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541B1 -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541B1
KR101111541B1 KR1020067017197A KR20067017197A KR101111541B1 KR 101111541 B1 KR101111541 B1 KR 101111541B1 KR 1020067017197 A KR1020067017197 A KR 1020067017197A KR 20067017197 A KR20067017197 A KR 20067017197A KR 101111541 B1 KR101111541 B1 KR 10111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recording
data
remaining capacity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928A (ko
Inventor
데쓰히로 마에다
도시사다 이시이
겐이치로 아리도메
유키오 이소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92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기록 매체(5) 상의 기록 영역을 적어도 2개로 분할하고, 기록하는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각각의 기록 영역을 구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이며, 입력된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는,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의 잔용량을 확인하고,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의 잔용량이 없는 경우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의 잔용량이 확장 사이즈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의 잔용량이 확장 사이즈보다 큰 경우에는, 경계 포인터를 수정하는 동시에,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 및 파일 시스템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를 확장하여,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에 정지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 종료 후에는 필요에 따라 관리 영역 ARM의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나 파일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
광기록 매체, 기록 영역, 동영상, 정지 영상, 파일 시스템 정보.

Description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촬상 장치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4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번호 2004-377558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은 원용함으로써, 본 출원에 포함된다.
종래, 텔레비전 방송의 녹화나 촬영 화상을 기록하는 장치로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대신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 재생형의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DVD 레코더가 사용되고 있다. 기록 재생형 DVD는 직경을 12cm로 하고, 두께를 1.2mm로 하는 크기를 가지며, 한쪽 면에 4.7G바이트의 기록 용량을 가지는 광 디스크이다.
기록 재생형 DVD에는, 데이터의 1회만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추기형(追記型)과 데이터의 재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재기록형을 합해서, DVD-R, DVD-RW, DVD+RW, DVD+R 및 DVD-RAM의 5개 종류의 포맷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포맷은 DVD 의 민간 규격 단체인 "DVD 포럼", 및 DVD 포럼과는 상이한 민간 규격 단체인 "DVD+RW 얼라이언스"로부터 제안되어 있다.
DVD-R 및 DVD+R은 데이터의 1회만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추기형의 광 디스크이다. DVD-R은 DVD 포럼에 의해 제안된 포맷에 따른 광 디스크이며, DVD+R은 DVD+RW 얼라이언스에 의해 제안된 포맷에 따른 광 디스크이다.
DVD-RW 및 DVD+RW는 "DVD 포럼"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재생 전용의 DVD(DVD-VIDEO)와의 포맷의 호환성이 취해진 데이터의 재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회의 재기록이 가능한 광 디스크이다. DVD-RW 및 DVD+RW는 종래의 재생 전용의 DVD 플레이어에서도, 재생이 가능하다. DVD-RW는 DVD 포럼에 의해 제안된 포맷에 따른 광 디스크이며, DVD+RW는 DVD+RW 얼라이언스에 의해 제안된 포맷에 따른 광 디스크이다.
DVD-RAM은 카트리지에 수납된 형식의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이며, DVD-VIDEO와의 호환성은 낮고, 다른 DVD와는 대폭 상이한 포맷의 광 디스크이다. DVD-RAM은 DVD 포럼에 의해 제안된 광 디스크이다.
또, DVD 포럼에 의해 제안되어 있는 DVD-VIDEO 규격에서는, 데이터 단위로서 "타이틀"이라고 하는 단위가 규정되어 있다. 본 규격에서 규정된 "타이틀"이란, 예를 들면, 영화의 1 작품이나 음악 앨범의 1 작품 등 1개 컨텐츠의 재생 단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DVD-VIDEO 규격에서는, 1개의 DVD 디스크에 대하여 99개의 타이틀까지 기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4-318923호 공보 참조).
