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295B1 -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295B1
KR100679295B1 KR1020050098801A KR20050098801A KR100679295B1 KR 100679295 B1 KR100679295 B1 KR 100679295B1 KR 1020050098801 A KR1020050098801 A KR 1020050098801A KR 20050098801 A KR20050098801 A KR 20050098801A KR 100679295 B1 KR100679295 B1 KR 100679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b
gas
main housing
over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장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혁 filed Critical 장준혁
Priority to KR1020050098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295B1/ko
Priority to TW094141313A priority patent/TWI29402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스템이 내장되는 메인하우징과 별도로 서브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서브하우징 내에 안전밸브를 내장하여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이루어진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메인하우징(10)과, 메인하우징 내부에 탄성 지지되는 밸브스템(20)과, 밸브스템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개폐하는 개폐용 씰(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메인하우징의 수직부와 나란히 설치되는 서브하우징(50)과, 서브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안전밸브(60)와, 메인하우징의 수직부 외주연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브하우징이 올바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설정돌부(13)와, 메인하우징의 수직부 외주연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서브하우징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하우징, 밸브스템, 개폐용 씰, 서브하우징, 안전밸브, 위치 설정돌부, 유동방지돌부

Description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Valve assembly for gas contain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를 나타내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운팅캡의 저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인하우징 및 서브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인 가스유로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과압가스유로를 통해 과압가스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의 메인하우징과 서브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메인하우징과 서브하우징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의 Ⅹ-Ⅹ 선단면도.
도 11은 도 8의 ⅩⅠ-ⅩⅠ 선단면도.
도 12는 도 8의 ⅩⅡ-ⅩⅠ 선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메인하우징 11 : 수직부
12 : 수평부 13 : 위치설정돌부
14 : 유동방지돌부 15 : 채널형 레일
16 : 가이드 20 : 밸브스템
30 : 스프링 40 : 개폐용 씰
50, 50′: 서브하우징 51 : 이탈방지돌부
52 : 개폐부재 가이드리브 53 : 요철돌기
60 : 안전밸브 61 : 개폐부재
62 : 압축스프링 63 : 압축스프링 고정판
64 : 기밀유지 가스켓 70 : 연결리브
본 발명은 가스용기 내의 가스를 정상적으로 분출시킴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 또는 온도상승으로 인해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안전밸브를 통해 가스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켜 가스용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스템이 내장되는 메인하우징과 별도로 서브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이 서브하우징 내에 안전밸브를 내장하여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이루어지며, 마운팅캡의 하단에 메인하우징과 서브하우징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용기는 분사할 내용물(유체 또는 가스)을 용기 내부에 충진하여 분사가스와 함께 밀봉시켜둔 상태에서 분사가스의 압력을 이용해 내용물을 외부로 분사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 때, 분사가스로는 통상적으로 LPG, DME, 프레온, 이산화탄소, 질소 및 산소 등이 사용되며, 분사가스를 이용한 가스용기로는 휴대용 부탄가스용기, 스프레이 모기약, 헤어 스프레이, 휴대용 소화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가스용기는 고온이나 일정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여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용기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염려가 있다.
