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400B1 - 가스용기 - Google Patents

가스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400B1
KR101116400B1 KR1020090042106A KR20090042106A KR101116400B1 KR 101116400 B1 KR101116400 B1 KR 101116400B1 KR 1020090042106 A KR1020090042106 A KR 1020090042106A KR 20090042106 A KR20090042106 A KR 20090042106A KR 101116400 B1 KR101116400 B1 KR 101116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verpressure
mounting cap
gas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081A (ko
Inventor
장준혁
Original Assignee
장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혁 filed Critical 장준혁
Priority to KR1020090042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40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부탄가스를 충전시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온도변화가 가스용기 내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충진된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시켜 과압의 조성이 예방되도록 함과 아울러 가스용기 내에 충진된 가스에 과압이 조성되더라도 일정압에 이르게 되면 과압가스를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가스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단부에 밀폐판이 결합되는 원통형 본체(19)의 상부에 대략의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지지판(16)을 결합하며, 지지판(16)의 상부에 마운팅 캡(11)을 결합하여 가스가 충진되는 본체(19)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마운팅 캡(11)의 내측에 요철돌기(13)를 형성하여 그 저부에 마련되는 결합홈(13a)에 지지판(16)의 상단 개구부를 결합홈(13a)에 인입시켜 지지판(16)과 본체(19)를 결합하며, 마운팅 캡(11)의 장전부(11a) 중앙에 형성되는 하우징(14)의 내부에 밸브 어셈블리(20)를 설치하여 분사 노즐(15)이 하우징(14)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마운팅 캡(11)의 하우징(14)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 어셈블리(20)의 공급관(P1)에 직교하는 흡입 대롱(P2)을 형성하여 구성된 가스용기(10)에 있어서;
상기 본체(19)의 표면에 온도의 전이를 차폐시킬 수 있는 열차폐 도료(I)를 도포하여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본체(19) 내부에 온도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공급관(P1)에 형성된 흡입 대롱(P2)의 일측에 상방으 로 신장되는 과압가스 배출관(P3)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충전된 가스의 온도상승을 억제함으로써 1차적으로 과압을 방지하고 가스의 온도상승을 억제함에도 불구하고 가스용기 내에 과압이 조성되면 2차적으로 과압가스를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용기 내의 과압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가스용기의 폭발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스용기, 마운팅 캡, 본체, 열차폐 도료, 과압가스 배출관

Description

가스용기{gas can}
본 발명은 가스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부탄가스를 충전시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휴대용(일회용) 가스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야외 나들이 및 레저생활이 급증하고 있으며, 야외 생활이 늘면서 가격이 저렴하고 휴대가 용이한 조리용 도구인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보급 및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휴대용 가스-레인지에는 가스(부탄)가 충진된 휴대용 가스용기를 장착하여 사용하는데,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가스용기의 경우 과압에 의한 폭발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과압은 가스용기 외부 온도의 상승에 따른 가스팽창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도 1에 종래 가스용기(1)의 일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2에 종래 가스용기(1)에 사용되는 마운팅 캡(2)을 발췌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스용기(1)는 하단부에 밀폐판이 결합되는 원통형 본체(8)의 상부에 대략의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지지판(6)을 결합하며, 지지판(6)의 상부에 마운팅 캡(2)을 결합하여 가스가 충진되는 본체(8)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마운팅 캡(2)의 외주연 일측에는 위치맞춤용 절개홈(3)을 형성하고, 마운팅 캡(2)의 내측에는 지지판(6)을 