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4949B1 -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냉매수조형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정수기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냉매수조형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정수기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949B1
KR100644949B1 KR1020050094279A KR20050094279A KR100644949B1 KR 100644949 B1 KR100644949 B1 KR 100644949B1 KR 1020050094279 A KR1020050094279 A KR 1020050094279A KR 20050094279 A KR20050094279 A KR 20050094279A KR 100644949 B1 KR100644949 B1 KR 100644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level
full
che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연준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55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환경적인 영향과 내부적인 영향으로부터 내환경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온수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위 감지, 에러, 만수

Description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 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정수기 제어방법{ definite high water level of refrigerants water tank ion purifier and automatic drain method of refrigerants water tank ion purifie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nts water tank ion purifier and definite high water level of purifier and automatic drain method of purifier and control method of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수기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수기 제어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0: 필터 340 : 전해조솔레노이드밸브
400 : 전해조 501 : 냉매수조
502 : 증발관 520 : 온수탱크어셈블리
540 : 온수안전솔레노이드밸브 560 : 알칼리냉수관
580 : 알칼리온수관 620 : 코크
970 : 압력스위치 980 : 알칼리수관
800 :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 900 : 산성수솔레노이드밸브
910 : 냉매수조솔레노이드밸브 930 : 냉매수조관
940 : 냉수솔레노이드밸브 950 :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
960 : 온수솔레노이드밸브 990 : 상온수관
본 발명은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환경적인 영향과 내부적인 영향으로부터 내환경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온수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발전에 따른 수질, 대기, 토양등 날로 심각해지는 환경오염의 문제로 인해,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는 좀더 깨끗한 식수를 제공받기위한 수단으로 필터에 의해 물을 정화하고, 이와같이 정화된 물을 선택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 온수로 공급되도록 한 냉,온 정수기가 널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수기로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4-0110319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 수조의 수위를 감지함에 있어 부레를 사용한 감지방법, 리드 스위치를 이용한 감지방법, 또는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수위 감지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냉매수조형 이온수기의 수위감지는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수조내 수위를 감지하게 되는데, 냉매수조의 수위가 높아져 만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 횟수를 카운트하여 일정 횟수 이상이 되면 제품 내 모든 부하 를 정지시키고 냉매 수조와 연결된 수조 배수 밸브를 열어 주어 수조 내 고여있는 물을 자동적으로 드레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수위감지센서로서,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0030618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수위를 감지할 경우 잘못된 데이터를 감지하게 되면, 잘못된 데이터로 인해 정수기가 오작동을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환경적인 영향과 내부적인 영향으로부터 내환경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온수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은 증발관의 응결수가 수조 내로 유입되는 냉매수조의 감지된 수위를 입력받는 만수확인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감지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 감지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와,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 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위를 정확하게 체크하여 환경적인 영향과 내부적인 영향으로부터 내환경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온수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정해진 횟수 이상 만수가 확인되면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와,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내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에러를 인지할 수 있다.
배수단계에서, 배수밸브를 제외한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한 모든 부하를 정지시켜, 수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수위를 정상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에러발생단계에 이어, 사용자에게 에러발생을 알리는 알림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내부 요인 또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한 에러를 바로 인지할 수 있어 당황하는 일없이 바로 에러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만수확인단계는, 감지된 만수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감지된 만수가 유지되면 만수로 확인하여, 정확한 수위데이터를 산출하여 이온수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알림단계에 이후에, 이온수기의 파워를 리셋시킴으로써 에러해제하는 에러해제 단계를 포함하여, 단순하게 에러해제를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 법은, 냉매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다른 실시예는, 냉매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와,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은, 냉매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다른 실시예는, 냉매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이 확인되면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와,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와,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수기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수기 제어방법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온수기는, 크게 원수를 여과, 정제하는 필터(220)와, 필터링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400)와, 상기 전해조(400)를 통과한 정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과한 정수가 출수되는 코크(62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코크(620) 사이의 유로에 배치된 압력스위치(970)와, 상기 압력스위치(970)의 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로 보내는 제어부으로 이루어진다.
저수압일 경우 원수의 압력을 높이기 위해 필터(220) 전단에 펌프(120)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220)에 이어 급수솔레노이드밸브(340)가 설치된다.
전해조(400)는 필터(220)를 통과한 정수를 이온화하여 알칼리수와 산성수를 생성한다.
