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681B1 -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 - Google Patents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681B1
KR101114681B1 KR1020100107243A KR20100107243A KR101114681B1 KR 101114681 B1 KR101114681 B1 KR 101114681B1 KR 1020100107243 A KR1020100107243 A KR 1020100107243A KR 20100107243 A KR20100107243 A KR 20100107243A KR 101114681 B1 KR101114681 B1 KR 101114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feedback information
miso
phase difference
ofdm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형규
신정철
유영환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0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송신단들로부터 전송된 송신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두 채널 사이의 위상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두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송신단들 측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정보에 의해 위상 보정된 송신신호를 상기 송신단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ISO-OFDM 통신을 위한 피드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MISO-OFDM 통신을 위한 피드백 방법에 따르면, 채널의 추정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압축 전송함에 따라, 피드백 비트를 절약하고 비트 에러율을 감소시키며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MISO-OFDM communication system and feedback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 위상 부호화를 사용하는 OFDM 통신에서 비트 에러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이상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OFDM 환경에서는 더 나은 품질의 음성이나 높은 레이트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송신 다이버시티 기술을 사용한다. 송신 다이버시티 기법은 수신기에서 송신기로의 피드백 정보의 유무에 따라, 개루프 방식과 폐루프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개루프 송신 다이버시티 기법은 수신기에서 송신기로의 피드백 정보 없이 송신 다이버시티를 획득하는 방법으로서 CDD, STBC 등의 방법이 있다. 폐루프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은 수신기에서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여 채널의 상태 정보를 송신기로 피드백 채널로 전송하고 이 값을 신호 전송 시에 이용함으로써 다이버시티를 얻고자 하는 방식으로서 SPC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런데, 기존의 SPC 방법의 경우 피드백 효율이 떨어지고 비트 에러율의 향상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피드백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비트 에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송신단들로부터 전송된 송신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두 채널 사이의 위상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두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송신단들 측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정보에 의해 위상 보정된 송신신호를 상기 송신단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ISO-OFDM 통신을 위한 피드백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MISO-OFDM 통신을 위한 피드백 방법은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정보를 압축하는 단계는, 서로 연속적으로 생성된 동일 종류의 피드백 정보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상기 그룹 내에 속하는 피드백 정보의 종류와 상기 피드백 정보들의 총개수를 각각 이진수로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두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는,
Figure 112010070716635-pat00001
는 위상차이고,
Figure 112010070716635-pat00002
일 경우 제1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03
일 경우 제2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04
일 경우 제3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05
일 경우 제4상태로 각각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상 보정 조건은, 상기 제1상태인 경우 0°, 상기 제2상태인 경우 180°, 상기 제3상태인 경우 90°, 상기 제4상태인 경우 270°만큼 상기 두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회전시키도록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두 개의 송신단들로부터 전송된 송신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두 채널 사이의 위상차를 계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두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추정된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송신단들 측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에 의해 위상 보정된 송신신호를 상기 송신단들로부터 수신하는 MISO-OFDM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MISO-OFDM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장치는,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압축하는 압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는, 서로 연속적으로 생성된 동일 종류의 피드백 정보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상기 그룹 내에 속하는 피드백 정보의 종류와 상기 피드백 정보들의 총개수를 각각 이진수로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정부는,
Figure 112010070716635-pat00006
는 위상차이고,
Figure 112010070716635-pat00007
일 경우 제1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08
일 경우 제2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09
일 경우 제3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10
일 경우 제4상태로 각각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두 개의 송신단들과 한 개의 수신단을 포함하는 MISO-OFDM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두 개의 송신단들로부터 전송된 송신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두 채널 사이의 위상차를 계산하고,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두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단들 측에 전송하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송신신호를 위상 보정하여 상기 수신단 측에 전송하는 MISO-OFDM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압축하되, 서로 연속적으로 생성된 동일 종류의 피드백 정보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상기 그룹 내에 속하는 피드백 정보의 종류와 상기 피드백 정보들의 총개수를 각각 이진수로 압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에 따르면, 채널의 추정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압축 전송함에 따라, 피드백 비트를 절약하고 비트 에러율을 감소시키며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SO-OFDM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신단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를 이용한 피드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S320 단계에서 추정 가능한 4가지 상태별로 달리 적용되는 위상 보정 조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S330 단계에 따라 생성된 피드백 정보의 예시이다.
