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431B1 -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431B1
KR101113431B1 KR1020090097524A KR20090097524A KR101113431B1 KR 101113431 B1 KR101113431 B1 KR 101113431B1 KR 1020090097524 A KR1020090097524 A KR 1020090097524A KR 20090097524 A KR20090097524 A KR 20090097524A KR 101113431 B1 KR101113431 B1 KR 101113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tore
file
broadcasting service
selection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309A (ko
Inventor
황창연
이주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랜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랜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랜티넷
Priority to KR102009009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4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09Arrangements for receiving desired information automatically according to time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6Arrangements for schedul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매장에 대한 매장 음원 리스트 및 채널 음원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송 선곡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방송 선곡 리스트를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선곡 관리 서버,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상기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 제공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재생 여부에 대한 음원 재생 정보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로그 서버를 포함하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Figure R1020090097524
매장 음악 방송, 음원 제공

Description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Method and System for the shop specialty broadcasting using download and play}
본 발명은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에 의해 많은 컴퓨터 관련 서비스가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특히 다양한 음악 방송 또는 각종 음악 관련 서버를 통한 음원 제공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음원 제공이 종래의 음악 테이프 또는 CD를 대체하게 되었다. 따라서 청취자는 가수 또는 음악가의 새로운 음악 테이프나 CD를 직접 구매하지 않고도 자신이 희망하는 음악만을 선별하여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개정된 저작권법에 따르면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음원을 송신하는 전송을 할 경우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어, 상기한 서비스 방식은 저작권 위반의 소지가 크다. 특히 각각의 음원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구매하는 개인의 경우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음원별 저작권자가 모두 다른 상황에서 개개의 매장이 각각의 저작권자에게 전송을 위한 허락을 받기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매장 내에서 별도의 조직을 운영해 음악 방송을 할 경우 자체 방송실을 운영해야 함은 물론 운영자가 매시간 매장의 분위기에 맞는 새로운 음원을 선곡해야 하고, 해당 음원을 방송하기 위해 CD 등을 구입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해당 저작권자에게 허락을 받아야 하는 등 운영 비용이 과다하게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매장에서 음원을 전송할 수 있는 보다 합법적이고 효율적인 음원 서비스 방식이 요구된다.
현재 음원 제공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하여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스트리밍 방식의 경우 네트워크가 단절되거나 불안정한 경우 음원 재생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음원 재생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매장에 대한 신뢰도 하락 및 고객의 매장에 대한 호감도를 반감시켜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큰 문제가 된다. 또한 스트리밍 방식의 경우 지속적인 데이터 트래픽을 유발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가 단절되거나 불안정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음악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운로드 시를 제외한 경우에 데이터 트래픽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용이 가능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매장의 특성에 맞는 선곡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인 음악방송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매장에 대한 매장 음원 리스트 및 채널 음원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송 선곡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방송 선곡 리스트를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선곡 관리 서버,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상기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원 제공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재생 여부에 대한 음원 재생 정보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로그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기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선곡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에 기초하 여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상기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재생하고,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음원 재생 정보를 상기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음원 