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546B1 -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546B1
KR101115546B1 KR1020110035236A KR20110035236A KR101115546B1 KR 101115546 B1 KR101115546 B1 KR 101115546B1 KR 1020110035236 A KR1020110035236 A KR 1020110035236A KR 20110035236 A KR20110035236 A KR 20110035236A KR 101115546 B1 KR101115546 B1 KR 101115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inlet
deodorization
trap
deod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권
Original Assignee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filed Critical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Priority to KR102011003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악취를 온전히 차단하며, 방취트랩에 오수의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오수가 얼게 될 때에도 오수가 원활히 배출되고 관리가 용이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일측의 외측으로 유입연결구가 돌출 형성되어 오수유입관에 체결되는 유입부와, 유입부의 하부 끝단에서부터 "U"자형으로 형성되어 오수가 저수되며, 상부 끝단이 개구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된 방취트랩부를 포함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유입부의 유입연결구가 형성된 타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방취트랩부가 폐색될 때 오수를 토출시키는 비상토출부; 방취트랩부가 포함되도록 유입부를 감싸며, 하부 일측에는 오수가 배출되도록 유출구가 돌출 형성된 커버부; 커버부의 유출구에 체결되어 오수관에 연결되는 오수관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Duplex deodorization possibility drain sewage}
본 발명은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악취를 온전히 차단하며, 방취트랩에 오수의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오수가 얼게 될 때에도 오수가 원활히 배출되고 관리가 용이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오수를 받아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일부 걸러 배출하기도 하고 이물질을 거르지 않고 배출하는 장치로써, 그 과정에서 생기는 오수의 이물질을 통해 맨홀 내부에 생기는 악취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곤 하였다.
따라서 오수받이의 오수유입구 끝단에 "U"자형으로 형성되는 방취트랩에 오수가 저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악취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방취장치는 방취트랩에 저수된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근본적으로 차단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에 따라 방취트랩 내부에 오수의 이물질이 침전되어 막히게 되고, 동절기에는 방취트랩 내부에 채워져 있는 오수가 얼게 되면서 오수가 배출되지 못하고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방취트랩을 통해 악취를 차단할 때 저수된 오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악취도 온전히 차단할 수 있는 오수받이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해결과제는 방취트랩에 오수의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오수가 얼게 될 때에도 오수가 원활히 배출되고 관리가 용이한 오수받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일측의 외측으로 유입연결구가 돌출 형성되어 오수유입관에 체결되는 유입부와, 유입부의 하부 끝단에서부터 "U"자형으로 형성되어 오수가 저수되며, 상부 끝단이 개구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된 방취트랩부를 포함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유입부의 유입연결구가 형성된 타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방취트랩부가 폐색될 때 오수를 토출시키는 비상토출부; 방취트랩부가 포함되도록 유입부를 감싸며, 하부 일측에는 오수가 배출되도록 유출구가 돌출 형성된 커버부; 커버부의 유출구에 체결되어 오수관에 연결되는 오수관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방취트랩부의 토출구가 유입부의 하부 끝단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입부는 상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홀이 더 구비되고, 커버부는 상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관통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상부를 덮는 뚜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취트랩부에 오수가 저수되어 오수가 유입부를 막게 되면서 악취를 차단하고, 커버부를 통해 유입부에 저수된 오수가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시켜 이중방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방취트랩부에 오수의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오수가 얼게 될 때에도 오수가 원활히 배출되고 관리가 용이한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의 방취트랩부에 오수가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의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의 비상토출부로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는 유입부(10)와, 방취트랩부(20)와, 비상토출부(30)와, 커버부(40)와, 뚜껑부(50)와, 오수관연결부(60)를 포함하게 된다.
유입부(10)는 하부가 관통되고, 내측으로 오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오수유입관(2)에 체결되는 유입연결구(12)가 형성된다.
방취트랩부(20)는 유입부(10)의 하부 끝단에서부터 "U"자형으로 형성되어 오수가 저수되며, 상부 끝단이 개구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토출구(22)가 형성된다. 이때, 방취트랩부(20)의 토출구(22)가 유입부(10)의 하부 끝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방취트랩부(20)에 저수된 오수로 인해 유입부(10)의 하부가 오수에 잠긴 형태가 되면서 오수로 인해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기 때문에 악취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비상토출부(30)는 유입부(10)의 유입연결구(12)가 형성된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하측으로 개구부를 갖는 비상토출구(32)와, 비상토출구(32)의 끝단에 개폐가능하게 체결되어 비상토출구(32)의 개구부를 덮는 방취덮개(34)와, 방취덮개(34)의 상부 일측에 체결되어 하방으로 생기는 중력의 힘에 의해 방취덮개(34)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조절추(36)를 포함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비상토출부(30)는 오수가 유입부(10)와 방취트랩부(20)를 통해 정상적으로 배출되면 개폐조절추(36)의 무게로 인해 방취덮개(34)가 비상토출구(32)의 개구부를 덮어 비상토출부(30)를 통해 악취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방취트랩부(20)에 오수가 채워지면서 쌓이는 이물질이 많아져 막히면 다시 유입되는 오수가 방취트랩부(20)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유입부(10) 내부에 오수가 집수되면서 오수가 비상토출부(30)로 넘어가게 된다.
