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522B1 - 분체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522B1
KR101114522B1 KR1020110125942A KR20110125942A KR101114522B1 KR 101114522 B1 KR101114522 B1 KR 101114522B1 KR 1020110125942 A KR1020110125942 A KR 1020110125942A KR 20110125942 A KR20110125942 A KR 20110125942A KR 101114522 B1 KR101114522 B1 KR 101114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ousing
hot air
guid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원
송흥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주)스텝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주)스텝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Priority to KR1020110125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57/00Other carbonising or coking processes; Features of destructive distillation processes in general
    • C10B57/08Non-mechanical pretreatment of the charge, e.g. desulfurization
    • C10B57/10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가 개방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로 건조대상 분체를 투입하는 분체투입부와,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는 분체를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송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분체이송부와, 이송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건조대상 분체를 하방에 위치하는 이송벨트로 유도하는 복수의 분체가이드부와, 하우징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관이 마련된 열풍공급부와, 열풍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송벨트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미분을 하우징의 내측면으로 유도하며 상기 열풍관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상방에 위치하는 이송벨트로 유도하는 복수의 열풍가이드부와, 최하부에 배치된 상기 분체이송부를 경유하는 분체를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분체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건조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분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이송벨트에 의해 열풍이 이송벨트를 통과하여 직간접적으로 분체에 닿게 되므로 건조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정크기 이하의 입도를 갖는 분체는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별도로 분체로부터 미분을 선별하는 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분체로부터 선별된 미분을 따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분체 건조 장치{Pulverulent body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체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체 입자가 다수 집합한 상태에 있는 석탄과 같은 분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분체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제조 공정에서는 양질의 코크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원료탄(Coal)의 수분을 일정량 건조시키는 공정을 거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원료탄을 건조시키는 설비가 CMCP(Coal Moisture Control Process) 드라이어이며, 이는 드라이어 내부에 원료탄을 투입한 후 내부에 높은 열의 증기를 투입시켜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드라이어 내부에는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된다.
이러한 더스트를 처리하는 공정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드라이어 내부로부터 더스트 흡입관이 설치되어 더스트 콜렉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팬 블로워의 흡입력에 의해서 더스트는 콜렉터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더스트는 백 필터를 통과하면서 깨끗한 청정공기로 바뀐 후 스텍을 통해서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입자가 큰 더스트는 하부 스크류 피더를 거쳐 베슬(vessel)에 저장된 후 로터리 밸브를 통하여 후공정으로 이송 처리되고 있다. 상기 베슬에서는 하부에 설치된 로터리 밸브의 회전력에 의하여 압력이 베슬 상부로 작용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더스트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더스트 배출공정에서는 일정한 조건을 필요로 한다.
즉, 베슬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로드 셀에 의해 중량을 측정하여 더스트가 내부에 50% 이상일 때는 로터리 밸브가 회전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20% 이하가 되면 로터리 밸브가 멈춰서 배출을 중지시켜서 상부로 압력이 작용하지 못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더스트 배출 공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더스트 콜렉터의 하부에 더스트가 고착되어 부착탄을 형성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콜렉터 하부의 출구를 막아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은, 드라이어 내부에서 흡입되는 더스트는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더스트 콜렉터 내부로 들어오게 되며, 이후 하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결로현상(외부와 내부의 온도차로 인해서 벽면에 습기가 생기는 현상)이 발생되어 콜렉터 내부의 더스트가 내부 벽면에 묻어있는 습기와 함께 고착되어 부착탄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더스트 콜렉터의 내부 온도가 항상 60℃~80℃ 정도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외부 온도는 상온인 상태이므로 필연적으로 나타나며, 특히 동절기 때는 그러한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둘째, 베슬에서 더스트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로터리 밸브의 상부에서 막히거나 더스트가 베슬 내부에서 브리지(Bridge)를 만드는 현상(교각처럼 형성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슬 내부의 더스트 레벨이 50% 이상일 때 로터리 밸브를 회전시켜 더스트를 배출하고 20% 이하에서 중지되는 현상이 반복되다 보니 하부에 일정한 압력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체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미분을 용이하게 수거 및 배출할 수 있는 분체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건조 장치는 하부가 개방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건조대상 분체를 투입하는 분체투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는 분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송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 그물망 구조를 갖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를 무한궤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분체이송부와, 상기 분체이송부에 의해 상기 분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대향하는 하우징의 일 측면에 인접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건조대상 분체를 하방에 위치하는 이송벨트로 유도하는 복수의 분체가이드부와, 상기 분체이송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상기 분체이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며 