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5855A -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5855A
KR20070015855A KR1020060070574A KR20060070574A KR20070015855A KR 20070015855 A KR20070015855 A KR 20070015855A KR 1020060070574 A KR1020060070574 A KR 1020060070574A KR 20060070574 A KR20060070574 A KR 20060070574A KR 20070015855 A KR20070015855 A KR 2007001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value
content data
content
unit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쓰야 코노
스스무 타카쓰카
히데오 쓰카자키
타카시 키노우치
코타로 아사카
타카시 카와카미
야스하루 세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7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5855A/ko
Publication of KR2007001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저장기기 또는 매체에 기억된 콘텐츠에 평가치를 자동적으로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 정보처리장치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가능한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구비한다.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한다. 전송부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한다.
정보처리장치, 휴대형 재생장치, 콘텐츠, 평가치.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REPRODUC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는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순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3a 및 도 3b는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연산 평가치와 입력 평가치가 표시된 표시 화면을 각각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6은 휴대형 재생장치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7a 및 7b는 휴대형 재생장치의 이벤트 로그와 재생 조작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8은 휴대형 재생장치의 이벤트 로그를 설명하는 설명도다.
도 9는 이벤트 로그의 포맷의 일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0은 휴대형 재생장치의 재생 조작과 이벤트 로그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1은 휴대형 재생장치의 입력 평가치의 입력 및 설정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2는 정보처리장치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해석 결과 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5 및 도 16은 정보처리장치의 연산 평가치의 구체적인 연산 수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다.
도 17은 도 12의 콘텐츠 정보기억부의 기억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평가치를 재생 상황 등에 따라 갱신하기 위한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19a 내지 19e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와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동일한 콘텐츠에 관한 연산 평가치와 입력 평가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0은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연산 평가치와 입력 평가치의 표시 전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21은 정보처리장치의 평가치를 이용하여, 유저의 기호에 맞는 콘텐츠를 검색해서 재생하기 위한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2는 통신시스템을 체크인 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3은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있어서의 그룹 등록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4는 저작권 관리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통신시스템을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6a-26d는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보처리장치 20: 휴대형 재생장치
30 : 분배 서버 100: 통신시스템
120: 콘텐츠 기억부 122: 재생 조작부
124: 재생부 126: 일시정보생성부
128: 재생 이력생성부 130: 재생 이력기억부
132: 통신부 134: 접속 검지부
136: 취득부 138: 재생 이력해석부
140: 해석 결과 기억부 142: 평가치연산부
144: 평가치 기록부 146: 평가치입력부
148: 콘텐츠 정보기억부(평가치기억부)
150: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 152: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
154: 전송부 156: 콘텐츠 삭제부
158: 분배 서비스 이용부 160: 평가치 송신부
162: 리핑부 164: 검색 리스트 생성부
168: 표시 제어부 170: 표시부
220: 콘텐츠 기억부 222: 재생 조작부
224: 재생부 226: 일시정보생성부
228: 재생 이력생성부 230: 재생 이력기억부
232: 삭제 지시 접수부 234: 삭제 콘텐츠 기억부
236: 전송부 238: 통신부
240: 취득부 242: 평가치 기록부
244: 콘텐츠 정보기억부(평가치기억부)
246: 평가치입력부 248: 표시 제어부
250: 표시부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텐츠 데이터의 평가치를 사용하는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악 콘텐츠 데이터 등의 디지털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c Drive:HDD)나 반도체메모리 등의 대용량 기억매체를 구비한 기록재생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를, 이하, 간단히 "콘텐츠"라고 한다. 이러한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로서는, 일반적으로 대용량 기억매체를 설치 용이한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Personal Computer: PC)뿐만 아니라, 소형으로 이전이 편리한 휴대형의 재생장치(Portable Device:PD)도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형의 재생장치는, 상기 기억매체의 기억 용량증대에 따라, 다수, 예를 들면, 수천, 수만곡 규모의 콘텐츠를 기억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방대한 수의 콘텐츠를 격납 가능하게 되면, 기록된 콘텐츠의 관리가 곤란해진다. 예를 들면, 유저의 기호의 변화나 유행과 함께, 유저에 의해 시청되지 않게 된 콘텐츠가, 기억매체에 기억된 채로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콘텐츠를 콘텐츠마다 선택해서 삭제하는 작업은, 번잡해서, 결과적으로 필요한 콘텐츠와 쓰지 않은 콘텐츠가 혼재해서 격납되게 된다. 또한, 유저는, 대량의 콘텐츠 중에서, 자기의 기호에 맞는 콘텐츠를 검색해서 재생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그래서, 유저의 기호를 반영해서 콘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38541호(이후, 특허문헌 1)에는, 콘텐츠에 대한 평가치(평가 포인트)를 콘텐츠에 부가해서 기록함으로써, 콘텐츠의 평가(레이팅:Rating)를 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상기 종래기술의 기기는, 유저가 기기에 대하여 수동으로 각 콘텐츠의 평가치를 입력하기 때문에, 즉 수동 레이팅 때문에 평가치의 입력 조작이 번잡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유저 입력에 의지하는 것만으로는,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대량의 콘텐츠에 대해서 평가치를 부가하는 것은 곤란하고, 이 결과, 콘텐츠의 관리나 유저의 기호에 응한 재생이 충분하게 실현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기에 기억된 콘텐츠에 평가치를 자동적으로 부가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고 개량된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가능한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평가치 연산부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한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생성부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되게 만들어서 평가치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가,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해당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고,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해당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또한, 해당 연산된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해당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취득부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또한, 해당 연산된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해당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재생부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될 때마다,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해서 갱신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갱신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전송부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할 때,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에 근거해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가능한 외부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평가치 송신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한 평가치연산을 허가하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의 디바이스 ID를 기억하는 등록 ID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의 디바이스ID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등록ID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ID와, 상기 취득된 디바이스ID가 일치할 때만, 상기 연산 평가치의 연산을 하여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정보처리장치 및/또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를 그룹 관리 서버에 등록함에 의해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상기 그룹 관리 서버에 의해 부여되어, 해당 그룹ID가 상기 정보처리장치 및/또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고 있고, 상기 취득부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ID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ID와, 상기 취득된 그룹ID가 일치할 때만, 상기 연산 평가치의 연산을 하도록 구성되 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유저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입력부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연산 평가치 및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취득부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처리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입력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입력 평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연산하는 처리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해당 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해당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전송부가, 해당 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해당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재생부에 의해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 개시될 때마다,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평가가 높아지도록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계속 재생시간을 산출하고, 계속 재생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인 콘텐츠 데이터의 평가가 높아지도록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되고나서 특정 시간이내에 다른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으로 전환된 것을 검출하면, 해당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의 평가가 낮아지도록 상기 연산 평가치를 갱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계속 재생시간을 산출하고, 계속 재생시간이 특정 시간이하인 콘텐츠 데이터의 평가가 낮아지도록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취득부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 삭제 지시된 1 또는 2 이상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평가가 낮아지도록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유저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도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입력 평가치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입력 평가치를,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보다도, 상기 입력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는,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 상기 연산 평가치가 기록되고, 상기 입력 평가치가 기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 제어부가,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평 가 입력부에 의해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입력 평가치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게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가, 상기 연산 평가치 대신에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표시 제어부가,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도,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가 취득되었을 경우, 또는, 상기 재생부에 의해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 또는,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재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를, 상기 재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에 갱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접속된 것을 검지하는 접속 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검지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가 접속된 것이 검지되면, 상기 취득부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 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상기 전송부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정보처리장치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생성부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검지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연속 접속 시간이 특정시간을 경과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면, 상기 평가치 연산부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게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재연산하고, 상기 전송부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재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가, 상기 전송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된 후에,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하여,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삭제하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와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검색 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색 리스트 생성부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소트한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전송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할 때에,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일부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연산 평가치에 따라 삭제하는 콘텐츠 삭제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전송부가, 상기 콘텐츠 삭제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삭제 후에, 상기 전송되어야 할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콘텐츠 삭제부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매체의 빈 용량을 검출하는 빈 용량 검출부와; 상기 전송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되어야 할 콘텐츠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빈 용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빈 용량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해 상기 빈 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 부족 용량을 검출하는 부족 용량 검출부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중, 상 기 부족 용량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연산 평가치에 따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삭제하는 삭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콘텐츠 삭제부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리무버블 기억매체로부터 리핑되어서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삭제하지 않도록 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하는 재생 이력생성부와;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구비한, 재생장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전송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재생장치의 디바이스ID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재생장치는, 상기 외부장치 및/또는 상기 재생장치를 그룹 관리 서버에 등록함에 의해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상기 그룹 관리 서버에 의해 부여되고, 해당 그룹ID가 상기 외부장치 및/또는 상기 재생장치에 기억되고 있고, 상기 전송부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ID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재생장치는, 유저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재생장치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입력 평가치를,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보다도, 상기 입력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 재생장치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 상기 연산 평가치가 기록되고, 상기 입력 평가치가 기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 제어부가,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켜, 상기 평가 입력부에 의해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게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가, 상기 연산 평가치 대신에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재생장치는, 상기 표시 제어부가,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는 모드에 있어서도, 상기 전송부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취득부가,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재생장치는, 상기 전송부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취득부가,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전송된 연산 평가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 및/또는,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전송된 입력 평가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 및/또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취득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로 각각 갱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재생장치는, 상기 전송부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재생 이력정보, 및,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취득부가,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이력정보 및 상기 전송된 연산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가,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취득된 상기 새로운 연산 평가치로 갱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재생장치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의 삭제 지시를 받으면, 해당 삭제 지시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삭제 콘텐츠 기억부에 기록하는 삭제 지시 접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송부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삭제 콘텐츠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재생장치는, 상기 전송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의 전송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후에,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가능한 휴대형 재생장치와 통신가능한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 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으로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평가치연산 스텝과;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으로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스텝을 포함한,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또, 통신 방법은,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상기 재생 스텝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생성 스텝과;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으로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기록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는, 상기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상기 재생 이력생성 스텝으로 생성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통신 방법은, 상기 재생 이력생성 스텝에서는,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는, 상기 취득 스텝으로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상기 평가치기록 스텝에서는, 해당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전송스텝에서는, 해당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상기 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통신 방법은, 상기 재생 스텝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제1 평가치 연산 스텝과; 상기 제1 평가치 연산 스텝으로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제1 평가치기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으로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제2 평가치 연산 스텝과; 상기 제2 평가치 연산 스텝으로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제1의 전송 스텝과; 상기 제2 평가치 연산 스텝으로 연산된 연산 평가치와, 상기 제1 평가치기록 스텝으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제3 평가치 연산 스텝과; 상기 제3 평가치 연산 스텝으로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제2 전송 스텝을 포함하도록 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재생 스텝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될 때마다, 상기 제1 평가치 연산 스텝 및 상기 제1 평가치 기록 스텝을 실행하고,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해서 갱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전송 스텝 후이고, 상기 제3 평가치 연산 스텝 전에,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하여,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삭제하도록 지시하는 삭제 지시 스텝을 포함하도록 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통신 방법은, 유저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 스텝과;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으로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 스텝으로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기록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스텝에서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 및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통신 방법은, 상기 취득 스텝에서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이, 상기 취득 스텝으로 취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으로 취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입력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입력 평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연산하는 스텝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 스텝에서는, 상기 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상기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전송 스텝에서는,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으로 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으로 연산된 새로운 입력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통신 방법은, 유저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 스텝과;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으로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 스텝으로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기록 스텝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입력 평가치를,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스텝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보다도, 상기 입력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는, 통신 방법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 상기 연산 평가치가 기록되어, 상기 입력 평가치가 기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평가 입력 스텝에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게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한 후에,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연산 평가치 대신에 해당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통신 방법은,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도, 상기 취득 스텝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가 취득되었을 경우, 또는, 상기 재생 스텝에 의해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을 실행하고, 상기 취득 스텝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 또는, 상기 재생 스텝에 있어서의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재연산하고, 또한 상기 평가치기록 스텝을 실행하고,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를, 상기 재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로 갱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통신 방법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접속된 것을 검지하는 접속 검지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검지 스텝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가 접속된 것이 검지되면, 상기 취득 스텝,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 및 상기 전송 스텝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통신 방법은,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상기 재생 스텝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생성 스텝과;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에 의해, 상기 재생 스텝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기록 스텝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연속 접속 시간이 특정 시간이상인 것을 검지하는 접속 시간 검지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장치의 연속 접속 시간이 특정 시간이상인 것이 검출되면,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이 실행되고,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해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재생 이력생성 스텝에서 새롭게 생성된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재연산하고, 또한 상기 전송 스텝이 실행되고, 재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통신 방법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억매체에 빈 용량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빈 용량 판단 스텝과; 빈 용량 판단 스텝에 있어서 빈 용량이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일부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연산 평가치에 따라 삭제하는 콘텐츠 삭제 스텝과; 정보처리장치의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이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상기 재생 스텝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하는 재생 이력생성 스텝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스텝과;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 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기록 스텝을 포함한,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또, 통신 방법은, 유저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 스텝에서는,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 스텝에서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통신 방법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입력 평가치를,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스텝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보다도, 상기 입력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 통신 방법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 상기 연산 평가치가 기록되어, 상기 입력 평가치가 기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평가 입력 스텝으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게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한 후에,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연산 평가치 대신에 해당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통신 방법은,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는 모드에 있어서도, 상기 전송 스텝, 상기 취득 스텝 및 상기 기록 스텝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통신 방법은, 상기 전송 스텝에서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취득 스텝에서는,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전송된 연산 평가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 및/또는,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전송된 입력 평가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기록 스텝에서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 및/또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취득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로 각각 갱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통신 방법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의 삭제 지시를 받는 스텝과; 해당 삭제 지시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삭제 콘텐츠 기억부에 기록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스텝에서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삭제 콘텐츠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통신 방법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 의 재생 이력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제1 전송 스텝과;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스텝과; 상기 제1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제1 기록 스텝과; 상기 제1 기록 스텝에서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제2 전송 스텝과;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전송 스텝에서 전송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2 취득 스텝과; 상기 제2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제2 기록 스텝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취득 스텝후이며, 상기 제2 전송 스텝전에,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삭제하는 삭제 스텝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가능한 휴대형 재생장치와 통신가능한 정보처리장치에: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처리와; 상기 취득 처리에서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평가치 연산 처리와; 상기 평가치 연산 처리에서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한 재생장치에: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처리와; 상기 재생 처리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재생 이력 기억부에 기록하는 재생 이력 생성 처리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처리와;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처리와; 상기 취득 처리에서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상기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정보처리장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재생 이력에 따라, 재생장치에서 재생된 콘텐츠의 평가치를 자동적으로 연산하고, 해당 콘텐츠에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다(자동 레이팅). 이 때문에, 자주 시청되는 콘텐츠에 관해서는 평가치가 자동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별로 시청되지 않는 콘텐츠에 관해서 평가치가 자동적으로 저하한다. 따라서, 유저는, 기억매체에 대량인 콘텐츠가 기억되어 있을 경우에도, 부가된 평가치에 의거하여, 자기의 기호에 맞는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쓰지 않는 콘텐츠를 삭제하는 등 해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재생장치에서의 재생 이력을 정보 처리장치에서 연산해서 평가치를 산출하고, 재생장치에 전송해서 기록하므로, 재생장치의 처리 능력이 낮을 경우나, 재생장치가 배터리면의 제약이 있을 경우에도, 콘텐츠의 평가치를 신속 또한 효율적으로 연산할 수 있고, 재생장치의 배터리가 소모하는 경우도 없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기억기기 또는 매체에 기억된 콘텐츠에 대하여, 그 평가치를 그 기억된 콘텐츠에 자동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이들 발명내용과,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동일한 부분 또는 구성요소를 같은 참조번호로 나타낸 첨부도면과 관련지어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제1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우선, 도 1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의 전체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은, 예를 들면, 복수의 정보처리장치 10-1,10-2,…,10-n(이하에서는 "정보처리장치 10" 또는 "PC 10"이라고 총칭하는 경우도 있다.)과, 복수의 휴대형 재생장치(PD) 20-1,20-2,…,20-n(이하에서는 "휴대형 재생장치 20" 또는 "PD 20"이라고 총칭하는 경우도 있다.)과, 보류형의 재생장치(21), 분배 서버(30)와, 이것들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네트워크(5) 및 로컬라인(9)과, 리무버블 기억매체(7)로 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이하, "콘텐츠")는, 예를 들면, 음악, 강연, 라디오 프로그램 등의 음성(Audio) 콘텐츠나,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프로그램, 사진, 회화, 도표 등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 혹은 동영상으로 이루어진 영상(Video) 콘텐츠, 전자도서(E-book), 게임, 소프트웨어 등, 임의의 콘텐츠이어서 된다. 이하에서는, 콘텐츠로서, 음성 콘텐츠, 특히, 분배 서버로부터 송신된 또는 음악 CD로부터 리핑된 음악 콘텐츠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는, 예를 들면, 저작권관리 대상 콘텐츠, 다시 말해, 체크인 체크아웃 방식이나 그룹 관리 방식 등의 저작권관리 방식으로 저작권 관리되는 콘텐츠이어도 되고, 또는, 저작권 관리되지 않는 콘텐츠이어도 된다.
정보처리장치(10)는, 콘텐츠를 기록 및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재생장치다. 더 구체적으로는, 정보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이하 "PC"라고 한다.)등의 컴퓨터 장치(노트형, 데스크탑형도 상관없다.)로 구성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5)를 통한 통신기능을 가지는 기기이면, 예 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가정용 게임기, 정보가전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정보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5)를 통해 분배 서버(30)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가능하다. 이 정보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콘텐츠 분배 서비스용의 소프트웨어나,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용의 소프트웨어를 인스톨가능하다. 이에 따라, 정보처리장치(10)는, 분배 서버(30)로부터 송신된 콘텐츠 (이하, "분배 콘텐츠")를 취득하고, 이 분배 콘텐츠를 스토리지 장치나 리무버블 기억매체(7) 등의 기록 수단에 기록할 수 있다.
또, 정보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셀프 레코딩(자기녹음, 녹화 등)이나 리핑 등에 의해, 신규에 콘텐츠를 작성하고, 스토리지 장치나 기억매체(7)에 기록 할 수 있다. 이때, 셀프 레코딩이란, 정보처리장치(10) 자신이 가지는 촬상장치/집음장치에 의해 촬영/집음된 영상/음성 등을, 영상/음성의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리핑이란, 음악CD, 비디오DVD, 소프트웨어용 CD-ROM 등의 기억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형식의 콘텐츠 데이터(음성 데이터나 영상데이터 등)를 추출하고, 컴퓨터로 처리가능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고, 스토리지 장치나 리무버블 기억매체(7)에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각 정보처리장치(10)는, 상기 분배 콘텐츠 및 리핑 콘텐츠를, 예를 들면, ATRAC3(Advanced Transform Acoustic Coding 3)방식, 또는 MP3(MPEG Audio Layer-3)방식등의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coding)하고, DES(Data Encryption Standrd)등의 암호화방식으로 암호화해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는, 상기 분배 콘텐츠나 리핑 콘텐츠를, 다른 정보처리장치(10) 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5)나 로컬라인(9)을 통해 송수신하거나 또는 리무버블 기억매체(7)를 통해 교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정보처리장치(10), 휴대형 재생장치(20)사이에서, 콘텐츠를 제공/취득하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각 휴대형 재생장치(20)는, 휴대가능한 콘텐츠 재생장치인 포터블 디바이스(Portable Device:이하 "PD"라고 한다.)로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예를 들면 수십 GB의 기억 용량을 가지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를 구비한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 등으로 구성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형 영상/음성 플레이어, PDA, 휴대전화, PHS 등, 각종의 휴대가능한 장치라고도 된다. 또한, 휴대형 재생장치(20)에 내장된 기억매체, 또는 장전가능한 리무버블 기억매체(7)는, 상기 HDD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FeRAM, 및 자기 메모리 등, 랜덤 액세스 가능한 기억매체이면 개의치 않는다. 또한, 이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콘텐츠 재생 전용기이어도 된다.
본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예를 들면, 로컬라인(9)을 통해 정보처리장치(10)에 로컬 접속가능해서, 정보처리장치(10)와의 사이에서 각종의 데이터를 통신가능하다. 이 로컬라인(9)은, 예를 들면,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케이블 등의 유선 케이블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는,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휴대형 재생장치(20)는, 로컬라인(9)을 통해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나, 리무버블 기억매체(7)에 의해 제공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 보류형의 재생장치(21)는, 예를 들면, 보류형의 음악기록/재생장치등으로 구성된다. 이 보류형의 재생장치(21)는, 전술한 휴대형 재생장치(20)와 대략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재생장치로서, 주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해당 설명은 보류형의 재생장치(21)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분배 서버(30)는, 서버 기능을 갖춘 컴퓨터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 분배 서버(30)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며, 유저가 소유하는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의 분배요구에 따라, 해당 정보처리장치(10)에 네트워크(5)를 통해 콘텐츠를 송신한다.