이온수를 출수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상을 전해조(400) 전극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극판에 스케일이 고착되어 자동 세정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 전해조(400)에는 각실에 연결되는 출수관에 180도의 위상각으로 유로를 변 경시켜주는 유로변경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변경모터에 대한 구동방법은 한국 특허 공개공보 제2004-0108296호를 참고하기로 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해조(400)에 연결된 퇴수관에는 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800)가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한다.
산성수라인은 전해조(400)에 연결되며 산성수솔레노이드밸브(900)에 의해 유로가 개폐된다.
나아가, 냉매수조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전해조(400)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를 냉각하여 알칼리 냉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수조어셈블리는 냉매수조(501)에 알칼리수가 들어 있는 알칼리냉수관(92)이 통과하게 되고, 냉매수조(501) 내에는 냉매수조(501)에 삽입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증발관(502)이 삽입된다. 이러한 증발관(502)의 양 끝단은 증발관(502) 내부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증발관(502)을 통해서는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통과하게 되어 냉매수조(501)내의 물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로써, 이온수기 내부가 고온, 고습 하게되면 증발관(502) 주변에 응결이 생기게 되고 이렇게 생성된 응결수는 냉매수조(501)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한편, 교반기(Agitator)(미도시)를 구비하여 냉매수조(501) 내의 물을 휘저어줌으로서, 냉매수조(501)내의 얼음 현상 방지 및 배관 내에 있는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냉매수조(501)에 삽입되는 물은 냉매수조급수솔레노이드밸브(910)를 열게 되면 냉매수조관(930)을 통해 급수되게 된다.
또한, 냉매수 드레인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냉매수조(501) 내의 물이 드레인되게 된다.
이로써, 냉매수조(501)를 통과하는 알칼리냉수관(560)속의 알칼리수는 냉각되게 된다.
전해조(400)에서 생성된 알칼리 상온수는, 전해조(400)에 이어 설치된 알칼리급수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그 흐름이 제어되며, 알칼리 상온수는 냉수솔레노이드밸브(940)가 열리면 알칼리냉수관(560)을 통해 냉매수조어셈블리로 이송되어, 냉각된 후 출수되게 된다.
전해조(400)에서 형성된 알칼리 상온수 및 상온 정수는 상온수솔레노이드밸브(950)에 의해 그 흐름이 제어된다.
상온수를 이송하는 상온수관(990)은 압력스위치(970)와 냉매수조어셈블리 사이에서 합류되어, 하나의 코크(620)를 통해 알칼리 상온수와 알칼리 냉수 및 상온정수가 제공된다.
또한, 전해조(400)로부터 생성된 알칼리 이온수를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어셈블리(520)가 구비되어 알칼리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알칼리 상온수는 알칼리 온수관(580)을 통해 이송된 후 온수탱크어셈블리(520)에서 가온된 후 저장되었다가 알칼리 온수로 출수된다.
나아가, 온수를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해 온수안전솔레노이드밸브(540)를 온 수탱크어셈블리(520)에 이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기능수의 출수를 선택적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정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각 유로상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능수가 출수될 수 있는 코크(620)가 구비된다.
압력스위치(970)는, 상온수관(990)이 합류되는 지점에 이어 형성되어 알칼리 상온수 및 상온 정수 및 알칼리 냉수가 이송되는 알칼리수관(98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압력스위치(970)의 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로 보내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압력스위치(970)는 저압차단스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압차단스위치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 메커니즘은 등록번호 제20-0294986호의 공보를 참조하기로하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작용효과만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압차단스위치는 액체의 낮은 압력을 이용하여 스위칭을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가 흐르는 중간에 설치되어 흐르는 액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조작하여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유로 관련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저압차단스위치에 설정된 압력에 따라 액체의 유동을 자동으로 조절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수의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에서 관련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온,오프를 준비대기한다.
이때, 코크(620)가 열려 관내의 압력이 낮아지면, 압력스위치(970)에 신호가 들어와 제어부을 통해 그 신호는 대기중인 관련 솔레노이드에 전달되어, 솔레노이드를 오픈시키면서 그에 따른 기능수가 출수된다.
한편, 코크(620)가 닫혀 고압이 감지되어 압력스위치(970)의 신호가 끊어지면 열려있던 관련 솔레노이드밸브는 닫히면서 기능수의 공급은 중단된다.