예컨대, 가스용기를 직사광선이 비치는 곳에 장시간 방치해 두면 직사광선의 열에 의해 용기 내에 담겨진 내용물이 팽창하면서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이에 종래에 가스용기의 내부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높아져 용기가 변형되거나 파손되기 전에 용기 내의 가스중 일부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기의 변형 및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데, 그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02000호에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라는 명칭으로 개시된 바 있으며, 그 대표도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는, 내측에 공간부(212)가 형성되어 지지부재(116)의 내측 중심에 지지되는 노즐몸체(210)와, 노즐몸체(210)의 공간부에 설치되어 에어로졸 용기에 충진된 가스를 분사하는 상·하부 밸브스템(220)(230)과, 하부 밸브스템(230)의 가스유입구(232)를 개폐시키는 밀봉체(240)와, 밀봉체(240)를 하부 밸브스템(230)의 가스유입구(232) 상부에 상시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과압안전스프링(250)과, 하부 밸브스템(230)을 상부 밸브스템(220)의 하단면에 상시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하는 탄성스프링(252), 및 고무재의 개폐링(26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과압 안전장치에 따르면, 상부 밸브스템(220)을 누르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에어로졸 용기(100)의 내부 압력이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높아져 에어로졸 용기(100)의 변형압력 또는 파열압력에 근접하게 되고, 에어로졸 용기(100) 내의 과압에 의해 밀봉체(240)가 상승하게 된다. 그에 따라 하부 밸브스템(230)의 가스유입구(232)가 열리게 되며 에어로졸 용기(100) 내부의 과압가스가 상부 밸브스템(220)의 가스분사구(2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과압가스의 배출을 통해 에어로졸 용기(100)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어 에어로졸 용기(100) 내부의 압력이 과압안전스프링(250)의 탄성력보다 작게 되면, 과압안전스프링(250)이 인장 복원되어 밀봉체(240)를 하부 밸브스템(230)의 상단면으로 원위치시켜 하부 밸브스템(230)의 가스유입구(232)를 폐쇄함으로써 가스의 배출이 차단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는, 노즐몸체 내에 상·하부 밸브스템이 모두 내장되기 때문에 밸브몸체의 길이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과압안전스프링 등의 크기가 커져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가스유입구를 통해 정상적인 가스의 배출과 과압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써, 가스유입구가 막히게 되면 정상적인 가스의 배출뿐만 아니라 과압가스의 배출도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밸브스템이 내장되는 메인하우징과 별도로 서브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이 서브하우징 내에 안전밸브를 내장하여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스프링 등의 부품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적인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메인 가스유로와 과압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압가스유로를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하나의 가스유입구를 통해 정상적인 가스의 배출과 과압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질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메인하우징과 서브하우징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안전밸브를 서브하우징 내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 셈블리는, 엘보우형으로 형성되고 수직부가 용기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마운팅캡에 고정되는 메인하우징과, 상부가 마운팅캡을 관통하고 하부가 메인하우징 내부에 탄성지지되는 밸브스템과, 메인하우징의 상단과 마운팅캡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스템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개폐함으로써 메인하우징을 통한 가스출입을 조절하는 개폐용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메인하우징의 수직부와 나란히 설치되고 상단은 마운팅캡에 형성된 과압가스 배출홀과 연통되며 하단에는 용기몸체의 과압가스가 유입되는 과압가스 유입홀이 마련된 서브하우징과, 서브하우징 내에서 과압가스 유입홀을 개폐하는 안전밸브와, 메인하우징의 수직부 외주연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마운팅캡의 저면에 형성된 위치 설정홈에 삽입되어 서브하우징이 올바른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 설정돌부, 및 메인하우징의 수직부 외주연중 서브하우징과 대향되는 위치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마운팅캡의 저면에 접촉되어 안전밸브에 의해 서브하우징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를 나타내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운팅캡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메인하우징 및 서브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인 가스유로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과압가스유로를 통해 과압가스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1)는, 마운팅캡(3)의 하단에 고정되는 메인하우징(10)과, 메인하우징(10)의 내부에 탄성 지지되는 밸브스템(20)과, 메인하우징(10)과 마운팅캡(3) 사이에 개재되는 개폐용 씰(40)과, 메인하우징(10)의 측부에 설치되는 서브하우징(50), 및 서브하우징(50) 내에 설치되는 안전밸브(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4,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메인하우징(10)은 엘보우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메인 가스유로(10a)가 형성된 것으로, 밸브스템(20)이 설치되는 공간부(11a)가 내부에 형성된 수직부(11)와, 수직부(1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2)로 구성된다.