이 분배 서버(30)는, 예를 들면, 전자음악분배(EMD; Electronic Music Distribution) 서비스를 제공하는 EMD 서버 등이다. 이 분배 서버(30)는, 분배 대상의 음악 콘텐츠를, 예를 들면, ATRAC3방식 또는 MP3방식 등의 압축 부호화방식으로 압축 부호화하고, DES 등의 암호화방식으로 암호화한 후에, 정보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또한, 분배 서버(30)는, 암호화된 분배 콘텐츠와 함께, 해당 분배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콘텐츠 열쇠를 암호화하여, 정보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또한, 분배 서버(30)는, 상기 콘텐츠의 분배에 따라, 콘텐츠를 구입한 유저에 대하여 요금 부과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5)는, 상기 정보처리장치(10) 및 분배 서버(30)를 쌍방향 통신 가 능하게 접속하는 통신회선망이다. 이 네트워크(5)는, 예를 들면, 인터넷, 전화 회선망, 위성통신망 등의 공중회선망이나, WAN, LAN, IP-VPN 등의 전용 회선망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선 및 무선을 상관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5)는, 사적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사적 네트워크란, 저작권관리의 관점에서 보아서, 사적사용의 범위내에서 콘텐츠를 공유하는 복수의 정보처리장치(10)를 서로 접속하는 네트워크다. 이러한 사적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동일 유저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정보처리장치(10)를 접속하는 네트워크나, 동일한 가정내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정보처리장치(10)를 접속하는 홈 네트워크, 소규모의 한정된 그룹(회사, 친구등)내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정보처리장치(10)를 접속하는 LAN 등을 들 수 있다.
리무버블 기억매체(7)는, 콘텐츠, 콘텐츠의 속성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고, 정보처리장치(10)이나 휴대형 재생장치(20)에 탈착가능한 기억매체이며, 예를 들면, DVD-R, DVD-RW, DVD-RAM, CD-R, CD-RW, 광자기디스크 등의 각종의 광디스크나,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디스크, 각종의 반도체 메모리 등이다. 또한, 이 리무버블 기억매체(7)는, 예를 들면, 암호 키 등을 사용해서 콘텐츠의 카피나 재생 등을 제한하는 저작권관리 기능 구비 기억매체이어도 된다.
이 리무버블 기억매체(7)는, 정보처리장치(10) 사이에서의 콘텐츠의 제공/취득 매체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 10-1에 의해 콘텐츠가 기록된 리무버블 기억매체(7)를, 정보처리장치(10)에 로딩해서 해당 콘텐츠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정보처리장치 10-1로부터 정보처리장치(10)에 대하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 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는, 네트워크(5)에 접속 불능한 휴대형 재생장치(20)와의 사이에서도, 리무버블 기억매체(7)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 리무버블 기억매체(7)는, 정보처리장치(10)사이에서의 콘텐츠 속성정보의 제공/취득 매체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이 리무버블 기억매체(7)는, 판매점의 매장 등에 설치된 콘텐츠 판매 단말(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유저 조작에 따라 구입하신 콘텐츠를 기억하고, 정보처리장치(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콘텐츠에 대한 평가치 부가 수법의 개요>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에 있어서의 각 콘텐츠에 대한 평가치 부가 수법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에서는, 상기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가 보유하고 있는 각 콘텐츠의 평가치(랭크)를, 각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재생 이력에 근거해 자동적으로 연산하고,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콘텐츠의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자동적으로 연산된 평가치를 "연산 평가치"라고 말하고, 이 연산 평가치를 자동생성해서 콘텐츠에 관련되게 만드는 것을 "자동 레이팅(Auto-Rating)"이라고 말한다. 이에 대하여, 유저 입력에 근거해 설정된 평가치를 "입력 평가치"라고 말하고, 이 입력 평가치를 수동생성해서 콘텐츠에 관련되게 만드는 것을 "수동 레이팅(Manual-Rating)"이라고 말한다.
자동 레이팅에서는, 각 콘텐츠에 대한 유저의 기호성을 반영한 물건 값일 필요가 있다. 이것을 위해서는, 유저의 기호에 맞는 콘텐츠(예를 들면, 재생 빈도가 높은 콘텐츠)에 대하여는 연산 평가치가 높아지도록 설정하고, 한편, 유저의 기호에 맞지 않는 콘텐츠(예를 들면, 재생 빈도가 낮은 콘텐츠)에 대하여는 연산 평가치가 낮아지도록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동 레이팅의 용도로서는, 예를 들면, (1) 유저가 콘텐츠를 검색할 때의 참고 파라미터로서의 사용이나, (2) 유저의 기호성을 파악하는 프로파일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지표로서의 사용, (3)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 휴대형 재생장치(20)에 다수의 콘텐츠를 전송할 때에, 기억 용량의 제한으로부터 휴대형 재생장치(20)내에서 삭제하는 콘텐츠를 선별하기 위한 기준으로서의 사용 등이 있다.
여기에서, 도 2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순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순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다.
자동 레이팅으로 연산 평가치를 구할 경우에는, 우선, 휴대형 재생장치(PD)(20)에 있어서 각종의 콘텐츠(곡)를 재생했을 때에, 그 재생 이력정보(재생 로그)를 실시간으로 기록해 둔다(스텝1).
이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 기록되는 재생 이력정보는, 예를 들면, 재생된 콘텐츠 ID, 콘텐츠의 재생 개시 일시 데이터 및 재생 종료 일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재생 이력정보는, 이것들의 재생 개시 일시 데이터 및 재생 종료 일시 데이터를 산출가능한 로그 데이터이어도 된다. 한편, 정보처리장치(10)측에서도, 콘텐츠가 재생되었을 경우에는, 재생 이력정보가 생성되어 있다.
이렇게, 휴대형 재생장치(20)는, 각 콘텐츠의 재생 카운트 수를 구할 수는 없고, 콘텐츠 재생에 따라 재생 이력을 기록해 두는 구성이다. 이 때문에, 콘텐츠의 미사용된 상태로부터 사용된 상태로의 변경을, 휴대형 재생장치(20) 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에 반영할 수는 없다.
이어서,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가 접속되었을 때에,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정보처리장치(10)에 재생 이력 데이터가 전송된다(스텝2).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는, 정보처리장치(10)에 전송된 후, 소거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는, 정보처리장치(10) 자신의 재생 이력정보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양쪽의 재생 이력을 반영한 최신의 연산 평가치를 산출한다. 이 때, 정보처리장치(10)는,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재생 이력정보가 전송된 타이밍에서, 정보처리장치(10) 자신의 재생 이력정보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를 합산하고, 이 합산한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최신의 연산 평가치를 산출해도 된다. 또는, 재생 이력정보는, 정보처리장치(10)에 있어서의 콘텐츠 재생될 때마다, 다이내믹하게 재생 이력정보를 연산 평가치에 반영해도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정보처리장치(10)에의 재생 이력정보의 전송 처리, 및 연산 평가치의 연산 처리가 실행되는 타이밍은,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접속 직후이지만, 쌍방이 연속 접속되어 있을 때는, 소정시간마다(예를 들면, 1시간마다) 행해져도 된다. 이에 따라, 해당 소정시간내에 콘텐츠가 재생되었을 경우의 재생 이력을, 정기적으로 연산 평가치에 반영할 수 있다.
그 후, 상기한 바와 같이 연산된 최신의 연산 평가치가,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되어서,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록된다(스텝4). 이 결과,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콘텐츠의 재생시에 해당 콘텐츠의 최신의 연산 평가치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자동 레이팅에서는,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정보처리장치(10)에 재생 이력정보를 송신하고, 정보처리장치(10)에서 연산 평가치를 연산한 후에,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연산 평가치를 전송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 콘텐츠가 재생되었다고 하여도,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 그 재생 이력이 연산 평가치에 즉시 반영되는 경우는 없다.
일반적으로, 재생장치, 특히, 휴대형 재생장치(PD) 20에서는, 정보처리장치(PC) 10과 비교하여, 프로세서의 처리 능력이 낮은 상에, 배터리면에서의 제약이 있다. 따라서,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 재생 이력에 근거해 평가치를 자동적으로 연산하도록 하면, 연산 처리에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배터리가 소모해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자동 레이팅에서는, 휴대형 재생장치(20) 대신에 정보처리장치(10)에서 연산 평가치의 연산 처리를 실행하고,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연산 결과인 연산 평가치를 전송함으로써, 연산 평가치를 신속히 연산할 수 있고, 휴대형 재생장치(20)의 배터리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휴대형 재생장치(20)에 대한 프로세서의 처리 능력이 개선되는 경우,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는 그 평가치를 연산하여도 된다.
한편, 수동 레이팅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뿐만 아니라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도 유저 입력에 근거해 입력 평가치를 설정가능하다. 따라서, 각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는, 해당 각 콘텐츠의 속성정보로서 즉시 반영된다.
다음에, 도 3a 및 도 3b에 의거하여, 연산 평가치와 입력 평가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도 3a 및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의 콘텐츠 재생시의, 연산 평가치가 표시된 표시 화면 4a와, 입력 평가치가 표시된 표시 화면 4b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동 레이팅의 연산 평가치는, 표시 화면 4a 위에서 예를 들면 얇은 색의 별 마크 "☆"의 수로 표시된다. 한편,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동 레이팅의 입력 평가치는, 표시 화면 4b 상에서 예를 들면, 짙은 색의 별 마크 "★"의 수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양쪽의 평가치를 구별할 수 있다. 이 자동 레이팅의 연산 평가치와, 수동 레이팅의 입력 평가치는, 아울러, 예를 들면 5단계(1포인트로부터 5포인트)로 표시된다. 도 3(a)의 예에서는, "타이틀1"의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는 3포인트이며, 도 3(b)의 예에서는, "타이틀1"의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는 5포인트다.
또한, 연산 평가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될 경우에는 5단계 표시이지만, 실제의 수치로서는, 예를 들면 소수점 이하 1자리(0.1단위)까지의 값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실제의 연산 평가치의 소수점 이하를 사사오입하고, 정수 포인트(0,1,2,3,4 또는 5포인트)로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연산된 연산 평가치 가 3.2포인트이어도, 3포인트로서 표시된다.
또, 이 연산 평가치의 초기값은, 콘텐츠 분배 서비스측에서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해당 서비스측이 특별한 설정을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의 초기값은, 예를 들면 3.0으로 설정된다. 이에 대하여, 라벨이나 서비스측이 추천하고 싶은 콘텐츠(곡)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3.0이상의 포인트를 초기값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한편, 수동 레이팅에 관해서는, 유저가 수동에서 정보처리장치(PC)(10) 위에서도 휴대형 재생장치(PD)(20) 위에서도, 1∼5의 5단계로 입력 평가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입력 평가치는, 콘텐츠의 취득 직후(예를 들면, 콘텐츠의 분배 직후, 리핑 직후 등)에는, 값을 갖지 않고 있다. 그 후, 유저 입력에 근거해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면, 그 후에 해당 콘텐츠의 입력 설정 값이 유저에 의해 재입력될 때까지 고정 값이 된다.
또, 이 수동 레이팅의 입력 평가치가, 어떤 콘텐츠에 대해서 입력 설정되면, 이 입력 평가치가 표시되고,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는 표시되지 않게 된다. 즉, 동일 콘텐츠에 대해서는, 연산 평가치보다도 입력 평가치가 우선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유저가 표시 화면 4a 또는 표시 화면 4b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입력 평가치 또는 연산 평가치 중 어느 한쪽뿐이며,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에 관해서는 입력 평가치가 표시되고(도 3(b)참조),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지 않고 있는 콘텐츠에 관해서는 연산 평가치가 표시된다(도 3(a)참조).
상기 입력 평가치의 우선 표시에 의해, 동일한 표시 화면상에서, 동일 콘텐츠에 관해서 복수 종류의 평가치가 표시되는 번잡하고, 유저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유저의 의향을 존중한 평가치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평가치보다도 연산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표시하여도 좋거나, 또는, 양쪽의 평가치를 동일 화면 위에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때, 입력 평가치의 설정 표시 후도, 자동 레이팅의 연산 평가치는 계속 기억되어, 콘텐츠 재생에 따른 해당 연산 평가치의 연산 처리도 계속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유저가 특정한 조작을 행하면, 수동 레이팅의 입력 평가치의 표시를 제거하고, 자동 레이팅의 연산 평가치를 재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입력 평가치의 설정후이여도 연산 평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자동 레이팅에 관해서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을 정보처리장치(10)에 판독하고, 정보처리장치(10)의 재생 이력과 합산해서 연산 평가치가 연산된다. 이 때문에,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 행한 자동 레이팅에 영향이 있는 조작은, 그 경우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의 연산 평가치의 표시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한편, 수동 레이팅에 관해서는, 새롭게 입력 설정된 입력 평가치는, 각 곡의 상세표시 화면에서는, 휴대형 재생장치(20) 위에서 즉시 반영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레이팅에서의 연산 평가치와, 수동 레이팅에서의 입력 평가치라고 하는 2종류의 평가치에 근거하여, 각 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다. 이하에, 이러한 콘텐츠의 평가치 부가수법(레이팅 수법)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정보처리장치(PC)의 하드웨어 구성>
다음에, 도 4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과, ROM(Read Only Memory)(102)와, RAM(Random Access Memory)(103)과, 호스트 버스(104)와, 브리지(105)와, 외부 버스(106)와, 인터페이스(107)와, 입력장치(108)와, 출력장치(110)와, 스토리지 장치(HDD)(111)와, 드라이브(112)와, 접속 포트(114)와, 통신장치(115)를 구비한다.
CPU(101)은, 연산 처리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을 따라서 동작하고, 정보처리장치(10)내의 각부를 제어한다. ROM(102)는, CPU(101)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한다. RAM(103)은, CPU(101)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에 있어서 적당하게 변화되는 파라미터 등을 1차 기억한다. CPU(101), ROM(102) 및 RAM(103)은, CPU버스 등으로 구성되는 호스트 버스(1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버스(104)는, 브리지(105)를 통하여,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nterface) 버스 등의 외부 버스(106)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장치(108)는,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널, 버튼, 스위치, 레버 등의 조작 수단과, 입력 신호를 생성해서 CPU(101)에 출력하는 입력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처리장치(10)의 유저는, 이 입력장치(108)를 조작함에 의 해, 정보처리장치(10)에 대하여 각종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동작을 지시하거나 할 수 있다.
출력장치(110)는, 예를 들면,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장치, 액정표시(LCD)장치, 램프 등의 표시장치와, 스피커 등의 음성출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 출력장치(110)는, 예를 들면, 재생된 콘텐츠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는 재생된 영상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표시한다. 한편, 음성출력장치는, 재생된 음성 데이터 등을 발음한다.
스토리지 장치(11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의 기억부의 일례로서 구성된 데이터 격납용의 장치이며, 예를 들면, HDD(Hard Disk Drive)로 구성된다. 이 스토리지 장치(111)는, 기억매체인 하드디스크를 구동하고, CPU(101)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받아들인다.
드라이브(112)는, 기억매체용 리더 라이터이고, 정보처리장치(10)에 내장, 또는 외장된다. 이 드라이브(112)는, 정보처리장치(10)에 로딩된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또는 반도체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억매체(7)에/로부터, 콘텐츠, 콘텐츠의 속성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록/재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브(112)는, 리무버블 기억매체(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터페이스(107), 외부 버스(106), 브리지(105), 및 호스트 버스(104)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는 RAM(103)에 공급한다. CPU(101)은, 필요에 따라, 이것들의 데이터를 ROM(102) 또는 스토리지 장치(111)등에 격납한다. 한편, 드라이브(112)는, ROM(102) 또는 스토리지 장치(111) 등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나, 새롭 게 생성한 데이터, 외부장치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CPU(101)로부터 받아, 리무버블 기억매체(7)에 기록한다.
접속 포트(114)는, 예를 들면 휴대형 재생장치(20)등의 외부주변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이며, 예를 들면, USB, IEEE 1394등의 접속 단자를 가진다. 접속 포트(114)는, 인터페이스(107), 및 외부 버스(106), 브리지(105), 호스트 버스(104) 등을 거쳐서 CPU(101)등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 포트(114)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는, 휴대형 재생장치(20)와 로컬라인(9)을 통하여, 콘텐츠 및 그 속성정보, 제어신호등의 각종의 데이터를 통신 가능해진다. 접속 포트(114)는,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임의의 것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에 통신 접속시킨다. 예를 들면, 접속 포트(114)는 블루투스, 802.11a/b/g 등을 따른다.
통신장치(115)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5)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 등으로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다. 이 통신장치(115)는, 다른 정보처리장치(PC)(10)나 분배 서버(30) 등의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5)를 통하여, 콘텐츠 및 그 속성정보, 제어신호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이더넷이나 기가 이더넷을 따르거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직접 통신할 수 있는 환경에서, 블루투스, 802.11a/b,g 등을 따라도 된다.
이때, 분배 서버(30)의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의 정보처리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과 거의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휴대형 재생장치(PD)의 하드웨어 구성>
우선, 도 5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예를 들면, 메인 제어장치(201)와, 플래시 메모리(202)와, RAM(203)과, 데이터처리장치(204)와, 버스(206)와, 입력장치(208)와, 표시장치(210)와, 스토리지 장치(HDD)(211)와, 디코더(213)와, 통신장치(215)와, 오디오 출력 회로(216)와, 리모트 콘트롤러(218)와, 헤드폰(219)을 구비한다.
메인 제어장치(201)는,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휴대형 재생장치(20)의 각부를 제어한다. 플래시 메모리(202)는, 예를 들면, 메인 제어장치(201)의 동작을 규정한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RAM(203)은,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RAM)으로 구성되어, 메인 제어장치(201)의 처리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데이터처리장치(204)는, 시스템 LSI 등으로 구성되고, 휴대형 재생장치(20) 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버스(206)는, 메인 제어장치(201), 플래시 메모리(202), RAM(203), 데이터처리장치(204), 입력장치(208), 표시장치(210), 스토리지 장치(HDD)(211), 디코더(213), 통신장치(215) 및 오디오 출력 회로(216) 등을 접속하는 데이터 선이다.
입력장치(208)와 리모트 콘트롤러(218)는, 예를 들면, 터치패널, 버튼 키, 레버, 다이얼 등의 조작 수단과,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에 대한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생성해서 메인 제어장치(201)에 출력하는 입력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 다.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유저는, 이 입력장치(208)이나, 후술하는 리모트 콘트롤러(218)를 조작함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에 대하여 각종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동작을 지시하거나 할 수 있다.
표시장치(210)는, 예를 들면 LCD패널 및 LCD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이 표시장치(210)는, 메인 제어장치(201)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휴대형 재생장치(20)내에 보유되어 있는 콘텐츠의 속성정보 이를테면, 타이틀 명, 앨범 명, 아티스트 명, 평가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스토리지 장치(211)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20)의 기억부의 일례로서 구성된 데이터 격납용 장치다. 이 스토리지 장치(211)는, 예를 들면, 수 십 GB의 기억 용량을 가지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로 구성되어, 압축된 콘텐츠나, 메인 제어장치(201)의 프로그램, 처리 데이터 등의 각종의 데이터를 격납한다. 이때, 휴대형 재생장치(20)가 구비하는 기억매체로서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이외에도, 플래시 메모리(202) 등의 반도체메모리나, 리무버블 기억매체(7)를 채용할 수 있다.
디코더(213)는,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복호처리, 디코드 처리, 서라운드 처리, PCM 데이터에의 변환 처리 등을 행한다.
통신장치(215)는, USB콘트롤러 및 USB단자 등으로 구성되어, USB케이블 등의 로컬라인(9)을 통해서 접속된 정보처리장치(10)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콘텐츠의 속성정보, 제어신호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장치(215)는, 통신 또는 무선 접속으로 정보처리장치와 통신을 위해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장 치(215)는 블루투스, 802.11a/b,g 등을 구비한다.
