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58253A1 -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58253A1
WO2014058253A1 PCT/KR2013/009073 KR2013009073W WO2014058253A1 WO 2014058253 A1 WO2014058253 A1 WO 2014058253A1 KR 2013009073 W KR2013009073 W KR 2013009073W WO 2014058253 A1 WO2014058253 A1 WO 20140582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ser
terminal
affiliated stor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90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우성범
남준호
Original Assignee
Woo Seong Beom
Nam Jun 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Woo Seong Beom, Nam Jun Ho filed Critical Woo Seong Beom
Publication of WO20140582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582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benefit to the merchant where the purchase of the sound source, the user participates in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distribution of music and provide a user participation type music distribution service through the merchant, which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additional revenue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method.
  •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a sound distribution service
  • the configuration feature is to provide a predetermined reserve to the account of the first user who has selected the sound source received the sympathy signal or the sound source for which the purchase procedure has proceeded.
  • a predetermined reserve may be subtracted or provided from the account of the first user.
  • (6-4) may include providing the sound source receiving the purchase request to the sound source receiving terminal.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participated sound distribution service through an affiliat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terminal for inputting a store code in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participation type sound distribution service through an affiliat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for providing a user-participated sound distribution service through an affiliat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producing a sound source in real time i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laylist of the affiliated store (S100).
  • Receiving service sound source from the server 400 may be receiving the sound source from step (S10), and the merchant terminal 200, stored in the database 110 implemented by further comprising a step (S20) of generating a playlist.
  • a predetermined reserve may be subtracted or provided from the account of the first user. That is, a predetermined reserve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user in return for the selection of music selection,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reserve may be deducted from the account of the first user. In this case, whether to deduct or provide a predetermined reserv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ales strategy of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or the affiliate sto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음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을 갖게 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곡 신호, 공감 신호, 구매 요청을 받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 신청을 하거나 음악에 공감을 하는 등으로 참여를 할 수 있고, 관심 있는 음원을 즉시 구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참여와 공감을 통해 음원의 구매를 활성화하여, 음원의 불법유통을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음원의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본 발명은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커피숍, 각종 상점 등에서는 각 상점의 개성을 표현하거나 분위기 조성을 위하여 점포 내에서 음악을 재생한다. 종래에는 상점에서 음반을 직접 구입하여 음악을 제공하였으나, 영업시간 내내 음악을 제공하는 상점에서 동일한 음반을 지속적으로 재생하는 것은 고객뿐 아니라 상점의 종업원 등도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악의 라이프 사이클이 점차 짧아지고, 싱글 앨범 등이 출시되는 경우도 많아짐에 따라 최신의 음악을 제공하기 위하여 매번 음반 구입에 의존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최근에는 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터넷을 통한 P2P 솔루션, 인터넷 스트리밍 사이트 등을 통해서 음악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상점의 종업원 등이 음악을 선곡하여 송출하는 형태로서, 고객의 취향이 아닌 종업원 등의 취향이 절대적으로 반영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점의 종업원 등이 선곡의 어려움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신 유행곡 모음’이나 ‘최신 차트 100곡’ 등으로 패키지화된 음악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점의 고유한 개성이나 분위기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없고, 획일화된 음악을 제공하게 되는 한계가 있다.
한편, 고객은 상점 내에서 음악을 듣고 그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거나, 상점에서 제공하는 음악이 좋아 어떤 음악이 출력될지에 관심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고객이 직접 종업원 등에게 문의하지 않는 이상 음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고, 관심을 가진 즉시 음원을 구매할 수도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모든 상점에서 음악 신청을 받는 것이 아니므로, 상점 내에서 특별히 듣고 싶은 음악이 있더라도, 음악을 신청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음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을 갖게 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곡 신호, 공감 신호, 구매 요청을 받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 신청을 하거나 음악에 공감을 하는 등으로 참여를 할 수 있고, 관심 있는 음원을 즉시 구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참여와 공감을 통해 음원의 구매를 활성화하여, 음원의 불법유통을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음원의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사용자가 선곡하여 신청한 음원에 대하여 공감 신호가 수신되거나 음원의 구매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적립금 등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참여와 공감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능동적으로 음원이 유통되도록 할 수 있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음원 구매가 발생한 가맹점에 미리 정해진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이 음원 유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부가 수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원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단계;
(2) 사용자 단말기(제1 사용자 단말기, 제2 사용자 단말기 및 제3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함)로부터 매장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매장코드에 해당하는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음원 또는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 중 특정 음원에 대한 선곡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곡된 음원을 추가하여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5)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음원 및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공감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원의 선곡에 대한 공감 지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6)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음원 및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구매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5) 또는 단계 (6)에서는, 상기 공감 신호가 수신된 음원 또는 상기 구매 절차가 진행된 음원을 선곡한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립금은,