이 때, 메인 가스유로(10a)는 공간부(11a)와 연결되고 수직부(1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부(12)에 걸쳐 형성되며, 수직부(11)의 상부는 마운팅캡(3)의 하단 중심에 형성된 고정홈(3a) 내에 삽입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캡(3)의 저면에는 한 쌍의 위치 설정홈(3b)이 고정홈(3a)을 중심으로 대향된 위치에 형성되며, 메인하우징(10)의 수직부 외주연에는 위치 설정홈(3b)에 각각 삽입되어 서브하우징(50)이 올바른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한 쌍의 위치설정돌부(13)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수직부(11)의 외주연에는 마운팅캡(3)의 저면에 접촉되어 후술할 안전밸브(60)의 압축스프링(62)에 의해 메인하우징(10) 및 서브하우징(50)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부(14)가 서브하우징(50)과 대향되는 위치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공간부(11a)의 내측에는 밸브스템(20)의 승강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메인 가스유로(10a)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스템 가이드리브(11b)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공간부(11a)의 내측 하부에는 후술할 스프링(30)이 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해주고 스템 가이드리브(11b)와 함께 가스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스프링 가이드리브(11c)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스프링 가이드리브(11c)는 스템 가이드리브(11b)보다 공간부(11a)의 내측으로 더 돌출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밸브스템(20)은, 상부가 마운팅캡(3)의 하단 중심을 관통하고, 하부가 메인하우징(10)의 수직부(11)에 형성된 공간부(11a) 내에 스프링(30)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부측 내에 가스유로(20a)가 형성되고, 중심부 외주연에 환상의 요입부(20b)가 형성되며, 요입부(20b)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오리피스(20c)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개폐용 씰(40)은 마운팅캡(3)의 고정홈(3a) 내에서 메인하우징(10)의 상단과 마운팅캡(3)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밸브스템(20)이 관통되는 관통홀(40a)이 형성되어 가스의 유출입이 없을 때에는 그 내주연이 밸브스템(20)의 요입부(20b)에 삽입되어 오리피스(20c)를 차단 함으로써 가스의 유출입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가스를 배출하거나 유입하기 위해 밸브스템(20)을 눌러주게 되면 그 내주연이 밸브스템(20)의 요입부로부터 이탈되므로, 오리피스(20c)가 개방되어 가스가 밸브스템(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밸브스템(20)을 통해 용기몸체(2) 내로 유입된다.
도 2 및 도 4,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서브하우징(50)과 메인하우징(10)은 합성수지재로서 사출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서브하우징(50)과 메인하우징(10) 사이에는 연결리브(70)가 형성되어 두 하우징(50)(10)을 연결 지지한다.
서브하우징(50)의 내부에는 과압가스가 배출되는 과압가스유로(50a)가 형성되며, 그 하단은 메인하우징(10)의 수평부(12)와 일체로 형성되어 과압가스유로(50a)와 메인 가스유로(10a)가 서로 연통된다.
즉, 서브하우징(50)의 하단은 메인하우징(10)의 수평부(12)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며, 서브하우징(50)의 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12) 외주연에는 메인 가스유로(10a) 내의 과압가스가 서브하우징(50) 내로 유입되는 과압가스 유입홀(12a)이 형성된다.
이 때, 과압가스 유입홀(12a)의 출구측에는 고무재로 된 후술할 개폐부재(61)의 저면에 밀착되어, 개폐부재(61)가 과압가스 유입홀(12a)을 차단할 때 과압가스가 서브하우징(5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턱(12b)이 돌출 형성된다.
서브하우징(50)의 상부는 설치시 마운팅캡(3)의 하단에 형성된 과압가스 배출홀(3c)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서브하우징(50)의 내측 상부에는 후술할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이 삽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고리형태의 이탈방지돌부(5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서브하우징(50) 내에 개폐부재(61), 압축스프링(62) 및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을 차례로 삽입할 때 압축스프링(62)이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을 서브하우징(50)의 상단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더라도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이 이탈방지돌부(51)에 의해 더 이상 밀려나지 않게 된다.