결합시키기 위한 요철돌기(2a)를 형성하며, 요철돌기(2a)의 내측에 하방으로 함몰되는 장전부(2b)를 형성하여 장전부(2b)의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우징(4)을 형성하고, 하우징(4)의 내부에 밸브 어셈블리(미도시됨)를 설치하여 밸브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분사 노즐(5)이 하우징(4)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밸브 어셈블리에 마련되는 배출관(P1)에 직교하는 흡입 대롱(P2)을 형성하여 분사 노즐(5)을 눌러주면 가스용기(1) 내에 충진된 가스가 흡입 대롱(P2) 및 배출관(P1)을 경유하여 분사 노즐(5)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도 2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가스용기는 용기 내에 충진된 가스의 과압을 방지할 수 있는 별반의 수단을 갖추지 아니한 것으로, 외부 온도의 상승이 있을 경우 가스용기 내에 충진된 가스가 온도의 영향을 받아 상승함으로써 가스팽창이 발생하여 과압을 조성하게 되는데, 종래 가스용기는 충진된 가스의 과압이 조성되더라도 과압가스를 배출해주기 위한 수단이 없어 과압에 따른 폭발사고의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에 따라 가스용기의 흡입 대롱에 과압가스를 배출시켜 주기 위한 과압가스 배출관을 설치하여 가스용기 내부에 과압이 발생하였을 경우 과압가스를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과압가스 배출형 가스용기가 안출되었으며, 위와 같은 과압가스 배출형 가스용기는 과압가스 배출관 내부에 흡입 대롱과 관통하는 과압가스 배출공을 형성하여 과압가스 배출공이 단속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되는 단속 부재에 의해 차폐되도록 한 것으로 흡입 대롱에 일정 기준의 과압이 발생하면 과압가스가 단속 부재를 밀어올리면서 과압가스 배출관으로 배출되고 과압가스 배출관으로 배출된 과압가스는 가스용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과압가스 배출형 가스용기는 내부에 과압가스 배출관을 설치하여 과압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과압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과압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없었으며, 또한, 과압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과압가스 배출관을 가스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작업이 까다로워 가스용기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과압가스 배출관에 의한 과압가스의 정확한 배출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가스용기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외부의 온도변화가 가스용기 내부에 전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충진된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시켜 가스용기 내에 과압이 조성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른 변수에 의해 가스용기 내에 과압이 조성되더라도 일정압에 이르게 되면 과압가스를 가스용기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압가스로 인한 가스용기의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하였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부에 밀폐판이 결합되도록 한 원통형 본체의 상부에 대략의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지지판을 결합하며, 지지판의 상부에 마운팅 캡을 결합하여 가스가 충진되는 본체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마운팅 캡의 내측에 요철돌기를 형성하여 그 저부에 마련되는 결합홈에 지지판의 상단 개구부를 결합홈에 인입시켜 지지판과 본체를 결합하며, 마운팅 캡의 장전부 중앙에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밸브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분사 노즐이 하우징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마운팅 캡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 어셈블리의 공급관에 직교하는 흡입 대롱을 형성하여 가스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스용기는 본체의 표면에 온도의 전이를 차폐시킬 수 있는 열차폐 도료를 도포하여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본체 내부에 온도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급관에 형성된 흡입 대롱의 일측에 상방으로 신장되는 과압가스 배출관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가스용기는 외부 온도가 내부에 충진된 가스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과압가스가 발생하였을 경 우에는 과압가스를 가스용기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스용기 내부에 충전된 가스의 온도상승을 억제함으로써 1차적으로 가스팽창에 의한 과압을 방지하고 가스의 온도상승을 억제함에도 불구하고 가스용기 주변의 과대한 온도상승이나 가스용기에 대한 외부 충격 등과 같은 변수에 의해 가스용기 내부에 과압이 조성되면 2차적으로 과압가스를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가스용기에 