재생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은 복수의 매장에 대한 매장 음원 리스트 및 채널 음원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송 선곡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방송 선곡 리스트를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상기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재생 여부에 대한 음원 재생 정보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기 제어 방법은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선곡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에 기초하여 복수의 음원 파일을 상기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음원 재생 정보를 상기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특성에 맞는 음악 방송을 연속하여 합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가 불안한 경우에도 안정적으 로 끊김 없이 음악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매장의 본점과 지점을 구분하여 서비스함으로써, 지점에서 지정된 음악을 재생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 및 본점의 공지 사항이나 안내 방송 등을 각 지점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매장 내 배경 음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매장 셋탑박스(set-top box) 또는 PC 형태로 구현되는 매장 단말기(50)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부터 재생할 음원 파일을 미리 다운로드 한 후, 수신된 음원 파일 중 재생 가능한 음원 파일은 재생하고 다운로드가 불완전하여 재생 불가한 음원 파일은 대체 음원 파일을 재생한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단절 및 불안정 등의 사유가 발생하더라도 음원서비스가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매장별 특성에 따라 음악방송을 선곡하는 선곡 관리 시스템(20) 및 매장에 음악방송을 제공하기 위해 음원 파일을 가공하는 음원 가공 시스템(30)과 연결될 수 있다.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매장 내 단말기를 인증하는 인증 서버(110), 방송 선곡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는 선곡 서버(120), 선택한 방송 선곡 리스트에 대한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음원 서버(130), 매장에서 재생한 방송 선곡 리스트 및 음원 파일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로그 서버(140), 매장 내 셋탑박스 또는 PC상태, 네트워크 상태를 원격에서 점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매장의 본점과 지점을 구분하여 서비스함으로써 모니터링 서버(150)를 통해 지점에서 지정된 음악방송을 재생하고 있는지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본점의 공지사항이나 안내 방송 등을 각 지점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선곡 관리 시스템(20)은 매장별 또는 채널별 특성에 따라 방송 선곡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DB서버(160)와 선곡운영자 단말기(185)를 통해 이루어진 선곡을 관리하는 선곡관리서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선곡 관리 시스템(20)은 매장별 또는 채널별 방송 선곡 기준을 저장하기 위한 방송 선곡 기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와 해당 매장 또는 채널의 당일 방송스케줄을 저장하기 위한 방송 선곡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는 해당 매장만을 위한 '전용채널'과 업종의 특성별(음식점/레스토랑, 주류/음료, 유통/판매 등)로 카테고리를 나누어 채널을 설정한 '범용채널'로 운영될 수 있다. 여기서 '전용채널'은 해당 매장만을 위한 선곡작업이 이루어지며, 매장별 선곡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 범용채널'은 해당 업종에서 공통으로 어울릴만한 음악에 대한 선곡작업이 이루어지며, 채널별 선곡이 이에 해당한다.
각 매장별 또는 채널별 등에 따른 선곡은 음악의 속도(bit), 작사내용, 악기편성 등을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를 위한 매장 음원에 대한 선곡관리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장 음원에 대한 선곡관리 시스템(20)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곡 관리 서버(180)는 예를 들어, 각 매장별, 날씨별, 그룹별 특성에 맞는 선곡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선곡운영자의 단말기(185)로부터 일정 선곡 기준에 따라 선곡된 음악 방송 선곡 리스트를 제공받는다.
선곡관리서버(180)에 제공된 방송 선곡 리스트는 그 후 DB 서버(160)로 제공되고, 다시 방송 선곡 리스트를 제공하는 선곡 서버(120)를 통해 매장 단말기(50)로 제공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원가공시스템(30)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원 가공 시스템(30)은 음반사로부터 전달받은 음원 파일 및 메타 데이터를 매장별 또는 채널별 특징에 맞도록 가공하여 변환하는 변환/가공서버(190), 변환된 음원 파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 서버(170), 음원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음원 파일 스토리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매장 음원의 가공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음반사의 단말기(70)를 통해 메타데이터 및 음원 파일 을 제공받은 음원 운영자의 단말기(195)는 제공받은 음원 파일 및 메타 데이터를 변환/가공서버(190)로 제공하여 음원의 가공을 요청한다.
변환/가공서버(190)는 전달받은 음원 파일 및 메타 데이터를 매장별 또는 채널별 특징에 맞도록 가공하여 변환한 뒤 음원 데이터는 DB서버(160)에 저장한다. 이때, 변환된 음원 파일에 대한 정보는 파일서버(170)에 저장되며, 음원 파일은 음원 파일 스토리지(175)에 저장될 수 있다. 변환/가공서버(190)는 음악 방송이 제공될 매장의 특성에 따라 이용객들이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음원 파일의 데시벨(db)을 조정하거나, 해당 매장에 따라 재생될 경우에 제각각 변경될 수 있는 음원의 크기를 일치시키는 변환 등을 수행한다.
매장 단말기(50)는 예를 들어, 각 매장별 셋탑박스, PC, 또는 제공된 음원 파일을 제어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신된 방송 선곡 리스트를 바탕으로 재생할 음원 파일을 미리 다운로드 한 후, 수신된 음원 파일 중 재생 가능한 음원 파일을 재생한다. 또한 다운로드가 불완전하여 재생 불가한 음원 파일의 경우 대체 음원 파일을 재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40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선곡 서버(410), 음원 서버(420), 로그 서버(430)를 포함한다.
