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770B1 - 바이어스티 - Google Patents

바이어스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770B1
KR100742770B1 KR1020060087222A KR20060087222A KR100742770B1 KR 100742770 B1 KR100742770 B1 KR 100742770B1 KR 1020060087222 A KR1020060087222 A KR 1020060087222A KR 20060087222 A KR20060087222 A KR 20060087222A KR 100742770 B1 KR100742770 B1 KR 10074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dielectric
bias
signal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홍승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6008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07Filtering devices for biasing networks or DC retu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01P5/20Magic-T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바이어스티가 개시된다. 케이블과 결합하여 RF 신호 및 직류 전압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커넥터와, 직류 전압 신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컨덕터와, 제1컨덕터의 양 단부에서부터 제1컨덕터를 수용하며 제1컨덕터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갖는 제1유전체와, 제1컨덕터 및 제1유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노출부에 대응하는 분기홀을 갖는 제2컨덕터-RF 신호는 제2컨덕터를 통해 입출력됨, 분기홀에 삽입되어 노출부를 통해 제1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컨덕터를 제1컨덕터에 대해 위치 고정하는 도전성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바이어스티는 소형화가 가능하다.
바이어스티, 커패시터, 인덕터

Description

바이어스티{BIAS-TEE}
도 1은 종래의 바이어스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I-I'선에 따른 바이어스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이어스티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이어스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II-II'선에 따른 바이어스티의 단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30: 바이어스티 31: 케이블 커넥터
33: 나사산 35: 결합부
37: 결합홀 39: 제1컨덕터
41: 제1유전체 43: 제2컨덕터
45: 분기홀 47: 제2유전체
49: 고정부재
본 발명은 바이어스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중계기는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RF 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로 변환시켜 신호 처리한 후 다시 RF 신호로 원하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중계기와 중계기 사이에는 소정의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전력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선로 증폭기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중계기로부터 송신되는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를 선로 증폭기 방향으로 전송해 주기 위해 각각의 RF 선로 및 DC 전원 선로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이 별도의 RF 선로 및 DC 전원 선로를 분리하여 설치하는 것은 공사가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를 하나의 선로만으로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바이어스티(Bias-tee)가 개발되었다.
바이어스티는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이들을 각각 분리하거나, 그 반대로 각각 입력된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합성한다. 이와 같은 바이어스티 및 그 회로도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바이어스티의 사시도 및 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바이어스티(10)는 RF 케이블(미도시) 등과 결합되는 하우 징(11)의 결합판(25)에는 중앙에 센터홀(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홀(23)에는 제1도체(13)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1도체(13)에는 일정한 깊이(d2)를 갖는 삽입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15)에는 유전체(17) 및 제2도체(19)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체(13)와 제2도체(19)는 유전체(17)에 의해 상호 절연되어 커패시터(capacitor)를 형성한다.
제1도체(13)는 삽입홈(15)이 형성된 부분(d2)과 삽입홈(15)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d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삽입홈(15)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에는 인덕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분기홀(21)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체(13) 및 제2도체(19) 그리고 유전체(17)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가 일정한 용량을 갖기 위해서는 유전체(17) 및 제2도체(19)가 접하는 부분(d2)이 일정치 이상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하우징(11)의 외부에는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에는 사각 판 형상을 갖는 결합판(25)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판(25)의 각 모서리에는 바이어스티(10)를 다른 RF 장비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미도시) 등이 삽입되는 결합홀(27)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바이어스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단자 (a)로 RF 신호 및 DC 전원 신호가 입력되면 캐패시터(capacitor) C1을 통해 단자 (b)로 출력되고 단자 (c)로는 출력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입력신호는 고주파수로서 인덕터(inductor) L1에 의해 단자 (c)는 무한대의 임피던스를 갖기 때문이다. 그리고 DC 전원은 인덕터 L1을 통해 출력된다. 그래서 출력신호와 DC 전원이 바이어스티 회로를 통해서 안테나(미도시)로 전송된다. 그리고 바이어스티는 입력 신호를 분리할 뿐만 아니라 역 방향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합성하기도 한다.