이처럼,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이 이탈방지돌부(51)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개폐부재(61) 및 압축스프링(62)을 서브하우징(50) 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기밀유지 가스켓(64)의 경우에도 압축스프링(62)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이탈방지돌부(51)의 아랫쪽에는 후술할 개폐부재(61)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메인하우징(10)의 메인 가스유로(10a)로부터 유입되는 과압가스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개폐부재 가이드리브(52)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2 및 도 5,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안전밸브(60)는 서브하우징(50) 내에 설치되어 용기몸체(2) 내의 가스압력이 설정압력보다 높으면 개방되고 설정압력 이하게 되면 폐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전밸브(60)는, 서브하우징(50) 내에 내장되어 과압가스 유입홀(12a)을 개폐하는 개폐부재(61)와, 서브하우징(50) 내에 내장되고 하단이 개폐부재 (61) 위에 안치되는 압축스프링(62)과, 서브하우징(50) 내에서 압축스프링(62) 위에 안치되며 중심부에 홀(63a)이 형성된 압축스프링 고정판(63), 및 하단부는 서브하우징(50)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마운팅캡(3)의 저면에 밀착되며 내부에는 과압가스 배출홀(3c) 및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의 홀(63a)과 연통되는 홀(64a)이 형성되어 서브하우징(50)과 마운팅캡(3)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 가스켓(64)으로 구성된다.
이 때, 개폐부재(61)는 밑면이 평탄하고 상면에 고정부(61a)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 고정부(61a) 외주연에 압축스프링(62)의 하단부가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의 압축력에 대해 압축스프링(62)이 횡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개폐부재(61)의 고정부(61a) 외측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62)의 하단 내측면이 밀착되어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스프링 유동방지돌부(61b)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은 압축스프링(62)에 의해 기밀유지 가스켓(64)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용기몸체(2) 내의 가스압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여 개폐부재(61)가 상승하거나 다시 하강할 때 압축스프링(62)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기밀유지 가스켓(64)은 서브하우징(50)과 마운팅캡(3)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용기몸체(2) 내의 가스가 서브하우징(50)과 마운팅캡(3)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그 상단에는 과압가스 배출홀(3c)을 차폐하는 1차 기밀턱(64b)이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는 서브하우징(50)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턱(50b)에 삽입되어 기밀유지 가스켓(64)과 서브하우징(50)이 밀착되도록 하는 2차 기밀턱(64c)이 형성된다.
한편,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의 상부에는 기밀유지 가스켓(64)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63b)이 형성되며,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63a)과 기밀유지 가스켓(64)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64a)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은 하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점점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브하우징(50)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이탈방지돌부(51)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돌부(51)를 관통한 후에는 그 상단이 이탈방지돌부(51)에 걸려 서브하우징(50)의 개방된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정상적으로 용기몸체(2) 내의 가스를 배출 또는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몸체(2)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도 6에서처럼 밸브스템(20)을 누르면, 밸브스템(20)을 탄성 지지하고 있던 스프링(30)이 압축됨과 동시에 밸브스템(20)이 하강하게 되고 개폐용 씰(40)에 의해 폐쇄되었던 오리피스(20c)가 개방된다.
이처럼, 오리피스(20c)가 개방되면 용기몸체(2) 내에 충전되어 있던 가스가 메인하우징(10)에 형성된 메인 가스유로(10a) 및 공간부(11a), 그리고 밸브스템(20) 내에 형성된 오리피스(20c) 및 가스유로(2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가스용기의 사용을 마치고 밸브스템(20)을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스템(20)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개폐용 씰(40)에 의해 오리피스가 폐쇄됨으로써, 가스의 배출이 차단된다.
한편, 가스용기를 가스렌지 등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과 상관없이 용기몸체(2) 내의 압력이 안전밸브(60)의 압축스프링(62)이 갖는 탄성력(부탄가스용기의 경우 14㎏f/㎠)보다 커지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메인하우징(10)의 수평부(12)에 형성된 과압가스 유입홀(12a)을 폐쇄하고 있던 개폐부재(61)가 서브하우징(50) 내에서 상승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62)이 압축된다.
