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764B1 - 물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물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764B1
KR101114764B1 KR1020090084888A KR20090084888A KR101114764B1 KR 101114764 B1 KR101114764 B1 KR 101114764B1 KR 1020090084888 A KR1020090084888 A KR 1020090084888A KR 20090084888 A KR20090084888 A KR 20090084888A KR 101114764 B1 KR101114764 B1 KR 10111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level sensor
warning signal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998A (ko
Inventor
하영훈
최고봉
유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7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6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위 센서의 오작동 시에 경고 신호가 출력되고 가열기의 작동이 정지되거나 밸브가 차폐되는 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위 센서의 오작동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 가능하고, 수위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 공급 장치, 수위 센서, 오작동

Description

물 공급 장치{Wat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공급 장치는, 수도 배관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거나, 생수통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물 공급 장치의 내부에는 상기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 장치에는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신호가 입력되기 위한 입력부와,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포함된다.
한편,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 공급 장치의 경우에는, 내부에 물을 정화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위 센서의 오작동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물 공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위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물 공급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작동 상태를 의미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저장부의 수위가 제 1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수위센서 및 상기 저장부의 수위가 상기 제 1 기준수위보다 높은 수위에 해당하는 제 2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수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위센서가 상기 저장부의 수위가 제 1 기준수위 이상인 것으로 감지한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 2 수위센서가 상기 저장부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상이 아닌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수위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에 의하면, 수위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수위 센서가 오작동 하고 있다는 사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위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에, 가열기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되거나, 밸브가 차페되어 원수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수위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초래될 수 있는 화재 및 누수 등과 같은 다양한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물의 흐름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조작부를 보인 정면도이고,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물 공급 장치(1)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각종 부품을 포함하는 본체(10)와, 작동 제어를 위한 신호가 입력 및 출력되는 조작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2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0)의 하방에는, 온수 배출을 위한 온수 배출 조작부(151)와, 냉수 배출을 위한 냉수 배출 조작부(1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 배출 조작부(151)의 상방에는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취출구(153)가 구비되고, 상기 냉수 배출 조작부(152)의 상방에는 냉수가 배출되기 위한 냉수취출구(154)가 구비된다.
이때, 온수 및 냉수를 취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온수 배출 조작부(151)를 가압하면 상기 온수취출구(153)로 온수가 배출되고, 상기 냉수 배출 조작부(152)를 가압하면 상기 냉수취출구(154)로 냉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11)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11)는, 걸러내기 위한 오염 물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111,112,113,114)가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필터(11)를 통하여 정화된 물이 저장되기 위한 저장부(131,132,133)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31,132,133)는, 상기 필터(11)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이 저장되기 위한 저수조(131)와, 상기 정화된 물이 가열되어 온수로 저장되는 온수조(133)와, 상기 정화된 물이 냉각되어 냉수로 저장되는 냉수조(132)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11) 및 저장부(131,132,133)는 물이 유동할 수 있는 배관(100)으로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100)의 입구는 원수가 공급될 수 있는 장치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관(100)의 입구는 상수도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수도관으로부터 직접 원수가 상기 배관(1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100)의 입구가 원수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 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저장 용기에 저장된 원수가 유입될 수도 있다. 