오디오 출력 회로(216)는, 디코더(213)에 의해 복호되어, CPU에 의해 DA변환 된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증폭해서 리모트 콘트롤러(218)에 출력한다. 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는, 리모트 콘트롤러(218)로부터 헤드폰(219)에 출력되어, 헤드폰(219)에 내장된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에서, 이러한 하드웨어 구성의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주요 데이터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휴대형 재생장치(PD)(20)가, 정보처리장치(PC)(1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했을 때의 데이터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휴대형 재생장치(20)와 정보처리장치(10)가, USB케이블 등의 로컬라인(9)으로 접속되면, 정보처리장치(10)에서는,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외부기억매체(HDD)로서 인식된다. 이 상태에서, 정보처리장치(10)가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콘텐츠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면, 통신장치(215)는, 이것들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어서, 수신된 콘텐츠 데이터는, 통신장치(215)에 의해 스토리지 장치(211)에 직접 기억된다. 한편, 통신장치(215)에 의해 수신된 제어 정보는, 데이터처리장치(204)를 경유하여, 메인 제어장치(201)에 입력되어, 소정의 기억영역에 기억된다.
다음에, 휴대형 재생장치(PD)(20)가, 콘텐츠를 재생할 때의 데이터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의 재생 요구가 메인 제어장치(201)에 입력되어, 메인 제어장치(201)에 의해 해당 콘텐츠의 재생이 허가되었을 경우에는, 데이터처리장치(204)는, 재생 대상의 콘텐츠를 스토리지 장치(211)로부터 판독하고, RAM(203) 에 전송함과 동시에 병행하여, RAM(203)에 전송된 콘텐츠를 디코더(213)에 전송한다. 이어서, 디코더(213)는, 암호화되어 있는 콘텐츠의 복호처리, 디코드 처리, 서라운드 처리, PCM데이터에의 변환 처리 등을 행하고, 메인 제어장치(201)에 전송한다. 또한, 메인 제어장치(201)는, 입력된 PCM데이터를, DA변환기(도시 생략)에 의해서 볼륨 조정을 행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오디오 출력 회로(216)의 앰프에 전송한다. 오디오 출력 회로(216)는, 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리모트 콘트롤러(218)를 거쳐서, 헤드폰(219)으로부터 출력한다.
<휴대형 재생장치(PD)의 기능 구성>
다음에, 도 6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주된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20)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예를 들면, 콘텐츠 기억부(220)와, 재생 조작부(222)와, 재생부(224)와, 일시 정보생성부(226)와, 재생 이력생성부(228)와, 재생 이력기억부(230)와, 삭제 지시 접수부(232)와, 삭제 콘텐츠 기억부(234)와, 전송부(236)와, 통신부(238)와, 취득부(240)와, 평가치 기록부(242)와, 콘텐츠 정보기억부(평가치 기억부)(244)와, 평가치 입력부(246)와, 표시 제어부(248)와, 표시부(250)를 주로 구비한다.
콘텐츠 기억부(220)는, 예를 들면, HDD등의 스토리지 장치(211), 플래시 메모리(202), 리무버블 기억매체(7) 등의 기억매체로 구성되어, 복수의 콘텐츠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는, 콘텐츠를 독특하게 식별하는 콘텐츠ID가 부가되어 있다.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는, 예를 들면, 휴대형 재생장치(20)가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나, 리무버블 기억매체(7)를 통해 취득된 콘텐츠등이다. 또한,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는, 휴대형 재생장치(20)가, 분배 서버(30)나, 다른 휴대형 재생장치(20)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취득한 콘텐츠이어도 된다.
재생 조작부(222)는, 휴대형 재생장치(20)가 구비하는 입력장치(208)를 통해 유저 입력된, 콘텐츠에 대한 재생 조작을 접수하고, 접수한 재생 조작의 정보를, 재생부(224)에 제공한다. 유저가 입력가능한 재생 조작에는, 예를 들면, 재생하는 콘텐츠의 선택, 선택한 콘텐츠의 재생, 재생중의 콘텐츠의 급속 전진, 재생중의 콘텐츠의 감아 되돌리기, 재생중의 콘텐츠의 재생 정지(일시정지 또는 중지를 포함함), 재생중의 콘텐츠의 스킵 등을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이 포함된다. 재생중의 콘텐츠의 스킵이란, 하나의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도중에, 감아 되돌리기 조작 또는 급속 전진 조작을 행함으로써, 재생 대상을 하나의 콘텐츠로부터 다른 콘텐츠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재생부(224)는,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재생부(224)는, 재생 조작부(222)로부터 재생 조작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재생 조작의 정보에 의거하여,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재생부(224)가 행하는 콘텐츠에 대한 처리에는, 콘텐츠의 재생, 재생중의 콘텐츠의 급속 전진, 재생중의 콘텐츠의 감아 되돌리기, 재생중의 콘텐츠의 재생 정지 등이 포함된다. 재생부(224)는, 콘텐츠에 대한 각 처리를 시작하면, 처리의 시작(이후, 재 생부(224)에 의한 콘텐츠에 대한 처리의 시작을, 이벤트의 발생이라고도 칭한다.)을 재생 이력생성부(228)에 통지한다. 재생부(224)는, 이벤트의 발생을 통지할 때에, 개시한 처리의 종별(콘텐츠의 재생, 재생중의 콘텐츠의 급속 전진(fast feeding), 재생중의 콘텐츠의 감아 되돌리기, 재생중의 콘텐츠의 재생 정지등. 이후, 개시한 처리의 종별을, 이벤트 종별이라고도 칭한다.)과, 처리 대상의 콘텐츠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콘텐츠ID)를 재생 이력생성부(228)에 제공한다.
일시 정보생성부(226)는, 일시의 정보를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일시 정보생성부(226)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내장 시계로부터 날짜와 시간을 취득하여, 일자와 시간의 정보가 포함되는 일시정보를 생성한다. 일시 정보생성부(226)는, 재생 이력생성부(228)로부터의 요구를 받아서 일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일시정보를 재생 이력생성부(228)에 출력한다.
재생 이력생성부(228)는, 재생부(224)에 의한 콘텐츠에 대한 처리 내용을 의미하는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재생 이력기억부(230)에 기록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재생 이력생성부(228)는, 재생부(224)가 행하는 콘텐츠에 대한 처리 에 따라,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벤트 로그를 재생 이력기억부(230)에 기록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그 이벤트 로그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재생 이력정보에 해당한다.
상세하게는, 재생 이력생성부(228)는, 이벤트의 발생을 재생부(224)로부터 통지된다. 재생 이력생성부(228)는, 이벤트의 발생의 통지를 받으면, 일시 정보생성부(226)로부터 일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일시정보와, 이벤트의 발생의 통지 에 포함되는 이벤트 종별과 처리 대상의 콘텐츠ID를 관련시켜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이벤트 로그를, 이벤트 로그가 시계열로 배치되도록 재생 이력기억부(230)에 기록한다.
재생 이력기억부(230)는, 예를 들면, HDD등의 스토리지 장치(211), 플래시 메모리(202) 등으로 구성되어, 재생 이력생성부(228)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로그(재생 이력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에서, 도 7a∼도 10을 참조하여, 이벤트 로그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 및 7b는, 재생 조작과 이벤트 로그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7a 및 7b의 "CID1" 및 "CID2"은 콘텐츠ID를 나타내고, "Play"는 콘텐츠의 재생, "FF"는 재생중의 콘텐츠의 급속 전진, "Pause"는 재생중의 콘텐츠의 일시정지, "Stop"을 나타낸다. 또한, 도 7a 및 7b의 참조부호 t는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 t1∼t7은, 재생 조작에 근거하는 각 이벤트가 발생한 일시를 나타낸다.
우선, 유저에 의한 재생 조작과, 그 재생 조작에 따라 행해지는 재생부(224)의 처리를 도 7(a)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a)의 예에 의하면, 유저는 우선 CID1의 콘텐츠의 재생을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지시하고, 그 지시에 따라 재생부(224)가 일시 t1에 CID1의 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한다. 다음에, 유저는, CID1의 콘텐츠의 재생중에, 재생중의 콘텐츠의 급속 전진을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지시하고, 그 지시에 따라 재생부(224)가 일시 t2에 CID1의 콘텐츠의 급속 전진을 시작한다. 유저가 급속 전진의 지시를 해제하면, 재생부(224)는, 지시가 해제된 시점, 즉 일시t3부터 다시, CID1의 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한다.
다음에, 유저는, CID1의 콘텐츠의 재생중에, 재생중의 콘텐츠의 일시정지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지시하고, 그 지시에 따라 재생부(224)가 일시 t4에 CID1의 콘텐츠의 재생 정지를 시작한다. 유저가 일시정지의 지시를 해제하면, 재생부(224)는, 지시가 해제된 시점, 즉 일시 t5부터 다시, CID1의 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한다. 계속해서, 유저의 지시를 받지 않고, 일시 t6에서 재생부(224)는 CID2의 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한다. 이것은, CID1의 콘텐츠의 재생이, CID1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끝까지 행해지고, 그 후, 재생 순서가 CID1의 다음인 CID2의 콘텐츠의 재생이 자동적으로 개시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CID 2의 콘텐츠의 재생중에, 유저는 재생중의 콘텐츠의 재생 정지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지시하고, 그 지시에 따라 재생부(224)가 일시 t7에서 CID2의 콘텐츠의 재생 정지를 시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재생부(224)는, 유저에 의한 콘텐츠의 재생 조작에 따라, 콘텐츠에 대한 각 처리를 시작한다. 그리고, 재생부(224)는, 유저의 지시에 따라, 어떤 처리(제1 처리라고 한다)를 시작한 후, 유저의 지시에 따라 다음 처리(제2 처리라고 한다)를 시작하기까지의 동안, 계속해서 제1 처리를 행한다. 즉, 재생부(224)는, t1부터 t2의 사이는 재생 처리, t2부터 t3의 사이는 급속 전진 처리, t3부터 t4의 사이는 재생 처리, t4부터 t5의 사이는 정지 처리, t5로부터 t7의 사이는 재생 처리를 각각 행한다.
재생부(224)에 의한 각 처리의 시작은, 이벤트의 발생으로서 재생 이력생성부(228)에 통지된다. 그리고, 이벤트 발생마다 이벤트 갱신부(208)에 의해 이벤트 로그가 생성되어, 생성된 이벤트 로그는 재생 이력기억부(230)에 기록된다. 이벤트 로그는, 1이벤트 1레코드로서 생성되어, 이벤트의 발생순으로 시계열을 이루어서 기록된다. 또한, 이벤트 로그에는, 처리 대상의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해서, 콘텐츠ID도 포함된다. 도 7(a)에 나타낸 각 이벤트의 발생 상황에 의거하여 생성된 이벤트 로그를 도 7(b)에 나타냈다.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이벤트의 발생에 대응하여, Record#1∼Record#9로 표시되는 이벤트 로그가 생성된다. Record#1과 Record#7은, 처리 대상의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레코드다. 재생 이력기억부(230)에는, 콘텐츠ID가 격납된 레코드에 이어서, 이벤트의 발생 일시(t1∼t7)와 이벤트 종별(PLAY, FF, STOP 등)이 격납된 레코드가, 이벤트의 발생 일시 순으로 기록된다.
도 9에, 재생 이력기억부(230)에 기억되는 이벤트 로그의 데이터 포맷의 일례를 들고, 도 7(b)의 이벤트 로그를 상기 포맷으로 재생 이력기억부(230)에 격납된 경우의 레코드 예를 나타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재생 이력기억부(230)에는, 8바이트 단위로 이벤트 로그가 기억된다. 1바이트째(부호 280, 부호 284등)에는 이벤트ID가 격납되고, 이벤트ID에 이어서 콘텐츠ID(부호 282) 또는 일시 정보(부호 286)이 격납된다.
이벤트ID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벤트ID는, 이벤트 종별을 나타내는 ID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이벤트ID 270은 각각 처리 내용 272와 대응되어 있고, 이벤트ID "00"은 콘텐츠의 시작을 나타내고, "01"은 콘텐츠의 재생, "02"는 재생 정지, "03"은 급속 전진, "04"는 감아 되돌리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대응시키는 것에 의거하여, 도 7(b) 및 도 9를 참조한다.
도 7(b)의 이벤트 로그 레코드 Record#1은, 도 9에서는, 1바이트째에 격납되는 이벤트ID "00"과, 그 다음에 격납되는 콘텐츠ID 282에 대응한다. 이때, 본 예에서는, 콘텐츠ID를 24바이트로 했기 때문에, 이벤트ID "00"이 격납되는 8바이트의 레코드중의 2바이트째로부터 8바이트째까지를 공백으로 하고, 다음의 3레코드(8바이트×3=24바이트)를 사용해서 콘텐츠ID를 격납하고 있다.
도 7(b)의 이벤트 로그 레코드 Record#2는, 도 9에서는, 1바이트째에 격납되는 이벤트ID "01" (부호 284)와, 이벤트ID에 계속되어서 격납되는 일시 정보 t1(부호 286)에 대응한다. 일시 정보는, 8바이트로 구성되는 1레코드중의 2바이트째로부터 8바이트째까지의 7바이트를 사용해서 격납된다.
도 7(b)의 이벤트 로그 레코드 Record#3은, 도 9에서는, 1바이트째에 격납되는 이벤트ID "03"과, 이벤트ID에 계속되어서 격납되는 일시 정보 t2에 대응한다. 이후,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 7(b)의 Record#4∼Record#9이, 도 9에 나타낸 포맷으로 재생 이력기억부(230)에 격납된다.
도 10에, 유저에 의한 재생 조작의 종류와, 각 재생 조작에 따라 작성되는 이벤트 로그를 대응하게 나타냈다. 휴대형 재생장치(20)에는, 입력장치로서 예를 들면, 버튼이 구비되어 있고, 유저는 그 버튼을 조작하여, Next, Search, Prev, Repeat, Pause, Rew, FF의 각 지시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Next는, 콘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재생중의 콘텐츠의 다음 재생 순서로 되는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지시다. Search는, 검색된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지시다. 또한, Prev는, 콘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재 생중의 콘텐츠 앞의 재생 순서로 되는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지시다. Repeat는, 콘텐츠의 재생이 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직전에 재생된 콘텐츠를 다시 재생시키는 지시다. 또는, Repeat는, 콘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재생중의 콘텐츠를 다시 재생시키는 지시다. Pause는, 재생중의 콘텐츠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지시다. Rew는, 재생중의 콘텐츠를 감아 되돌리게 하는 지시다. FF는, 재생중의 콘텐츠를 급속 전진시키는 지시다.
도 10의 콘텐츠 바로 앞으로의 Rew 지시는, 재생중의 콘텐츠를 감아 되돌리게 하는 지시를 하고, 또한, 재생 대상이 재생중의 콘텐츠로부터 다른 콘텐츠(재생 순서가 재생중의 콘텐츠보다도 앞의 콘텐츠)로 이동할 때까지 감아 되돌리기를 시켰을 경우다. 마찬가지로, 콘텐츠 바로 뒤로의 FF 지시는, 재생중의 콘텐츠를 급속 전진시키는 지시를 하고, 또한, 재생 대상이 재생중의 콘텐츠로부터 다른 콘텐츠(재생 순서가 재생중의 콘텐츠보다도 뒤의 콘텐츠)로 이동할 때까지 급속 전진을 시켰을 경우다. 환언하면, 콘텐츠 바로 앞에 대한 Rew 지시와 콘텐츠 바로 뒤의 FF 지시는, 유저에 의해 재생중의 콘텐츠의 스킵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해당한다.
유저의 재생 조작에 의해, Next 또는 Search의 지시가 되었을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되어 있었던 콘텐츠(CID1)의 재생 정지(Stop)이 이벤트 로그로서 기록된 후에, Next 또는 Search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의 콘텐츠ID(CID2)가 기록되어, 계속해서 재생 개시(Play)가 기록된다.
유저의 재생 조작에 의해, Prev의 지시가 되었을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되어 있었던 콘텐츠(CID1)의 재생 정지(Stop)가 이벤트 로그로 서 기록된 후에, Prev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의 콘텐츠ID(CID1)이 기록되어, 계속해서 재생 개시(Play)가 기록된다.
유저의 재생 조작에 의해, Repeat의 지시가 되었을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되어 있었던 콘텐츠(CID1)의 재생 정지(Stop)가 이벤트 로그로서 기록된 후에, Repeat에 의해 재차 재생되는 콘텐츠의 콘텐츠ID(CID1)가 기록되고, 계속해서 재생 개시(Play)가 기록된다.
유저의 재생 조작에 의해, Pause의 지시가 되었을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되어 있었던 콘텐츠(CID1)의 재생 정지(Stop)가 이벤트 로그로서 기록되고, 그 후, Pause의 해제에 따라 재개된 동 콘텐츠의 재생이, 재생 개시(Play)로서 기록된다.
유저의 재생 조작에 의해, Rew의 지시가 되었을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되어 있었던 콘텐츠(CID1)의 재생 정지(Stop)가 이벤트 로그로서 기록되고, 그 후, Rew의 해제에 따라 재개된 동 콘텐츠의 재생이, 재생 개시(Play)로서 기록된다. FF의 지시가 되었을 경우도 마찬가지다.
유저의 재생 조작에 의해, Rew의 지시가 되어 재생 대상이 다른 곡으로 이동할 때까지 감아 되돌리기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되어 있었던 콘텐츠(CID1)의 재생 정지(Stop)가 이벤트 로그로서 기록되고, 그 후, Rew의 해제에 따라 재생이 개시된 콘텐츠의 콘텐츠ID(CID2)와, 재생 개시(Play)가 기록된다. FF의 지시가 되었을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상, 다양한 이벤트를 상세하게 설명했다.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로그에, 콘텐츠에 대한 처리의 내용과, 각 처리의 개시 일시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유저에 의한 콘텐츠의 재생 조작의 상황을 이벤트 로그에 반영시킬 수 있다. 유저에 의한 콘텐츠의 재생 조작의 상황에는, 예를 들면, 유저가 콘텐츠를 재생시킨 시기나 회수, 콘텐츠의 재생중에 감아 되돌리기나 급속 전진을 한 회수, 콘텐츠를 스킵한 회수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다시 도 6으로 돌아가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기능 구성에 관한 설명을 계속한다.
삭제 지시 접수부(232)는, 유저 입력에 따라,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의 삭제 지시를 받으면, 해당 삭제 지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ID를, 삭제 콘텐츠 기억부(234)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삭제 지시 접수부(232)는, 삭제 예정 리스트를 생성해서 삭제 콘텐츠 기억부(234)에 기억한다. 이 삭제 예정 리스트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삭제 지시를 받은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ID의 리스트다. 또한, 삭제 지시 접수부(232)는, 삭제 예정 리스트 이외에도, 삭제 지시된 콘텐츠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면, 타이틀 명, 앨범 명, 아티스트 명 등의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기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삭제 콘텐츠 기억부(234)는, 예를 들면, HDD 등의 스토리지 장치(211), 플래시 메모리(202)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삭제 예정 리스트를 기억한다.
전송부(236)는, 정보처리장치(10)이나 분배 서버(30) 등의 외부장치로부터의 전송 요구에 따라, 재생 이력기억부(230)에 기억된 이벤트 로그(재생 이력정보)를, 통신부(238)를 통하여, 해당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전송부(236)는, 접속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의 요구를 받으면, 재생 이력기억부(230)로부터 이벤트 로그를 판독하여, 판독한 이벤트 로그를 상기 접속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또한, 전송부(236)는, 정보처리장치(10)의 요구에 따라,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 또는 값들을, 평가치 기억부로서의 콘텐츠 정보기억부(244)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정보처리장치(1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정보처리장치(10)는, 전송된 연산 평가치와, 정보처리장치(10)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를 예를 들면 평균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작성하고,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송신할 수 있다.
또, 전송부(236)는, 콘텐츠 기억부(226)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가 평가치 기억부(226)에 기억되어 있을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10)의 요구에 따라, 해당 각 입력 평가치를 평가치 기억부(226)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정보처리장치(10)에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는, 전송된 입력 평가치와, 정보처리장치(10)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를 예를 들면 평균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응하는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작성하고,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송신할 수 있다.
또, 전송부(236)는,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휴대형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ID를 해당 정보처리장치(10)에 전송 한다. 이 디바이스ID는, 휴대형 재생장치(2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다. 이러한 디바이스ID를 송신함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에 해당 디바이스ID를 기록하고, 해당 디바이스ID에 대응하는 휴대형 재생장치(20)를 정보처리장치(10)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등록을 조건으로서, 해당 디바이스ID에 대응하는 휴대형 재생장치(20)와 해당 정보처리장치(10)와의 사이에서, 예를 들면, 콘텐츠, 콘텐츠의 속성정보, 재생 이력정보,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 삭제 예정 리스트, 플레이 리스트 등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기기간에, 이것들의 정보를 공유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236)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접속된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삭제 콘텐츠 기억부(234)에 기억된 삭제 지시를 받은 콘텐츠ID, 예를 들면, 삭제 예정 리스트를, 해당 정보처리장치(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접속된 정보처리장치(10)에 대하여,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삭제를 요구하고, 정보처리장치(10)에 의해 해당 콘텐츠를 삭제시킬 수 있다.