도 6은 도 4의 피드백 정보의 압축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SO-OFDM 통신 방법과 다른 통신 방법의 성능 차이를 비트에러율 관점에서 테스트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SO-OFDM 통신 방법에서 레일레이 채널의 경로 수에 따른 효율을 나타낸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폐루프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 중 하나로서, 공간 위상 부호화(SPC)를 사용하는 무선 MISO-OFDM 통신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효과적인 피드백 디자인 방법에 관하여 알아본다.
통상의 협력 통신 시스템은 심볼 단위가 아닌 프레임 단위로 협력 통신을 수행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 단위 대신 심볼 단위로 설명한다. 물론, 상기 심볼 단위를 사용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를 프레임 단위로 확장하여 협력 통신을 구현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 서브 캐리어의 수는 가변적이지만, 서브캐리어의 수 K=128인 경우를 예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SO-OFDM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MISO-OFDM 통신 시스템(100)은 두 개의 송신단(110,120)들과 한 개의 수신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단(130)은 채널 추정으로 얻어진 피드백 정보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두 송신단(110,120) 측으로 전송하고, 이후 피드백 정보에 의해 위상 보정된 송신신호를 송신단(110,120)으로부터 다시 수신받는다.
상기의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신단(130)은, 제1송신단(110)과 제2송신단(120)으로부터 전송된 송신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제1채널(H1)과 제2채널(H2) 사이의 위상차를 계산하고,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제1채널(H1)과 제2채널(H2)의 상태를 추정한다.
이후, 상기 수신단(130)은 앞서 추정된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단들(110,120) 측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송신단들(110,120)은, 상기 수신단(130)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송신신호를 위상 보정하여 상기 수신단(130) 측에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신단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 수신단(130)은 연산부(131), 추정부(132), 생성부(133), 압축부(134), 그리고 전송부(135)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를 이용한 피드백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기 수신단(130)의 입장에서 상기 공간 위상 부호화를 이용한 피드백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먼저, 상기 제1송신단(110)과 제2송신단(120)으로부터 전송된 송신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두 채널 즉, 제1채널(H1)과 제2채널(H2) 사이의 위상차를 상기 연산부(131)에서 계산한다(S310).
여기서, 상기 수신단(130)으로 수신된 송신신호 중, k번째 서브캐리어에서 수신된 송신신호는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10070716635-pat00011
이때, P는 프리코딩 벡터, X는 OFDM 심볼, (m)은 안테나 인덱스로서 m=1,2이다. 그리고, N은 복소 가우시안 잡음이고, H는 채널의 주파수 응답이다. Hk (1)과 Hk (2)는 상기 제1채널(H1)과 제2채널(H2)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이다.
상기 S310단계 이후, 상기 추정부(132)는 앞서 계산된 위상차에 따라 상기 제1채널(H1)과 제2채널(H2)의 상태를 추정한다(S320). 그리고, 상기 생성부(133)에서는 상기 추정된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S330).
이하에서는, 상기 S320~S330단계를 상세히 알아본다. 도 4는 도 3의 S320 단계에서 추정 가능한 4가지 상태별로 달리 적용되는 위상 보정 조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제2채널(H2)을 나타내는 Hk (2) 벡터는 점선형과 실선형이 있다. 점선형의 Hk (2) 벡터는 위상 보정되기 전이고, 실선형의 Hk (2) 벡터는 위상 보정된 후를 나타낸다. 위상 보정은 Hk (2) 벡터의 회전에 의한다.
