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424B1 -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424B1
KR100668424B1 KR1020050010361A KR20050010361A KR100668424B1 KR 100668424 B1 KR100668424 B1 KR 100668424B1 KR 1020050010361 A KR1020050010361 A KR 1020050010361A KR 20050010361 A KR20050010361 A KR 20050010361A KR 100668424 B1 KR100668424 B1 KR 100668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gun
root canal
charg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364A (ko
Inventor
오석송
김해중
지창진
김도연
최영묵
최성준
하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05001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424B1/ko
Priority to PCT/KR2006/000363 priority patent/WO2006083114A1/en
Priority to EP06715816A priority patent/EP1845885A4/en
Priority to US11/883,705 priority patent/US20090047619A1/en
Publication of KR20060089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43K23/002Supporting means with a fixed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61C5/55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with heating means, e.g. for heating gutta perch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장치는 충전기; 펜 충전부 및 펜 제어부가 내장된 수직가압용 펜; 및 마찬가지로 건 충전부 및 건 제어부가 내장된 주입용 건을 일체화된 패키지(package)로 구비함으로써, 치과병원에서 신경을 치료할 때 시술자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근관 내에 근관충전재를 보다 빠르고, 쉬우면서 정확하게 근관을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자들의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Cordless complex root canal plugger for dental clinic}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충전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직가압용 펜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직가압용 펜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주입용 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주입용 건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b의 선 B-B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a에 도시된 주입용 건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200 : 충전기
210 : 하부케이스 220 : 전원변환부
230 : 전원충전부 240 : 상부베이스
242 : 제 1 거치홈 244 : 제 2 거치홈
300 : 수직가압용 펜 310 : 펜 본체부
312 : 제 1 록킹 스위치 320 : 펜 충전부
322 : 제 1 커버 324 : 제 1 충전지케이스
326 : 제 1 충전지 330 : 펜 제어부
334 : 제 1 컨트롤러 340 : 제 1 작동스위치
350 : 척킹부 352 : 팁 홀더
354 : 플러거 팁 356 : 팁 척
400 : 주입용 건 410 : 건 본체부
412a : 제 1 챔버 412b : 제 2 챔버
420 : 제 2 록킹 스위치 430 : 건 작동부
432 : 실린더 434 : 플런저
435 : 방아쇠뭉치 450 : 건 충전부
452 : 제 2 커버 454 : 제 2 충전케이스
458 : 제 2 충전지 460 : 건 제어부
464 : 제 2 컨트롤러 466 : 제 2 작동스위치
470 : 온도표시창 480 : 히팅배출부
482 : 히터 484 : 히터캡
486 : 히터인슐레이터캡 488 : 니들
본 발명은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기와, 각각 충전지 및 각각 컨트롤러가 내장되고 충전할 때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 충전기에 거치되는 수직가압용 펜 및 주입용 건을 일체화된 패키지(package)로 구비함으로써, 치과병원에서 신경을 치료할 때 시술자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근관 내에 근관충전재를 보다 빠르고, 쉬우면서 정확하게 근관을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자들의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병원에서 썩은 치아를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치아의 썩은 부부위를 천공기구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치료 부위인 근관을 충전물질을 사용하여 충전시킨 상태 하에서 이를 밀폐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근관치료(root canal treatment)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분야이다. 그 중에서 근관충전(root canal filling)은 근관치료의 마지막 과정이기 때문에 근관치료의 성공과 실패가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관충전은 거타-퍼차 콘(Gutta Percha Cone)을 근관 내에 여러 개를 삽입하여 충전하게 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스프레더(spreader) 등을 사용하여 측방(lateral)으로 과도하게 힘을 주는 과정에서 치근(root)이 파절되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구나 장비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근관을 충전하는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펜 타입(Pen Type)을 사용하는 “Vertical Compaction”방식과 건 타입(Gun Type)을 사용하는 “Injection Method”이 주로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종래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10)는 콘트롤러(12), 콘트롤러(12)와 전선으로 연결된 수직가압용 펜(14), 마찬가지로 콘트롤러(12)와 전선으로 연결된 주입용 건(16)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콘트롤러(12)에는 배터리가 내장되고 배터리는 8,000㎃의 전류용량을 가지는 니켈-수소 전지, Bi-Metal S/W, Poly S/W로 이루어진 보호회로, 전압은 3.6V를 가진다.
