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660B1 -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660B1
KR101111660B1 KR1020090086536A KR20090086536A KR101111660B1 KR 101111660 B1 KR101111660 B1 KR 101111660B1 KR 1020090086536 A KR1020090086536 A KR 1020090086536A KR 20090086536 A KR20090086536 A KR 20090086536A KR 101111660 B1 KR101111660 B1 KR 101111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tton
signal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903A (ko
Inventor
박삼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90086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6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입력부(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110)에 연결설치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 작동신호를 자동차(160)로 제공하는 동시에 작동신호에 따른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자동차(16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디스플레이/입력부(110)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스위치, 통합, 터치스크린, 버튼

Description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Combination Switch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 조명 및 편의장치의 작동 및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기계적인 스위치를 하나의 스위치 장치에 통합하여 구비시킨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방향지시등, 와이퍼 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윈도우 스위치 등과 같이 자동차 주행시 자주 사용하게 되는 스위치 외에 주행의 안전성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스위치가 그 용도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특히, 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차선이탈경고장치(LDWD), 차량의 조향등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AFLS(Adaptive front light system), 차량간격 자동제어 장치, 미끄럼방지장치(Vehicle dynamic control) 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자동주차장치, 주차공간 확인 장치, 좌석의 냉/난방 장치, 커튼, 공기정화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추가 적으로 더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특정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내부 조명이나 안개등 또한 별도로 스위치를 구비시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주행의 안정성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부가되는 스위치는 평상시 자주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자동차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 내부 일측에 전술한 스위치를 탑재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더욱이,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 중 일부는 그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스위치가 구비된 각각의 위치를 찾아 직접 그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나아가,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스위치들은 직접 연결되는 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하므로 원하는 장치를 자동제어 할 수 있도록 하려면 많은 컨트롤러와 부품을 추가로 부착해야 한다.
특히, 전술한 부품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개별적으로 각각 입출력 처리되어 다량의 전선과 커넥터를 필요로 하여, 이로 인한 장치의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고, 고장수리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나 최근 차량 시스템의 컴퓨터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고, 보다 많은 기능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는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부품의 수를 증가시켜 차량의 한정된 공간 내에 다수의 스위치를 탑재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주행의 안전성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구비되는 다양한 스위치의 탑재공간을 감소시키고,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다양한 스위치를 하나의 장치에 통합함으로써, 스위치를 자동차 내부에 각각 설치할 경우 소요되는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에 연결설치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 작동신호를 자동차로 제공하는 동시에 작동신호에 따른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자동차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디스플레이/입력부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과제 해결 수단이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는
외관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설치되되, 그 외주면에 작동신호에 따른 기호가 인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상기 버튼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버튼이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버튼 홀더;
상기 버튼 홀더의 하단에 연결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 삽입되도록 연결설치되되,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터치스크린에 연결설치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 작동신호를 자동차로 제공하는 동시에 작동신호에 따른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자동차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터치스크린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버튼의 하단에 구비되어 버튼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위치가 구비된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는 차량의 탑재공간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운전자가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에 연결설치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 작동신호를 자동차로 제공하는 동시에 작동신호에 따른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자동차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디스플레이/입력부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입력부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키보드 대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터치스크린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 등의 버튼부, 외부의 기기와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부, 자동차와 신호를 상호 전달하는 신호 송/수신부가 더 연결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의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입력부(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110)에 연결설치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 작동신호를 자동차(160)로 제공하는 동시에 작동신호에 따른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자동차(16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디스플레이/입력부(110)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일례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110)는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크린(14)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은 