선곡 서버(410)는, 복수의 매장에 대한 매장 음원 리스트 및 채널 음원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송 선곡 리스트를 저장하고, 저장된 방송 선곡 리스트를 매장 단말기(5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방송 선곡 리스트는 XML 파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음원 파일들에 대한 기본 트랙 정보 및 공지 방송(예를 들어, CM 송, 멘트, 공지사항 등)에 대한 CM 트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매장에서 음악 방송을 실행하고자 하는 매장 단말기(50)는 우선 인증 서버에 접속하여 매장 및 매장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거친다. 인증을 통과한 매장 단말기(50)는 선곡 서버(410)에 접속하여 각 매장별 특성에 따라 선곡된 방송 선곡 리스트를 다운로드 한다. 이때 선곡 서버(410)로부터 제공받는 방송 선곡 리스트는 선곡 전문가를 통해 각 매장별, 날씨별, 기타의 특성별로 선곡이 이루어져 DB 서버(160)에 저장된 방송 선곡 리스트이다.
음원 서버(420)는 선곡 서버(410)에 저장된 방송 선곡 리스트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매장 단말기(50)로 전송한다. 선곡 서버(410)를 통한 방송 선곡 리스트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매장 단말기(50)는 음원 서버(420)에 접속하여 방송 선곡 리스트에 해당하는 선곡된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스트리밍 방식이 아닌 다운로드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음악 서비스 중에 네트워크의 단절이나 불안정에 의해 음원 재생이 끊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재생할 음악을 미리 다운로드함으로써 다운로드 시에만 데이터 트래픽을 유발할 뿐 다운로드가 끝난 후에는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용이 가능하다는 효과 또한 갖게 된다. 음원 서버(420)로부터 선곡된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 한 매장 단말기(50)는 다운로드 된 파일이 재생이 가능한 파일인지 검사하고, 재생이 가능하면 방송 선곡 리스트대로 음원을 재생하지만, 재생이 불가능하면 대체 음원을 재생한 다.
로그 서버(430)는 매장 단말기로 제공된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재생 여부에 대한 음원 재생 정보를 매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음원에 대한 재생이 이루어지면 재생 음원에 대한 로그가 매장 단말기에 의해 음원 재생 정보로서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차후 과금의 자료로 이용된다. 일례로, 음원 재생 정보는 어떠한 음원 파일이 언제 재생되었고, 또한 몇회 재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재생 정보는 어떤 매장 단말기가 접속하였는지, 언제 접속하였는지, 어떠한 방송 선곡 리스트, 어떠한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는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매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원 재생 정보는 해당 매장 단말기에서 음원을 실제로 재생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며, 해당 매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원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음원 재생의 대가인 과금을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모니터링 서버(440) 및 동기화 서버(4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440)는 음원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 단말기의 음원 재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서버(440)를 통해 매장의 본점과 지점을 구분하여 지점에서 지정된 음악방송을 재생하고 있는지를 본점에서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본점의 공지사항이나 안내 방송 등을 각 지점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를 받는 매장이 본점(또는 본사)과 지점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 매장 정보를 등록할 때 본점을 등록한 후 지점이 해당 본점 의 하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점에는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관리자 ID와 패스워드를 발급한다. 본점의 담당자는 해당 계정으로 모니터링 사이트에서 지점의 방송여부 및 문제 발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공지 방송 또는 안내 방송을 전체 지점이나 특정 지점을 선택하여 방송하도록 할 수 있다. 공지 방송 또는 안내 방송은 해당 시간에 방송이 되도록 설정한 경우 음악 방송에 우선하여 방송된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440)는 매장 내 셋탑박스 또는 PC상태, 네트워크 상태를 원격에서 점검할 수 있다.