하부에는 열풍배출구가 형성된 열풍관을 포함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미분을 하우징의 내측면으로 유도하며 상기 열풍관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상방에 위치하는 이송벨트로 유도하는 복수의 열풍가이드부와, 하부에 배치된 상기 분체이송부를 경유하는 분체를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분체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하단에 배치된 상기 열풍관의 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개폐플레이트와, 일단은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일 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개폐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의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가 개방될 때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배출되는 미분을 미분저장용기로 이송시키는 미분수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체가이드부는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송롤러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분체이송부를 통해 하우징의 일 측면 방향으로 이송되는 분체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격벽과, 격벽의 하단으로부터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벨트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격벽에 의해 낙하하는 분체를 하방의 이송벨트 상면으로 안내하는 경사판 및 상기 격벽에 부딪혀 후술하는 열풍공급부 및 열풍가이드부 측으로 분체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산방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풍가이드부는 상기 열풍관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분체이송부의 이송벨트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미분을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미분가이드판과, 열풍배출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배출되는 열풍을 상방에 위치하는 분체이송부 측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미분가이드판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미분가이드판으로 낙하된 미분을 배출할 수 있게 미분배출구가 마련된 열풍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건조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분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이송벨트에 의해 열풍이 이송벨트를 통과하여 직간접적으로 분체에 닿게 되므로 건조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정크기 이하의 입도를 갖는 분체는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별도로 분체로부터 미분을 선별하는 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분체로부터 선별된 미분을 따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건조 장치를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건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건조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건조 장치의 열풍가이드부를 도시한 부분발췌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체 건조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건조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체 건조 장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으로 건조대상 분체를 투입하는 분체투입부(200)와, 분체투입부(20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된 분체를 하우징(100)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이송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이송컨베이어들(310,320,330)을 포함하는 분체이송부와, 분체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분체가 하방에 위치하는 분체이송부로 이송될 수 있게 안내하는 분체가이드부(400)와, 분체이송부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500)와, 열풍공급부(500)에 설치되어 열풍이 상방에 위치하는 분체이송부로 안내하는 열풍가이드부(600) 및 분체배출부(7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함 형상으로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내부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관(110)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분체투입부(200)는 건조대상 분체를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시키는 투입벨트(210)와, 상기 투입벨트(210)를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투입부 지지롤러(220)와, 투입부 지지롤러(220)를 회전시키는 투입부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분체투입부(200)는 투입벨트(210)가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하우징(100)의 일 측에 형성된 투입구에 지속적으로 건조대상 분체를 투입한다.
하우징(100)의 투입구에는 투입벨트(2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되는 건조대상 분체를 분체이송부로 전달하도록 일 단은 투입벨트(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타 단은 분체이송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분체투입받이(120)가 설치되어 있다.
분체이송부는 상기 분체투입부(20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된 분체를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이송시키는 것으로 제1이송컨베이어(310)와, 제2이송컨베이어(320)와, 제3이송컨베이어(330)를 포함하며, 각각 하우징(100)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있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310)는 건조대상 분체를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송시키도록 무한궤도상으로 회전하며, 분체에 포함된 입자 중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입도를 갖는 미분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게 그물망 구조를 갖는 이송벨트(311)와, 이송벨트(311)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될 수 있게 이송벨트(311)를 지지하는 지지롤러(312) 및 지지롤러(31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13)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롤러(312)는 하우징(100)의 폭 방향 양 내측면(101)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된 필로우블럭(314)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로우블럭(314)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부공간을 향하여 각각 돌출되게 고정된 롤러장착부(315)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모터(313)는 하우징(100)의 외측면에서 롤러장착부(315)와 대응하는 높이에 설치된 모터장착부(316)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롤러(312)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롤러(312)의 회전축과 구동모터(313)의 구동축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감속기 또는 증속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및 제3이송컨베이어(320,330)는 제1이송컨버이어(310)와 배치되는 위치만 다를 뿐 그 구성요소와 작용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하고,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기호로 표기한다.
