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141B1 -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141B1
KR101114141B1 KR1020090081334A KR20090081334A KR101114141B1 KR 101114141 B1 KR101114141 B1 KR 101114141B1 KR 1020090081334 A KR1020090081334 A KR 1020090081334A KR 20090081334 A KR20090081334 A KR 20090081334A KR 101114141 B1 KR101114141 B1 KR 101114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ranium
cosmetic composition
safflower
daisy
pan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437A (ko
Inventor
마수현
전지현
김지현
박신영
박선영
송현려
김지은
채병근
장희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81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1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가 높고 피부결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데이지 * 메리골드 * 홍화 * 제라늄 * 팬지 * 꽃 추출물 * 항산화 * 피부톤 개선 * 피부탄력 증진 * 피부결 개선 *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oxidating}
본 발명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가 높고 피부결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화란, 어떤 원자, 분자, 이온 따위가 전자를 잃는 일, 또는 어떤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거나 수소를 잃는 것을 말한다. 불에 타거나 녹이 슬거나 알코올이 알데히드로 변하고, 오일이 산패하고, 사과가 갈변하는 것 모두 산화 환원 반응이다. 이러한 현상들에서는 공기 중에 가만히 두기만 하여도 나타나는데, 이러한 산화 반응의 원인은 바로 산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 반응은 피부에서도 일어나는데 일례로 산화력이 매우 강한 활성 산소에 의한 것을 들 수 있다. 활성 산소는 유해산소라고도 불리우며,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와는 완전히 다르게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산소이다. 환경오염과 화학물질, 자외선, 혈액순환장애, 스트레스 등으로 산소가 과잉생산된 것이다. 이렇게 과잉생산된 활성산소는 사람 몸속에서 산화작용을 일으킨다. 이렇게 되면 세포막, DNA, 그 외의 모든 세포 구조가 손상당하고 손상의 범위에 따라 세포가 기능을 잃 거나 변질된다. 이와 함께 몸속의 여러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단백질의 기능 저하도 가져온다. 그리고 핵산을 손상시켜 핵산 염기의 변형과 유리, 결합의 절단, 당의 산화분해 등을 일으켜 돌연변이나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각종 질병과 노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몸속의 활성산소를 없애려면 항산화물질을 이용하면 된다. 활성산소를 없애주는 물질인 항산화물에는 비타민E, 비타민C, 요산, 빌리루빈, 글루타티온, 카로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항산화물을 자연적인 방법으로 섭취하면 큰 효과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생체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산화를 막는 ‘항산화’에 대하여 그 능력을 측정하는 다양한 평가법들이 개발되었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다양한 평가법 중 ‘ORAC’이라는 수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ORAC’이란 ‘유해 산소 흡수 능력’ 즉, 어떠한 식품 또는 성분의 유해 산소를 없애줄 수 있는 항산화 능력에 대한 공인 지수를 뜻하며, 최근 건강 식품, 뷰티 식품 등에서 사용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미 농무부(USDA) 기준으로 하루 3000 ~ 4000 ORAC 이상이 필요하다는 보고도 나와 있다.
이처럼 생체에서 항산화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음식이나 보충제로 항산화제를 섭취할 경우 피부까지 도달하는 것은 쉽지 않다. 피부는 인체의 최외각을 감싸고 있어 외부 환경과 자외선 등의 유해 요인에 늘 직접 맞닿아 있으면서도, 생명과 직결되지는 않는 말초 기관이기 때문에 체내에 비타민이나 항산화제가 부족하게 되면 가장 먼저 피부에 결핍이 오기 쉽다. 즉, 인체의 입장에서 오장육부 등 생존에 중요한 장기에 먼저 필요한 성분을 공급한 후 남는 것을 피부에 보내주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도 항산화력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에서의 항산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면 화장품에 대한 피부 항산화에 대한 고객들의 요구를 강하게 충족시키게 되어 피부 노화에 대한 다양한 효능, 특히 항산화, 피부결 및 탄력 개선 효능 부분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효과가 높은 물질을 찾고자 연구를 매진하던 중,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의 항산화력이 탁월함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단독 사용할 때보다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항산화 효과가 더 뛰어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결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를 더욱 증가시킨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물을 사용하여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함께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키고 피부결 및 피부톤을 개선하며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매우 탁월하다.
본 발명은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용 또는 피부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은 서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각 꽃의 추출물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될 때 항산화, 피부탄력 개선 및 피부결 개선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공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0.0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성분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0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서 오히려 비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결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 및 피부톤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 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이하, 시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팬지 및 비올라 꽃 추출물의 제조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팬지 및 비올라 꽃 각각 22g과 부틸렌글리콜 30g, 정제수 68g을 섞고 100Mpa, 25℃에서 1시간 동안 초고압 추출하였다. 그 후, 8000rpm, 15℃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한 뒤 3.00㎛, 1.2㎛, 0.7㎛ 및 0.45㎛ 필터로 순차적으로 여과하였다. 각각 추출된 원액을 오토 믹서(Auto mixer)에서 800rpm으로 1시간 동안 부틸렌 글리콜 30%를 포함하도록 1%로 현탁하였다.
