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946A - 연료 차단 밸브 - Google Patents

연료 차단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946A
KR20200121946A KR1020190044285A KR20190044285A KR20200121946A KR 20200121946 A KR20200121946 A KR 20200121946A KR 1020190044285 A KR1020190044285 A KR 1020190044285A KR 20190044285 A KR20190044285 A KR 20190044285A KR 20200121946 A KR20200121946 A KR 20200121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plunger
storage space
absorber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황호훈
노의동
이기룡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102019004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1946A/ko
Publication of KR2020012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14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 F02M63/0015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차단 밸브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 자기력만으로 유체를 제어하되 인서트 사출로 형성된 충격 흡수제가 구비된 연료 차단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런저 내부에 충격 흡수체를 인서트 사출로 형성함으로써 플런저에 형성되던 유로를 삭제할 수 있으며,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 내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플런저 흡수부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댐퍼부와 플런저 흡수부를 연결부를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관리 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하여 조립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조립 불량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차단 밸브{FUEL CUT VALVE}
본 발명은 연료 차단 밸브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 자기력만으로 유체를 제어하되 인서트 사출로 형성된 충격 흡수제가 구비된 연료 차단 밸브에 관한 것이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기 코어가 있는 솔레노이드부와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로 구성되어 전류에 의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자동 밸브이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일반적으로 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코일이 감긴 보빈과, 코어, 코어와 이격된 요크, 요크에 내삽된 플런저, 코어와 요크의 외면에 구비된 가이드와, 상기된 구조에 의해 단속되는 유체 통로가 형성된 홀더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기존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해서 솔레노이드부를 제어하는 회로 기판이 구비된다. 하지만, 이러한 회로 기판이 구비될 경우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기존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플런저의 상하 이동 시 코어와의 충돌에 의해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스프링 등을 이용하였으나, 스프링 역시 장기간 사용 시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된다. 더욱이,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스프링 역시 금속이므로 충격 시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파일롯 유로를 차단할 때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서 파일롯과 접하는 플런저의 하단에 플런저 흡수체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플런저 흡수체를 구비하였다. 하지만, 플런저 흡수체를 압입하여 형성함에 따라 플런저 작동 시 유체가 플런저 흡수체와 플런저 흡수체 수납공간 사이로 유입되어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플런저 흡수체가 하방으로 부풀어 오른다. 이 경우, 플런저가 작동하더라도 부풀어 오른 플런저 흡수체가 파일롯 유로를 항상 차단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2789호(2012.04.27.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 기판 없이 자체 자기력만으로 유체를 제어할 수 있는 연료 차단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류 차단 시 유체의 이동을 신뢰성있게 차단할 수 있는 연료 차단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런저와 코어의 소음과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연료 차단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마지막 목적은 플런저 흡수체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 차단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는, 유체 유입로와 유체 배출로가 형성된 홀더와, 유체 배출로를 개폐하며 상하방향으로 파일롯 유로가 형성된 파일롯, 파일롯이 삽입되어 상하왕복할 수 있도록 파일롯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파일롯이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플런저, 플런저가 삽입되어 상하왕복할 수 있으며, 플런저의 주변으로 유체 유입로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코어, 코어를 둘러싸도록 구비된 코일 어셈블리, 파일롯에 구비되며 파일롯 하강 시 유체 배출로를 밀봉하는 파일롯 흡수체, 플런저의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충격 흡수체 수납공간 내에 형성되어, 플런저의 상하 왕복 시 상부는 코어와 접하고 하부는 파일롯 유로와 접하는 충격 흡수체를 포함한다.
충격 흡수체 수납공간은 플런저의 하단 내부에 형성되되 하단 외부와 연통된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과, 플런저의 상단 내부에 형성되되 상단 외부로 연통된 댐퍼부 수납공간, 및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과 댐퍼부 수납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부 수납공간을 포함하며, 연결부 수납공간의 지름은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 및 댐퍼부 수납공간의 지름보다 작다.