요컨대,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처리 능력이나 배터리의 제약상, 자신에서 콘텐츠의 삭제를 행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 이 때문에, 유저로부터 콘텐츠의 삭제가 요구되었을 경우, 휴대형 재생장치(20)는 그 콘텐츠ID의 식별자를 삭제 예정 리스트에 기록해서 보존해 둔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가 접속되었을 때에, 삭제 예정 리스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정 보처리장치(10)의 삭제 실행부(도시 생략)에 의하여, 이 삭제 예정 리스트에 의거하여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부(220)로부터 콘텐츠가 삭제된다.
취득부(240)는, 정보처리장치(10)이나 분배 서버(30)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해당 외부장치에 의해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된 연산 평가치 등을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송부(236)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의 재생 이력정보(이벤트 로그)가 정보처리장치(10)에 전송되면, 정보처리장치(10)는 해당 재생 이력정보와 정보처리장치(10)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재생 이력정보에 대응하는 각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를 연산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해당 각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를 갱신하여,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송신한다. 취득부(240)는,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 통신부(238)를 통하여, 상기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를 수신해서 취득한다. 또한, 취득부(240)는, 이렇게 취득한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를, 평가치 기록부(242)에 출력한다.
또, 취득부(240)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접속된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 콘텐츠, 콘텐츠의 속성정보, 플레이 리스트 등을 취득할 수도 있다. 취득부(240)는, 이렇게 취득한 콘텐츠, 콘텐츠의 속성정보, 플레이 리스트 등을, 콘텐츠 기억부(220),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도시 생략) 등에 기록한다.
평가치 기록부(242)는, 정보처리장치(10)으로부터 취득된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를,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되게 만들고, 평가치 기억부로서의 콘텐츠 정보기억부(244)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평가치 기록부(242)는, 취득 부(240)로부터 입력된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와, 해당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가 부가된 콘텐츠의 콘텐츠ID를 콘텐츠 정보기억부(244)에 기억한다. 또한, 이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에 대응하는 콘텐츠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다.
또, 평가치 기록부(242)는, 취득부(240)에 의해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가 취득될 때마다, 콘텐츠 정보기억부(244)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상기 취득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로 각각 갱신한다.
콘텐츠 정보기억부(244)는, 예를 들면, HDD등의 스토리지 장치(211), 플래시 메모리(202) 등으로 구성된다. 이 콘텐츠 정보기억부(244)는, 상기 각 콘텐츠의 속성정보(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 타이틀, 아티스트, 앨범 명, 쟝르 등)를, 해당 콘텐츠의 콘텐츠ID와 관련시켜서 기억한다. 이 콘텐츠 정보기억부(24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평가치 기억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를 그 밖의 속성정보와 분리하여,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가치 입력부(246)는, 유저 입력에 따라,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특정한 콘텐츠의 재생중에,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면,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248)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의 표시부(250)에, 입력 평가치 설정 화면 4c가 표시된다. 이것에 따라, 유저가 평가치 입력 조작을 행하면, 평가치 입력부(246)는, 해당 평가치 입력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1∼5의 입력 평가치를, 해당 재생중의 콘텐츠에 대하여 설정한다. 도 11의 입력 평가치 설정 화면 4c의 예에서는,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가 2포인트 "★★" 로 설정되어 있다.
평가치 입력부(246)는, 이렇게 설정한 입력 평가치와 콘텐츠ID를 평가치 기록부(242)에 출력하고, 평가치 기록부(242)는, 이 입력 평가치를 해당 콘텐츠ID와 함께 콘텐츠 정보기억부(244)에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도,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고, 즉시, 최신의 입력 평가치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표시 제어부(248)는, 표시부(250)에 있어서의 각종 정보의 표시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248)는, 콘텐츠 정보기억부(244)내의 동일한 콘텐츠에 관한 연산 평가치 또는 입력 평가치를 판독하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산 평가치보다 입력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표시부(250)에 표시시킨다. 또한, 특정한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가 표시될 때에, 평가 입력부(244)에 의해 특정한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248)는, 상기 표시중의 연산 평가치 대신에, 상기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표시부(250)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또, 표시 제어부(248)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플레이 리스트를 표시부(250)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248)는, 재생 조작부(222)에 의한 콘텐츠의 검색시 등에는, 유저의 조작 내용 에 따라, 각종의 검색 화면 등을 표시부(250)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또, 표시 제어부(248)가,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표시부(250)에 표시시키고 있는 모드에서도, 상기 전송부(236)는, 예를 들면 휴대형 재생장치(20)과 정보처리장치(10)의 접속시에, 정보처리장치(10)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재생 이력정보를 정보처리장치(10)에 전송하고, 취득부(240)는, 해당 전송된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정보처리장치(10)에 의해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고, 기록부는, 해당 연산 평가치를 콘텐츠 정보기억부(244)에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입력 평가치가 설정완료의 콘텐츠에 대해서라도,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가 수시, 재생 상황을 반영한 최신의 값으로 갱신된다. 이때, 표시부(250)는, 상기 표시장치(210)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송부(236)에 의한 재생 이력정보(이벤트 로그)의 전송에 따라,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 송신된 연산 평가치를 취득부(240)에 의해 취득해서 평가치 기록부(242)에 의해 콘텐츠 정보기억부(244)에 기록한 후에,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228)는,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230)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전송완료의 재생 이력정보를 삭제한다. 이것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에 전송되어 연산 평가치에 반영된 재생 이력정보가 삭제되고, 그 후의 콘텐츠의 재생 조작에 따라, 새로운 재생 이력정보가 재생 이력기억부(230)에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재생 이력정보를 연산 평가치에 중복해서 반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재생장치(20)의 각부의 기능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다. 또한, 상기 재생 조작부(222), 재생부(224), 일시 정보생성부(226), 삭제 지시 접수부(232), 전송부(236), 취득부(240), 평가치 기록부(242), 평가치 입력부(246), 및 표시 제어부(248) 등은, 예를 들면, 상기 각 기능을 가지는 하드웨 어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또는, 상기 각 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인스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정보처리장치(PC)의 기능 구성>
다음에, 도 12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의 주된 기능 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2를 참조하면, 정보처리장치(10)는, 콘텐츠 기억부(120)과, 재생 조작부(122)와, 재생부(124)와, 일시 정보생성부(126)와, 재생 이력생성부(128)와, 재생 이력기억부(130)와, 통신부(132)와, 접속 검지부(134)와, 취득부(136)와, 재생 이력해석부(138)와, 해석 결과 기억부(140)와, 평가치 연산부(142)와, 평가치 기록부(144)와, 평가치 입력부(146)와, 평가치 기억부로서의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와,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와,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152)와, 전송부(154)와, 콘텐츠 삭제부(156)와, 분배 서비스 이용부(158)와, 평가치 송신부(160)와, 리핑부(162)와, 검색 리스트 생성부(164)와, 표시 제어부(168)와, 표시부(170)를 주로 구비한다.
이 중, 콘텐츠 기억부(120), 재생 조작부(122), 재생부(124), 일시정보생성부(126), 재생 이력생성부(128), 및 재생 이력기억부(130)는, 전술한 휴대형 재생장치(20)이 구비하는 콘텐츠 기억부(220), 재생부(224), 재생 조작부(222), 일시정보생성부(226), 재생 이력생성부(228), 및 재생 이력기억부(230)와 거의 같은 기능 구성을 갖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정보처리장치(10)은, 휴대형 재생장치(20) 와 마찬가지로, 유저에 의한 재생 조작에 의거하여 콘텐츠에 대한 각 처리를 행하여, 재생 이력정보로서의 이벤트 로그를 생성해서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기억부(120)는, 예를 들면, HDD등의 스토리지 장치(111), 반도체메모리, 리무버블 기억매체(7) 등의 기억매체로 구성되어, 복수의 콘텐츠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재생 이력생성부(228)는, 생성한 이벤트 로그를, 재생 이력기억부(130)를 통하지 않고 재생 이력해석부(138)에 직접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통신부(132)는, 예를 들면, 상기 접속 포트(114)나 통신장치(115)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로컬라인(9)나 네트워크(5)를 통하여, 휴대형 재생장치(20) 및 분배 서버(30)와의 사이에서 각종의 정보를 통신가능하다.
접속 검지부(134)는, 통신부(132)를 통해서 다른 외부장치가 정보처리장치(10)에 접속된 것을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검지부(134)는, 접속 포트(114)에 휴대형 재생장치(20)가, 상기 로컬라인(9)을 통해 로컬 접속된 것을 검지하고, 취득부(136)에 통지한다. 또한, 접속 검지부(134)는, 휴대형 재생장치(20)와 정보처리장치(10)와의 연속 접속 시간을 검지할 수 있고, 해당 연속 접속 시간이 특정 시간(예를 들면, 1시간)을 경과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면, 그 취지를 취득부(136)에 통지한다.
취득부(136)는, 휴대형 재생장치(20)으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재생 이력정보,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 등을, 통신부(132)를 통해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취득부(136)는, 상기 접속 검지부 134 로부터, 휴대형 재생장치(20)와의 접속의 검지의 통지를 받으면, 접속되어 있는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의 재생 이력정보로서의 이벤트 로그를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부(136)는,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한 이벤트 로그를 재생 이력해석부(140)에 출력한다. 또한, 취득부(136)는,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20)내에 기억되어 있는 각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와 입력 평가치를 취득하여, 평가치 연산부(142)에 출력한다.
또한, 취득부(136)는,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삭제 지시된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ID를 의미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면 삭제 예정 리스트를 취득한다. 이 결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10)의 삭제 실행부(도시 생략)에 의하여, 해당 삭제 예정 리스트에 근거하여 휴대형 재생장치(20)의 기억장치로부터 콘텐츠가 삭제된다. 이러한 삭제 예정 리스트를 사용하여, 정보처리장치(10)가, 휴대형 재생장치(20)내의 콘텐츠를 삭제함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처리부하를 저감하고, 배터리의 소모를 억제하고, 콘텐츠의 재생 등을 장시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취득부(136)는, 상기 취득한 삭제 예정 리스트를 평가치 연산부(142)에 출력한다.
재생 이력해석부(138)는, 재생 이력기억부(130)에 기억되어 있는 재생 이력정보로서의 이벤트 로그와, 취득부(136)가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한 재생 이력정보로서의 이벤트 로그의 해석을 행한다. 이후, 재생 이력기억부(130)에 기억되어 있는 이벤트 로그를, 정보처리장치(10)의 이벤트 로그라 칭하고, 취득부(136) 가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한 이벤트 로그를,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이벤트 로그라고 칭한다. 또한, 어느 쪽의 이벤트 로그에서도 좋은 경우에는, 간단히 이벤트 로그라고 칭하고, 양쪽의 이벤트 로그를 가리킬 경우에는 양쪽의 이벤트 로그라고 칭한다.
구체적으로는, 재생 이력해석부(138)는, 이벤트 로그로부터, 각 콘텐츠의 재생 개시 일시, 재생 종료 일시, 재생 회수, 휴지 회수, 스킵 회수, 리피트 회수, 및 총 재생시간을 구한다. 재생 이력해석부(138)는, 이벤트 로그로부터, 콘텐츠ID가 격납된 레코드의 직후에 위치하는 재생 개시의 이벤트 로그에 포함되는 일시정보를 추출함에 의해, 각 콘텐츠ID에 해당하는 각 콘텐츠의 재생 개시 일시를 구할 수 있다.
또, 재생 이력해석부(138)는, 이벤트 로그로부터, 각 콘텐츠의 재생 개시 일시 또는 재생 정지의 이벤트 로그에 포함되는 일시정보를 추출함에 의해, 각 콘텐츠의 재생 종료 일시를 구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콘텐츠ID가 격납된 레코드의 직전에 위치하는 재생 정지의 이벤트 로그는, 그 재생 정지 이벤트의 발생에 의해 재생이 정지된 콘텐츠의 재생 종료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ID가 격납된 레코드의 직전에 위치하는 재생 정지의 이벤트 로그에 포함되는 일시정보는, 그 재생 정지 이벤트의 발생에 의해 재생이 정지된 콘텐츠의 재생 종료 일시를 나타낸다.
한편, 콘텐츠ID가 격납된 레코드의 직전에, 재생 정지의 이벤트 로그가 없을 경우에는, 콘텐츠ID가 격납된 레코드의 직후에 위치하는 재생 개시의 이벤트 로그 가, 새로운 콘텐츠의 재생 개시와 함께, 직전의 콘텐츠의 재생 종료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ID가 격납된 레코드의 직전에, 재생 정지의 이벤트 로그가 없을 경우에는, 콘텐츠ID가 격납된 레코드의 직후에 위치하는 재생 개시의 이벤트 로그에 포함되는 일시정보가, 새로운 콘텐츠의 재생 개시 일시와 함께, 직전의 콘텐츠의 재생 종료 일시를 나타낸다. 그래서, 재생 이력해석부(138)는, 이벤트 로그로부터, 각 콘텐츠의 재생 개시 또는 재생 정지의 이벤트 로그에 포함되는 일시정보를 추출함에 의해, 각 콘텐츠의 재생 종료 일시를 구할 수 있다.
또, 재생 이력해석부(138)는, 콘텐츠ID가 격납된 레코드의 직후에 위치하는 재생 개시의 이벤트 로그에 의거하여, 각 콘텐츠의 재생 회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이력해석부(138)는, 도 8에 나타낸 각 재생 조작에 따른 이벤트 로그에 의거하여, 각 콘텐츠의 휴지 회수, 스킵 회수, 리피트 회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이력해석부(138)는, 콘텐츠마다, 관련되는 이벤트 로그를 추출해서 계산함에 의해, 각 콘텐츠의 총 재생시간을 구할 수 있다.
재생 이력해석부(138)는, 이벤트 로그의 해석 후, 해석 결과를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기록한다. 해석 결과 기억부(140)는, HDD등의 스토리지 장치(211) 또는 플래시 메모리(202) 등의 기억매체로 구성되어, 재생 이력해석부(138)에 의한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를 기억한다. 상세하게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는, 해석 결과로서, 예를 들면, 각 콘텐츠의 재생 회수, 휴지 회수, 스킵 회수, 리피트 회수, 총 재생시간의 정보가 격납된다. 또한,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는, 해석 결과로서, 예를 들면, 각 콘텐츠의 재생 개시 일시, 재생 종료 일시, 1회마다의 계속 재생시간이 격납되어도 된다. 또한,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는, 각 콘텐츠의 재생 종료 일시가 격납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기억되는 해석 결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기억되는 해석 결과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재생 이력해석부(138)가, 이벤트 로그로부터 각 콘텐츠에 관한 재생 상황을 해석한 결과를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격납한 경우의, 해석 결과 기억부(140)의 기억 내용을 나타낸다(이후, 재생 상황 테이블이라고도 칭한다).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해석 결과 기억부(140)의 재생 상황 테이블에는, 콘텐츠마다, 콘텐츠ID(CID)(140a), 재생 회수(140b), 휴지 회수(140c), 스킵 회수(140d), 리피트 회수(140e), 및 총 재생시간(140f)이 관련되어서 기억되어 있다.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의해 해석된 이벤트 로그가, 정보처리장치(10)의 이벤트 로그일 경우에는, 재생 상황 테이블에는, 정보처리장치(10)에 있어서 재생된 콘텐츠의 재생 회수, 휴지 회수, 스킵 회수, 리피트 회수, 총 재생시간이 격납된다.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의해 해석된 이벤트 로그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이벤트 로그일 경우에는, 재생 상황 테이블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 재생된 콘텐츠의 재생 회수, 휴지 회수, 스킵 회수, 리피트 회수, 총 재생시간이 격납된다. 또한,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의해 해석된 이벤트 로그가, 정보처리장치(10)의 이벤트 로그 및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이벤트 로그일 경우에는, 재생 상황 테이블에는, 정보처리장치(10) 또는 휴대형 재생장치(20) 중 적어도 어느 한쪽 에서 재생된 콘텐츠의 재생 회수, 휴지 회수, 스킵 회수, 리피트 회수, 총 재생시간이 격납된다.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양쪽에서 재생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정보처리장치(10)에서의 재생 회수 등과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의 재생 회수 등이 합계된 값이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격납된다.
콘텐츠ID(140a)는, 콘텐츠를 독특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다. 재생 회수(140b)는, 콘텐츠ID(140a)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가 재생된 회수다. 휴지 회수(140c)는, 콘텐츠ID(140a)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가 재생되어 있는 도중에 재생이 정지된 회수다. 스킵 회수(140d)는, 콘텐츠ID(140a)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가 재생되어 있는 도중에 스킵된 회수다. 리피트 회수(140e)는, 콘텐츠ID(140a)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가 반복해 재생된 회수다. 총 재생시간(140f)은, 콘텐츠ID(140a)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가 재생된 시간의 합계다. 이때, 총 재생시간(140f)에는, 콘텐츠가 실제로 재생되어 있었던 시간의 합계가 격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총 재생시간(140f)에 격납되는 시간에는, 급속 전진되어 있었던 시간이나, 감아 되돌리기를 하고 있었던 시간, 재생이 정지되어 있었던 시간 등은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재생 이력해석부(138)가, 이벤트 로그로부터, 각 콘텐츠의 재생마다의 이력을 해석한 결과를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격납한 경우의, 해석 결과 기억부(140)의 기억 내용을 나타낸다(이후, 종종 재생 이력 테이블이라고도 칭한다). 이벤트 로그에 있어서 콘텐츠 ID가 격납되어 있는 레코드의 직후에 위치하는 재생 개시의 이벤트로부터, 상기의 재생 종료까지를 1개의 재생의 이력이라고 한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해석 결과 기억부(140)의 재생 이력 테이블에는, 콘텐츠ID(140a), 재생 개시 일시(140g), 재생 종료 일시(140h), 및 계속 재생시간(140i)가 관련시켜서 기억되어 있다.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의해 해석된 이벤트 로그가, 정보처리장치(10)의 이벤트 로그일 경우에는, 재생 이력 테이블에는, 정보처리장치(10)에서 재생된 콘텐츠의 재생 개시 일시, 재생 종료 일시 및 재생 시간이 격납된다.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의해 해석된 이벤트 로그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이벤트 로그일 경우에는, 재생 이력 테이블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 재생된 콘텐츠의 재생 개시 일시, 재생 종료 일시 및 재생 시간이 격납된다. 또한,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의해 해석된 이벤트 로그가, 정보처리장치(10)의 이벤트 로그 및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이벤트 로그일 경우에는, 재생 이력 테이블에는, 정보처리장치(10) 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중 어느 하나에서 재생된 콘텐츠의 재생 개시 일시, 재생 종료 일시 및 재생 시간이 격납된다.
콘텐츠ID(140a)는, 콘텐츠를 독특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다. 재생 개시 일시 (140g)는, 콘텐츠ID(140a)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된 일시다. 상세하게는, 재생 개시 일시(140g)에는, 이벤트 로그에 있어서 콘텐츠ID가 격납되어 있는 레코드의 직후에 위치하는 재생 개시의 이벤트 로그에 포함되는 일시정보가 격납된다. 재생 종료 일시(140h)는, 콘텐츠ID(140a)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가, 재생 개시 일시(140g)에 격납된 일시에 재생이 개시되었을 때의 재생 종료 일시가 격납된다. 재생 종료 일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할 수 있다. 계속 재생시간(140i)은, 콘텐츠ID(140a)에 의해 식별되는 콘텐츠가, 재생 개시 일시(140g)에 격납된 일시에 재생이 개시되었을 때의 계속 재생시간이 격납된다. 이 계속 재생시간(140i)에 격납되는 시간에는, 감아 되돌리기, 급속 전진, 및 일시정지되어 있었던 시간 등이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의 방법에 의해 구하는 것이 가능한 콘텐츠의 재생 종료 일시(140h)로부터 재생 개시 일시(140g)를 감산한 시간으로부터, 또한, 감아 되돌리기, 급속 전진, 일시정지되어 있었던 시간을 감산함에 의해, 실제로 콘텐츠가 계속 재생되어 있었던 시간을 구할 수 있다.
이상,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기억되는 해석 결과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다. 도 12로 되돌아가서, 정보처리장치(10)의 기능 구성에 관한 설명을 계속한다.