따라서, 과압가스는 과압가스 유입홀(12a)을 통해 서브하우징(50)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과압가스는 개폐부재 가이드리브(52),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의 홀(63a), 기밀유지 가스켓(64)의 홀(64a), 및 마운팅캡(3)의 과압가스 배출홀(3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안전밸브(60)가 작동하여 과압가스중 일부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용기몸체(2) 내의 가스압력이 안전밸브(60)의 압축스프링(62)이 갖는 탄성력 이하로 작아지게 되면, 압축스프링(62)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부재(61)가 하강하여 과압가스 유입홀(12a)을 차단하게 된다.
이처럼, 개폐부재(61)가 하강하여 과압가스 유입홀(12a)을 차단하면, 서브하우징(50)을 통한 가스의 배출이 차단됨으로써, 불필요한 가스의 방출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의 메인하우징과 서브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메인하우징과 서브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Ⅹ-Ⅹ 선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ⅩⅠ-ⅩⅠ 선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8의 ⅩⅡ-ⅩⅠ 선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7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에 따르면, 메인하우징(10′)과 서브하우징(50′)이 각각 별도로 형성된 후 서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메인하우징(10′)의 수직부(11)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16)가 형성되고, 메인하우징(10′)의 수평부(12) 외주연에는 채널형 레일(15)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서브하우징(50′)의 하단에는 메인하우징(10′)의 수평부(12) 외주연과 면접되는 만곡부(50c)가 형성되고, 만곡부(50c)의 양단부에는 채널형 레일(15)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어 서브하우징(50′)이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철돌기(53)가 돌출 형성되며, 서브하우징(50′)의 외주연에는 가이드(16)가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삽입홈(50d)이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하우징(10′)과 서브하우징(50′)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서브하우징(50′)의 요철돌기(53)가 채널형 레일(15)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서브하 우징(50′)을 메인하우징(10′)의 수평부(12) 쪽으로 완전히 밀면, 요철돌기(53)가 채널형 레일(15)에 완전히 삽입되고 메인하우징(10′)의 가이드(16)가 서브하우징(50′)의 가이드 삽입홈(50d)에 삽입됨으로써, 메인하우징(10′)과 서브하우징(50′)은 결합된다.
이 때, 메인하우징(10′)과 서브하우징(50′)은 별도로 성형되어 조립되므로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달리 메인 가스유로(10a)와 과압가스유로(50a)가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용기몸체(2) 내의 과압가스가 과압가스유로(50a)로 유입되도록 하는 과압가스 유입홀(50e)은 서브하우징(50′)의 하단 중심에 형성된다.
그리고, 서브하우징(50′)의 저면에는 용기몸체(2) 내의 과압가스가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과압가스 유입홈(50f)이 길게 형성되며, 이 과압가스 유입홈(50f)의 중심부에 과압가스 유입홀(50e)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과압가스는 메인하우징(10′)의 메인 가스유로(10a)를 거치지 않고 용기몸체(2) 내에서 직접 서브하우징(50′)의 과압가스 유입홈(50f), 과압가스 유입홀(50e), 과압가스유로(50a), 안전밸브(60) 및 과압가스 배출홀(3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가이드(16)의 단부에는 가이드 삽입홈(50d)에 삽입되는 삽입부(16a)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16a)의 양단부 및 가이드 삽입홈(50d)의 내부 양측벽에는 삽입부(16a)가 가이드 삽입홈(50d)에 삽입될 때 서로 맞물려 가이드(16)로부터 서브하우징(50′)이 측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돌기(16b)(50g)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하,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의 작용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의 작용과 거의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들과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에 따르면, 밸브스템이 내장되는 메인하우징과 별도로 서브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이 서브하우징 내에 안전밸브를 내장하여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스프링 등의 부품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메인 가스유로와 과압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압가스유로가 별도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하나의 가스유입구를 통해 정상적인 가스의 배출과 과압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질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하우징의 외주연에 위치 설정돌부와 유동방지돌부를 수평으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메인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되는 서브하우징의 위치를 올바로 설 정할 수 있고, 안전밸브의 압축스프링에 의해 메인하우징 및 서브하우징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전밸브 조립시 압축스프링의 상단이 접촉되는 압축스프링 고정판이 이탈방지돌부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개폐부재 및 압축스프링을 서브하우징 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기밀유지 가스켓의 경우에도 압축스프링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7)

