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225B1 -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 Google Patents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225B1
KR100607225B1 KR1020040042600A KR20040042600A KR100607225B1 KR 100607225 B1 KR100607225 B1 KR 100607225B1 KR 1020040042600 A KR1020040042600 A KR 1020040042600A KR 20040042600 A KR20040042600 A KR 20040042600A KR 100607225 B1 KR100607225 B1 KR 10060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assage
gas cylinder
circumferential surfac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7319A (ko
Inventor
엄진섭
김대인
Original Assignee
엄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진섭 filed Critical 엄진섭
Priority to KR102004004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22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2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lique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11Closur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가능한 가스통은 원통형의 가스통 본체와; 상기 가스본체의 상부측과 결합되어 본체의 상부측을 밀폐하는 캡과; 상기 캡에 지지되는 제1패킹부재와, 상기 캡에 지지되어 상기 패킹을 가입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중공을 가지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제1통로을 가지며 외주면에 제1통로와 제1밸브통로가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소정길이의 제2통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통로와 연통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3밸브통로가 형성된 실린더부를 가지는 밸브본채와,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본체의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수단과, 제2,3밸브통로중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3밸브통로와 대응되는 밸브 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제3밸브통로을 밸브본체의 승강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패킹부재를 포함하는 밸브 유니트와; 상기 가스통 본체의 하부와 결합되어 본체의 하부를 밀폐하는 엔드캡;을 포함한다.
가스통, 충전, 방출, 밸브유니트

Description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valve unite and gas thank for charge utiliz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은 충전 가능한 가스통의 일부절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유니트의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밸브 유니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밸브 유니트의 단면도,
도 8은 밸브 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충전 가능한 가스통
20; 밸브 유니트
21; 제1패킹부재
22; 밸브 하우징
23; 밸브 본체
25; 실린더부
27; 제2패킹부재
28; 스프링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 버너에 장착되어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소형 가스통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스의 충전과 방출을 위한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가능한 가스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야유회나 음식점 또는 가정집에서 많이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 버너의 주원료를 사용되는 부탄가스는 소형 가스통에 충전된 상태로 버너에 장착되고, 사용 후 폐기 처분된다. 이와 같이 폐기 처분된 가스통은 재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되므로 주위의 환경을 오염시키게 될 뿐만아니라 자원을 낭비하게 된다. 특히, 버려진 가스통의 내부에는 잔여가스가 존재하므로 폭발할 위험성이 내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재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가스통이 제안되었는데, 그 일예가 등록 실용신안 제 20-0217646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재충전용 부탄 가스통은 가스통 몸체상부의 상부 캡에 재충전이 가능한 가스밸브를 부착하되, 이 가스밸브는 밸브바디의 상부에 오-링이 끼워진 주입노즐이 삽입되어 노즐커버에 의해 조립되고, 밸브바디에 삽입된 주입노즐의 하부에는 상기 주입노즐의 노즐구멍 하단을 개폐시키도록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니들 밸브가 내장된 노즐캡이 나사 결합된 구성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266354호에는 마운트 컵이 형성된 상부체의 결합공에 금속밸브 하우징을 결합 고정하고, 상기 금속밸브하우징에는 밸브부재를 삽입시킨 다음 밸브 부재의 착탈부 하단부를 눌러 로킹부가 형성되도록 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등록 실용신안 제 20-0209190호에는 충전 가능한 부탄 가스통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부탄가스통은 상하부 캡으로 밀폐된 가스통 몸체와, 상기 상부캡의 중앙에 상부 돌출부가 상부캡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용접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안치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끼워지는 패킹과, 상기 유입캡과 결합되는 노즐캡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스통은 가스의 충전시 주입을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니들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생산을 위한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1990-0018365호에는 충전용 부탄 가스통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부탄가스통은 가스 충전이 바텀부에서 이루어지고 가스의 방출이 상부 캡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단위 생산원가가 높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재충전 및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밸브 유니트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가스의 누설을 근 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재충전 가능한 가스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 유니트의 제조에 따른 제품의 원가를 줄이고 작동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재충전 가능한 가스통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의 충전과 방출시 그 통로를 이중으로 차단한 밸브 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충전 가능한 가스통의 밸브 유니트는
가스통 본체와 결합되는 캡이 지지되는 제1패킹부재와;