충진된 가스의 과압발생에 대해 이중으로 대비하여 과압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휴대용 가스용기는 다양한 변수에 의해 발생하는 과압으로 인한 휴대용 가스용기의 폭발사고 위험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는 것인바,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3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가스용기(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캡(11)을 발췌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단부에 밀폐판(미도시됨)을 마련하는 원통형 본체(19)의 상부에 대략의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지지판(16)을 결합하며, 지지판(16)의 상부에 마운팅 캡(11)을 결합하여 가스가 충진되는 본체(19)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마운팅 캡(11)의 하우징(14)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 어셈블리(20)의 공급관(P1)에 직교하는 흡입 대롱(P2)을 형성하며, 흡입 대롱(P2)에 형성되는 과압가스 배출관(P3) 내부에 단속 스프링(S)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도록 한 단속 부재(23)를 설치하여 과압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본체(19)의 표면에 온도의 전이를 차폐시킬 수 있는 열차폐 도료(I)를 도포하여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본체(19) 내부에 온도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공급관(P1)에 형성된 흡입 대롱(P2)의 일측에 상방으로 신장되는 과압가스 배출관(P3)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캡(11)의 참고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 일측에 위치맞춤용 절개홈(12)이 마련되는 마운팅 캡(11)의 내측에 요철돌기(13)를 형성하고, 요철돌기(13)의 저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3a)에 오-링 형태의 기밀부재(S)를 삽입하며, 지지판(16)의 상단 개구부를 결합홈(13a)에 인입시켜 지지판(16)과 본체(19)를 결합하고, 요철돌기(13)의 내측에 함몰?형성되도록 한 장전부(11a)의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우징(14)을 형성하고, 하우징(14)의 내부에 밸브 어셈블리(20)를 설치하여 밸브 어셈블리(20)에 설치된 분사 노즐(15)이 하우징(14)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 어셈블리(20)의 공급관(P1)에 형성되는 흡입 대롱(P2)은 공급관(P1)와 일체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 흡입 대롱(P2)의 일측에 상방으로 신장하는 과압가스 배출관(P3)을 설치하고, 흡입 대롱(P2)과 과압가스 배출관(P3)를 구획하는 격판(24)에 과압가스 배출공(24a)을 형성하며, 과압가스 배출관(P3)의 내측 하방에 단턱지는 지지부(23a)가 형성된 단속 부재(23)를 설치하고, 단속 부재(23)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상부에 스프링 지지구(22)를 설치하여 단속 부재(23)의 지지부(23a)와 스프링 지지구(22)간에 적의의 탄성계수를 갖는 코일형 탄발 스프링(S)을 개재시켜 탄발 스프링(S)의 탄발력에 의해 단속 부재(23)가 과압가스 배출 공(24a)을 밀폐시키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과압가스 배출관(P3)의 내면에 동일한 규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단(D1)을 형성하여 과압가스 배출관(P3)과 단속 부재(23) 사이에 돌기단(D1)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과압가스 유동 통로(D2)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과압가스 배출공(24a)은 상면에 쐐기형으로 돌출되는 거치단(24b)을 형성하여 과압가스 배출공(24a) 거치단(24b)에 단속 부재(23)의 저면이 밀착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과압가스 배출공(24a)과 단속 부재(23)의 접촉면을 최소화시켜 과압가스 배출공(24a)과 단속 부재(23)의 저면 사이에 이물질이 개입되어 가스가 누출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도록 함과 아울러 과압가스에 의한 단속 부재(23)의 개폐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탄발 스프링(S)의 탄성계수는 기준이 되는 과압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기준 과압보다 높은 과압이 발생하였을 경우 과압에 의해 단속 부재(23)가 탄발 스프링(S)의 탄성을 극복하고 상부로 들려지도록 하며, 상기 단속 부재(23)는 연질 고무(rubber) 재질로 제작하여 과압가스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단속 부재(23)의 저면이 과압가스 배출공(24a)의 거치단(24b)에 밀착되어 과압가스 배출공(24a)을 기밀하게 밀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운팅 캡(11)에 마련되는 장전부(11a)의 저면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기(H1)를 형성하여 결합 돌기(H1)의 중앙에 배출 통공(H2)을 천공하고, 과압가스 배출관(P3)을 결합 