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511B1 -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 Google Patents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511B1
KR101110511B1 KR20050103676A KR20050103676A KR101110511B1 KR 101110511 B1 KR101110511 B1 KR 101110511B1 KR 20050103676 A KR20050103676 A KR 20050103676A KR 20050103676 A KR20050103676 A KR 20050103676A KR 101110511 B1 KR101110511 B1 KR 10111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upling member
cylindrical
communication connector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0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374A (ko
Inventor
케이지 미네
히로시 나카가와
타케시 이소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파워의 전송효율을 높이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80)와 슬리브(73)와 이들 양자에 일체로 성형된 이들 양자의 구성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결부(90)를 가지며, 광소자와 광파이버와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에 있어서, 연결부(90)가 광학기능부(80)의 측면에 대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접합한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혹은,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 및 원기둥형상의 수신쪽 광학기능부(82)의 한 쌍과 이들 광학기능부에 일체로 성형된 광학기능부의 구성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결부(90)를 가지며, 광소자와 광파이버와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에 있어서, 연결부(90)가 광학기능부(81, 82)의 측면에 대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연결부 단부(91, 91')를 개재해서 접합된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를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OPTICAL COUPLING MEMBER FOR OPTICAL COMMUNICATION CONNECTOR}
도 1은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광학결합부재를 리셉터클에 조립한 곳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제 4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독립적으로 구성된 광학결합부재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송신쪽 및 수신쪽의 광학결합부재를 일체화한 종래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광학결합부재의 종래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3: 슬리브 80: 광학기능부
81: 송신쪽 광학기능부 82: 수신쪽 광학기능부
9: 광학결합부재 90: 연결부
91, 91': 연결부 단부 92, 92': 고정부
93: 노치부
본 발명은,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광소자 혹은 수광소자와 광파이버와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학결합부재에 있어서, 광파워의 전송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이에 따라서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키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송신쪽 및 수신쪽의 광학결합부재를 일체화한 종래예를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에서, (1)은 원통형상의 리셉터클의 전체를 나타낸 참조 부합이다. (10)은 이 리셉터클(1)의 측벽부, (11)은 저벽부를 나타낸다. 리셉터클(1)에는, 그 안쪽에 송신쪽 수용통(111) 및 수신쪽 수용통(112)이 측벽부(10)에 평행하게 저벽부(11)로부터 일체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11)의 바깥쪽에는, 송신쪽 수용통(111) 및 수신쪽 수용통(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횡단면 원형 凹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4)는 쉴드 커버의 전체를 나타낸 참조 부합이다. 쉴드 커버(4)는 격벽부(40)에 의해 상하로 분할되어 있으며, 소자 홀더(5)를 수용하는 아래쪽 수용부(41) 및 리셉터클(1)을 수용하는 위쪽 수용부(42)를 구성하고 있다. 격벽부(40)에는, 그 중앙부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슬리브 유닛(7)의 하단부가 진입하는 개구부(401)가 형성되어 있다. 소자 홀더(5)에는, 발광소자(61) 및 수광소자(62)가 적절히 수용된다.
(7)은 쌍방향 광통신 커넥터용의 슬리브 유닛의 전체를 나타낸 참조 부합이다. 슬리브 유닛이란, 발광소자(61) 및 수광소자(62)와 이후에 설명되는 송신 광파이버(31) 및 수신 광파이버(32)와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부재이다. 즉, 이 종래예에 있어서는, 쌍방향 광통신 커넥터용의 광학결합부재로서, 「슬리브 유닛」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 슬리브 유닛(7)은, 리셉터클(1)에 대한 유닛(7) 자체의 조립, 송신쪽 광학기능부(81) 및 수신쪽 광학기능부(82)의 위치결정, 및 이들 광학기능부의 보호를 하는 유닛이다. 여기서, (73)은 송신쪽 광학기능부(81)의 위치결정 및 보호를 하는 원통형상의 송신쪽 슬리브이다. (74)는 수신쪽 광학기능부(82)의 위치결정 및 보호를 하는 원통형상의 수신쪽 슬리브이다. (75)는 송신쪽 슬리브(73)와 수신쪽 슬리브(74)를 서로 연결 결합하는 원판형상의 플랜지부이다. (76) 및 (77)은 플랜지부(75)의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광소자 걸어맞춤부이다. 이들 슬리브(73, 74), 플랜지부(75), 광소자 걸어맞춤부(76, 77)는 투광성의 합성수지를 원재료로서 일체로 성형 제조된다.