상기 캡에 지지되어 상기 패킹을 가입하며 중공을 가지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제1통로를 가지며 외주면에 제1통로와 연통되는 제1밸브통로가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소정길이의 제2통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통로와 연통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2,3밸브통로가 형성된 실린더부를 가지는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본체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수단과;
제2,3밸브통로중 하부 측에 위치되는 제3밸브통로와 대응되는 밸브 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밸브본체의 승강시 제3밸브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패킹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주면과 실린더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에 기밀유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패킹부재는 상기 제3밸브통로의 하부측의 밸브 본체와 밸브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전 가능한 가스통은
원통형의 가스통 본체와;
상기 가스통 본체의 상부측과 결합되어 본체의 상부측을 밀폐하는 캡과;
상기 가스통 본체와 결합되는 캡이 지지되는 제1패킹부재와,상기 캡에 지지되어 상기 패킹을 가입하며 중공을 가지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제1통로를 가지며 외주면에 제1통로와 연통되는 제1밸브통로가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소정길이의 제2통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통로와 연통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2,3밸브통로가 형성된 실린더부를 가지는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본체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수단과, 제2,3밸브통로중 하부 측에 위치되는 제3밸브통로와 대응되는 밸브 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제3밸브통로를 밸브본체의 승강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패킹부재를 구비한 밸브 유니트와;
상기 가스통 본체의 하부와 결합되어 본체의 하부를 밀폐하는 엔드캡;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가능한 가스통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의 충전 및 방출을 위한 밸브 유니트가 장착된 가스통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충전 가능한 가스통(10)은 스테인레스 판 또는 철판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가스가 충전되는 공간부(11)를 가지는 가스통 본체(12)와, 상기 가스통 본체(12)의 상부측에 장착된 캡(13)에 설치되어 가스통 본체(12) 내부에 저장된 가스를 충전 및 방출시키는 밸브 유니트(20)와, 상기 가스통 본체(12)의 하부측 단부와 결합되어 가스통 본체(12)를 밀폐하는 엔드캡(14)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통 본체(12)는 판상의 부재가 원통형으로 밴딩되고 대응되는 단부가 용접되어 이루어진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중공부를 가지는 관이 절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스통 본체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직경, 높이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밸브유니트(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상부측과 결합되는 캡(13)에 설치되는 것으로, 캡(13)의 원통형 장착부(13a)의 내에 지지되는 제1패킹부재(21)와, 상기 캡(13)에 지지되어 상기 패킹을 가입하며 중공(22a)을 가지는 밸브하우징(22)을 구비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22)의 하부에는 상기 중공(22a)와 가스통의 내부를 연통되도록 하는 유도관(22b)이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22)의 중공(22a)과 관통공(21a)을 가지는 제1패킹부재(21)에는 밸브본체(2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밸브본체(23)는 상기 제1패킹부재(2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제1통로(24a)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1패킹부재(2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제1통로(24a)와 연통되는 제1밸브통로(24b)를 가지는 노즐부(24)와, 상기 노즐부(24)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소정길이의 제2통로(25a)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통로(25a)와 연통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3밸브통로(25b)(25c)가 형성된 실린더부(25)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부(25)에 형성된 제2통로(25a)는 실린더부(25)의 하단부로부터 소정길이로 형성하고, 이의 입구측에 플러그(26)를 삽입하여 밀폐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 3밸브통로(24b)(25c)는 동일 원주상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3 밸브통로(25b)(25c)중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3밸브통로(25c)와 대응되는 밸브 하우징(22)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제3밸브통로(25c)를 밸브본체(23)의 승강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패킹부재(27)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패킹부재(27)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밸브통로(25c)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밸브통로(25c)로의 가스흐름 제어가 용이하다.
상기 밸브 하우징(22)의 바텀부와 상기 밸브본체(23)의 하단부 즉, 실리더부(25)의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밸브본체(23)을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는데, 이 탄성수단은 코일 스프링(2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캡(13)의 장착부 내주면과 실린더 하우징(22)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링부재(30)가 더 구비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밸부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린더부(25)에 형성된 제3밸브통로(25c)의 하부측의 실린더부(25)의 외주면과 밸브하우징(22)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되는 제3,4패킹부재(41)(42)가 설치되고 이들 사이의 밸브 하우징(22)에 관통공(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가능한 가스통(2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충전 가능한 가스통(10)에 충전된 가스를 방출하기 위해서는 노즐부(24)를 누른다. 