그런데, 광기록형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그 용도에 따라 기록 영역을 분할하고,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시스템 등에 의해 기록 매체에 동영상과 정지 영상을 기록하는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영상은 기록 영역 A에, 정지 영상은 기록 영역 B에 기록함으로써, 용도가 다른 각각의 데이터를 분리하여 취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 영역 A와 기록 영역 B의 경계 위치는 기록 영역 밖의 어느 관리 영역에 기술된 포인터 Po(이하 이것을 경계 포인터 Po라고 함)에 의해 지시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기록 방법에서는, 기록 영역 A와 기록 영역 B의 경계를 가리키는 경계 포인터 Po의 값을 기록 매체의 초기화 시에 지정한 값으로 고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록 영역 B에, 예를 들면, 어느 종별의 데이터 b를 기록해 가서, 그 영역을 다 써버린 경우, 다른 종별의 데이터 a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영역 A에 충분히 빈 영역이 있다고 해도, 그 이상 데이터 B를 기록할 수 없다. 이 결과, 종래의 기록 방법에서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각각의 데이터의 이용 비율을 고정하여 버리게 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는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광기록 매체 상의 기록 영역을 2개로 분할하고, 기록하는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각각의 기록 영역을 구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있어서, 분할한 2개의 영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광기록 매체 상의 기록 영역을 적어도 2개로 분할하고, 기록하는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각각의 기록 영역을 구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한쪽의 기록 영역의 잔용량(殘容量)이 없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 잔용량이 있는 쪽의 영역을 잔용량 영역이 없어진 쪽의 영역에 할당함으로써, 한쪽의 영역을 확장하여 각각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가변(可變)으로 하고, 종별이 다른 데이터를 분리하여 기록한다.
또, 본 발명은 광기록 매체 상의 기록 영역을 적어도 2개로 분할하고, 기록하는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각각의 기록 영역을 구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각 기록 영역의 잔용량을 관리하여, 한쪽의 기록 영역의 잔용량이 없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 잔용량이 있는 쪽의 영역을 잔용량 영역이 없어진 쪽의 영역에 할당함으로써, 한쪽의 영역을 확장하여 각각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가변으로 하는 영역 관리부를 구비하고, 영역 관리부에 의해 각 기록 영역의 잔용량을 관리하고, 기록하는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각각의 기록 영역을 구분 사용하여 데이터 기록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부에 의해 얻어지는 동영상 신호와 정지 영상 신호를 광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로서, 광기록 매체 상의 기록 영역을 적어도 2개로 분할하고, 각 기록 영역의 잔용량을 관리하여, 한쪽의 기록 영역의 잔용량이 없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 잔용량이 있는 쪽의 영역을 잔용량 영역이 없어진 쪽의 영역에 할당함으로써, 한쪽의 영역을 확장하여 각각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가변으로 하는 영역 관리부를 구비하고, 영역 관리부에 의해 각 기록 영역의 잔용량을 관리하여, 촬상부에 의해 얻어지는 동영상 신호와 정지 영상 신호를 기록부에 의해 광기록 매체 상의 상이한 기록 영역에 기록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광기록 매체 상의 기록 영역을 2개로 분할한 각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 포인터를 기록 영역 밖의 관리 영역에 기록하고, 경계 포인터의 변경에 의해 영역을 확장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광기록 매체의 초기화, 광기록 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광기록 매체의 인출 과정에서, 광기록 매체의 최내주(最內周)로부터의 일정 영역 및 최외주(最外周)로부터의 일정 영역에 경면(鏡面)이 있는 경우 그 영역을 패딩(padding)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 중의 기록 영역을 데이터 종별마다 상이한 영역에 기록함으로써, 동 계통의 데이터를 정리해서 취급할 수 있다. 또, 각각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유연하게 영역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록 영역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기록 매체의 초기화, 광기록 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광기록 매체의 인출 과정에서, 광기록 매체의 최내주로부터의 일정 영역 및 최외주로부터의 일정 영역에 경면이 있는 경우 그 영역을 패딩함으로써, 범용의 광기록 매체 재생 장치에 대하여 호환성이 높은 광기록 매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로부터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분할하여 동영상과 정지 영상을 상이한 기록 영역에 기록하도록 한 광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촬상 장치에 사용되는 광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A) 및 도 4 (B)는 촬상 장치에 사용되는 광기록 매체의 초기화 처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A)~도 5 (C)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기록, 기록 매체의 인출 및 파이널라이즈 처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A)~도 6 (C)는 촬상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 상의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의 확장 처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A)~도 7 (C)는 촬상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 상의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의 확장 처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동영상과 정지 영상의 기록 동작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촬상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 상의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의 확장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촬상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 상의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의 잔 용량 산출 처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하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촬상 장치(100)에 적용된다.