Figure 112010070716635-pat00012
는 상기 제1채널(H1)과 제2채널(H2) 사이의 위상차를 의미한다. 상기 S320단계에서 추정부(132)는 상기 위상차에 따라 제1상태 내지 제4상태로 추정한다. 즉, 도 4의 (a)와 같이
Figure 112010070716635-pat00013
일 경우는 제1상태, (b)와 같이
Figure 112010070716635-pat00014
일 경우는 제2상태로, (c)와 같이
Figure 112010070716635-pat00015
일 경우는 제3상태, 그리고 (d)와 같이
Figure 112010070716635-pat00016
일 경우 제4상태로 각각 추정한다.
앞서 수학식 1에 개시된 프리코딩 벡터 P는 이하의 수학식 2의 형태를 갖는다.
Figure 112010070716635-pat00017
상기 프리코딩 벡터 P는 2비트로 확장된 SPC(공간 위상 부호화) 전처리 벡터이다. 전송 파워는 두 송신단(110,120)의 안테나에 의해 동일하게 나눠져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18
로 정규화된다.
이러한 수학식 2는 각 상태 별로 Hk (2) 벡터를 얼마만큼 회전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즉, 상기 S330 단계는 앞서 채널의 추정 결과로부터 각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위상 보정 조건은, 상기 제1상태인 경우 0°, 상기 제2상태인 경우 180°(-jπ), 상기 제3상태인 경우 90°(-jπ/2), 상기 제4상태인 경우 270°또는 -90°(jπ/2 또는 -3jπ/2) 만큼, 상기 제1채널(H1)과 제2채널(H2) 중 제2채널(H2)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은 상기 도 4의 결과에 대응된다.
또한, 도 4를 보면, 위상을 보정한 후에는 위상을 보정하기 전에 비하여 두 벡터 Hk (1)과 Hk (2)의 합이 커져서 채널의 크기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더하여진 채널은 Hk(=Hk (1)+Hk (2))로 표현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는 수학식 3으로 요약된다.
Figure 112010070716635-pat00019
Fk는 피드백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피드백 정보에는 위상차(
Figure 112010070716635-pat00020
)에 따라 각 상태(State1~State4)를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각 상태 정보에는 각 상태별 상기 위상 보정 조건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도 5는 도 3의 S330 단계에 따라 생성된 피드백 정보의 예시이다. 상기 수학식 3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정보 Fk의 값은, 제1상태의 경우 0, 제2상태의 경우 1, 제3상태의 경우 2, 제4상태의 경우 3의 값을 갖는다.
도 5를 바탕으로, 이러한 피드백 정보는 인접하는 서브캐리어에 따라 연속적으로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5의 실시예는 피드백 정보 0의 값이 15개, 그 이후에 피드백 정보 3의 값이 11개, 그리고 피드백 정보 1의 값이 10개로 연속 생성되어 있다.
상기 S330 단계 이후에는,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압축부(134)에서 압축한다(S340). 이러한 압축 구성에 따르면, 압축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전체 피드백 정보의 비트가 줄어들게 되고 전송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압축부(134)는 서로 연속적으로 생성된 동일 종류의 피드백 정보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상기 그룹 내에 속하는 '피드백 정보의 종류'와 '상기 피드백 정보들의 총개수'를 각각 이진수로 압축한다.
상기 '피드백 정보의 종류'에 따른 이진수 표현의 예는 다음과 같다. 이때, 피드백 정보의 종류는 2비트의 이진수로 표현한다. 즉, 피드백 정보가 '0'이면 '00', '1'이면 '01', '2'이면 '10', '3'이면 '11'의 이진수로 표현한다.
