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547B1 - 직류 릴레이 - Google Patents

직류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547B1
KR102537547B1 KR1020160175817A KR20160175817A KR102537547B1 KR 102537547 B1 KR102537547 B1 KR 102537547B1 KR 1020160175817 A KR1020160175817 A KR 1020160175817A KR 20160175817 A KR20160175817 A KR 20160175817A KR 102537547 B1 KR102537547 B1 KR 102537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fixed
relay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346A (ko
Inventor
윤도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6017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5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2Co-operating movable contacts operated by separate electrical actu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Off 동작시의 소음을 저감시키고, On 동작시의 동작전압을 감소시킨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는 아크 챔버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의 하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 상기 아크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중심에는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하운동 하면서 상기 고정코어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코어; 하단은 상기 가동코어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점을 움직이게 하는 샤프트; 상기 고정코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에 하방으로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코어의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보조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류 릴레이{DC Relay}
본 발명은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Off 동작시의 소음을 저감시키고, On 동작시의 동작전압을 감소시킨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 또는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골프 카트 및 전동 지게차 등과 같은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의 전력을 동력발생장치 및 전장부에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전기자동차용 릴레이(Electric Vehicle Relay)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자동차용 릴레이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핵심 부품의 하나이다.
도 1 및 도 2에 종래 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Off 상태(차단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On 상태(통전 상태)를 나타낸다.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구성은 아크챔버(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접점(2), 아크챔버(1)의 내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접점(2)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동접점(3), 상기 아크챔버(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점(3)을 상하운동시키는 액추에이터(A), 및 상기 가동접점(3)의 접압력을 확보하기 위한 접촉 스프링(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4)는 외부전원(제어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5)과, 상기 코일(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코어(6)와, 상기 고정코어(6)의 하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코어(7)와, 하단이 상기 가동코어(7)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가동접점(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8) 및, 상기 고정코어(6)와 가동코어(7) 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코어(7)를 고정코어(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8)는 상기 고정코어(6)의 중심부에 형성된 샤프트홀을 통해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On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은 차단 상태중에 코일(5)에 전류가 흐르면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 내에서 고정코어(6)가 자화된다. 고정코어(6)의 자기흡인력에 의해 가동코어(7)가 복귀스프링(9)을 압축시키면서 상승하게 된다. 더불어, 가동코어(7)에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8)가 접압스프링(4)을 압축시키면서 상승하여 가동접점(3)을 밀어올려 고정접점(2)에 접촉시킴으로써 주회로에 통전이 일어나도록 하게 된다. 즉, 도 2와 같은 통전 상태로 된다.
한편, Off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은 통전 상태중에 차단 신호가 발생하면 코일(5)에 인가되던 전류가 차단되어 자기장이 소멸한다. 고정코어(6)에 발생하던 자기흡인력이 제거되어 가동코어(7)는 복귀스프링(9) 및 접압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빠르게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8)가 하방으로 움직이면서 가동접점(3)은 고정접점(2)으로부터 분리되어 주회로는 도 1과 같은 차단 상태에 이른다.
Off 작동시에 샤프트(8)의 플랜지(8a) 부분은 고정코어(6) 또는 챔버 하부 플레이트(11)에 부딪혀 소음을 내게 된다. 이 소음을 감소시키고자 종래기술에서는 고무패드(12)를 사용하여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패드(12)의 역할은 한정적일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Off 동작시의 소음을 저감시키고, On 동작시의 동작전압을 감소시킨 직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는 아크 챔버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의 하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 상기 아크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중심에는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하운동 하면서 상기 고정코어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코어; 하단은 상기 가동코어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점을 움직이게 하는 샤프트; 상기 고정코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에 하방으로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코어의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보조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코어는 상부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의 하부에는 상기 복귀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의 중간부에는 지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는 상면이 상기 보조 스프링을 지지하고, 하면이 상기 복귀 스프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의 내경은 상기 지지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내경은 상기 제1 삽입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귀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보조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는 상기 보조 스프링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의 직경은 상기 제2 삽입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는 지지 디스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코어의 상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에는 중간부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디스크를 감싸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의하면 고정코어에 샤프트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보조스프링이 구비되어 Off 동작시의 소음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조스프링은 On 동작시 가동코어의 작용을 보조하여 On 동작시의 동작전압을 감소시킨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종단면도이다. 