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443B1 -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443B1
KR101110443B1 KR1020100047147A KR20100047147A KR101110443B1 KR 101110443 B1 KR101110443 B1 KR 101110443B1 KR 1020100047147 A KR1020100047147 A KR 1020100047147A KR 20100047147 A KR20100047147 A KR 20100047147A KR 101110443 B1 KR101110443 B1 KR 10111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root canal
pen tip
ground connection
connec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568A (ko
Inventor
김준형
김도연
김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0004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443B1/ko
Priority to PCT/KR2011/003636 priority patent/WO2011145868A2/ko
Publication of KR2011012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61C5/55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with heating means, e.g. for heating gutta perch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2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상된 치근관의 절삭부위를 충진재로써 충진시킬 때 사용하는 충진재 주입용 건과 수직가압용 펜을 하나로 통합하되, 전기케이블이 필요없는 무선 충전형태으로 형성하고, 충진재를 압출할 때에, 레버를 수동으로 당기는 방식이 아니라 버튼의 간편한 조작을 통한 모터의 작동으로 충진재를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작업을 손떨림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An electromotive stuffing device with multi-function for configuration}
본 발명은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근관의 손상부위를 절삭하고, 상기 절삭부위를 충진재로써 충진시킬 때 사용하는 충진재 주입용 건과 수직가압용 펜을 하나로 통합하되, 간편한 버튼조작을 통한 모터의 작동으로 충진재를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치근관 절삭부위의 충진작업을 손떨림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썩게 되면, 썩은 부위를 절삭하고, 절삭부위를 보철물로써 보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보철물은 치아의 썩은 부위를 절삭하여 절삭부위의 본을 뜬 후에 제작이 가능하여, 완성되기까지는 어느 정도 기간이 소요되므로, 그 기간동안 절삭된 부위에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진재로써 임시로 메꾸어주게 된다.
이 때, 상기 충진재로는 구타 페르카(Gutta Percha)를 주로 사용하는데, 상기 구타 페르카는, 천연의 식물성 추출물로서, 상온에서는 반고체 상태이고, 이에 열을 가하면 연화된 고무의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 산화바륨, 황산바륨 등을 혼합하고, 롤이나 믹서기 등에서 조합하여 판상으로 뽑아낸 후, 이를 절단하여 사이즈별로 원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충진재를 이용한 치아 신경을 치료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천공기구로 치수 감염부를 천공하여 감염된 신경조직을 제거한 후, 치근관에 감염원이 더 이상 생기지 않도록 치근관벽에 충진재를 도포하고, 상기 치근관에 적합한 사이즈의 충진재를 삽입하여, 주 치근관과 부 치근관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치근관이 충진되면, 엑스선 촬영을 통하여 충진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충진재를 제거하며, 상기 충진재를 제거할 시에는 불에 달군 엑스커베이터(Excavator) 및 치수용 플러거(Endodotic Plugger) 등이 사용된다.
위와 같이, 치근관에 충진재를 충진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다양한 충진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여전히, 충진재 주입용 건(Gun)과 수직가압용 펜(Pen)으로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첨부된 도 14는 종래의 충진재 주입용 건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종래의 수직가압용 펜을 도시한 것으로, 치근관에 충진재를 충진할 때에는 위와 같은 두 개의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충진재 주입용 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권총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충진재를 가압하는 실린더와 플런저, 연화된 충진물이 준비되는 충진케이스, 상기 충진케이스 및 충진케이스로부터 충진물질이 빠져나오는 캡과 니들 구조물 등이 통상적인 충진재 주입용 건의 구성요소이다.
상기와 같은 충진재 주입용 건은, 레버를 방아쇠 당기듯이 당겨서, 치근관에 충진물을 인입하는 것이므로 충진물의 충진상태는 전적으로 치과의사의 악력과 손끝의 감각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하나의 충진재(통상의 길이 : 15 내지 17밀리미터)를 충진재 주입용 건의 내부에 장착한 뒤 5 내지 6 수차례로 나누어서 인입하는 과정에서 손떨림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백필감(Back Feel 感)을 제대로 느낄 수 없으므로 치과의사의 감각에 의해 충진물의 충진상태가 달라지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백필감(Back Feel 感) 이라고 하는 것은, 건을 이용하여 충진물을 치근관에 충전시킬 때, 치근관 구석구석을 충진물이 채워 올라오면서, 충진을 시키는 건 쪽으로 반작용의 힘을 가하는 것을 느끼는 감각을 말한다.