송신 광파이버(31)는 위쪽으로부터 송신쪽 파이버 페룰(21)을 개재해서 송신쪽 수용통(111)에 끼워맞춤 고정되는 한편, 수신 광파이버(32)도 마찬가지로 위쪽으로부터 수신쪽 파이버 페룰(22)을 개재해서 수신쪽 수용통(112)에 끼워맞춤 고정 된다.
슬리브 유닛(7)은, 저벽부(11)의 바깥쪽으로부터 송신쪽 슬리브(73)를 송신쪽 수용통(111)에 끼워맞춤 위치결정하는 동시에, 수신쪽 슬리브(74)를 마찬가지로 저벽부(11)의 바깥쪽으로부터 수신쪽 수용통(112)에 끼워맞춤 위치결정하고, 플랜지부(75)가 횡단면 원형 凹부(113)에 수용된 상태로 있다.
여기서, 슬리브 유닛(7), 송신 광파이버(31) 및 수신 광파이버(32)를 조립해 넣어진 리셉터클(1)은 위쪽 수용부(42)에 수용되어서, 광소자 걸어맞춤부(76 및 77)는 격벽부(40)의 개구부(401)를 개재해서 소자 홀더(5)를 수용하는 아래쪽 수용부(41)에 진입하고, 발광소자(61) 및 수광소자(62)에 대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발광소자(61)로부터 방사된 송신 광신호는, 송신쪽 광학기능부(81)에 그 하단부로부터 입사한다. 송신 광신호는, 송신쪽 광학기능부(81)의 하단부에 조준렌즈를 개재해서 입사하여 전파하고, 상단부로부터 출사해서 수렴렌즈를 개재해서 송신 광파이버(31)의 코어 단부면에 수렴 입사한다. 송신 광신호는 송신 광파이버(31)를 경유해서 외부로 송출된다. 그리고, 반대로, 수신 광파이버(32)를 경유해서 외부로부터 도래한 수신 광신호는, 수신쪽 광학기능부(82), 슬리브 유닛(7)을 개재해서 수광소자(62)에 입사, 수신된다.
이상의 슬리브 유닛(7)에 있어서는, 발광소자(61)로부터 방사된 송신 광신호는, 송신쪽 광학기능부(81)에 입사되고, 송신 광파이버(31)를 경유해서 외부로 송출되는 한편, 광학기능부와 동일 광학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플랜지부(75)에는 용이하게 진입하고, 여기에서 외부로 누설해서 광의 전송 손실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수신 광파이버(32)를 경유해서 외부로부터 도래해서 수신쪽 광학기능부(82)에 입사된 수신 광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누설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상의 슬리브 유닛(7)에 있어서, 송신쪽 슬리브(73)와 수신쪽 슬리브(74)는 플랜지부(75)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는 곳에서, 발광소자(61)로부터 방사된 송신 광신호는, 광소자 걸어맞춤부(76), 플랜지부(75)를 개재해서 송신쪽 광학기능부(81)에 입사하고, 송신 광파이버(31)를 경유해서 외부로 송출되는 한편, 플랜지부(75)에 누설해서 송신 광신호는 플랜지부(75)의 바깥 공기와의 사이의 상하의 경계면에서 반사되고, 도시된 바와 같은 크로스토크 경로를 경유해서 자국의 수광소자(62)에 누설되는 크로스토크의 문제도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광학기능부를 구성하는 재료와는 다른 재료를 사용해서 광학기능부에 클래드를 형성하거나, 혹은 고정용의 부품을 접착해서 복수의 부재를 사용하는 예도 있지만, 이들은 그만큼 제조비용을 높이게 된다(특허문헌 1, 2 참조).
여기서, 송신쪽 및 수신쪽을 독립해서 구성한 광학결합부재의 종래예를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특허문헌 3 참조). 도 12(a)는 광학결합부재의 정면도, 도 12(b)는 도 12(a)에 있어서의 선 b-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의 종래예는, 발광소자(61) 및 수광소자(62)와, 송신 광파이버(31) 및 수신 광파이버(32)와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부재로서 슬리브 유닛(7)을 사용하고 있다. 이 슬리브 유닛(7)은, 송신쪽의 광학결합부재와 수신쪽의 광학결합부재가 연결 일체화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2의 종래예는 송신쪽의 광학결합부재와 수신쪽의 광학결합부재를 연결 일체화하지 않고, 광학결합부재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송신쪽의 광학결합부재로서, 혹은 수신쪽의 광학결합부재로서 특별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12에서, (73)은 슬리브, (80)은 광학기능부이며, 광학기능부(80)는 슬리브(73)에 대해서 원판형상의 플랜지부(75)를 개재해서 일체 결합하고 있다.