도 1은 차단상태(Off 상태)이고, 도 2는 통전 상태(On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고정코어 및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작용 상태이다. 도 6은 Off 상태, 도 7은 접점부 접촉 상태, 도 8은 On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고정코어 및 탄성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는 아크 챔버(20)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25);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25)의 하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25)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30); 상기 아크 챔버(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21); 상기 하부 플레이트(2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중심에는 관통홀(41)이 형성되는 고정코어(40); 상기 고정코어(4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하운동 하면서 상기 고정코어(40)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코어(50); 하단은 상기 가동코어(50)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41)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점(30)을 움직이게 하는 샤프트(55); 상기 고정코어(40)와 가동코어(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50)에 하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60);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41)의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55)를 지지하는 보조 스프링(6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크챔버(arc chamber)(20)는 하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직류 차단기의 케이스(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된다. 아크 챔버(20)는 접점부(25,30)가 설치되는 공간을 이룬다. 아크 챔버(20)는 차단시 접점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할 수 있도록 절연성, 내압성,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고정접점(fixed cOntact)(25)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케이스(미도시) 및 아크 챔버(20)에 관통 설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고정접점(25) 중에서 어느 하나는 전원측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부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가동접점(moving cOntact)(30)은 소정 길이의 판상체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25)의 하부에 설치된다. 가동접점(30)은 아크 챔버(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A)에 의해 상하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되어 고정접점(25)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A)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자로(a magnetic circuit)를 이루는 요크(71), 요크(71) 내부에 설치되는 보빈(72)에 권선되고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73), 상기 코일(73)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코일(73)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자기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코어(40), 상기 고정코어(40)의 하부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코어(40)의 자기흡인력에 의해 고정코어(40)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코어(50), 상단이 가동접점(30)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코어(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샤프트(55)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 챔버(20)의 하부에는 하부 플레이트(21)가 구비된다. 하부 플레이트(21)는 요크(7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는 철(steel)이나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요크(71)와 함께 자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1)는 상부에 설치되는 아크 챔버(20) 및 하부에 설치되는 액추에이터(A)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판의 역할도 수행한다.
하부 플레이트(21)와 아크 챔버(20)의 사이에는 밀봉용 부재(2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아크 챔버(20)의 하부와 하부 플레이트(21)의 둘레를 따라 밀봉용 부재(22)가 포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55)는 전체적으로 일자형 봉(rod)으로 형성된다. 샤프트(55)의 상단부가 가동접점(3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샤프트(55)의 일부에 플랜지(56)가 형성된다. 플랜지(56)는 하부 플레이트(21)의 상부에 위치한다.
샤프트(55)의 하부는 가동코어(5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55)는 가동코어(50)와 함께 움직인다. 샤프트(55)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샤프트(55)는 가동접점(30)을 밀어올려 고정접점(25)에 접촉시키게 된다.
지지 디스크(57)가 플랜지(56)의 상부에 설치된다. 지지 디스크(57)는 플랜지(56)의 상부에 얹히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디스크(57)는 Off 상태에서 하면이 고정코어(40)에 접한다. 이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지 디스크(57)와 고정코어(40) 사이에 탄성부재(65)가 마련된다.
상기 가동접점(30)이 고정접점(25)에 접촉할 때 가동접점(30)에 접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촉 스프링(23)이 마련된다. 접촉 스프링(23)은 가동접점(30)과 샤프트(55) 사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촉 스프링(23)은 가동접점(30)과 지지 디스크(57) 사이에 설치된다. 접촉 스프링(23)은 Off 상태에서 가동접점(30)을 지지하여 고정접점(25)으로부터의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통전시 가동접점(30)에 접압력을 제공하여 고정접점(25)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접촉 스프링(23)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코어(40)는 하부 플레이트(2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코어(40)는 자화되기 쉽도록 철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코어(40)의 종축을 따라 관통홀(41)이 관통 형성된다. 고정코어(40)의 하부에는 종축을 따라 복귀 스프링(6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제1 삽입부(42)가 형성된다. 제1 삽입부(42)에는 복귀 스프링(60)이 삽입 설치된다. 제1 삽입부(42)의 하단부는 입구 쪽으로 넓게 형성되는 경사부(42a)가 마련될 수 있다.
관통홀(41)의 중간부에는 지지부(43)가 마련된다. 지지부(43)는 하면으로는 복귀 스프링(60)을 지지하고, 상면으로는 보조 스프링(61)을 지지하게 된다.