평가치 연산부(142)는, 취득부(136)에 의해 취득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와, 재생 이력생성부(128)에 의해 생성된 정보처리장치(10)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에서, 평가치 연산에 사용되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취득부(136)에 의해 취득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이벤트 로그를, 재생 이력해석부(138)에 의해 해석한 해석 결과다. 또한, 평가치 연산에 사용되는 정보처리장치(10)의 재생 이력정보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재생 이력생성부(128)에 의해 생성된 정보처리장치(10)의 이벤트 로그를, 재생 이력해석부(138)에 의해 해석한 해석 결과다.
이 평가치 연산부(142)에 의한 평가치 연산의 타이밍은, 예를 들면, 정보처 리장치(10)과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접속시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속 검지부(134)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가 정보처리장치(10)에 접속된 것을 검지되면, 취득부(136)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이벤트 로그가 취득되어, 재생 이력해석부(138)에 의해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이벤트 로그가 해석되고, 그 해석 결과가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기억된다. 그러면, 평가치 연산부(142)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로부터 해석 결과를 판독하여, 해당 해석 결과에 근거해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를 연산한다. 또한, 평가치 연산부(142)는, 해당 연산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와, 과거에 연산되어서 평가치 기억부로서의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동일 콘텐츠에 관한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연산한다. 이 연산 평가치는, 전송부(154)에 출력되어서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됨과 동시에, 평가치 기록부(144)에 출력되어서, 평가치 기억부로서의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록된다.
한편,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가 계속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10)는, 특정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마다,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이벤트 로그를 취득하고, 해당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는 연산 평가를 연산하고,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함과 동시에,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계속 접속시에는, 상기 특정 시간(예를 들면, 1시간)마다, 평가치 연산부(134)는,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 억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를, 재생 이력생성부(128)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에 근거해 재연산하고, 해당 재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하고, 및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록해도 된다.
또,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와의 접속의 유무에 관계 없이, 평가치 연산부(142)는, 예를 들면,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부(124)에 의해 하나의 콘텐츠의 재생 처리가 이루어질 때마다(콘텐츠의 재생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해당 재생 처리에 따른 재생 이력정보(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를 연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를, 개개의 콘텐츠의 재생처리마다 다이내믹하게 갱신해 갈 수 있다.
또, 평가치 연산부(142)는, 취득부(136)에 의해 취득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와,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를 합산(merging)하고,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평가치 연산부(142)는, 취득부(136)에 의해 취득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입력 평가치와,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10)의 입력 평가치를 합산하고,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취득부(136)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가 취득되어,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가 취득부(136)으로부터 입력되면, 평가치 연산부(142)는, 해당 휴대형 재생장 치(20)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와 동일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콘텐츠 정보기억부(148)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평가치 연산부(142)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와,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를 평균하여,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산출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입력 평가치와, 정보처리장치(10)의 입력 평가치를 평균하여,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산출한다. 또한, 평가치 연산부(142)는, 해당 새로운 연산 평가치와 입력 평가치를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함과 동시에, 해당 새로운 연산 평가치와 입력 평가치를 전송부(154)에 출력해서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시킨다.
이렇게, 평가치 연산부(142)는, 정보처리장치(10)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와,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각각 합산해서 동기를 취하는 평가치 동기부로서도 기능한다.
여기에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평가치 연산부(142)에 의한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한 연산 평가치의 구체적인 연산 수법(자동 레이팅의 포인트 조정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정보처리장치(10)는, 예를 들면, 분배 서버(30)로부터 분배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리핑(162)에 의해 기억매체(7a)로부터 콘텐츠를 리핑하거나, 또는, 정보처리장치(10)가 갖는 것 외의 콘텐츠 재생 소프트웨어로 임포트 하거나 함으로써, 신규 콘텐츠를 취득하여, 콘텐츠 기억부(120)에 기록할 수 있다. 이렇게, 정보처리장치(10)가 신규의 콘텐츠를 취득했을 경우,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의 초기값 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3.0"으로 설정되어 있다.
유저의 기호성을 반영한 레이팅을 행하기 위해서, 상기 신규 콘텐츠로 설정된 연산 평가치는, 그 후의 유저에 의한 재생 조작에 따라,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기준으로, 조정된다.
우선, 유저의 기호에 맞는 콘텐츠(예를 들면, 좋아하는 곡)의 연산 평가치를 가산하는 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콘텐츠가 충분한 시간에 걸쳐 재생되어, 유저에 의해 시청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는 유저의 기호에 맞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콘텐츠가 특정 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재생될 때마다, 해당 콘텐츠의 평가가 높아지도록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산 기준시간(N초)이상 스킵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재생된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를, 소정의 가산 포인트(예를 들면, 0.2포인트)만 증가시킨다. 다시 말해, 콘텐츠의 계속 재생시간이, 소정의 가산 기준시간(N초)이상이면, 소정의 가산 포인트만 가산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의 재생 개시 후, 충분하게 계속 재생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의 평가가 높아지도록 연산 평가치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가산 기준시간 N은, 일반적인 1개의 콘텐츠의 재생 시간 (예를 들면, 5분)이나 유저의 시청 경향 등에 따라, 해당 일반적인 1개의 콘텐츠의 재생 시간 이하의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가산 포인트는, 유저의 시청 경향 등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산 기준시간 N이 예를 들면 60초(1분)로 설정되고, 소정의 가산 포인트가 0.2포인트로 설정된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어떤 콘텐츠가 60초이상 재생될 때마다,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가 0.2포인트씩 가산되게 된다. 그러나, 연산 평가치의 상한치(예를 들면, 5.0)까지 증가했을 경우에는, 그 이상은 가산되지 않는다.
한편, 유저의 기호에 맞지 않는 콘텐츠(예를 들면, 사용자가 싫은 곡)의 연산 평가치를 감산하는 방식에 관하여 설명한다. 유저의 기호에 맞지 않는 콘텐츠에 대하여 해당 유저가 행하는 조작으로서는, [조작1] 재생된 콘텐츠(곡)를 들어서 마음에 들지 않으므로, 스킵하는 조작, [조작2] 휴대형 재생장치(20) 위에서 삭제를 소망하는 콘텐츠를 삭제 예정 리스트에 등록하는 조작 등이 생각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1"에 대응하기 위해서,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재생 개시 후, 소정의 감산 기준시간(M초)미만에서 스킵된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를, 소정의 제1 감산 포인트(예를 들면, 0.1포인트)만 감산한다. 다시 말해, 콘텐츠의 계속 재생시간이, 소정의 기준시간(M초) 이상이면, 소정의 감산 포인트 감산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의 재생 개시 후, 빠른 시기에 스킵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의 평가가 낮아지도록 연산 평가치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감산 기준시간 M은, 일반적인 1개의 콘텐츠의 재생 시간이나 유저의 시청 경향 등에 따라,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소정의 감산 기준시간 M은, 상기 소정의 가산 기준시간 N과 동일하여도 좋고(N=M), 또는, 상기 소정의 가산 기준시간 N보다도 짧은 시간이어도 된다(N>M). N=M일 경우에는, 어떤 콘텐츠가 재생되면, 스킵의 유무에 관계 없이,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를 반드시 증감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N>M일 경우에는, 어떤 콘텐츠가 재생되면, 계속 재생시간이 M이상 N미만의 콘텐츠에 관해서는, 연산 평가치를 증감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소정의 제1 감산 포인트는, 유저의 시청 경향 등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연산 평가치가 과도하게 낮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감산 포인트를 상기 가산 포인트 "0.2"보다도 작은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산 기준시간 N은, 예를 들면 60초(M=N)로 설정되고, 소정의 감산 포인트가 0.1포인트로 설정된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어떤 콘텐츠가 60초미만에서 스킵될 때마다,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가 0.1포인트씩 감산되게 된다. 그러나, 연산 평가치의 하한값(예를 들면, 1.0)까지 감소했을 경우에는, 그 이상은 감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조작2"에 대응하기 위해서, "삭제 예정 리스트에 등록된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를, 소정의 제2 감산 포인트(예를 들면, 1.0포인트)만 감산한다. 이 소정의 제2 감산 포인트는, 유저의 시청 경향 등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콘텐츠의 삭제 지시를 행한 유저의 의향을 연산 평가치에 크게 반영시키기 위해서는, 소정의 제2 감산 포인트를, 상기 가산 포인트(0.2) 및 제1 감산 포인트(0.1)보다도, 수 배이상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이상과 같은 연산 평가치의 연산방식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재생 이력정보로서의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에, 예를 들면 4회의 콘텐츠의 재생 이력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콘텐츠ID "00001"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계속 재생시간이 가산 기준시간 N(60초)이상이기 때문에,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는 0.2포인트 가산된다. 또한, 콘텐츠ID "00002"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계속 재생시간이 감산 기준시간 M(60초)미만이기 때문에,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는 0.1포인트 감산된다. 또한, 콘텐츠ID "00003"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재생 이력이 2회 기록되어 있고, 이 중 제1회의 재생 이력에 대해서는, 계속 재생시간이 감산 기준시간 M(60초)미만이기 때문에,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는 0.1포인트 감산되지만, 이 중 두번째의 재생 이력에 대해서는, 계속 재생시간이 가산 기준시간 N(60초)이상이기 때문에,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는 0.2포인트 가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산 평가치의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플로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휴대형 재생장치(20)으로부터 이벤트 로그가 취득되거나, 또는, 정보처리장치(10)에서 이벤트 로그가 생성되어, 이것들의 이벤트 로그의 해석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 평가치 연산부(142)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 중, 예를 들면, 평가 대상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계속 재생시간을 판독하여, 이 계속 재생시간이, 기준시간(N=60초)이상이면, 기존의 연산 평가치에 0.2포인트 가산하고, 한편, 감산 기준시간(M=60초)보다 짧으면, 기존의 연산 평가치에 0.1포인트 감산한다.
이때,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로서 계속 재생시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평가치 연산부(142)는, 재생 개시 일시와 재생 종료 일시와의 차분으로부터 계속 재생시간을 산출한 후에, 상기 연산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 평가치 연산부(142)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계속 재생시간에 근거해 연산 평가치의 감산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나 이벤트 로그 자체에 근거하여, 콘텐츠의 재생 개시로부터 소정의 감산 기준시간 M미만에서 스킵된 것인가 아닌가(스킵 발생의 사실 자체)를 검출하고, 해당 스킵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연산 평가치를 감산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어서, 평가치 연산부(142)는, 휴대형 재생장치(20)으로부터 삭제 예정 리스트가 취득되었을 경우에는, 취득한 삭제 예정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ID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대해서, 기존의 연산 평가치를 1.0포인트 감산한다.
이러한 연산 처리의 결과, 휴대형 재생장치(20) 또는 정보처리장치(10)에서 재생된 콘텐츠나, 삭제 지시된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가, 최신의 재생 이력 등을 반영한 값으로 갱신된다.
이때, 상기 수법에 의하면, 재생시간(1곡의 시간 길이)이 M초(예를 들면, 60초)보다 짧은 콘텐츠는, 필연적으로 연산 평가치의 감산의 대상이 되어버린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해당 재생시간이 M초미만의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에 대해서는, (1) 자동 레이팅은 기능하지 않는다고 결론짓고, 항상 감산되어버리는 것을 허용해도 좋고, (2) 초기값(예를 들면 3.0)인채로 고정하여도 좋거나, 또는, (3)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때마다, 그 계속 재생시간에 관계 없이, 항상 소정의 가산 포인트만 가산되도록 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때, 이러한 재생 시간이 M초미만의 콘텐츠이여도, 수동 레이팅의 입력 평가치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상, 평가치 연산부(142)에 의한 연산 평가치의 구체적인 연산 수법에 관하여 설명했다. 이렇게, 평가치 연산부(142)는, 콘텐츠의 재생 상황(계속 재생시간이나, 스킵의 유무 등)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를 자동적으로 증감시킨다. 이것에 의해, 각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에 유저의 기호를 반영시킬 수 있고, 유저에 있어서 편리성의 높은 레이팅을 실현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다시, 도 12로 되돌아가서, 정보처리장치(10)의 기능 구성에 관한 설명을 계속한다.
평가치 기록부(144)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142)에 의해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콘텐츠에 관련되게 만들고, 평가치 기억부로서의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평가치 기록부(144)는, 평가치 연산부(142)로부터 입력된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와, 해당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가 부가된 콘텐츠의 콘텐츠ID를,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한다.
평가치 입력부(146)는, 상기 평가치 입력부(246)와 같은 방법으로, 유저 입력 에 따라, 콘텐츠 기억부(1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한다. 또한, 평가치 입력부(146)는, 이렇게 설정한 입력 평가치와 콘텐츠ID를 평가치 기록부(144)에 출력하고, 평가치 기록부(144)는, 이 입력 평가치를 해당 콘텐츠ID와 함께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에 있어서,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고, 즉시, 최신의 입력 평가치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나,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 또 는 입력 평가치 등에 의거하여,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한다.
플레이 리스트는, 콘텐츠의 식별 정보(콘텐츠ID등) 및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리스트이며,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는, 플레이 리스트를 따라서, 플레이 리스트내의 콘텐츠ID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저의 기호에 따른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휴대형 재생장치(20)이나 정보처리장치(10)가 가지고 있으면, 휴대형 재생장치(20)이나 정보처리장치(10)는 그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유저의 기호에 따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콘텐츠의 속성정보에는, 콘텐츠의 재생에 의해 연주되는 악곡의 타이틀, 그 악곡의 앨범 명, 아티스트 명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콘텐츠 정보기억부(148)로부터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로부터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콘텐츠의 콘텐츠ID를 추출하고, 추출한 콘텐츠ID에 대응하는 콘텐츠ID를 콘텐츠 정보기억부(148)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검색된 콘텐츠ID에 관련되게 만들어져 있는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콘텐츠 정보기억부(148)로부터 취득한다.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는, 콘텐츠의 속성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7을 참조하여,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의 기억 내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는, 콘텐츠ID(140a), 타이틀(148b), 아티스트 명(148c), 앨범 명(148d), 장르(148e), 연주 시간(148f), 연산 평가치(148g) 입력 평가치(148h) 등의 정보가, 각 콘텐츠에 관련시켜서 기억되어 있다. 콘텐츠ID(140a)는, 콘텐츠를 독특하게 식별하는 식별자다. 타이틀(148b)은, 콘텐츠의 재생에 의해 연주되는 악곡의 명칭이며, 아티스트 명(148c)은, 그 악곡을 가창, 연주, 작곡, 작사, 프로듀스 등 하는 아티스트의 명칭이며, 앨범 명(148d)은, 그 악곡이 수록되어 있는 음악 앨범의 명칭이며, 장르(148e)는, 그 악곡이 속하는 장르(예를 들면, 재즈, 팝스, 록 등)이며, 연주 시간(148f)은, 그 악곡의 연주 시간이며, 연산 평가치(148g)는, 상기 자동 레이팅에 의해 그 악곡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부가된 평가 포인트이고, 입력 평가치(148h)는, 상기 수동 레이팅에 의해 그 악곡에 대하여 수동에서 부가된 평가 포인트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시에, 해당하는 콘텐츠ID를 콘텐츠ID(140a)로부터 검색한다. 그리고,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322)는, 타이틀(148b), 아티스트 명(148c), 앨범 명(148d), 장르(148e), 연주 시간(148f), 연산 평가치(148g), 입력 평가치(148h) 등의 각 정보를 콘텐츠 정보기억부(148)로부터 취득하고, 그것들의 정보를 콘텐츠의 속성정보로서 플레이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콘텐츠에 의해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한다. 소정의 조건은, 예를 들면, 재생된 기간, 총 재생시간, 재생 회수, 스킵 회수, 휴지 회수, 리피트 회수,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 등이 다.
우선, 재생된 기간을 소정의 조건으로 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의 재생 이력 테이블에 기억된, 각 콘텐츠의 재생 개시 일시 및 재생 종료 일시에 의거하여, 특정한 기간에 재생된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특정한 기간(예를 들면, 2005년4월, 2004년 12월23일∼2004년12월25일, 등)은, 정보처리장치(10)가 구비하는 입력장치(108)를 통해 유저 입력되어,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입력되어도 된다. 더 상세하게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입력된 특정한 기간내에, 재생 개시 일시 또는 재생 종료 일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콘텐츠를, 해석 결과 기억부(140)로부터 추출함에 의해, 특정한 기간에 재생된 콘텐츠에 의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총 재생시간을 소정의 조건으로 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의 재생 상황 테이블에 기억된, 각 콘텐츠의 총 재생시간에 의거하여, 소정의 시간이상 재생된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은, 정보처리장치(10)가 구비하는 입력장치(108)를 통해 유저 입력되어,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입력되어도 된다. 또는, 소정의 시간은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 등이 미리 정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상기의 각 콘텐츠의 총 재생시간에 의거하여, 총 재생시간이 긴 순(또는 짧은 순)으로, 소정수의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재생 회수를 소정의 조건으로 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의 재생 상황 테이블에 기억된, 각 콘텐츠의 재생 회수에 의거하여, 소정의 회수이상 재생된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소정의 회수는, 정보처리장치(10)이 구비하는 입력장치(108)를 통해 유저 입력되어,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입력되어도 된다. 또는, 소정의 회수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 등이 미리 정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상기의 각 콘텐츠의 재생 회수에 의거하여, 재생 회수가 많은 순(또는 적은 순)으로, 소정수의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스킵 회수를 소정의 조건으로 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의 재생 상황 테이블에 기억된, 각 콘텐츠의 스킵 회수에 의거하여, 스킵 회수가 소정의 회수 이하인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소정의 회수는, 정보처리장치(10)가 구비하는 입력장치(108)를 통해 유저 입력되어,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입력되어도 된다. 또는, 소정의 회수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 등이 미리 정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상기의 각 콘텐츠의 스킵 회수에 의거하여, 스킵 회수가 적은 순(또는 많은 순)으로, 소정수의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휴지 회수를 소정의 조건으로 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의 재생 상황 테이블에 기억된, 각 콘텐츠의 휴지 회수에 의거하여, 휴지 회수가 소정의 회수 이하인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소정의 회수는, 정보처리장치(10)가 구비하는 입력장치(108)를 통해 유저 입력되고,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입력되어도 된다. 또는, 소정의 회수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 등이 미리 정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상기의 각 콘텐츠의 휴지 회수에 의거하여, 휴지 회수가 적은 순(또는 많은 순)으로, 소정수의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리피트 회수를 소정의 조건으로 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해석 결과 기억부(140)의 재생 상황 테이블에 기억된, 각 콘텐츠의 리피트 회수에 의거하여, 리피트 회수가 소정의 회수 이상인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소정의 회수는, 정보처리장치(10)가 구비하는 입력장치(108)를 통해 유저 입력되고,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입력되어도 된다. 또는, 소정의 회수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등이 미리 정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상기의 각 콘텐츠의 리피트 회수 에 의거하여, 리피트 회수가 많은 순(또는 적은 순)으로, 소정수의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연산 평가치를 소정의 조건으로 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된, 각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동일한 또는 소정범위의 연산 평가치를 가지는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플레이 리스트 작성의 기준이 되 는 연산 평가치는, 정보처리장치(10)가 구비하는 입력장치(108)를 통해 유자 입력되고,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입력되어도 좋고,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 등이 미리 정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상기의 각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연산 평가치가 높은 순(또는 낮은 순)으로, 소정수의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입력 평가치를 소정의 조건으로 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된, 각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에 의거하여, 동일한 또는 소정범위의 입력 평가치를 가지는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플레이 리스트 작성의 기준이 되는 입력 평가치는, 정보처리장치(10)가 구비하는 입력장치(108)를 통해 유저 입력되고,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입력되어도 좋고,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 등이 미리 정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상기의 각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에 의거하여, 입력 평가치가 높은 순(또는 낮은 순)으로, 소정수의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상기의 총 재생시간, 재생 회수, 스킵 회수, 휴지 회수, 리피트 회수, 연산 평가치, 입력 평가치의 전부 또는 일부에 의거하여, 유저의 기호를 따른 것이라고 추정되는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예를 들면, 총 재생시간이 비교적 길고, 또한, 재생 회수 및 리피트 회수가 비교적 많고, 또 스킵 회수 및 휴지 회수가 비교적 적고, 또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가 높은 콘텐츠를 고르는 것에 의해, 유저의 기호에 맞는 콘텐츠로 이루어진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에 의한 콘텐츠의 재생 조작의 상황이 반영된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에 의거하여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함에 의해,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는, 유저의 재생 조작이 반영된 다양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해석 결과가, 정보처리장치(10)의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일 경우에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되는 플레이 리스트는, 정보처리장치(10)에 있어서의 유저의 재생 조작이 반영된 플레이 리스트가 된다. 한편,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해석 결과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일 경우에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되는 플레이 리스트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유저의 재생 조작이 반영된 플레이 리스트가 된다. 또한, 해석 결과 기억부(140)에 기억되어 있는 해석 결과가, 양쪽의 이벤트 로그의 해석 결과일 경우에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되는 플레이 리스트는,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양쪽에 있어서의 유저의 재생 조작이 반영된 플레이 리스트가 된다.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152)는, HDD 등의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플레이 리스트를 기억한다.