도 12의 종래예에 있어서도, 도 11의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송신 광신호는 광학기능부(80)에 입사되고, 송신 광파이버를 경유해서 외부로 송출되는 한편, 플랜지부(75)에도 용이하게 진입하고, 여기에서 외부로 누설해서 광의 전송 손실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외부로부터 도래해서 광학기능부(80)에 입사된 수신 광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누설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30498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1-13366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2000-111765호 공보
여기서, 본 발명은, 발광소자(61)와 송신 광파이버(31)와의 사이 혹은 수광소자(62)와 수신 광파이버(32)와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학결합부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슬리브 유닛(7)은 사용하지 않고,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 혹은 원기둥형상의 수신쪽 광학기능부(82)에 대해서 광학기능부의 구성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진 연결부(90)를 일체로 성형 접합하고, 이 경우에 연결부(90)가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의 측면에 대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접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광파워의 전송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이에 따라서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키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80)와 슬리브(73)와 이들 양자에 일체로 성형된 이들 양자의 구성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결부(90)를 가지며, 광소자와 광파이버와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에 있어서, 복수의 연결부(90)를 서로 분리해서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80)의 측면에 대해서 합계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를 구성하였다.
여기서, 청구항 2: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 및 원기둥형상의 수신쪽 광학기능부(82)의 한 쌍과 이들 광학기능부에 일체로 성형된 광학기능부의 구성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결부(90)를 가지며, 광소자와 광파이버와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에 있어서, 연결부(90)가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81, 82)의 측면에 대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연결부 단부(91, 91')를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청구항 3: 청구항 2에 기재된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에 있어서, 연결부 단부(91, 91')의 상하방향의 폭은 연결부(90)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작은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를 구성하였다.
또, 청구항 4: 청구항 2 및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에 있어서, 연결부(90)의 중앙부에 노치부(93)를 형성하고, 노치부(93)의 정점은 2개의 광학기능부의 아래쪽을 이은 직선의 레벨보다 깊게 형성된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를 구성하였다.
또한, 청구항 5: 청구항 2 및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에 있어서, 연결부(90)의 중앙부에 있어서 위쪽 및 아래쪽의 쌍방으로부터 단면 コ자형 노치부(93')를 형성하고, 리셉터클에 대해서 끼워맞춤 고정시켜서, 연결부 단부 및 2개의 광학기능부를 프리로 한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를 구성하였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 1의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b)는 연결부 및 광학기능부의 정면도, 도 1(a)는 도 1(b)를 위쪽에서 본 도면, 도 1(d)는 도 1(b)를 옆쪽에서 본 도면, 도 1(c)는 도 1(b)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9)는 쌍방향 광통신 커넥터용의 광학결합부재의 전체를 나타낸 참조 부합이다. 이 광학결합부재(9)는,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 원기둥형상의 수신쪽 광학기능부(82), 이들 양광학기능부를 기계적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연결부(90)로 이루어진다. 송신 광신호는, 송신쪽 광학기능부(81)의 한 쪽의 단부에 입사해서 이것을 전파하고, 다른 쪽의 단부로부터 출사해서 송신 광파이버를 경유해서 외부로 송출된다. 수신 광파이버를 경유해서 외부로부터 도래한 수신 광신호는, 수신쪽 광학기능부(82)를 개재해서 수광소자에 입사, 수신된다.
연결부(90)는, 그 좌우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 단부(91, 91'), 연결부(90) 전체를 이후에 설명되는 리셉터클에 대해서 압입해서 고정하는 고정부(92, 92'), 연결부(90)에 크게 절제 형성된 단면 V자형상 노치부(9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부 단부(91, 91')의 상하방향의 폭은, 연결부(90) 자체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작고, 또한,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의 직경 및 수신쪽 광학기능부(82)의 직경보다 작게 설계된다. 결국, 연결부(90)는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의 측면에 있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연결부 단부(91, 91')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노치부(93)의 연결부(90)의 상단부에서 본 깊이는, 송신쪽 광학기능부(81) 및 수신쪽 광학기능부(82)의 최하단부를 이은 레벨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연결부(90)가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81, 82)의 측면에 대하여 합계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접합하게 해서 둘레의 전체에 있어서 접합하게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광학기능부에 대한 연결부의 연결접합영역을 삭감함으로써, 연결부를 개재해서 누설되고 있던 광량을 억제하고, 광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노치부(93)의 연결부(90)의 상단부에서 본 깊이를 송신쪽 광학기능부(81) 및 수신쪽 광학기능부(82)의 최하단부를 이은 레벨보다 깊게 형성함으로써, 송신쪽 광학기능부(81)로부터 연결부(90)로 누설된 광은 수신쪽 광학기능부(82)에 도달하는 누설경로는 연신되며, 연결부(90)를 확산하면서 전파하는 중에 감쇠해서 크로스토크는 감소한다.