이때, 비상토출구(32)에 개폐조절추(36)의 무게보다 무거운 양의 오수가 채워지게 되면 방취덮개(34)가 개폐되어 오수가 배출되고, 오수가 배출되어 오수의 양이 개폐조절추(36)의 무게보다 적게 유입되면 개폐조절추(36)의 무게로 인해 방취덮개(34)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어 비상토출구(32)의 개구부를 덮개 된다.
한편, 개페조절추(36)는 오수가 유입되는 양에 따라 방취덮개(34)가 개폐될 수 있도록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되면 오수의 양이 다른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도 효과적으로 방취가 가능할 수가 있게 된다.
커버부(40)는 방취트랩부(20)와 비상토출부(30)가 모두 포함되도록 유입부(10)를 감싸듯 형성되는데, 유입부(10)의 유입연결구(12)가 형성된 타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방취트랩부(20)와 비상토출부(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하부 일측에는 오수가 배출되도록 유출구(4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유입부(10)는 상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홀(14)이 더 구비되고, 커버부(40)는 상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관통홀(44)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제1관통홀(14)과 제2관통홀(44)을 통해 방취트랩부(20)와 비상토출부(30)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고 오수가 얼게 되거나, 보수가 필요할 때 유지관리가 쉽게 된다.
뚜껑부(50)는 유지보수를 위해 관통된 제1관통홀(14)과 제2관통홀(44)의 상부를 덮게 되어 악취가 차단될 수 있게 해준다.
오수관연결부(60)는 일측이 커버부(40)의 유출구(42)에 체결되고, 타측이 오수관(3)에 연결되어 오수유입관(2)에서 유입된 오수를 오수관(3)으로 직접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악취를 온전히 차단할 수 가 있기 때문에 맨홀(1)이 없는 가정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할 수가 있게 된다. 사용 환경에 따라서 오수관연결부(60)를 사용하지 않고 커버부(40)의 유출구(42)에 오수관(3)을 직접 체결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가 맨홀(1)에 설치될 경우에는 맨홀(1) 내부에 오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에 오수유입관(2)이 형성되고, 유입된 오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오수관(3)이 맨홀(1)의 하부 양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맨홀(1)의 상부에는 맨홀덮개(4)를 덮어 맨홀(1)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맨홀덮개(4)의 하부에는 보온층(4)이 형성되어 맨홀(1)의 내측벽면과 밀착되면서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 맨홀(1) 내부의 보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보온층(4a)은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보온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는 유입부(10)에 형성된 유입연결구(12)가 오수유입관(2)에 체결되고, 커버부(40)에 형성된 유출구(42)가 오수관연결부(60)의 일측에 체결되며, 오수관연결부(60)의 타측이 오수관(3)과 연결되어 오수유입관(2)에서 유입된 오수를 오수관(3)으로 직접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수유입관(2)에서 유입된 오수를 오수관(3)으로 직접 배출할 수 있게 됨으로 맨홀(1) 내부에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쌓이지 않게 하여 오수의 잔존물이 고여 미생물이 번식하거나 잔존물이 부패하여 생기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는 방취트랩부(20) 내부에 오수가 채워지면서 쌓이는 이물질이 많아져 방취트랩부(20)를 막게 되면 다시 유입되는 오수가 토출구(22)로 배출되지 못하고 유입부(10) 내부에 오수가 채워지게 된다. 이때, 오수가 계속 유입되게 되면 닫혀있던 비상토출부(30)가 개방되어 오수가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동절기에는 방취트랩부(20)에 채워진 오수가 얼게 되어 방취트랩부(20)가 폐색되게 되면 다시 유입되는 오수가 토출구(22)로 배출되지 못하고 유입부(10) 내부에 오수가 채워지게 되고, 오수가 계속 유입되면 비상토출부(30)가 개방되어 오수가 배출되게 된다.