[시험예 1] ORAC 지수 측정
1. 시험 원료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6종의 꽃 추출액을 원액으로 하여 각 0.016%의 농도로 인산염 완충액(75mM, pH 7.0)으로 희석한다. 표준 시약 TROLOX는 인산염 완충 용액(75mM, pH 7.0)을 이용하여, 각각 2.5, 5, 10, 20, 30, 40 및 50μM의 농도로 준비한다.
2. ORAC(유해 산소 흡수 능력) 지수 측정
상기 1에서 준비된 꽃 추출물 원료와 Trolox 시약을 웰 플레이트(Black bottom, Greiner)에 각각 50㎕씩 넣어준다(n=3). 인산염 완충 용액(75mM, pH 7.0)에 0.08μM 농도가 되도록 녹인 Flourescein 50㎕를 첨가하고, 37℃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킨다. 이렇게 준비된 플레이트에 221mM AAPH(2,2'-Azobis-2-methyl-propanimidamide, dihydrochloride, Sigma, 440914-25G)를 25㎕ 넣어준 후, 잘 섞어준다. 이 플레이트를 Flex station 3(Molecular Devices 사)에 넣고, 37℃ 상태에서 5분간 1시간씩 형광값을 측정한다(excitation 485, emission 530).
3. ORAC 지수 계산
상기 2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각 원료별 net AUC(그래프의 아래 면적; area under the curve)와 ORAC 지수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각 꽃 추출물 별 ORAC 지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53481497-pat00001
CTrolox =TROLX 농도, 20μM
k = 희석 상수 (원료 원액 대비 희석 정도)
AUC = 각 샘플별 형광발색량; 그래프의 아래 면적
Figure 112009053481497-pat00002
f0는 맨 처음 측정한 형광값이고, fn은 각 5분별 측정된 형광값
꽃이름 원료1g 당 ORAC 지수
(μMTE/g)
데이지 309
메리골드 1107
비올라 148
제라늄 321
팬지 243
홍화 376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지, 메리골드, 비올라, 제라늄, 팬지 및 홍화 꽃의 ORAC 지수를 측정한 결과,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데이지, 팬지, 비올라 순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2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원료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세테아릴알코올 1.7 1.7 1.7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5 1.5 1.5
피토스쿠알란 3 3 3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데센 3 3 3
디메치콘 0.5 0.5 0.5
폴리소르베이트 60 1 1 1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4 0.4 0.4
메칠파라벤 0.1 0.1 0.1
프로필파라벤 0.05 0.05 0.05
정제수 79.05 79.05 79.05
부틸렌글리콜 5 5 5
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
폴리소르베이트 20
0.7 0.7 0.7
데이지 추출물 2 2 -
메리골드 추출물 2 2 2
비올라 추출물 - 2 2
제라늄 추출물 2 2 2
팬지 추출물 2 2 2
홍화 추출물 2 2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제조방법>
(1) 수상성분, 유상성분 각각을 70℃까지 균일하게 가온 용해한다.
(2) 수상 성분에 유상 성분을 투입하고 7200rpm에서 6분간 호모믹싱한다.
(3) 실온까지 냉각한다.