도 2를 참조해서 도 1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실시예 1에서 노치부(93)를 단면 コ자형상 노치부(93')로 하는 동시에, 연결부(90) 전체를 리셉터클에 대하여 압입해서 고정하는 고정부(92, 92')를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것에 상당한다. 단면 コ자형상 노치부(93)'도, 연결부(90)의 상단부에서 본 깊이는, 송신쪽 광학기능부(81) 및 수신쪽 광학기능부(82)의 최하단부를 이은 레벨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연결부(9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하방향의 치수가 작은 형상인 경우에는, 연결부(90)가 광가이드의 작용을 하는 곳에서,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로부터 진입한 송신 광신호가 미소해도, 원기둥형상의 수신쪽 광학기능부(82)로 효율적으로 전파해서 상당량의 크로스토크로 될 가능성은 있다. 그러나, 단면 コ자형상 노치부(93')도, 연결부(90)의 상단부에서 본 깊이는 송신쪽 광학기능부(81) 및 수신쪽 광학기능부(82)의 최하단부를 이은 레벨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으며, 송신쪽 광학기능부(81)로부터 연결부(90)로 누설된 광은 수신쪽 광학기능부(82)에 도달하는 누설경로는 연신되고 있으므로, 연결부(90)를 확산하면서 전파하는 중에 감쇠해서 크로스토크는 감소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해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 수신쪽 광학기능부(82)와 연결부 단부(91, 91')와의 사이의 접합면적과 비교해서, 연결부(90)의 상하방향의 치수를 크게 해서 그 절단면적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연결부(90)에 진입한 송신광은 이 부분에서 확산되므로, 수신쪽 광학기능부(82)로 진입하는 광량은 그 만큼 저감하여,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해서 도 3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면, 이 변형예는, 송신쪽 광학기능부(81), 수신쪽 광학기능부(82)와 연결부 단부(91, 91')와의 사이의 접합면적과 비교해서, 연결부(90)의 상하방향의 치수를 크게 해서 그 절단면적을 크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해서 도 3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면, 이 변형예는,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 및 원기둥형상의 수신쪽 광학기능부(82)의 한 쌍과, 이들 광학기능부에 일체로 성형된 광학기능부의 구성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결부(90)로 이루어진 쌍방향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9)에 있어서, 연결부(90)가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81, 82)의 측면에 대해서, 단지,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연결부 단부(91, 91')를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는 변형예이다. 이 변형예도, 연결부(90)가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81, 82)의 측면에 대하여 합계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접합하게 해서 둘레의 전체에 있어서 접합하게 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광학기능부에 대한 연결부의 연결접합영역을 삭감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연결부를 개재해서 누설하고 있던 광량을 억제하여, 광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준다.
도 6을 참조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광학결합부재(9)는,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 원기둥형상 수신쪽 광학기능부(82), 이들 양광학기능부를 기계적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연결부(90)로 이루어진다. 송신 광신호는, 송신쪽 광학기능부(81)의 한 쪽의 단부에 입사해서 이것을 전파하고, 다른 쪽의 단부로부터 출사해서 송신 광파이버를 경유해서 외부로 송출된다. 수신 광파이버를 경유해서 외부로부터 도래한 수신 광신호는, 수신쪽 광학기능부(82)를 개재해서 수광소자에 입사, 수신된다. 이 실시예의 연결부(90)는, 그 중앙부에 있어서 위쪽 및 아래쪽의 쌍방으로부터 단면 コ자형 노치부(93')를 형성하고, 이것을 개재해서 리셉터클에 대해서 끼워맞춤 고정시켜서, 연결부 단부 및 2개의 광학기능부를 프리로 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도, 연결부를 개재해서 누설하고 있던 광량을 억제해서 광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송신쪽 광학기능부(81)로부터 연결부(90)로 누설된 광은 수신쪽 광학기능부(82)에 도달하는 누설경로는 연신되어서 연결부(90)를 확산하면서 전파하는 중에 감쇠해서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준다.
