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668A -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668A
KR20190006668A KR1020170087648A KR20170087648A KR20190006668A KR 20190006668 A KR20190006668 A KR 20190006668A KR 1020170087648 A KR1020170087648 A KR 1020170087648A KR 20170087648 A KR20170087648 A KR 20170087648A KR 20190006668 A KR20190006668 A KR 20190006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ground
cement
pile
piles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상
김웅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6668A/ko
Publication of KR20190006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토목섬유 등의 인장 보강재와 시멘트 처리 자갈을 결합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교반 혼합 말뚝기초의 상부에 설치하여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의 휨강성과 말뚝기초의 지지 성능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시공 중 연약지반의 침하 및 상부구조물의 시공 완료 후 잔류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연약지반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말뚝과 상부에 포설되는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통해 지반 개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연약지반을 개량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로 작용하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말뚝을 통해 지지층으로 전달함으로써, 지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연약지반의 침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ILE FOUNDATION STRUCTURE FOR DOUBLE DECREASING SOFT GROUND SUBSIDENCE USING CEMENT-PROCESSED GRAVEL SLAB FOR BEING REINFORCED BY TENSILE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연약지반 상부에 성토층 등의 상부구조물 시공시에 발생하는 연약지반의 침하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최소한의 말뚝을 설치하고, 토목섬유 등 인장 보강재(Tensile Reinforcement)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Cement-Processed Gravel Slab)를 형성함으로써,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Soft Ground)의 구성토층은 표준관입시험의 N값이 0~4인 부드럽고 압축성이 큰 점토, 실트, 피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이러한 연약지반은 3각주, 드라운드 밸리(Drowned Valley) 등의 새로운 충적지에 많이 존재한다. 또한, N < 10의 느슨한 모래층에 물을 포함한 것도 연약지반에 해당한다.
또한, 각종 구조물을 시공하려면 해당 구조물의 상재하중(Surface Load)을 안정적으로 지탱하면서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해당 구조물이 구축되는 연약지반에 대한 보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에 따라 해당 구조물의 규모, 사용용도 및 연약지반의 토층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보강공법들이 선행기술로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 대책 공법은, 크게 개량 공법과 지지말뚝 공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량 공법으로는 샌드드레인 공법, 연직드레인 공법, 페이퍼 드레인 공법, 팩드레인 공법, 모래다짐말뚝 공법, 동다짐 공법, 압성토 공법 등이 있으며, 지지말뚝 공법은 강관 말뚝 등을 이용하여 연약지반 하부의 견고한 지반에 말뚝을 지지시키고, 말뚝의 상부에 토목섬유를 부설하여 성토체 및 상부 구조물을 시공하는 공법이다.
한편, 고속철도 또는 일반철도를 부설하기 위해서 연약지반 상부에 콘크리트궤도를 적용할 경우, 연약지반 처리는 철도차량의 주행 안정성, 승차감, 궤도틀림 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콘크리트궤도 구간에서 지반 침하가 발생할 경우 궤도틀림, 예를 들면, 수직틀림, 수평틀림, 비틀림 등이 심화되어 차량의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이 악화되고,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 및 레일 체결장치 등에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될 수 있고, 철도 선로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연약지반을 개량 또는 치환하거나, 굴착 후 토공구간을 교량구간으로 설계를 변경하여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연약지반의 개량/치환 또는 토공의 교량화는 지반의 지속적인 장기 침하를 억제할 수 없으며, 또한, 연약지반 처리비, 교량 시공비 또는 유지보수비의 증가가 불가피하다. 