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582A -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582A
KR20130005582A KR1020110067063A KR20110067063A KR20130005582A KR 20130005582 A KR20130005582 A KR 20130005582A KR 1020110067063 A KR1020110067063 A KR 1020110067063A KR 20110067063 A KR20110067063 A KR 20110067063A KR 20130005582 A KR20130005582 A KR 20130005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tion controller
motion
control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계영
박삼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582A/ko
Publication of KR20130005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접촉 또는 비접촉 시에는 모션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입력하는 모션컨트롤러(100)와; 자동차에 장착된 전자제어부와 연동되어 차량 정보를 공유하며, 모션컨트롤러(100)와 연동되어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른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모션컨트롤러(100) 작동에 의한 차량 상태 조작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통합디스플레이부(300)로 구성되어, 탑승자가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변경시킬 수 있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주행 중 운전자의 모션 인식을 통해 차량의 작동상태 변경이 가능하게 하여 주행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Motion controller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촉 방식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비접촉 모션 방식을 통해서도 차량 내부의 작동상태 인식 및 변경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방향지시등 와이퍼 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윈도우 스위치 등과 같이 자동차 주행 시 자주 사용하게 되는 스위치 외에 주행의 안전성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스위치가 그 용도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특히 주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 차선이탈경고장치(LDWD), 차량의 조향등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AFLS(Adaptive front light system), 차량간격 자동제어 장치, 미끄럼방지장치(Vehicle dynamic control) 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자동주차장치, 주차공간 확인 장치, 좌석의 냉난방 장치, 커튼 공기정화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추가적으로 더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특정 자동차의 경우 차량의 내부 조명이나 안개등 또한 별도로 스위치를 구비시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주행의 안정성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부가되는 스위치는 평상시 자주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자동차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 내부 일측에 전술한 스위치를 탑재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더욱이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 중 일부는 그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스위치가 구비된 각각의 위치를 찾아 직접 그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나아가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스위치들은 직접 연결되는 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하므로 원하는 장치를 자동제어 할 수 있도록 하려면 많은 컨트롤러와 부품을 추가로 부착해야 한다.
특히 전술한 부품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개별적으로 각각 입출력 처 리되어 다량의 전선과 커넥터를 필요로 하여 이로 인한 장치의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고 고장수리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나 최근 차량 시스템의 컴퓨터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고 보다 많은 기능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는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부품의 수를 증가시켜 차량의 한정된 공간 내에 다수의 스위치를 탑재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촉 방식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비접촉 모션 방식을 통해서도 차량 내부의 작동상태 인식 및 변경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접촉 또는 비접촉 시에는 모션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입력하는 모션컨트롤러와; 자동차에 장착된 전자제어부와 연동되어 차량 정보를 공유하며, 모션컨트롤러와 연동되어 상기 모션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른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모션컨트롤러 작동에 의한 차량 상태 조작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통합디스플레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탑승자가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변경시킬 수 있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주행 중 운전자의 모션 인식을 통해 차량의 작동상태 변경이 가능하게 하여 주행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서 모션컨트롤러와 통합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의 모션컨트롤러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서 통합디스플레이부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서 모션컨트롤러와 통합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의 모션컨트롤러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서 통합디스플레이부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컨트롤러(100)와,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는 통합디스플레이부(300)로 이루어져,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를 통해 입력된 운전자의 모션을 제어하여 작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작동상태를 통합디스플레이부(300)에서 출력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품성과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된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를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컨트롤러(100)와,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작동 상태를 출력하는 통합디스플레이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모션컨트롤러(100)는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하부에 장착되어 운전자가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를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손가락 모션을 감지하여 접촉 및 모션에 대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운전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200)는 자동차에 장착된 전자제어부(ECU : Electric Control Unit)와 연동되어 차량 정보를 공유하는 동시에 모션컨트롤러(100)와 연동되어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른 정보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통합디스플레이부(300)는 모션컨트롤러(100)가 구비된 차량의 센터페시아 측에 장착되어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되;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모션컨트롤러(100)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통합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모션컨트롤러(100) 작동에 의한 차량 상태 조작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시키는 전원부(210)가 추가로 구비되도록 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에 대한 온/오프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디스플레이부(120)와, 모션감지부(130)와, 커버(140)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10)은 전면이 개구된 형상의 직육면체로 성형되어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에 매립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하우징(110) 전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모션을 출력하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후면에는 신호 입력이 가능한 버튼(121) 및 사용자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센서(122)가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비접촉 모션 인식뿐만 아니라 직접 접촉을 통해서도 신호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모션감지부(13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택트 스위치(131)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커버(140)는 하우징(110) 후면에 장착되어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주행 시 모션컨트롤러(100)가 분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는 방향감지 스위치(150)가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이하 기술하게 될 통합디스플레이부(300)의 모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컨트롤러(100)와,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는 통합디스플레이부(300)로 이루어져,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를 통해 입력된 운전자의 모션을 제어하여 작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작동상태를 통합디스플레이부(300)에서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모션컨트롤러(10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주행장치, 조명장치, 편의장치 등에 관한 것으로 이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모션컨트롤러(100)를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모션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200)에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어부(200)의 프로세스에 따라 해당 신호를 차량의 전자제어부(미도시) 및 주행장치, 조명장치, 편의장치와 같은 차량에 구비된 해당 장치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때, 제어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는 소정의 절차를 거쳐 통합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장치의 상태 신호를 차량의 전자제어부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장치의 작동상태를 상기 통합디스플레이부(300)에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통합디스플레이부(300)에 출력되는 화면 및 작동상태의 표시는 제어부(200)에 저장된 것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이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은 사용자의 접촉 또는 비접촉 시에는 모션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입력하는 모션컨트롤러와; 자동차에 장착된 전자제어부와 연동되어 차량 정보를 공유하며, 모션컨트롤러와 연동되어 상기 모션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른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모션컨트롤러 작동에 의한 차량 상태 조작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통합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탑승자가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의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변경시킬 수 있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주행 중 운전자의 모션 인식을 통해 차량의 작동상태 변경이 가능하게 하여 주행 안전성을 증대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모션컨트롤러 110 : 하우징
120 : 디스플레이부 121 : 버튼
122 : 센서 130 : 모션감지부
131 : 택트 스위치 140 : 커버
150 : 방향감지 스위치 200 : 제어부
210 : 전원부 300 : 통합디스플레이부

