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5324B1 -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 Google Patents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5324B1
KR101115324B1 KR1020110067902A KR20110067902A KR101115324B1 KR 101115324 B1 KR101115324 B1 KR 101115324B1 KR 1020110067902 A KR1020110067902 A KR 1020110067902A KR 20110067902 A KR20110067902 A KR 20110067902A KR 101115324 B1 KR101115324 B1 KR 10111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external
conductor
cylindrical shape
extern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광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to KR102011006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5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5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07Filtering devices for biasing networks or DC retu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veguide Connection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바이어스 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이어스 티 장치는 제 1 및 제 2 컨덕터들 간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고, 간격을 최소화하여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킨다. 이를 위해 제 1 컨덕터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제 1 외접부의 내부에 제 1 내접부가 형성된다. 제 1 내접부는 제 1 외접부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며,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 2 컨덕터는 제 1 컨덕터의 제 1 내접부에 삽입되는 제 2 내접부가 형성된다. 제 2 컨덕터는 제 1 컨덕터의 내부에 삽입 결합된다. 제 1 및 제 2 컨덕터 사이에는 유전체가 구비된다. 유전체는 제 1 컨덕터 또는 제 2 컨덕터의 표면에 아노다이징 처리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크기의 바이어스 티 장치에서 제 1 및 제 2 내접부에 의해 제 1 및 제 2 컨덕터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BIAS-T APPARATUS WITH HIGH CAPACITANCE}
본 발명은 바이어스 티(Bias-T)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컨덕터들 간의 면적을 증가시키고, 간격을 최소화하여 컨덕터들에 의해 형성되는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키는 바이어스 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수신하여 중간 주파수로 변환시켜 신호 처리한 후, 다시 RF 신호로 원하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중계기와 중계기 사이에는 전송되는 RF 신호의 전송 전력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선로 증폭기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중계기로부터 송신되는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를 선로 증폭기 방향으로 전송해 주기 위해 각각의 RF 선로 및 DC 전원 선로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RF 선로 및 DC 전원 선로를 분리하여 설치하는 경우, 공사가 어려우면서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를 하나의 선로 만으로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바이어스 티(Bias-T) 장치가 개발되었다.
바이어스 티 장치는 전원 공급을 위해 신호선에 설치된 T 자 모양의 분기선으로, 고주파 회로나 동축 케이블의 중간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바이어스 티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와 중계기 사이 또는 중계기와 전송 전력의 손실을 보상해주는 선로 증폭기 사이를 연결한다. 이 때, 바이어스 티는 중계기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를 합성하거나, 선로 증폭기으로 합성된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를 다시 분리한다. 즉, 바이어스 티는 RF 신호 및 DC 전원을 동시에 수신하여 이들을 각각 분리하거나, 그 반대로 각각 입력된 RF 신호 및 DC 전원을 하나의 신호로 합성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에 대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10)는 고주파(RF) 케이블(미도시됨) 등과 연결되는 하우징(11)의 결합판(25)에는 중앙에 수평 방향으로 센터홀(23)이 형성되고, 센터홀(23)에는 외부 컨덕터(13)가 센터홀(2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된다.
외부 컨덕터(13)에는 일정한 깊이(d2)를 갖는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15)에는 테프론(17) 및 내부 컨덕터(19)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컨덕터(13)와 내부 컨덕터(19)는 유전체로써의 테프론(17)에 의해 상호 절연되어 커패시터(capacitor)가 형성된다. 이때, 테프론(17)은 균일한 표면 및 원활한 점착성을 위하여 그 두께가 100 ㎛를 초과하도록 형성한다.
외부 컨덕터(13)는 테프론(17) 및 내부 컨덕터(19)가 삽입되는 삽입홈(15)이 형성된 부분(d2)과 삽입홈(1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d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삽입홈(15)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는 인덕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분기홀(21)이 형성된다.