또한, 지반 침하 발생시에 레일 상면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서 레일체결장치의 간격 조정판 추가 설치, 콘크리트 슬래브 보강, 콘크리트궤도 리프팅(콘크리트 슬래브 저부에 충진재 주입 등)과 같은 다양한 유지보수 업무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유지보수 비용이 과도하게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공법으로서, 치환 공법, 파일 네트 공법 및 파일 슬래브 공법 등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a는 치환 공법, 도 1b는 파일 네트 공법, 도 1c는 파일 슬래브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치환공법의 경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11) 상부의 연약지반(12)을 양질의 토사(13)로 치환하는 공법으로서, 성토층(14) 높이, 시공기면 폭, 연약지반(12) 깊이 등이 클수록 굴착 치환량이 커지며, 이에 따라 공사비 및 공사기간 증가의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치환공법의 경우, 다짐, 폭파, 약액주입 등의 연약지반 개량 공법은 오염, 진동, 소음 등 환경적 측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일 네트 공법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21) 상부의 연약지반(22)에 말뚝(23)을 지지층(21)까지 근입한 후, 말뚝(23)의 두부를 보강재(24)로 연결하고, 그 상부에 성토층(25)을 시공하는 연약지반 처리 공법으로서, 말뚝(23)과 말뚝(23) 사이의 공간이 넓을수록 침하에 취약하므로 다수의 말뚝(23)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일 슬래브 공법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층(31) 상부의 연약지반(32)에 말뚝(33)을 지지층(31)까지 근입한 후, 슬래브(34)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성토층(35)을 시공하는 연약지반 처리 공법으로서, 성토층(35) 높이가 높아질수록 말뚝(33) 두부와 성토층(35) 사이의 슬래브(34) 두께가 두꺼워지며, 이로 인한 공사비 증가로 인해 타 노반구조물과의 경제성 비교에서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5-0085637호에는 "안정화제와 토목섬유를 이용한 연약지반 안정화 공법 및 구조"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정화제와 토목섬유를 이용한 연약지반 안정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정화제와 토목섬유를 이용한 연약지반 안정화 구조는, 토목섬유(41) 및 토목섬유 고정유닛(42)을 포함한다.
토목섬유(41)는 격자 형상의 망 구조로 형성되고 판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안정화제를 혼합하여 개량한 연약지반의 표층부에 포설된다. 즉, 상기 토목섬유(41)는 지지층 상부의 연약지반에 안정화제를 혼합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한 소위, 안정화층의 상부, 다시 말해 연약지반 표층부 영역에 포설된다.
토목섬유 고정유닛(42)은 연약층의 토사와 안정화제를 교반장치로 혼합 교반하거나, 오거굴착 또는 오실레이터를 이용한 해머그래이브 굴착 후 안정화제를 혼합한 재료 또는 쇄석골재를 충전 및 다짐하여 말뚝 형태의 심층부 안정화층 및 이를 고정시킨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정화제와 토목섬유를 이용한 연약지반 안정화 구조는, 연약지반을 개량한 후 연약지반 표층부를 안정화시키며, 이후 토목섬유를 고정하며, 혼합처리방식을 통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고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와 방법으로 연약지반을 안정화하여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안정화제를 사용한 심층 및 표층 개량을 통해 별도의 성토가 필요 없고 연약지반의 안정화와 표층 판상구조 및 마찰말뚝에 의한 지지력 증진을 동시에 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881944호에는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 방법 및 말뚝 두부에 설치된 토목섬유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지지력 강화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연약지반 강화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연약지반 지지력 강화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말뚝에 하중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 구조물은, 연약지반(51), 지지층(51), 말뚝(52), 지지플레이트(52a), 제1 샌드매트층(53), 토목섬유(54), 제2 샌드매트층(55), 성토(56) 및 구조물(57)을 포함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목섬유(54)의 상부에 적하된 성토(56)나 구조물(57)의 하중에 의하여 말뚝(52)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는 연약지반(51)은 침하된다.