종래의 바이어스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체(13)가 d1+d2의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원하는 용량을 갖는 커패시터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제1도체(13)의 길이는 d1이기 때문에 d2는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부분에 해당한다. 따라서 종래의 바이어스티(10)는 삽입홀(15)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만큼의 길이(d2)를 갖기 때문에 제1도체(13)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고, 결과적으로 바이어스티(10)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한 바이어스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이어스티는, 케이블과 결합하여 RF 신호 및 직류 전압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커넥터와, 직류 전압 신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컨덕터와, 제1컨덕터의 양 단부에서부터 제1컨덕터를 수용하며 제1컨덕터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갖는 제1유전체와, 제1컨덕터 및 제1유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노출부에 대응하는 분기홀을 갖는 제2컨덕터를 포함하는데, RF 신호는 제2컨덕터를 통해 입출력된다. 그리고 바이어스티는 분기홀에 삽입되어 노출부를 통해 제1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컨덕터를 제1컨덕터에 대해 위치 고정하는 도전성의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어스티의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컨덕터 및 제2컨덕터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컨덕터는 노출부에 대응하며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홀을 구비하고, 고정부재는 고정홀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분기홀에는 제2유전체가 삽입되고, 고정부재는 제2유전체가 개재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유전체는 노출부를 기준으로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제1유전체 및/또는 제2유전체는 테플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이어스티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티(30)는 동축 케이블(미도시) 등과 접속하는 케이블 커넥터(31) 및 케이블 커넥터(31)의 일단부에 형성된 사각판 형상을 갖는 결합부(35)를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부(35)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홈(51)에는 원기둥 형상의 제1컨덕터(39)가 결합부(35)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컨덕터(39)의 외주면에는 제1유전체(41)가 감싸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티(30)는 제2컨덕터(43)를 구비하는데, 제2컨덕터(43)는 제1컨덕터(39) 및 제1유전체(41)를 그 내부에 수용한다.
이와 같이 제1컨덕터(39) 및 제2컨덕터(43)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제1유전체(41)는 커패시터(capacitor)를 형성한다. 또한, 제1유전체(41)는 제1컨덕 터(39)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부(40)를 갖고, 제2컨덕터(43)는 노출부(40)의 위치에 대응하는 분기홀(45)을 갖는다. 분기홀(45)에는 인덕터(미도시)와 연결되는 도전성의 고정부재(49)가 삽입되어 인덕터로 직류 전원을 분리함과 동시에 제2컨덕터(43)를 제1컨덕터(39)에 대해 위치 고정한다.
커패시터가 원하는 용량을 갖기 위해서는 제1컨덕터(39)가 제2컨덕터(43)와 접하는 부분의 길이 즉, 제1유전체(41)가 일정치 이상의 길이(예를 들면, 도 3에서 d2)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티(30)는 제1유전체(41)가 제1컨덕터(39)의 양 단부를 감싸고 있어서 종래의 바이어스티에서와 같이 유전체가삽입되는 삽입홈(도 2 내지 도 3의 15)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제1컨덕터(39)의 소정의 위치에 인덕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분기홀(4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티(30)는 일정한 용량을 갖는 커패시터를 형성하기 위한 길이(예를 들면, d2)만을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티(30)는 종래의 제1도체(13)의 길이 d1+d2에 비해 짧은 d2의 길이를 갖는 제1컨덕터(39)를 구비하면 되기 때문에, 바이어스티(30)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케이블 커넥터(31)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에는 나사산(33)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동축 케이블(미도시) 등과 결합되는 잭이 구비되어 있다. 케이블 커넥터(31)를 통해서 RF 신호 및 DC 전압이 동시에 입력되어 제2컨덕터(43) 및 고정부재(49)를 통해 분리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제2컨덕터(43)를 통해 입력된 RF 신호 및 고정부재(49)를 통해 입력된 DC 전압이 합성되어 케이블 커넥터(31)를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결합부(35)는 케이블 커넥터(31)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사각판 형상을 갖는다. 결합부(35)의 4개의 모서리에는 결합홀(37)이 형성되어 있는데, 결합홀(37)에는 나사(미도시) 등이 삽입되어 바이어스티(30)를 다른 RF 장비 등에 위치 고정한다. 결합부(35)의 중앙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센터홈(51)이 형성되어 있는데, 센터홈(51)에는 제1컨덕터(39)가 돌출되어 있다.
제1컨덕터(39)는 결합부(35)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며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제1컨덕터(39)의 일단부(39a)는 센터홈(51)의 일면에서부터 돌출되어 일정한 길이를 갖고 타단부(39b)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제1컨덕터(39)의 양 단부(39a, 39b) 사이 소정의 위치에는 고정홀(39)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홀(39)에는 고정부재(49)가 나사 결합된다. 제1컨덕터(39)의 일단부(39a)에서부터 타단부(39b)는, 제1유전체(41)의 노출부(4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전체(41)에 의해 감싸져 있다.