관통홀(41)의 상부에는 종축을 따라 보조 스프링(61)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제2 삽입부(44)가 마련된다. 제1 삽입부(42)의 내경은 지지부(43)의 내경보다 크고, 제2 삽입부(44)의 내경은 제1 삽입부(4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코어(40)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향하는 돌출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45)의 내경은 제2 삽입부(44)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5)의 상단부 일부는 하부 플레이트(21)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디스크(57)는 차단시 하부 플레이트(21)를 직접적으로 충격하지 않고 고정코어(40) 부분만 충격하게 된다.
보조 스프링(61)이 제2 삽입부(44)에 삽입 설치된다. 보조 스프링(61)의 상단부는 샤프트(55)의 플랜지(56)에 접한다. 보조 스프링(61)은 차단시 샤프트(55)를 지지하여 샤프트(55)와 고정코어(40) 사이에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보조 스프링(61)의 탄성력은 복귀 스프링(60)의 탄성력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시 가동코어(50)가 복귀하기 위해서는 복귀 스프링(60)의 힘이 보조 스프링(61)의 힘을 이기고 가동코어(50)를 움직이게 한다.
가동코어(50)가 고정코어(40)의 하부에 마련된다. 가동코어(50)는 고정코어(40)와 마찬가지로 자화될 수 있도록 철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코어(5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코어(50)를 관통하여 샤프트(55)가 고정 결합된다.
가동코어(50)에 샤프트(55)가 결합된다. 릴레이가 On 동작시에는 가동코어(50)가 샤프트(55)를 상방으로 밀게 되고, 릴레이가 Off 동작시에는 샤프트(55)가 가동코어(50)를 하방으로 밀게 된다.
가동코어(50)의 상면에는 진입부(51)가 돌출 형성된다. 진입부(51)의 종단면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입부(51)는 고정코어(40)의 경사부(42a)에 접촉하게 된다. 고정코어(40)에는 경사부(42a)가 형성되고 가동코어(50)에는 진입부(51)가 형성되어, 가동코어(50)가 고정코어(40)에 접촉시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동일한 중심을 유지하게 된다.
차단시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탄성부재(65)가 마련된다. 탄성부재(65)는 중절모자(ha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65)의 중간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부(67)를 갖는다. 탄성부재(65)의 하부에는 홈으로 형성되는 오목부(66)가 형성된다. 오목부(66)에 고정코어(40)의 돌출부(45)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65)의 중심에는 중심홀(68)이 형성된다. 중심홀(68)의 직경은 제2 삽입부(44)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심홀(68)의 직경은 플랜지(5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플랜지(56)는 탄성부재(65)에 접촉하지 않고, 보조 스프링(61)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65)의 상면에는 지지 디스크(57)가 접하게 된다.
지지 디스크(57)를 감싸는 제2 탄성부재(58)가 마련된다. 제2 탄성부재(58)는 지지 디스크(57)를 감싸서 지지 디스크(57)가 직접 탄성부재(65)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즉, 제2 탄성부재(58)가 탄성부재(65)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Off 상태, 도 7은 접점부 접촉 상태, 도 8은 On 상태이다.
먼저, On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On 작동은 도 6,7,8의 순서대로 진행된다.
도 6과 같은 차단 상태에서 보조 스프링(61)은 압축된 상태에 있다. 이는 가동접점(30), 샤프트(55) 및 가동코어(50)의 자중에 의해 압축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초기 제조시 보조 스프링(61)은 압축된 상태로 스프링 삽입홈(42)에 설치된다. 복귀 스프링(60)의 탄성력이 보조 스프링(61)의 탄성력보다 크므로 정상상태에서 보조 스프링(61)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지지 디스크(57)(보다 엄밀하게는 제2 탄성부재(58))는 탄성부재(65)에 접촉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가동접점(30)은 고정접점(25)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고, 가동코어(50)는 고정코어(4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다.
이때, 제어 전원이 입력되어 코일(73)(도 3 참조)에 자기장이 형성되면 고정코어(40)는 자화되어 가동코어(50)를 끌어당기게 된다. 가동코어(50)가 자기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샤프트(55)가 상승하게 된다. 샤프트(55)는 샤프트(55)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가동접점(30)을 밀어올려 가동접점(30)이 고정접점(25)에 접촉하게 되어 도 7과 같은 상태에 이른다. 차단 상태에서 가동접점(30)과 고정접점(25)의 이격거리는 가동코어(50)와 고정코어(40)의 이격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가동접점(30)이 고정접점(25)에 먼저 닿게 된다. 가동코어(50)가 복귀 스프링(60)의 힘을 이기고 상승할 때, 보조 스프링(61)은 저장되었던 탄성력이 복원력으로 전환되어 가동코어(50) 및 샤프트(55)의 상승을 돕는다. 이에 따라, 샤프트(55)의 상승에 필요한 힘은 감소하여 요구되는 전압은 감소하게 된다.