Claims (4)

  1. 사용자의 접촉 또는 비접촉 시에는 모션을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는 모션컨트롤러와;
    자동차에 장착된 전자제어부와 연동되어 차량 정보를 공유하며, 모션컨트롤러와 연동되어 상기 모션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모션컨트롤러 작동에 의한 차량 상태 조작 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통합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컨트롤러는;
    하우징과;
    신호 입력이 가능한 버튼 및 사용자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센서가 구비되며, 사용자의 모션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택트 스위치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상기 하우징 후면에 장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방향감지 스위치가 추가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모션에 따라 상기 통합디스플레이부의 모드 변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시키는 전원부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션 리모트 컨트롤러 구조.
KR1020110067063A 2011-07-06 2011-07-06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KR20130005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63A KR20130005582A (ko) 2011-07-06 2011-07-06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63A KR20130005582A (ko) 2011-07-06 2011-07-06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82A true KR20130005582A (ko) 2013-01-16

Family

ID=47836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063A KR20130005582A (ko) 2011-07-06 2011-07-06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5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5429B2 (en) 2017-04-18 2019-06-18 Hyundai Motor Company Card-typ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5429B2 (en) 2017-04-18 2019-06-18 Hyundai Motor Company Card-typ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8438B2 (en) Lamp and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US9641172B2 (en)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varying size electrode fingers
US11161484B2 (en)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US9073476B2 (en) Multifunctional strip for motor vehicle
WO2016152844A1 (ja) ジェスチャー作動車両照明システムを含む車両パネルアッセンブリ
GB2423808A (en) Gesture controlle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accessories
JP6009664B2 (ja) センサ起動装置を有する車両用手動スイッチ装置
KR101767994B1 (ko) 자동차 브레이크 등
CN109561277B (zh) 监视系统
US10303260B2 (en) Switch device
KR102621079B1 (ko) 비접촉식 차량 실내 램프 유니트
CN104467788A (zh) 触摸开关模块
US11485341B2 (en)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KR20110085166A (ko) 차량용 터치 스위치 장치
JP5010373B2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車両
KR101305602B1 (ko) 차량 스위치용 모션 인식장치
KR20130005582A (ko) 차량용 모션컨트롤러 시스템
JP2007311306A (ja) 車載用入力装置
US10128839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including a position detector that detects a neutral position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body
KR101714082B1 (ko) 차량용 와이어리스 조작장치
KR101111660B1 (ko) 차량용 통합 스위치 장치
KR101417384B1 (ko) 멀티펑션 스위치 가이드 장치 및 방법
KR20160081377A (ko) 스위치 표시 제어 장치
KR101206218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0683250B1 (ko) 차량용 비상스위치의 동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