제1컨덕터(39) 및 제2컨덕터(43) 그리고 제1유전체(41)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가 일정한 용량을 갖기 위해서는, 제1컨덕터(39)와 제2컨덕터(43)가 접하는 부분의 길이, 즉 제1컨덕터(39)의 길이가 일정치 이상을 가져야 한다. 그 길이를 L이라고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티(30)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이어스티(10)와 동일한 용량을 갖는 커패시터를 구비한다면 L=d2가 되어야 한다.
제1컨덕터(39)는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DC 전원이 제1컨덕터(39)와 접하는 도전성의 고정부재(49)를 통해서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컨덕터(39)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고정홀(38)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부재(49)와 나사 결합을 한다.
제1컨덕터(39)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유전체(41)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유전물질, 예를 들면 테플론(Teflon) 등으로 이루어진다. 테플론은 유전상수가 클 뿐만 아니라 열적, 화학적으로도 성질이 뛰어나다. 그리고 제1유전체(41)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덕터(39)를 일단부(39a)에서부터 시작하여 타단부(39b)까지 제1컨덕터(39)에 삽입되어 그 둘레를 감싼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유전체(41)는, 제1도체(도 3의 13)의 삽입홀(15)에 삽입되는 유전체(17)를 구비하는 종래의 바이어스티(10)와는 달리, 제1컨덕터(39)의 외주면의 둘레를 감싸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별도의 삽입홀(15)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간소화 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d1 만큼의 길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바이어스티(30)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제1유전체(41)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노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노출부(40)는, 결합홀(37)을 포함하여 제1컨덕터(39)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제1유전체(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37)을 중심으로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때, 두 부분으로 분리된 제1유전체(41) 사이에 충전된 공기(미도시)가 유전체의 역할을 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제1유전체(41)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유전체(41)는 제1컨덕터(39)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컨덕터(43)는 일단부가 폐쇄된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갖고, 도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제1컨덕터(39) 및 제1유전체(41)를 그 내부에 수용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덕터(39) 및 제2컨덕터(43),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제1유전체(41)는 하나의 커패시터를 형성하고, 케이블 커넥터(31)를 통해 입력된 RF 신호는 제2컨덕터(43)를 통해 출력된다. 제2컨덕터(43)는 제1컨덕터(39)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된다.
제2컨덕터(43)의 일측에는 분기홀(45)이 형성되어 있다. 분기홀(45)이 형성되는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덕터(39)의 고정홀(38) 및 제1유전체(41)의 노출부(40)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1컨덕터(39)의 일부 및 고정홀(38)은 노출부(40) 및 분기홀(45)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제2컨덕터(43)에는 제2유전체(47)가 삽입된다.
제2유전체(47)는 분기홀(45)에 삽입되어 고정부재(49)와 제2컨덕터(43) 사이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컨덕터(39)를 통해 입력되는 DC 전원은 제2유전체(47)에 의해 제2컨덕터(43)로 흘러가지 않게 된다. 제2유전체(47)는 원통 형상을 갖고 중앙에는 고정부재(49)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제2유전체(47)도 역시 테플론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부재(49)는 제2유전체(47), 분기홀(45) 및 노출부(40)를 관통하여 고정홀(38)에 나사 결합한다. 이로 인해 제2컨덕터(43)가 제1컨덕터(39)에 대해 위치 고정된다. 고정부재(49)의 일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전체(47)의 외부로 노출되는데, 상기 일단부에는 미도시의 인덕터(inductor)가 결합되어 DC 전압이 입출력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어스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 커넥터(31)로 RF 신호 및 DC 전원이 입력되면, 이 중 RF 신호는 도전성의 제1컨덕터(39) 및 제2컨덕터(43)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된 제1유전체(41)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에 의해 제2컨덕터(43)로 출력되지만, DC 전압은 출력되지 않는다. 이는, 제1유전체(41)에 의해 제1컨덕터(39)와 제2컨덕터(43) 사이에 무한대의 임피던스(impedance)가 걸려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DC 전원은 도전성의 제1컨덕터(39) 및 고정부재(49)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지만, 제2컨덕터(43)를 통해서는 외부로 출력되지 않는다. 이는, 제1컨덕터(39)와 제2컨덕터(43), 그리고 고정부재(49)와 제2컨덕터(43) 사이에는 제1유전체(41) 및 제2유전체(47)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된 RF 신호 및 DC 전압신호는 바이어스티(30)를 통해 각각 분리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고정부재(49)를 통해 입력된 DC 전압신호 및 제2컨덕터(43)를 통해 입력된 RF 신호는 바이어스티(30)에 의해 합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한 바이어스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케이블과 결합하여 RF 신호 및 직류 전압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직류 전압 신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컨덕터와;
    상기 제1컨덕터의 양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1컨덕터를 수용하며 상기 제1컨덕터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갖는 제1유전체와;
    상기 제1컨덕터 및 상기 제1유전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노출부에 대응하는 분기홀을 갖는 제2컨덕터- 상기 RF 신호는 상기 제2컨덕터를 통해 입출력됨-와;
    상기 분기홀에 삽입되어 상기 노출부를 통해 상기 제1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컨덕터를 상기 제1컨덕터에 대해 위치 고정하는 도전성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바이어스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덕터 및 상기 제2컨덕터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바이어스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덕터는 상기 노출부에 대응하며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 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홀에 나사 결합하는 바이어스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홀에는 제2유전체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유전체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바이어스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전체는 상기 노출부를 기준으로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 바이어스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전체는 테플론으로 이루어지는 바이어스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전체는 테플론으로 이루어지는 바이어스티.