이와 같이 이온수기는, 코크(620)의 열리고 닫힘에 따라, 각 기능수에 관련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열리고 닫힘으로써, 기능수가 필요할 때 바로 생성하여 출수하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수기 제어방법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은, 증발관(502)의 응결수가 수조 내로 유입되는 냉매수조(501)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S7, S13, S19, S25), 정해진 횟수 이상이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와, 상기 냉매수조(501)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전용량 센서 등을 이용하여 냉매수조(501)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실제로 저수, 고수, 만수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감지된 만수를 바로 만수로 인식하면 전기적인 노이즈로 인한 오동작이나 제품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감지된 만수가 딜레이타임 동안(2초) 유지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감지된 만수가 유지되면 만수로 확인한다.
한편, 고온, 고습의 주변 환경에 의해서, 이온수기 사용시 고온 및 고습으로 인한 열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발생되는 증발관의 응결수가 냉매수조(501) 내로 유입되면서 수위를 자연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냉매수조급수솔레노이드밸브(910)의 오동작 또는 냉매수조(501) 수위 센서의 단품 불량으로 인한 냉매수조(501) 내 급수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내부적인 문제로 인해 수위가 상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위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수위가 낮아질 수 있도록 이온수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배수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S1), 완료되었으면 냉매수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를 정지시키고(S3), 완료되지 않았으면 냉매수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를 동작시켜 자동배수를 완료시킨다.(S5)
이어서, 일정시간 동안(3시간) 만수로 확인되는 횟수를 판단한다.(S7, S13, S19, S25)
횟수를 판단하는 것은, 최초 만수를 확인하면(S9) 수조 배수 카운터를 동작시켜 시간을 카운트 하는 동시에 횟수를 카운트하기 시작한다.(S11)
이어서, 두번째 만수를 확인하면(S15) 또다시 수조 배수 카운터를 동작시켜 시간을 카운트 하는 동시에 횟수를 카운트 하고(S17), 세번째 만수 확인시에도(S21) 동일하다.(S23)
확인된 만수가 일정 시간(3시간) 이내에 정해진 횟수(3번) 이상이 되면 냉매수조(501)의 수위가 현재 만수위 상태인 것으로 확인한다.
만수위로 확인되면 에러를 발생시킨다.(S27)
상기 에러발생 단계 이후에, 냉매수조(501)의 냉매수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배수한다.(S27)
나아가, 냉매수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는 동작시키는 반면에, 냉매수조(501)의 수위를 상승시키는 요인중의 하나인 증발관(502)의 표면에 응결수를 없애기 위해서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정지시키고, 또한 냉매수조(501)의 수위와 관련된 모든 부하(장치)를 정지시킨다.
이어서, 정해진 시간(13초) 내에 또 다시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29)를 포함하여 만수가 확인되면 에러발생한다.(S31)
또한, 에러발생시키면서 냉매수드레인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 배수하여 수위 상승을 방지한다.(S31)
한편, 이와 같은 수위 상승은 내부적인 요인에 의한 시스템의 결함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이를 미연에 확인하여 부저음과 같은 알림수단을 통해 알리는 것과 함께 에러(Error Code)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매수조(501) 내의 수위가 정상적인 상태로 되면 파워온리셋(power on reset)으로 이온수기의 파워를 리셋시킴으로써 에러를 해제한다.
또한, 최초 감지 이후에 일정시간(3시간)이 경과할 경우(S33) 만수 감지 카운터를 리셋시켜 초기화한다.(S35)
이로써, 환경적인 영향과 내부적인 영향으로부터 제품의 내환경 신뢰성을 확 보하고 제품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냉매수조형 이온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인 수조를 가진 정수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은,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다른 실시예는,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와,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은,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다른 실시예는,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이 확인되면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 와,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와,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 제어방법은,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와,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수기 제어방법 다른 실시예는,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와,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와,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온수기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횟수 이상이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수위를 정확하게 체크하여 환경적인 영향과 내부적인 영향으로부터 내환경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온수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둘째, 만수위 확인 후에, 수조의 배수 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냉매수조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정해진 횟수 이상 만수가 확인되면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와,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내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에러를 인지할 수 있다.