도 7을 참조해서 도 6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노치부(93) 대신에 단면 사각형 개구부(930)를 연결부(90)의 중앙부에 형성한 것에 상당한다. 연결부(90)는,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 및 원기둥형상의 수신쪽 광학기능부(82)와 동일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연결부 중앙부에 형성된 단면 사각형 개구부(930)를 개재해서 리셉터클에 고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것은 광학결합부재(9)를 리셉터클(1')에 장착한 곳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광학결합부재(9)와 광학기능부(81, 82)와의 사이의 연결부 단부의 절단면적은, 사용하는 성형용의 합성수지재료에 의해 정해지는, 용융합성수지가 형 내에 있어서 골고루 미치기에 필요한 최소면적으로 한다.
또한, 수지 흐름 불량이 발생한 경우, 연결부 단부의 금형을 서서히 깎아내고, 절단면적을 확대해서 정상적인 수지의 흐름을 얻는다고 하는 흐름 대책을 실행하지만, 사전에 리셉터클과의 끼워맞춤 고정위치는 연결부 중앙부로 하고, 연결부 단부와 리셉터클(1')과의 사이에는 갭을 형성해 둠으로써, 리셉터클(1')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대책 후의 광학결합부재(9)가 끼워맞춤 고정 가능해져서, 용이하고 또한 염가로 흐름 대책을 세울 수 있다.
도 9를 참조해서 제 4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것은,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 및 원기둥형상의 수신쪽 광학기능부(82)에 일체 형성된 광학기능부의 구성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결부(90)에 있어서, 광학기능부의 원기둥형상의 단면의 바깥둘레 중의 일부분을 남기고 연결부(90)를 부가 형성한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이다.
도 1O을 참조해서 광학결합부재를 독립적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O(a)는 광학결합부재의 정면도, 도 1O(b)는 도 1O(a)에 있어서의 선 b-b'를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송신쪽의 광학결합부재와 수신쪽의 광학결합부재를 연결 일체화하지 않고, 광학결합부재를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송신쪽의 광학결합부재로서, 혹은 수신쪽의 광학결합부재로서 특별히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10에서, (73)은 슬리브, (80)은 광학기능부, (90)은 연결부이며, 이들 3자는 동일 광학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에 의해 구성된다. 광학기능부(80)는, 슬리브(73)에 대해서, 연결부(90)에 의해 연결 결합하고 있다. 이 경우, 연결부(90)는, 서로 분리해서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80)의 측면에 대하여 합계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접합하게 되어 있다.
도 12의 종래예에 있어서는, 발광소자로부터 방사된, 송신 광신호는 광학기능부(80)에 입사하고, 송신 광파이버를 경유해서 외부로 송출되는 한편, 광학기능부와 동일 광학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둘레의 전체에 걸쳐서 존재하는 플랜지부(75)에는 용이하게 진입하고, 여기에서 외부로 누설해서 광의 전송 손실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켰지만, 도 10의 실시예는, 플랜지부(75)에 대응하는 연결부(90)가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80)의 측면에 대하여, 합계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접합되어 있는 곳에서, 광학기능부(80)로부터 연결부(90)로 진입하는 광량은 그 만큼 저감하여, 누설은 감소한다.
본 발명의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는,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81) 혹은 원기둥형상의 수신쪽 광학기능부(82)에 대해서, 광학기능부의 구성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진 연결부(90)를 일체로 성형 접합하고, 이 경우에 연결부(90)가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81, 82)의 측면에 대하여 합계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접합하게 함으로써, 광학기능부에 대한 연결부의 연결접합영역을 삭감하였다. 이에 의해, 연결부를 개재해서 누설하는 광량을 억제하고, 광의 전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송신쪽과 수신쪽이 일체의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의 경우에 있어서, 송신쪽 광학기능부로부터 연결부에 대한 송신광의 진입이 적게 되는 것이며, 크로스토크의 감소로도 연결된다.