다음, '피드백 정보의 총개수'에 따른 이진수 표현의 예는 다음과 같다. 이때, 피드백 정보의 총개수는 7비트의 이진수로 표현한다. 즉, 피드백 정보 '0'의 연속되는 개수가 15개인 경우, '0001111'의 이진수로 표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동일 종류의 피드백 정보들로 구성되는 하나의 그룹은 2비트와 7비트를 합산한 총 9비트로 압축 표현된다.
도 6은 도 4의 피드백 정보의 압축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첫 번째 서브캐리어의 피드백 정보 즉, 피드백 정보 '0'의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피드백 정보 '0'을 2비트의 이진수로 변환한 '00'을 5,6번째 슬롯에 '00'으로 할당한다. 그리고, 피드백 정보 '0'의 연속되는 개수 15를 7비트의 이진수 변환한 '0001111'을 8~14번째 슬롯에 할당한다.
이러한 과정은 나머지 피드백 정보에 대해서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된다. 즉,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헤더와 같이 할당하고, 이후 연속되는 비트의 수를 다시 지속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을 반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된 슬롯의 개수는 7-path 레일레이 채널에서 백만 번의 모의실험을 통해 얻어진 값이다.
상기 피드백 정보를 압축한 다음에는, 상기 압축된 피드백 정보를 상기 전송부(135)를 통해 상기 송신단들(110,120) 측으로 전송한다(S350). 그러면, 상기 송신단들(110,120)은 상기 압축된 피드백 정보를 압축 해제한 다음,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바탕으로 프리코딩 벡터 P를 변화시켜 위상 보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수신단(130)은 상기 피드백 정보에 의해 위상 보정된 송신신호를 상기 송신단들(110,120)로부터 수신한다(S360). 이러한 일련의 방법에 따르면, 피드백 비트를 절약함은 물론이며 비트 에러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모의 실험 결과를 알아본다. 상기 모의 실험에서 변조방식은 QPSK 변조가 사용되었으며,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는 구속장이 7인 1/2 레이트의 콘볼루션 코드가 사용되었다. 또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와 채널 추정은 완벽하다고 가정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SO-OFDM 통신 방법과 다른 프리코딩 기법의 성능 차이를 비트에러율 관점에서 테스트한 그래프이다. 이는 7-경로 레일레이 채널에서의 테스트 결과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신호대 잡음비(SNR)이고, 세로축은 비트에러율(BER)을 나타낸다.
도 7을 보면, 기존의 CDD 기법은 피드백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서, 다른 방식들과 비교하여 볼 때 최저의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피드백을 사용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비트 에러율이 우수하다.
여기서, 기존의 1비트를 사용하는 피드백 SPC 기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위상차 조건인
Figure 112010070716635-pat00021
이면 제2채널(H2)을 위상 보정하지 않고 제1채널(H1)과 더하도록 하고,
Figure 112010070716635-pat00022
이면 제2채널(H2)을 위상 보정(180도 회전)하여 제1채널(H1) 더함으로써, 송신단에서의 채널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존의 1비트를 사용하는 피드백 SPC 기법은 채널의 상태를 2가지로 구분한 것이고, 본 발명은 채널의 상태를 4가지로 구분한 2비트를 사용하는 피드백 SPC 기법에 해당된다. 도 7에서 비트에러율이 10-3인 지점을 보면, 본 발명의 2비트를 사용하는 SPC 기법은 기존의 1비트를 사용하는 SPC 기법에 비해 성능이 1dB 정도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주목할만한 것은, 본 발명의 2비트를 사용하는 SPC 기법은 채널의 상대적인 위상을 완벽하게 보상해주는 풀 피드백 SPC 기법과 성능 차이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3비트 이상을 사용하는 SPC 방식의 경우 성능 향상에 거의 기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최적의 전송 다이버시티 기법인 MRT 기법은 가장 우수한 비트에러율 성능을 나타낸다. 그런데, 이러한 MRT 기법의 경우는 채널 크기와 위상정보를 완벽히 알아야 하므로 무한대의 피드백 정보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2비트를 사용하는 SPC 기법은 단지 서브캐리어 당 2비트의 피드백 정보만 있으면 되므로, 피드백 압축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시스템을 보다 간단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SO-OFDM 통신 방법에서 레일레이 채널의 경로 수에 따른 효율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128개의 서브캐리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백만번의 모의실험을 통해서 얻어졌다. 여기서, 가로축은 채널 경로 수, 세로축은 피드백 인코더의 효율(%)을 나타낸다.