돌기(H1)에 연결하여 과압가스가 결합 돌기(H1)에 마련된 배출 통공(H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결합 돌기(H1)와 과압가스 배출관(P3) 사이에는 연결 플랜지(21)를 개재하여 결합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6 [A],[B],[C]에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구(22)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지지구(22)는 직경이 넓은 원통 형태의 상단체(221)와 직경이 좁은 원기둥 형태의 하단체(222)가 일체를 이루도록 성형한 것으로, 하단체(222)에는 상단체(221)의 중공부로 관통하는 배출공(223)을 형성하고, 상단체(221)와 하단체(222)의 접경지역에 중공부로 관통하는 복수의 보조 배출공(224)을 형성하여 배출공(223)과 보조 배출공(224)을 통해 과압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과압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스프링 지지구(22)를 구성하는 하단체(222)는 상단체(221)의 내경보다 적게 구성하여 상단체(221)의 내경과 하단체(222)의 외주연 사이의 영역에 보조 배출공(224)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 지지구(22)와 단속 부재(23)의 지지부(23a) 간에 개재되는 탄발 스프링(S)이 보조 배출공(224)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탄발 스프링(S)이 보조 배출공(224)에 의한 과압가스의 배출을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한다.(도 10 참조)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랜지(21)를 발췌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랜지(21)는 기밀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연질 고무(rubber) 재질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원판 형태로 된 구획판(211)의 상,하면에 상,하부 결합부재(212,213)를 형성하여 구획판(211)과 상,하부 결합부재(212,213)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상,하부 결합부재(212,213)를 관통하는 결합 공(214)의 중간 지점에 스톱퍼(215)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 플랜지(21)는 마운팅 캡(11)의 장전부(11a)에 형성된 결합 돌기(H1)가 결합공(214)에 삽입?결합되고 하부 결합부재(213)가 과압가스 배출관(P3)에 삽입?결합되는 것으로, 연결 플랜지(21)가 가이드의 역활을 하여 과압가스 배출관(P3)와 결합 돌기(H1)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결합돌기(H1)가 삽입되는 연결 플랜지(21)의 결합공(214)에 스톱퍼(215)를 형성함으로써 결합돌기(H1)의 성형길이에 관계없이 기밀유지가 가능해진다.
즉, 결합돌기(H1)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상부 결합부재(212)의 상면이 마운팅 캡(11)의 저면에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되고, 결합돌기(H1)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결합돌기(H1)의 단부가 결합공(214)에 형성된 스톱퍼(215)에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장전부(11a)의 결합 돌기(H1)에 형성되는 배출 통공(H2)의 외측 개구부에 점착제가 도포된 확인 스티커(L)를 부착하여 가스용기(10) 내에 과압이 발생하여 과압가스 배출관(P3)의 작용에 의해 배출 통공(H2)을 통해 과압가스가 배출되면 과압가스의 분출력에 의해 확인 스티커(L)가 배출 통공(H2)의 개구부에서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9 [A],[B] 참조)
위와 같이 배출 통공(H2)의 개구부에 확인 스티커(L)를 부착하면 가스용기(10) 내에 과압가스가 발생하여 과압가스 배출관(P3)의 작용에 의해 가스가 배출되었는가를 바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와의 분쟁(가스의 비정상적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작용>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본체(19)의 표면에 열차폐 도료(I)가 소정 두께로 도포된 것으로, 가스용기(10) 외부의 온도상승이 있더라도 열차폐 도료(I)가 외부 온도가 가스용기(10) 내부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하여 가스용기 내부에 충진된 가스에 온도상승에 따른 열팽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과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용기(10) 내부에 가스팽창이나 기타 변수에 의한 과압이 발생하였을 경우 과압가스 배출관(P3)을 통해 과압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그 작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가스용기(10) 내에 설정된 기준과압 이상의 과압이 조성되면 과압에 의해 단속 부재(23)가 탄발 스프링(S)의 탄성을 극복하고 상부로 들려지게 되고, 단속 부재(23)가 들려지면서 과압가스 배출관(P1) 저면의 격판(24)에 형성된 통공(24a)을 통해 과압가스가 유입되며, 유입된 과압가스는 단속 부재(23)와 과압가스 배출관(P3)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과압가스 유동 통로(D2)를 경유하여 상부로 배출되어 스프링 지지구(22)에 형성된 배출공(223)과 보조 배출공(224)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공(223)과 보조 배출공(224)으로 배출된 과압가스는 연결 플랜지(21)의 결합공(214)과 결합 돌기(H1)의 배출 통공(H2)을 통해 가스용기(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도 9 [B] 참조)
