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400B1 - 구조물 뒤채움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뒤채움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400B1
KR101117400B1 KR1020090060099A KR20090060099A KR101117400B1 KR 101117400 B1 KR101117400 B1 KR 101117400B1 KR 1020090060099 A KR1020090060099 A KR 1020090060099A KR 20090060099 A KR20090060099 A KR 20090060099A KR 101117400 B1 KR101117400 B1 KR 10111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fill
installing
filling
construction method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572A (ko
Inventor
김태효
김수용
Original Assignee
동서에코소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에코소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서에코소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4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12Back-filling of foundation trenches or d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46Fo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뒤채움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성이 높은 재료를 뒤채움재로 사용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뒤채움 시공 방법은 구조물 및 성토체를 시공하는 단계, 구조물 및 성토체 사이의 일정 영역을 유동성을 갖는 뒤채움재로 채우는 단계, 일정 영역에 채워진 뒤채움재가 고화되면, 상기 고화된 뒤채움재에 접하도록 분리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뒤채움재로 채우는 단계와 분리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뒤채움, 구조물, 교량, 교대, 시공법

Description

구조물 뒤채움 시공 방법{CONSTRUCTING METHOD FOR BACK-FILLING OF STRUCTURES}
본 발명은 구조물의 뒤채움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성이 높은 재료를 뒤채움재로 사용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스(Box) 구조물이나 교대 구조물을 설치하면 구조물의 배면에 뒤채움 시공을 한다. 일반적으로 뒤채움재로 토사를 사용하는데, 지반이 연약한 경우, 토사로 뒷채움한 구간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압밀기간 및 재하기간 등의 차이로 인한 잔류침하 및 압밀침하가 발생하여 구조물과 토공부(뒤채움부와 성토부 포함)의 단차 또는 요철이 발생될 수 있다. 단차 또는 요철의 발생은 차량 주행성을 저하시키며, 차량 충격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이 유발되는 바, 단차 완화를 위한 덧씌우기 또는 균열 보수 등 유지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와 같이 잔류침하 및 압밀침하에 따른 단차 또는 요철의 발생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흙 보다 가볍고 강성이 높으며, 유동성을 가지는 경량 기포 혼합토(발생토, 물, 고화재, 기포(또는 스티로폼)의 혼합), 경량 기포 콘크리트(모래, 고화재, 기포의 혼합), 유동화 처리토(발생토, 물, 고화재의 혼합)등의 재료로 뒤채움하여 단차 또는 요철을 완화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흙 보다 가볍고 강성이 높으며, 유동성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뒤채움재가 성토체와 동반 침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뒤채움 시공 방법으로 시공된 구조물 뒤채움부의 예시도이며,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라 시공된 뒤채움부에서 발생하는 뒤채움재의 침하 양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채움을 시공할 경우, 뒤채움재(10)가 고화된 후 성토체(40)가 침하하게 되면, 뒤채움재(10)는 공중에 부양하게 되는 형태로 되며, 인장력이 약한 뒤채움재(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균열에 따라 파괴되어 침하될 수 있다. 