즉, 백필감(Back Feel 感)을 느낀다는 것은 치근관 내부를 충진재로 빈틈없이 다 메꾸었음을 말하는 것인데, 이를 느끼는 것은 정확한 시술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도 14와 같은 종래의 충진재 주입용 건을 사용할 때에는 1개의 충진재를 치근관에 인입시키기 위해 5회 내지 6회 정도로 레버를 당겨 인입하므로, 이 때, 치과의사의 손 흔들림 정도가 심하게 되고, 결국 백필감(Back Feel 感)을 잘 느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충진물의 충진상태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도 발생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충진재 주입용 건은 연화된 충진재를 치근관에 주입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이 후, 수직가압용 펜을 사용하여 치근관에 주입된 충진재를 다지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시술자들은 이러한 장치를 번걸아가면서 시술을 해 왔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충진재를 주입하고, 이를 다지는 작업은 수없이 반복해야 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장치로 분리되어 있어서, 반복사용에 따른 큰 불편함을 초래하였으며, 수요자들도 충진재 주입용 건과 수직가압용 펜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경제적 부담감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종래의 충진재 주입용 건과 수직가압용 펜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하나의 본체에 니들구와 펜팁구를 교체체결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조작으로 작동이 용이한 모터를 내장하되, 상기 모터의 일측에는 전후이동축을 체결하고, 상기 전후이동축은 충진재를 압출하는 플런저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버튼조작만으로 충진재를 용이하게 압출할 수 있도록 하여, 섬세하고 정교한 시술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본체의 내부에 충전지를 내장함으로써, 전기케이블의 생략이 가능하여, 종래보다 시술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첫번째 해결수단은,
충진재를 연화시켜 치근관의 절삭된 공간부를 충진하는 데에 사용되는 치근관 충진장치에 있어서,
충진재 주입을 위한 플런저(11c)와, 상기 플런저(11c)를 왕복시키는 전후이동축(12a)과, 상기 전후이동축(12a)에 축결합된 모터(12)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접지연결핀A(11b)가 형성된 본체(10);
니들(31)이 체결되는 니들홀더(32)의 외측에는 니들홀더캡(33)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홀더캡(33)의 일측에는 상기 접지연결핀A(11b)에 체결되는 접지연결핀B(34)가 형성된 니들구(30);
충진재를 자르거나 다지기 위한 펜팁구(40)의 일측은, 상기 니들구(30) 중 본체(10)와 결합되는 부분의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니들구(30)와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두번째 해결수단은,
충진재를 연화시켜 치근관의 절삭된 공간부를 충진하는 데에 사용되는 치근관 충진장치에 있어서,
충진재 주입을 위한 플런저(11c)와, 상기 플런저(11c)를 왕복시키는 전후이동축(12a)과, 상기 전후이동축(12a)에 축결합된 모터(12)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접지연결핀A(11b)가 형성된 본체(10);
니들(31)이 체결되는 니들홀더(32)의 외측에는 니들홀더캡(33)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홀더캡(33)의 일측에는 상기 접지연결핀A(11b)에 체결되는 접지연결핀B(34)가 형성된 니들구(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세번째 해결수단은,
충진재를 연화시켜 치근관의 절삭된 공간부를 충진하는 데에 사용되는 치근관 충진장치에 있어서,
충진재 주입을 위한 플런저(11c)와, 상기 플런저(11c)를 왕복시키는 전후이동축(12a)과, 상기 전후이동축(12a)에 축결합된 모터(12)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접지연결핀A(11b)가 형성된 본체(10);
펜팁(41)이 체결되는 펜팁홀더(42)의 외측에는 펜팁홀더캡(43)이 형성되고, 상기 펜팁홀더캡(43)의 일측에는 상기 접지연결핀A(11b)에 체결되는 접지연결핀C(44)가 형성된 펜팁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종래 별도의 장치로 분리되었던 충진재 주입용 건과 수직가압용 펜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열에 의해 연화된 충진재를 압출할 때에, 모터와 연결된 버튼의 간단한 조작으로 압출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손떨림으로 인한 시술불량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보다 섬세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술성공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체의 내부에 충전지를 내장함으로써, 미사용시에는 충전기에 연결하고 있다가, 사용할 때에는 충전기에서 분리하여 충전지에 충전된 전력으로써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케이블로 인한 거추장스러움을 제거하여 종래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의 체결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의 사시도 및 내부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본체 내부 구조도 1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본체 내부 구조도 2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니들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니들구의 체결 사시도 1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니들구의 체결 사시도 2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니들구의 체결 사시도 3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펜팁구의 체결 사시도 1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펜팁구의 체결 사시도 2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펜팁구의 체결 사시도 3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로테이션 휠의 장착 사시도