물론, 상수도관 또는 저장 용기의 원수가 유입되기 위한 수압이 부족한 경우에는, 원수를 배관(100)으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펌프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배관(100) 상의 일측에는, 상기 배관(100) 내부의 물 유동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10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밸브(101)는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11)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저장부(131,132,133)로 유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즉, 상기 물 공급 장치(1)를 통하여 정화되기 위한 원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또한, 배관(100) 내부를 유동하는 물의 유동량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센서(102)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1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오염 물질과 함께 걸러진 물이 생활 용수로 배출되기 위한 배수관(103)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103)의 일측에는 상기 생활 용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배수저항(104)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수조(131)에는,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121)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수위 센서(121)는,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제 1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하측 수위 센서(123)와,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상측 수위 센서(1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기준수위는 상기 제 1 기준수위보다 높은 수위에 해당한다. 즉, 상기 상측 수위 센서(124)는 상기 하측 수위 센서(123)보다 높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31)에는, 상기 저수조(131)로 유입되는 물을 기계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플로트 스위치(122)가 구비된다. 상기 플로트 스위치(122)는, 상 기 저수조(131)의 물에 부유하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저수조(131)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로트 스위치(122)는, 상기 저수조(131)가 만수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상기 저수조(131)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위 센서(121)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밸브(101)가 상기 원수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수위 센서(121)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밸브(10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원수가 지속적으로 상기 필터(11) 및 상기 저수조(131)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밸브(101)가 차폐됨으로써 상기 필터(11) 및 저수조(131)를 향한 상기 원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상기 저수조(131)의 하방에는, 상기 저수조(131)의 물이 유입되어 냉각 및 저장되기 위한 냉수조(132)가 구비된다. 상기 냉수조(132)에는, 상기 냉수조(132)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냉각기는,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물을 냉각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냉매 사이클을 이루기 위하여, 압축기, 응축기, 팽창부, 증발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냉수조(132)의 물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냉수조(132)의 물이 냉각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131)의 하방에는, 상기 저수조(131)의 물이 유입되어 가열 및 저장되기 위한 온수조(133)가 구비된다. 상기 온수조(133)에는, 상기 온수 조(133)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열기는, 예를 들면,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하는 히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수조(133) 및 냉수조(132)가 상기 저수조(131)에 비하여 하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온수조(133) 및 냉수조(132)의 물이 자동적으로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온수조(133) 및 냉수조(132)가 상기 저수조(131)에 비하여 먼저 물로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조(131)가 만수 상태이기 위해서는 상기 온수부 및 냉수부도 만수 상태인 것이 전제되므로, 상기 수위 센서(121)를 통하여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만수 상태인 것으로 감지된다면 상기 온수부 및 냉수부도 만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조(133)에 유입된 물이 가열되어 온수로 변화하게 되면, 상기 저수조(131)의 물과의 밀도차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131)로 상승하려는 경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수가 상기 저수조(131)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저수조(131)와 온수조(133) 사이에 체크 밸브(10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조(132) 및 온수조(133)는 냉수 및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상기 냉수취출구(152) 및 온수취출구(151)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물 공급 장치(1)는, 상기 저장부(131,132,13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15)를 포함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온도감지부(15)는, 상기 냉수조(132)에 설치되는 냉수 온도 센서(142)와, 상기 온수조(133)에 설치되는 온수 온도 센서(141)를 포함한다. 상기 냉수 온도 센서(142)는 상기 냉수조(132)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온수 온도 센서(141)는 상기 온수조(133)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한다.
한편, 상기 조작부(20)는, 온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온수 버튼(210)과, 냉수 배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냉수 버튼(220)과, 소비 전력을 낮추기 위하여 선택하는 절전 버튼(230)과, 필터 교체 시기를 표시하기 위한 청정 표시부(240)와, 냉수를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속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연속 버튼(250)을 포함한다.