상기 롤러장착부(315) 및 모터장착부(316)는 하우징(100)의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분체이송부는 이송컨베이어 3개를 다단식으로 배치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를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분체가이드부(400)는 분체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분체를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분체이송부로 전달할 수 있게 안내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양 측면과 분체이송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분체가이드부(410)와, 제2분체가이드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분체가이드부(410)는 하우징(100)의 폭 방향 양 내측면(101)과 이송롤러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분체이송부를 통해 하우징(100)의 일 측면 방향으로 이송되는 분체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격벽(411)과, 격벽(411)의 하단으로부터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벨트(311)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격벽(411)에 의해 낙하하는 분체를 하방의 이송벨트(311) 상면으로 안내하는 경사판(412) 및 상기 격벽(411)에 부딪혀 후술하는 열풍공급부(500) 및 열풍가이드부(600) 측으로 분체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산방지판(41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분체가이드부(400)는 상술한 제1분체가이드부(410)와 설치위치만 다를 뿐 그 구성요소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1분체가이드부(410)는 분체투입부(200)로부터 분체가 투입되는 방향과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고, 제2분체가이드부(420)는 제1분체가이드부(410)와 대향하고 분체투입부(200)와 동일한 측에 설치되어 있다.
열풍공급부(50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하우징(100) 내부로 연장되되 제1 내지 제3이송컨베이어(310,320,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열풍관(510)과,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열풍관(510)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발생부(520)를 구비한다.
상기 열풍관(510)은 제1 내지 제3이송컨베이어(310,320,330)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00) 내부로 연장된 열풍관(510)의 일 단은 폐쇄되어 있으며, 열풍관(510)의 하부에는 열풍관(51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하여 관통된 열풍배출구(5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열풍관(510)의 타 단에는 열풍발생부(52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530)가 설치되어 있다.
열풍가이드부(600)는 열풍관(51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제1 내지 제3이송컨베이어(310,320,330)의 이송벨트(311)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미분을 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미분가이드판(610)과, 열풍배출구(511)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배출되는 열풍을 상방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이송컨베이어(310,320,330)의 이송벨트(311) 측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미분가이드판(6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열풍가이드판(650)을 포함한다.
상기 미분가이드판(610)은 열풍관(510)의 하부로부터 하우징(100)의 폭 방향 양측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되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미분가이드판(610)은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벨트(311)에 의해 이송되는 분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벨트(311)에 직접적으로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송벨트(311)의 폭보다 넓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열풍가이드판(650)에는 이송벨트(311)를 통과하는 미분이 미분가이드판(610)에 낙하하여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미분가이드판(610)의 상면과 만나는 지점에 미분을 통과시킬 수 있는 미분배출구(65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있다.
분체배출부(700)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3이송컨베이어(330) 보다 낮은 위치에서 하우징(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제3이송컨베이어(330)를 통해 이송되는 분체를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분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개방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에는 제3이송컨베이어(330)를 통해 이송되는 분체를 분체배출부(700)로 전달하도록 분체배출받이(130)가 배출구를 경유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1 내지 제3이송컨베이어(310,320,330)를 통해 이송되는 도중에 이송벨트(311)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미분을 일시적으로 하우징(100)의 폭 방향 양 내측면 하부에 저장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800)와, 상기 개폐부(800)의 동작에 의해 하우징(100)의 하부가 개방될 때 하우징(100) 하부로 배출되는 미분을 수거하여 이송하는 미분수거부(900)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800)는 제3이송컨베이어(330)의 하부에 배치된 열풍관(510)의 하부에 각각 힌지결합된 한 쌍의 개폐플레이트(810)와, 상기 개폐플레이트(810)의 일 측에 힌지결합되고 타 단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링크부재(820)와, 상기 링크부재(820)의 타 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8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개폐플레이트(810)를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8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실린더(830)의 작동에 따라 링크부재(820)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각각의 단부에 결합된 개폐플레이트(810)를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개폐플레이트(810)의 단부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하우징(100)의 하부가 폐쇄되고, 링크부재(820)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개폐플레이트(810)의 단부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탈되므로 하우징(100)의 하부가 개방된다.
상기 미분수거부(900)는 하우징(100)의 하부가 개방될 때 배출되는 미분을 수거할 수 있게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배출되는 미분을 수거하여 미분저장용기(미도시)로 이송한다.