상기 가맹점의 상품 구매, 충전 또는 적립금 전환을 통하여 적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 이전에는,
음원 유통사 서버로부터 음원을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 이전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선곡된 음원이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우선적으로 재생되도록 상기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서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차감 또는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6)에서는,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매장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가맹점의 계정에 미리 정해진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6)은,
(6-1)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음원 및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6-2)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원 수신 단말기를 입력받는 단계;
(6-3) 상기 구매 요청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6-4) 상기 구매 요청이 수신된 음원을 상기 음원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6-3)에서는,
적립금을 이용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단계 (2) 내지 단계 (6)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음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을 갖게 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곡 신호, 공감 신호, 구매 요청을 받아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 신청을 하거나 음악에 공감을 하는 등으로 참여를 할 수 있고, 관심 있는 음원을 즉시 구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참여와 공감을 통해 음원의 구매를 활성화하여, 음원의 불법유통을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음원의 매매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사용자가 선곡하여 신청한 음원에 대하여 공감 신호가 수신되거나 음원의 구매가 발생하면, 제1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적립금 등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참여와 공감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능동적으로 음원이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음원 구매가 발생한 가맹점에 미리 정해진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이 음원 유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부가 수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매장코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가맹점의 재생 목록이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음원을 선택하여 선곡 신호를 입력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공감 신호를 입력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적립금 정보가 출력된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6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부호의 설명>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200: 가맹점 단말기 300: 사용자 단말기
310: 제1 사용자 단말기 320: 제2 사용자 단말기
330: 제3 사용자 단말기 400: 음원 유통사 서버
S10: 음원 유통사 서버로부터 음원을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S20: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음원 선택을 입력받아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S100: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따라 음원을 가맹점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단계
S20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장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S300: 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음원 또는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S400: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음원에 대한 선곡 신호를 입력받아, 가맹점의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S500: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공감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의 선곡에 대한 공감 지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S600: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음원의 구매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
S610: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S620: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원 수신 단말기를 입력받는 단계
S630: 구매 요청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S640: 음원을 음원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가맹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음원 유통사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음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을 갖게 된 음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선곡한 음원을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추가하여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실시간으로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음악 신청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취향이 음원 선택에 반영될 수 있다. 또한,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원에 대하여 제2 사용자가 공감 신호를 입력하거나 제3 사용자가 음원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맹점의 음원 재생을 통하여 음원이 유통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감 신호가 수신된 음원이나 구매가 발생한 음원을 선곡하여 신청한 제1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적립금 등의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참여와 공감이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유도하고, 능동적으로 음원이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음원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가맹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의 접속을 허용하고,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를 구비하여 각종 음원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음원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선곡 신호, 공감 신호, 구매 요청 등을 수신하여 처리하며, 각 사용자 계정에 따라 적립금을 제공 및 관리할 수도 있다.
가맹점 단말기(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음원 유통 서비스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사용자에게 음원을 제공하고자 하는 가맹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기(200)는 가맹점 내에 설치된 단말기로서, 스피커 또는 모니터 등과 연결되어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에서 음원을 재생함으로써 공감 및 참여를 이끌어내어 음원 유통에 기여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기(200)는 컴퓨터, 노트북, MP3, MP4, PDA,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 네트워크를 이용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각종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음원 유통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재생되는 음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가맹점에서 재생되는 음원에 대하여 참여와 공감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참여와 공감의 방법은, 제1 사용자와 같이 음원을 선곡하여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실시간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고, 제2 사용자와 같이 공감 신호를 전송하여 가맹점에서 재생되는 음원에 공감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3 사용자와 같이 가맹점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구매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의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한 