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072B1 -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072B1
KR101111072B1 KR1020060060468A KR20060060468A KR101111072B1 KR 101111072 B1 KR101111072 B1 KR 101111072B1 KR 1020060060468 A KR1020060060468 A KR 1020060060468A KR 20060060468 A KR20060060468 A KR 20060060468A KR 101111072 B1 KR101111072 B1 KR 101111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te turn
yaw rate
vehicle
value
rat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966A (ko
Inventor
유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6006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072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50/00Monitoring, detecting, estimating vehicle conditions
    • B60T2250/03Vehicle ya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50/00Monitoring, detecting, estimating vehicle conditions
    • B60T2250/04Vehicle reference speed; Vehicle body speed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직진중일 때에 완선회에 의한 요레이트(Yaw rate) 센서의 오보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직진을 시작하는가를 판단하여 직진중이면 요레이트 센서의 측정 요레이트가 기 설정한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제1 완선회감지단계; 상기 제1 완선회감지단계의 판단결과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 이내인 경우 기 설정시간 동안 한 방향 값만 측정되면 카운트를 시작하여 측정한 카운트 값이 기 설정값 이상 되는가를 판단하는 제2 완선회감지단계; 상기 제2 완선회감지단계의 판단결과 설정값 이상이면 차량의 완선회로 결정하여 요레이트 센서의 오프셋 보정을 보류시키는 완선회판단단계: 및 상기 완선회판단단계의 수행 중에 완선회 해제를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는가를 판단하여 충족시키는 경우에 완선회 판단을 해제하고 요레이트 센서의 오프셋 보정을 하는 완선회해제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제공한다.
왼선회, 요레이트(Yaw rate), ESP(Electic Stability Program)

Description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Turning Sense Method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완선회를 감지하여 오프셋 보정을 하는 동작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진 범위 내에서의 완선회 판단을 위한 각 한계치의 범위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선회 판단을 위한 카운트 값의 증감을 보인 그래프.
본 발명은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직진중일 때에 완선회에 의한 요레이트(Yaw rate) 센서의 오보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직진판단 범위 내에서 완선회를 하는가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보정 시점을 정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제제어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차량에서는 운전자의 조작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차의 차량상태와 도로의 노면상태 등을 감지하여 각 차륜의 유압브레이크에 가해지는 제동유압을 제어하고 있으며, 이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으 로 이른바 ESP(Electic Stability Program) 제어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ESP 제어는 휠 센서, 요레이트 센서, 횡가속도 센서, 압력센서, 스티어링 센서 등과 같은 차량의 센서를 통해 차체속도 등의 차량상태와 노면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따라 각 차륜에 장착된 유압브레이크를 가압 또는 감압하여 차량의 자세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Z축 방향의 회전운동을 하는 고유진동인 요잉(Yawing)은 요 모멘트로 나타내는데, 요 모멘트는 차체의 앞뒤가 좌,우측 또는 선회할 때 안쪽 바깥쪽 바퀴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말하며, 이 요 모멘트를 감지하는 것이 요레이트 센서이다. 요레이트 센서는 차량이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즉, Z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요레이트 센서 내부의 플레이트(plate) 포크가 진동 변화를 일으키면서 전자적으로 차량의 요 모멘트를 감지는 센서이다.