이러한 뒤채움재의 파괴는 구조물의 균열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토공부(뒤채움재(10) 및 성토체(40))의 침하가 발생하여도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물 뒤채움 시공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뒤채움 시 토공부의 침하가 발생하여도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물 뒤채움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뒤채움 시공 방법은 구조물 및 성토체를 시공하는 단계, 구조물 및 성토체 사이의 일정 영역을 유동성을 갖는 뒤채움재로 채우는 단계, 일정 영역에 채워진 뒤채움재가 고화되면, 상기 고화된 뒤채움재에 접하도록 분리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뒤채움재로 채우는 단계와 상기 분리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뒤채움 시공 방법은 구조물 및 성토체를 시공하는 단계, 성토체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상기 구조물 및 성토체 사이에 뒤채움재를 채우는 단계, 인장보강재를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상기 뒤채움재 및 성토체의 상부면에 설치하는 단계 및 인장보강재 상부에 성토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뒤채움재로 채우는 단계와 상기 인장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뒤채움 시공 방법은 구조물 및 성토체를 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관을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성토체에 고정시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구조물 및 성토체 사이에 뒤채움재를 채우는 단계 및 뒤채움재의 상부에 포장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스 구조물이나 교대 구조물의 배면에 뒤채움재를 분리할 수 있는 재료를 설치하고, 경량기포혼합토 등의 흙 보다 가볍고 강성이 높은 유동성 재료로 뒤채움하기 때문에, 성토체 침하 시 뒤채움재의 동반침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균열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장보강재를 뒤채움재 내에 설치함으로 인해 인장력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써, 성토체 침하 시, 뒤채움재의 동반침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뒤채움재 내에 유동성 재료의 충진을 위한 관을 설치하고, 관을 통해 유동성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성토체의 잔류침하에 따른 뒤채움재의 동반침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뒤채움재와 토공부 사이에 배수재를 설치함으로써, 성토체로부터 유입된 물이 뒤채움재에 수압으로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뒤채움재(10)는 흙보다 가볍고, 유동성이 높고, 강성이 높은 재료로서 경량기포혼합토, 경량기포콘크리트, 유동화처리토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뒤채움재(10)는 단위중량이 0.3 ~ 1.6f/m3 , 유동성이 100 ~ 300mm, 일축 압축강도가 1kgf/cm2 이상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뒤채움재(10)로는 상기 흙보다 가볍고, 유동성이 높고, 강성이 높은 재료와 EPS 블록 등의 스트로폼 재료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된 구조물 뒤채움부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에는 뒤채움재(10), 구조물(20), 포장층(30), 성토체(40), 분리재(5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과 비교할 때 분리재(50)가 뒤채움재(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분리재(50)로는 재료를 분리할 수 있는 고무판 또는 재료의 충격을 완화하는 스티로폼 재료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로폼 재료군으로는 대표적으로 EPS 블록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0), 성토체(40)를 시공한 뒤 거푸집(90a)을 설치하고 구조물(20)과 거푸집(90a) 사이에 뒤채움재(10a)를 채워 넣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뒤채움재(10a)로서 EPS 블록 등의 스티로폼 재료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뒤채움재(10a)를 채워넣는 공정은 우선 흙보다 가볍고, 유동성이 높고, 강성이 높은 경량 기포 혼합토 등의 재료를 일정 높이 까지 채워 넣은 후, 채워진 경량 기포 혼합토 상부에 스티로폼 재료를 설치하고, 나머지 공간(스트로폼 재료의 상부)을 다시 경량 기포 혼합토 등의 재료로 채워 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스티로폼 재료가 경량 기포 혼합토 등의 재료 내에 포함되도록 뒤채움재(10a)를 채워 넣는다. 거푸집(90)은 유동성을 갖는 뒤채움재(10)를 고 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거푸집(90a)은 지면에 직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경사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리재(50a)를 구조물(20)에 접촉시켜 설치한 후, 거푸집(90a)을 설치하고 분리재(50a) 및 거푸집(90a) 사이의 공간에 뒤채움재(10a)를 채워 넣을 수 있다. 분리재(50a)는 구조물(20)의 하단부터 상단까지 하나의 분리재(50a)로 설치되며, 구조물(20)과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분리재(50a)는 구조물(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단 및 하단 모두에 고정될 수도 있다. 거푸집(90a)은 성토체(40)의 높이와 일치하거나 그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뒤채움재(10a)는 분리재(50a)의 높이와 일치하거나 그 이하로 설치할 수 있다.