TFT LC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110), 특정적으로 터치스크린(14)에 연결설치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 작동신호를 자동차(160)로 제공하는 동시에 작동신호에 따른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자동차(16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디스플레이/입력부(110), 특정적으로 터치스크린(14)의 화면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제어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중앙처리장치(CPU)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동신호는 터치스크린(14)을 통해 입력할 수 있지만, 터치스크린(14)의 오작동으로 인한 입력신호 처리의 불량을 극복하고, 용이한 작동신호의 입력을 위해 상기 제어부(100)의 일측에 기계적인 방법으로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120)를 더 연결설치하여 구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부(120)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버튼부(120)는 버튼을 사용하는 방법 외의 다른 기계적인 방법, 예를 들면 스위치 등의 사용을 통해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의 기기, 예를 들면 자동차의 스마트키, 포브키 및/또는 무선단말기 등과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부(150)는 블루투스를 통해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는 자동차(160)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0)와 자동차(160) 사이의 신호를 상호 전달하는 신호 송/수신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송/수신부(130)는 자동차(160)의 제어장치, 특정적으로 자동차(160)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서로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상기 신호 송/수신부(130)는 자동차(16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자동차(160)로 작동신호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 특정적으로 스위치 장치의 제어부(100)는 별도의 전원공급부(140)가 연결설치되어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는 디스플레이/입력부(110)로서 터치스크린(14)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상기 터치스크린(14), 제어부(110) 및 버튼부(120)에 연결설치되는 작동 스위치(16)를 하나의 작동부(12)로 통합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는 외관을 제공하는 하우 징(2); 상기 하우징(2)의 하단에 연결설치되되, 그 외주면에 작동신호에 따른 기호가 인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6); 상기 버튼(6)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버튼(6)이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버튼 홀더(8); 상기 버튼 홀더(8)의 하단에 연결설치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하단으로 삽입되도록 연결설치되되,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14), 상기 터치스크린(14)에 연결설치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 작동신호를 자동차(160)로 제공하는 동시에 작동신호에 따른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자동차(16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터치스크린(14)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어부(100) 및 상기 버튼(6)의 하단에 구비되어 버튼(6)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작동 스위치(16)가 구비된 작동부(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12)의 터치스크린(14)의 전단에는 터치스크린(14)을 보호하는 커버(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2)은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의 외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터치스크린(14) 및 버튼(6)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6)은 작동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스크린(14)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기계적인 방법으로 신호를 별도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버튼 또는 스위치 장치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 는다.
이때, 상기 버튼(6)은 그 외부에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해당 작동신호를 나타내는 기호, 글자 및/또는 도형 등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6)은 작동부(12)에 구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CPU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100)에 연결설치되어 해당 버튼(6)의 작동신호를 제어부(100)로 직접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홀더(8)는 버튼(6)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버튼(6)이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는 상기 버튼 홀더(8)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버튼 홀더(8)를 지지하는 동시에 그 내부로 터치스크린(14), 제어부(100) 및 작동 스위치(16)가 구비된 작동부(12)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12)는 작동신호를 입력하고,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14), 상기 터치스크린(14)으로부터 수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자동차(160)로 해당 신호를 제공하는 동시에 자동차(16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터치스크린(14)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어부(100), 및 상기 버튼(6) 하단에 구비되어 버튼(6)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작동 스위치(16)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에 구비된 작동부(12)의 후단에는 상기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 특정적으로 통합 스위치 장치의 작동부(12)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1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110) 및/또는 버튼부(120)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주행장치, 조명장치, 편의장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는 자동차의 주행장치, 조명장치, 각종 편의장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장치들 외에 자동차에 구비되는 다른 장치들의 작동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는 자동차의 핸들에 별도의 터치스크린(14)을 설치한 후 상기 핸들에 구비된 터치스크린(14)과 서로 연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차의 핸들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14)과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의 상호 통신은 무선통신 및/또는 유선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입력부(110), 특정적으로 터치스크린(14) 및/또는 버튼부(120)의 버튼(6) 조작을 통해 원하는 입력신호(작동신호)를 제어부(100)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입력신호는 무선통신부(150)를 통해 별도의 단말기로 무선 통신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110) 및/또는 버튼부(120)의 조작을 통해 입 력되는 신호는 주행장치, 조명장치, 편의장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이다.
한편, 상기 버튼부(120)의 버튼(6) 조작을 통해 입력신호를 제어부(100)로 송신하는 경우, 그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입력부(110)의 화면에는 상기 버튼(6) 조작의 해당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 예를 들면 "주행안전, 조명장치, 조명장치"의 해당 버튼(6)을 누르면, 상기 해당 버튼(6)과 관련된 화면이 디스플레이/입력부(110)로 출력된다.