이 촬상 장치(10O)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1), 이 촬상부(1)로부터 동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정지 영상 신호가 공급되는 기록부(2), 촬상부(1)나 기록부(2)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시스템 제어부(3), 이 시스템 제어부(3)에 접속된 사용자 인터페이스(4)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른바 비디오 카메라이며, 촬상부(1)에 의해 얻어지는 동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정지 영상 신호를 기록부(2)에 의해 광기록 매체(5)에 기록한다.
이 촬상 장치(100)에서, 기록부(2)는 촬상부(1)에 접속된 데이터 입력부(10), 이 데이터 입력부(10)에 접속된 압축 처리부(20), 이 압축 처리부(20)에 접속된 스트림 관리부(30), 이 스트림 관리부(30)에 접속된 드라이브 제어부(40)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입력부(10)는 동영상 입력부(11), 음성 입력부(12) 및 정지 영상 입력부(13)로 이루어지고, 촬상부(1)로부터 공급되는 동영상 신호ㆍ음성 신호 또는 정지 영상 신호, 또는 그 밖에 외부 기기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함으로써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또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얻고, 그들 데이터를 압축 처리부(20)에 출력한다.
압축 처리부(20)는 동영상 인코더(21), 음성 인코더(22), 정지 영상 인코더(23) 및 다중화 처리부(24)로 이루어지고, 데이터 입력부(1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인코드하여, 스트림 관리부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데이터 입력부(1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동영상과 음성 데이터인 경우에는, 다중화 처리부(24)에 의해 다중화 처리를 행하고, 비디오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스트림 관리부(30)는 기록 정보 관리부(31), 파일 시스템 관리부(32) 및 확장 처리부(33)로 이루어지고, 압축 처리부(2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기록 정보 관리부(31)나 파일 시스템 관리부(32)를 통해 드라이브 제어부(40)에 출력한다.
기록 정보 관리부(31)는 광기록 매체(5)에서 채용되는 각종 규격으로 필요하게 되는 정보를 압축 처리부(2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에 부여한다. 또, 입력된 데이터 이외에, 광기록 매체(5)에서 채용되는 각종 규격으로 필요하게 되는 각종 관리 정보나 그 밖에 기록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를 도 3에 나타낸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로서 출력한다.
파일 시스템 관리부(32)는 기록 정보 관리부(3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의 기록 위치 등에 관한 명령이나 파일 시스템 정보를 드라이브 제어부(40)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입력 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로의 기록을 명령하고, 정지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로의 기록을 명령한다.
또, 기록 정보 관리부(31) 및 파일 시스템 관리부(32)는 광기록 매체(5) 상에 기록된 관리 영역 ARM에 포함되는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나 파일 시스템 정보를 드라이브 제어부(40)를 통해 수취하고, 그들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 및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 각각의 기록 가능 잔용량을 구하고, 그 결과를 영역 확장부(33)에 통지한다.