뒤채움재(10a)가 고화되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90a)을 해체하며,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90a)을 해체한 위치에 분리재(50b)를 부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푸집(90a) 해체 후 분리재(50b)가 뒤채움재(10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뒤채움재(10a) 및 분리재(50b)의 상단에 고정핀(100)을 설치할 수 있다. 고정핀(100)은 뒤채움재(10a) 및 분리재(50b)를 임시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리재(50b)는 뒤채움재(10a)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90b)을 설치하고, 분리재(50b)와 거푸집(90b) 사이에 뒤채움재(10b)를 채워 넣는다. 뒤채움재(10b)가 고화되면,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90b)을 해제한다. 고정핀(100)이 설치된 경우, 거푸집(90b)을 해체하면서 고정핀(100)을 함께 해체한다. 이로써 뒤채움재(10) 는 분리재(50b)에 의해 뒤채움재(10a) 및 뒤채움재(10b)로 분리된다. 이어 도 2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90b)을 해체한 위치에 분리재(50c)를 부착한다. 분리재(50c) 역시 뒤채움재(10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뒤채움재(10)를 채워 넣는 과정과 분리재(50)를 부착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도 1에 도시된 구조물 뒤채움부를 완성한다. 분리재(50a, 50b, 50c)들은 간격이 일정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분리재(50)를 뒤채움재(10)의 높이보다 높게 설치한 경우에는 뒤채움 시공 완료 후, 분리재(50)의 높이가 뒤채움재(10)의 높이와 수평이 되도록 뒤채움재(10)보다 높은 부분의 분리재(50)를 잘라내는 과정을 수행한다. 분리재(50)를 잘라내는 과정은 각각의 분리재(50) 설치마다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든 분리재(50)를 설치한 후 한 번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에서 뒤채움재(10)의 동반침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구조물(20) 및 성토체(40)의 침하에 따라 뒤채움재(10)도 성토체(40)와 동반침하한다. 그러나 뒤채움재(10)가 분리재(50)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구분된 영역 별로 분리 침하하게 된다. 도 14와 같이 성토체(40)가 침하하게 되면 인장력이 약한 뒤채움재(10)는 파괴되고, 이는 구조물(20)과 뒤채움재(10) 사이의 공간을 발생시켜 구조물의 안정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나 도 3의 경우에는 뒤채움재(10)가 구분된 영역 별로 분리 침하하기 때문에, 구조물(20)에 가깝게 위치하는 뒤채움재(10a)는 파괴될 가능성이 낮으며, 구조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공된 구조물 뒤채움부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4에는 뒤채움재(10), 구조물(20), 포장층(30), 성토체(40), 인장보강재(7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과 비교할 때 인장보강재(70)가 수평방향으로 뒤채움재(10) 및 성토체(40)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인장보강재(70)로는 매트(mat), 그리드(grid), 섬유 재질(fiber), 철망 등 인장력이 강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체(40a)를 시공한 후, 구조물(20)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성토체(40a) 시공 시, 일정한 높이(h1)로 성토체(40a)를 식공하며, 일정한 경사 각도로 성토체(40a)를 시공할 수 있다. 이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0)과 성토체(40a) 사이의 공간에 뒤채움재(10a)를 채워 넣는다. 뒤채움재(10a)를 채워 넣을 시, 성토체(40a)가 시공된 높이(h1)까지 채워 넣으며, 성토체(40a)의 상단면이 뒤채움재(10a)의 상단면과 일치하도록 뒤채움재(10a)를 채워 넣는다.
이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보강재(70)를 뒤채움재(10a) 및 성토체(40a)의 상단면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장보강재(70)는 뒤채움재(10a)의 상단면에만 설치할 수 있으며, 뒤채움재(10a)의 상단면 전체와 성토체(40a)의 상단면 일부에 걸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어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보강재(70)의 상부에 성토체(40b)를 일정한 높이(h2)로 시공한다. 성토체(40a)가 일정한 경사 각도로 시공된 경우, 성토체(40b)는 성토체(40a)의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경사 각도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높이 'h1' 및 'h2'는 조건에 따라 높이가 다를 수도 있다.