도 14는 종래의 충진재 주입용 건의 사시도
도 15는 종래의 수직가압펜의 사시도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을 당업자가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는,
일정길이의 함체형으로써, 그 내부에는 플런저(11c)가 길이방향으로 전후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11c)의 후측에는 전후이동축(12a)이 체결된 모터(12)가 구비되는 본체(10);
니들(31)이 체결되는 니들홀더(32)의 내부에 삽입되는 충진재를 상기 니들홀더(32)의 외측면에 감겨진 열선(32b)으로써 연화시키고, 상기 연화된 충진재를 전후이동하는 플런저(11c)로써 압출하여 상기 니들(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니들홀더(32)를 감싸는 니들홀더캡(33)의 후측 외면에는 상기 커플링 볼(24)이 체결되는 볼 삽입체결홈(33b)이 형성된 니들구(30);
펜팁(41)의 후측 외면에 접촉되는 발열캡(42a)를 통해 펜팁(41)을 발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충진재를 자르거나 다지기 위한 펜팁구(40) 또한 그 일측이 상기 니들구(30) 중 본체(10)와 결합되는 부분의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본체(10)에 체결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니들구(30) 혹은 펜팁구(40)를 본체(10)에 체결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플러(20)로써 체결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커플러(20)는, 상기 본체(10)의 전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내부는 비어 있고 전후면은 개방된 원통 형상의 외측 커플러(21)와, 상기 외측 커플러(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측에 대응되게 끼워지는 내측 커플러(22)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 커플러(21)의 내측면과 내측 커플러(22)의 외측면 사이에는 스프링(23)이 장착되고, 내측 커플러(22)의 측벽에는 커플링 볼(24)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부에서 후측부로 갈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상부 커버(10a)와 하부 커버(10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부 커버(10a)의 저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부 커버(10b)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커버(10a)의 저면과 하부 커버(10b)의 상면은 동일한 형태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10a)의 개방된 저면과 하부 커버(10b)의 개방된 상면의 외곽라인을 일치시켜 적층체결하게 되면, 함체형의 본체(1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10)의 내부에는 실린더(11)가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는데, 상기 본체(10)의 전측단에는 실린더(11)가 관통가능한 실린더 관통공(1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1)의 내부에는 플런저(11c)가 전후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11)와 그 내부에 삽입된 플런저(11c)의 후측에는 전후이동축(12a)이 체결된 모터(12)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12)의 전후이동축(12a)의 전측은 상기 플런저(11c)의 후측에 길이방향으로 끼움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어, 모터(12)의 구동에 의해 전후이동축(12a)이 전후로 이동을 하게 되면, 이에 체결된 플런저(11c) 또한 실린더(11) 내부에서 전후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실린더(11)의 전측단에는 플런저 관통공(11a)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플린저(11c)는 상기 플런저 관통공(11a)을 관통하여 실린더(11)의 앞측까지 이동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1)의 전측단의 둘레부에는 접지연결핀A(11b)가 길이방향으로 삽입체결되어 있되, 그 전측은 실린더(11)의 전측단에 노출되어 있고, 후측은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50)는 모터(12)의 후측에 위치하는 충전지(6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본체(10)를 형성하는 상부 커버(10a)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 및 플런저 제어버튼(51a)(51b), 전원버튼(52), 모드설정버튼(53), 선택버튼(54), 모드정보 및 온도정보가 표시되는 액정표시창(55)과 이를 뒷받침하는 