종래에는 상기 요레이트 센서와 횡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두 센서가 같은 방향을 나타내고, 각각 일정 한계값(threshold) 이상의 값을 유지하는 경우 이를 탐지하여 선회로 판단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차량이 직진 중일 때에 요레이트 센서의 오프셋(Offset) 보정(0점 보정)하는 시점을 직진판단 기준신호가 '0'일 경우에 하지 않고, 일정 한계치 이내일 때 직진으로 판단하여 보정을 하는데, 이때 직진으로 판단하는 범위 내에서 완선회로 인하여 한 방향 신호가 지속되는 경우, 요레이트 센서의 주행 오프셋은 한 방향 지속신호를 오프셋 보정으로 판단하여 오보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차량이 직진중일 때에 완선회에 의한 요레이트(Yaw rate) 센서의 오보정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직진판단 범위 내에서 측정한 요레이트가 완선회 판단 한계치 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한 방향 값만 측정되는가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완선회 판단 여부를 결정하여 오프셋 보정하는 시점을 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은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직진을 시작하는가를 판단하여 직진중이면 요레이트 센서의 측정 요레이트가 기 설정한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제1 완선회감지단계; 상기 제1 완선회감지단계의 판단결과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 이내인 경우 기 설정시간 동안 한 방향 값만 측정되면 카운트를 시작하여 측정한 카운트 값이 기 설정값 이상 되는가를 판단하는 제2 완선회감지단계; 상기 제2 완선회감지단계의 판단결과 설정값 이상이면 차량의 완선회로 결정하여 요레이트 센서의 오프셋 보정을 보류시키는 완선회판단단계: 및 상기 완선회판단단계의 수행 중에 완선회 해제를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는가를 판단하여 충족시키는 경우에 완선회 판단을 해제하고 요레이트 센서의 오프셋 보정을 하는 완선회해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완선회를 감지하여 오프셋 보정을 하는 동작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진 범위 내에서의 완선회 판단을 위한 각 한계치의 범위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직진을 시작하는가를 판단하여 직진중이면 요레이트 센서의 측정 요레이트가 기 설정한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 이내인가를 판단한다(S100 ~ S102).
상기 단계(S102)의 판단결과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 이내인 경우에는 좌회전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인지 우회전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인지 판단을 한다(S103 ~ S104).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선회 판단을 위한 카운트 값의 증감을 보인 그래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S103 또는 S104)의 수행이 완료되면 기 설정시간 동안 한 방향 값만 측정되면 해당 방향의 카운트를 시작하고(S105 ~ S106), 측정한 카운트 값이 기 설정값 이상 되는가를 판단하는데(S107), 이때, 상기 요레이트 센서 신호가 주어진 일정 방향의 선회감지 한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반대 방향의 카운트 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요레이트 센서 신호가 직진판단 범위 내에서 오프셋 정밀도 한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완선회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직진 범위 내에서 좌측으로 방향을 선회하는 경우 + 카운트 수가 증가하고(ⓐ), 설정값에 카운트 수가 도달하면 그 시점부터 완선회로 판단하며(ⓑ), 한계치에 도달하면 카운트를 중단하고, 우측으로 방향을 선회하면 카운트 수를 감소시키다(ⓒ) 선회감지 한계치를 넘으면 + 카운트에서 - 카운트로 전환하여 그 수를 증가시킨다(ⓓ).
상기 단계(S107)의 판단결과 측정한 카운트 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차량의 완선회로 결정하여 요레이트 센서의 오프셋 보정을 보류시킨다(S108).
상기 단계(S108)의 수행 중에 완선회 해제를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는가를 판단하여 충족시키는 경우에 완선회 판단을 해제하고(S109 ~ S110), 요레이트 센서의 오프셋 보정을 한다(S111). 이때, 상기 완선회 해제 요건은 일정시간 카운트 값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와, 반대방향 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연속 카운트 되는 경우와, 완선회 판단 중 반대방향 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누적된 경우 및 정차시로 이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완선회 판단을 해제하는 요건을 충족한 것으로 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은 차량의 직진판단 범위에서 측정한 요레이트가 완선회 판단 한계치 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한 방향 값만 측정되는가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완선회 판단 여부를 결정하여 오프셋 보정하는 시점을 정하도록 하여 종래에 발생하던 차량이 직진중일 때에 완선회에 의한 요레이트(Yaw rate) 센서의 오보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직진을 시작하는가를 판단하여 직진중이면 요레이트 센서의 측정 요레이트가 기 설정한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제1 완선회감지단계;
    상기 제1 완선회감지단계의 판단결과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 이내인 경우 기 설정시간 동안 한 방향 값만 측정되면 카운트를 시작하여 측정한 카운트 값이 기 설정값 이상 되는가를 판단하는 제2 완선회감지단계;