우선, 피드백 정보를 압축하지 않으면, 1비트를 사용하는 SPC와 2비트를 사용하는 SPC는 각각 128비트와 256비트의 피드백 정보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2비트를 사용하되 피드백 정보를 압축하여 전송하므로, 1비트를 사용하는 SPC와 비교하여 볼 때, 8-경로 레일레이 채널 결과에서 55%까지 피드백 정보를 절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채널의 경로가 감소할수록 효율은 더욱 증가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피드백 정보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압축하지 않고 보내는 경우보다 전체 피드백 정보 비트를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동일 조건 하에 더 많은 피드백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한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MISO-OFDM 통신 시스템 110: 제1송신단
120: 제2송신단 130: 수신단
131: 연산부 132: 추정부
133: 생성부 134: 압축부
135: 전송부

Claims (12)

  1. 두 개의 송신단들로부터 전송된 송신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두 채널 사이의 위상차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두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송신단들 측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정보에 의해 위상 보정된 송신신호를 상기 송신단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ISO-OFDM 통신을 위한 피드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 정보를 압축하는 단계는,
    서로 연속적으로 생성된 동일 종류의 피드백 정보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상기 그룹 내에 속하는 피드백 정보의 종류와 상기 피드백 정보들의 총개수를 각각 이진수로 압축하는 MISO-OFDM 통신을 위한 피드백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두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는,
    Figure 112010070716635-pat00023
    는 위상차이고,
    Figure 112010070716635-pat00024
    일 경우 제1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25
    일 경우 제2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26
    일 경우 제3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27
    일 경우 제4상태로 각각 추정하는 MISO-OFDM 통신을 위한 피드백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보정 조건은,
    상기 제1상태인 경우 0°, 상기 제2상태인 경우 180°, 상기 제3상태인 경우 90°, 상기 제4상태인 경우 270°만큼 상기 두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회전시키도록 보정하는 MISO-OFDM 통신을 위한 피드백 방법.
  5. 두 개의 송신단들로부터 전송된 송신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두 채널 사이의 위상차를 계산하는 연산부;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두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추정된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상기 송신단들 측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에 의해 위상 보정된 송신신호를 상기 송신단들로부터 수신하는 MISO-OFDM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압축하는 압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는,
    서로 연속적으로 생성된 동일 종류의 피드백 정보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상기 그룹 내에 속하는 피드백 정보의 종류와 상기 피드백 정보들의 총개수를 각각 이진수로 압축하는 MISO-OFDM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추정부는,
    Figure 112010070716635-pat00028
    는 위상차이고,
    Figure 112010070716635-pat00029
    일 경우 제1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30
    일 경우 제2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31
    일 경우 제3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32
    일 경우 제4상태로 각각 추정하는 MISO-OFDM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보정 조건은,
    상기 제1상태인 경우 0°, 상기 제2상태인 경우 180°, 상기 제3상태인 경우 90°, 상기 제4상태인 경우 270°만큼 상기 두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회전시키도록 보정하는 MISO-OFDM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장치.