명의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300)는, 노트북, 넷북, MP3, MP4, PDA 등 각종 통신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3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매장코드를 입력하고, 재생 중인 음원 또는 재생 목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특정 음원에 대한 선곡 신호, 공감 신호, 구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3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310)에서는 음원 검색 및 선곡 신호 입력, 제2 사용자 단말기(320)에서는 공감 신호 입력, 제3 사용자 단말기(330)에서는 구매 요청 및 구매 절차 진행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각종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음원 유통사 서버(4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 유통사의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음원 유통사 서버(400)로부터 음원을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음원 유통사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따라 음원을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단계(S100),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매장코드를 입력받는 단계(S200),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재생 중인 음원 또는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단계(S300), 제1 사용자 단말기(310)로부터 특정 음원에 대한 선곡 신호를 입력받아, 가맹점의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S400), 제2 사용자 단말기(320)로부터 공감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의 선곡에 대한 공감 지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S500) 및 제3 사용자 단말기(330)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음원의 구매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음원 유통사 서버(400)로부터 음원을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하는 단계(S10) 및 가맹점 단말기(200)로부터 음원 선택을 입력받아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S2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음원 유통사 서버(400)로부터 음원을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음원 유통사와의 계약에 따라 음원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음원을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하여 가맹점 단말기(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에 스트리밍, 파일 전송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음원을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가맹점 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입력받아 재생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가맹점에서는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의 분위기, 고객 성향 등에 따라 단계 S10에서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음원을 선택하여 재생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미 구성된 재생 목록이나 다른 가맹점 또는 사용자에 의해 구성된 재생 목록을 선택하여, 가맹점의 재생 목록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음원을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계 S20에서 생성한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따라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음원을 실시간 재생함으로써,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 내에 음악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인터넷에서 음향이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법으로서, 파일을 가맹점 단말기(200)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재생해줄 수 있다. 파일이 모두 전송되기 전이라도 음원의 표현이 시작되므로 재생시간이 단축되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용량에도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단계 S100에서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음원을 실시간으로 재생하기 때문에, 재생 목록의 업데이트 사항이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매장코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매장코드는 가맹점에 할당된 고유 코드일 수 있으며, 매장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를 소지한 사용자가 방문한 가맹점이 어디인지를 검색할 수 있다. 매장코드는 문자, 숫자, 문자와 숫자의 조합 등으로 된 코드일 수 있고, 가맹점의 재생 목록 등의 페이지가 링크된 QR코드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매장코드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300)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매장코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매장코드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200에서는, 매장코드를 문자, 숫자, 문자와 숫자의 조합 등으로 된 코드의 직접 입력, QR코드로 입력 또는 GPS 위치 정보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각 입력 방법 및 설명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매장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매장코드에 해당하는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재생 중인 음원 또는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계 S200에서 입력받은 매장코드에 해당하는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으며, 해당 가맹점의 재생 목록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매장코드 입력받은 시점에 재생 중인 음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나, 재생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음원 목록을 확인하고 참여 또는 공감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단계 S300에서 전송되는 정보에는, 음원의 제목, 아티스트, 앨범명, 앨범 디자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원은 음악뿐 아니라 뮤직비디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가맹점의 재생 목록이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300에서는, 가맹점의 재생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재생 중인 음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300에 의해 사용자는 가맹점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제목, 아티스트, 앨범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가맹점의 재생 목록을 통해 앞으로 재생될 음악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단계 S4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1 사용자 단말기(310)로부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음원 중 특정 음원에 대한 선곡 신호를 입력받아, 선곡된 음원을 추가하여 가맹점의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단계 S300에서 재생 목록 등을 검토한 사용자가 듣고 싶은 음악이 재생 목록에 없으면, 해당 음원을 선택하여 선곡 신호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입력할 수 있다. 선곡 신호를 입력받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선택된 음원을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추가하여,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실시간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 S400을 통해 제1 사용자가 음악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에 의하여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의 음악이 결정되고, 고객의 참여에 따라 가맹점의 분위기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400에서는, 선곡된 음원이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우선적으로 재생되도록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단계 S20에서 가맹점 단말기(200)에 의하여 생성된 재생 목록이 있더라도, 제1 사용자가 신청한 음원이 먼저 재생될 수 있도록, 단계 S400에서는 선곡된 음원을 추가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사용자가 음악 신청 직후에 신청한 음원이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S400에서는, 제1 사용자의 계정에서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차감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즉, 선곡 신청에 따른 대가로서 제1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제1 사용자의 계정에서 차감할 수도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차감할지 또는 제공할지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 또는 가맹점의 영업 전략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음원을 선택하여 선곡 신호를 입력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31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400에서는, 음원 검색을 통해 제1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찾을 수 있다. 