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384B1 - 전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384B1
KR101116384B1 KR1020100100885A KR20100100885A KR101116384B1 KR 101116384 B1 KR101116384 B1 KR 101116384B1 KR 1020100100885 A KR1020100100885 A KR 1020100100885A KR 20100100885 A KR20100100885 A KR 20100100885A KR 101116384 B1 KR101116384 B1 KR 10111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mper
movable
fix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01H50/3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damping vibration due to functional movement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와 접촉 후 분리시 가동단자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하기 위한 전자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는 고정단자와, 고정단자에 대해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단자와, 가동단자를 이동시켜 고정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와, 가동단자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단자를 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이 경우, 댐퍼는 상기 구동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가동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자 개폐를 위해 고정단자와 가동단자가 접촉된 후 분리되는 경우 이동하는 가동단자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개폐장치{RELAY}
전자 개폐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 등에서의 전자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개폐장치는 전기적인 중계작용을 하는 전동식 스위치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작은 입력전류의 변화에 의하여 주회로를 통전하거나 차단하는 접속변환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계전기의 종류에는 접점식 개폐장치, 무접점 개폐장치, 압력 개폐장치, 광 개폐장치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접점식 개폐장치는 그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여 자동차 지시등 또는 와이퍼 모터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또한, 직류전력을 개폐하는 전자 개폐장치는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골프 카드(GOLF CART) 및 전동 지게차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축전지와 직류 전력 변환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축전지로부터 직류전력을 직류변환장치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직류전력을 개폐하는 전자개폐기는, 태양 광 발전 시스템과 풍력 발전 시스템 등 친환경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직류 발전기와 직류 발전 전력을 상용 주파수와 전압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직류 발전 전력을 인버터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직류전력을 개폐하는 전자 개폐장치는,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아크 발생이 최소화되어야 하고, 실내 정숙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소음발생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와 접촉 후 분리시 가동단자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하기 위한 전자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는 고정단자와, 고정단자에 대해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단자와, 가동단자를 이동시켜 고정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와, 가동단자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단자를 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이 경우, 댐퍼는 구동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가동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가 포함하는 댐퍼의 측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으며, 댐퍼의 단면적은 원형일 수 있으며, 고정단자와 분리되어 복귀하는 가동단자를 지지하되, 고정단자를 향해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이 경우, 댐퍼는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재일 수 있으며,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가동단자를 지지할 수 있다.
전자 개폐를 위해 고정단자와 가동단자가 접촉된 후 분리되는 경우 이동하는 가동단자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의 구성도,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접점과 이동접점이 접촉시 댐퍼를 포함하는 소호부의 구성도,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접점과 이동접점이 분리시 댐퍼를 포함하는 소호부의 구성도,
도 3a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가 포함하는 댐퍼의 사시도,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가 포함하는 변형된 댐퍼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개폐장치(100)는 소호부(110)와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호부(110)는 하우징(111)과 고정단자(112)와 가동단자(115) 및 샤프트(117)로 구성된다. 소호부는 전자 개폐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에 대한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단자(112)와 가동단자(115)의 접점을 개폐한다.
하우징(111)은 세라믹(ceramic) 등과 같은 내열성 재료로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1)은 구동부(130)위에 접합되어 소호부(110)의 주요 구성을 내부에 수용하여 이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111)의 하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구동부(130)의 상판과 접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상부에는 2개의 단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단자(112)가 하우징을 통과하여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1)이 구동부(130)의 상방에 얹어진 형태로 설치되고, 하우징(111)의 상부에는 단자 구멍이 구비되고, 단자 구멍을 통하여 고정접점(도시되지 않음) 및 고정단자(112)가 삽입된다. 하우징(111) 내부에는 고정단자(112)의 하단에 샤프트(117)와 결합되고 스위칭을 위한 고정단자(112)의 고정접점(도시되지 않음)과의 접촉 및 분리를 수행하는 가동점점(도시되지 않음)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11)은 연결체를 이용하여 구동부(130)의 상판과 접합되어 고정단자(112)와 가동단자(115)를 수용하는 아크 소호공간(119)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1)의 하부는 금속재료 등으로 형성된 연결체를 이용하여 구동부(130)와 연결하고, 이를 용접 등의 접합방법을 통하여 기밀 접합될 수 있다. 아크 소호공간(119)에는 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절연성 가스가 밀봉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단자(112)의 접점과 가동단자(115)의 접점이 접촉 또는 분리됨에 따라 발생하는 아크가 제거될 수 있다.