영역 확장부(33)는 기록 정보 관리부(31) 및 파일 시스템 관리부(32)에 의해 통지된 각각의 기록 영역의 잔용량을 확인하고, 한쪽 영역의 잔용량이 없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에 다른 쪽의 빈 영역을 잔용량이 없어진 쪽의 영역에 할당함으로써 기록 영역을 확장한다. 이 영역 확장부(33) 동작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드라이브 제어부(40)는 스트림 관리부(30)로부터 수취한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 관리부(32)의 명령에 따라 광기록 매체(5)의 적절한 위치에 기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는 기록 개시/정지 등의 사용자 요구를 받아들이고, 시스템 제어부(3)에 명령을 출력한다. 또, 동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에 의해 구성되는 비디오 신호와 정지 영상 신호의 입력 전환도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4)를 통해 행한다.
시스템 제어부(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로부터의 명령을 받고, 그 명령에 따라 각 부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촬상 장치(100)에서, 광기록 매체(5)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광기록 매체(5)가 완전히 미사용의 상태이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광기록 매체(5)를 초기화한다. 그리고, 광기록 매체(5)는 초기화 시에 그 기록 영 역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와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로 분할되고, 그 경계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기록 매체(5) 중의 관리 영역 ARM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경계 포인터 Po에 의해 가리켜지고 있다.
다음에, 이 촬상 장치(100)에서, 광기록 매체(5)를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촬상 장치(100)에서는, 광기록 매체(5)로서 기록형 DVD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광기록 매체(5)에서 모든 미기록 영역을 경면(鏡面)이라고 하며,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경면을 없애는 것을 패딩이라고 한다.
광기록 매체(5)를 초기화하는 경우, 먼저 도 4 중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기록 영역의 개시 위치 Po까지 패딩한다. 다음에, 도 4 중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딩한 영역에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 및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한다.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는 기록 데이터에 관한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관리 영역 ARM에 기록되는 정보이며, 이 중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와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V의 경계 위치 P1을 가리키기 위한 값(이하 이값을 경계 포인터 Po라고 함)을 설정하고, 내주 측을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 외주 측을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로서 할당한다.
그리고, 이 촬상 장치(100)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초기화된 광기록 매체(5)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도 5 중에 나타낸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인 경우에는,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에, 정지 영상인 경우에는, 정지 영상용 영역 ARS에 기록한다. 각각의 영역에 있어서 기록의 개시 위치는 각 영역의 선두로 하고,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록한다. 기록 종료 후에는 필요에 따라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나 파일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
또, 이 촬상 장치(100)에서는, 광기록 매체(5)를 인출할 때, 도 5 중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기록 매체(5) 상의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ARSp), 정지 영상 영역 개시 위치로부터 내주측의 일정 영역(ARVp2), 또한 동영상용 기록 영역 ARV에 기록된 데이터의 최외주 위치로부터의 일정 영역(ARVp1)에 경면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그들을 패딩한다. 또, 필요에 따라 관리 영역 ARM의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 및 파일 시스템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이 촬상 장치(10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파이널라이즈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광기록 매체(5)에 대하여 파이널라이즈를 실행한다. 파이널라이즈에 있어서는, 도 5 중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기록 매체(5)의 관리 영역 ARM에 포함되는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나 파일 시스템 정보를 일반적인 광기록 매체 재생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규격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고, 또한 광기록 매체(5) 상에 경면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그들 영역을 모두 패딩한다.
그리고, 이 촬상 장치(100)에서 기록을 계속해 가면, 어느 쪽은 기록 가능 잔용량이 없어진다. 여기에서,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보다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의 잔용량이 먼저 없어진 경우를 고려한다. 이 시점에서, 만약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에 충분한 빈 영역이 있으면, 이 촬상 장치(100)에서는,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를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에 할당함으로써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를 확장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로부터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에 할당하는 영역의 사이즈로서, 어느 크기를 가지는 확장 사이즈를 사전에 설정해 둔다.
정지 영상 데이터의 기록을 개시하고, 그 기록 영역에 기록하려고 했을 때 잔용량이 없는 경우에는, 먼저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S의 잔용량을 확인한다. 만약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의 잔용량이 사전에 설정한 확장 사이즈보다 크면,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의 외주측으로부터 사전에 설정해 둔 확장 사이즈 분의 영역을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에 할당한다(도 6 중의 (A)→(B)).