원하는 음원을 찾아 선택하면 실행 가능한 메뉴가 출력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기(310)에서 “선곡”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선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선곡된 음원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추가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2 사용자 단말기(320)로부터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재생 중인 음원 및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공감 신호를 수신하여, 음원의 선곡에 대한 공감 지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공감 지수는 해당 음원을 선곡한 것에 대한 사용자의 공감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감 지수에 따른 음원 차트를 운영할 수도 있다(“공감 차트”). 공감 지수가 높은 선곡의 경우, 가맹점에서 출력 시 여러 사용자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선곡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공감 지수를 선곡 정보 또는 음원 정보에 포함시킴으로써 해당 음원의 선곡, 구매 등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공감 신호를 입력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32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500에서는, 재생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실행 가능한 메뉴가 출력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기(320)에서 “공감”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공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감 신호가 수신된 음원의 선곡에 대한 공감 지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500에서는, 공감 신호가 수신된 음원을 선곡한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단계 S500에서 제1 사용자가 선곡한 음원에 대하여 제2 사용자로부터 공감 신호를 수신하면, 다른 사용자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음원을 제1 사용자가 선곡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음원을 선곡한 제1 사용자에게 그 대가로서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에 대하여 공감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된 음원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곡한 제1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제공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적립금은 공감 신호의 수신 횟수에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적립금 제공을 통하여 제1 사용자의 선곡을 유도하고 음원 유통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 S6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3 사용자 단말기(330)로부터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재생 중인 음원 및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구매”를 선택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구매 요청을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선택된 음원에 대한 구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음원의 구매는 음원 파일 자체의 구매 이외에도, 일정한 횟수 또는 기간 동안 스트리밍 서비스 등으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시연권의 구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00의 세부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추후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 S600에서는, 구매 절차가 진행된 음원을 선곡한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단계 S600에서 제1 사용자가 선곡한 음원을 제3 사용자가 구매하면, 제1 사용자가 음원의 판매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된 음원을 선곡한 제1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600에서는, 제3 사용자 단말기(330)로부터 입력받은 매장코드에 해당하는 가맹점의 계정에 미리 정해진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사용자는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음원을 듣고 해당 음원을 구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가맹점에 미리 정해진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혜택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가맹점 간의 계약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적립금 제공,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권 등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적립금 정보가 출력된 사용자 단말기(3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적립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음원 유통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적립금은, 가맹점의 상품 구매, 충전 또는 적립금 전환을 통하여 적립할 수 있다. 즉, 각 가맹점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시 제공되는 적립금을 음원의 선곡, 공감, 구매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맹점 영업과 음원 유통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가맹점 영업과 음원 유통을 모두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립금은 적립금 충전(“충전”)이나 가맹점의 상품 구매(“상품구매”)를 통해 적립할 수 있으며, 단계 S50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곡한 음원에 대한 공감 신호가 입력되거나(“선곡-공감”), 단계 S60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선곡한 음원을 다른 사용자가 구매하는(“선곡-구매”) 등의 경우에 적립금을 적립할 수 있다. 또한, 적립금으로 음원 결제를 할 수 있으며(“음원구매”), 선곡 시에 적립금이 차감될 수도 있다(“선곡”).
한편, 적립금의 충전은, 사용자가 “충전하기”를 선택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충전 요청 신호를 가맹점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가맹점에서 사용자로부터 충전 금액을 결제받을 수 있다. 가맹점에서는 가맹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결제받은 금액을 사용자의 계정에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맹점 단말기(200)를 통하지 않고서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모바일 결제 등을 통해 직접 충전 금액을 결제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단계 S6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600은, 제3 사용자 단말기(330)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610), 제3 사용자 단말기(330)로부터 음원 수신 단말기를 입력받는 단계(S620), 구매 요청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S630) 및 음원을 음원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6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3 사용자 단말기(330)로부터 가맹점 단말기(200)에서 재생 중인 음원 및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제3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구매”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선택된 음원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3 사용자 단말기(330)로부터 음원 수신 단말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단계 S610에서 구매 요청을 한 음원을 제3 사용자가 스스로 소유하고자 할 수 있으나,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을 하려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계 S620에서는 구매 요청을 한 음원을 수신할 음원 수신 단말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음원 수신 단말기는 아이디, 이메일, 전화번호, 매장코드 등으로 특정될 수 있으며, 음원 수신 단말기를 특정할 수 있다면 입력받는 정보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63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구매 요청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결제 프로세스는 일반적인 온라인 또는 모바일 결제 방식에 의할 수 있으며, 실시간 계좌이체, 신용카드, 휴대폰 결제, 상품권 결제 등의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630에서는 적립금을 이용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음원 구매”).
