2 (ko)
RU2017889C1 (ru) Дрен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