그러나 토목섬유(54) 상부에 적재된 성토(56)나 구조물(50)의 하중(F)은 고인장 강도를 갖는 토목섬유(54)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토목섬유(54)에 걸리는 인장력(T)은 말뚝(52)의 두부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51)를 통하여 말뚝으로 전달되고, 말뚝의 선단은 지지층(6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연약지반(51)이 침하되더라도 토목섬유에 의하여 상부의 성토층(56)이나 구조물(57)이 지지된다. 이때, 말뚝(52)은 연속체이므로, 연직 하중뿐만 아니라 횡하중이나 유동압에 대한 알려진 물적 특성을 설계에 반영하여 저렴하고 효과적으로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고인장 강도를 갖는 토목섬유(54)를 사용하여 연약지반이 침하할 경우, 성토층(56)이나 구조물(57)에 걸리는 하중을 말뚝(52)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연약지반의 침하에 의하여 성토층(56)이나 구조물(57)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 방법의 경우, 연약지반의 지지력을 보강하고자 할 경우 연직 하중뿐 아니라, 측방유동압이나 횡방향 하중에 대하여도 지지 메커니즘을 예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 및 철도 등 선상구조물을 건설시에 성토층 시공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성토층 시공은 가장 경제적인 노반 건설방법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상부구조물의 시공 중 및 시공 후에 연약지반의 침하가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5-0085637호(공개일: 2015년 7월 24일), 발명의 명칭: "안정화제와 토목섬유를 이용한 연약지반 안정화 공법 및 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881944호(출원일: 2006년 4월 19일), 발명의 명칭: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 방법 및 말뚝 두부에 설치된 토목섬유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지지력 강화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5794호(출원일: 1997년 1월 25일), 발명의 명칭: "교대 뒷채움부 성토지지말뚝의 설치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172519호(출원일: 2009년 11월 24일), 발명의 명칭: "연약지반 개량 공법"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233322호(출원일: 2001년 3월 21일), 고안의 명칭: "연약지반의 표층부용 보강재" 일본 공개특허번호 제1992-62231호(공개일: 1992년 2월 27일), 발명의 명칭: "연약지반상 타설 구조물 및 그 구축 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토목섬유 등의 인장 보강재와 시멘트 처리 자갈을 결합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교반 혼합 말뚝기초의 상부에 설치하여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의 휨강성과 말뚝기초의 지지 성능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시공 중 연약지반의 침하 및 상부구조물의 시공 완료 후 잔류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연약지반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말뚝과 상부에 포설되는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통해 지반 개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연약지반을 개량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킬 수 있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로 작용하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말뚝을 통해 지지층으로 전달함으로써, 지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연약지반의 침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은, 연약지반 보강영역에 시공되어 연약지반 침하를 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연약지반 하부의 지지층까지 근입되는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 상부에 시멘트 처리 자갈을 포설하여 형성하는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 휨 성능을 보강하도록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 내에 혼입되는 인장 보강재; 및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 상부에 시공되는 상부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는 상기 상부구조물에 기인하는 연약지반 침하를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상기 복수의 말뚝은 연약지반 침하를 2차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구조물은 성토층, 옹벽, 보강토 옹벽 또는 연직 토류구조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말뚝은,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보다 큰 역사다리형 두부를 구비한 말뚝으로서, 상기 연약지반 보강영역의 최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확대말뚝; 및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말뚝으로서, 상기 확대말뚝 사이에 설치되는 일반말뚝을 포함하되, 상기 확대말뚝은 지진 발생시 상부구조물의 좌우 락킹모션의 수평하중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말뚝은 상기 지지층의 깊이에 따라 다른 길이, 두께 및 간격을 갖는 말뚝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는, 상기 복수의 말뚝 상부에 제1 시멘트 처리 자갈을 포설하고, 상기 제1 시멘트 처리 자갈 상부에 상기 인장 보강재를 설치하며, 상기 인장 보강재 상부에 제2 시멘트 처리 자갈을 포설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는 현장타설 공법으로 상기 연약지반의 심도에 따라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 보강재는 토목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연약지반 보강영역에 시공되어 연약지반 침하를 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말뚝을 근입하도록 연약지반 보강영역의 지지층까지 굴착하고 고화제를 혼합,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지지층까지 복수의 말뚝을 근입 설치하는 단계; c) 인장 보강재가 매립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상기 복수의 말뚝의 상부에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 상에 상부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의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는 상기 상부구조물에 기인하는 연약지반 침하를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상기 b) 단계의 복수의 말뚝은 연약지반 침하를 2차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복수의 말뚝 상부에 제1 시멘트 처리 자갈을 포설하는 단계; c-2) 휨 성능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시멘트 처리 자갈 상부에 인장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c-3) 상기 인장 보강재 상부에 제2 시멘트 처리 자갈을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말뚝 이외에 토목섬유 등 인장 보강재가 혼입되어 휨 성능을 갖는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형성하고,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와 두부 확장형 확대말뚝을 구비한 교반 혼합 말뚝을 연결함으로써 연약지반의 침하를 이중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조건별 말뚝 길이, 두께 및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연약지반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지반운동의 면진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연약지반 상부에 성토층 형성시 부등침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상부구조물의 좌우 락킹모션의 수평하중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후 시간 경과와 함께 증가되는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의 강도가 증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잔류 침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약지반 보강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안정화제와 토목섬유를 이용한 연약지반 안정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상에 성토층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상에 연직 토류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에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에 작용하는 하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에서 말뚝에 의한 하중 전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에서 지지층의 깊이에 따라 다른 길이의 말뚝이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상에 성토층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상에 연직 토류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은, 연약지반 보강영역에 시공되어 연약지반 침하를 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확대말뚝(110), 일반말뚝(120),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 및 인장 보강재(140)를 포함한다.