그러나 전술한 근관 충전장치(10)는 하나의 콘트롤러(12)에 수직가압용 펜(14) 및 주입용 건(16)이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장비들로 인하여 복잡한 치과병원 환경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트롤러(12)는 어댑터(Adapter)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근관 충전장치(10)를 이리저리 옮겨다니기 어려우며, 수직가압용 펜(14) 및 주입용 건(16)의 전선이 서로 뒤엉키거나 다른 장비의 전선들과 뒤엉켜 치과병원 환경을 어수선하게 하여 환자가 불안감을 느끼고 치료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기와, 각각 충전지 및 각각 컨트롤러가 내장되고 충전할 때 또 는 사용하지 않을 때 충전기에 거치되면서 사용시 소비전력이 낮은 수직가압용 펜 및 주입용 건을 일체화된 패키지(package)로 구비함으로써, 치과병원에서 신경을 치료할 때 시술자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근관 내에 근관충전재를 보다 빠르고, 쉬우면서 정확하게 근관을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자들의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바닥면 상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며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면서 상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방사상 일단은 방사상 타단측보다 완만한 곡률로 연장되는 제 1 측면플레이트 및 제 2 측면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면 타단 측에는 외부에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변환시키는 통상의 전원변환부가 배치되며, 전원변환부의 일측에는 통상의 전원충전부가 배치되고, 전원충전부에는 제 1 측면플레이트에 인접하게 통상의 제 1 충전단자가 배치되며, 제 2 측면플레이트에 인접하게는 통상의 제 2 충전단자가 배치되고, 제 1 충전단자의 타단 측에 인접하게는 “U”자 형상을 가지는 제 1 고정훅이 배치되며 제 2 충전단자의 일단에 인접하게는 “U”자 형상을 가지는 제 2 고정훅이 배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제 1 측면플레이트 및 제 2 측면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방사상 일단측은 방사상 타단측보다 완만한 곡률로 연장되면서 제 1 충전단자 및 제 2 충전단자가 노출되는 제 1 거치홈 및 제 2 거치홈이 형성되고, 제 1 거치홈 및 제 2 거치홈에는 제 1 충전단자 및 제 2 충전단자가 노출되는 제 1 단자공 및 제 2 단자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고정훅 및 제 2 고정훅이 돌출될 수 있도록 제 1 돌출공 및 제 2 돌출공이 형성되며, 제 2 거치홈의 내측면에 인접하게는 제 2 거치홈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면서 하측으로 수직 침강되는 제 3 거치홈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를 갖는 충전기;
펜 본체부, 펜 본체부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제 1 충전단자와의 접촉에 의해서 충전되는 펜 충전부, 펜 본체부의 내부에 한정되면서 펜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펜 제어부 및 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항차에 발열하여 근관에 삽입된 통상의 거타-퍼차 콘을 연화시키는 통상의 플러거 팁을 펜 본체부에 고정시키는 척킹부를 가지며 전원 충전 목적 또는 시술하지 않을 때 충전기의 상기 제 1 거치홈 상에 거치되는 수직가압용 펜; 및
대략 총 형상을 가지는 건 본체부, 건 본체부에 내부에 한정되는 건 작동부, 건 본체부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제 2 충전단자와의 접촉에 의해서 충전되는 건 충전부, 건 본체부의 내부에 한정되면서 건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건 제어부 및 건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건 본체부를 통해 건 작동부에 장착되는 통상의 커터-퍼차 바아를 연화시켜 배출하는 히팅배출부를 가지며 전원 충전을 목적 또는 시술하지 않을 때 충전기의 상기 제 2 거치홈 상에 거치되는 주입용 건이 일체로 패키지화된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기와, 각각 충전지 및 각각 컨트롤러가 내장되고 충전할 때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 충전기에 거치되는 수직가압용 펜 및 주입용 건을 일체화된 패키지(package)로 구비함으로써, 치과병원에서 신경을 치료할 때 시술자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근관 내에 근관충전재를 보다 빠르고, 쉬우면서 정확하게 근관을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자들의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100)는 충전기(200)와, 전원을 충전할 때 또는 시술을 하지 않을 때 충전기(200)에 거치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수직가압용 펜(300) 및 주입용 건(400)을 구비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충전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충전기(200)는 제 1 충전단자(t1) 및 제 2 충전단자(t2)가 내장된 하부케이스(210)와, 하부케이스(210)를 덮으면서 제 1 충전 단자(t1) 및 제 2 충전단자(t2)가 노출되는 제 1 거치홈(242) 및 제 2 거치홈(244)을 가지는 상부케이스(240)를 구비한다.
먼저, 하부케이스(210)는 바닥면 상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면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 1 측면플레이트(212a) 및 제 2 측면플레이트(212b)가 일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측면플레이트(212a) 및 제 2 측면플레이트(212b)는 상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방사상 일단측은 방사상 타단측보다 완만한 곡률로 연장된다. 이러한 하부케이스(210)의 상부면 타단 측에는 하부케이스(210)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변환시키는 통상의 전원변환부(220)가 배치되고, 전원변환부(220)의 일측에는 전원충전부(230)가 배치된다. 이때, 전원충전부(230)에는 제 1 측면플레이트(212a)에 인접하게 통상의 제 1 충전단자(t1)가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측면플레이트(212b)에 인접하게는 통상의 제 2 충전단자(t2)가 배치된다. 제 1 충전단자(t1)의 타단 측에 인접하게는 “U”자 형상을 가지는 제 1 고정훅(232)이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제 2 충전단자(t2)의 일단에 인접하게는 “U”자 형상을 가지는 제 2 고정훅(234)이 배치된다.
한편, 상부베이스(240)는 전원변환부(220) 및 전원충전부(230)를 하부베이스(210)에 한정할 수 있도록 하부베이스(210)의 상부를 덮는다. 이러한 상부베이스(240)는 제 1 측면플레이트(212a) 및 제 2 측면플레이트(212b)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방사상 일단측은 방사상 타단측보다 완만한 곡률로 연장된다. 완만한 곡률을 가지면 만곡된 상부베이스(240) 상에는 제 1 거치홈(242) 및 제 2 거치홈(244)이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거치홈(242)은 제 1 측면플레이트 (212a)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부베이스(240)의 하부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완만한 곡률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다, 제 2 거치홈(244)은 제 2 측면플레이트(212b)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부베이스(240)의 하부측으로 수직 침강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거치홈(242)에는 제 1 충전단자(t1)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 1 단자공(246)이 형성되고, 제 2 거치홈(244)의 내측면 상에는 제 2 충전단자(t2)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 2 단자공(248)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거치홈(242)에는 제 1 고정훅(232)의 상부가 제 1 거치홈(242)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 1 돌출공(250)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제 2 거치홈(244)에는 제 2 고정훅(234)의 상부가 제 2 거치홈(244)의 양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제 2 돌출공(252)이 형성된다. 한편, 제 2 거치홈(244)의 내측면에 인접하게는 제 2 거치홈(244)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면서 상부베이스(240)의 하측으로 수직 침강되는 제 3 거치홈(25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충전부(230)에는 제 1 거치홈(242) 및 제 2 거치홈(244)에 거치되어 충전되는 수직가압용펜(300) 및 주입용 건(400)의 충전상태를 알 수 있도록 제 1 표시램프(256) 및 제 2 표시램프(258)가 배치되고, 제 1 표시램프(256) 및 제 2 표시램프(258) 사이에는 충전기(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표시램프(260)가 배치된 상태 하에서 상부베이스(240)의 제 1 거치홈(242) 및 제 2 거치홈(244) 사이로 노출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고정훅(232) 및 제 2 고정훅(234)의 상부에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파지시트(262) 및 제 2 파지시트(264)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충전기(200)에는 충전할 때 또는 시술을 하지 않을 때 선택적으로 거치되어 충전되는 수직가압용 펜(300) 및 주입용 건(400)이 배치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직가압용 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직가압용 펜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직가압용 펜(300)은 전원 충전을 목적으로 또는 시술 하지 않을 때 충전기(200)의 제 1 거치홈(242) 상에 거치된다.