상기 온수 버튼(210), 절전 버튼(230), 청정 표시부(240), 연속 버튼(250) 및 냉수 버튼(220)은 순차적으로 수평을 이루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20)는, 온수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수 온도 표시부(260)와, 냉수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냉수 온도 표시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는 상기 온수 버튼(210)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냉수 온도 표시부(270)는 상기 냉수 버튼(220)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 및 냉수 온도 표시부(270)는, 독립적으로 점등될 수 있는 다수개의 표시부(262,264,266,272,274,2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의 표시부(262,264,266) 중 점등되는 표시부(262,264,266)의 개수가 많을 수록 온수의 온도가 더욱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온도 표시부(270)의 표시부(272,274,276) 중 점등되는 표시부(272,274,276)의 개수가 많을 수록 냉수의 온도가 더욱 낮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 및 냉수 온도 표시부(270)는 3개의 표시부(262,264,266,272,274,27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20)는, 신호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201)와, 각종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202)가 중첩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출력부(202)는 상기 다수개의 버튼(210,220,230,250) 및 표시부(240)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도안을 시각적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201)는 상기 출력부(202)의 문자 또는 도안에 대응되는 지점을 통하여 터치 방식으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20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 공급 장치(1)는, 상기 입력부(201)및 수위 센서(121)로부터 입력 및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출력부(202), 가열기, 밸브(101)로 출력 및 작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 장치(1)는,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작동 제어에 관련하여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1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201), 수위 센서(121), 출력부(202), 가열기, 밸브(101), 제어부(16) 및 메모리부(19)는, 상호 간에 제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수위 센서의 오작동 경고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수위 센서의 오작동 경고 방법을 보인 플로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 1 경고 신호가 출력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 2 경고 신호가 출력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 장치(1)의 작동이 시작되면, 상기 수위 센서(121)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131,132,133)의 수위가 감지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상측 수위 센서(124) 및 하측 수위 센서(123)에 의하여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각각 감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측 수위 센서(123)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제 1 기준수위 이상이 아니고, 상기 상측 수위 센서(124)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상이 아니면, 다시 상기 수위 센서(121)에 의한 수위 감지 단계부터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반면, 상기 상측 수위 센서(124)의 의하여 감지된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상이면, 상기 가열기의 작동이 정지되고 제 1 경고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제 1 경고 신호는, 상기 수위 센서(121)의 오작동을 의미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측 수위 센서(124)의 감지 수위와 상기 하측 수위 센서(123)의 감지 수위가 서로 모순됨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경고 신호가 출력되는 모습은 도 6과 같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경고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의 표시부(262,264,266) 중 상대적으로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2개의 표시부(262,266)가 반복적으로 동시 점멸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의 점멸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위 센서(121)의 오작동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 수위 센서(123)에 의하여 감지된 수위가 제 1 기준수위 이상이면, 경과 시간을 초기화한다. 이때, 상기 경과 시간은 상기 저수조(131)의 수 위가 상기 제 1 기준수위를 넘어선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경과 시간이 초기화된다는 것은 상기 경과 시간이 해당 시점으로부터 새롭게 기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수위 센서(124)에 의하여 감지된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밸브(101)가 차폐되어 상기 저수조(131)를 향한 원수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 상측 수위 센서(124)에 의하여 감지된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미만에 해당하고, 상기 경과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수의 공급이 차단되고 제 2 경고 신호가 출력된다. 즉, 상기 저수조(131)가 제 1 기준수위를 넘어선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이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저수조(131)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밸브(101)가 차폐되어 상기 저수조(131)를 향한 원수의 공급이 차단되고, 제 2 경고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제 2 경고 신호는, 상기 수위 센서(121)의 오작동을 의미하는 신호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경고 신호가 출력되는 모습은 도 7과 같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2 경고 신호가 출력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냉수 온도 표시부(270)의 표시부(272,274,276) 중 상대적으로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2개의 표시부(272,276)가 반복적으로 동시 점멸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수 온도 표시부(270)가 점멸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수위 센서(121)의 오작동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 공급 장치(1)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온수 온도 표시부(260) 또는 냉수 온도 표시부(270)의 출력 상태를 통하여 상기 수위 센서(121)의 오작동을 용 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위 센서(121)의 오작동을 바로 잡기 위한 신속한 대응 및 조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위 센서(121)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수위 센서(121)가 오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저수조(131)의 실제 수위는 상기 제 1 기준수위 이하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수조(131)에 저장된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수위 센서(121)에 