외부 컨덕터(13)와 내부 컨덕터(19) 그리고 테프론(17)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가 설정된 용량을 갖기 위해서는 테프론(17) 및 내부 컨덕터(19)가 접촉하는 부분(d2)이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하우징(11)의 외부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사각 판 형상을 갖는 결합판(25)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판(25)의 각 모서리에는 바이어스 티 장치(10)를 다른 RF 장비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미도시) 등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결합홀(27)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이어스 티 장치(10)는 두 개의 외부 및 내부 컨덕터(13, 19)들 사이의 간격과 접촉 면적 및 유전체의 유전율(ε)에 의해 커패시턴스(C)가 결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바이어스 티 장치(10)는 단자(input) (a)로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가 입력되면, 캐패시터(C1)을 통해 단자(output) (b)로 출력되고 단자 (c)로는 출력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입력 신호가 고주파수로서 인덕터(L1)에 의해 단자 (c)는 무한대의 임피던스를 갖기 때문이다.
그리고, DC 전원은 인덕터(L1)을 통해 출력된다. 그래서, 출력 신호와 DC 전원이 바이어스 티 장치(10)를 통해서 안테나(미도시)로 전송된다. 이러한, 바이어스 티 장치는 입력 신호를 분리할 뿐만 아니라 역방향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합성하기도 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의 투과 계수 및 반사 계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10)는 17 MHz에서 반사 계수(S(1,1))(M1)가 약 -0.1101 dB이고, 800 MHz에서 반사 계수(S(1,1))(M2)가 약 -17.6332 dB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10)는 외부 컨덕터(13)가 d1 + d2의 길이를 갖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원하는 용량을 갖는 커패시터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외부 컨덕터(13)의 길이는 d2 부분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이어스 티 장치(10)에서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외부 컨덕터(13), 테프론(17) 및 내부 컨덕터(19)가 접촉하는 부분(d2)이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가져야 하므로, 외부 컨덕터(13) 전체의 길이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고, 결과적으로 바이어스 티 장치(10)의 전체적인 길이를 축소할 수 없어 바이어스 티 장치(10)의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덕터들 간의 면적을 최대화하여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한 바이어스 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덕터들 간의 별도의 고정 수단없이 결합시키는 바이어스 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이어스 티 장치는 컨덕터들 간의 면적을 최대화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바이어스 티 장치는 동일한 크기에서 컨덕터들에 의해 형성되는 캐패스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바이어스 티 장치는, 고주파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면이 개방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제 1 외접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외접부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내접부가 형성된 제 1 컨덕터와;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제 2 외접부와, 상기 제 1 내접부와 상호 대응되게 상기 제 2 외접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내접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컨덕터와 상호 결합되는 제 2 컨덕터 및;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컨덕터 사이에 형성되는 유전체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접부는 상기 제 1 외접부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접부는 상기 제 2 외접부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내접부에 삽입된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접부는 상기 제 1 외접부와 상기 제 1 내접부의 사이에 삽입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컨덕터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아노다이징 처리되어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접부는 복수 개가 상기 제 1 외접부와 동일 중심축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중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내접부는 상기 제 1 내접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상기 제 1 내접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접부는 상기 제 1 외접부의 내부에서 상이한 중심 축선 상에서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내접부는 상기 제 1 내접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상기 제 1 내접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이어스 티 장치는 제 1 및 제 2 내접부를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컨덕터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동일한 크기의 컨턱터를 이용하여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이어스 티 장치는 제 1 및 제 2 컨덕터들 간에 길이 방향으로 상호 삽입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고정 수단없이 체결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크기의 제 1 및 제 2 컨덕터를 이용하여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바이어스 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이어스 티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컨덕터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이어스 티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이어스 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컨덕터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컨덕터들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A-A'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들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한 파형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바이어스 티 장치(100)는 예컨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과 중계기 사이 또는 중계기와 안테나 사이에 설치되어, 컨덕터들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간격을 최소화하여 컨덕터들 간에 의해 형성되는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컨덕터(120, 130)들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삽입 결합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바이어스 티 장치(100)는 고주파 케이블(미도시됨)에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110)와, 케이블 커넥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에 직류 전원을 인가하는 분기홀(150)이 형성되는 제 1 컨덕터(120)와, 제 1 컨덕터(120)와 상호 결합되어 케이블 커넥터(110)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중계기 또는 안테나로 전송하는 제 2 컨덕터(13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컨덕터(120, 130)는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의 제 1 및 제 2 외접부(122, 132)와, 제 1 및 제 2 외접부(122, 132) 각각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내접부(124, 13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케이블 커넥터(110)는 고주파 신호를 인가하는 고주파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며, 안테나로 직류 전원을 인가하거나 안테나로부터 중계기로 직류 전원을 인가한다. 케이블 커넥터(110)는 고주파 케이블과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112)과, 하우징(112)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 장치(미도시됨)에 케이블 커넥터(110)를 고정하는 결합판(114)을 포함한다.