이때, 이 촬상 장치(100)에서의 영역 확장부(33)는 기록 정보 관리부(31) 및 파일 시스템 관리부(32)를 통해 광기록 매체(5)의 관리 영역 ARM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경계 포인터를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와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V의 경계 위치 P1'을 가리키도록 수정하고, 또한 관련되는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나 파일 시스템 정보를 수정한다.
영역의 확장 후에는, 다시 데이터 기록을 속행하지만, 확장한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는 경계의 선두로부터 외주 방향을 향해 기록을 행한다(도 6 중의 (C)).
영역 확장 후에 광기록 매체(5)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도 7 중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로운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의 개시 위치로부터 내주측의 일정 영역과, 새로 확장한 영역도 포함시킨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내에 경면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그 영역을 패딩한다.
도 7 중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 후의 영역을 다시 구분 사용한 경우이며, 또한 비디오용 기록 영역의 빈 영역이 확장 사이즈보다 크면, 새로운 경계 위치 P1"을 가리키도록 경계 포인터를 수정하여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를 재확장한다(도 7 중의 (C)). 이후,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와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의 잔용량이 함께 없어질 때까지 동일한 작업을 반복한다.
즉, 이 촬상 장치(100)에서의 기록부(20)는 도 8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버튼이 눌러지고, 촬상부(1)에 의한 촬상 동작을 개시하면(스텝 S1), 촬상부(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동영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2), 동영상인 경우에는,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의 잔용량을 확인한다(스텝 S3). 그리고,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의 잔용량이 있는 경우에는, 촬상부(1)에 의해 촬상된 촬상 데이터가 입력되고(스텝 S4), 촬상부(1)로부터 입력된 촬상 데이터, 즉 동영상 데이터를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에 기록하고(스텝 S5), 기록 종료 후에는 필요에 따라 관리 영역 ARM의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나 파일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여(스텝 S6), 기록 동작을 계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7), 기록 동작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2로 복귀한다.
또, 스텝 S2의 판정 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동영상이 아닌 경우에는,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의 잔용량이 충분한지 여부를 확인한다(스텝 S8). 그리고,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의 잔용량이 충분히 있는 경우에는, 촬상부(1)에 의해 촬상된 촬상 데이터가 입력되고(스텝 S4), 촬상부(1)로부터 입력된 촬상 데이터, 즉 정지 영상 데이터를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에 기록하고(스텝 S5), 기록 종료 후에는 필요에 따라 관리 영역 ARM의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나 파일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여(스텝 S6), 기록 동작을 계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7), 기록 동작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2로 복귀한다.
여기에서, 스텝 S8에 있어서의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의 잔용량이 충분한지 여부의 판단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1. 어느 소정 값과 비교하여, 잔용량이 적으면 「잔용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소정 값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촬영 모드가 고화질(HQ)/표준(SP)/저화질(LP)의 3 단계의 촬영 모드인 경우 가장 용량이 큰 HQ 모드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정지 영상의 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HQ의 정지 영상을 기록하기 위해 충분한 빈 영역을 확보하도록 설정된다.
2. 정지 영상 촬영 모드에 따른 소정 값을 미리 설정하고, 선택된 정지 영상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소정 값과 비교하여, 잔용량이 적으면「잔용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정지 영상 촬영 모드(HQ/SP/LP)에 따라 상이한 값을 기억시켜 두고, 스텝 S8에서는, 정지 영상 촬영 모드를 판정하고, 판정된 정지 영상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소정 값과, 잔용량의 비교를 행한다.