상기의 개폐플레이트(810)는 하우징(100)의 하부를 폐쇄하는 상태일 때 제3이송컨베이어(330)의 이송벨트로부터 낙하하는 미분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미분가이드판의 역할을 하며, 개폐플레이트(810)의 상면에는 열풍안내판이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분체 건조 장치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단계적으로 분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그물망 구조로 형성된 이송벨트(311)에 의해 열풍이 이송벨트(311)를 통과하여 직간접적으로 분체에 닿게 되므로 건조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정크기 이하의 입도를 갖는 분체는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분체로부터 미분을 선별하고 이를 따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 건조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200 : 분체투입부
210 : 투입벨트
310 : 제1이송컨베이어
311 : 이송벨트
312 : 지지롤러
313 : 구동모터
320 : 제2이송컨베이어
330 : 제3이송컨베이어
400 : 분체가이드부
410 : 격판
420 : 경사판
430 : 분산방지판
500 : 열풍공급부
510 : 열풍관
530 : 열풍공급부
600 : 열풍가이드부
610 : 미분가이드판
650 : 열풍가이드판
700 : 분체배출부
800 : 개폐부
810 : 개폐플레이트
830 : 링크부재
830 : 구동실린더
900 : 미분수거부

Claims (3)

  1. 하부가 개방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건조대상 분체를 투입하는 분체투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투입되는 분체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송하도록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으로 그물망 구조를 갖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를 무한궤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분체이송부와;
    상기 분체이송부에 의해 상기 분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대향하는 하우징의 일 측면에 인접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건조대상 분체를 하방에 위치하는 이송벨트로 유도하는 복수의 분체가이드부와;
    상기 분체이송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상기 분체이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며 하부에는 열풍배출구가 형성된 열풍관을 포함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벨트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미분을 하우징의 내측면으로 유도하며, 상기 열풍관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상방에 위치하는 이송벨트로 유도하는 복수의 열풍가이드부와;
    최하부에 배치된 상기 분체이송부를 경유하는 분체를 하우징 외부로 배출하는 분체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최하단에 배치된 상기 열풍관의 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개폐플레이트와, 일단은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일 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개폐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의 개폐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하부가 개방될 때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배출되는 미분을 미분저장용기로 이송시키는 미분수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이드부는
    하우징의 내측면과 이송롤러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분체이송부를 통해 하우징의 일 측면 방향으로 이송되는 분체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격벽과,
    격벽의 하단으로부터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벨트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격벽에 의해 낙하하는 분체를 하방의 이송벨트 상면으로 안내하는 경사판 및 상기 격벽에 부딪혀 후술하는 열풍공급부 및 열풍가이드부 측으로 분체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산방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풍가이드부는
    상기 열풍관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분체이송부의 이송벨트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미분을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미분가이드판과,
    열풍배출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배출되는 열풍을 상방에 위치하는 분체이송부 측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미분가이드판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미분가이드판으로 낙하된 미분을 배출할 수 있게 미분배출구가 마련된 열풍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건조 장치.
KR1020110125942A 2011-11-29 2011-11-29 분체 건조 장치 KR101114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942A KR101114522B1 (ko) 2011-11-29 2011-11-29 분체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942A KR101114522B1 (ko) 2011-11-29 2011-11-29 분체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522B1 true KR101114522B1 (ko) 2012-03-05

Family

ID=4614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942A KR101114522B1 (ko) 2011-11-29 2011-11-29 분체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522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153B1 (ko) * 2012-05-11 2014-04-25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슬러지의 슬라이스칩 가공장치,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408147B1 (ko) * 2013-10-30 2014-06-17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
KR101497566B1 (ko) * 2014-06-17 2015-03-02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재열증기 공급 챔버
KR101524564B1 (ko) * 2014-11-28 2015-06-01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투입 석탄 분산 공급 및 분진 감소 장치
KR20150094092A (ko) 2014-02-10 2015-08-1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다단 유동층 석탄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석탄건조방법
WO2015194858A1 (ko) * 2014-06-17 2015-12-23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증기압 조절 장치