충격 흡수체는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에 형성된 플런저 흡수체와, 댐퍼부 수납공간에 형성된 댐퍼부, 및 연결부 수납공간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댐퍼부는 원기둥형상이되, 외주연을 따라 댐퍼부 돌기가 형성되고, 댐퍼부 수납공간은 내주연을 따라 댐퍼부 돌기에 대응되는 댐퍼부 수납공간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플런저 내부에 충격 흡수체를 인서트 사출로 형성함으로써 플런저에 형성되던 유로를 삭제할 수 있으며,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 내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플런저 흡수부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댐퍼부와 플런저 흡수부를 연결부를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관리 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하여 조립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조립 불량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기력 외에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회로 기판 없이 자체 자기력만으로 유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류가 차단되더라도 유체의 이동을 신뢰성있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런저와 코어 사이에 댐퍼부를 구비하여 플런저와 코어 소음과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일롯의 상하부에 파일롯 흡수부를 구비하여 유체의 이동을 더욱 신뢰성있게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파일롯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파일롯 몸체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파일롯 흡수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파일롯 몸체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파일롯 흡수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플런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충격 흡수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충격 흡수체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를 단속하는 밸브부(100)와, 밸브부(100)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부(200)를 포함한다.
밸브부(100)는 외부의 유압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유체(액체와 기체 포함)에 소정의 제어압력을 인가하면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로(112)가 형성된 중공의 홀더(110)와, 홀더(110)의 유로(112)를 단속하는 파일롯(120)과, 파일롯(120)의 기밀성을 증가시키는 파일롯 흡수체(122)와, 플런저(230)를 복귀시키는 스프링(130), 및 스프링(130)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가이드(140)를 포함한다. 또한, 홀더(110)에는 다양한 오링(O-Ring, 114)이 구비되며, 여기서, 오링(114)은 홀더의 유체 배출로(112a)에 구비되는 홀더 배출구 오링(114a)과, 유체 유입로(112b)에 구비되는 홀더 유입로 오링(114b), 및 홀더(110)와 솔레노이드부(200) 사이에 구비되는 밸브 오링(114c)을 포함한다.
홀더(110)는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홀더(110)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유로(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로(112)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로(112b)와, 유입된 유체가 파일롯(120)에 의해 단속되어 배출되는 유체 배출로(112a)를 포함한다.
유체 유입로(112b)는 홀더(110)의 일측을 개방하여, 홀더(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유체 유입로(112b)는 홀더(110)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되, 홀더(110)의 중심부에서 절곡되어 측벽으로 개방된다.
유체 배출로(112a)는 홀더(110)의 타측을 개방하여, 홀더(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유체 배출로(112a) 역시 홀더(110)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되, 홀더(110)의 중심부에서 유체 유입로(112b)가 절곡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측벽으로 개방된다. 물론, 유체 배출로(112a)는 홀더(110)의 중심부에서 유체 유입로(112b)와 분리벽에 의해 이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파일롯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파일롯 몸체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파일롯(120)은 유체 배출로(112a)를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롯 몸체(120a)와, 파일롯 몸체(120a)를 관통하여 형성된 파일롯 유로(120b)를 포함한다. 또한, 파일롯 몸체(120a)와 유체 배출로(112a) 사이의 파일롯 몸체(120a)에는 파일롯 흡수체(122)가 구비된다.
파일롯 몸체(120a)는 후술될 플런저(230)의 상하 왕복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며, 유체 배출로(112a)를 통한 유체의 이동을 단속한다. 여기서, 파일롯 몸체(120a)는 파일롯 유로(120b)가 형성되는 파일롯 몸체 상부(120c)와 파일롯 몸체 하부(120d)를 포함한다. 또한, 파일롯 몸체 상부(120c)와 파일롯 몸체 하부(120d)의 지름은 서로 상이하며, 파일롯 몸체 상부(120c)의 지름이 파일롯 몸체 하부(120d)의 지름보다 작다. 이는 후술될 스프링 가이드(140)에 의해 파일롯(120)이 플런저(230)의 파일롯 수납공간(230d)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파일롯 몸체 상부(120c)는 상향 돌출되며, 파일롯 유로(120b)를 기점으로 소정각도(
Figure pat00001
1)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소정각도(
Figure pat00002
1)는 20도 내지 3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파일롯 몸체 상부(120c)와 접하게 되는 플런저 흡수부(232b)와의 기밀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파일롯 몸체 하부(120d)는 파일롯 흡수체(122)를 수납하기 위해서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이 형성된다.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은 제1 수납공간 가이드(120e)와 제2 수납공간 가이드(120f)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수납공간 가이드(120e)는 파일롯 유로(120b)를 기점으로 파일롯 유로(120b)의 길이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되, 연장될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수납공간 가이드(120e)의 지름이 커짐에 따라 제1 수납공간 가이드(120e)와 파일롯 몸체(120a)는 소정각도(
Figure pat00003
2)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소정각도(
Figure pat00004
2)는 예각이며, 30도 내지 50도인 것이 효과적이다.