3. 실제로 촬상된 정지 화상 데이터 용량과 잔용량을 비교하여, 잔용량이 적으면 「잔용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또, 스텝 S8의 판정 결과,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의 잔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의 잔용량이 확장 사이즈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9).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의 잔용량이 확장 사이즈보다 큰 경우에는, 경계 포인터를 수정하는 동시에(스텝 S10),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 및 파일 시스템 정보를 수정함으로써(스텝 S11),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를 확장한다. 그리고, 촬상부(1)에 의해 촬상된 촬상 데이터가 입력되고(스텝 S4), 촬상부(1)로부터 입력된 촬상 데이터, 즉 동영상 데이터를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에 기록하고(스텝 S5), 기록 종료 후에는 필요에 따라 관리 영역 ARM의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나 파일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여(스텝 S6), 기록 동작을 계속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7), 기록 동작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스텝 S2로 복귀한다.
이후,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와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의 잔용량이 함께 없어질 때까지 동일한 작업을 반복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설명에서는, 광기록 매체(5) 상의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ARSp), 정지 영상 영역 개시 위치로부터 내주측의 일정 영역(ARVp2), 또한 동영상용 기록 영역 ARV에 기록된 데이터의 최외주 위치로부터의 일정 영역(ARVp1)에 경면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광기록 매체(5)의 인출 시 이 영역을 패딩하고 있었지만, 이 처리는 매(每) 기록 종료 시에 행해도 된다. 또, 촬상 장치(100)에서는, 초기화 처리에서, 데이터 기록 영역 개시 위치까지의 패딩을 최초에 행하고 있었지만, 이 처리는 기록 데이터 관리 정보나 파일 시스템 정보를 기록한 후에 남은 경면만을 패딩해도 된다.
촬상 장치(100)에서, 광기록 매체(5)의 초기화 시에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 ARS에 할당하는 영역의 크기를 기록부(2)에 의한 기록 가능 최소 단위로 설정하고, 확장 영역 사이즈를 동일하게 기록 가능 최소 단위로 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기록 매체(5)의 내주 측과 외주 측으로부터 기록을 진행하여 가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의 잔용량은 디스크의 파일 시스템에 포함되는 빈 용량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VD의 경우, 파일 시스템으로서 UDF를 사용한다. UDF에서는, 디스크 내의 데이터 기록 영역으로서 파티션이라고 하는 영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 파티션의 사용 상황을 Space Bit Map Descriptor(이하, SBD라고 함)라고 하는 정보 기술자(記述子)에서 관리하고 있다. SBD는 파티션 내의 각 섹터에 대응하는 비트 맵을 가지고 있으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트가 1인 경우에는, 대응하는 섹터는 미사용이며, O인 경우에는, 사용필(使用畢)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의 잔용량은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과 대응하는 비트 중, 미사용을 나타내는 비트의 총계×섹터 사이즈로 구할 수 있다.
또, 동영상용 기록 영역의 잔용량은 경계 포인터로 가리켜지는 어드레스로부터 비디오용 기록 영역 ARV 내에 기록한 비디오 데이터의 종단(終端) 어드레스를 뺀 값×섹터 사이즈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DF에서는, 파티션 내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파일로서 관리하고 있으며, 모든 파일의 개시 어드레스와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비디오 데이터도 UDF에 의해 파일로서 관리되고 있으며, 이 비디오 데이터 파일의 종단 어드레스를 비디오 데이터의 종단 어드레스로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용 기록 영역의 잔용량도 정지 영상용 기록 영역의 잔용량 계산 시와 같이 SBD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한 청구의 범위 및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 치환 또는 그 동등한 것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Claims (12)

  1. 광기록 매체 상의 기록 영역을 적어도 동영상 기록 영역 및 정지 영상 기록 영역의 2개로 분할하고, 기록하는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각각의 기록 영역을 구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으로서,
    각 기록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 포인터(pointer)를 상기 기록 영역 밖의 관리 영역에 기록하고,
    각 기록 영역의 잔용량(殘容量)을 관리하고, 한쪽의 기록 영역의 잔용량이 없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 잔용량이 있는 쪽의 영역을 잔용량 영역이 없어진 쪽의 영역에 기록 가능 최소 단위보다 큰 확장 사이즈의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상기 경계 포인터의 변경에 의해 한쪽의 영역을 확장하여 각각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가변(可變)으로 하고,
    각 기록 영역의 잔용량을 관리하여, 기록하는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각각의 기록 영역을 구분 사용하여 종별이 다른 데이터를 분리하여 기록하고, 정지 영상 기록 영역에서 상기 경계 포인터의 선두에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광기록 매체의 초기화, 광기록 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광기록 매체의 인출 과정에서 광기록 매체의 최내주(最內周)로부터의 일정 영역 및 최외주(最外周)로부터의 일정 영역에 경면(鏡面)이 있는 경우 그 영역을 패딩(pad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방법.