동기화 서버(450)는 매장 단말기 및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표준 시간을 동기화시킨다. 동기화 서버(450)는 셋탑박스 또는 PC 등과 같은 매장 단말기가 구동될 때 표준 동작 시각을 동기화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 모든 과정에 앞서 각 매장 단말기(50)와 동작 표준 시간을 동기화 시킬 수 있다. 매장 단말기와 동기화 서버(450)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진 후에 선곡 서버(410), 음원 서버(420), 로그 서버(430) 등과 같은 각 구성서버로의 접속 등 일련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간의 동기화에 의해 전국에 산재해 있는 매장에 대한 동 시간대의 음악방송 또는 공지방송 등이 가능해진다. 동기화 서버(450)는, 예를 들어,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에 의해 구현될 수 있 있으며, 동작 표준시를 맞추어 각 단말기(50)와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간의 동작이 동일한 표준시를 기준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NTP 서버는 인터넷 상의 시간을 정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통신망 시간 규약으로 라디오나 원자시계에 맞추어 시간을 조정하여 밀리초(1/1000초) 단위까지 시간을 맞출 수 있 으며, 인터넷 표준(STD)12와 RFC1119에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동기화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에서 미리 선곡된 파일의 재생 날짜, 시간, 순서 등의 기준을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치된 재생을 위해 음원 파일은 해당 음원이 방송되어야 할 날짜와 시간대, 시간대 순서번호 등의 정보로 구성된 파일명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기(500)는 다운로드 모듈(510) 및 음원 재생 모듈(530)을 포함한다.
다운로드 모듈(510)은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선곡 리스트를 수신하고, 방송 선곡 리스트에 기초하여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한다. 이때 매장 단말기는 해당 매장에 할당된 전용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선곡 리스트를 전송 받으며, 만일 다른 채널을 선택한 경우 해당 채널의 방송 선곡 리스트를 다시 받는다. 사용자 단말기가 방송 선곡 리스트를 받게 되면 이전 날짜의 음원 파일 중 방송 선곡 리스트에 동일하게 있는 음원의 경우 해당 날짜 음원 파일로 복사하고, 복사한 파일 이외의 음원 파일을 방송 선곡 리스트에 따라 다운로드 받는다.
음원 재생 모듈(530)은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재생하고,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음원 재생 정보를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음원 재생 모듈(530)은 복수의 음원 파일들 중에서 재생이 불가한 음원 파일에 대하여 자동으로 대체 음원 파일을 재생한다. 이때 재생이 불가한 음원 파일인지 여부는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크기를 측정하여 식별한다. 즉, 음원 재생 모듈(530)이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경우 셋톱 박스 또는 PC와 같은 매장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해당 파일의 크기를 측정하여 해당 파일의 크기만큼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해당 음원 파일이 원 크기만큼 다운로드 되지 않았을 경우 음원 재생 모듈(530)은 재생이 불가한 음원 파일에 대하여 소정 회수(예를 들어, 3회)만큼 다운로드를 재시도 한다. 소정 횟수의 재시도 후에도 다운로드 한 파일이 정상적인 파일 크기가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해당 음원 파일은 재생되지 않고 다른 음원 파일을 자동적으로 대체하여 재생한다. 이때 대체되어 재생되는 다른 음원 파일은 예를 들어, 방송 선곡 리스트 중 해당 음원의 다음에 위치하는 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음원 재생 모듈(530)은, 방송 선곡 리스트의 기본 트랙 정보 및 CM 트랙 정보를 분석하여 음원 파일을 재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방송 선곡 리스트는 XML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송 선곡 리스트의 기본 트랙 정보와 CM 트랙 정보에 대한 포맷의 형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1. 기본 트랙 정보
<TRACK>
<TRACKID>7000794</TRACKID>
<TRACKTITLE>Give Thanks</TRACKTITLE>
<ARTISTNAME>the Morning</ARTISTNAME>
<ALBUMTITLE>The Morning</ALBUMTITLE>
<DOMAIN>121.254.227.3</DOMAIN>
<PATH>/ asp / mp3 /7000794.mp3</PATH>
<TIME>2009081000</TIME>
<IDX>0000000001</IDX>
</TRACK>
TRACKID 기본트랙 고유한 ID
TRACKTITLE 기본트랙 타이틀(제목)