고정단자(112)는 동계(銅系) 재료 등의 도전체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고정접점(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외부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차양부를 구비한다. 고정단자(112)는 하우징(111)의 상부 구멍을 통해 하우징(111)을 관통하여 고정된다. 고정단자(112)의 하단은 하우징(111)의 상부 구멍을 관통할 수 있으나, 고정단자(112)의 상단은 하우징(111)의 상부 구멍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를 통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고정단자(112)의 상단은 하우징(111)의 외부에 위치하고, 고정단자(112)의 하단은 하우징(111)의 내부의 아크 소호공간(119)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고정단자(112)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접점(도시되지 않음)이 가동단자(115)와 접촉되면, 고정단자(112)의 상단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고정접이 가동단자(115)와 분리되면, 고정단자(112)의 상단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전류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자 개폐장치(100)는 전기적인 중계작용을 하는 전동식 스위치 장치로 작동할 수 있다.
가동단자(115)는 동계 재료 등의 도전체로 평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가동단자(115)의 상부면에는 가동접점이 형성된다. 가동접점은 가동단자(115)와 일체로 형성된다. 가동단자(115)는 아크 소호공간(119)내에 수용되며, 아크 소호공간(119)내를 이동하여 고정단자(112)의 고정접점(도시되지 않음)과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단자(115)의 가동접점이 고정단자(112)의 고정접점(도시되지 않음)과 접촉 또는 분리될 때 아크가 발생하면, 아크를 소호할 수 있다.
샤프트(117)는 구동부(130)의 중앙부와 소호부(110)의 중앙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130)의 중앙에는 샤프트(117)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17)의 상단에는 소호부의 가동단자(115)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117)의 하단에는 구동부(130)의 가동철심(133)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130)의 가동철심(133)이 상하운동을 하는 경우, 샤프트(117)는 가동단자(115)에 상하운동을 전달하여,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100)의 소호부(110)는 가동단자(115)의 하부에 접압스프링(118)이 구비될 수 있다. 가동단자(115)의 하부에 연결된 샤프트(117)는 접압스프링(118)의 가운데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접압스프링(118)은 샤프트(117)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접압스프링(118)은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와 접촉될 때 고정단자(112)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접압스프링(118)은 고정단자(112)와 가동단자(115)가 일정 이상의 압력으로 접촉상태를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압스프링(118)은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와 분리될 때 샤프트(130)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켜, 구동부(130)의 가동철심(133)이 플런져 캡(134)과 접촉시 충격력을 완화하여 소음,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구동부(1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부(130)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접점의 개폐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전자 개폐장치(100)는 통상적으로 액추에이터를 통한 구동부(130)의 상하운동으로 전자 개폐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를 스위칭한다. 구동부(13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한 자기력을 발생시켜 접점의 구동력을 생성하는 여자용 코일(131), 여자용 코일(131)의 내부에 고정되어 배치된 고정철심(132), 고정철심(132)에 맞대어지도록 배치된 가동철심(1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자용 코일(131)과 고정철심(132) 및 가동철심(133) 사이에는 여자용 코일(131)이 권장되는 코일보빈(135)이 구비되며, 코일보빈(135)의 축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고정철심(132) 및 가동철심(133)이 배치된다. 고정철심(132)과 가동철심(133)은 여자용 코일(131)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속(磁束, magnetic flux density)을 통과시키는 자로(磁路, magnetic path)를 형성한다. 여자용 코일(131)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속에 의해 가동철심(133)이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구동력을 갖는다.