제2 수납공간 가이드(120f)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수납공간 가이드(120e)와 함께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 수납공간 가이드(120f)는 파일롯 몸체 하부(120d)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파일롯 유로(120b)는 플런저(230)와 파일롯 몸체(120a) 사이로 유입되는 유체를 유체 배출로(112a)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서, 파일롯 유로(120b)는 파일롯 몸체 상부(120c)에서 파일롯 몸체 하부(120d)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파일롯 몸체 상부(120c)에 형성된 파일롯 유로(120b)와 파일롯 몸체 하부(120d)에 형성된 파일롯 유로(120b)의 지름은 상이하며, 파일롯 몸체 상부(120c)에 형성된 파일롯 유로(120b)의 지름(PAD1)이 파일롯 몸체 하부(120d)에 형성된 파일롯 유로(120b)의 지름(PAD2)보다 작다. 이는 초기 구동 시 유체 유입로(122a)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대응되도록 파일롯 유로(120b)의 지름(PAD1)을 형성하고, 이후 유체 배출로(112a)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과 대응되도록 파일롯 유로(120b)의 지름(PAD2)을 형성한다. 여기서, PAD1이 PAD2보다 지름이 작은 이유는 자기력의 힘이 크기 않기 때문에 작은 자기력만으로도 플런저를 상승시켜 플런저와 파일롯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하여 파일롯 유로(120b)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파일롯 흡수체 단면도이다.
파일롯 흡수체(122)는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에 구비되어 파일롯(120)이 유체 배출로(112a)를 폐쇄할 때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감소시킨다. 이를 위해서, 파일롯 흡수체(1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인 파일롯 흡수체 몸체(122a)와, 파일롯 흡수체 몸체(122a)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파일롯 흡수체 상부 돌기(122b), 파일롯 흡수체 몸체(122a)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파일롯 흡수체 하부 돌기(122c), 파일롯 흡수체 몸체(122a)의 하부로 돌출된 파일롯 흡수체 댐퍼(122d)를 포함한다.
파일롯 흡수체 몸체(122a)는 링 형상이며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의 지름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진다. 이에 따라, 관통홀이 연장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Figure pat00005
3)가 형성된다.
파일롯 흡수체 상부 돌기(122b)는 파일롯 흡수체 몸체(122a)의 가장자리 상부에 형성되며, 파일롯 흡수체 몸체(122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파일롯 흡수체 하부 돌기(122c)는 파일롯 흡수체 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파일롯 흡수체 하부 돌기(122c)는 전술된 파일롯 흡수체 상부 돌기(122b)와 동일한 형성인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일롯 흡수체 하부 돌기(122c)와 파일롯 흡수체 상부 돌기(122b)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파일롯 흡수체 상부 돌기(122b)는 상향 돌출되는 반면, 파일롯 흡수체 하부 돌기(122c)는 외측면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된 파일롯 흡수체 상부 돌기(122b)와 파일롯 흡수체 하부 돌기(122c)는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 내에서 압박된다. 또한, 이에 따라 파일롯 흡수체(122)는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 내에서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전술된 구조의 파일롯 흡수체(122)는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에 끼운 후 제2 수납공간 가이드(120f)를 도 2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시켜 파일롯 흡수체(122)가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한다. 즉, 제2 수납공간 가이드(120f)는 파일롯 흡수체(122)가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에 끼워지기 전에는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며, 파일롯 흡수체(122)가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에 끼워진 후 도 2의 형태로 절곡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일롯 흡수체(122)는 파일롯 흡수체 수납공간(PAS)에 사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파일롯 몸체 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파일롯 흡수체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파일롯 흡수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와 파일롯 흡수체 내측 돌기(122e)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일롯 몸체에는 파일롯 흡수체 상부 돌기(122b)와 파일롯 흡수체 하부 돌기(122c),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 및 파일롯 흡수체 내측 돌기(122e)에 대응되는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롯 몸체의 제2 수납공간 가이드(120f) 내측에는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와 파일롯 흡수체 하부 돌기(122c)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수납공간 가이드 홈(122h)과 파일롯 하부 홈(120i)이 형성된다. 또한, 파일롯 하부(120d)에는 파일롯 흡수체 상부 돌기(122b)에 대응되는 파일롯 상부 홈(120g)이 형성된다.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는 파일롯 흡수체(122)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며, 예를 들어, 파일롯 흡수체 몸체(122a)의 외측 중심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는 도 4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사각형상인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는 반원형, 반타원형, 및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일 수 있다.