이러한 수직가압용 펜(300)은 펜 본체부(310), 펜 본체부(310)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펜 충전부(320), 펜 본체부(310)의 내부에 한정되면서 펜 충전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펜 제어부(330) 및 펜 제어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근관에 삽입된 거타-퍼차 콘을 연화시키는 통상의 플러거 팁(354)을 펜 본체부(310)에 고정시키는 척킹부(350)를 구비한다.
먼저, 펜 본체부(310)는 통상의 펜(pen)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가 중공되고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펜 본체부(310)의 일단측은 펜 본체부(310)의 타단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된다. 펜 본체부(310)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펜 본체부(310)의 방사상 상부에서 펜 본체부(31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록킹 스위치(312)가 배치된다. 이렇게 펜 본체부(310) 내측으로 연장되어 펜 본체부(310)의 타단과 마주보는 제 1 록킹 스위치(312)의 타단면 상에는 후크형상의 제 1 걸림돌기(314)가 형성되고 제 1 록킹 스위치(312)의 하부에는 수직하게 제 1 스프링(316)이 배치된다.
한편, 펜 본체부(310)의 일단 내주면 상에는 방사상 중심부 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318)가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 하부에는 제 1 충전단자(t1)와 접촉되는 제 3 충전단자(t3)가 펜 본체부(3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펜 본체부(310)에는 펜 충전부(320), 펜 제어부(330) 및 척킹부(350)가 장착된다.
펜 충전부(320)는 펜 본체부(310)의 타단을 폐쇄하는 수평한 원통형상의 제 1 커버(322)와, 제 1 커버(322)의 일단면 상에서 수평하게 펜 본체부(310)의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제 1 충전지(326)가 내장된 제 1 충전지케이스(324)를 구비한다. 이때, 펜 본체부(310)의 내측으로 연장된 제 1 충전지케이스(324)의 일단면 상에는 제 1 걸림돌기(314)에 대응하는 후크형상의 제 2 걸림돌기(328)가 형성되고 제 1 충전지케이스(324)의 방사상 하부에는 제 3 충전단자(t3)와 밀착되는 제 4 충전단자(t4)가 노출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충전지케이스(324)에 형성된 제 2 걸림돌기(328)가 제 1 록킹 스위치(312)의 제 1 걸림돌기(314)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펜 본체부(310) 타단의 방사상 상부에는 제 1 장착표식돌기(329a)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제 1 커버(322)의 방사상 상부에는 제 1 장착표식돌기(329a)와 마주보는 삼각 형상의 제 2 장착표식돌기(329b)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충전지(326)는 650㎃의 전류용량을 가지는 니켈-수소 전지와, Poly S/W로 이루어진 보호회로 및 3.6V의 전압을 가진다.
펜 제어부(330)는 제 1 전원공급단자(332), 제 1 컨트롤러(334) 및 제 1 작동스위치(340)를 구비한다. 제 1 전원공급단자(332)는 제 1 충전지(326)에서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제 1 충전지케이스(32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제 1 전원공급단자(332)는 제 1 록킹 스위치(312)에 하부 측에 배치된다. 제 1 컨트롤러(334)는 제 1 전원공급단자(332)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 1 전원공급단자(332)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컨트롤러(334)에는 플러거 팁(354)의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모드스위치(mode switch)(336)가 제 1 컨트롤러(3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펜 본체부(3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고, 모드스위치(336)의 일측에는 마찬가지로 플러거 팁(354)의 사이즈별로 가열 상태를 표시하는 다수의 가열표시램프(338)가 제 1 컨트롤러(3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펜 본체부(3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한편, 제 1 작동스위치(340)는 펜 본체부(310)의 일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제 1 컨트롤러(3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작동스위치(340)는 시술 중 사용자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펜 본체부(310)의 외주면을 따라서 다수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드스위치(336)를 짧게 누르면 플러거 팁(354)의 사이즈 중 가장 작은 사이즈에 세팅되고, 모드 스위치(336)를 짧게 두 번 누르면 플러거 팁(354)의 사이즈 중 중간 사이즈에 세팅되며, 마찬가지로 모드 스위치(336)를 짧게 세 번 누리면 플러거 팁(354)의 사이즈 중 가장 큰 사이즈에 세팅되어 초기출력조건 및 제어출력조건을 플러거 팁(354)의 사이즈별로 설정하여 플러거 팁(354)이 초기급속가열 및 과열에 대비한다. 모드스위치(336)를 길게 누르면 모드스위치(336)에 전원공급이 중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열표시램프(338)는 듀얼 칼라 엘이디(Dual Color LED)를 채택한다. 즉, 가열표시램프(338)는 일반가열시에는 녹색을 급속가열시에는 적색을 발산한다.