ARTISTNAME 기본트랙 아티스트명
ALBUMTITLE 기본트랙 앨범명
DOMAIN 기본트랙 다운받을 도메인(IP)
PATH 기본트랙 다운받을 경로
TIME 기본트랙이 재생되는 날짜 및 시간대
IDX 기본트랙이 재생되는 시간대의 순서
2. CM 트랙 정보
<LOGO>
<TIME>0</TIME>
<TRACKID>sinsun _logosong</TRACKID>
<TRACKTITLE>신선설농탕 로고송</TRACKTITLE>
<DOMAIN>121.254.227.3</DOMAIN>
<PATH>/ asp / logo / sinsun _ logosong .mp3</PATH>
</LOGO>
<LOGO>
<TIME>0100</TIME>
<TRACKID>sinsun _ost1</TRACKID>
<TRACKTITLE>OST -사랑에 미쳐서</TRACKTITLE>
<DOMAIN>121.254.227.3</DOMAIN>
<PATH>/ asp / logo / sinsun _ ost1 .mp3</PATH>
</LOGO>
TIME 0 : 인터벌 CM, 0이외의 값 : 해당 시간에 CM 재생
TRACKID 트랙 고유한 ID
TRACKTITLE 트랙 타이틀(제목)
DOMAIN 트랙 다운받을 도메인(IP)
PATH 트랙 다운받을 경로
음원 재생 모듈(530)은 해당 방송 선곡 리스트 파일에 대해 태그를 파싱하여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XML 포맷에 대한 해석 및 재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공지방송의 경우 Time 태그가 '0'으로 설정이 되면 몇 곡마다 재생(예를 들어, 3곡의 음원이 재생되고 공지방송이 제공되는 것)이 되는 것을 의미하고, '0' 이외의 값은 해당 시간에 맞춰 재생(예를 들어, 오후 1시에 재생)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음원 재생 모듈(530)은 이 태그 부분을 분석하여 음원을 순서에 맞게 재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장 단말기는 셋톱 박스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달리 일반 PC 등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은 매장 단말기 및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표준 시간을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610). 단계 610에서 동작 표준 시간을 동기화하는 이유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매장 단말기가 구동될 때 제일 먼저 동기화 서버에 접속하여 동작 표준 시간을 동기화한 후에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나머지 서버들과 일련의 작업을 진행하기 위함이다.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음원 파일은 예를 들어, 2009072900_0000000001_80165459.mp3와 같은 파일 이름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파일 이름은 년도/월/일/_시간대순서번호_트랙ID를 의미한다. 이때 파일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시간대 순서번호에 맞춰 각 매장에서 해당 음원을 재생하고, 각 서버들간의 원활한 제어 및 동작을 위해 동작 표준 시간의 동기화가 요구된다. 매장 단말기와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진 다음에,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매장에 대한 매장 음원 리스트 및 채널 음원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송 선곡 리스트를 저장한다(620). 방송 선곡 리스트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문 선곡 운영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매장별, 날씨별, 기타 특징별로 선곡된 방송 선곡 리스트이며, 선곡관리서버(180)로부터 제공된 방송 선곡 리스트는 DB 서버(160)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 630에서는 단계 620에서 저장된 방송 선곡 리스트를 매장 단말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방송 선곡 리스트는, 예를 들어, XML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 수의 음원 파일들에 대한 기본 트랙 정보 및 공지 방송에 관한 CM 트랙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에서 방송 선곡 리스트의 기본 트랙 정보와 CM 트랙 정보에 대한 포맷의 형태는 도 5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기술된 기본 트랙 정보와 CM 트랙 정보 부분을 참조하도록 한다.
단계 640에서는 방송 선곡 리스트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데, 이때 음원 파일은 예를 들어, 2009072900_0000000001_ 80165459.mp3와 같은 파일 이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파일 이름은 년도/월/일/_시간대순서번호_트랙ID를 의미한다. 여기서 트랙ID는 해당 곡의 고유 ID를 의미하며, 다른 음원의 트랙ID(곡ID)와 중복되지 않는다. 만약 매장 단말기가 새로운 방송 선곡 리스트를 수신 받은 경우에는 해당 음원의 트랙ID와 파일 크기를 비교하여 동일한 음원이 새로운 방송 선곡 리스트에 존재할 경우 해당 음원의 파일이름을 바꾸어 복사함으로써 이전 방송 선곡 리스트에 해당하는 음원을 정리한다.