회로부(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로부(미도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것을 채용한 것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10)의 전측단에 서로 교체하여 체결되는 니들구(30)와 펜팁구(40)는 커플러(coupler)(20)를 통해서도 설치가 가능한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체(10)의 전측단에 커플러(20)로 체결되는 니들(Needle)구(30)와 펜팁(Pen Tip)구(40)의 체결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니들구(30)는 도 6의 본 발명에 의한 니들구의 분해사시도와, 도 7, 8, 9의 본 발명에 의한 니들구의 체결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근관의 절삭된 공간부에 연화된 충진재를 주입하고자 할 때에 상기 본체(10)의 전측단에 커플러(20)로써 체결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니들구(30)는,
일측에 니들 체결부(31a)가 형성된 니들(31);
중앙에 충진재 삽입공(3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열선(32b)이 감겨져 있으며, 상기 감긴 열선(32b)의 전후측에는 열선 이탈방지날개부(32c)가 형성된 니들홀더(32);
상기 니들홀더(32)가 길이방향으로 삽입체결되는 것으로, 전측에는 니들(31)이 체결되고, 후측은 본체(10)에 내장되는 실린더(11)의 전측에 체결되는 니들홀더캡(33);
상기 니들홀더캡(33)의 후측단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전측은 열선(32b)과 접지되고, 후측은 본체(10)에 내장된 실린더(11)의 전측면의 둘레부에 형성된 접지연결핀A(11b)와 체결되는 접지연결핀B(34);
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니들홀더(32)를 감싸는 니들홀더캡(33)의 후단면의 중앙에는 니들홀더(32)의 후측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니들홀더캡(33)의 후단면의 둘레부에는 접지연결핀B(34)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지연결핀B(34)의 전측은 니들홀더(32)의 외면에 감겨진 열선(32b)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연결핀B(34)의 후측은 니들홀더캡(33)의 후측단에 노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니들홀더캡(33)의 후측에 형성되는 접지연결핀B(34)의 후측은 상기 실린더(11)의 전측단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접지연결핀A(11b)의 전측에 길이방향으로 끼움체결되어, 니들구(30)와 본체(10)는 1차 끼움체결되고, 상기 니들홀더캡(33)의 후측과 실린더(11)의 전측은 커플러(20)로써 끼움체결됨에 따라 니들구(30)와 본체(10)는 2차 끼움체결된다.
니들홀더캡(33)의 후측단에 형성된 접지연결핀B(34)이 실린더(11)의 전측에 형성된 접지연결핀A(11b)에 길이방향으로 끼움체결되는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니들홀더캡(33)의 외둘레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돌부(33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커플러(20)의 내측단에 상기 가이드돌부(33a)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22a)에 끼워지고,
이 때, 상기 니들홀더캡(33)의 후측에 형성되는 접지연결핀B(34)의 후측은 상기 실린더(11)의 전측단의 둘레부에 형성되는 접지연결핀A(11b)의 전측에 길이방향으로 끼움체결되어, 1차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체결로써, 상기 니들홀더캡(33)의 후측부를 실린더(11)의 전측단과 접지체결되도록 가이드하게 되고, 2차적으로 커플러(20)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는데, 이하에서는 커플러(20)에 의한 2차 체결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커플러(2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이 개방된 원통으로 형성되는 외측 커플러(21)의 내부에 역시 전후면이 개방된 원통으로 형성되는 내측 커플러(22)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내측 커플러(22)는 그 외측면이 외측 커플러(21)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끼워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내측 커플러(22)의 외측면은 스프링(23)이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 커플러(22) 외측면의 후측단에는 상기 스프링(23)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A(22b)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커플러(21)의 내측면의 전측단에는 스프링(23)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B(21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 커플러(22)가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 커플러(2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외측 커플러(21)는 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커플러(21)의 걸림턱B(21a)가 전후이동하는 범위 내의 내측 커플러(22)의 측벽에는 커플링 볼(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커플링 볼(24)은 내측 커플러(22) 벽의 두께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 커플러(2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아니할 때에는 상기 걸림턱B(21a)는, 내측 커플러(22)의 벽에 