본 발명은 과압가스 배출관(P3)를 통해 과압이 조성되면 즉시 과압가스의 배출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스용기(10)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 으며, 또한, 분사 노즐(15)을 통해 가스를 공급하여 주기 위한 공급관(P1)와 배출 통공(H2)을 통해 과압가스를 배출시켜 주기 위한 과압가스 배출관(P3)를 이원화시킴으로써 가스용기(10)의 사용과정에서 과압이 발생해도 과압가스를 원활하게 배출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가스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가스용기에 사용되는 마운팅 캡을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가스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캡을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캡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6 [A]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구의 평면도이고, [B]는 [A]에 표시된 B - B선 단면도이며, [C]는 [B]에 표시된 C - 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플랜지를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과압가스 배출관와 단속 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 [A],[B]는 본 발명에 따른 과압가스 배출관에 의한 과압가스의 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구를 통해 과압가스가 배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가스용기 11: 마운팅 캡
14: 하우징 15: 분사 노즐
20: 밸브 어셈블리 21: 연결 플랜지
22: 스프링 지지구 23: 단속 부재

Claims (4)

  1. 하단부가 밀폐판에 의해 밀폐되는 원통형 본체(19)의 상부에 반원형으로 돌출되는 지지판(16)을 설치하여 밴딩 부재(17)로 결합하며, 지지판(16)의 상부에 마운팅 캡(11)을 결합하고, 마운팅 캡(11)의 내측에 요철돌기(13)를 형성하여 그 저부에 마련되는 결합홈(13a)에 지지판(16)의 상단 개구부를 결합홈(13a)에 인입시켜 지지판(16)과 본체(19)를 결합하며, 마운팅 캡(11)의 장전부(11a) 중앙에 형성되는 하우징(14)의 내부에 밸브 어셈블리(20)를 설치하여 분사 노즐(15)이 하우징(14)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밸브 어셈블리(20)의 공급관(P1)에 직교하는 흡입 대롱(P2)을 형성하며, 흡입 대롱(P2)에 형성되는 과압가스 배출관(P3) 내부에 스프링 지지구(22)에 탄지되는 단속 스프링(S)에 의해 과압가스 배출공(24a)의 개폐를 단속시키도록 한 단속 부재(23)를 설치하여 과압가스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가스용기(10)에 있어서;
    상기 가스용기(10)는 본체(19)의 표면에 외부 온도의 전이를 차폐시킬 수 있는 열차폐 도료(I)를 도포하여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본체(19) 내부에 온도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과압가스 배출관(P3)의 저부에 마련되는 격판(24)에 과압가스 배출공(24a)을 형성하되, 과압가스 배출공(24a)의 상면에 쐐기형으로 돌출되는 거치단(24b)을 형성하고;
    상기 과압가스 배출관(P3)에 단턱지는 지지부(23a)가 형성된 단속 부재(23)를 설치하여 단속 부재(23)의 지지부(23a)와 스프링 지지구(22)간에 코일형 탄발 스프링(S)을 설치하되, 과압가스 배출관(P3)의 내면에 동일한 규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단(D1)을 형성하여 과압가스 배출관(P3)과 단속 부재(23) 사이에 돌기단(D1)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가스유동 통로(D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마운팅 캡(11)에 마련되는 장전부(11a)의 저면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결합 돌기(H1)를 형성하여 결합 돌기(H1)의 중앙에 배출 통공(H2)을 천공하고, 과압가스 배출관(P3)를 결합 돌기(H1)에 연결하여 과압가스가 결합 돌기(H1)에 마련된 배출 통공(H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결합 돌기(H1)와 과압가스 배출관(P3) 간에 기밀유지를 위한 연결 플랜지(21)를 개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랜지(21)는 연질 고무(rubber) 재질로 제작하여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원판 형태의 구획판(211) 상,하면에 상,하부 결합부재(212,213)를 형성하여 구획판(211)과 상,하부 결합부재(212,213)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상,하부 결합부재(212,213)를 관통하는 결합공(214)의 중간 지점에 스톱퍼(215)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구(22)는 직경이 넓은 원통 형태의 상단체(221)와 직경이 좁은 원기둥 