또한 매장 단말기가 셋탑박스가 아닌 PC를 이용하여 구성된 경우에 저장 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전에 저장장치가 일정 용량, 예를 들어, 5G 이상 남아 있는지 체크하여 5G 미만으로 남아 있을 경우 다운로드 작업을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이전 음원 파일을 삭제해도 용량이 일정 용량 이상 되지 않을 경우 저장 장치 정리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며,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음원 파일을 선곡 리스트에 맞게 재생하기 위해, 일부 필요한 가공을 하여 전송을 하고 있다. 음원 파일의 외부 유출에 대비하여 기 알려진 기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음원 파일에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해주기 위하여, 불법 복제와 변조를 방지하는 기술인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을 설정할 수 있다.
매장 단말기로 전송된 방송 선곡 리스트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원 파일들이 재생되면 매장 단말기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음원 재생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음원 재생 정보는 해당 음원이 다운로드 된 뒤 재생이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서, 로그 서버가 수신한다. 이 밖에도 로그 서버는 매장 단말기와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 서버들 간의 접속, 기타 작업 등에 대하여 단계별로 기록한다.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재생 여부에 대한 음원 재생 정보를 매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650). 단계 650에서 수신된 음원 재생 정보는 음원 파일의 실제 재생된 경우와 다운로드는 받았으나 재생되지 않은 경우에 각각 다르게 기록되며, 이러한 음원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매장 단말기에 대하여 과금을 결정한다(660).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우선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각 매장별 특성에 따라 선곡된 방송 선곡 리스트를 수신하고(710). 단계 710에서 수신한 방송 선곡 리스트 에 기초하여 복수의 음원 파일을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한다(730). 다운로드된 음원 파일은 파일명에 기재된 년도/월/일/_시간순서번호_트랙ID등과 같은 정보에 따라 재생되어야 할 날짜 및 시간순서에 따라 재생된다(750).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재생한 뒤, 매장 단말기는 복수의 음원 파일들에 대한 음원 재생 정보를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한다(77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된 복수의 음원 파일 중 재생이 불가한 음원 파일을 식별하는 단계(7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생이 불가한 음원 파일에 대한 식별은 음원 파일의 크기 측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경우 매장 단말기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요소 혹은 음원 재생 모듈은 해당 파일의 크기를 측정하여 해당 크기만큼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이때 측정된 크기를 이용하여 파일의 다운로드가 완료되지 않은 재생 불가 음원 파일을 식별한다. 그 후 해당 음원 파일이 원 파일 크기만큼 다운로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소정 횟수의 다운로드를, 예를 들어, 3번의 다운로드를 재시도한다(740). 단계 740에서와 같은 재시도 후에도 다운로드한 파일이 정상적인 파일 크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음원 파일은 재생하지 않고, 다른 음원 파일로 대체하여 재생한다(74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서 음악 방송 중간에 나가게 되는 공지 방송은 1. 해당 시간에 정확히 송출되어야 하는 경우, 2. 음원방송 사이사이 규칙에 맞게 송출되어야 하는 경우 및 3. 긴급하게 공지 방송을 송출 해야 하는 경우의 3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첫 번째와 세 번째 경우와 같이 정확한 시간을 맞춰야 하거나 긴급한 경우에는 음원 방송이 실시되고 있는 중간에라도 음원 방송을 중지하고 공지방송을 송출한다. 이 경우 중지된 음원 방송은 해당 곡이 중단된 시간만큼 경과하여 다시 원 순서에 따른 다음 번 곡이 재생되는 것이 아니라 중단된 시간만큼을 건너뛰고 남은 곡들의 순서에 따라 재생된다. 두 번째 경우는 공지방송도 음악방송과 같이 해당 순서에 맞춰 송출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 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장 음원에 대한 선곡관리 시스템(20)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원가공시스템(30)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장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4)

  1.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매장 단말기를 포함하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매장에 대한 매장 음원 리스트 및 채널 음원 리스트를 포함하는 방송 선곡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방송 선곡 리스트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선곡 관리 서버;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상기 매장 단말기로 다운로드 하는 음원 제공 서버; 및
    상기 매장 단말기에서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이 재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음원 재생 정보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로그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 단말기는
    상기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에 해당하는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상기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재생 여부에 대한 음원 재생 정보를 상기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음원 재생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음원 재생 모듈은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다운로드된 복수의 음원 파일들이 재생이 가능한 파일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재생 가능한 음원 파일과 재생 불가한 음원 파일을 식별하며,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이 재생 가능한 음원 파일이면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대로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재생하고, 재생 불가한 음원 파일에 대하여는 상기 재생 불가한 음원 파일을 재생함이 없이 자동으로 대체 음원 파일을 재생하며,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는,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에 대한 기본 트랙 정보 및 공지 방송에 대한 CM 트랙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CM 트랙 정보는 타임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공지 방송이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몇 곡마다 한번씩 재생되어야 하는지를 지시하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단말기 및 상기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표준 시간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서버