복수의 말뚝(110, 120)은 확대말뚝(110) 및 일반말뚝(120)을 포함하며, 각각 연약지반(220) 하부의 지지층(210)까지 근입되며,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은 상기 지지층(210)의 깊이에 따라 다른 길이, 두께 및 간격을 갖는 말뚝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대말뚝(110)은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보다 큰 역사다리형 두부를 구비한 말뚝으로서, 상기 연약지반 보강영역의 최외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확대말뚝(110)은 지진 발생시 상부구조물의 좌우 락킹모션의 수평하중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말뚝(120)은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말뚝으로서, 상기 확대말뚝(110) 사이에 설치된다.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 상부에 시멘트 처리 자갈을 포설하여 형성한다. 즉,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시멘트 처리 자갈 내에 인장 보강재(140)인 토목섬유를 혼입하여 형성한 슬래브로서, 여기서, 시멘트 처리 자갈은 자갈중량의 3%의 시멘트를, 예를 들면 배치플랜트에서 골재와 함께 건식 비빔하여 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인장 보강재(140)는 휨 성능을 보강하도록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 내에 혼입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인장 보강재(140)는 토목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 내에 매설된 상태로 넓게 포설될 수 있다.
상부구조물은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 상부에 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구조물은 도 4에 도시된 일반 성토층(230)뿐만 아니라 옹벽, 보강토 옹벽,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보강노반 등의 연직 토류구조물(240)의 기초지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은 연약지반(220) 상부에 성토층9230) 등의 상부구조물 시공시에 발생하는 침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토목섬유 등 인장 보강재(140)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최소한의 말뚝(110, 120)을 설치함으로써 설치간격을 최대화한 교반형 말뚝공법을 적용하여 경제적으로 성토층 등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상기 상부구조물에 기인하는 연약지반 침하를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은 연약지반 침하를 2차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약지반(2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말뚝(110, 120)과 상부에 포설되는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를 통해 지반 개량률을 최소화하면서 연약지반을 개량하여 침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로 작용하는 상부구조물(230, 240)의 하중을 말뚝(110, 120)을 통해 지지층(210)으로 전달함으로써, 지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연약지반의 침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에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에 작용하는 하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에 상부구조물의 하중이 작용하여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의 하단에 휨 인장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경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의 포설 시 하부에 인장 보강재(140)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가 휨강성을 가지게 되므로 상부하중에 대한 변형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 상부에 제1 시멘트 처리 자갈(130a)을 포설하고, 상기 제1 시멘트 처리 자갈(130a) 상부에 상기 인장 보강재(140)를 설치하며, 상기 인장 보강재(140) 상부에 제2 시멘트 처리 자갈(130b)을 포설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현장타설 공법으로 상기 연약지반(220)의 심도에 따라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시간경과에 따라 강도가 증진되므로 시간에 따른 잔류침하 억제 효과가 추가로 발휘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에서 