이어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0)과 성토체(40b) 사이의 공간에 뒤채움재(10b)를 채워 넣는다. 뒤채움재(10b)를 채워 넣을 시, 높이 'h2'까지 채워 넣으며, 성토체(40b)의 상단면이 뒤채움재(10b)의 상단면과 일치하도록 뒤채움재(10b)를 채워 넣는다. 이와 같이 성토체(40) 및 뒤채움재(10)를 시공하는 과정과 인장보강재(70)를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도 4에 도시된 구조물 뒤채움부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간격이 일정하게 인장보강재(7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인장보강재(70)에서 뒤채움재(10)가 접촉하는 면적 비율에 따라 인장보강재(70)의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에서 뒤채움재(10)의 동반침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성토체(40)의 침하에 따라 뒤채움재(10)도 성토체(40)와 동반침하한다. 그러나 뒤채움재(10) 내에 인장보강재(7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뒤채움재(10)의 인장력이 향상되어 뒤채움재(10)의 분리 파괴 정도가 감소된다. 도 14와 비교할 때, 뒤채움재(10)의 분리 파괴 정도가 감소되고, 구조물(20)과 뒤채움재(1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뒤채움재(10)의 파괴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구조물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공된 구조물 뒤채움부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7에는 뒤채움재(10), 구조물(20), 포장층(30), 성토체(40), 관(6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과 비교할 때 관(60)이 성토체(40)에 관입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관(60)은 유동성 재료를 주입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0), 성토체(40)를 시공한 뒤, 관(60)을 성토체(40)에 관입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60)은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간격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관(60)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성토체(60)에 고정시켜 설치하고, 상단부의 높이가 모두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60)의 상단부는 도 7의 포장층(30)이 설치되는 높이와 같거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60)의 상단부에는 빗물 또는 잡재 등이 투입되지 않도록 덮개(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채움재(10)를 구조물(20)과 성토체(40)에 사이에 채워 넣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뒤채움 과정은 단계별로 실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h1까지 뒤채움을 하고, 뒤채움재가 고화되면, h2까지 뒤채움하고, 뒤채움재가 고화되면, h3까지 뒤채움하여, 뒤채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공된 구조물 뒤채움부의 다른 예시도 에 해당한다.
도 9에는 뒤채움재(10), 구조물(20), 포장층(30), 성토체(40), 분리재(50) 및 관(6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과 비교할 때 분리재(50)가 뒤채움재(10)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관(60)이 성토체(40)에 관입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분리재(5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재료를 분리할 수 있는 고무판 또는 재료의 충격을 완화하는 스티로폼 재료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60)은 유동성 재료를 주입하기 위해 설치된다. 관(60)에 주입되는 유동성 재료는 유동성이 높고 경량성을 가진 재료로서 유동성이 150 ~300mm이고, 단위 중량이 0.3 ~ 1.6tf/m3인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의 시공 순서의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20), 성토체(40)를 시공한 뒤 관(60)을 성토체(40)에 관입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60)은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간격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90)을 설치하고 구조물(20)과 거푸집(90) 사이에 뒤채움재(10)를 주입한다. 거푸집(90)은 지면에 직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경사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20)에 접촉하는 분리재(50a)를 설치한 후, 거푸집(90)을 설치하고 뒤채움재(10)를 주입할 수 있다.
뒤채움재(10)가 고화되면,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90)을 해체하며,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90)을 해체한 위치에 분리재(50b)를 부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거푸집(90) 해체 후 분리재(50b)가 뒤채움재(10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뒤채움재(10a) 및 분리재(50b)의 상단에 고정핀(100)을 설치할 수 있다. 고정핀(100)은 뒤채움재(10a) 및 분리재(50b)를 임시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분리재(50b)는 뒤채움재(10a)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단계적으로 거푸집(90)을 설치한 후, 뒤채움재(10)를 채워 넣으며 뒤채움재(10)가 고화되면 설치한 거푸집(90)을 해체한다. 고정핀(100)이 설치된 경우에는 거푸집(90)을 해체하면서 고정핀(100)을 함께 해체한다. 이와 같이 뒤채움재(10)를 채워 넣는 과정과 분리재(50)를 부착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도 9에 도시된 구조물 뒤채움부를 완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의 유지 관리 예시도에 해당한다.