    를 더 포함하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서버는,
    상기 음원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장 단말기에 대한 과금을 결정하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장 단말기의 음원 재생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더 포함하는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6.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선곡 리스트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에 기초하여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상기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다운로드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 각각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다운로드한 복수의 음원 파일들이 재생이 가능한 파일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재생 가능한 음원 파일과 재생 불가한 음원 파일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이 상기 재생 가능한 음원 파일이면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대로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 불가한 음원 파일에 대하여는 상기 재생 불가한 음원 파일을 재생함이 없이 자동으로 대체 음원 파일을 재생하며,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재생 여부에 대한 음원 재생 정보를 상기 매장 음악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음원 재생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선곡 리스트는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에 대한 기본 트랙 정보 및 공지 방송에 대한 CM 트랙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CM 트랙 정보는 타임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공지 방송이 상기 복수의 음원 파일들의 몇 곡마다 한번씩 재생되어야 하는지를 지시하는 매장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097524A 2009-10-14 2009-10-14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13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524A KR101113431B1 (ko) 2009-10-14 2009-10-14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524A KR101113431B1 (ko) 2009-10-14 2009-10-14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309A KR20110040309A (ko) 2011-04-20
KR101113431B1 true KR101113431B1 (ko) 2012-03-02

Family

ID=4404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524A KR101113431B1 (ko) 2009-10-14 2009-10-14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253A1 (ko) * 2012-10-10 2014-04-17 Woo Seong Beom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350B1 (ko) * 2004-12-16 2005-03-14 박수민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횟수에 따른 후불제 과금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698411B1 (ko) * 2005-10-05 2007-03-23 (주)씨에스비 업종별 매장전문방송 운영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350B1 (ko) * 2004-12-16 2005-03-14 박수민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횟수에 따른 후불제 과금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698411B1 (ko) * 2005-10-05 2007-03-23 (주)씨에스비 업종별 매장전문방송 운영 시스템과 그 운영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253A1 (ko) * 2012-10-10 2014-04-17 Woo Seong Beom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309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731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端末装置、並びに、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の方法
CA2670748C (en) Media management and tracking
TWI471732B (zh) 互動式雲端廣播供播方法
US8468274B2 (en) Digital data distribution system with switching unit, online acquisition unit, an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from first to second format
US7349663B1 (en) Internet radio station and disc jockey system
JP2001042866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20129693A1 (en) Interactive audio distribution system
US20130294606A1 (en) Advanced encoding of music files
US20070198660A1 (en) Advertising Supported Recorded and Downloaded Music System
EP1779215A2 (en) A method of storing and playing back digital media content
US114967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archival of content
CN101635000A (zh) 内容播放设备、内容播放方法、程序及内容播放系统
GB2477940A (en) Music usage information gathering
KR20120099574A (ko) 시청각 자산의 배포에서의 오디오 면허
KR101113431B1 (ko)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2202785A (ja) サーバ装置および送受信装置
JP434094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3403717B2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装置
KR2001010217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저장 매체
JP3405412B2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コンテンツ取得方法及び装置
JP2003241770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テンツ取得方法及び装置
JP2007288751A (ja) ラジオシステム
AU2011203040B2 (en) Media management and tracking
JP2004138793A (ja) 配信システム、サーバ、オーディオ機器、配信制御方法および受信制御方法
KR20070015855A (ko)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