한편, 척킹부(350)는 팁 홀더(352), 팁 홀더(352)의 일측에 배치되어 통상의 플러거 팁(354)이 끼워지는 팁 척(chuck)(356) 및 플러거 팁(354)을 팁 척(356)에 고정시키는 척킹너트(358)를 구비한다. 팁 홀더(352)는 제 1 컨트롤러(334)의 일단, 즉 제 1 작동스위치(3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팁 홀더(352)는 제 1 컨트롤러(3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작동스위치(340)의 작동에 따라 끼워지는 플러거 팁(354)에 전원을 인가하여 저항차에 의해서 플러거 팁(354)을 발열하게 한다. 팁 척(356)은 타단 및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타단은 펜 본체부(3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팁 홀더(35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단은 펜 본체부(3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팁 척(356)의 타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는 펜 본체부(310)의 고정돌기(318)가 삽입되는 고정홈(360)이 형성되고, 팁 척(356)의 일단은 일단 외부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되면서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362)가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 외주면을 분할하는 다수의 절개홈(364)이 형성된다. 한편, 척킹너트(358)는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플러거 팁(354)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다. 이러한 척킹너트(358)의 내주면 상에는 팁 척(356)의 일단을 압축하면서 수나사(362)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366)가 형성된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주입용 건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주입용 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b의 선 B-B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9는 도 7a에 도시된 주입용 건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주입용 건(400)은 전원 충전을 목적으로 또는 시술 하지 않을 때 충전기(200)의 제 2 거치홈(244) 상에 거치된다.
이러한 주입용 건(400)은 대략 총(gun) 형상을 가지는 건 본체부(410), 건 본체부(410)에 내부에 한정되는 건 작동부(430), 건 본체부(410)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건 충전부(430), 마찬가지로 건 본체부(410)의 내부에 한정되면서 건 충전부(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건 제어부(460) 및 건 제어부(4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건 본체부(410)를 통해 건 작동부(430)에 장착되는 통상의 커터-퍼차 바아(bar)를 연화시켜 배출하는 히팅배출부(480)를 구비한다.
먼저, 건 본체부(410)는 제 1 챔버(chamber)(412a) 및 제 2 챔버(412b)를 구비한다. 제 1 챔버(412a)는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수평한 원통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챔버(412)의 일단에 인접한 상부면 상에는 통상의 커터-퍼차 바아(bar)가 제 1 챔버(412)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제 1 투입공(414)이 형성된다. 제 2 챔버(412b)는 제 1 챔버(412a)의 타단 하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제 2 챔버(412b)의 일단면 상에는 수직한 제 1 장착공(416)이 형성되고 타단면 하부에는 제 2 장착공(418)이 형성되며 하부면 상에는 제 2 록킹 스위치(420)가 배치된다. 이때, 제 2 록킹 스위치(420)의 타단 상부면 상에는 제 2 챔버(412b)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3 걸림돌기(422)가 형성되고 일단 상부면 상에는 제 2 스프링(424)이 배치된다.
건 작동부(430)는 실린더(432), 실린더(432)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는 플런저(434) 및 플런저(434)를 전진시키는 방아쇠뭉치(436)를 구비한다. 실린더(43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제 1 챔버(412a)의 타단면 상에서부터 제 1 챔 버(412a)의 일단면 외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실린더(430)의 타단에 인접한 하부면 상에는 제 2 챔버(412b) 측으로 개방된 개구공(438)이 형성되고, 일단에 인접한 상부면 상에는 커터-퍼차 바아(bar)가 실린더(43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제 1 투입공(414)과 연통하는 제 2 투입공(440)이 형성된다. 플런저(434)는 실린더(430)의 타단면 상에서 실린더(432)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플런저(434)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다수의 전진홈(442)이 형성되어 개구공(438) 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방아쇠뭉치(436)는 제 2 챔버(412b)의 내측 상부에 제 1 힌지(h1)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은 제 1 장착공(416)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아쇠(444)와 방아쇠(444)의 타단 측에 배치되면서 상부는 제 2 힌지(h2)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는 방아쇠(444)의 타단면 하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구(446)를 구비한다. 이때, 작동구(446)의 상부에는 하부가 제 3 힌지(h3)에 의해서 작동구(446)에 장착되고 상부는 전진홈(442)에 선택적으로 걸쳐져 방아쇠(444)의 작동에 의해서 플런저(434)를 전진시키는 작동쇠(448)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공(438)이 형성된 실린더(432)의 외주면 상에는 플런저(434)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제 1 챔버(412a)의 상부에서부터 연장되어 작동쇠(448)를 전진홈(442)에서 이탈시키는 플런저리셋스위치(449)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건 작동부(430)가 장착된 건 본체부(410)의 내부에는 건 충전부(450), 건 제어부(460) 및 히팅배출부(480)가 장착된다.
건 충전부(450)는 제 2 챔버(412b)의 제 2 장착공(418)을 폐쇄하는 제 2 커버(452)와 제 2 커버(452)의 일단면 상에서 수평하게 제 2 챔버(412b) 측으로 연장 되면서 내부에는 제 2 충전지(458)가 내장되는 제 2 충전지케이스(454)를 구비한다. 이때, 제 2 충전지케이스(454)의 하부면 상에는 제 3 걸림돌기(422)가 끼워지는 끼움공(456)이 형성되고 제 2 충전지케이스(454)의 일단면 상에는 제 2 충전단자(t2)와 밀착되는 제 5 충전단자(t5)가 제 2 챔버(412b)의 일단면 상에 노출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충전지(458)는 2,000㎃의 전류용량을 가지는 니켈-수소 전지와, Poly S/W로 이루어진 보호회로 및 3.6V의 전압을 가진다.