[시험예 2] 피부톤 개선 효과
상기 표 2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피부톤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25~35세 여성 20명을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8주간 지정된 눈가 부위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크림을 각각 도포하게 한 후, 시험물질들을 도포하여 8주 후에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물질들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피부 외용제를 아침, 저녁 2회씩 매일 바르게 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색차계(미놀타 CR2002)를 사용하여 피부의 흑백 정도를 측정하여 판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 a, b 표색계를 사용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피부의 명암을 나타내는 "L"값을 구하여 분석하였다(태우지 않은 한국인 피부색은 일반적으로 50~70의 값을 나타냄). L*값은 표준 백판으로 교정하며, 측정은 1개 부위에 5회 이상 측정을 되풀이함으로써 색소 침착부를 균등하게 측정하였다. 도포 시작시점과 완료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고,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의 비교로 판정하는데, △L*값이 2정도일 경우는 침착된 색소의 미백화가 뚜렷한 경우이고, 1.5정도 이상이면 미백효과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ㅿL* = 도포 후 50일 후의 L*값 - 도포 개시할 때 L*값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시험
시험 물질 미백 효과 (ㅿL*)
실시예 1 2.52
비교예 1 2.49
비교예 2 2.37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 5종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은 비올라 추출물을 추가한 6종 또는 데이지를 제외한 5종의 꽃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예 1~2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피부톤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뛰어난 피부톤 개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결 개선 효과
상기 표 2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주름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25~35세 여성 20명을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8주간 지정된 눈가 부위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크림을 각각 도포하게 한 후, 각 피검자의 주름 개선 효과를 육안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육안평가)
주름 개선 효과 (육안평가) 주름 개선 효과 우수 주름 개선 효과 약간 주름 개선 효과 없음 유효율(%)
실시예1 10 7 3 85
비교예1 8 7 5 75
비교예2 7 7 6 70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 5종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은 비올라 추출물을 추가한 6종 또는 데이지를 제외한 5종의 꽃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예 1~2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뛰어난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실제 사람의 피부에서의 탄력 증진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상기 표 2의 실시예 1및 비교예1~2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25~35세 여성 20명을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8주간 안면에 도포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값은 피부탄력측정기의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을 의미한다.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시험
시험물질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실시예 1 0.36±0.10
비교예 1 0.32±0.09
비교예 2 0.28±0.09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은 비올라 추출물을 추가한 6종, 또는 데이지를 제외한 5종의 꽃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예1~2와 비교하여 가장 높은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2보다는 약 129%의 피부 탄력이 증진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을 함께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데이지(Bellis Perennis), 메리골드(Calendula Officinalis), 홍화 (Carthamus Tinctorius), 제라늄(Geranium Maculatum) 및 팬지(Viola Tricolor)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데이지(Bellis Perennis), 메리골드(Calendula Officinalis), 홍화 (Carthamus Tinctorius), 제라늄(Geranium Maculatum) 및 팬지(Viola Tricolor)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데이지(Bellis Perennis), 메리골드(Calendula Officinalis), 홍화 (Carthamus Tinctorius), 제라늄(Geranium Maculatum) 및 팬지(Viola Tricolor)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이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지, 메리골드, 홍화, 제라늄 및 팬지 꽃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01~5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81334A 2009-08-31 2009-08-31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4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334A KR101114141B1 (ko) 2009-08-31 2009-08-31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334A KR101114141B1 (ko) 2009-08-31 2009-08-31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437A KR20110023437A (ko) 2011-03-08
KR101114141B1 true KR101114141B1 (ko) 2012-02-20

Family

ID=4393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334A KR101114141B1 (ko) 2009-08-31 2009-08-31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0145B2 (en) 2017-09-25 2021-09-07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otecting cell from oxidative stress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which has modified amounts of ingredients
KR20190035474A (ko) 2017-09-25 2019-04-03 (주)아모레퍼시픽 성분 함량이 변화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
KR102165505B1 (ko) * 2018-12-18 2020-10-14 김경호 규산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2375A (ja) 2002-07-08 2005-10-27 コティ ビー.ヴィ. 老化防止皮膚化粧料
KR20060014714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완화 화장료 조성물
JP2007509133A (ja) 2003-10-24 2007-04-12 コリアナ・コズメティ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アカメガシワ抽出物を含有する皺改善用化粧料組成物{CosmeticCompositionsComprisingExtractfromMallotusjaponicusforImprovingSkinWrinkle}
JP2008291001A (ja) 2007-05-28 2008-12-04 Maruzen Pharmaceut Co Ltd 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2375A (ja) 2002-07-08 2005-10-27 コティ ビー.ヴィ. 老化防止皮膚化粧料
JP2007509133A (ja) 2003-10-24 2007-04-12 コリアナ・コズメティ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アカメガシワ抽出物を含有する皺改善用化粧料組成物{CosmeticCompositionsComprisingExtractfromMallotusjaponicusforImprovingSkinWrinkle}
KR20060014714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완화 화장료 조성물
JP2008291001A (ja) 2007-05-28 2008-12-04 Maruzen Pharmaceut Co Ltd 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437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660B1 (ko) 모링가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23036B1 (ko)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073418B1 (en) Aqueous composition comprising active ingredients for the de-pigmentation of the skin
KR20130088912A (ko) 텐저레틴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1265592B1 (de) Kosmetischer kompakt- oder cremepuder
KR20120003238A (ko) 닥나무의 꽃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22511023A (ja) シスツス・モンスペリエンシス(Cistus monspeliensis)の抽出物の新規な化粧品的及び皮膚科学的使用
KR101114141B1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2B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49328A (ko) 이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씨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6620B1 (ko) 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78B1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07751A (ko) 화장품의 pH범위가 약산성으로 변하는 것을 화장품 색의 변화로 알 수 있게 하는 2제형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390656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2198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25878A (ko) 하이드록삼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7829068B2 (en) Cosmetic bronzing agent based on dihydroxyacetone
KR20070089327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T1855635E (pt) Preparação cosmética para prolongar o bronzeamento
KR20130125492A (ko) 뱀딸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44980B1 (ko) 제주산버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104124A (ko) 로얄제리 및 비즈왁스 추출물이 함유된 항산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