CN107677092A (zh) * 2017-09-07 2018-02-09 重庆开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效率棉花烘干装置
CN108120264A (zh) * 2018-02-05 2018-06-05 江西常驰实业有限公司 一种全自动烟花爆竹烘干机
RU2666839C1 (ru) * 2014-10-24 2018-09-12 Чжунин Чанцзян Интернэшнл Нью Энерджи Инвестмент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збыточного тепла от топочного газа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для высушивания топлива из биомассы
KR102070836B1 (ko) 2019-06-10 2020-01-29 주식회사 동도뉴텍 분말 유동 개선용 첨가제
KR20210029544A (ko) 2019-09-06 2021-03-16 김주섭 분체 건조 방법 및 분체 건조 설비
RU2803372C1 (ru) * 2022-12-05 2023-09-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збас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Т.Ф. Горбачева" (КузГТУ)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мелкодисперсных углей на базе теплового насоса
CN117685755A (zh) * 2024-02-04 2024-03-12 福建省集力生物技术有限公司 电热恒温干燥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832A (ja) 2000-05-08 2001-11-13 Kozo Aoyama 生ゴミ連続乾燥機
KR100368931B1 (ko) 2000-02-19 2003-01-30 염호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0587732B1 (ko) 2005-03-28 2006-07-05 이상열 "원적외선"을 다목적 식품재료 및 사료에 투입, 발효·숙성 "마이크로파"유전가열 고속건조 분말재료 및 사료생산 종합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931B1 (ko) 2000-02-19 2003-01-30 염호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JP2001314832A (ja) 2000-05-08 2001-11-13 Kozo Aoyama 生ゴミ連続乾燥機
KR100587732B1 (ko) 2005-03-28 2006-07-05 이상열 "원적외선"을 다목적 식품재료 및 사료에 투입, 발효·숙성 "마이크로파"유전가열 고속건조 분말재료 및 사료생산 종합시스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153B1 (ko) * 2012-05-11 2014-04-25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슬러지의 슬라이스칩 가공장치,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408147B1 (ko) * 2013-10-30 2014-06-17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
WO2015064996A1 (ko) * 2013-10-30 2015-05-07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
AU2014340859B2 (en) * 2013-10-30 2016-11-24 Hankook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drying coal using reheat steam
RU2626919C1 (ru) * 2013-10-30 2017-08-02 Ханкук Текнолоджи Инк.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угл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торично перегретого пара
KR20150094092A (ko) 2014-02-10 2015-08-1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다단 유동층 석탄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석탄건조방법
KR101497566B1 (ko) * 2014-06-17 2015-03-02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재열증기 공급 챔버
WO2015194858A1 (ko) * 2014-06-17 2015-12-23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재열증기를 이용한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증기압 조절 장치
RU2666839C1 (ru) * 2014-10-24 2018-09-12 Чжунин Чанцзян Интернэшнл Нью Энерджи Инвестмент Ко., Лтд.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збыточного тепла от топочного газа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для высушивания топлива из биомассы
KR101524564B1 (ko) * 2014-11-28 2015-06-01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석탄 건조 장치에서의 투입 석탄 분산 공급 및 분진 감소 장치
CN107677092A (zh) * 2017-09-07 2018-02-09 重庆开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效率棉花烘干装置
CN108120264A (zh) * 2018-02-05 2018-06-05 江西常驰实业有限公司 一种全自动烟花爆竹烘干机
KR102070836B1 (ko) 2019-06-10 2020-01-29 주식회사 동도뉴텍 분말 유동 개선용 첨가제
KR20210029544A (ko) 2019-09-06 2021-03-16 김주섭 분체 건조 방법 및 분체 건조 설비
RU2803372C1 (ru) * 2022-12-05 2023-09-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збас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Т.Ф. Горбачева" (КузГТУ)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мелкодисперсных углей на базе теплового насоса
CN117685755A (zh) * 2024-02-04 2024-03-12 福建省集力生物技术有限公司 电热恒温干燥箱
CN117685755B (zh) * 2024-02-04 2024-04-30 福建省集力生物技术有限公司 电热恒温干燥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522B1 (ko) 분체 건조 장치
TWI577956B (zh) 生物乾燥系統及方法
US9347705B2 (en) Continuous particle drying apparatus
DK2229568T3 (en) Dryer to fuel materials
US20070089805A1 (en) Wood pelleter production system
WO2023035588A1 (zh) 高效节能型泥料干燥设备
CN207956873U (zh) 火力发电用煤炭输送装置
CN111397350B (zh) 适应于分子筛生产的旋风带式干燥机
CN102519234B (zh) 新型立式烘干设备
EP1533279A1 (en) Device for processing biomass and method applied thereby
CN208595790U (zh) 一种农作物烘干除尘机械
KR101493855B1 (ko) 원료 공급장치
CN100419360C (zh) 半沸腾流化床风动分离干燥机
CN2911564Y (zh) 半沸腾流化床风动分离干燥机
CN204227833U (zh) 模块式玉米果穗烘干机
RU2144415C1 (ru) Фильтр рукавный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CN216845566U (zh) 一种方便取料的茶叶蒸发水分装置
CN216845568U (zh) 一种带有余热回收装置的茶叶烘干设备
CN115790095B (zh) 一种节能型燃煤烘干处理设备
CN219511202U (zh) 一种石英砂生产用高效烘干装置
CN211812405U (zh) 一种原煤除尘输送装置
CN219589390U (zh) 一种茶叶生产干燥设备
CN108592598A (zh) 一种中药快速风干机及风干方法
CN212006640U (zh) 一种移动式粮食除尘烘干机
CN219037512U (zh) 一种用于纤维素醚生产的气流式物料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