  3. 광기록 매체 상의 기록 영역을 적어도 동영상 기록 영역 및 정지 영상 기록 영역의 2개로 분할하고, 기록하는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각각의 기록 영역을 구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로서,
    각 기록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 포인터(pointer)를 상기 기록 영역 밖의 관리 영역에 기록하고,
    각 기록 영역의 잔용량(殘容量)을 관리하고, 한쪽의 기록 영역의 잔용량이 없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
    잔용량이 있는 쪽의 영역을 잔용량 영역이 없어진 쪽의 영역에 기록 가능 최소 단위보다 큰 확장 사이즈의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상기 경계 포인터의 변경에 의해 한쪽의 영역을 확장하여 각각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가변(可變)으로 하는 영역 관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 관리 수단에 의해 각 기록 영역의 잔용량을 관리하여, 기록하는 데이터의 종별에 따라 각각의 기록 영역을 구분 사용하여 종별이 다른 데이터를 분리하여 기록하고, 정지 영상 기록 영역에서 상기 경계 포인터의 선두에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관리 수단은, 광기록 매체의 초기화, 광기록 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광기록 매체의 인출 과정에서 광기록 매체의 최내주(最內周)로부터의 일정 영역 및 최외주(最外周)로부터의 일정 영역에 경면(鏡面)이 있는 경우 그 영역을 패딩(pad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5.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동영상 신호 및 정지 영상 신호를 광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로서,
    상기 광기록 매체 상의 기록 영역을 적어도 동영상 기록 영역 및 정지 영상 기록 영역의 2개로 분할하고,
    각 기록 영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경계 포인터(pointer)를 상기 기록 영역 밖의 관리 영역에 기록하고,
    각 기록 영역의 잔용량(殘容量)을 관리하고, 한쪽의 기록 영역의 잔용량이 없어진 것을 검출한 경우,
    잔용량이 있는 쪽의 영역을 잔용량 영역이 없어진 쪽의 영역에 기록 가능 최소 단위보다 큰 확장 사이즈의 영역을 할당함으로써, 상기 경계 포인터의 변경에 의해 한쪽의 영역을 확장하여 각각의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을 가변(可變)으로 하는 영역 관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 관리 수단에 의해 각 기록 영역의 잔용량을 관리하여,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동영상 신호 및 정지 영상 신호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광기록 매체 상의 다른 기록 영역에 기록하고, 정지 영상 기록 영역에서 상기 경계 포인터의 선두에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관리 수단은, 광기록 매체의 초기화, 광기록 매체로의 데이터 기록, 광기록 매체의 인출 과정에서 광기록 매체의 최내주(最內周)로부터의 일정 영역 및 최외주(最外周)로부터의 일정 영역에 경면(鏡面)이 있는 경우 그 영역을 패딩(padd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7017197A 2004-12-27 2005-10-14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촬상 장치 KR101111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7558 2004-12-27
JP2004377558A JP3933167B2 (ja) 2004-12-27 2004-12-27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及び撮像装置
PCT/JP2005/018956 WO2006070523A1 (ja) 2004-12-27 2005-10-14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及び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928A KR20070092928A (ko) 2007-09-14
KR101111541B1 true KR101111541B1 (ko) 2012-02-13

Family

ID=3661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197A KR101111541B1 (ko) 2004-12-27 2005-10-14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05059B2 (ko)
EP (1) EP1713072B1 (ko)
JP (1) JP3933167B2 (ko)
KR (1) KR101111541B1 (ko)
CN (1) CN1926625B (ko)
TW (1) TW200638351A (ko)
WO (1) WO2006070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9339B2 (ja) * 2009-02-20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ァイルシステム管理方法
JP2012019329A (ja) * 2010-07-07 2012-01-26 Sony Corp 記録装置、記録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再生装置
CN110024407B (zh) * 2016-10-04 2021-10-15 有限公司B1影像技术研究所 图像数据编码/解码方法和装置
CN111666262B (zh) * 2020-05-28 2021-06-22 重庆中联信息产业有限责任公司 海量医学影像在网络附属存储nas状态下特征点提取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44A (ja) * 1991-07-11 1993-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アクセス方式
JP2001043631A (ja) * 1999-07-29 2001-02-16 Sharp Corp 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装置