넷째, 배수단계에서, 배수밸브를 제외한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한 모든 부하를 정지시켜, 수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수위를 정상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섯째, 에러발생단계 이어서, 사용자에게 에러발생을 알리는 알림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내부 요인 또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한 에러를 바로 인지할 수 있어 당황하는 일없이 바로 에러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상기 만수확인단계는, 감지된 만수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감지된 만수가 유지되면 만수로 확인하여, 정확한 수위데이터를 산출하여 이온수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알림단계에 이후에, 이온수기의 파워를 리셋시킴으로써 에러해제하 는 에러해제 단계를 포함하여, 단순하게 에러해제를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Claims (26)

  1. 냉매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2. 냉매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확인단계는,
    감지된 만수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감지된 만수가 유지되면 만수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4. 냉매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5. 냉매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확인되면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배수밸브를 제외하고,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한 모든 부하는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확인단계 후에,
    만수위가 확인되면 에러 발생하는 에러발생단계와, 사용자에게 에러발생을 알리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확인단계는,
    감지된 만수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감지된 만수가 유지되면 만수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 이후에,
    이온수기의 파워를 리셋시킴으로써 에러를 해제하는 에러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10. 증발관의 응결수가 수조 내로 유입되는 냉매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
  11. 증발관의 응결수가 수조 내로 유입되는 냉매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 확인되면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
    상기 냉매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배수밸브를 제외하고, 상기 증발관 내부의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한 모든 부하는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확인단계 후에,
    만수위가 확인되면 에러 발생하는 에러발생단계와, 사용자에게 에러발생을 알리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확인단계는,
    감지된 만수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감지된 만수가 유지되면 만수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 이후에,
    이온수기의 파워를 리셋시킴으로써 에러를 해제하는 에러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
  16.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17.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1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확인단계는,
    감지된 만수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감지된 만수가 유지되면 만수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19.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20.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확인되면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단계에서,
    상기 배수밸브를 제외하고, 냉매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한 모든 부하는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확인단계 후에,
    만수위가 확인되면 에러 발생하는 에러발생단계와, 사용자에게 에러발생을 알리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확인단계는,
    감지된 만수가 딜레이타임 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하여, 감지된 만수가 유지되면 만수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 이후에,
    이온수기의 파워를 리셋시킴으로써 에러를 해제하는 에러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25.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26. 수조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를 확인하는 만수확인단계;
    일정시간 동안 확인되는 만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
    정해진 횟수 이상이 되면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단계;
    정해진 시간 내에 만수가 확인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만수가 확인되면 만수위로 확인하는 수위확인단계;
    상기 수조의 배수밸브를 열어 배수하는 배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KR1020050094279A 2005-10-07 2005-10-07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냉매수조형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정수기제어방법 KR100644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279A KR100644949B1 (ko) 2005-10-07 2005-10-07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냉매수조형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정수기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279A KR100644949B1 (ko) 2005-10-07 2005-10-07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냉매수조형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정수기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949B1 true KR100644949B1 (ko) 2006-11-10

Family

ID=3765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279A KR100644949B1 (ko) 2005-10-07 2005-10-07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냉매수조형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정수기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9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736A (ko) * 2004-04-30 2004-06-23 (주)원봉 산소발생정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736A (ko) * 2004-04-30 2004-06-23 (주)원봉 산소발생정수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5273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272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eliminating leaks in water delivery systems for use with appliances
JP4996130B2 (ja) 熱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343925A (ja) 液体排出装置
CN109863348B (zh) 空调机
KR102597631B1 (ko) 스케일 발생의 방지방법
WO2008024737A2 (en) Beverage maker flow detection logic
JP529280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6276894B1 (en) Method and device for drawing condensate off from compressed-gas systems
KR100666557B1 (ko) 수조의 수위 감지방법 및 정수기 제어방법
KR100644949B1 (ko)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냉매수조형이온수기 자동배수 방법, 냉매수조형 이온수기 제어방법,정수기 만수위 확인방법, 정수기 자동배수 방법, 정수기제어방법
JP4310856B2 (ja) 水栓装置
JP2007255769A (ja) 給湯機の異常検出装置
JP4807009B2 (ja) 凝縮水処理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燃焼装置
KR100692530B1 (ko) 냉매 수조형 정수기의 교반기 제어 방법
CN103768948A (zh) 水净化装置和该水净化装置的控制方法
KR100620579B1 (ko) 정수기 제어방법
JP3838197B2 (ja) 給湯装置
JP5146727B2 (ja) 燃焼装置
KR100726402B1 (ko)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의 급수 차단장치
KR101114764B1 (ko) 물 공급 장치
JP2011002123A (ja) 貯湯式給湯機
JP2000070942A (ja) イオン水生成器
JP2001280716A (ja) 空気調和装置
KR20230166653A (ko) 정수 장치
JPH03105101A (ja) 蒸気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