건 제어부(460)는 제 2 전원공급단자(462), 제 2 컨트롤러(464) 및 제 2 작동스위치(466)를 구비한다. 제 2 전원공급단자(462)는 제 2 충전지(458)에서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제 2 충전지케이스(45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 2 컨트롤러(464)는 제 2 전원공급단자(462)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 2 전원공급단자(462)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제 2 컨트롤러(464)는 방아쇠(444) 및 작동구(446)에 간섭되지 않게 제 2 챔버(412b) 내에 한정된다. 한편 제 2 작동스위치(466)는 제 1 챔버(412a) 내에서 실린더(432)에 간섭되지 않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 2 작동스위치(466)는 온도를 제어하는 업(up)스위치(468a), 다운(down)스위치(468b) 및 전원스위치(468c)가 배치된다. 한편, 제 1 챔버(412a)의 상부에는 제 2 컨트롤러(464) 및 제 2 작동스위치(46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표시창(470)이 노출되게 장착된다.
한편, 히팅배출부(480)는 제 1 챔버(412a)의 일단면 상에 장착되어 안내되는 커터-퍼차 바아를 연화시키면서 일단에는 연화된 커터-퍼차가 배출되는 통상의 니들(needle)(488)이 장착된 히터(482)를 구비한다. 히터(482)는 제 1 챔버(412a)의 외부로 노출된 실린더(432)의 외주면을 감싸되면서 제 2 컨트롤러(464) 및 제 2 작동스위치(46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플런저(434)에 의해서 압입되는 커터-퍼차 바아를 연화시킨다. 이러한 히터(482)의 외주면 상에는 타단 내주면이 제 1 챔버(412a)의 일단면 상에 결합되는 히터캡(484)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히터캡(484)의 외주면 상에는 히터(482)의 열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히터인슐레이터캡(486)이 추가로 더 구비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충전기(200)에 전원을 인가 한 상태 하에서 충전기(200)의 상부케이스(240)에 형성된 제 1 거치홈(242) 및 제 2 거치홈(244)에 수직가압용 펜(300) 및 주입용 건(400)을 거치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주입용 건(400)에 장착된 방아쇠(444)는 제 3 거치홈(254)에 거치된다. 이때, 수직가압용 펜(300) 및 주입용 건(400)은 제 1 거치홈(242) 및 제 2 거치홈(244)에 돌출된 제 1 고정훅(232) 및 제 2 고정훅(234) 내로 삽입되고 제 1 파지시트(262) 및 제 2 파지시트(264)에 의해서 고정되면서 수직가압용 펜(300)에 형성된 제 3 충전단자(t3)는 제 1 충전단자(t1)와 접촉되고, 주입용 건(400)의 제 5 충전단자(t5)는 제 2 충전단자(t2)에 접촉된다. 그 결과, 제 1 충전단자(t1)와 접촉하는 제 3 충전단자(t3)는 다시 제 4 충전단자(t4)와 접촉하여 제 1 충전지(326)를 충전시키고, 마찬가지로 제 2 충전단자(t2)와 접촉하는 제 5 충전단자(t5)는 제 2 충전지(458)를 충전시킨다. 한편, 제 1 충전지(326) 및 제 2 충전지(458)에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200)에 형성된 제 1 표시램프(256) 및 제 2 표시램프(258)는 발광하여 수직가압용 펜(300) 및 주입용 건(400)의 충전상태를 알려 준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표시램프(256)는 수직가압용 펜(300)의 충전상태를 제 2 표시램프(258)는 주입용 건(400)의 충전상태를 알려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가압용 펜(300) 및 주입용 건(400)이 준비되면, 시술자는 시술하고자 하는 환자의 치아를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한 상태 하에서 천공한 기구와 일치하는 통상의 커터-퍼차 콘(도시되지 않음)을 천공된 근관 내에 삽입한다. 이렇게 근관 내에 커터-퍼차 콘이 삽입되면 시술자는 충전이 완료된 수직가압용 펜(300)에 적절한 통상의 플러거 팁(354)을 장착한 후 모드스위치(336)를 이용하여 플러거 팁(354)의 사이즈를 설정한 다음 플러거 팁(354)을 커터-퍼차 콘에 밀착시킨 상태 하에서 제 1 작동스위치(340)를 조작한다. 제 1 작동스위치(340)를 작동하며, 펜 제어부(330)의 제 1 컨트롤러(334)는 플러거 팁(354)이 장착된 팁 홀더(352)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전원이 인가된 플러거 팁(354)은 저항차에 의해서 발열을 하게 된다. 그 결과 발열하는 플러거 팁(354)에 의해서 커터-퍼차 콘은 근관 내로 연화되어 근관 내에 충진된다. 이렇게 커터-퍼차 콘이 연화가 완료되면, 수입가압용 펜(300)을 충전기(200)의 제 1 거치홈(242)에 거치시킨다.