KR1020060087222A 2006-09-11 2006-09-11 바이어스티 KR10074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222A KR100742770B1 (ko) 2006-09-11 2006-09-11 바이어스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222A KR100742770B1 (ko) 2006-09-11 2006-09-11 바이어스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770B1 true KR100742770B1 (ko) 2007-07-26

Family

ID=3849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222A KR100742770B1 (ko) 2006-09-11 2006-09-11 바이어스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7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60A2 (ko) * 2008-10-31 2010-05-06 (주)에이스테크놀로지 소형화된 구조의 dc 차단 장치
KR101085416B1 (ko) 2011-07-08 2011-11-21 주식회사 이너트론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KR101115324B1 (ko) * 2011-07-08 2012-03-06 주식회사 이너트론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KR101237008B1 (ko) 2012-05-31 2013-02-25 주식회사 이너트론 원통 구조의 바이어스 티를 구비하는 공진기 필터
KR101491857B1 (ko) 2008-10-31 2015-02-1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소형화된 구조의 dc 차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8310B2 (en) 2003-01-07 2004-09-28 Agilent Technologies, Inc. Coaxial DC blo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8310B2 (en) 2003-01-07 2004-09-28 Agilent Technologies, Inc. Coaxial DC block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760A2 (ko) * 2008-10-31 2010-05-06 (주)에이스테크놀로지 소형화된 구조의 dc 차단 장치
WO2010050760A3 (ko) * 2008-10-31 2010-08-05 (주)에이스테크놀로지 소형화된 구조의 dc 차단 장치
US8847701B2 (en) 2008-10-31 2014-09-30 Ace Technologies Corporation Miniaturized DC breaker
CN102204033B (zh) * 2008-10-31 2014-10-29 Ace技术株式会社 小型化的dc阻断装置
KR101491857B1 (ko) 2008-10-31 2015-02-10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소형화된 구조의 dc 차단 장치
KR101085416B1 (ko) 2011-07-08 2011-11-21 주식회사 이너트론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KR101115324B1 (ko) * 2011-07-08 2012-03-06 주식회사 이너트론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KR101237008B1 (ko) 2012-05-31 2013-02-25 주식회사 이너트론 원통 구조의 바이어스 티를 구비하는 공진기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2672B2 (en) Coaxial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CN100444477C (zh) 调谐射频同轴连接器
EP1489702A1 (en) Frequency selective low loss transmission line system
KR100742770B1 (ko) 바이어스티
US5502715A (en) Integrated diplexer-amplifier for near antenna installation
CN102610973B (zh) 高频信号传输装置、高频信号传输系统和基站
US7701309B2 (en) Power inserter module
US6542049B2 (en) Compact combination unit
US621544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axially coupling an antenna through an insulator
JP3826007B2 (ja) 配線接続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信機
CN102204033B (zh) 小型化的dc阻断装置
EP1525679B1 (en) Bias-t apparatus and center conductor of the same
KR100946178B1 (ko) 알에프 커넥터
KR100949990B1 (ko) 안테나 시스템
JP3011671B2 (ja) 同軸コネクタ
WO200005119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axially coupling an antenna through an insulator and for amplifying signals adjacent the insulator
KR102140867B1 (ko) Rf케이블 일체형 전력분배기
US6417808B1 (en) Transceiver including antenna apparatus which is compactly accommodated in body of transceiver
US20240014576A1 (en) Electronic assemb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a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electronic assembly
KR20100048810A (ko) 소형화된 구조의 dc 차단 장치
US20230387878A1 (en) Modular Electronic Cigarette
US202401367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axial board to board connections
GB2406976A (en) Radio frequency connector port with isolation function
KR20080020890A (ko) 동축 커넥터 구조체
KR101115324B1 (ko) 고용량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바이어스 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