형성된 커플링 볼(24)을 내측 커플러(22)의 내부 방향으로 누르게 되어, 상기 커플링 볼(24)이 내측 커플러(22)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측 커플러(22)의 내측면에는 니들구(30)의 외측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부(33a)에 대응되는 가이드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커플러(20)를 이용하면,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구(30)와 본체(10)를 한결 용이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니들구(30)의 구성 중 본체(10)에 체결되는 부분과 동일한 체결구조를 가진 펜팁구(40) 또한 상기 커플러(20)를 통해 한결 용이하고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되는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니들구(30)의 니들홀더(32) 내부에 충진재를 넣은 후, 상기 니들구(30)의 후측단에 노출된 접지연결핀B(34)를 본체(10)의 전측면에 노출된 실린더(20)의 접지연결핀A(11b)에 1차 체결한 다음, 필요에 따라 커플러(20)로써 2차 체결한 후, 모드설정버튼(53)을 통해 니들모드로 설정하여 액정표시창(55)에 니들모드임을 표시하여, 온도 및 플런저 제어버튼(51a)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50)를 통해 충전지(60)는 접지연결핀A(11b), 접지연결핀B(34), 열선(32b)에 전력을 순차적으로 전달하게 되어, 니들홀더(32)의 외둘레면에 감겨진 열선(32b)을 발열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발열된 니들홀더(32)는 그 내부에 삽입된 충진재를 연화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50)의 온도 및 플런저 제어버튼(51a)(51b)의 조작에 의한 모터(12)와 전후이동축(12a)의 구동에 의해 플런저(11c)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니들홀더(32) 내부의 연화된 충진재를 전방으로 압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화된 충진재는 플런저(11c)에 의해 니들(31)의 내부로 압송되어, 결국 니들(31)의 끝단으로 압출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니들홀더캡(33)의 외둘레면에는 가이드돌부(33a) 외에도 볼 삽입체결홈(33b)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측 커플러(21)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니들홀더캡(33)의 가이드돌부(33a)를 커플러(2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2a)에 길이방향으로 끼워넣게 되면, 볼 삽입체결홈(33b)의 위치는 커플링 볼(24)의 위치와 동일수직선상으로 일치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외측 커플러(21)를 전방으로 복귀시키게 되면, 외측 커플러(21)의 내측면의 전측단에 형성된 걸림턱B(21a)는 커플링 볼(24)을 누르게 되면서 내측으로 밀어넣게 되고, 이에 따라 커플링 볼(24)의 일부는 상기 니들홀더캡(33)의 외둘레면에 형성되는 볼 삽입체결홈(33b)에 삽입되어, 상기 니들구(30)는 본체(10)에 견고하게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펜팁구(40)는 치근관의 절삭된 공간부에 충진재를 주입하기 전, 혹은 주입한 충진재를 다질 때에, 상기 본체(10)의 전측단에 커플러(20)로써 체결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10, 11, 12의 본 발명에 의한 펜팁구의 체결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팁구(40)는,
일측에 펜팁 체결부(41a)가 형성된 펜팁(41);
상기 펜팁(41)의 후측부가 중앙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되, 그 외측면에 형성되는 개방부에는 발열캡(42a)이 장착되어 펜팁(41)의 후측 외면과 접촉되도록 한 펜팁홀더(42);
상기 펜팁홀더(42)가 길이방향으로 삽입체결되는 것으로, 전측단에는 펜팁(41)이 체결되고, 후측단은 본체(10)에 내장되는 실린더(11)의 일측단에 체결되는 펜팁홀더캡(43);
상기 펜팁홀더캡(43)의 후측단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전측은 발열캡(42a)과 접지되고, 후측은 본체(10)에 내장된 실린더(11)의 전측면의 둘레부에 형성된 접지연결핀A(11b)와 체결되는 접지연결핀C(44);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펜팁홀더캡(43)의 후측단의 둘레부에는 접지연결핀C(44)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되, 그 전측은 펜팁홀더(42)의 외측면의 개방부에 장착된 발열캡(42a)에 접지되고, 후측은 펜팁홀더캡(43)의 후측단의 둘레부에 노출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펜팁구(41) 또한, 본체(10)에 커플러(20)를 통한 체결이 가능한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펜팁구(40)의 후측단에 형성된 접지연결핀C(44)는 실린더(11)의 전측단에 형성된 접지연결핀A(11b)에 길이방향으로 끼움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이, 접지연결핀A(11b)와 접지연결핀C(44)의 체결로써 펜팁구(40)와 본체(10)의 1차 체결이 이루어지고, 그 외둘레부에 커플러(Coupler)(20)로써 2차 체결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커플러(20)로써 체결되는 2차 체결구조는 니들구(30)의 체결구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체결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펜팁구(40)를 본체(10)에 커플러(20)로써 체결한 다음, 모드설정버튼(53)을 통하여 펜팁모드로 설정하게 되면 액정표시창(55)에서는 펜팁모드임이 표시된다.