전술한 커터-퍼차 콘으로도 충진 되지 못한 부분은 주입용 건(400)을 이용하여 나머지 부분을 충진하게 된다. 주입용 건(40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바아(bar) 형상으로 제작된 통상의 커터-퍼차 바아(도시되지 않음)를 주입용 건(400)에 장착한다. 커터-퍼차 바아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플런저리셋스위치(449)를 눌러 플 런저(434)를 후퇴시킨 상태 하에서 제 1 투입공(414)에 커터-퍼차 바아를 투입한다. 제 1 투입공(414)에 투입된 커터-퍼차 바아는 다시 제 2 투입공(440)을 통해서 실린더(432) 내부로 장착된다. 이렇게 커터-퍼차 바아가 실린더(432)에 장착되면, 제 2 작동스위치(466)의 전원스위치(468c)를 눌러 히터(482)를 작동시킨 상태 하에서 시술자는 플런저(434)를 히터(482) 측으로 가압시킨다. 이때, 플런저(434)는 히터(482)는 커터-퍼차 바아를 연화시킴과 동시에 플런저(434)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전진홈(442)은 개구공(438) 측으로 노출되어 작동쇠(448)에 걸쳐진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시술자가 니들(488)을 충전하고자 하는 치아에 인접 배치한 상태 하에서 방아쇠(444)를 천천히 작동하면, 작동구(446)는 선회되고 선회되는 작동구(446)는 작동쇠(448)를 구동시켜 플런저(434)를 서서히 전진시킨다. 그 결과, 히터(482)에 의해서 연화된 거타-퍼차 바아는 전진하는 플런저(434)에 의해서 니들(488)의 외부로 배출되어 충전 되지 못한 부분 치아의 나머지 부분을 충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100)는 충전기(200)와, 각각 충전지(326, 458) 및 각각 컨트롤러(334, 464)가 내장된 무선 수직가압용 펜(300) 및 주입용 건(400)을 일체화된 패키지(package)로 구비함으로써, 치과병원에서 신경을 치료할 때 시술자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근관충전을 보다 빠르고, 쉬우면서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수직가압용 펜(300) 및 주입용 건(400)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컨트롤러 박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장소가 협소한 치관병원의 환경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전선들이 서로 꼬이는 현상이 없어 환자에게는 안정감을 줄 수 있고, 종래의 충전장치(10)는 전선과 커넥터 부위에서 전력손실이 크지만 본 발명의 수직가압용 펜(300) 및 주입용 건(400)은 전선 및 커넥터에서의 손실이 전혀 없기 때문에 작은 전류용량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바닥면 상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며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면서 상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방사상 일단은 방사상 타단측보다 완만한 곡률로 연장되는 제 1 측면플레이트 및 제 2 측면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면 타단 측에는 외부에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변환시키는 통상의 전원변환부가 배치되며, 상기 전원변환부의 일측에는 통상의 전원충전부가 배치되고, 상기 전원충전부에는 상기 제 1 측면플레이트에 인접하게 통상의 제 1 충전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측면플레이트에 인접하게는 통상의 제 2 충전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충전단자의 타단 측에 인접하게는 “U”자 형상을 가지는 제 1 고정훅이 배치되며 상기 제 2 충전단자의 일단에 인접하게는 “U”자 형상을 가지는 제 2 고정훅이 배치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제 1 측면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측면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방사상 일단측은 방사상 타단측보다 완만한 곡률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 1 충전단자 및 상기 제 2 충전단자가 노출되는 제 1 거치홈 및 제 2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거치홈 및 상기 제 2 거치홈에는 상기 제 1 충전단자 및 상기 제 2 충전단자가 노출되는 제 1 단자공 및 제 2 단자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고정훅 및 상기 제 2 고정훅이 돌출될 수 있도록 제 1 돌출공 및 제 2 돌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거치홈의 내측면에 인접하게는 상기 제 2 거치홈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면서 하측으로 수직 침강되는 제 3 거치홈이 형성되는 상부케이스를 갖는 충전기;
    펜 본체부, 상기 펜 본체부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제 1 충전단자와의 접촉에 의해서 충전되는 펜 충전부, 상기 펜 본체부의 내부에 한정되면서 상기 펜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펜 제어부 및 상기 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항차에 발열하여 근관에 삽입된 통상의 거타-퍼차 콘을 연화시키는 통상의 플러거 팁을 상기 펜 본체부에 고정시키는 척킹부를 가지며 전원 충전 목적 또는 시술하지 않을 때 상기 충전기의 상기 제 1 거치홈 상에 거치되는 수직가압용 펜; 및
    대략 총 형상을 가지는 건 본체부, 상기 건 본체부에 내부에 한정되는 건 작동부, 상기 건 본체부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제 2 충전단자와의 접촉에 의해서 충전되는 건 충전부, 상기 건 본체부의 내부에 한정되면서 상기 건 충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건 제어부 및 상기 건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건 본체부를 통해 상기 건 작동부에 장착되는 통상의 커터-퍼차 바아를 연화시켜 배출하는 히팅배출부를 가지며 전원 충전을 목적 또는 시술하지 않을 때 상기 충전기의 상기 제 2 거치홈 상에 거치되는 주입용 건이 일체로 패키지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훅 및 상기 제 2 고정훅의 상부에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파지시트 및 제 2 파지시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충전부에는 상기 수직가압용펜 및 상기 주입용 건의 충전상태를 알 수 있도록 제 1 표시램프 및 제 2 표시램프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표시램프 및 상기 제 2 표시램프 사이에는 상기 충전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표시램프가 배치된 상태 하에서 상기 상부베이스의 상기 제 1 거치홈 및 상기 제 2 거치홈 사이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압용 펜의 상기 펜 본체부는 통상의 펜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가 중공되고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대략 중앙부분에는 상기 펜 본체부의 방사상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록킹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펜 본체부의 타단과 마주보는 상기 제 1 록킹 스위치의 타단면 상에는 후크형상의 제 1 걸림돌기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록킹 스위치의 하부에는 수직하게 제 1 스프링이 배치되며, 상기 펜 본체부의 일단 내주면 상에는 방사상 중심부 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 하부에는 상기 제 1 충전단자와 접촉되는 제 3 충전단자가 상기 펜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충전부는 상기 펜 본체부의 타단을 폐쇄하는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의 일단면 상에서 수평하게 상기 펜 본체부의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제 1 충전지가 내장된 제 1 충전지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충전지케이스의 일단면 상에는 상기 제 1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후크형상의 제 2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충전지케이스의 방사상 하부에는 상기 제 3 충전단자와 밀착되는 제 4 충전단자가 노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돌기가 상기 제 1 걸림돌기에 정확하게 장 착될 수 있도록 상기 펜 본체부 타단의 방사상 상부에는 제 1 장착표식돌기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커버의 방사상 상부에는 상기 제 1 장착표식돌기와 마주보는 삼각 형상의 제 2 장착표식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펜 제어부는 상기 제 1 