이때 동절기에는 오수가 얼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지만 반면에 온수를 사용하여 따뜻한 오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방취트랩부(20)에 얼어 있던 오수가 따뜻한 오수로 인하여 녹게 되면서 방취트랩부(20)를 통하여 오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관리가 없어도 다시 원상태로 복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방취트랩부(20)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오수가 얼게 되어 폐색되더라도 비상토출부(30)를 통해 오수가 원활히 배출되며 오수가 얼게 되어 폐색될 때에도 따뜻한 오수가 유입되어 방취트랩부(20)에 얼어있는 오수가 녹게 되면서 제 기능을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악취를 차단하고 오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오수받이는 방취트랩부에 오수가 저수되어 오수가 유입부를 막게 되면서 악취를 차단하고, 커버부를 통해 유입부에 저수된 오수가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시켜 이중방취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방취트랩부에 오수의 이물질이 침전되거나 오수가 얼게 될 때에도 오수가 원활히 배출되고 관리가 용이한 다른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1: 맨홀 2: 오수유입관
3: 오수관 4: 맨홀덮개
10: 유입부 20: 방취트랩부
30: 비상토출부 40: 커버부
50: 뚜껑부 60: 오수관연결부

Claims (5)

  1. 상부 일측의 외측으로 유입연결구가 돌출 형성되어 오수유입관에 체결되는 유입부와, 유입부의 하부 끝단에서부터 "U"자형으로 형성되어 오수가 저수되며, 상부 끝단이 개구되어 오수를 배출시키는 토출구가 형성된 방취트랩부를 포함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유입부의 유입연결구가 형성된 타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방취트랩부가 폐색될 때 오수를 토출시키는 비상토출부;
    방취트랩부가 포함되도록 유입부를 감싸며, 하부 일측에는 오수가 배출되도록 유출구가 돌출 형성된 커버부;
    커버부의 유출구에 체결되어 오수관에 연결되는 오수관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취트랩부의 토출구가 유입부의 하부 끝단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입부는 상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홀이 더 구비되고, 커버부는 상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관통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상부를 덮는 뚜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KR1020110035236A 2011-04-15 2011-04-15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KR101115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236A KR101115546B1 (ko) 2011-04-15 2011-04-15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236A KR101115546B1 (ko) 2011-04-15 2011-04-15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546B1 true KR101115546B1 (ko) 2012-03-05

Family

ID=46141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236A KR101115546B1 (ko) 2011-04-15 2011-04-15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5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2923A (zh) * 2014-04-07 2014-06-25 沈阳欧士伊机械科技有限公司 具有止回功能的三腔式储渣器
KR101900205B1 (ko) 2017-12-07 2018-09-19 주식회사 시코 역류방지캡이 설치되는 오수받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68Y1 (ko) * 2003-04-09 2003-07-23 권혁중 우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20100016938A (ko) * 2008-08-05 2010-02-16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오수받이용 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68Y1 (ko) * 2003-04-09 2003-07-23 권혁중 우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20100016938A (ko) * 2008-08-05 2010-02-16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오수받이용 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2923A (zh) * 2014-04-07 2014-06-25 沈阳欧士伊机械科技有限公司 具有止回功能的三腔式储渣器
KR101900205B1 (ko) 2017-12-07 2018-09-19 주식회사 시코 역류방지캡이 설치되는 오수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171B2 (en) Trap and drain assembly for draining waste liquids while blocking odors
JPH11515068A (ja) 水平流出オイル密封保存排出臭気トラップ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115546B1 (ko) 이중방취가 가능한 오수받이
KR100897534B1 (ko) 무수 소변기의 악취차단트랩
US9445695B2 (en) Urinal, and method for replacing an odor seal of a urinal
KR101552404B1 (ko) 방화 기능 및 쓰레기 유입 저감 기능을 갖는 악취 차단장치
JP2004190474A (ja) 排水トラップ構造
KR101020719B1 (ko)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0479634Y1 (ko)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배수라인 시공구조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100830205B1 (ko) 저비중세척액을 사용하는 수세식 변기
KR100454999B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JP2955546B2 (ja) 下水用会所枡
KR100580865B1 (ko) 건축용 개량맨홀
KR200320468Y1 (ko) 우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JP2004285651A (ja) 雨水ます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0367717Y1 (ko)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KR20060018026A (ko)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KR200431520Y1 (ko) 습윤재가 매입된 배수구용 맨홀박스
CN220868390U (zh) 一种防臭排水地漏
KR100499329B1 (ko) 자동개폐식 변기의 분뇨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