성토체(40)가 침하되면 뒤채움재(10)는 포장층(30)에 접촉되어 공중에 부양하는 형태가 되며, 'A'의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종래 기술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채움재(10)의 약한 인장력으로 인해 뒤채움재(10)가 분리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관(60)을 통해 유동성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성토체(40)의 침하에 따라 발생하는 공간을 메우고, 뒤채움재(10)가 공중 부양하는 형태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뒤채움재(10)의 분리 파괴 현상 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에 배수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2에는 뒤채움재(10), 구조물(20), 포장층(30), 성토체(40), 분리재(50), 관(60) 및 배수재(8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과 비교할 때 분리재(50)가 뒤채움재(10)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관(60)이 성토체(40)에 관입되어 있고, 뒤채움재(10)와 성토체(40) 사이에 배수재(80)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관(60)은 유동성 재료를 주입하기 위해 설치된다. 분리재(5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재료를 분리할 수 있는 고무판 또는 두 재료의 충격을 완화하는 스티로폼 재료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60)은 유동성 재료를 주입하기 위해 설치되며, 배수재(80)는 성토체(40)에서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설치된다.
표토에서 지하수가 유입될 경우 성토체(40)에서는 하부로 지하수의 배출이 가능하지만, 뒤채움재(10)의 경우에는 불투수성으로 투수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성토체(40) 상부에서 유입된 물은 뒤채움재(10)에 수압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배수재(80)는 뒤채움재(10)에 수압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구조물(20) 및 성토체(40)를 시공한 후, 성토체(40)에 접촉하도록 배수재(80)를 설치한다. 이어 관(60)을 배수재(80)에 관입시켜 고정하고, 뒤채움을 시공한다. 배수재(80) 설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도 구조물(20) 및 성토체(40)를 시공한 후, 성토체(40)에 접촉하도록 배수재(80)를 설치하며, 남 은 과정은 도 2 및 도 5에 개시된 내용과 동일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공된 구조물 뒤채움부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에서 뒤채움재(10)의 동반침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공된 구조물 뒤채움부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에서 뒤채움재(10)의 동반침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공된 구조물 뒤채움부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공된 구조물 뒤채움부의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의 시공 순 서의 다른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의 유지 관리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뒤채움부에 배수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뒤채움 시공 방법으로 시공된 구조물 뒤채움부의 예시도에 해당한다.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라 시공된 뒤채움부에서 발생하는 뒤채움재의 침하양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에 해당한다.
<주요 도면 부호에 관한 설명>
10, 10a, 10b : 뒤채움재 20 : 구조물
30 : 포장층 40, 40a, 40b : 성토체
50, 50a, 50b, 50c : 분리재 60 : 관
70 : 인장보강재 80 : 배수재
90a, 90b : 거푸집 100 : 고정핀

Claims (17)

  1. 뒤채움 시공 방법에 있어서,
    구조물 및 성토체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구조물 및 성토체 사이의 일정 영역에 유동성을 갖는 뒤채움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일정 영역에 채워진 뒤채움재가 고화되면, 상기 고화된 뒤채움재에 접하도록 분리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뒤채움재로 채우는 단계와 상기 분리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뒤채움재를 채우는 단계는
    거푸집을 지면에 고정시킨 후, 상기 유동성을 갖는 뒤채움재를 채우는 것이고,
    상기 분리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고정된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거푸집이 제거된 위치에 상기 분리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재의 높이가 상기 뒤채움재가 채워지는 높이와 동일하도록 상기 분리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재는 고무 재질 또는 스티로폼 재질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구조물 및 성토체를 시공하는 단계 후에, 적어도 하나의 관을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성토체에 고정시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뒤채움재로 채우는 단계와 상기 분리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후에, 상기 뒤채움재의 상부에 포장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상기 성토체에 고정시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포장층이 시공되는 높이와 일치하거나 낮은 높이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의 상부에 덮개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토체 상에 배수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뒤채움재는
    경량기포혼합토, 경량기포콘크리트 또는 유동화처리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15.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뒤채움재는
    단위중량이 0.3 ~ 1.6f/m3 , 유동성이 100 ~ 300mm의 재료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뒤채움재는
    스티로폼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뒤채움재를 채우는 단계는
    상기 스티로폼 재료를 상기 단위중량이 0.3 ~ 1.6f/m3 , 유동성이 100 ~ 300mm의 재료의 내에 포함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뒤채움 시공 방법.