충전지에서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충전지케이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제 1 전원공급단자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전원공급단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거 팁의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모드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제 1 컨트롤러와, 상기 펜 본체부의 일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작동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스위치의 일측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플러거 팁의 사이즈별로 가열 상태를 표시하는 다수의 가열표시램프가 상기 제 1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펜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척킹부는 상기 제 1 컨트롤러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작동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끼워지는 상기 플러거 팁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플러거 팁을 발열하게 하는 팁 홀더와, 타단 및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타단은 상기 펜 본체부의 내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팁 홀더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펜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팁 척과, 일단에서 타단 측으로 상기 플러거 팁이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면서 상기 팁 척의 일단을 압축하면서 상기 플러거 팁을 상기 팁 척에 고정장착시키는 척킹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팁 척의 일단은 일단 외부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되면서 외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 외주면을 분할하는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척킹너트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팁 척의 일단을 압축하면서 상기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용 건의 상기 건 본체부는 일단 및 타단이 개방된 수평한 원통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인접한 상부면 상에는 상기 커터-퍼차 바아가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제 1 투입공이 형성된 제 1 챔버와, 상기 제 1 챔버의 타단 하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면서 일단면 상에는 수직한 제 1 장착공이 형성되고 타단면 상에는 제 2 장착공이 형성되면 하부면 상에는 제 2 록킹 스위치가 배치된 제 2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록킹 스위치의 타단 상부면 상에는 상기 제 2 챔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3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일단 상부면 상에는 제 2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건 작동부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챔버의 타단면 상에서부터 상기 제 1 챔버의 일단면 외부로 연장되면서 타 단에 인접한 하부면 상에는 상기 제 2 챔버 측으로 개방된 개구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인접한 상부면 상에는 상기 커터-퍼차 바아가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투입공과 연통하는 제 2 투입공이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타단면 상에서 상기 실린더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대략 중앙부분에는 다수의 전진홈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공 측으로 노출되는 플런저와, 상기 제 2 챔버의 내측 상부에 제 1 힌지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제 1 장착공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아쇠와 상기 방아쇠의 타단 측에 배치되면서 상부는 제 2 힌지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는 상기 방아쇠의 타단면 하부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구 및 상기 작동의 상부에 하부가 제 3 힌지에 의해서 장착되고 상부는 상기 전진홈에 선택적으로 걸쳐져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플런저를 전진시키는 작동쇠를 갖는 방아쇠뭉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이 형성된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플런저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챔버의 상부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작동쇠를 상기 전진홈에서 이탈시키는 플런저리셋스위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건 충전부는 상기 제 2 장착공을 폐쇄하는 제 2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의 일단면 상에서 수평하게 상기 제 2 챔버 측으로 연장되면 서 내부에는 제 2 충전지가 내장되는 제 2 충전지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충전지케이스의 하부면 상에는 상기 제 3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충전지케이스의 일단면 상에는 상기 제 2 충전단자와 밀착되는 제 5 충전단자가 상기 제 2 챔버의 일단면 상에 노출되게 장착되는 것을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건 제어부는 상기 제 2 충전지에서 전원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 2 충전지케이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전원공급단자와, 상기 제 2 전원공급단자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 2 전원공급단자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컨트롤러와, 상기 제 2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챔버 내에 배치됨과 아울러 온도를 제어하는 업스위치, 다운스위치 및 전원스위치가 배치된 제 2 작동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의 상부에는 상기 제 2 컨트롤러 및 상기 제 2 작동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표시창이 노출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18. 제 12 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배출부는 상기 제 1 챔버의 일단면 상에 장착되어 안내되는 커터-퍼차 바아를 연화시키면서 일단에는 연화된 커터- 퍼차가 배출되는 통상의 니들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챔버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제 2 컨트롤러 및 상기 제 2 작동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히터를 구비하고, 상기 히터의 외주면 상에는 타단 내주면이 상기 제 1 챔버의 일단면 상에 결합되는 히터캡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배출부는 상기 히터캡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히터의 열이 외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히터인슐레이터캡이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KR1020050010361A 2005-02-04 2005-02-04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KR100668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361A KR100668424B1 (ko) 2005-02-04 2005-02-04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PCT/KR2006/000363 WO2006083114A1 (en) 2005-02-04 2006-02-02 Cordless complex root canal plugger for dental clinic
EP06715816A EP1845885A4 (en) 2005-02-04 2006-02-02 CORDLESS COMPLEX ROOT CHANNEL FILLING DEVICE FOR DENTISTS