이후, 가동접점(30)이 고정접점(25)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동코어(50)는 더 상승하여 고정코어(40)에 접촉하게 된다. 접촉스프링(23)은 압축되면서 가동접점(30)이 고정접점(25)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접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Off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Off 작동은 도 8,7,6의 순서로 진행된다.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유지 전원이 제거되어 코일(73)의 자기장이 사라지면 가동코어(50)는 복귀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코어(50)가 고정코어(40)로부터 먼저 분리되고(도 7 참조), 이후 가동접점(30)이 고정접점(25)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샤프트(55)의 급격한 분리 및 이동에 의해 지지 디스크(57)는 고정코어(40)의 돌출부(45)에 충격하게 된다. 이때, 보조 스프링(61)이 지지 디스크(57)(엄밀하게는 플랜지부(56))를 지지하여 지지 디스크(57)와 고정코어(40)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65) 및 제2 탄성부재(58)도 지지 디스크(57)와 고정코어(40)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므로 충격은 더욱 감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아크 챔버 21 하부 플레이트
22 밀봉용 부재 23 접촉 스프링
25 고정접점 30 가동접점
40 가동코어 41 관통홀
42 제1 삽입부 42a 경사부
43 지지부 44 제2 삽입부
45 돌출부 50 가동코어
51 진입부 55 샤프트
56 플랜지 57 지지 디스크
58 제2 탄성부재 60 복귀 스프링
61 보조 스프링 65 탄성부재
66 오목부 67 볼록부
68 중심홀 71 요크
72 보빈 73 코일

Claims (12)

  1. 아크 챔버의 상면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의 하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
    상기 아크 챔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중심에는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하운동 하면서 상기 고정코어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코어;
    하단은 상기 가동코어에 고정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점을 움직이게 하는 샤프트;
    상기 고정코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에 하방으로 작용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코어의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보조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는 상기 보조 스프링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코어는 상부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하부에는 상기 복귀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1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중간부에는 지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는 상면이 상기 보조 스프링을 지지하고, 하면이 상기 복귀 스프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의 내경은 상기 지지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내경은 상기 제1 삽입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보조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직경은 상기 제2 삽입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상부에는 지지 디스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코어의 상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중간부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릴레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디스크를 감싸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직류 릴레이.
KR1020160175817A 2016-12-21 2016-12-21 직류 릴레이 KR102537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817A KR102537547B1 (ko) 2016-12-21 2016-12-21 직류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817A KR102537547B1 (ko) 2016-12-21 2016-12-21 직류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346A KR20180072346A (ko) 2018-06-29
KR102537547B1 true KR102537547B1 (ko) 2023-05-26

Family

ID=6278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817A KR102537547B1 (ko) 2016-12-21 2016-12-21 직류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725A (ko) * 2020-11-06 2022-05-13 엘에스일렉트릭(주) 코일부 및 이를 포함하는 ev 릴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496A (ja) * 2002-08-09 2004-03-04 Shinko Denki Kk 押釦スイッチ
KR101090503B1 (ko) * 2010-10-15 2011-1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77B1 (ko) * 2012-06-04 2017-0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장치
KR101545893B1 (ko) * 2014-01-28 2015-08-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릴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496A (ja) * 2002-08-09 2004-03-04 Shinko Denki Kk 押釦スイッチ
KR101090503B1 (ko) * 2010-10-15 2011-12-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346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5894B2 (en) Direct current relay
KR101681591B1 (ko) 전자 개폐기
CN106887365B (zh) 直流继电器
EP2975626B1 (en) Magnetic switch
KR101239635B1 (ko) 전자개폐장치
JP6343656B2 (ja) 直流リレー
KR101280288B1 (ko) 회로차단기
US11830694B2 (en) Direct current relay
KR102606007B1 (ko) 직류 릴레이
KR102537547B1 (ko) 직류 릴레이
KR101276905B1 (ko) 전자 접촉기
KR101006320B1 (ko) 고압용 릴레이 구조
KR101697577B1 (ko) 전자개폐장치
KR20170000938U (ko) 전자개폐기
KR20180045360A (ko) 직류 릴레이
KR101717657B1 (ko) 전자개폐장치
KR20170072727A (ko) 전자 접촉기
KR20170008575A (ko) 전자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