이와 같이하면, 상기 제1패킹부재(21)에 의해 막혀있던 제1밸브통로(24b)가 밸브 하우징(22)의 중공(22a)과 밸브본체(23) 사이의 갭으로 노출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패킹부재(27)에 의해 막혀있던 제3밸브통로(25b)는 유도관(22b)에 의해 가스통 본체(12)와 연통되는 밸브 하우징(22)의 중공(22a)과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통본체(12)의 내부의 액상가스는 기화되어 유도관(22b)과 밸브하우징(22)의 중공(22a)의 하부측 및 제3밸브통로(25c) 제2통로(25a), 제2밸브통로(25b) 및 밸브 하우징(22)의 내주면과 실린더부(25) 사이의 갭 및 제1밸브통로(24b), 제1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제1패킹부재(21)는 다소 흔들려 기밀이 누설될 수 있으나 상기 밸브 하우징(22)의 외주면과 캡(13)의 원통형 장착부(13a)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실링부재(3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스가 상기 제1패킹부재(21)와 캡의 장착부(13a)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인 코일 스프링(28)에 의해 상기 밸브본체(23)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제1패킹부재(21)와 제2패킹부재(27)에 의해 각각 제3밸브통로(25b)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통(10)에 가스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미도시)로부터 상기 주입부(24)를 가압하여 가스 방출시와 같이 기화되어 제1통로(24a), 제1밸브통로(24b), 밸브 하우징(22)의 내주면과 실린더부(25) 사이의 갭, 제2밸브통로(25b), 제2통로(25a), 제3밸브통로(25c), 중공(22a) 및 유도관(22b)을 통하여 가스통 본체(12)의 공간부(11)에 충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은 충전과 방전이 밸브 하우징(22)에 대한 밸브본체(23)의 승강에 따라 다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이의 제조에 따른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충방전시 제1패킹부재와 제2패킹부재에 의해 제1밸브통로와 제3밸브통로를 개폐하게 되므로 이중으로 통로가 차단되어 가스의 누설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원통형의 가스통 본체와,
    상기 가스통 본체의 상부측과 결합되어 본체의 상부측을 밀폐하는 캡과;
    상기 가스통 본체와 결합되는 캡이 지지되는 제1패킹부재와, 상기 캡에 지지되어 상기 패킹을 가입하며 중공을 가지는 밸브하우징과, 상기 밸브하우징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된 제1통로를 가지며 외주면에 제1통로와 연통되는 제1밸브통로가 형성된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소정길이의 제2통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통로와 연통되며 그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2,3밸브통로가 형성된 실린더부를 가지는 밸브본체와, 상기 하우징의 중공 하단부측과 상기 밸브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본체를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수단과, 상기 제2,3밸브통로 중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3밸브통로와 대응되는 밸브 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밸브본체의 승강시 제3밸브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패킹부재를 포함하는 밸브 유니트와;
    상기 캡의 내주면과 실린더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에 기밀유지를 위한 실링부재와;
    상기 밸브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중공과 가스통의 내부를 상호 연통시키며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가스 유도관과;
    상기 가스통 본체의 하부와 결합되어 본체의 하부를 밀폐하는 엔드캡;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가스통.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킹부재가 상기 제3밸브통로의 하부측의 밸브 본체와 밸브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가능한 가스통.
KR1020040042600A 2004-06-10 2004-06-10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KR10060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600A KR100607225B1 (ko) 2004-06-10 2004-06-10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600A KR100607225B1 (ko) 2004-06-10 2004-06-10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314U Division KR200363797Y1 (ko) 2004-06-10 2004-06-10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319A KR20050117319A (ko) 2005-12-14
KR100607225B1 true KR100607225B1 (ko) 2006-08-01

Family

ID=3729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600A KR100607225B1 (ko) 2004-06-10 2004-06-10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2779B (zh) * 2012-09-05 2014-12-24 北京天海工业有限公司 泵池上的气液安全装置
KR101834878B1 (ko) * 2016-07-05 2018-03-08 비앤알(주)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319A (ko)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3028B2 (en) Atomizer having replaceable atomizing core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KR20200121946A (ko) 연료 차단 밸브
EP3162403B1 (en)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having same
KR20040070560A (ko) 가스연료용기의 과압안전장치
CN109681301B (zh) 尿素溶液加注管装置
KR100607225B1 (ko)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KR101281536B1 (ko) 과압방지 기능이 있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200363797Y1 (ko)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KR200368526Y1 (ko) 충전 가능한 가스통
KR100677921B1 (ko)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KR200352089Y1 (ko) 충전 가능한 가스통
KR20150002182U (ko)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359537Y1 (ko) 충전 가능한 가스통
KR200379687Y1 (ko) 밸브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충전 가능한 가스통
KR101139258B1 (ko) 과압해소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CN104165362A (zh) 便携式燃烧器
KR100936182B1 (ko) 노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100957512B1 (ko) 재충전이 불가능한 밸브
KR101723821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와 이를 채용한 휴대용 가스용기 및 이러한 가스용기의 제조방법
KR200205367Y1 (ko) 일체형 부탄 가스통
JP6677526B2 (ja) 封止栓、アキュムレータ、およびアキュムレータの製造方法
JPS599174Y2 (ja) ガスライタ−の注入弁
US3493019A (en) Liquefied gas fuel injection valve
KR19980065309U (ko) 휴대용 가스용기
KR200275113Y1 (ko) 담배형 라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