Claims (5)

  1.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와 슬리브와 이들 양자에 일체로 성형된 이들 양자의 구성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가지며, 광소자와 광파이버와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로서,
    복수의 연결부를 서로 분리해서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의 측면에 대해서 합계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접합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2. 원기둥형상의 송신쪽 광학기능부 및 원기둥형상의 수신쪽 광학기능부의 한 쌍과 이들 광학기능부에 일체로 성형된 광학기능부의 구성재료와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가지며, 광소자와 광파이버와의 사이를 광학적으로 결합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로서,
    연결부가 원기둥형상의 광학기능부의 측면에 대해서 원기둥 단면의 둘레의 반 이내에서 연결부 단부를 개재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부 단부의 상하방향의 폭은 연결부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중앙부에 노치부를 형성하고, 노치부의 정점은 2개의 광학기능부의 아래쪽을 이은 직선의 레벨보다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중앙부에 있어서 위쪽 및 아래쪽의 쌍방으로부터 단면 コ자형 노치부를 형성하고, 리셉터클에 대해서 끼워맞춤 고정되고, 연결부 단부 및 2개의 광학기능부를 프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KR20050103676A 2004-11-04 2005-11-01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KR101110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0368 2004-11-04
JPJP-P-2004-00320368 2004-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374A KR20060052374A (ko) 2006-05-19
KR101110511B1 true KR101110511B1 (ko) 2012-01-31

Family

ID=3675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03676A KR101110511B1 (ko) 2004-11-04 2005-11-01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10511B1 (ko)
CN (1) CN100529818C (ko)
TW (1) TWI4049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1179B2 (ja) 2008-03-18 2012-08-29 株式会社フジクラ ハイパワー用光コネクタ
JP4750178B2 (ja) * 2008-12-24 2011-08-17 ホシデン株式会社 光コネクタ
WO2016086393A1 (en) * 2014-12-04 2016-06-09 Thomson Licensing Device for transporting light
CN106641864A (zh) * 2016-10-12 2017-05-1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产品的led灯罩结构及移动设备、键盘
US20190312172A1 (en) * 2018-04-05 2019-10-10 Yazaki Corporation Optical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980A (ja) 1999-04-23 2000-11-02 Yazaki Corp 光コネクタ
JP2001133665A (ja) 1999-11-08 2001-05-18 Yazaki Corp 光コネクタ用スリーブ、及びレセプタクル
JP2003329895A (ja) 2002-05-14 2003-11-19 Sony Corp 光リンク装置
JP2004053764A (ja) 2002-07-17 2004-02-19 Yazaki Corp スリーブ成形品、スリーブ用成形金型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9108B2 (ja) * 2002-12-12 2009-04-30 凸版印刷株式会社 電子pop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4980A (ja) 1999-04-23 2000-11-02 Yazaki Corp 光コネクタ
JP2001133665A (ja) 1999-11-08 2001-05-18 Yazaki Corp 光コネクタ用スリーブ、及びレセプタクル
JP2003329895A (ja) 2002-05-14 2003-11-19 Sony Corp 光リンク装置
JP2004053764A (ja) 2002-07-17 2004-02-19 Yazaki Corp スリーブ成形品、スリーブ用成形金型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9818C (zh) 2009-08-19
KR20060052374A (ko) 2006-05-19
TWI404985B (zh) 2013-08-11
CN1769938A (zh) 2006-05-10
TW200624899A (en) 2006-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5928B2 (en) Unitary fiber optic ferrule and adapter therefor
US10101545B2 (en) Traceable cable assembly and connector
CN106842439B (zh) 数据收发模块的光连接器和光连接器的透镜组
KR100308628B1 (ko) 듀플렉스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JP4559952B2 (ja) 光通信コネクタ用光学結合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並びに光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KR101110511B1 (ko) 광통신 커넥터용 광학결합부재
US8491197B2 (en) Optical connector module
JP2001074987A (ja) レセプタクルの製造方法、レセプタクル、及び光コネクタ
EP3382432A1 (en) Ferrule with optical fib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errule with optical fiber
JP2010026345A (ja) 光コネクタ
EP3635463B1 (en) Connector assemblies for optoelectronic modules
CN112444925B (zh) 光连接器
WO2014185260A1 (ja) 光コネクタ
US10133015B1 (en) Optical connector
JP6506064B2 (ja) 光中継器、及び、光コネクタ装置
JP7420083B2 (ja) 光コネクタ
US20010051027A1 (en) Sleev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GB2350441A (en) Optic fibre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JP2008292676A (ja) 光サブアセンブリ
WO2004005992A1 (en) Improved mode conditioning launch lead
JP2001066469A (ja) 光素子モジュール,レセプタクル,光コネクタ、及び、光素子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レセプタク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