  1. 엘보우형으로 형성되고 수직부가 용기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마운팅캡에 고정되는 메인하우징과, 상부가 상기 마운팅캡을 관통하고 하부가 상기 메인하우징 내부에 탄성지지되는 밸브스템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단과 상기 마운팅캡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밸브스템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메인하우징을 통한 가스출입을 조절하는 개폐용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수직부와 나란히 설치되고, 상단은 상기 마운팅캡에 형성된 과압가스 배출홀과 연통되며, 하단에는 상기 용기몸체의 과압가스가 유입되는 과압가스 유입홀이 마련된 서브하우징;
    상기 서브하우징 내에서 상기 과압가스 유입홀을 개폐하는 안전밸브;
    상기 메인하우징의 수직부 외주연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캡의 저면에 형성된 위치 설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하우징이 올바른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 설정돌부; 및
    상기 메인하우징의 수직부 외주연중 상기 서브하우징과 대향되는 위치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캡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기 안전밸브에 의해 상기 서브하우징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돌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하우징은 연결리브에 의해 상기 메인하우징의 수직부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하우징의 하단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수평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과압가스가 상기 수평부를 통해 상기 서브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하우징은 상기 메인하우징의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과압가스는 상기 메인하우징을 통하지 않고 상기 서브하우징에 직접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의 수직부 외주연에 가이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수평부 외주연에 채널형 레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하우징의 하단에는 상기 체널형 레일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철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브하우징의 외주연에는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는,
    상기 서브하우징에 승강 가능하게 내장되어 과압가스 유입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서브하우징에 내장되고 하단이 상기 개폐부재 위에 안치되는 압축스프링;
    상기 서브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압축스프링 위에 안치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압축스프링 고정판; 및
    하단부는 상기 서브하우징의 상부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마운팅캡의 저면에 접면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과압가스 배출홀 및 상기 압축스프링 고정판의 홀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서브하우징과 마운팅캡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 가스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압축스프링 고정판이 관통된 후 그 상단이 걸려 서브하우징의 상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리형태의 이탈방지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부의 아랫쪽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상기 과압가스 유입홀로부터 유입되는 과압가스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개폐부재 가이드리브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과압가스 유입홀의 출구측에는 고무재로 된 상기 개폐부재의 저면에 밀착되는 기밀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는 상기 압축스프링의 하단부 내측이 밀착되어 압축스프링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스프링 유동방지돌부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KR1020050098801A 2005-10-19 2005-10-19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KR10067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01A KR100679295B1 (ko) 2005-10-19 2005-10-19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TW094141313A TWI294021B (en) 2005-10-19 2005-11-24 Valve assembly for gas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801A KR100679295B1 (ko) 2005-10-19 2005-10-19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295B1 true KR100679295B1 (ko) 2007-02-15

Family

ID=3810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801A KR100679295B1 (ko) 2005-10-19 2005-10-19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9295B1 (ko)
TW (1) TWI294021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620B1 (ko) * 2008-12-18 2009-09-02 주식회사 대륙제관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0930503B1 (ko) 2007-08-13 2009-12-07 장준혁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용 과압안전밸브의 휘슬타입스프링스토퍼
KR101098278B1 (ko) 2011-10-11 2011-12-26 주식회사 승일 과압방지밸브가 장착되는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116400B1 (ko) * 2009-05-14 2012-03-14 장준혁 가스용기