코일보빈(135)과 고정철심(132) 및 가동철심(133) 사이에는 비자성재료로 이루어지며, 소호부 측의 면이 개구되고 타측면의 바닥이 막혀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플런져 캡(134)을 구비한다. 플런져 캡(134)은 고정철심(132) 및 가동철심(133)이 수납되는 용기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고정철심(132) 및 가동철심(133) 각각의 외경은 플런져 캡(134) 내의 내경과 동일한 정도의 지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가동철심(133)은 플런져 캡(134)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동철심(133)의 이동범위는 고정철심(132)에 접합하는 접합 위치와 플런져 캡(134)의 타측면의 바닥면과 떨어지는 초기 위치와의 사이로 결정된다. 가동철심(133)이 고정철심(132)과 접합하는 접합력은 여자용 코일(131)에 의한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며, 가동철심(133)이 초기 위치에 복귀하는 방향의 용수철력은 복귀스프링(136)에 의해 제공된다. 구동부(130)의 중앙부에는 고정철심(132)이 끼워 관통시켜지는 삽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고정철심(132)은 삽통 구멍에 끼워 관통시켜지는 상태로 구동부(130)에 고정된다. 구동부(130)의 중앙부에는 고정철심(132)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되는 가동철심(133)이 구비된다. 중앙부의 코일보빈(135) 내측에는 가동철심(13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여자용 코일(131)의 통전시, 여자용 코일(131) 주변에서 자속이 발생한다. 이러한 자속에 의해 고정철심(132)과 가동철심(133)이 서로 다른 극성이 되고, 가동철심(133)은 고정철심(132)에 흡인되어 가동철심(133)과 고정철심(132)은 서로 접촉한다. 이처럼 가동철심(133)이 고정철심(132)과 접합위치에 있는 때에는 고정단자(112)와 가동단자(115)가 접촉된다. 고정단자(112)와 가동단자(115)가 접촉되면 외부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여자용 코일(131)의 단락시, 여자용 코일(131)의 자기력 발생이 중지되고 가동철심(133)의 구동력이 상실되어 가동철심(133)은 복귀스프링(136)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가동철심(133)이 초기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샤프트(117)가 이동되고, 가동단자(115)는 고정단자(112)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복귀스프링(136)은 고정철심(132)에 설치된 스프링 수납홈안에 수납되어 설치되고, 가동철심(133)이 접합 위치에 이동한 때에는 복귀스프링(136)이 압축되고 복귀스프링(136) 전체가 스프링 수납홈 안에 수납되기 때문에, 복귀스프링(136)이 가동철심(133)과 고정철심(132)의 결합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가동철심(133)이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외부장치에 전력공급이 중단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접점과 이동접점이 접촉시 댐퍼를 포함하는 소호부의 구성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접점과 이동접점이 분리시 댐퍼를 포함하는 소호부의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개폐장치는 댐퍼(12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20)는 소호부(110)의 바닥에 고정되어 가동단자(115)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댐퍼(120)는 가운데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그 사이로 샤프트(117)가 지나가면서 가동단자(115)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댐퍼(120)는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로부터 분리되어 복귀스프링(136)에 의해 소호부(110)의 바닥을 향해 하강하는 경우,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가동단자(115)의 급작스런 분리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댐퍼(120)는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와 접촉 후 분리되어 급하강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댐퍼(120)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충격흡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댐퍼(120)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댐퍼(120)와 가동단자(115)가 접촉하는 지점은 서로 접촉될 수도 있으나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동단자(115)와 댐퍼(120)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자칫 가동단자(115)의 이동에 지장을 주어 전자 개폐장치(100)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댐퍼(120)의 단면적의 형상은 가동단자(115) 단면적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단자(115)의 단면적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경우 댐퍼(120)의 단면적 역시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이는 하강하는 가동단자(115)를 제대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가동단자(115)가 원형인 경우에는 댐퍼(120)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보다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충격흡수에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댐퍼(120)는 가동단자(115)와 연결되거나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댐퍼(120)가 가동단자(115)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동단자(115)가 움직임에 따라 댐퍼(120)의 상부도 함께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된다. 