파일롯 흡수체 내측 돌기(122e)는 파일롯 흡수체 몸체(122a)의 관통홀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파일롯 흡수체 내측 돌기(122e)는 전술된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와 동일한 형상인 것을 예시한다. 또한,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와 파일롯 흡수체 내측 돌기(122e)는 파일롯 흡수에 몸체(122a)의 두께를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와 파일롯 흡수체 내측 돌기(122e)는 소정높이(D1, D2)의 차이가 생긴다. 여기서,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와 파일롯 흡수체 내측 돌기(122e)의 높이 차이는 파일롯 흡수체 몸체의 일측(D1)과 타측(D2)에서 상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122f)와 파일롯 흡수체 내측 돌기(122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선형으로 형성됨을 의미한다.
스프링(130)은 후술될 스프링 가이드(140)를 하부로 압박하는 탄성부재이다. 이에 따라, 스프링 가이드(140)와 체결된 파일롯(120) 및 플런저(230)가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 가이드(140)는 스프링(130)의 하부를 받쳐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롯(120)이 플런저(230)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가이드(14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이되 일측 끝단이 양측으로 연장된 형상(⊥)이며, 외측으로 연장된 끝단은 스프링(130)을 지지하고, 내측으로 연장된 끝단은 파일롯 몸체 상부(120c)와 파일롯 몸체 하부(120d) 사이의 턱을 지지한다. 물론, 파일롯(140)은 파일롯 수납공간(230d)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나, 스프링 가이드(140)에 의해서 파일롯 수납공간(230d)을 완전하게 이탈하지 못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 파일롯 몸체 상부(120c)의 길이는 파일롯 수납공간(230d)의 길이보다 작다.
솔레노이드부(200)는 밸브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 어셈블리(210)와, 플런저(230)의 일단에 배치되며 플런저(230)가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중공의 형상을 갖는 코어(220)와, 코어(220) 내부에 일단이 수용된 플런저(230)와, 플런저(230)에 구비된 충격 흡수체(232)를 포함한다. 또한, 코어(220)와 코일 어셈블리(210)를 결속시키는 플레이드(260)와 씨링(C-Ring, 270)을 포함하며, 코일(210)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터미널(250), 및 케이스(24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볼트(280)를 포함한다.
코일 어셈블리(210)는 플런저(23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해 코일(210)과, 코일(210)이 감긴 보빈(212)을 포함한다. 또한, 보빈(212)의 외주면에는 이를 감싸는 케이스(240)가 구비된다.
코어(220)는 플런저(230)와 인접한 부분에 자기력이 집중되는 코어 리세스부가 형성되며, 코어 리세스부 내에 플런저(230)의 일단이 일부 수용되어 상하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플런저 단면도이다.
플런저(230)는 코어(220)의 리세스부에 배치되어 코일(21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이동한다. 이러한 플런저(23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체(232)가 구비되는 충격 흡수체 수납공간(230a, 230b, 230c)과, 파일롯(120)이 구비되는 파일롯 수납공간(230d)이 형성된다.
충격 흡수체 수납공간(230a, 230b, 230c)은 충격 흡수체(232)를 수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230a)과 댐퍼부 수납공간(230b) 및 연결부 수납공간(230c)을 포함한다.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은(230a)은 플런저(230)의 하부에 구비되며, 후술될 파일롯 수납공간(230d)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플런저(230)의 하부에는 플런저 흡수부(232b)가 구비되고, 플런저 흡수부(232b)의 하부에 파일롯(120)이 구비되며, 이를 수납하기 위해 플런저(230)의 하부에는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230a)과 파일롯 수납공간(230d)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230a)은 플런저(230)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플런저 흡수부(232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런저 흡수부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된다.