JP2004022043A (ja) * 2002-06-14 2004-01-22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0765A (ja) 1990-11-02 1992-06-18 Olympus Optical Co Ltd データ記録方法
JPH09205615A (ja) * 1996-01-25 1997-08-05 Canon Inc 記録装置
TW385436B (en) * 1997-12-12 2000-03-21 Toshiba Corp Digital recording system using variable recording rate
JP3929741B2 (ja) * 2001-10-16 2007-06-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情報記録媒体、画像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6511018A (ja) * 2002-12-20 2006-03-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情報を保存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063076B2 (ja) 2002-12-27 2008-03-19 ソニー株式会社 光記録方法及び光記録装置
JP2004228837A (ja) * 2003-01-22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の蓄積時間保証方法及び装置
JP3710790B2 (ja) * 2003-03-24 2005-10-2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JP4151465B2 (ja) 2003-04-10 2008-09-1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44A (ja) * 1991-07-11 1993-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アクセス方式
JP2001043631A (ja) * 1999-07-29 2001-02-16 Sharp Corp 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装置
JP2004022043A (ja) * 2002-06-14 2004-01-22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33167B2 (ja) 2007-06-20
US20070133954A1 (en) 2007-06-14
CN1926625B (zh) 2010-06-09
TWI312506B (ko) 2009-07-21
EP1713072A4 (en) 2009-02-11
TW200638351A (en) 2006-11-01
EP1713072B1 (en) 2011-11-30
WO2006070523A1 (ja) 2006-07-06
EP1713072A1 (en) 2006-10-18
KR20070092928A (ko) 2007-09-14
US7805059B2 (en) 2010-09-28
JP2006185499A (ja) 2006-07-13
CN1926625A (zh)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4993B1 (en) DVD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JP3859207B2 (ja) Avデータ記録装置及び方法、又は当該記録装置及び方法で記録されたディスク
JP3677205B2 (ja) 複数記録面対応の情報記録装置及び複数記録面対応の情報記録方法
US8032011B2 (en)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ing program recorded therein and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US7224888B2 (en)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7035969B2 (en)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ing program recorded therein
JP4087642B2 (ja)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並びに情報保持媒体
US7233736B2 (e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2004005855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3637275B2 (ja) 情報即時記録装置及び情報即時記録方法
KR101111541B1 (ko) 데이터 기록 방법, 데이터 기록 장치 및 촬상 장치
US7043620B2 (en)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ing program recorded therein and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US7233735B2 (en) Digit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built-in storage medium
US20060083138A1 (en) Write-once medium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apparatus, and playback apparatus
US20060285828A1 (en)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video recording method
US7860374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format chang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tion method
KR101220019B1 (ko) 광 디스크 기록 장치 및 방법과 카메라 일체형 디스크 기록장치
EP124166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recording and reproduction for plurality of media
US8059938B2 (en) Picture recording apparatus
JP2007080507A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及び撮像装置
JP4039299B2 (ja) 記録装置及び方法
JP3881676B2 (ja) 光ディスク及び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
JP3997910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8269672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