이 후, 온도 및 플런저 제어버튼(51a)(51b)을 누르게 되면, 충전지(60)는 접지연결핀A(11b)와 이에 연결된 접지연결핀B(34)에 순차적으로 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접지연결핀B(34)는 발열캡(42a)에 전력을 전달하게 됨에 따라, 발열캡(42a)은 발열된다.
이 때, 모터(12)는 구동되지 아니하므로, 그에 체결되는 전후이동축(12a) 및 플런저(11c) 또한 구동되지 아니한다.
발열된 발열캡(42a)은 펜팁홀더(42)의 내부에 삽입된 펜팁(41)을 발열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발열된 펜팁(41)은 충진재를 자르거나 다져줄 수 있게 되는데, 그 온도는 섭씨 300 내지 350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온도는 미리 설정함으로써, 모드설정버튼(53)을 통하여 니들모드와 펜팁모드를 서로 전환하게 되면, 각 모드 상태에서 설정된 온도에 따른 발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각 모드에서의 온도의 설정은 제어부에 미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 모드설정버튼(53)을 통해 온도설정모드로 변환한 다음, 온도 및 플런저 제어버튼(51a)(51b)을 통해 니들모드 혹은 펜팁모드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측단과 커플러(20) 사이에 로테이션 휠(70)을 장착하여, 상기 커플러(20)를 이용하여 본체(10)에 체결되는 니들구(30)와 펜팁구(40)를 상기 로테이션 휠(70)로써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되는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지가 채용되어 별도의 전기케이블이 체결되지 않은 구성으로써, 이를 위해 별도의 거치식 충전기를 형성함으로써, 미사용시에는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그 내용이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d는 액정표시창(55)을 보호하는 투명보호판이고, 10e는 본체(10)에 내장되는 충전지(60)를 덮는 충전지 덮개이다.
10 : 본체 10a : 상부 커버
10b : 하부 커버 10c : 실린더 관통공
10d : 투명보호판 10e : 충전지 덮개
11 : 실린더 11a : 플런저 관통공
11b : 접지연결핀A 11c : 플런저
11d : 플런저 삽입공 12 : 모터
12a :전후이동축 20 : 커플러
21 : 외측 커플러 21a : 걸림턱B
22 : 내측 커플러 22a : 가이드홈
22b : 걸림턱A 23 : 스프링
24 : 커플링 볼 25 : 이탈방지 휠
30 : 니들구 31 : 니들
32 : 니들홀더 32a : 충진재 삽입공
32b : 열선 32c : 이탈방지날개부
33 : 니들홀더캡 33a : 가이드돌부
33b : 볼 삽입체결홈 34 : 접지연결핀B
40 : 펜팁구 41 : 펜팁
41a : 펜팁체결부 42 : 펜팁홀더
42a : 발열캡 43: 펜팁홀더캡
44 : 접지연결핀C 50 : 제어부
51 : 온도 및 플런저 제어버튼 52 : 전원버튼
53 : 모드설정버튼 54 : 선택버튼
55 : 액정표시창 60 : 충전지
70 : 로테이션 휠

Claims (5)

  1. 충진재를 연화시켜 치근관의 절삭된 공간부를 충진하는 데에 사용되는 치근관 충진장치에 있어서,
    충진재 주입을 위한 플런저(11c)와, 상기 플런저(11c)를 왕복시키는 전후이동축(12a)과, 상기 전후이동축(12a)에 축결합된 모터(12)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접지연결핀A(11b)가 형성된 본체(10);
    니들(31)이 체결되는 니들홀더(32)의 외측에는 니들홀더캡(33)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홀더캡(33)의 일측에는 상기 접지연결핀A(11b)에 체결되는 접지연결핀B(34)가 형성된 니들구(30);
    충진재를 자르거나 다지기 위한 펜팁구(40)의 일측은, 상기 니들구(30) 중 본체(10)와 결합되는 부분의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니들구(30)와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2. 충진재를 연화시켜 치근관의 절삭된 공간부를 충진하는 데에 사용되는 치근관 충진장치에 있어서,
    충진재 주입을 위한 플런저(11c)와, 상기 플런저(11c)를 왕복시키는 전후이동축(12a)과, 상기 전후이동축(12a)에 축결합된 모터(12)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접지연결핀A(11b)가 형성된 본체(10);
    니들(31)이 체결되는 니들홀더(32)의 외측에는 니들홀더캡(33)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홀더캡(33)의 일측에는 상기 접지연결핀A(11b)에 체결되는 접지연결핀B(34)가 형성된 니들구(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3. 충진재를 연화시켜 치근관의 절삭된 공간부를 충진하는 데에 사용되는 치근관 충진장치에 있어서,
    충진재 주입을 위한 플런저(11c)와, 상기 플런저(11c)를 왕복시키는 전후이동축(12a)과, 상기 전후이동축(12a)에 축결합된 모터(12)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접지연결핀A(11b)가 형성된 본체(10);