댐퍼부 수납공간(230b)은 플런저(230)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댐퍼부(232a)가 구비된다. 여기서, 댐퍼부 수납공간(230b)은 내주연에 댐퍼부 돌기(P)가 삽입되는 댐퍼부 수납공간 홈이 형성되며, 댐퍼부 수납공간 홈은 댐퍼부 수납공간(230b)의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다.
연결부 수납공간(230c)은 댐퍼부 수납공간과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부 수납공간(230c)은 원기둥 형상이되 인서트 사출을 통해 내부에 연결부(232c)가 채워진다. 이에 따라, 연결부 수납공간(230c)의 지름과 연결부(232c)의 지름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연결부 수납공간(230c)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거나 연결부(232c)가 연결부 수납공간(230c)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일롯 수납공간(230d)은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230a)과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파일롯(120)이 위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충격 흡수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충격 흡수체 단면도이다.
충격 흡수체는 충격 흡수체 수납공간에 구비되어 플런저 작동 시 충격을 흡수한다. 이러한 충격 흡수체는 댐퍼부와, 플런저 흡수부, 및 댐퍼부와 플런저 흡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32c)를 포함한다.
댐퍼부(232a)는 플런저(230)와 코어(220)가 접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런저(230)의 상부에 형성된 댐퍼부 수납공간(230b)에 삽입된다. 또한, 댐퍼부(232a)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이되 외주연을 따라 댐퍼부 돌기(P)가 형성된다. 여기서, 댐퍼부 돌기(P)는 댐퍼부 수납공간(230b)에서 댐퍼부(232a)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서, 댐퍼부 돌기(P)는 댐퍼부(232a)와 맞닫는 영역이 직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댐퍼 하부 각도(θA1)와 댐퍼 상부 각도(θA2)가 댐퍼 외주연을 기준으로 직각인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하부 각도(θA1)는 댐퍼 외주연을 기준으로 둔각이며, 댐퍼 상부 각도(θA2)는 댐퍼 외주연을 기준으로 직각 또는 예각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댐퍼부를 압입하지 않고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댐퍼부 수납공간(230b)과 연결되어 있던 유로를 삭제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댐퍼부 수납공간(230b)의 바닥에는 댐퍼부(232a)의 삽입 시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댐퍼부(232a)가 밀려나거나 삽입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댐퍼 수납공간 유로가 형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댐퍼부를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하여 댐퍼부 형성 시 댐퍼부 수납공간(230b)내에 공기가 압축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된 유로를 삭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댐퍼부(232a)는 인서트 사출로 형성됨에 따라 플런저(230)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런저(230)가 코어(220)와 좀더 근접하도록 함으로써 자기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플런저 흡수부(232b)는 파일롯 유로(120b)를 단속하여 유체의 흐름을 조절한다. 이러한 플런저 흡수부(232b)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는 평평한 플레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는 플런저 흡수부(232b)로 댐퍼부 보다 높이가 낮은 원기둥형상을 예시한다. 또한, 플런저 흡수부(232b)의 외주연을 따라 돌기가 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플런저 흡수부(232b)를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플런저 흡수부(232b)와 연결된 유로를 생략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플런저 흡수부(232b)를 압입하여 형성하였다. 이 경우, 플런저(230) 작동 시 플런저 흡수부(232b)와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230a) 사이로 유체, 예를 들어, 수소가 플런저 흡수부(232b)의 상부와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230a) 사이(도 7의 ⓐ)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체가 유입되면 플런저 흡수부(232b)가 유체에 의해 내부에서 압박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이에 따라 플런저 흡수부(232b)가 이탈되거나 플런저 흡수부(232b)가 하방으로 부풀어 올라 플런저(230)가 작동하더라도 파일롯 유로(120b)는 개폐되지 못하고 항상 폐쇄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플런저 흡수부(232b)와 연결부(232c) 및 댐퍼부(232a)를 일체로 형성하여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플런저 흡수부(232b)가 이탈되는 것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댐퍼부(232a)와 플런저 흡수부(232b) 및 연결부(232c)를 일체로 형성하여 관리 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해당 조립 공정을 생략하여 조립 불량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연결부(232c)는 플런저 흡수부(232b)와 댐퍼부(232a)를 연결하여 하나의 충격 흡수체(232)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부(232c)는 원기둥형상이며 원형인 댐퍼부(232a)의 하면 중심과 원형인 플런저 흡수부(232b)의 상면 중심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연결부(232c)는 전술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이외에 삼각기둥형상과 사각기둥형상을 포함하는 다각기둥형상이거나 