말뚝에 의한 하중 전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말뚝(110) 및 일반말뚝(120)은 상부하중을 지지층(210)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은, 지반 굴착과 동시에 고화제를 주입하여 굴착토와 고화제가 혼합, 교반형 말뚝(110, 120)을 형성할 수 있고, 현장타설 공법으로 연약지반(220) 심도에 따른 깊이 조절로 경제적인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말뚝(110, 120) 상부의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로 인해 1차적인 지반 개량이 이루어지므로 말뚝(110, 120)의 설치는 연약지반 개량률을 최소화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에 가해지는 하중은 말뚝(110, 120)을 통해 지지층(210)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말뚝(110, 120)은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진 발생시 상부구조물인 성토층의 좌우 락킹모션 등의 수평하중에 의한 안정성 확보 및 변위 방지를 위하여 최외측의 말뚝은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보다 큰 역사다리꼴의 두부를 가지고 있는 확대말뚝(110)을 적용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에서 지지층의 깊이에 따라 다른 길이의 말뚝이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은 지지층(210)의 깊이에 따라 말뚝의 길이를 달리하여 확대말뚝(110a, 110b) 및 일반말뚝(120a, 120b, 120c)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대말뚝(110a, 110b) 및 일반말뚝(120a, 120b, 120c)은 상기 지지층(210)의 깊이에 따라 다른 길이, 두께 및 간격을 갖는 말뚝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경우, 확대말뚝(110)은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보다 큰 역사다리형 두부를 구비한 말뚝으로서, 상기 연약지반 보강영역의 최외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확대말뚝(110)은 지진 발생시 상부구조물의 좌우 락킹모션의 수평하중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말뚝(120)은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말뚝으로서, 상기 확대말뚝(110)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에 따르면, 토목섬유 등의 인장 보강재와 시멘트 처리 자갈을 결합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교반 혼합 말뚝기초의 상부에 설치하여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의 휨강성과 말뚝기초의 지지 성능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시공 중 연약지반의 침하 및 상부구조물의 시공 완료 후 잔류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동작흐름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f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연약지반 보강영역에 시공되어 연약지반 침하를 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으로서,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말뚝(110, 120)을 근입하도록 연약지반 보강영역의 지지층(210)까지 굴착하고 고화제를 혼합, 교반한다(S110).
다음으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층(210)까지 복수의 말뚝(110, 120)을 근입 설치한다(S120).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은,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보다 큰 역사다리형 두부를 구비한 말뚝으로서, 상기 연약지반 보강영역의 최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확대말뚝(110); 및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말뚝으로서, 상기 확대말뚝(110) 사이에 설치되는 일반말뚝(120)을 포함하되, 상기 확대말뚝(110)은 지진 발생시 상부구조물의 좌우 락킹모션의 수평하중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은 상기 지지층(210)의 깊이에 따라 다른 길이, 두께 및 간격을 갖는 말뚝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 상부에 제1 시멘트 처리 자갈(130a)을 포설한다(S130).
다음으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 성능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시멘트 처리 자갈(130a) 상부에 인장 보강재(140)를 설치한다(S140).