의해서는 만수 또는 상대적으로 많은 물이 저장된 것으로 감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가열기가 계속해서 작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열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 및 사용자의 부상 등과 같은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상기 물 공급 장치(1)에 의하면, 상기 수위 센서(121)가 오작동되는 경우에, 상기 가열기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므로,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 센서(121)가 오작동되는 경우에는, 실제로는 상기 저수조(131)가 만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수위 센서(121)에 의해서는 상기 저수조(131)가 만수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계속해서 원수가 공급되면, 상기 저수조(131)의 물이 넘쳐 누수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상기 물 공급 장치(1)에 의하면, 상기 수위 센서(121)의 오작동 시에 상기 밸브(101)가 차폐되어 상기 원수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므로,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물의 흐름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조작부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수위 센서의 오작동 경고 방법을 보인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 1 경고 신호가 출력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 공급 장치의 실시예에서 제 2 경고 신호가 출력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

Claims (8)

  1.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작동 상태를 의미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센서는, 상기 저장부의 수위가 제 1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수위센서 및 상기 저장부의 수위가 상기 제 1 기준수위보다 높은 수위에 해당하는 제 2 기준수위 이상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수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수위센서가 상기 저장부의 수위가 제 1 기준수위 이상인 것으로 감지한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 2 수위센서가 상기 저장부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위 이상이 아닌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수위센서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물 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위센서는 상기 저장부의 수위가 제 1 기준수위 이상이 아닌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 2 수위센서는 상기 저장부의 수위가 제 2 기준수의 이상인 것으로 감지하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물 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온수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개의 표시부로 구성되는 온수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다수개의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이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방식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가열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공급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냉수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개의 표시부로 구성되는 냉수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다수개의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이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방식으로 출력되는 물 공급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로의 물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신호의 출력과 동시에, 상기 밸브가 차폐되어 상기 저장부로의 물 공급이 차단되는 물 공급 장치.
KR1020090084888A 2009-09-09 2009-09-09 물 공급 장치 KR10111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88A KR101114764B1 (ko) 2009-09-09 2009-09-09 물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88A KR101114764B1 (ko) 2009-09-09 2009-09-09 물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98A KR20110026998A (ko) 2011-03-16
KR101114764B1 true KR101114764B1 (ko) 2012-02-29

Family

ID=4393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88A KR101114764B1 (ko) 2009-09-09 2009-09-09 물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526B1 (ko) * 2016-10-07 2019-01-30 이창현 급이기의 센서 오동작을 감지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931A (ja) * 1995-01-23 1996-08-09 Toshiba Corp 冷蔵庫の表示装置
KR0161641B1 (ko) * 1996-04-27 1998-11-16 배순훈 냉온정수기의 수위센서 불량감지방법
KR200392939Y1 (ko) * 2005-05-13 2005-08-17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정수의 수위감지를 이용한 필터보호 정수기
KR20060018408A (ko) * 2004-08-24 200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0931A (ja) * 1995-01-23 1996-08-09 Toshiba Corp 冷蔵庫の表示装置
KR0161641B1 (ko) * 1996-04-27 1998-11-16 배순훈 냉온정수기의 수위센서 불량감지방법
KR20060018408A (ko) * 2004-08-24 200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392939Y1 (ko) * 2005-05-13 2005-08-17 주식회사 서린바이오사이언스 정수의 수위감지를 이용한 필터보호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98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9088A (ko) 물 저장 및 배출장치
JP4937870B2 (ja) ドレン中和槽を有した給湯装置
KR102491063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101114764B1 (ko) 물 공급 장치
KR102441652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KR20010005331A (ko) 수도수 직결형 정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66557B1 (ko)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JP5821002B2 (ja) 給湯システム
KR101135819B1 (ko) 물 공급 장치
KR20090043784A (ko) 정량추출이 가능한 냉온수 공급장치
KR101564133B1 (ko) 정수기
KR101491886B1 (ko) 정수기
JP2011112293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KR20130116159A (ko) 순간가열장치
JP4843457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KR102066417B1 (ko) 수위감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위감지방법
KR101114637B1 (ko) 물 공급 장치의 제어방법
JP3931795B2 (ja) 給湯装置
KR101115834B1 (ko) 물 공급 장치
JP5498895B2 (ja) 貯湯式給湯装置
JP2009222276A (ja) 温水生成機
JP4424157B2 (ja) 自動湯張り機能付給湯機の制御装置
KR20180076140A (ko) 밀폐식 보일러의 물 보충 장치 및 물 보충 방법
JPH06315690A (ja) 浴槽湯の清浄化装置
KR100644949B1 (ko)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냉매수조형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정수기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