전송부(154)는, 평가치 전송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142)에 의 해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통신부(132)를 통해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한다. 이때, 전송부(154)는, 해당 연산 평가치의 전송 후에, 휴대형 재생장치(20)에 대하여,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연산 평가치의 연산의 기초가 된 재생 이력정보(이벤트 로그)를 삭제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해진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 전송부(154)는,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되어 있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전송부(154)는, 평가치 연산부(142)가,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동기화(예를 들면, 평균화)함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전송부(154)는, 콘텐츠 전송부로서도 기능하고, 콘텐츠 기억부(162)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전송시에는, 전송되는 복수의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 또는 입력 평가치에 근거하여, 해당 전송되는 복수의 콘텐츠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평가치 또는 입력 평가치가 높은 것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또는, 연산 평가치 또는 입력 평가치가 소정 포인트 이상(예를 들면 4.0포인트 이상)인 것을 선택해서 전송해도 된다. 이에 따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유저의 기호에 합치한 콘텐츠를 우선해서 전송하고, 기호에 합치하지 않는 콘텐츠를 전송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콘텐츠가 서브스크립션 대응의 콘텐츠일 경우, 환언하면, 소정기간의 이용이 허가된 콘텐츠일 경우에는, 전송부(154)는, 그 콘텐츠를 전송하기 전에, 해당 콘텐츠가 이용 기간내인지의 여부를, 콘텐츠에 부여되어 있는 권리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 기간내일 경우에는, 전송부(154)는 그 콘텐츠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하고, 이용 기간 외일 경우에는, 전송부(154)는 콘텐츠의 전송을 행하지 않고, 에러 메시지 등을 표시시킨다.
또, 전송부(154)는, 플레이 리스트 전송부로서도 기능하고, 상기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플레이 리스트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 리스트 송신부(320)가 플레이 리스트를 송신하는 상대편은, 이벤트 로그를 정보처리장치(10)에 제공한 휴대형 재생장치(20)이여도 좋고, 이벤트 로그를 기록하는 기능을 갖추지 않고 있는 콘텐츠 재생 기기이어도 된다. 이러한 콘텐츠 재생 기기에 플레이 리스트를 송신함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 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유저의 재생 조작이 반영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 리스트를, 일반 콘텐츠 재생 기기에도 이용시킬 수 있다.
콘텐츠 삭제부(156)는, 콘텐츠 기억부(1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송부(154)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할 때에,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부(220)가 부족한 용량을 갖는 경우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일부를,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 또는 입력 평가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선택해서 삭제한다.
이 콘텐츠 삭제부(156)는, 예를 들면,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 부(220)의 빈 용량을 검출하는 빈 용량 검출부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의 전송 대상의 콘텐츠 데이터의 용량과, 빈 용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빈 용량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구비한다. 콘텐츠 삭제부(156)는, 이 비교부에 의해 빈 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 부족 용량을 검출하는 부족 용량 검출부를 더 구비한다. 콘텐츠 삭제부(156)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억되어 있는 각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 또는 입력 평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 중에서 상기 부족용량에 대응하는 데이터양의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구비한다. 콘텐츠 삭제부(156)는, 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부(220)로부터 삭제하는 삭제부를 더 구비한다. 콘텐츠 삭제부(156)의 상술한 구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전송부(154)는, 이러한 콘텐츠 삭제부(156)에 의한 콘텐츠의 자동삭제 후에, 전송 대상의 콘텐츠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의 기억 용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부(220)의 콘텐츠를 전송에 필요한 분만큼 자동적으로 삭제할 수 있고,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부(220)에, 전송 대상의 콘텐츠를 기억하기 위한 빈 용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산 평가치 또는 입력 평가치가 낮은 콘텐츠로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해서 삭제함으로써, 유저의 기호에 맞지 않는 불필요한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삭제하고, 유저의 기호에 맞는 필요한 콘텐츠를 잔존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기억 용량 중에서,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유저의 필요와 불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정리할 수 있으므로, 유 저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그러나, 콘텐츠 삭제부(156)는, 본 정보처리장치(10) 또는 기타의 본 정보처리장치(10)의 리핑부(162)에 의해, 리무버블 기억매체(7a)로부터 리핑된 콘텐츠(리핑 콘텐츠)에 대해서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 대응하는 기억매체로부터 삭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분배 서버(30)로부터 송신된 분배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삭제한다. 이에 따라, 재제가 비교적 곤란한 리핑 콘텐츠를, 유저의 허가 없이 자동적으로 삭제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분배 콘텐츠를 다시 획득하기 곤란하므로, 정보처리장치는, 분배 콘텐츠보다 리핑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삭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분배 서비스 이용부(158)는, 상기 분배 서버(30)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분배 서비스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배 서비스 이용부(158)는, 예를 들면,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유저 인증 정보(유저ID, 패스워드 등), 요금 부과정보, 콘텐츠 분배 리퀘스트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상기 분배 서버(3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거나, 이것들의 정보의 입출력을 지원하거나 한다.
또한, 분배 서비스 이용부(158)는, 분배 서버(30)로부터 송신된 분배 콘텐츠와 해당 분배 콘텐츠의 라이센스를, 네트워크(5) 및 통신장치(115)를 통해 수신한다. 다시 말해, 콘텐츠 처리장치 10의 유저가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구입하면, 분배 서비스 이용부(158)는, 상기 분배 서버(30)로부터 분배 콘텐츠와, 해당 분배 콘텐츠의 이용 조건을 결정한 라이센스를 다운로드한다.
또, 분배 서비스 이용부(158)는, 콘텐츠의 송신시에, 분배 서버(30)로부터, 분배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수신한다. 이 분배 콘텐츠의 속성정보는, 예를 들면, 타이틀, 아티스트 명, 앨범 명, 장르, 재생시간, 콘텐츠ID, 분배 일시, 데이터 사이즈, 데이터 포맷, 저작권 관리 방식의 타입 등이다.
이상과 같은 분배 서비스 이용부(158)는, 예를 들면, 이용하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에 대응한 콘텐츠 분배 서비스용의 소프트웨어를, 정보처리장치(10)에 인스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 분배 서비스 이용부(158)는,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콘텐츠 분배 서비스마다 복수로 설치되어도 된다.
평가치 송신부(160)는,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통신부(132)를 통해 분배 서버(30)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분배 서버(30)는, 그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예를 들면 동일 유저가 소유하는 다른 정보처리장치(10) 등의 기기에 송신하고, 해당 기기에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유저는, 자신이 소유하는 기기간에,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공유할 수 있다.
또, 분배 서버(30)는, 동일 또는 복수의 유저가 소유하는 복수의 정보처리장치(10)로부터, 각각, 각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취득함에 의해, 해당 콘텐츠의 평가를 집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배 서비스 제공자측에서, 유저의 기호(좋아하는 아티스트, 장르, 연대 등)나, 유행(팔리는 상품의 악곡 등)을 파악 및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의 기호에 합치한 새로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 평가치 송신부(160)는, 예를 들면, 재제 이력정보 송신부로서도 기능하 고, 재제 이력기억부(130)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10)이나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이벤트 로그)를, 통신부(132)를 통해 분배 서버(3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분배 서버(30)는, 콘텐츠 처리장치(10)나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한 연산 평가치를, 정보처리장치(10)이나 휴대형 재생장치(20)에 회신하여, 기록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10)가 전술한 바와 같은 평가치 연산 처리를 행하지 않고 마치므로, 정보처리장치(10)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분배 서버(30)가 각 기기의 재제 이력을 집계하고, 분배 서비스 제공자측에서 상기 유저의 기호나 유행을 파악 및 분석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리핑부(162)는, 음악 콘텐츠나 영상 콘텐츠를 기록한 CD, DVD등의 기록 매체 7a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리핑한다. 구체적으로는, 리핑부(162)는, 예를 들면, 유저 입력에 따라, 드라이브(112)를 제어하고, 기억매체(7a)로부터 음악/영상데이터 등을 추출하여, 이러한 음악/영상데이터를 콘텐츠 처리장치(10)에서 처리가능한 포맷(예를 들면, ATRAC3 형식 등)으로 변환한 콘텐츠를 작성한다.
검색 리스트 생성부(164)는,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에 의거하여, 콘텐츠 기억부(12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재정렬(소트)해서 집합화한 검색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검색 리스트는, 예를 들면, 유저가 콘텐츠 기억부(120) 내의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검색 리스트 생성부(164)는, 연산 평가치가 높은 순으로 콘텐츠 의 식별 정보를 소트한 검색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검색 리스트 생성부(164)는, 동일한 평가 포인트 또는 소정 범위내의 평가 포인트가 부가된 콘텐츠(즉, 연산 평가치가 4.0포인트의 콘텐츠, 연산 평가치가 3.0부터 5.0까지의 범위내의 콘텐츠)의 콘텐츠ID 및 속성정보를 집합화한 검색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검색 리스트 생성부(164)는, 생성한 검색 리스트를 표시 제어부(168)에 출력한다. 또한, 검색 리스트 생성부(164)는, 생성한 검색 리스트를, 전송부(154)를 통해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하여,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에 해당 검색 리스트를 이용하여도 된다.
표시 제어부(168)는, 표시부(170)에 있어서의 각종 정보의 표시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168)는, 콘텐츠 정보기억부(148)내의 동일한 콘텐츠에 관한 연산 평가치 또는 입력 평가치를 판독하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산 평가치보다 입력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표시부(170)에 표시시킨다. 또한, 특정한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평가 입력부(244)에 의해 특정한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168)는, 상기 표시중의 연산 평가치 대신에, 상기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표시부(170)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또, 이러한 표시 제어부(168)가, 어떤 콘텐츠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도, 취득부(136)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해당 콘텐츠의 재생 이력정보가 취득되었을 경우, 또는, 재생부(124)에 의해 해당 콘텐츠의 재생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평가치 연산부(142)는, 이것들의 재생 이력정 보에 근거해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를 재연산하고, 평가치 기록부(144)는,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를, 재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로 갱신한다.
이렇게, 수동 레이팅의 입력 평가치가 표시되어 있을 때이어도, 자동 레이팅의 연산 평가치를 계속적으로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입력 평가치가 이미 설정된 콘텐츠에 대해서도,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가, 수시, 재생 상황을 반영한 최신의 값으로 갱신된다. 이에 따라, 유저 조작에 의해, 입력 평가치로부터 연산 평가치에의 표시 전환이 요구되었을 경우에, 표시 제어부(168)는, 최신의 연산 평가치를 표시시킬 수 있다.
또, 표시 제어부(168)는, 플레이 리스트 기억부(152)에 기억되어 있는 플레이 리스트를 표시부(170)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68)는, 재생 조작부(222)에 의한 콘텐츠의 검색시에는, 유저의 조작 내용에 따라, 상기 검색 리스트 생성부(164)에 의해 생성된 검색 리스트를 따라서, 각종의 검색 화면을 표시부(170)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콘텐츠 기억부(120)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연산 평가치 또는 입력 평가치가 높은 순/낮은 순으로 소트하여, 표시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이러한 표시 내용을 열람하면서, 자기의 기호에 맞는 높은 평가치의 콘텐츠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히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이때, 표시부(170)는, 예를 들면, 상기 출력장치(110) 등으로 구성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의 각부의 기능 구성에 관하여 설 명했다. 이때, 상기 재생 조작부(122), 재생부(124), 일시정보생성부(126), 재생 이력생성부(128), 접속 검지부(134), 취득부(136), 재생 이력해석부(138), 평가치 연산부(142), 평가치 기록부(144), 평가치 입력부(146),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150), 전송부(154), 콘텐츠 삭제부(156), 분배 서비스 이용부(158), 평가치 송신부(160), 리핑부(162), 검색 리스트 생성부(164), 표시 제어부(168) 등은, 예를 들면, 상기 각 기능을 가지는 하드웨어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또는, 상기 각 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정보처리장치(10)에 인스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통신 방법>
다음에, 도 18 및 도 19a-19e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평가치를 재생 상황 등에 따라 갱신하기 위한 통신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평가치를 재생 상황 등에 따라 갱신하기 위한 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다. 도 19a-19e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동일한 콘텐츠에 관한 연산 평가치와 입력 평가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초기 상태로서, 휴대형 재생장치(20)에는 콘텐츠가 기억되어 있지 않고, 정보처리장치(10)에만 복수의 콘텐츠가 기억되어 있고, 정보처리장치(10)에서는 아직 콘텐츠의 재생이 행해지지 않고 있는 상태를 상정한다.
이 상태에서,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가 로컬라인(9)을 통해서 접속된다(스텝S10;초회접속 스텝).
다음에, 유저로부터 콘텐츠의 전송 요구를 받으면, 정보처리장치(10)는, 자신의 콘텐츠 기억부(120)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한다(스텝S12). 이때, 콘텐츠와 함께, 각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입력 평가치, 콘텐츠ID, 타이틀, 앨범 명, 아티스트 명 등의 속성정보가 전송된다. 또한, 이러한 전송 처리는, 휴대형 재생장치(20)와의 접속을 검출한 정보처리장치(10)가 자동적으로 실행해도 된다.
이 결과,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전송된 콘텐츠를 콘텐츠 기억부(220)에 기록하는 동시에, 상기 평가치를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콘텐츠 정보기억부(244)에 기록한다(스텝S14). 이 상태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에 기억되어 있는 하나의 콘텐츠에 부가된 연산 평가치(이하,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라고 한다.)와,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하나의 콘텐츠에 부가된 연산 평가치(이하,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라고 한다.)는, 모두 초기값이 3.0이다. 또한, 도 1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0)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하나의 콘텐츠에 부가된 입력 평가치(이하, "정보처리장치(10)의 입력 평가치"라고 한다.)와,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하나의 콘텐츠에 부가된 입력 평가치(이하,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입력 평가치"라고 한다.)는, 모두 미설정이다.
그 후, 접속이 차단되어,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 각각에 있어서,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우선, 정보처리장치(10)측의 재생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정보처리장 치(10)측에서는, 하나의 콘텐츠가 재생되면(스텝S16;재생 스텝), 재생된 콘텐츠의 재생 이력정보가 생성되어(스텝S18;재생 이력정보 생성 스텝), 이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가 연산되어서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록된다(스텝S20;평가치 연산 스텝). 또한, 생성된 재생 이력정보는, 보존되어도 좋고, 연산 평가치의 연산 후에 즉시, 삭제되어도 된다. 또한, 입력 평가치 설정을 위한 유저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어서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록된다(스텝S22;평가치 기록 스텝). 이상과 같은 처리 S16∼S22는, 콘텐츠의 재생이 반복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실행된다(스텝S24).
예를 들면, 도 19(a) 내지 도 1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0)에 있어서, 동일한 콘텐츠가, 소정의 가산 기준시간 N(N=예를 들면 60초)이상의 재생 시간에서 3회 재생되었을 경우에는, 연산 평가치가 "0.2"포인트씩, 순차 가산된다. 또한, 해당 콘텐츠가 소정의 감산 기준시간 M(M=예를 들면 60초) 보다 짧은 재생 시간에서 2회 재생되었을 경우에는, 연산 평가치가 "0.1"포인트씩, 순차 감산된다. 이 결과,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는, "3.0"→"3.2"→"3.4"→"3.6"→"3.5"→"3.4"포인트로 갱신된다.
이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0)의 연산 평가치는, 재생 처리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되어서, 수시, 최신의 연산 평가치가 표시된다.
한편, 도 19(b) 및 도 1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0)에 있어서, 해당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로서 "3"이 유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가 "3.0"포인트로 설정된다. 이 입력 평가치의 설정도, 언제든 지 표시 화면 위에 반영된다.
다음에, 휴대형 재생장치(20)측의 재생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휴대형 재생장치(20)측에서는, 하나의 콘텐츠가 재생되면(스텝S26;재생 스텝), 재생된 콘텐츠의 재생 이력정보가 생성되어서 기록되지만(스텝S28;재생 이력정보생성 스텝), 연산 평가치의 연산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입력 평가치 설정을 위한 유저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어서, 콘텐츠 정보기억부(244)에 기록된다(스텝S30;입력 평가치 설정 스텝). 또한, 유저에 의한 콘텐츠의 삭제 지시가 맞았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의 콘텐츠ID가 삭제 예정 리스트에 등록된다(스텝S32;삭제 지시 접수 스텝). 그러나, 삭제 지시가 있어도, 휴대형 재생장치(20)는, 자신이 해당 콘텐츠를 삭제하지 않으므로, 이 결과, 휴대형 재생장치(20)가 정보처리장치(10)에 접속될 때까지는, 해당 콘텐츠는 삭제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처리 S26∼32는, 콘텐츠의 재생이 반복될 때마다, 반복 실행된다(스텝S34).
예를 들면,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 동일한 콘텐츠가, 소정의 가산 기준시간 N(예를 들면 N=60초)이상의 재생 시간에서 10회 재생되었을 경우이어도, 연산 평가치는 증감하지 않고 "3.0"포인트를 유지한다. 이렇게, 휴대형 재생장치(20)에서는, 콘텐츠의 재생이 행해져도, 재생 이력정보가 기록되는 것만으로, 연산 평가치는 갱신되지 않는다. 또한, 삭제 지시가 있어도, 즉시 연산 평가치가 감산되지 않는다.
또, 도 19(b) 및 도 1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 해당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로서 "5"가 유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가 "5.0"포인트로 설정된다. 이 입력 평가치의 설정은, 상기 연산 평가치와는 달리, 즉시, 표시 화면 위에 반영된다.
그 후,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가 다시 접속된다(스텝S36;재접속 스텝).
이 결과, 정보처리장치(10)는, 휴대형 재생장치(20)와의 접속을 검지하면(스텝 S38;접속 검지 스텝), 휴대형 재생장치(20)에 대하여 재생 이력 전송 요구를 행한다(스텝S40;재생 이력전송 요구 스텝). 이에 따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재생 이력정보와 삭제 예정 리스트가 정보처리장치(10)에 전송되어, 정보처리장치(10)는 해당 전송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를 취득한다(스텝S42;전송 스텝, 취득 스텝).
이어서, 정보처리장치(10)는, 상기 스텝S42에서 취득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한다(스텝 S44;평가치 연산 스텝). 이때, 정보처리장치(10)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를 분배 서버(30)에 전송해도 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의 재생 이력정보는, 상기 스텝S18에서의 생성시에, 수시로, 분배 서버(30)에 전송되어도 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는, 상기 스텝S44에서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한다(스텝S46;전송 스텝). 그 후,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상기 전송된 연산 평가치가 기록되고(스텝S48;평가치 기록 스텝), 또한, 상기 스텝 S42로 전송완료의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기억부(230)로부터 삭제된다(스텝S50;재생 이력삭제 스텝).
이 결과, 도 19(c) 및 도 19(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는, 콘텐츠의 10회의 재생에 따른 "0.2×10=2.0"포인트의 가산과, 삭제 지시를 받은 것에 따른 "1.0"포인트 감산과의 결과를 반영하여, "3.0"에서 "4.0"포인트로 갱신된다.
그 후, 정보처리장치(10)의 평가치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평가치와의 동기처리가 개시된다.
우선,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전체 콘텐츠에 관한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가, 정보처리장치(10)에 전송되어, 정보처리장치(10)는 해당 전송된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취득한다(스텝S52;전송 스텝, 취득 스텝).
이어서, 정보처리장치(10)는, 상기 취득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전체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와, 정보처리장치(10)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합산하고, 각각 평균치를 요구하는 연산을 행한다. 각 콘텐츠에 관해 동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산출한다(스텝S54;평가치 동기 스텝).
그 후, 정보처리장치(10)는, 동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정보처리장치(10)의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록해서 갱신한다(스텝S56;평가치 기록 스텝). 또한, 정보처리장치(10)는, 동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해(스텝S58;전송 스텝),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정보기억부(244)에 기록해서 갱신한다(스텝S60;평가치 기록 스텝).