다음으로,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 보강재(140) 상부에 제2 시멘트 처리 자갈(130b)을 포설한다(S150). 이에 따라 인장 보강재(140)가 매립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가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현장타설 공법으로 상기 연약지반(220)의 심도에 따라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 상에 상부구조물을 시공한다(S160). 여기서, 상기 상부구조물은 성토층(230), 옹벽, 보강토 옹벽 또는 연직 토류구조물(24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상기 상부구조물에 기인하는 연약지반 침하를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상기 b) 단계의 복수의 말뚝(110, 120)은 연약지반 침하를 2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약지반의 개량을 최소화하면서 경제적으로 연약지반상 상부구조물의 침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시공기간이 짧은 현장의 연약지반을 급속 개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말뚝 이외에 토목섬유 등 인장 보강재가 혼입되어 휨 성능을 갖는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형성하고,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와 두부 확장형 확대말뚝을 구비한 교반 혼합 말뚝을 연결함으로써 연약지반의 침하를 이중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반조건별 말뚝 길이, 두께 및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연약지반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지반운동의 면진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연약지반 상부에 성토층 형성시 부등침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진 발생시 상부구조물의 좌우 락킹모션의 수평하중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 후 시간 경과와 함께 증가되는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의 강도가 증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잔류 침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확대말뚝
120: 일반말뚝
130: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
130a: 제1 시멘트 처리 자갈
130b: 제2 시멘트 처리 자갈
140: 인장 보강재
210: 지지층
220: 연약지반
230: 상부구조물(성토층)
240: 상부구조물(연직 토류구조물)

Claims (13)

  1. 연약지반 보강영역에 시공되어 연약지반 침하를 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연약지반(220) 하부의 지지층(210)까지 근입되는 복수의 말뚝(110, 120);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 상부에 시멘트 처리 자갈을 포설하여 형성하는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
    휨 성능을 보강하도록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 내에 혼입되는 인장 보강재(140); 및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 상부에 시공되는 상부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상기 상부구조물에 기인하는 연약지반 침하를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은 연약지반 침하를 2차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물은 성토층(230), 옹벽, 보강토 옹벽 또는 연직 토류구조물(2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은,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보다 큰 역사다리형 두부를 구비한 말뚝으로서, 상기 연약지반 보강영역의 최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확대말뚝(110); 및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말뚝으로서, 상기 확대말뚝(110) 사이에 설치되는 일반말뚝(120)
    을 포함하되,
    상기 확대말뚝(110)은 지진 발생시 상부구조물의 좌우 락킹모션의 수평하중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은 상기 지지층(210)의 깊이에 따라 다른 길이, 두께 및 간격을 갖는 말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 상부에 제1 시멘트 처리 자갈(130a)을 포설하고, 상기 제1 시멘트 처리 자갈(130a) 상부에 상기 인장 보강재(140)를 설치하며, 상기 인장 보강재(140) 상부에 제2 시멘트 처리 자갈(130b)을 포설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현장타설 공법으로 상기 연약지반(220)의 심도에 따라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보강재(140)는 토목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8. 연약지반 보강영역에 시공되어 연약지반 침하를 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말뚝(110, 120)을 근입하도록 연약지반 보강영역의 지지층(210)까지 굴착하고 고화제를 혼합,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지지층(210)까지 복수의 말뚝(110, 120)을 근입 설치하는 단계;
    c) 인장 보강재(140)가 매립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를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의 상부에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 상에 상부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의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상기 상부구조물에 기인하는 연약지반 침하를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상기 b) 단계의 복수의 말뚝(110, 120)은 연약지반 침하를 2차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 상부에 제1 시멘트 처리 자갈(130a)을 포설하는 단계;
    c-2) 휨 성능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 시멘트 처리 자갈(130a) 상부에 인장 보강재(140)를 설치하는 단계; 및
    c-3) 상기 인장 보강재(140) 상부에 제2 시멘트 처리 자갈(130b)을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130)는 현장타설 공법으로 상기 연약지반(220)의 심도에 따라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상부구조물은 성토층(230), 옹벽, 보강토 옹벽 또는 연직 토류구조물(2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복수의 말뚝(110, 120)은,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보다 큰 역사다리형 두부를 구비한 말뚝으로서, 상기 연약지반 보강영역의 최외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확대말뚝(110); 및
    상부의 단면이 하부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말뚝으로서, 상기 확대말뚝(110) 사이에 설치되는 일반말뚝(120)
    을 포함하되,