형태의 하단체(222)가 일체를 이루도록 성형하여 하단체(222)에 상단체(221)의 중공부로 관통하는 배출공(223)을 형성하고, 상단체(221)와 하단체(222)의 접경지역에 중공부로 관통하는 복수의 보조 배출공(224)을 형성하되, 하단체(222)의 외경이 상단체(221)의 내경보다 적게 구성하여 상단체(221)의 내경과 하단체(222)의 외주연 사이의 영역에 보조 배출공(224)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 지지구(22)와 단속 부재(23)의 지지부(23a) 간에 개재되는 탄발 스프링(S)이 보조 배출공(224)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H1)에 형성되는 배출 통공(H2)의 외측 개구부에 점착제가 도포된 확인 스티커(L)를 부착하여 과압가스의 배출시에 확인 스티커(L)가 배출 통공(H2)의 개구부에서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
KR1020090042106A 2009-05-14 2009-05-14 가스용기 KR101116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106A KR101116400B1 (ko) 2009-05-14 2009-05-14 가스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106A KR101116400B1 (ko) 2009-05-14 2009-05-14 가스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081A KR20100123081A (ko) 2010-11-24
KR101116400B1 true KR101116400B1 (ko) 2012-03-14

Family

ID=4340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106A KR101116400B1 (ko) 2009-05-14 2009-05-14 가스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825B1 (ko) 2013-11-29 2015-10-23 원준용 가스통의 가스 배출 방지용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803B1 (ko) 2015-09-10 2017-05-02 김성민 가스용기의 가스 배출 차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9100A (en) 1979-10-15 1981-05-22 Tokyo Aerosol Kagaku Kk Apparatus for filling or supplying propellant into aerosol sprayer
KR200200423Y1 (ko) * 2000-05-26 2000-10-16 김선기 함몰식 분사노즐을 구비한 휴대용 가스용기
KR20040071484A (ko) * 2003-02-06 2004-08-12 장준혁 에어로졸용기의 과압안전장치
KR100679295B1 (ko) * 2005-10-19 2007-02-15 장준혁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9100A (en) 1979-10-15 1981-05-22 Tokyo Aerosol Kagaku Kk Apparatus for filling or supplying propellant into aerosol sprayer
KR200200423Y1 (ko) * 2000-05-26 2000-10-16 김선기 함몰식 분사노즐을 구비한 휴대용 가스용기
KR20040071484A (ko) * 2003-02-06 2004-08-12 장준혁 에어로졸용기의 과압안전장치
KR100679295B1 (ko) * 2005-10-19 2007-02-15 장준혁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825B1 (ko) 2013-11-29 2015-10-23 원준용 가스통의 가스 배출 방지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081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361B1 (ko) 연료 차단 밸브
JP5476351B2 (ja) パンク修理用のキャップユニット
RU2727813C2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насадка, в которой он используется, и сжимаемый контейнер
US9097356B2 (en) Check valve
JP5466984B2 (ja) 安全弁
EP1590597B1 (en) Overpressure safety apparatus of gas fuel container
RU2010140905A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JP2013502350A (ja) 安全突起付きバルブ
KR101116400B1 (ko) 가스용기
WO2004070261A1 (en) Overpressure safety apparatus of aerosol container
JP2008151243A (ja) リリーフバルブ
JP2004218631A (ja) プレッシャバルブ付きラジエータキャップ
JP5311475B2 (ja) 液体吐出ポンプ
JP2015229066A (ja) 差圧式容器弁
US8979527B2 (en) Gas ligh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189551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조정기 안전밸브
JP4641955B2 (ja) ガスガバナ
KR200480641Y1 (ko) 개폐밸브
JP2016104642A (ja) エアーバックレスキャップ、およびこのキャップを備えた容器
JP6196762B2 (ja) 燃料電池用カートリッジ
US11089914B2 (en) Liquid pump mechanism for soap dispenser
JP2021529286A (ja) 吐水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加湿器
CN217177426U (zh) 针式装配螺纹阀门
KR100957512B1 (ko) 재충전이 불가능한 밸브
KR101897739B1 (ko) 분사용기 및 이의 밸브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