KR101186931B1 (ko) 2010-06-09 2012-09-28 주식회사 승일 과압가스 배출이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281536B1 (ko) 2012-01-19 2013-07-19 주식회사 대륙제관 과압방지 기능이 있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292010B1 (ko) 2011-06-15 2013-08-01 주식회사 대륙제관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346545B1 (ko) * 2011-09-23 2013-12-31 주식회사 화산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 및 그 조립방법
KR101572622B1 (ko) * 2015-07-07 2015-11-27 오제이씨(주) 가스용기 안전장치
KR20210052825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아산정밀 소화기용 밸브
KR20210062616A (ko) 2019-11-01 2021-05-31 주식회사 아산정밀 소화기용 밸브
KR20220032768A (ko)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아산정밀 소화기용 밸브장치
US11827859B1 (en) 2022-05-03 2023-11-28 NuPhY, Inc. Biomass gasifier system with rotating distribution manifol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493B1 (ko) * 2013-10-25 2014-11-24 주식회사 대륙제관 휴대용 가스용기의 폭발방지를 위한 과압배출용 안전밸브
CN113669623B (zh) * 2021-08-26 2022-04-22 中船(邯郸)派瑞特种气体股份有限公司 一种六氟化钨液相充装装置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503B1 (ko) 2007-08-13 2009-12-07 장준혁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용 과압안전밸브의 휘슬타입스프링스토퍼
KR100914620B1 (ko) * 2008-12-18 2009-09-02 주식회사 대륙제관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116400B1 (ko) * 2009-05-14 2012-03-14 장준혁 가스용기
KR101186931B1 (ko) 2010-06-09 2012-09-28 주식회사 승일 과압가스 배출이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292010B1 (ko) 2011-06-15 2013-08-01 주식회사 대륙제관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346545B1 (ko) * 2011-09-23 2013-12-31 주식회사 화산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 및 그 조립방법
AU2012211513B2 (en) * 2011-09-23 2018-03-15 Joon Hyuk Jang Explosion proof valve for gas containe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1098278B1 (ko) 2011-10-11 2011-12-26 주식회사 승일 과압방지밸브가 장착되는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1281536B1 (ko) 2012-01-19 2013-07-19 주식회사 대륙제관 과압방지 기능이 있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572622B1 (ko) * 2015-07-07 2015-11-27 오제이씨(주) 가스용기 안전장치
KR20210052825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아산정밀 소화기용 밸브
KR20210062616A (ko) 2019-11-01 2021-05-31 주식회사 아산정밀 소화기용 밸브
KR20220032768A (ko) 2020-09-08 2022-03-15 주식회사 아산정밀 소화기용 밸브장치
US11827859B1 (en) 2022-05-03 2023-11-28 NuPhY, Inc. Biomass gasifier system with rotating distribution manif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16892A (en) 2007-05-01
TWI294021B (en) 200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295B1 (ko)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KR101346545B1 (ko)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 및 그 조립방법
KR200316056Y1 (ko) 리필용기의 공기 배출구조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6644489B2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cover cap provided with a pump member to pump out air from a container
KR101165795B1 (ko) 가스용기용 밸브
KR100515120B1 (ko) 가스연료용기의 과압안전장치
KR100978850B1 (ko) 과압해소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20200121946A (ko) 연료 차단 밸브
KR100914620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20040071484A (ko) 에어로졸용기의 과압안전장치
KR100416469B1 (ko)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
KR20090010113A (ko) 커플러의 플러그 구조
KR100936182B1 (ko) 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101139258B1 (ko) 과압해소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KR100581760B1 (ko) 레귤레이터
KR100216096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200369051Y1 (ko) 이동 스톱퍼를 갖춘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KR101186931B1 (ko) 과압가스 배출이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CN216154436U (zh) 气阀及真空压缩袋
KR19980065069A (ko) 가스 저장용기용 밸브의 과류 차단장치
KR200356857Y1 (ko) 스톱퍼를 갖춘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KR20060009723A (ko) 엘피지용 용기밸브
KR20060095398A (ko) 가스렌지의 용기 과압 안전장치
KR101897739B1 (ko) 분사용기 및 이의 밸브 어셈블리
KR200344726Y1 (ko) 진공보온병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