댐퍼(120)가 가동단자(115)와 분리된 경우에는,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와 근접하더라도 댐퍼(120) 자체에는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전자 개폐장치(100)의 전자 개폐 성능과 관련해서, 댐퍼(120)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댐퍼(120)와 가동단자(115)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 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100)가 포함하는 댐퍼(12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일 수 있다. 이는 댐퍼(120)가 가동단자(115)의 급하강시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그 형상이 변형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샤프트(117)의 이동경로만이 개방된 경우에는 댐퍼(120) 자체의 변형이 쉽지 않기 때문에 가동단자(115)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하기 어렵다. 따라서, 가동단자(115)가 접촉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댐퍼(120)의 상부가 측면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에서 보면,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댐퍼(120)의 형상에는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다만, 도 2b에서 보듯이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와 분리되어 댐퍼(120)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그 형상이 변하게 된다. 이 경우, 댐퍼(120)의 외측면이 바깥쪽으로 퍼진 형태를 보일 수 있다. 이는 댐퍼(120)가 가동단자(115)의 하강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로부터 분리되어 하강하는 경우에 댐퍼(120)에 의해 충격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
도 3a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가 포함하는 댐퍼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개폐장치가 포함하는 변형된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댐퍼(120)는 구동부가 관통하는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고정되는 고정부(121)와, 고정부(1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123)와, 지지부(123)의 상단에 연결되어 가동단자(115)와 접촉하는 접촉부(125)를 포함한다. 전체적인 댐퍼(120)의 형상은 화분과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측면이 밀폐될 수도 있으며, 도 3b와 같이 측면이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1)는 소호부(110)의 바닥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121)는 소호부(110)의 바닥에 고정되어 샤프트(117)가 이동하여도 댐퍼(120) 자체는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는 고정부(121)의 하부에는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댐퍼(120)의 중앙에 샤프트(117)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공(122)은 샤프트(117)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원형, 타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부(121)의 단면적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단자(115)의 형상에 따라 그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단자(115)가 원형 또는 타원형이면, 고정부(121)의 단면적도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체적인 댐퍼(120)의 단면적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단자(115)가 댐퍼(120)로의 하강에 의한 접촉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지지부(123)는 고정부(121)와 연결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120)의 측면은 경사지게 된다. 이 경우, 댐퍼(120)의 단면적은 원형일 수 있다. 지지부(123)는 고정단자(112)와 분리되어 복귀하는 가동단자(115)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23)는 고정단자(112)를 향해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이 경우, 댐퍼는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귀스프링(136)에 의한 가동단자(115)의 급격한 하강에도 가동단자(115)는 소호부(1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지지부(123)는 고정부(121)의 둘레 중 일부분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댐퍼(120)는 두 개의 분리된 지지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단자(115)가 하강하여 댐퍼(120)와 접촉하면,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 지지부(123)가 측면으로 벌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가동단자(115)는 고정단자(112)와 분리되어 하강시 관성력으로 인해 아래로 더욱 하강하려 하지만, 지지부(123)에 의해 일정한 높이에서 정지하게 된다.