이때, 전술한 버튼(6)에 따라 디스플레이/입력부(110)로 출력되는 화면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110)로 출력된 화면을 터치하여 해당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제어부(100)로 입력된 신호는 제어부(100)의 소정 절차(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신호를 자동차(160), 특정적으로 자동차(160)의 중앙처리장치 또는 자동차(160)에 구비된 해당 장치로 전달하여 자동차의 원하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자동차(160)로 전달되는 신호와는 별도로 그 신호에 따라 제어부(100)에서 소정 절차에 거쳐 전달된 신호를 터치스크린(14)에 표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제어부(1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장치의 상태 신호를 자동차(160)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를 터치스크린(14)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입력부(110), 특정적으로 터치스크린(14)에 표시되 는 기호, 문자, 도형,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화되는 화면 및 작동상태의 표시 등은 제어부(100)에 저장된 소정 프로그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 : 하우징 4 : 커버
6 : 버튼 8 : 버튼 홀더
10 : 몸체 12 : 작동부
14 : 터치스크린 16 : 작동 스위치
18 : 케이스
100 : 제어부 110 : 디스플레이/버튼부
120 : 버튼부 130 : 신호 송/수신부
140 : 전원공급부 150 : 무선통신부
160 : 자동차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외관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연결설치되되, 그 외주면에 작동신호에 따른 기호가 인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상기 버튼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버튼이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버튼 홀더;
    상기 버튼 홀더의 하단에 연결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으로 삽입되도록 연결설치되되,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 연결설치되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 작동신호를 자동차로 제공하는 동시에 작동신호에 따른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 또는 자동차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터치스크린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버튼의 하단에 구비되어 버튼의 조작에 따라 작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작동 스위치가 구비된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통합 스위치 장치.
KR1020090086536A 2009-09-14 2009-09-14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 KR101111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536A KR101111660B1 (ko) 2009-09-14 2009-09-14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536A KR101111660B1 (ko) 2009-09-14 2009-09-14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903A KR20110028903A (ko) 2011-03-22
KR101111660B1 true KR101111660B1 (ko) 2012-02-14

Family

ID=4393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536A KR101111660B1 (ko) 2009-09-14 2009-09-14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6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986U (ko) * 1995-01-28 1996-08-17 자동차의 각종 작동기구 통합제어 장치
JP2000003652A (ja) 1998-06-16 2000-01-07 Fujikura Ltd 車載用入力装置
KR20070032241A (ko) * 2005-09-16 2007-03-21 주식회사 맥산 차량용 다기능 정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986U (ko) * 1995-01-28 1996-08-17 자동차의 각종 작동기구 통합제어 장치
JP2000003652A (ja) 1998-06-16 2000-01-07 Fujikura Ltd 車載用入力装置
KR20070032241A (ko) * 2005-09-16 2007-03-21 주식회사 맥산 차량용 다기능 정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903A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54983B (zh) 一种车辆控制系统及其操控方法
CN107206899B (zh) 借助移动设备控制车辆系统
US82296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KR20180088643A (ko) 동적 재구성가능 디스플레이 노브
JPH1097821A (ja) 操作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載用機器の操作装置
KR101678096B1 (ko) 통신 모듈,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9533577B2 (en) System for operating an instrument cluster of a vehicle and a mobile electronic device which can be detachably held by a holder on the vehicle
CN109561277B (zh) 监视系统
JP4623391B2 (ja) 車載用遠隔操作装置
CN209813892U (zh) 一种车用组合开关
JP6747914B2 (ja) 車両用計器装置
JP2010064598A (ja) 車載電装品の操作スイッチ装置
KR101111660B1 (ko)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
KR20110085166A (ko) 차량용 터치 스위치 장치
JP6425029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0471132Y1 (ko) 차량용 룸램프 유니트
CN101327780B (zh) 用于对设备进行启动的安全系统
KR20110072602A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리모컨 스위치 장치
KR200448093Y1 (ko) 네비게이션 장치
JP4071433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車載用電子機器
US20150354701A1 (en) Vibration feedback system for driver
KR20130005582A (ko)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EP1918161B1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WO2014209168A1 (ru) Автомобильный коммуникатор
KR20110085186A (ko) 차량용 터치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