이상까지, 평가치의 동기처리가 종료한다. 이 동기처리의 결과, 도 19(d) 및 도 19(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는 함께, 쌍방의 평균치인 "(4.0+3.4)/2=3.7"포인트가 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는 함께, 쌍방의 평균치인 "(5.0+3.0)/2=4.0"포인트가 된다. 이때, 상기 평가치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동기처리에서는, 단순하게 쌍방의 평가치의 평균치를 구하는 것이 아니고, 어느 한쪽의 평가치에 가중을 행해도 된다.
그 후, 정보처리장치(10)는, 상기 삭제 예정 리스트에 등록된 콘텐츠ID에 대미하는 콘텐츠를,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기억부(220)로부터 삭제한다(스텝S50;콘텐츠 삭제 스텝). 이때, 해당 콘텐츠의 속성정보도,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콘텐츠 정보기억부(244)로부터 삭제된다.
이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의 평가치를 재생 상황 등에 따라 갱신하기 위한 통신 방법에 관하여 설명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된 콘텐츠의 평가치를, 콘텐츠의 재생 상황이나, 유저의 삭제 지시에 따라, 유저의 기호를 반영하도록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재생장치(20)의 평가치를, 정보처리장치(10)에 의해 연산해서 갱신할 수 있으므로, 휴대형 재생장치(20)에 높은 처리 능력을 구할 필요가 없고, 콘텐츠의 재생 처리 이외의 처리에 의해, 쓸데없이 휴대형 재생장치(20)의 배터리를 소모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표시 전환방법>
다음에, 도 2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연산 평가치와 입력 평가치의 표시 전환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에 있어서의 연산 평가치와 입력 평가치의 표시 전환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때, 이하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의 표시 전환처리의 예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휴대형 재생장치(20)의 표시 전환처리도 대략 동일하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우선, 어떤 콘텐츠에 관해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지 않고 있을 때에는, 도 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콘텐츠 재생중의 표시 화면 4a 위에는,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가 표시된다(스텝S102).
이어서, 유저 입력에 따라, 상기 평가치 입력부(146)에 의해, 상기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었을 때에는(스텝S104), 표시 제어부(168)는, 상기 표시되어 있었던 연산 평가치 대신에,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해당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표시 화면 4b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스텝S106). 이렇게, 연산 평가치보다도 입력 평가치를 우선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유저의 의향을 반영한 평가치를 우선 표시할 수 있어,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그러나, 이렇게 표시 제어부(168)가, 상기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보다도 입력 평가치를 우선 표시시키는 모드에서도, 취득부(136)에 의해 휴대형 재생장치(20)으로부터 해당 콘텐츠의 재생 이력정보가 취득될 때마다 또는, 재생부(124)에 의해 해당 콘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질 때마다(스텝S108)는, 평가치 연산부(142)는, 이것 들의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를 연산해서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산출하고, 평가치 기록부(144)는, 차례차례, 콘텐츠 정보기억부(148)에 기억되는 연산 평가치를 해당 새로운 연산 평가치로 갱신한다(스텝S110). 이에 따라, 입력 평가치가 이미 설정된 콘텐츠에 관해서도, 해당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가, 수시, 재생 상황을 반영한 최신의 값으로 갱신된다.
또한, 이러한 입력 평가치를 표시하는 모드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연산 평가치에의 표시 전환조작을 접수했을 때에는(스텝S112), 표시 제어부(168)는, 상기 콘텐츠의 입력 평가치 대신에 연산 평가치를 표시시킨다(스텝S114). 이에 따라, 유저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한 채의 상태에서, 최신의 연산 평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화면표시 예>
다음에, 도 21을 참조하여, 휴대형 재생장치(20)의 표시부(250)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각 콘텐츠에 부가된 평가치를 이용하여, 유저의 기호에 맞는 콘텐츠를 검색해서 재생하기 위한 표시 화면(402∼410)을 표시부(250)에 표시시키는 예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우선, 유저가, 조작 선택 화면(402)에 있어서, 콘텐츠의 리스트 검색을 의미하는 아이콘(502)을 선택하면, 검색 키 선택 화면(404)에, 복수의 검색 키가 표시된다. 이어서, 이 검색 키 선택 화면(404)에서, 레이팅(평가치)에 근거한 검색을 의미하는 검색 키 "Rating"을 선택하면, 평가치 레벨 선택 화 면(406)에, 콘텐츠의 평가치 레벨이 5단계로 표시된다. 또한, 이 평가치 레벨 선택 화면(406)에서, 원하는 평가치 레벨 "★★★★★"을 선택하면, 검색 결과 표시 화면(408)에, 해당 평가치 레벨의 평가치가 부가된 콘텐츠의 타이틀 1,2,3…이, 예를 들면 평가치가 높은 순으로 소트 표시된다. 그리고, 검색 결과 표시 화면(408)에서, 재생을 소망하는 콘텐츠의 타이틀 "타이틀4"를 선택하면, 해당 타이틀의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어, 콘텐츠 정보 표시 화면(410)에, 선택된 콘텐츠의 상세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 콘텐츠 정보표시 화면(410)에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틀 명, 재생 시간, 앨범 명, 아티스트 명, 장르, 평가치, 릴리스(release) 년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유저는, 재생된 원하는 콘텐츠를 들으면서, 콘텐츠 정보 표시 화면(604)에 표시된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열람하고, 해당 콘텐츠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적용 1>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을 체크인 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적용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체크인 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2를 참조하면, 체크인 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서는, 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에 의해 제안되어 있는 것 같이, 콘텐츠의 라이센스(권리정보)에 기술된 이용 조건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이용(재생, 카피 등)을 제한함에 의해, 콘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것이다.
이 체크인 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은, 정보처리장치 10-1과 휴대형 재생장치 10-1이, 동일 유저가 소유하는 기기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다. 따라서, 어떤 유저의 휴대형 재생장치(20)를 타유저의 정보처리장치(10)에 접속했을 때에, 자동 레이팅의 연산 평가치가 동기되어서 갱신되어버리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1대의 정보처리장치(10)에 대하여 평가치 동기의 대상이 되는 휴대형 재생장치(20)를 1대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각 정보처리장치(10)는, 평가치 연산부(142)에 의한 평가치 연산을 허가하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ID를 기억하는 등록ID 기억부(17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접속시에는, 정보처리장치(10)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20)의 디바이스ID를 취득하고, 평가치 연산부는, 등록ID 기억부(172)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ID와, 취득된 디바이스ID가 일치할 때만, 연산 평가치의 연산을 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등록ID 기억부(172)에 등록가능한 디바이스ID를 1개로 제한함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와의 1:1대응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2의 예에서는, 유저 A가 소유하는 정보처리장치 10-1에는, 동일하게 유저A 소유의 휴대형 재생장치 10-1의 디바이스ID만이 등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보처리장치 10-1과 휴대형 재생장치 10-1을 접속했을 때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여, 쌍방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동기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저A 소유의 정보처리장치 10-1과, 다른 유저 소유의 휴대형 재생장치 20-2를 접속했을 때나, 유저A 소유의 휴대형 재생장치 10-1과, 타유저 소유의 정보처리장치(10)를 접속했을 때에는, 휴대형 재생장치 10-1,20-2의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또한 양쪽의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서로 동기화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대응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다른 유저의 기기를 서로 접속했을 때에, 자동 레이팅이 기능해서 연산 평가치가 갱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적용 2>
다음에, 도 23∼도 2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을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적용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적용에 따른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은, 복수의 기기(정보처리장치(10) 또는 휴대형 재생장치(20)등)간의 콘텐츠의 이용을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 저작권 관리시스템은, 인터넷 등을 통한 콘텐츠의 대량배포 행위 등이라고 한 콘텐츠의 위법 이용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이한 유저가 소유하는 기기간에는, 콘텐츠의 이용을 제한한다.
한편으로, 이 저작권 관리시스템은, 동일한 유저(예를 들면, 단독 유저뿐만아니라, 가족, 친구, 회사의 동료 등이 한정된 범위의 유저 그룹이어도 된다.)가 소유하는 복수의 기기간에는, 콘텐츠를 어느 정도 자유롭게 공유하여 이용할 수 있 다.
이렇게, 본 적용에 따른 저작권 관리시스템은, 저작권 관리를 행하면서도, 사적이용의 범위내에서는 콘텐츠의 공유를 인지하고, 동일 유저가 소유하는 복수의 기기간의 콘텐츠 공유의 편리성,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저작권 관리 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전술한 SDMI 준거의 "체크인 체크아웃 방식"에 의존한 저작권 관리시스템에서는, 콘텐츠의 이용 권한을 결정한 권리정보인 라이센스에 의거하여, "콘텐츠 단위"로 콘텐츠의 카피 수(체크인 및 체크아웃 회수)를 제한함으로써, 콘텐츠의 위법이용을 제한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정보처리장치간에 콘텐츠를 카피(체크인 체크아웃)할 때마다 저작권 관리 처리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여 처리가 늦어지고, 사적사용의 범위내에서의 콘텐츠 이용의 자유도가 낮아 편리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체크인 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서는, 유저는, 항상 콘텐츠의 카피원이나 카피 회수를 의식해서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또한, 저작권 관리시스템의 본래의 목적인 "타인이 소유하는 기기에의 콘텐츠의 카피 방지"는, 실현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서는, 콘텐츠 이용의 관리 단위를, "콘텐츠의 제공원(source:소스)"단위(구체적으로는 "콘텐츠를 최초에 소유한 유저 단위" 혹은 "콘텐츠를 작성한 기기 단위")로 하고, 각 기기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재생을, 콘텐츠의 제공원에 따라 허가/불허가한다고 하는 저작권 관리 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서는, 각 유저가 소유하는 복수의 기기를 그룹 관리 서버에 유저 단위로 그룹 등록하고, 그룹 등록된 각 기기에 있어서, 콘텐츠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ID와, 소스ID리스트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유저의 기기 그룹에 등록된 기기간에는, 동일한 제공원의 콘텐츠를 자유롭게 복사해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2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있어서의 그룹 등록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23은, 본 적용에 따른 저작권 관리시스템의 그룹 등록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PC) 10-1,10-2 및 휴대형 재생장치(PD) 20-1,20-2는, 예를 들면, 유저A가 소유하는 기기 그룹(정보처리장치 10-1, 휴대형 재생장치 10-1)과, 유저B가 소유하는 기기 그룹(정보처리장치(10), 휴대형 재생장치 20-2)로 그룹화되어 있다. 이러한 기기의 그룹화는, 그룹 관리 서버 32에 대하여,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을, 유저 단위로 그룹 등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그룹 등록에 대해서, 유저A가 소유하는 정보처리장치(PC) 10-1의 예를 제시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유저A는, 자신이 소유하는 정보처리장치 10-1을 사용해서 그룹 관리 서버(32)에 액세스하고, 유저 인증 처리를 행하고, 정보처리장치 10-1의 디바이스ID(예를 들면, 터미널ID)을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이어서, 그룹 관리 서버(32)는, 해당 정보처리장치 10-1의 디바이스ID를 유저A 에 관련시켜서 보존하고, 정보처리장치 10-1을 유저A의 기기 그룹에 그룹 등록한다. 또한, 그룹 관리 서버(32)는, 정보처리장치 10-1에 대하여, 유저A를 나타내는 유저 식별 정보(예를 들면, 후술하는 리프(leaf)ID)를 송신하고, 정보처리장치 10-1은, 수신한 유저 식별 정보를 자기의 기억 수단에 격납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다른 정보처리장치(10)도, 유저B의 기기 그룹에 그룹 등록된다. 또한, 휴대형 재생장치(PD)(20)의 그룹 등록은, 정보처리장치(PC)(10)를 통해서 행해진다.
이러한 그룹 등록에 있어서는, 1개의 기기(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는, 단일 유저의 기기 그룹에만 등록할 수 있고, 다른 유저의 기기 그룹에 동시에 등록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정보처리장치(10)의 소유자가 유저A로부터 유저B로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정보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을 변경, 다시 말해, 유저A의 기기 그룹에서의 등록 해제 및 유저B의 기기 그룹에의 재등록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유저A가 정보처리장치 10-3을 신규로 구입했을 경우에는, 이 정보처리장치 10-3은 그룹 미소속의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해당 정보처리장치 10-3을, 유저A의 기기 그룹에 그룹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이미 유저A의 기기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 10-1을, 그룹 등록 해제해서 그룹 미소속으로 할 수도 있다.
이렇게,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100)에서는,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하여, 기기를 소유하는 유저 단위로 각 기기를 그룹 등록한다. 이 결과, 동일 유저의 기기 그룹에 등록된 기기간에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 다. 한편, 다른 유저의 기기 그룹에 등록된 기기간에는, 콘텐츠를 공유할 수 없다.
여기에서, 도 24에 의거하여, 상기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관리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적용에 따른 저작권 관리시스템은, 소스ID 부가부(1)와, 콘텐츠 재생부(2)와, 리스트 관리부(3)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고 있다.
소스ID 부가부(1)는,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등에 설치되고, 콘텐츠에, 콘텐츠의 제공원을 나타내는 소스ID를 부가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콘텐츠에 소스 ID를 부가한다"란, 콘텐츠에 소스ID를 관련되게 만든다고 하는 의미이며,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콘텐츠 파일)내에 소스ID의 데이터를 추가하는 처리나, 상기 콘텐츠 파일과, 소스ID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관련시키는 처리 등을 포함한다.
또, "콘텐츠의 제공원"은, 저작권 관리시스템(100) 내에서 공유되는 콘텐츠의 개인 유저 레벨에서의 소스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이 콘텐츠의 제공원은, 예를 들면, (1) 콘텐츠 분배 서비스를 이용해서 콘텐츠를 취득(구입 등)한 유저, (2)리핑 또는 셀프 레코딩 등에 의해 콘텐츠를 작성한 정보처리장치(10)등이다. 상기 소스ID는, 이러한 콘텐츠 제공원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다. 이 소스ID를 콘텐츠에 부가함으로써, 시스템내에서 유통하는 콘텐츠의 제공원을 특정할 수 있다.
본 적용에서는, 이러한 소스ID로서, 예를 들면, 레코더ID와, 그룹ID를 사용한다. 레코더ID는, 정보처리장치(10)를 콘텐츠의 제공원으로 할 경우의 소스ID이며, 그룹ID는, 유저를 콘텐츠의 제공원으로 할 경우의 소스ID다.
레코더ID는, 콘텐츠의 리핑(ripping) 기능을 가지는 정보처리장치(10) 단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다. 이 레코더ID는, 상기 리핑 기능을 가지는 정보처리장치(10)에 의해, 해당 정보처리장치(10)의 디바이스ID 등에 의거하여 생성되어, 해당 정보처리장치(10)내에 안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정보처리장치(10)는, 음악 CD 등의 리무버블 기억매체로부터 리핑된 리핑 콘텐츠에 대하여, 정보처리장치(10) 자신의 레코더ID를 부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레코더ID에 의해, 리핑 콘텐츠의 작성원(즉, 콘텐츠의 제공원)의 정보처리장치(10)를 특정할 수 있다.
또, 그룹ID는, 정보처리장치(10) 및/또는 휴대형 재생장치(20)를 소유하는 유저 단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다. 구체적으로는, 이 그룹ID는, 저작권 관리시스템이 제공하는 콘텐츠 공유 서비스의 유저 어카운트 단위로 부여된다. 이러한 그룹ID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 또는 휴대형 재생장치(20)가 소속하는 기기 그룹, 및 이것들의 소유자를 식별할 수 있다.
본 적용에서는, 이 그룹ID는,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의 그룹 등록시, 혹은 분배 콘텐츠의 수신시에, 리프ID에 의거하여 생성된다. 이 리프ID는, 유저 단위에 부여되는 식별자이며,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서버(32)에 대한 유저 등록시에, 그룹 관리 서버(32)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리프ID는, 유저 식별 정보의 일례로서 구성되어 있고, 각 기기의 그룹 등록시나 콘텐츠 송신시에,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정보처리장치(10)에 통지된다.
정보처리장치(10)는,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통지된 리프ID 및 서비스ID에 의거하여, 그룹ID를 생성한다. 이 서비스ID는, 저작권 관리시스템(100)에 있어서 실현되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 또는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 단위에 고유의 ID다. 여기에서, 콘텐츠 분배 서비스는,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정보처리장치(10)에 콘텐츠를 송신하는 서비스다. 또한,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는, 상기 그룹 등록을 함으로써, 리핑 콘텐츠를, 동일 유저 소유의 복수의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 사이에서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예를 들면, 이 콘텐츠 분배 서비스 및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쌍방의 서비스에 공통 서비스ID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서비스ID와 리프ID를 결합시켜서, 1종류의 그룹ID가 생성된다.
"그룹ID"="서비스ID"+ "리프ID"
한편, 콘텐츠 분배 서비스와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를 별도로 관리할 경우에는, 콘텐츠 분배 서비스 단위의 고유의 콘텐츠 분배 서비스ID와,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 단위의 고유의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ID가 생성된다. 이 때문에, 다음과 같이 각 서비스의 서비스ID와 리프ID를 각각 결합시켜서, 각 서비스에 대응한 2종류의 그룹ID가 생성된다.
"제1 그룹ID"= "콘텐츠 분배 서비스ID"+ "리프ID"
"제2 그룹ID"= "리핑 콘텐츠 공유 서비스ID"+ "리프ID"
이 중 제1 그룹ID는,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분배되는 분배 콘텐츠를 구입 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해서, 해당 분배 콘텐츠에 부가된다. 또한, 제2 그룹ID는,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사이에서 리핑 콘텐츠를 공유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소스ID 리스트에 레코더ID를 추가할 때에, 추가의 가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본 적용에서는, 예를 들면, 제1 그룹ID와 제2 그룹ID를 생성하는 후자의 수법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그룹ID와 제2 그룹ID를 구별하지 않고, 양쪽을 그룹ID로 표현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그룹ID는,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에 의해, 콘텐츠 분배 서버로부터 분배된 분배 콘텐츠에 부가된다. 이렇게 그룹ID를 분배 콘텐츠에 부가함에 의해, 해당 분배 콘텐츠를 구입한 유저(즉, 콘텐츠의 제공원)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정보처리장치(10)가 가지는 콘텐츠 부가부(1)에 의해 소스ID(레코더ID, 그룹ID)가 부가된 콘텐츠는,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사이에서, 자유롭게 카피 가능하다. 다시 말해,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서는, 소스ID가 부가된 콘텐츠(즉, 저작권 관리 대상의 콘텐츠)의 카피시에, 종래의 체크인 체크아웃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과 같은, 카피 회수의 제한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는 없다.
다음에, 콘텐츠 재생부(2)는, 콘텐츠의 재생기 혹은 재생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되어, 정보처리장치(10) 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설치된다. 이 콘텐츠 재생부(2)는, 해당 콘텐츠 재생부에 있어서 재생이 허가된 소스ID가 추가되는 소스 ID리스트 L을 가지고 있다. 이 소스ID 리스트 L은, 콘텐츠 재생부(2)마다 각각 설치되는 것이며, 콘텐츠 재생부(2)가 서로 다르면, 각각의 소스ID 리스트 L에 포함되는 소스ID도 다르다.
콘텐츠 재생부(2)는, 상기 소스ID가 부가된 콘텐츠를 재생할 때는, 상기 소스ID 리스트 L을 체크하여,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가능화/불능화한다. 다시 말해, 콘텐츠 재생부(2)는,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ID가 소스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한편, 콘텐츠에 부가되어 있는 소스ID가 소스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다. 이렇게, 콘텐츠 재생부(2)는, 소스ID 단위, 즉 콘텐츠 제공원 단위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또한, 콘텐츠 재생부(2)는, 예를 들면, 리스트 관리부(3)에 대하여, 자기가 보유하는 소스ID 리스트 L에의 신규 소스ID의 추가를 요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콘텐츠 재생부(2)는, 자신이 보유하는 소스ID 리스트 L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신규 소스ID가 부가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소스ID 리스트 L에 해당 신규 소스ID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콘텐츠 재생부(2)는, 소스ID 리스트 L의 갱신을 허가하는 리스트 관리부(3)에 대하여, 해당 신규 소스ID의 추가 허가를 요구한다.