단계 S640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구매 요청이 수신된 음원을 음원 수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단계 S530의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단계 S620에서 입력받은 음원 수신 단말기에 제3 사용자가 구매한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음원은 제3 사용자의 구매 형식에 따라 음원의 다운로드, 스트리밍 서비스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음원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1)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단계;
    (2) 사용자 단말기(제1 사용자 단말기, 제2 사용자 단말기 및 제3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함)로부터 매장코드를 입력받는 단계;
    (3) 상기 매장코드에 해당하는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음원 또는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4)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 중 특정 음원에 대한 선곡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곡된 음원을 추가하여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5)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음원 및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공감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음원의 선곡에 대한 공감 지수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6)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음원 및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구매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5) 또는 단계 (6)에서는, 상기 공감 신호가 수신된 음원 또는 상기 구매 절차가 진행된 음원을 선곡한 제1 사용자의 계정에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금은,
    상기 가맹점의 상품 구매, 충전 또는 적립금 전환을 통하여 적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이전에는,
    음원 유통사 서버로부터 음원을 제공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이전에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음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선곡된 음원이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우선적으로 재생되도록 상기 재생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에서 미리 정해진 적립금을 차감 또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에서는,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매장코드에 해당하는 상기 가맹점의 계정에 미리 정해진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은,
    (6-1)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음원 및 상기 가맹점의 재생 목록에 포함된 음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6-2)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음원 수신 단말기를 입력받는 단계;
    (6-3) 상기 구매 요청에 따른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단계; 및
    (6-4) 상기 구매 요청이 수신된 음원을 상기 음원 수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3)에서는,
    적립금을 이용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단계 (2) 내지 단계 (6)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13/009073 2012-10-10 2013-10-10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405825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707A KR20140047235A (ko) 2012-10-10 2012-10-10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112707 2012-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8253A1 true WO2014058253A1 (ko) 2014-04-17

Family

ID=5047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9073 WO2014058253A1 (ko) 2012-10-10 2013-10-10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47235A (ko)
WO (1) WO20140582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7651A1 (fr) 2022-07-20 2024-01-25 IFP Energies Nouvelles Procede ameliore de conversion d'une charge contenant une fraction biomasse pour la production d'hydrocarbures de synthese fischer-tropsc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800A (ko) * 2000-03-29 2000-07-05 방정묵 인터넷 상에서의 게시물 조회 및 추천에 따른 적립금지불방법
KR20060044147A (ko) * 2004-11-11 2006-05-16 최종인 이동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가맹 업소에서 실시간 음원 선택과 선택된 음원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94394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랜차이즈 업체와 연계를 통해 개선된 음원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20110075259A (ko) * 2009-12-28 2011-07-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용자 선호와 평가를 반영한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113431B1 (ko) * 2009-10-14 2012-03-02 주식회사 플랜티넷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800A (ko) * 2000-03-29 2000-07-05 방정묵 인터넷 상에서의 게시물 조회 및 추천에 따른 적립금지불방법
KR20060044147A (ko) * 2004-11-11 2006-05-16 최종인 이동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가맹 업소에서 실시간 음원 선택과 선택된 음원의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94394A (ko) * 2005-02-24 2006-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랜차이즈 업체와 연계를 통해 개선된 음원 제공 시스템및 방법
KR101113431B1 (ko) * 2009-10-14 2012-03-02 주식회사 플랜티넷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5259A (ko) * 2009-12-28 2011-07-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용자 선호와 평가를 반영한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7651A1 (fr) 2022-07-20 2024-01-25 IFP Energies Nouvelles Procede ameliore de conversion d'une charge contenant une fraction biomasse pour la production d'hydrocarbures de synthese fischer-tropsch
FR3138142A1 (fr) 2022-07-20 2024-01-26 IFP Energies Nouvelles Procede ameliore de conversion d’une charge contenant une fraction biomasse pour la production d’hydrocarbures de synthese fischer-trops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235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19076A1 (ko) 분산형 앱스토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801457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ing medium for distinguishing suffixes appended to contents data
US20060089914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nsating broadcast sources
WO2013012126A1 (en) Rhythm game apparatus, gam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W2012248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KR20060046621A (ko) 콘텐츠 재생 장치,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
CN101433081A (zh) 用于分发媒体内容的系统和/或方法
TW201227531A (en) Sensors, scanner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US78404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license of content in portable device
WO2014058253A1 (ko) 가맹점을 통한 사용자 참여형 음원 유통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2155397A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173302A1 (ko) 저작 서비스 시스템 및 저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WO2020184931A1 (ko) 콘텐츠의 소비량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4903489B2 (ja) コンテンツ提示装置
EP40721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4208992A1 (ko) 음악 추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와 단말
EP1408500A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ed medium
JP2008052673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システムの処理装置及び端末
WO2012165894A2 (ko) 음악 프로듀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WO2022139206A1 (ko) 음악 저작권 거래 방법 및 시스템
WO2023090565A1 (ko) 플랫폼 앨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00289A (ko) 소비자 행동 분석에 따른 광고장치 및 방법
JP2007213530A (ja) データ保存送信装置、そ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再生方法
WO2024058447A1 (ko) 크리스탈에 영상 콘텐츠가 결합된 토큰을 발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9221511A1 (ko) 컨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459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16/06/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459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