접촉부(125)는 지지부(123)와 연결되어 댐퍼(120)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접촉부(125)는 가동단자(115)와 접촉한다. 접촉부(125)는 가동단자(115)와 접촉할 때, 측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이는 댐퍼(120)가 가동단자(115)와의 접촉시 측면으로 퍼져 충격을 감소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댐퍼(125)는 반복적인 가동단자(115)의 움직임에도 마모없이 충격을 제대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접촉부(125)는 가동단자(115)와 접촉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로 접근하지 않는 경우에도 가동단자(115)는 댐퍼(120)의 접촉부(125)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가동단자(115)가 고정단자(112)와 접촉 후 분리되어 하강하는 경우, 댐퍼(120)의 접촉부(125)는 가동단자(115)와 접촉된 후 원래의 높이보다 약간 낮아질 수 있다. 이는 댐퍼(120)가 충격을 흡수하는 경우, 지지부(123)가 바깥측면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지지부(123)와 연결된 접촉부(125)의 높이가 약간 낮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전자 개폐장치
110 : 소호부
111 : 하우징
112 : 고정단자
115 : 가동단자
117 : 샤프트
118 : 접압스프링
119 : 아크소호 공간
120 : 댐퍼
121 : 고정부
122 : 관통공
123 : 지지부
125 : 접촉부
130 : 구동부
131 : 여자용 코일
132 : 고정철심
133 : 가동철심
134 : 플런져 캡
135 : 코일보빈
136 : 복귀스프링

Claims (7)

  1. 고정단자;
    상기 고정단자에 대해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단자;
    상기 가동단자를 이동시켜 상기 고정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가동단자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단자를 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전자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구동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자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측면은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경사진 전자 개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단면적은 원형인 전자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고정단자와 분리되어 복귀하는 상기 가동단자를 지지하되 상기 고정단자를 향해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인 전자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부재인 전자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고정단자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가동단자를 지지하는 전자 개폐장치.
KR1020100100885A 2010-10-15 2010-10-15 전자 개폐장치 KR10111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885A KR101116384B1 (ko) 2010-10-15 2010-10-15 전자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885A KR101116384B1 (ko) 2010-10-15 2010-10-15 전자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384B1 true KR101116384B1 (ko) 2012-03-09

Family

ID=4614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885A KR101116384B1 (ko) 2010-10-15 2010-10-15 전자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3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720B1 (ko) 2013-02-18 2014-05-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개폐 장치
KR101985401B1 (ko) * 2018-12-28 2019-09-03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3642B2 (ja) * 1989-09-07 1999-06-07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2006310247A (ja) 2005-03-28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開閉装置
JP4453676B2 (ja) * 2006-04-18 2010-04-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磁継電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3642B2 (ja) * 1989-09-07 1999-06-07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2006310247A (ja) 2005-03-28 2006-1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開閉装置
JP4453676B2 (ja) * 2006-04-18 2010-04-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720B1 (ko) 2013-02-18 2014-05-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개폐 장치
US9076620B2 (en) 2013-02-18 2015-07-07 Lsis Co., Ltd.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KR101985401B1 (ko) * 2018-12-28 2019-09-03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차단기와 전선터미널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383B1 (ko) 전자 개폐장치
KR101190853B1 (ko) 밀봉 접점의 제조방법
EP2442329B1 (en) Noise decreasing type electromagnetic switch
JP6343656B2 (ja) 直流リレー
CN106887365A (zh) 直流继电器
KR101116384B1 (ko) 전자 개폐장치
EP244234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magnetic switch
KR101090503B1 (ko) 전자개폐장치
KR101171353B1 (ko) 전자개폐장치
JP2013232290A (ja) 継電器
KR101173283B1 (ko) 전자 개폐장치
KR101116387B1 (ko) 전자 개폐장치
KR101697577B1 (ko) 전자개폐장치
KR20120039267A (ko) 전자 개폐장치
KR102537547B1 (ko) 직류 릴레이
CN209401571U (zh) 一种直流接触器的动触头组件
KR101116388B1 (ko) 전자 개폐장치
KR101116386B1 (ko) 전자개폐장치
CN209401570U (zh) 一种直流接触器的隔弧结构
KR101151439B1 (ko) 밀봉 접점 장치 및 밀봉 접점의 제조방법
KR20120039206A (ko) 밀봉 접점의 제조방법
KR101173279B1 (ko) 구동장치 및 전자 개폐장치
CN205752033U (zh) 一种新型水银继电器
KR101090502B1 (ko) 전자개폐장치
KR20120039271A (ko) 전자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