하우징(112)은 외주면에 고주파 케이블과 결합되는 결합부(113)가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센터홀(118)이 형성된다. 또 하우징(112)은 그 전면에 사각 판 형상의 결합판(114)이 형성된다. 결합판(114)은 하우징(112)의 센터홀(118)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다. 하우징(112)은 센터홀(118)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컨덕터(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제 1 컨덕터(120)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타면은 케이블 커넥터(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컨덕터(120)의 일면에는 제 2 컨덕터(130)가 삽입된다. 제 1 컨덕터(120)는 제 1 외접부(122)와, 적어도 하나의 제 1 내접부(124)를 포함한다.
제 1 외접부(122)는 제 1 컨덕터(120)의 몸체 외벽으로 제공되며,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제 1 내접부(124)는 제 1 외접부(122)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내접부(124)는 제 1 외접부(122)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고, 제 1 외접부(122)와 동일 중심축 상에서 하나가 형성된다. 즉, 제 1 내접부(124)는 제 1 외접부(122)을 따라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제 1 외접부(122)와 동일 중심축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내접부(124)는 제 1 외접부(122)과 대체로 유사한 형상 및 길이를 갖는다.
다른 예로, 제 1 내접부(124)는 제 1 외접부(122)의 내부에 복수 개가 서로 다른 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때, 제 1 내접부(124)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 2 컨덕터(130)는 제 1 컨덕터(120)의 개방된 일면에 삽입 결합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제 2 컨덕터(130)는 제 1 컨덕터(120)의 개방된 일면에 대향하는 면이 개방되는 제 2 외접부(132)와, 제 1 내접부(124)와 결합되는 제 2 내접부(134)를 포함한다.
제 2 외접부(132)는 제 1 외접부와 상호 결합되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제 2 내접부(134)는 제 1 내접부(124)의 형상 및 갯수에 대응하여 제 1 외접부(132)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제공된다. 즉, 제 2 외접부(132)는 제 2 컨덕터(130)의 몸체 외벽으로 제공되며,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 2 내접부(134)는 제 2 외접부(132)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고, 제 2 외접부(132)와 동일 중심축 상에서 하나가 형성된다. 즉, 제 2 내접부(134)는 제 2 외접부(132)를 따라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제 2 외접부(132)와 동일 중심축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2 내접부(134)는 제 1 내접부(124)와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제 2 외접부(134)는 제 1 외접부(122)와 제 1 내접부(124) 사이에 삽입되고, 제 2 내접부(134)는 제 1 내접부(124)에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내접부(124, 134)는 각각 하나로 구비되지만, 제 1 및 제 2 외접부(122, 132) 내부에서 동일 중심축 상에서 일정 거리 이격 및 중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되거나, 복수 개가 상이한 중심축 상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 1 내접부(124)는 제 1 외접부(122)의 내부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내접부(124) 각각은 제 1 외접부(122)와 동일 중심축 상에서 상호 이격되고, 중첩되게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 제 2 내접부(134)는 제 1 내접부(124)에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제 1 내접부(12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제 1 내접부(124)는 제 1 외접부(122)의 내부에 상이한 중심축 상에서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내접부(124)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크기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 2 내접부(134)는 제 1 내접부(124)에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제 1 내접부(12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컨덕터(130)는 제 1 컨덕터(120)의 제 1 외접부(122)와 제 1 내접부(124) 사이에 제 2 외접부(132)가 삽입되고, 제 1 내접부(124) 내부에 제 2 내접부(134)가 삽입되어 제 1 컨덕터(120)와 결합된다.