타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232c)는 전술된 댐퍼부(232a) 및 플런저 흡수부(232b)와 함께 인서트 사출을 통해 충격 흡수체 수납공간(230a, 230b, 230c)에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차단 밸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공급압에 의해 플런저(230)와 파일롯(120)이 모두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에 따라, 파일롯 유로(120b)와 유체 배출로(112a)가 모두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공급되면 플런저(230)가 약간 상승하며, 이에 따라 플런저 흡수부(232b)와 파일롯 유로(120b) 사이로 유체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파일롯 유로(120b)로 이동한 유체는 유체 배출로(112a)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유체 유입로(112b)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유체 배출로(122b)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이 낮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30)가 완전히 상승하면 유체 유입로(112b)로 유입되는 모든 유체는 파일롯 유로(120b)를 통해 유체 배출로(112a)로 배출된다. 이때, 유체 유입로(112b)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유체 배출로(112a)로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기력 외에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회로 기판 없이 자체 자기력만으로 유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전류가 차단되더라도 유체의 이동을 신뢰성있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런저와 코어 사이에 댐퍼부를 구비하여 플런저와 코어 소음과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일롯의 상하부에 파일롯 흡수부를 구비하여 유체의 이동을 더욱 신뢰성있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런저 내부에 충격 흡수체를 인서트 사출로 형성함으로써 플런저에 형성되던 유로를 삭제할 수 있으며,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 내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플런저 흡수부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댐퍼부와 플런저 흡수부를 연결부를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관리 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하여 조립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조립 불량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밸브부 110: 홀더
112: 유로 112a: 유체 배출로
112b: 유체 유입로 114: 오링
114a: 홀더 배출로 오링 114b: 홀더 유입로 오링
114c: 밸브 오링 120: 파일롯
120a: 파일롯 몸체 120b: 파일롯 유로
120c: 파일롯 몸체 상부 120d: 파일롯 몸체 하부
120e: 제1 수납공간 가이드 120f: 제2 수납공간 가이드
120g: 파일롯 상부 홈 120h: 제2 수납공간 가이드 홈
120i: 파일롯 하부 홈 122: 파일롯 흡수체
122a: 파일롯 흡수체 몸체 122b: 파일롯 흡수체 상부 돌기
122c: 파일롯 흡수체 하부 돌기 122d: 파일롯 흡수체 댐퍼
122e: 파일롯 흡수체 내측 돌기 122f: 파일롯 흡수체 외측 돌기
130: 스프링 140: 스프링 가이드
200: 솔레노이드부 210: 코일 어셈블리
212: 보빈 214: 코일
220: 코어 230: 플런저
230a: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 230b: 댐퍼부 수납공간
230c: 연결부 수납공간 230d: 파일롯 수납공간
232: 충격 흡수체 232a: 댐퍼부
P: 댐퍼부 돌기 232b: 플런저 흡수부
232c: 연결부 240: 케이스
250: 터미널 260: 플레이트
270: C 링 280: 볼트

Claims (4)

  1. 유체 유입로와 유체 배출로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유체 배출로를 개폐하며 상하방향으로 파일롯 유로가 형성된 파일롯,
    상기 파일롯이 삽입되어 상하왕복할 수 있도록 파일롯 수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파일롯이 완전히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가 삽입되어 상하왕복할 수 있으며, 상기 플런저의 주변으로 상기 유체 유입로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도록 구비된 코일 어셈블리,
    상기 파일롯에 구비되며 상기 파일롯 하강 시 상기 유체 배출로를 밀봉하는 파일롯 흡수체,
    상기 플런저의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충격 흡수체 수납공간 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의 상하 왕복 시 상부는 상기 코어와 접하고 하부는 상기 파일롯 유로와 접하는 충격 흡수체를 포함하는 연료 차단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체 수납공간은 상기 플런저의 하단 내부에 형성되되 하단 외부와 연통된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과, 상기 플런저의 상단 내부에 형성되되 상단 외부로 연통된 댐퍼부 수납공간, 및 상기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과 상기 댐퍼부 수납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부 수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수납공간의 지름은 상기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 및 상기 댐퍼부 수납공간의 지름보다 작은 연료 차단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체는 상기 플런저 흡수부 수납공간에 형성된 플런저 흡수체와, 상기 댐퍼부 수납공간에 형성된 댐퍼부, 및 상기 연결부 수납공간에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되,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 연료 차단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원기둥형상이되, 외주연을 따라 댐퍼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댐퍼부 수납공간은 내주연을 따라 상기 댐퍼부 돌기에 대응되는 댐퍼부 수납공간 홈이 형성된 연료 차단 밸브.