리스트 관리부(3)는,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10)내에 설치되고, 상기 콘텐츠 재생부(2)가 보유하는 소스ID 리스트 L을 갱신한다. 여기에서, 소스ID 리스트 L의 갱신이란, 소스ID 리스트 L에 대한 소스ID의 추가, 삭제이다. 리스트 관리부(3) 는, 소스ID 리스트 L에 대하여 소스ID를 추가/삭제함에 의해, 콘텐츠 재생부(2)에 있어서의 해당 소스ID가 부가된 콘텐츠의 재생을 가능화/불능화 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 관리부(3)는, 그룹ID와 레코더ID를 관련시킨 공유 정보인 그룹 증명서(Group Certificate) G를 취득하고, 이러한 그룹 증명서 G에 의거하여 소스ID 리스트 L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스트 관리부(3)는, 그룹 증명서 G내에 포함되는 그룹ID가 상기 소스ID 리스트 L에 포함되는 그룹 ID와 동일할 경우에는, 그룹 증명서 G내에 포함되는 레코더ID를 소스ID 리스트 L에 추가한다. 이에 따라, 동일 유저의 기기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10)의 레코더ID를, 소스ID 리스트 L에 추가하고, 이러한 정보처리장치(10)가 리핑한 리핑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적용에 따른 저작권 관리시스템에서는, 상기 소스ID 부가부(1), 콘텐츠 재생부(2) 및 리스트 관리부(3)에 의해, 각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함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0)사이에서 복사되는 콘텐츠를 저작권 관리하고 있다. 이상,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했다.
다음에, 도 25를 참조하여, 전술한 통신시스템(100)을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적용한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사람의 유저는, 자신이 소유하는 정보처리장치(10)를 최대로 5대까지 동일한 기기 그룹에 그룹 등록 가능하다. 도시한 것의 예에서는, 유저A가 소유하는 5대의 정보처리장치 10-1∼10-5가, 동일한 기기 그 룹에 그룹 등록되어 있다. 또한,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관해서는, 그룹 등록의 대수 제한은 설정되어 있지 않고, 무제한으로 등록가능하다. 도시한 것의 예에서는, 유저A 소유의 n대의 휴대형 재생장치 10-1∼20-n이, 유저A 소유의 기기 그룹에 그룹 등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동일의 기기 그룹에 그룹 등록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 10-1∼10-5 및 휴대형 재생장치 10-1∼20-n은, 그룹 관리 서버(32)에 의해 부여된 동일한 그룹ID를 보유하고 있다. 이것들의 기기는, 2이상의 기기 그룹에 중복 등록은 할 수 없으므로, 그룹ID를 1개만 보유가능하다.
이렇게 동일한 기기 그룹에 등록된 기기간에는, 상호접속된 정보처리장치(10)과 휴대형 재생장치(20)과의 사이에서 전술한 평가치 연산 처리를 실행가능하다. 다시 말해, 정보처리장치 10-1∼10-5와 휴대형 재생장치 10-1∼20-n과는, 동일한 그룹ID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정보처리장치 10-1∼10-5는, 휴대형 재생장치 10-1∼20-n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휴대형 재생장치 10-1∼20-n의 연산 평가치를 연산할 수 있다. 그러나, 타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 10-6이나, 미등록의 정보처리장치 10-7은, 휴대형 재생장치 10-1∼20-n에서 동일한 그룹ID를 보유하지 않고 있으므로, 휴대형 재생장치 10-1∼20-n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휴대형 재생장치 10-1∼20-n의 연산 평가치를 연산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전술한 통신시스템(100)을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적용했을 경우, 정보처리장치(10)는, 접속된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20)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ID를 취득하고, 해당 정보처리장치(10) 자신에게 기억되어 있는 그룹ID와,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취득한 그룹ID가 일치할 때만,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 평가치의 연산을 실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동일 유저 소유의 기기간에는 자유롭게, 재생 이력정보를 공유하고, 상호의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거나, 해당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동기하거나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6a∼도 26d를 참조하여, 전술한 통신시스템(100)을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적용했을 경우의 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6a∼26d는,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100)을 그룹 관리 방식의 저작권 관리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의 응용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다.
우선, 도 26a를 참조하면, 우선, 동일한 기기 그룹에 속하는 정보처리장치 10-1과 휴대형 재생장치 10-1이 접속되면, 휴대형 재생장치 10-1은, 정보처리장치 10-1에,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802)를 송신한다. 그러면, 정보처리장치 10-1은, 전송된 휴대형 재생장치 10-1의 재생 이력정보(802)와, 정보처리장치 10-1 자신의 재생 이력정보(804)에 의거하여, 자동 레이팅의 연산 평가치(806)를 연산한다. 이러한 재생 이력정보(802)의 전송 처리와, 연산 평가치(806)의 연산 처리는, 정보처리장치 10-1과 휴대형 재생장치 10-1의 접속 직후뿐만아니라, 연속 접속 중은 소정시간(예를 들면, 1시간)마다 행해진다.
이어서, 도 2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 10-1은, 상기 연산 평가치(806)의 연산 후에 즉시, 그룹 관리 서버(32)와 휴대형 재생장치 10-1에 해 당 연산 평가치(806)를 전송한다. 이것에 따라, 휴대형 재생장치 10-1은, 해당 연산 평가치(806)를 자신의 기억매체에 기록하고, 그룹 관리 서버(32)는, 해당 연산 평가치(806)를 레이팅 정보기억부(33)에 기록한다.
또한, 도 2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룹 관리 서버(32)와 정보처리장치 10-2∼10-5가 접속된 상태에서, 각 정보처리장치 10-2∼10-5의 레이팅용 소프트웨어가 기동하면, 즉시, 그룹 관리 서버(32)는, 각 정보처리장치 10-2∼10-5에, 상기 연산 평가치(806)를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정보처리장치 10-1과 휴대형 재생장치 10-1의 재생 이력정보(802,804)를 반영한 연산 평가치(806)가, 그룹 관리 서버(32)에 의해, 동일 유저 소유의 정보처리장치 10-2∼10-5에 배포된다.
그 후, 도 26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0)는, 그룹 관리 서버(32)로부터 수신한 연산 평가치(806)와, 자신이 미리 보유하고 있던 연산 평가치(도시 생략)를 합산(예를 들면, 양쪽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새로운 연산 평가치 808을 산출해서 보유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와 휴대형 재생장치 20-2가 접속되면, 휴대형 재생장치 20-2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연산 평가치(810)를 정보처리장치(10)에 송신한다. 이것에 따라, 정보처리장치(10)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연산 평가치 808과, 휴대형 재생장치 20-2의 연산 평가치(810)를 합산(예를 들면, 양쪽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새로운 연산 평가치 812를 산출하며, 그룹 관리 서버(32)에 송신한다.
이러한 연산 평가치의 합산 처리(동기 처리)와, 그룹 관리 서버(32)를 통한 송수신처리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동일 유저의 기기 그룹내에서, 최신의 연산 평 가치를 갱신하면서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레이팅의 연산 평가치가, 일부의 기기의 재생 이력정보에만 의거하여 생성된, 일측 데이터가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유저 소유 기기 전체의 재생 이력정보를 종합한 연산 평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그룹 관리 서버(32)는, 각 유저의 연산 평가치를 취득해서 레이팅 정보기억부(33)에 격납해둔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는, 각 유저의 기호 및 재생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유저의 기호 및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동시에, 유저에 대하여, 기호를 따르는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100)과, 이것을 구성하는 정보처리장치(10), 휴대형 재생장치(20), 각종 서버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다. 본 실시예 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10) 및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각 콘텐츠의 연산 평가치를 자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평가치의 입력 조작이 번잡하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고,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방대한 수의 콘텐츠에 대하여도 연산 평가치를 자동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콘텐츠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부가된 연산 평가치를 이용하여, 자신이 보유하는 콘텐츠의 관리(분류, 정리, 검색)를 용이하고, 또 신속히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저 자신의 기호성을 충분하게 반영한 다양한 콘텐츠의 재생 스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연산 평가치에 근거하여, 자신의 기호에 합치하는 콘텐츠(악곡)의 경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0)가 보유하는 콘 텐츠와 휴대형 재생장치(20)가 보유하는 콘텐츠를 동기할 때에,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에 근거하여, 유저가 원하는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동기하고, 쌍방의 기기에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연산 평가치 및 입력 평가치를 이용하여, 유저의 기호에 맞는 콘텐츠를 삽입한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는 유저의 기호의 경향을 분석하고, 유저에 대하여 기호에 있던 새로운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관련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각종의 변경 또는 수정을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그것들에 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0)가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재제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휴대형 재생장치(20)의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분배 서버(30) 또는 그룹 관리 서버(32) 등의 서버 장치가, 정보처리장치(10) 또는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이력정보를 취득해서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한 연산 평가치를 정보처리장치(10) 또는 휴대형 재생장치(20)에 전송하는 시스템 구성이어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현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형 재생장치(20) 및 정보처리장치(10)가, 2종류의 이벤트 로그 파일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휴대형 재생장치(20) 및 정보처리장치(10)는, 서브스크립션 대응의 콘텐츠에 대한 이벤트 로그만을 포함하는 이벤트 로그 파일과, 서브스크립션 대응의 콘텐츠를 포함시키고, 그 외 모든 콘텐츠에 대한 이벤트 로그를 포함하는 이벤트 로그 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재생장치(20) 및 정보처리장치(10)는, 서브스크립션 대응의 콘텐츠에 대한 이벤트 로그만을 포함하는 이벤트 로그 파일을, 유저를 조작할 수 없도록 암호화해도 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0)는, 휴대형 재생장치(20)로부터, 암호화된 이벤트 로그 파일을 취득하고, 자기가 보유하는 암호화된 이벤트 로그 파일과 함께, 콘텐츠의 저작권 관리를 행하는 저작권 관리 서버에 송신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서브스크립션 대응의 콘텐츠에 대한 이벤트 로그만을 포함하는 이벤트 로그 파일을, 저작권 관리 서버에 있어서 저작권자에의 원자배포를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기에 기억된 콘텐츠에 대하여, 그 평가치를 자동적으로 부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9)

  1.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가능한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평가치 연산부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생성부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는,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해당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해당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된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또 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해당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해당 연산된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또 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해당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될 때마다,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해서 갱신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갱신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할 때,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에 근거해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집합화한 플레이 리스트를 생성하는 플레이 리스트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가능한 외부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평가치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한 평가치 연산을 허가하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의 디바이스ID를 기억하는 등록ID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의 디바이스ID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등록ID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ID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디바이스ID가 일치할 때만, 상기 연산 평가치의 연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 및/또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를 그룹 관리 서버에 등록함에 의해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상기 그룹 관리 서버에 의해 부여되어, 해당 그룹ID는 상기 정보처리장치 및/또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ID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ID와, 상기 취득된 그룹ID가 일치할 때만, 상기 연산 평가치의 연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유저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부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연산 평가치 및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처리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입력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입력 평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연산하는 다른 처리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해당 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해당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전송부는, 해당 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해당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재생부에 의해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 개시될 때마다,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평가가 높아지도록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계속 재생시간을 연산하고, 계속 재생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인 콘텐츠 데이터의 평가가 높아지도록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개시되고나서 특정 시간이내에 다른 콘텐츠 데이터로 재생의 대상이 전환된 것을 검출하면, 해당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의 평가가 낮아지도록 상기 연산 평가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계속 재생시간을 연산하고, 계속 재생시간이 특정 시간이하인 콘텐 츠 데이터의 평가가 낮아지도록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 삭제 지시된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콘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평가가 낮아지도록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유저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도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입력 평가치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입력 평가치를,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보다도, 상기입력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 상기 연산 평가치가 기록되고, 상기 입력 평가치가 기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평가치 입력부에 의해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상기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게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연산 평가치 대신에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가,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할 때에도, 상기 취득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가 취득되었을 경우, 또는, 상기 재생부에 의해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 또는,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재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를, 상기 재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접속된 것을 검지하는 접속 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검지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가 접속된 것이 검지되면, 상기 취득부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생성부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 치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검지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연속 접속시간이 특정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 것이 검지되면, 상기 평가치 연산부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고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재생 이력생성부에 의해 새롭게 생성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재연산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재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가, 상기 전송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된 후에,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하여,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삭제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와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검색 리스트 생성부와;
    상기 평가치 연산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검색 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소트한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8. 제 1 항에 있어서,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전송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할 때에,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일부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연산 평가치에 따라 삭제하는 콘텐츠 삭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콘텐츠 삭제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삭제 후에, 상기 전송되어야 할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삭제부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매체의 빈 용량을 검출하는 빈 용량 검출부와;
    상기 전송부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되어야 할 콘텐츠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빈 용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빈 용량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 의해 상기 빈 용량이 부족하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 부족 용량을 검출하는 부족 용량 검출부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중, 상기 부족 용량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연산 평가치에 따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삭제하는 삭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삭제부는,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리무버블 기억매체로부터 리핑되어서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삭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장치.
  31.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콘텐츠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재생 이력 기억부에 기록하는 재생 이력생성부와;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재생장치의 디바이스ID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및/또는 상기 재생장치를 그룹 관리 서버에 등록함에 의해 유저 단위로 생성되는 그룹ID가 상기 그룹 관리 서버에 의해 부여되고, 해당 그룹ID는 상기 외부장치 및/또는 상기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ID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4. 제 31 항에 있어서,
    유저 입력에 따라,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입력 평가치를,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보다도, 상기 입력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 상기 연산 평가치가 기록되고, 상기 입력 평가치가 기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평가치 입력부에 의해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게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연산 평가치 대신에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가,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모드에 있어서도,
    상기 전송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9.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전송된 연산 평가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 및/또는, 상 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전송된 입력 평가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 및/또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취득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로 각각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재생 이력정보, 및,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이력정보 및 상기 전송된 연산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취득된 상기 새로운 연산 평가치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1.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의 삭제 지시를 받으면, 해당 삭제 지시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삭제 콘텐츠 기억부에 기록하는 삭제 지시 접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삭제 콘텐츠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에 의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의 전송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후에,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3.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가능한 휴대형 재생장치와 통신가능한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평가치 연산 스텝과;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상기 재생 스텝에서 재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생성 스텝과;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는, 상기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상기 재생 이력생성 스텝에서 생성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이력생성 스텝에서는, 상기 재생스텝에서 재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는,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상기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 스텝에서는, 해당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전송 스텝에서는, 해당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상기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스텝에서 재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제1 평가치 연산 스텝과;
    상기 제1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 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제1 평가치 기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제2 평가치 연산 스텝과;
    상기 제2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제1 전송 스텝과;
    상기 제2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 연산된 연산 평가치와, 상기 제1 평가치 기록 스텝에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제3 평가치 연산 스텝과;
    상기 제3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 연산된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제2 전송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스텝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될 때마다, 상기 제1 평가치 연산 스텝 및 상기 제1 평가치 기록 스텝을 실행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연산해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8.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스텝 후이고, 상기 제3 평가치 연산 스텝전에,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하여,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삭제하도록 지시하는 삭제 지시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9. 제 43 항에 있어서,
    유저 입력에 근거하여, 정보처리장치의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 스텝과;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 스텝에서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스텝에서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 및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스텝에서는,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은,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입력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입력 평가치에 의거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연산하는 스텝 중 어느 한쪽 혹은 양쪽의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 스텝에서는, 상기 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상기 취득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고,
    상기 전송 스텝에서는, 상기 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상기 취득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1. 제 43 항에 있어서,
    유저 입력에 근거하여, 정보처리장치의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 스텝과;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에서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 스텝에서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 스텝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된 동일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입력 평가치를,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보다도, 상기 입력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3.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 상기 연산 평가치가 기록되고, 상기 입력 평가치가 기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평가치 입력 스텝에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지어서 상기 입력 평가치를 평가 기록스텝에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한 후에,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연산 평가치 대신에 해당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도, 상기 취득 스텝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가 취득되었을 경우, 또는, 상기 재생 스텝에 의해 정보처리장치의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을 실행하고, 상기 취득 스텝에 있어서 취득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 또는, 상기 재생 스텝에서 재생된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재연산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 스텝을 실행하고,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를, 상기 재연산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접속된 것을 검지하는 접속 검지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검지 스텝에 의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가 접속된 것이 검지되면, 상기 취득 스텝,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 및 상기 전송 스텝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6. 제 55 항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의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상기 재생 스텝에서 재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재생 이력 생성 스텝과;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에 의해, 상기 재생 스텝에서 재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 스텝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연속 접속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인 것을 검지하는 접속시간 검지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와의 연속 접속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인 것이 검출되면, 상기 평가치 연산 스텝이 실행되어,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해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재생 이력생성 스텝에 있어서 새롭게 생성된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하여, 재연산하고,
    상기 전송 스텝이 실행되어, 재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7.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억매체에 빈 용량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빈 용량 판단 스텝과;
    빈 용량 판단 스텝에 있어서 빈 용량이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대응하는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의 일부를,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연산 평가치에 따라 삭제하는 콘텐츠 삭제 스텝과;
    정보처리장치의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8.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한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재생장치의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스텝과;
    상기 재생 스텝에서 재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재생장치의 재생 이력 기억부에 기록하는 재생 이력 생성 스텝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재생 이력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스텝과;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재생장치의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9. 제 58 항에 있어서,
    유저 입력에 따라,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평가치를 설정하는 평가치 입력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 스텝에서는, 상기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평가치 입력 스텝에서 설정된 입력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동일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입력 평가치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보다 도, 상기 입력 평가치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해서 상기 연산 평가치가 기록되고, 상기 입력 평가치가 기록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평가 입력 스텝에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입력 평가치가 설정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게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한 후에,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연산 평가치 대신에 해당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스텝에서, 상기 특정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모드에서도,
    상기 전송 스텝, 상기 취득 스텝 및 상기 기록 스텝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4.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스텝에서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 및/또는 입력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취득 스텝에서는,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전송된 연산 평가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연산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 및/또는,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전송된 입력 평가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새로운 입력 평가치를 취득하고,
    상기 평가치 기록 스텝에서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 및/또는 상기 입력 평가치를, 상기 취득된 새로운 연산 평가치 및/또는 상기 취득된 입력 평가치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5.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의 삭제 지시를 받는 스텝과;
    해당 삭제 지시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삭제 콘텐츠 기 억부에 기록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스텝에서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의 상기 재생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삭제 콘텐츠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콘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6.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제1 전송 스텝과;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스텝과;
    상기 제1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제1 기록 스텝과;
    상기 제1 기록 스텝에서 기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제2 전송 스텝과;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전송 스텝에서 전송된 상기 연산 평가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연산 평가치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2 취득 스텝과;
    상기 제2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새로운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제2 기록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득 스텝 후이고, 상기 제2 전송 스텝전에, 상기 재생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삭제하는 삭제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8.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가능한 휴대형 재생장치와 통신가능한 정보처리장치의 통신처리를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로부터, 해당 휴대형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처리와;
    상기 취득 처리로 취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연산 평가치를 연산하는 평가치 연산 처리와;
    상기 평가치 연산 처리로 연산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휴대형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처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69.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한 재생장치의 통신처리를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재생장치의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1 또는 2이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처리와;
    상기 재생 처리에서 재생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재생장치의 재생 이력기억부에 기록하는 재생 이력생성 처리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재생 이력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재생 이력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처리와;
    상기 외부장치에 의해 적어도 상기 재생 이력정보에 근거해 연산된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연산 평가치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처리와;
    상기 취득 처리에서 취득된 상기 연산 평가치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시켜서 상기 재생장치의 평가치 기억부에 기록하는 평가치 기록 처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60070574A 2005-08-01 2006-07-27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KR20070015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574A KR20070015855A (ko) 2005-08-01 2006-07-27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3376 2005-08-01
KR1020060070574A KR20070015855A (ko) 2005-08-01 2006-07-27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855A true KR20070015855A (ko) 2007-02-06

Family

ID=4365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574A KR20070015855A (ko) 2005-08-01 2006-07-27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58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07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ing evaluation values of content data stored for reproduction
JP4349313B2 (ja) 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2161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usic to customers over the internet using uniquely identified proprietary devices
US7249147B2 (en) Combination compact disc recorder and player system
KR100707326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US7877814B2 (en) Content transferring apparatus, content transfer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0720637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US200200780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storing medium
JP2007041722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イベントログ記録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8071304A (ja) 情報処理装置、ダウンロード方法、ダウンロード中断方法、ダウンロード再開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35302B2 (ja) 情報処理装置,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48874B2 (ja) 情報処理装置,再生装置,通信方法,再生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16078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저장 매체
JP434094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KR20070015855A (ko) 정보처리장치, 재생장치, 통신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113431B1 (ko) 다운로드 앤 플레이 방식을 이용한 매장 음악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749731B1 (ko) 무선 단말기에 암호화된 멀티미디어 파일과 미리 재생하기키를 제공하는 방법
JP2008102883A (ja) ホスト装置、データベース管理システム、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8617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21116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2049374A (ja) 音楽再生装置、情報取得方法、情報管理サーバ、その制御方法、及び音楽再生システム
JP4524707B2 (ja) 情報処理装置
KR20070015871A (ko) 정보 처리장치, 콘텐츠 재생장치, 정보 처리방법, 이벤트로그 기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212326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5108274A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