    상기 확대말뚝(110)은 지진 발생시 상부구조물의 좌우 락킹모션의 수평하중에 의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말뚝(110, 120)은 상기 지지층(210)의 깊이에 따라 다른 길이, 두께 및 간격을 갖는 말뚝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70087648A 2017-07-11 2017-07-11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6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648A KR20190006668A (ko) 2017-07-11 2017-07-11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648A KR20190006668A (ko) 2017-07-11 2017-07-11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668A true KR20190006668A (ko) 2019-01-21

Family

ID=6527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648A KR20190006668A (ko) 2017-07-11 2017-07-11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66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509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연약지반 기초처리를 위한 복합공법
CN115217066A (zh) * 2022-08-11 2022-10-21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防渗加固的岛壁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354541A (zh) * 2022-09-01 2022-11-18 中国建筑土木建设有限公司 弃土场路基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2231A (ja) 1990-06-30 1992-02-27 Shimizu Corp 軟弱地盤上打設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205794B1 (ko) 1997-01-25 1999-07-01 홍원표 교대뒷채움부 성토지지말뚝의 설치구조
KR200233322Y1 (ko) 2001-03-21 2001-10-08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연약지반의 표층부용 보강재
KR100881944B1 (ko) 2006-04-19 2009-02-04 (주)다이크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 방법 및 말뚝 두부에 설치된토목섬유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지지력 강화장치
KR101172519B1 (ko) 2008-11-24 2012-08-14 에이치엔티환경건설개발주식회사 연약지반 개량 공법
KR20150085637A (ko) 2014-01-16 2015-07-24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안정화제와 토목섬유를 이용한 연약지반 안정화 공법 및 그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2231A (ja) 1990-06-30 1992-02-27 Shimizu Corp 軟弱地盤上打設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205794B1 (ko) 1997-01-25 1999-07-01 홍원표 교대뒷채움부 성토지지말뚝의 설치구조
KR200233322Y1 (ko) 2001-03-21 2001-10-08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연약지반의 표층부용 보강재
KR100881944B1 (ko) 2006-04-19 2009-02-04 (주)다이크 연약지반의 지지력 강화 방법 및 말뚝 두부에 설치된토목섬유를 포함하는 연약지반 지지력 강화장치
KR101172519B1 (ko) 2008-11-24 2012-08-14 에이치엔티환경건설개발주식회사 연약지반 개량 공법
KR20150085637A (ko) 2014-01-16 2015-07-24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안정화제와 토목섬유를 이용한 연약지반 안정화 공법 및 그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509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에이치엔티 연약지반 기초처리를 위한 복합공법
CN115217066A (zh) * 2022-08-11 2022-10-21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防渗加固的岛壁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354541A (zh) * 2022-09-01 2022-11-18 中国建筑土木建设有限公司 弃土场路基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zorenko et al. Dynamic behavior and stability of soil foundation in heavy haul railway tracks: A review
CN103958780B (zh) 形成胶结挡土墙的方法
KR101893408B1 (ko) 연약지반의 침하 억제를 위해 선단지지력을 강화한 궤도 지지말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006900B1 (ko)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CN106522270A (zh) 一种含eps缓冲层的桩基挡墙抗震支挡结构及施工方法
KR20180098794A (ko) 열차하중의 전달범위를 고려한 토공 접속부의 노반보강 방법
KR20190006668A (ko) 인장 보강재로 보강된 시멘트 처리 자갈슬래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 침하를 이중저감시키는 말뚝기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0777569A (zh) 膨胀土有限变形防上拱的地基结构和地基结构的施工方法
KR100973613B1 (ko) 연약지반의 등분포 하중을 이용한 pc블록 임시용가설도로 시공방법
US5746544A (en) Process and structure for reducing roadway construction period
CN110629770A (zh) 一种库区边坡消落带防渗-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JPS62260919A (ja) 基礎地盤の耐震補強方法
RU2651854C1 (ru)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активного давления грунта на вертикальные и наклонные поверхности элементов искусственных сооружений и конструкция монолитного геомассива, изготовленная с применением способа
RU2344231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а основания фундаментов сооружений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 армированием сборными железобетон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JPH05287723A (ja) 軟弱地盤上への道路等の基礎地盤建設方法
CN111893829A (zh) 一种路基的防护结构
KR20140036766A (ko) 내진성능을 갖는 철도 노반구조물
KR100857922B1 (ko)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
CN212925645U (zh) 一种路基的防护结构
CN211227880U (zh) 一种膨胀土有限变形防上拱的地基结构
CN212742411U (zh) 一种护岸边坡桩锚支护
US11781280B2 (en) Local deep excavation and backfilling structural subgrade and its rapid construction method
CN218990221U (zh) 一种高速公路浸水路基防护加固结构
CN210737585U (zh) 支挡结构
RU97384U1 (ru) Основание для безбалластного пу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