KR1020090060099A 2009-07-02 2009-07-02 구조물 뒤채움 시공 방법 KR10111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099A KR101117400B1 (ko) 2009-07-02 2009-07-02 구조물 뒤채움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099A KR101117400B1 (ko) 2009-07-02 2009-07-02 구조물 뒤채움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72A KR20110002572A (ko) 2011-01-10
KR101117400B1 true KR101117400B1 (ko) 2012-02-29

Family

ID=4361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099A KR101117400B1 (ko) 2009-07-02 2009-07-02 구조물 뒤채움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4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45873B (zh) * 2021-11-29 2023-04-28 中建五局土木工程有限公司 车站结构顶部坑槽的回填和防水的绿色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114Y1 (ko) 2000-12-06 2001-05-15 주식회사대원엔지니어링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KR100451092B1 (ko) 2003-10-17 2004-10-06 보경산업개발 주식회사 폐스티로폴 입자를 활용한 구조물 뒤채움공법
JP2006328953A (ja) 2006-09-15 2006-12-07 Dow Kakoh Kk 軽量盛土
JP2007277910A (ja) 2006-04-06 2007-10-25 Nishi Nippon Spc Kk 軽量盛土用ブロックおよび軽量盛土構造物ならびにその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114Y1 (ko) 2000-12-06 2001-05-15 주식회사대원엔지니어링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KR100451092B1 (ko) 2003-10-17 2004-10-06 보경산업개발 주식회사 폐스티로폴 입자를 활용한 구조물 뒤채움공법
JP2007277910A (ja) 2006-04-06 2007-10-25 Nishi Nippon Spc Kk 軽量盛土用ブロックおよび軽量盛土構造物ならびにその構築方法
JP2006328953A (ja) 2006-09-15 2006-12-07 Dow Kakoh Kk 軽量盛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72A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60B1 (ko)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60397B1 (ko) 단일말뚝지지 콘크리트 궤도 구조 및 그 구조의 침하복원장치
JP6393350B2 (ja) 既存用水路の補修工法
CN106087628A (zh) 无桥头锥坡现浇挡板泡沫混凝土轻质路堤结构及施工方法
KR20090029993A (ko) 강막작용에 의하여 지지되는 흙막이벽을 이용한 지하구조물및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CN106703080A (zh) 道路检查井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73613B1 (ko) 연약지반의 등분포 하중을 이용한 pc블록 임시용가설도로 시공방법
KR101283672B1 (ko) 리프팅수단을 이용한 비개착 터널 시공방법
US8834072B1 (en) Method for forming suspended foundations
JP6543176B2 (ja) 躯体構築方法
KR20150108626A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구조의 강지보재를 구비한 터널 및 그 시공 방법
KR101117400B1 (ko) 구조물 뒤채움 시공 방법
KR101041264B1 (ko) 가압을 이용한 변위제어 터널의 보강구조체
KR20190006668A (ko)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8690478B2 (en) Tunnel reinforcement structure a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ground displacement using pressurization
JP6871714B2 (ja) 橋台背面盛土の補強工法
KR20120100052A (ko) 유압잭을 이용한 측방유동교각 보정방법 및 세굴 보강구조
KR100966639B1 (ko) 맨홀보수공법
KR101973657B1 (ko) 교대 측방유동 방지용 역아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보수공법
KR100560390B1 (ko) 구슬이 충전된 세굴방지틀체를 이용한 교량용 우물통기초의 세굴방지구조
KR100436896B1 (ko) 교량의 교대뒷채움부 시공 방법
CN206448289U (zh) 设置有连通沟道的大型罐体基础
KR101829192B1 (ko) 쐐기형 말뚝을 이용한 건축 기초공법
EP3309302A1 (en) Apparatuses for constructing displacement aggregate piers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