그리고 유전체(140)는 제 1 및 제 2 컨덕터(120, 130)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 1 컨덕터(120)의 내주면 또는 제 2 컨덕터(130)의 외주면에 아노다이징(anodizing) 처리되어 형성된다. 즉, 유전체(140)는 제 1 컨덕터(120)의 외벽(122) 내주면과, 밀폐된 하부벽(126)의 내주면 및 제 1 내접부(124)의 내외주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 2 컨덕터(130)의 외벽(132) 내외주면과, 밀폐된 상부벽(136)의 내주면 및 제 2 내접부(134)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체(140)는 제 1 컨덕터(120) 또는 제 2 컨덕터(130)의 전체 표면에서 연결되도록 하나의 층(layer)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유전체(140)는 제 1 컨덕터(120)의 표면에 아노다이징 처리된다. 이러한 바이어스 티 장치(100)는 제 1 컨덕터(120)와 유전체(140) 및 제 2 컨덕터(130)에 의해 고용량의 캐패시턴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어스 티 장치(100)는 제 1 및 제 2 컨덕터(120, 130)가 길이 방향으로 상호 삽입 결합되므로, 별도의 고정 수단이 불필요하다. 물론 본 발명의 바이어스 티 장치는 제 1 및 제 2 컨덕터를 상호 삽입 결합하고, 이들을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 수단(미도시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들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한 파형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 파형도는 투과 계수(S(2,1)) 및 반사 계수(S(1,1))에 따른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 파형도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바이어스 티 장치(100)는 주파수 16 MHz에서 약 -0.098 dB의 반사 계수(S(1,1))(M1)를 가지고, 주파수 800 MHz에서 약 -23.601 dB의 반사 계수(S(1,1))(M3)를 가진다. 이에 반해, 도 1에 도시된 종래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10)는 8 MHz에서 약 -0.098 dB의 반사 계수(S(1,1))(M2)를 가지고, 주파수 800 MHz에서 약 -17.633의 반사 계수(S(1,1))(M4)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어스 티 장치(100)는 제 1 및 제 2 컨덕터(120, 130) 각각에 상호 삽입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외접부(122, 132)와, 제 1 및 제 2 내접부(124, 134)를 각각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컨덕터(120, 130)들 간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캐패시턴스를 증가시켜서 고주파수 대역으로 갈수록 전송 신호의 투과량이 크고 반사량이 작으므로, 전송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어스 티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바이어스 티 장치 110 : 케이블 커넥터
120 : 제 1 컨덕터 122 : 제 1 외접부
124 : 제 1 내접부 130 : 제 2 컨덕터
132 : 제 2 외접부 134 : 제 2 내접부
140 : 유전체 150 : 분기홀

Claims (9)

  1. 바이어스 티 장치에 있어서:
    고주파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면이 개방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제 1 외접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외접부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내접부가 형성된 제 1 컨덕터와;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제 2 외접부와, 상기 제 1 내접부와 상호 대응되게 상기 제 2 외접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내접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컨덕터와 상호 결합되는 제 2 컨덕터 및;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컨덕터 사이에 형성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내접부는 복수 개가 상기 제 1 외접부와 동일 중심축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중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내접부는 상기 제 1 내접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상기 제 1 내접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접부는 상기 제 1 외접부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접부는 상기 제 2 외접부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내접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외접부는 상기 제 1 외접부와 상기 제 1 내접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컨덕터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아노다이징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티 장치.