  9. 두 개의 송신단들과 한 개의 수신단을 포함하는 MISO-OFDM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두 개의 송신단들로부터 전송된 송신신호를 통해 획득되는 두 채널 사이의 위상차를 계산하고,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두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며, 상기 추정된 상태 별로 위상 보정 조건을 달리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단들 측에 전송하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수신단으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피드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송신신호를 위상 보정하여 상기 수신단 측에 전송하는 MISO-OFDM 통신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압축하되, 서로 연속적으로 생성된 동일 종류의 피드백 정보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상기 그룹 내에 속하는 피드백 정보의 종류와 상기 피드백 정보들의 총개수를 각각 이진수로 압축하는 MISO-OFDM 통신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은,
    상기 위상차에 따라 상기 두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되,
    Figure 112010070716635-pat00033
    는 위상차이고,
    Figure 112010070716635-pat00034
    일 경우 제1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35
    일 경우 제2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36
    일 경우 제3상태,
    Figure 112010070716635-pat00037
    일 경우 제4상태로 각각 추정하는 MISO-OFDM 통신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보정 조건은,
    상기 제1상태인 경우 0°, 상기 제2상태인 경우 180°, 상기 제3상태인 경우 90°, 상기 제4상태인 경우 270°만큼 상기 두 채널 중 하나의 채널을 회전시키도록 보정하는 MISO-OFDM 통신 시스템.
KR1020100107243A 2010-10-29 2010-10-29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 KR101114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43A KR101114681B1 (ko) 2010-10-29 2010-10-29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43A KR101114681B1 (ko) 2010-10-29 2010-10-29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681B1 true KR101114681B1 (ko) 2012-03-05

Family

ID=4614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243A KR101114681B1 (ko) 2010-10-29 2010-10-29 Miso-ofdm 통신 시스템 및 그 피드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6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174A (ko) * 1999-05-19 2002-01-04 아리티라 미카, 라나스토 익카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및 시스템
US20050048933A1 (en) 2003-08-25 2005-03-03 Jingxian Wu Adaptive transmit diversity with quadrant phase constraining feedback
KR20050081528A (ko) * 2004-02-14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반송파 통신시스템을 위한 채널 상태정보 피드백 방법
KR20080004701A (ko) * 2006-07-06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피드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174A (ko) * 1999-05-19 2002-01-04 아리티라 미카, 라나스토 익카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및 시스템
US20050048933A1 (en) 2003-08-25 2005-03-03 Jingxian Wu Adaptive transmit diversity with quadrant phase constraining feedback
KR20050081528A (ko) * 2004-02-14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반송파 통신시스템을 위한 채널 상태정보 피드백 방법
KR20080004701A (ko) * 2006-07-06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채널 피드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453B2 (en) CQI table for wireless MIMO network
CN102265546B (zh) 基于接收数据的无线通信信道的信道质量确定
CN101958764B (zh) 发送装置、信号生成装置及发送方法
CN104769875A (zh) 采用正交频分复用的高频谱效率传输
KR100922957B1 (ko)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의 신호검출 장치 및 방법
CN101485103A (zh) 无线通信系统和无线通信方法
CN101233713A (zh) 用于mimo系统的稳健秩预测
CN102882575A (zh) 用于确定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装置
SG176479A1 (en) Method for selecting transmission parameters for a data transmission and data transmission controller
CN101919192B (zh) 报告信道质量信息
KR20120108986A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시스템에서 프리코딩 행렬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KR20070092872A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신호 검파 장치 및 방법
WO2017183631A1 (ja) Los-mimo復調装置、通信装置、los-mimo伝送システム、los-mimo復調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341704A (zh) 无线通信设备
KR101043698B1 (ko) 공간다중화 시스템에서 신호검출 장치 및 방법
US85207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ignal based on lattice reduction to support different coding scheme for each stream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567673B2 (ja) 信号伝送方法及びユーザ端末
CN102725991A (zh) 针对天线阵列的相关矩阵反馈方法和系统
KR20090117580A (ko) 부호어의 생성 방법
KR10140290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7111198A1 (ja) 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
EP2611044B1 (en) Adaptive transmit beamforming
KR20160027721A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170414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llis coded quantization based channel feedback
CN101534267B (zh) 预编码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