    펜팁(41)이 체결되는 펜팁홀더(42)의 외측에는 펜팁홀더캡(43)이 형성되고, 상기 펜팁홀더캡(43)의 일측에는 상기 접지연결핀A(11b)에 체결되는 접지연결핀C(44)가 형성된 펜팁구(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구(30) 혹은 펜팁구(40)는 커플러(20)로써 본체(10)에 원터치 체결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구(30) 혹은 펜팁구(40)는 로테이션 휠(70)을 통해 회전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KR1020100047147A 2010-05-19 2010-05-19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KR101110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147A KR101110443B1 (ko) 2010-05-19 2010-05-19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PCT/KR2011/003636 WO2011145868A2 (ko) 2010-05-19 2011-05-17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147A KR101110443B1 (ko) 2010-05-19 2010-05-19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568A KR20110127568A (ko) 2011-11-25
KR101110443B1 true KR101110443B1 (ko) 2012-02-16

Family

ID=4499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147A KR101110443B1 (ko) 2010-05-19 2010-05-19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10443B1 (ko)
WO (1) WO20111458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099B1 (ko) * 2018-01-11 2019-11-06 조용식 근관 충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3661A (en) 1989-05-26 1992-07-28 Micro Mega S.A. Dentistry handpiece able to receive one of a number of vibrating instruments
JPH10165414A (ja) 1996-12-06 1998-06-23 Osada Res Inst Ltd 歯科治療用ハンドピース
JP2007267913A (ja) 2006-03-31 2007-10-18 Yoshida Dental Mfg Co Ltd 根管長測定機能付き歯科用ハンドピ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194Y1 (ko) * 2004-12-29 2005-04-19 대륭전자(주) 치과용 근관치료 충전재(充塡材) 처리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3661A (en) 1989-05-26 1992-07-28 Micro Mega S.A. Dentistry handpiece able to receive one of a number of vibrating instruments
JPH10165414A (ja) 1996-12-06 1998-06-23 Osada Res Inst Ltd 歯科治療用ハンドピース
JP2007267913A (ja) 2006-03-31 2007-10-18 Yoshida Dental Mfg Co Ltd 根管長測定機能付き歯科用ハンドピ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5868A2 (ko) 2011-11-24
KR20110127568A (ko) 2011-11-25
WO2011145868A3 (ko)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1794B2 (en) Automatic administration instrument for medical use
KR101175604B1 (ko) 주사 기구
KR101132750B1 (ko) 치과용 충전기
US4480996A (en) Endodontic instrument for dental root canal filling
CN105705182B (zh) 药物注射装置
KR100668424B1 (ko)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KR101110443B1 (ko)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KR101110395B1 (ko)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CN108720943A (zh) 一种智能热熔牙胶笔
CN207822210U (zh) 便于单手操作的医用注射器
KR20230074236A (ko) 주사기
KR102404233B1 (ko) 치과용 충전기의 볼발열팁
CN211270779U (zh) 一种采血装置
CN109078242A (zh) 用于预灌封注射器的注射装置
KR20050044128A (ko)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근관 충전장치
CN216823697U (zh) 无线手持根管治疗仪
CN220735516U (zh) 一种根管治疗用的辅助推药器
CN208823444U (zh) 便携式手持针灸装置
WO2020257895A1 (en) Equipment for applying drugs simultaneous to electroporation during electrochemotherapy procedure, drug and electroporation applicator device, method of preparing applicator device and method of calculating and adjusting electric current for electroporation
KR20100137985A (ko) 근관충전장치
KR20100137986A (ko) 근관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