  6. 삭제
  7. 바이어스 티 장치에 있어서:
    고주파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면이 개방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제 1 외접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외접부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내접부가 형성된 제 1 컨덕터와;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의 제 2 외접부와, 상기 제 1 내접부와 상호 대응되게 상기 제 2 외접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내접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컨덕터와 상호 결합되는 제 2 컨덕터 및;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컨덕터 사이에 형성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내접부는 상기 제 1 외접부의 내부에서 상이한 중심 축선 상에서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접부는 상기 제 1 내접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 개가 상기 제 1 내접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접부는 상기 제 1 외접부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내접부는 상기 제 2 외접부와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내접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외접부는 상기 제 1 외접부와 상기 제 1 내접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티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컨덕터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아노다이징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어스 티 장치.
KR1020110067902A 2011-07-08 2011-07-08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KR10111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902A KR101115324B1 (ko) 2011-07-08 2011-07-08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902A KR101115324B1 (ko) 2011-07-08 2011-07-08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324B1 true KR101115324B1 (ko) 2012-03-06

Family

ID=4614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902A KR101115324B1 (ko) 2011-07-08 2011-07-08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5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503B1 (ko) 2016-09-29 2018-03-15 주식회사 이너트론 바이어스 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바이어스 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813Y1 (ko) * 1991-12-14 1996-01-31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바이어스 티
KR200173580Y1 (ko) * 1999-10-15 2000-03-15 윤성전자주식회사 신호 합성 및 분리용 바이어스 티
KR20040013184A (ko) * 2002-08-03 2004-02-1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바이어스-티 장치 및 그의 센터 컨덕터 장치
KR100742770B1 (ko) * 2006-09-11 2007-07-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바이어스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813Y1 (ko) * 1991-12-14 1996-01-31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바이어스 티
KR200173580Y1 (ko) * 1999-10-15 2000-03-15 윤성전자주식회사 신호 합성 및 분리용 바이어스 티
KR20040013184A (ko) * 2002-08-03 2004-02-1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바이어스-티 장치 및 그의 센터 컨덕터 장치
KR100742770B1 (ko) * 2006-09-11 2007-07-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바이어스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503B1 (ko) 2016-09-29 2018-03-15 주식회사 이너트론 바이어스 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바이어스 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10973B (zh) 高频信号传输装置、高频信号传输系统和基站
US9350060B2 (en) Combline-cavity duplexer, duplexing apparatus, and antenna system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operation
JPH10178314A (ja) アンテナの相互結合中和器
US10505282B2 (en) Dielectric groove waveguide
JP2022533763A (ja) 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端末機器
GB2497982A (en) An electrically conducting interconnector between two stacked waveguides
JPH07202761A (ja) 構内通信システム
US10680304B2 (en) Combiner
CN102593558B (zh) 电磁耦合器及搭载了该电磁耦合器的信息通信设备
TWI682603B (zh) 射頻傳輸設置及在射頻傳輸設置中將一第一傳輸線連接至一第二傳輸線之方法
KR101115324B1 (ko)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AU2010306171B2 (en) Antenna coupler
EP2347467A1 (en) Radio frequency coaxial to stripline / microstrip transition
US621544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axially coupling an antenna through an insulator
CN105576331B (zh) 多频合路器
US20230307809A1 (en) Suspended strip line, phase shifter, and base station
KR100742770B1 (ko) 바이어스티
US20160329130A1 (en) Flat coaxial cable
KR101237008B1 (ko) 원통 구조의 바이어스 티를 구비하는 공진기 필터
EP3297092A1 (en) Cable and high-frequency device using same
KR101085416B1 (ko)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US11978940B2 (en) Dielectric duplexer
KR20100122231A (ko) 이중 공진기 구조의 rf 필터
KR102096319B1 (ko) 양방향성 광대역 무선주파수 신호분배기
EP3046179B1 (en) Ceramic filt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