KR1020190044285A 2019-04-16 2019-04-16 연료 차단 밸브 KR20200121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85A KR20200121946A (ko) 2019-04-16 2019-04-16 연료 차단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85A KR20200121946A (ko) 2019-04-16 2019-04-16 연료 차단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46A true KR20200121946A (ko) 2020-10-27

Family

ID=7313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285A KR20200121946A (ko) 2019-04-16 2019-04-16 연료 차단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194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311B1 (ko) * 2021-03-23 2021-07-16 삼보모터스주식회사 탄성 조절부를 구비한 연료전지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장치
KR20220135559A (ko) *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연료차단밸브
KR20230035855A (ko) * 2021-09-06 2023-03-1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 공급 장치
KR20230066773A (ko) *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 공급 장치
KR20230068147A (ko) *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충격성 소음 방지 구조의 수소차단밸브 및 이에 사용되는 파일럿밸브
KR102574262B1 (ko) * 2022-04-07 2023-09-06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230144390A (ko) * 2022-04-07 2023-10-16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89B1 (ko) 2010-04-20 2012-05-08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고압 대유량 솔레노이드 래치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89B1 (ko) 2010-04-20 2012-05-08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고압 대유량 솔레노이드 래치밸브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311B1 (ko) * 2021-03-23 2021-07-16 삼보모터스주식회사 탄성 조절부를 구비한 연료전지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장치
KR102298125B1 (ko) * 2021-03-23 2021-09-06 삼보모터스주식회사 탄성 조절부를 구비한 연료전지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장치
KR102298126B1 (ko) * 2021-03-23 2021-09-06 삼보모터스주식회사 탄성 조절부를 구비한 연료전지용 솔레노이드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장치
KR20220135559A (ko) *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연료차단밸브
KR20230035855A (ko) * 2021-09-06 2023-03-1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 공급 장치
KR20230066773A (ko) *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 공급 장치
KR20230068147A (ko) *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충격성 소음 방지 구조의 수소차단밸브 및 이에 사용되는 파일럿밸브
KR102574262B1 (ko) * 2022-04-07 2023-09-06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230144390A (ko) * 2022-04-07 2023-10-16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솔레노이드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21946A (ko) 연료 차단 밸브
KR101893361B1 (ko) 연료 차단 밸브
KR101225001B1 (ko) 압력 용기용 실 조립체
JP4726957B2 (ja) オイルフィルタシステム
KR101299547B1 (ko) 분무 장치
KR100679295B1 (ko) 가스용기용 밸브어셈블리
KR101409052B1 (ko) 연료탱크용 밸브 장치
JP2009511271A (ja) 噴霧デバイス
JP2009511270A (ja) 噴霧デバイス
KR100515120B1 (ko) 가스연료용기의 과압안전장치
KR101238320B1 (ko) 솔레노이드 펌프
KR101261832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08496035B (zh) 具有伸缩活塞的高压阀
KR20040071484A (ko) 에어로졸용기의 과압안전장치
KR101238760B1 (ko) 솔레노이드 밸브
JP5973243B2 (ja) ラッシュアジャスタ内蔵型ロッカアーム
KR102152287B1 (ko) 이중 씰링 구조를 갖는 고압 솔레노이드 밸브
JP2006232310A (ja) 充填装置、充填バルブおよびバルブ用部品
KR20190008240A (ko) 고압 연료 펌프
KR100746893B1 (ko) 가스연료차량용 연료공급장치의 리턴밸브
KR100607225B1 (ko)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KR20200132412A (ko) 밸브 누설 방지 릴리프밸브
KR102558570B1 (ko) 연료차단밸브
KR102476095B1 (ko) 연료차단밸브
JP5009949B2 (ja) 携帯型燃料ボンベ用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