    상기 제2 완선회감지단계의 판단결과 설정값 이상이면 차량의 완선회로를 결정하여 요레이트 센서의 오프셋 보정을 보류시키는 완선회판단단계: 및
    상기 완선회판단단계의 수행 중에 완선회 해제를 위한 요건을 충족시키는가를 판단하여 충족시키는 경우에 완선회 판단을 해제하고 요레이트 센서의 오프셋 보정을 하는 완선회해제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선회 해제 요건은 일정시간 카운트 값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반대방향 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연속 카운트되는 경우, 완선회 판단 중 반대방향 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누적된 경우 및 정차시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는
    좌회전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와 우회전 오프셋 보정허용 한계치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레이트 센서 신호가 주어진 일정 방향의 선회감지 한계치를 넘는 경우에는 반대 방향의 카운트 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레이트 센서 신호가 직진판단 범위 내에서 오프셋 정밀도 한계치를 넘는 경우 완선회 카운트 값을 증가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KR1020060060468A 2006-06-30 2006-06-30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KR101111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468A KR101111072B1 (ko) 2006-06-30 2006-06-30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468A KR101111072B1 (ko) 2006-06-30 2006-06-30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66A KR20080001966A (ko) 2008-01-04
KR101111072B1 true KR101111072B1 (ko) 2012-02-15

Family

ID=3921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468A KR101111072B1 (ko) 2006-06-30 2006-06-30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7520A1 (de) * 2021-03-25 2022-09-2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Gierraten-Offsetwert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74A (ko) * 1998-06-25 2000-01-15 오상수 차량의 조향각센서를 이용한 센서의 영점 보정방법 및 그 장치
JP2002329299A (ja) * 2001-04-26 2002-11-15 Fuji Heavy Ind Ltd カーブ進入制御装置
JP2006137258A (ja) * 2004-11-10 2006-06-01 Honda Motor Co Ltd 車両の走行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074A (ko) * 1998-06-25 2000-01-15 오상수 차량의 조향각센서를 이용한 센서의 영점 보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349538B1 (ko) * 1998-06-25 2002-11-18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조향각센서를 이용한 센서의 영점 보정방법 및 그 장치
JP2002329299A (ja) * 2001-04-26 2002-11-15 Fuji Heavy Ind Ltd カーブ進入制御装置
JP2006137258A (ja) * 2004-11-10 2006-06-01 Honda Motor Co Ltd 車両の走行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66A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6098B2 (en) Vehicle disturbance detection apparatus
US6681167B2 (en) Vehicle chassis control with coordinated brake and steering control on split coefficient surface
US6315373B1 (en) Roll control device of vehicle manageable of sudden failure of rolling condition detection means
JP5011866B2 (ja) 横すべり角推定装置、自動車、及び横すべり角推定方法
US8812211B2 (en) Adapting a braking process
CN103112444A (zh) 车辆用姿势控制装置
KR101997429B1 (ko) 차량의 차선 유지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차선 유지 제어 장치
US20120179333A1 (en) Method for Influencing the Steering Torque in a Vehicle Steering System
US20150120139A1 (en) Characteristic change detection device for steering transmission system
KR101111072B1 (ko) 차량의 선회 감지방법
EP1816045B1 (en) Anti-lock brake apparatus for motorcycle
EP2236393A1 (en) Rear wheel toe angle control system
JP2008057677A (ja) ブレーキディスクの状態検出装置
JP5460325B2 (ja) 車輪を選択的に制動する第1手段と、後輪を旋回させる第2手段とを備えた自動車の進路を補正する装置
JP2007001340A (ja) 車両挙動制御装置
JP4742504B2 (ja) 駆動制御装置
JPH0424264B2 (ko)
JP5326562B2 (ja) 旋回挙動検出装置、旋回挙動検出方法、及びヨーレート推定方法
KR20080012464A (ko) 차량 자세 제어장치
KR102619338B1 (ko) 고속 선회 시 분리형 후륜 조향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6147522A (ja) 車両挙動制御装置
KR102143495B1 (ko) 차량의 제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303333B2 (ja) 車両の後輪操舵制御装置
JP5337127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4719130B2 (ja) 車両挙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