US11/883,705 US20090047619A1 (en) 2005-02-04 2006-02-02 Cordless Complex Root Canal Plugger for Dental Clin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361A KR100668424B1 (ko) 2005-02-04 2005-02-04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364A KR20060089364A (ko) 2006-08-09
KR100668424B1 true KR100668424B1 (ko) 2007-01-12

Family

ID=3677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361A KR100668424B1 (ko) 2005-02-04 2005-02-04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047619A1 (ko)
EP (1) EP1845885A4 (ko)
KR (1) KR100668424B1 (ko)
WO (1) WO200608311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395B1 (ko) 2010-07-23 2012-02-15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US11241299B2 (en) 2016-08-04 2022-02-08 B&L Biotech, Inc. Induction heating type dental fill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3706B2 (en) * 2005-03-28 2015-05-19 B & L Biotech Co., Ltd. Wireless recharger of complete melting type for endodontic treatment
DE102007022205A1 (de) * 2007-05-11 2008-11-13 Kaltenbach & Voigt Gmbh Handgerät zur Abgabe eines pastösen Füllungsmaterials
KR20080003483U (ko) * 2008-07-08 2008-08-21 (주)디엑스엠 옵츄레이터
EP2335638B1 (de) * 2009-12-10 2011-11-16 W & H Dentalwerk Bürmoos GmbH Medizinische, insbesondere dentale, Behandlungsvorrichtung zur Abgabe eines Mediums
DE102012100866A1 (de) * 2012-02-02 2013-08-0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erfahren zur Ausbildung einer Transportsicherung sowie akkubetriebenes Elektrogerät
WO2016076650A1 (ko) * 2014-11-12 2016-05-19 (주)디엑스엠 펠티어소자에 의해 치과용 매트리얼을 가열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KR200486011Y1 (ko) * 2017-11-13 2018-05-08 주식회사 웰뷰텍 무선 안마기 거치대
KR101947638B1 (ko) * 2018-05-17 2019-02-13 주식회사 라이칸스로프 배터리용 충전장치
USD908286S1 (en) * 2018-08-09 2021-01-19 Nail Alliance, Llc Drill dock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7136A (en) 1977-09-09 1982-11-02 Solar Energy Technology, Inc. Method for filling a root canal
US4818231A (en) 1985-05-09 1989-04-04 Wilhelm Sedlbauer Gmbh Processing device for local irradiation with visible or invisible light
US4992045A (en) 1987-04-01 1991-02-12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Battery powered condenser for root canals
US6270343B1 (en) 2000-01-07 2001-08-07 Howard Martin Endodontic thermal condenser dental instrument
KR20020086264A (ko) * 2001-05-10 2002-11-18 에이씨에스 도브파 에스. 피. 에이. 세포테탄의 제조에 유용한 화합물을 수득하는 방법 및당해 방법으로 수득한 신규한 화합물
US6616448B2 (en) 2000-09-22 2003-09-09 Joshua Friedman Dispenser for heating and extruding dental material
KR20040006371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5618A (en) * 1977-09-09 1981-05-05 Solar Energy Technology, Inc. Electrically heated endodontic syringe for injecting thermoplastic material into a root canal cavity
DE4211230C2 (de) * 1992-04-03 1997-06-26 Ivoclar Ag Wiederaufladbares Lichthärtgerät
US5561881A (en) * 1994-03-22 1996-10-08 U.S. Philips Corporation Electric toothbrush
DE19520765B4 (de) * 1994-06-09 2004-07-08 Kabushiki Kaisha Morita Seisakusho Dental-Behandlungseinrichtung mit Wurzelkanallängen-Meßfunktion
US5672155A (en) * 1996-06-14 1997-09-30 Riley; Robert Q. Fluid transfer apparatus
GB9718336D0 (en) * 1997-08-30 1997-11-05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US5893713A (en) * 1997-12-04 1999-04-13 Kerr Manufacturing Company Dental probe having superelastic plugger ele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20039720A1 (en) * 1999-10-29 2002-04-04 Marx Alvin J. Motorized reusable toothbrush
NL1014480C2 (nl) * 2000-02-24 2001-08-28 Megadent Endo Products B V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een endodontische behandeling.
GB2368061B (en) * 2000-10-20 2005-05-11 Gw Pharmaceuticals Ltd Dose dispensing apparatus
JP3936837B2 (ja) * 2000-11-09 2007-06-27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充填器および歯科用装填具
US6836917B2 (en) * 2001-05-07 2005-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placeable head electric toothbrush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for
DE10129487A1 (de) * 2001-06-21 2003-01-02 Yeti Dentalprodukte Gmbh Drahtloses Instru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7136A (en) 1977-09-09 1982-11-02 Solar Energy Technology, Inc. Method for filling a root canal
US4818231A (en) 1985-05-09 1989-04-04 Wilhelm Sedlbauer Gmbh Processing device for local irradiation with visible or invisible light
US4992045A (en) 1987-04-01 1991-02-12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Battery powered condenser for root canals
US6270343B1 (en) 2000-01-07 2001-08-07 Howard Martin Endodontic thermal condenser dental instrument
US6616448B2 (en) 2000-09-22 2003-09-09 Joshua Friedman Dispenser for heating and extruding dental material
KR20020086264A (ko) * 2001-05-10 2002-11-18 에이씨에스 도브파 에스. 피. 에이. 세포테탄의 제조에 유용한 화합물을 수득하는 방법 및당해 방법으로 수득한 신규한 화합물
KR20040006371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395B1 (ko) 2010-07-23 2012-02-15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US11241299B2 (en) 2016-08-04 2022-02-08 B&L Biotech, Inc. Induction heating type dental fil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83114A1 (en) 2006-08-10
US20090047619A1 (en) 2009-02-19
KR20060089364A (ko) 2006-08-09
EP1845885A1 (en) 2007-10-24
EP1845885A4 (en)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424B1 (ko)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KR101132750B1 (ko) 치과용 충전기
KR100531015B1 (ko)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US20170128158A1 (en) Dental material heating infuser for heating dental material by peltier element
KR20160096816A (ko) 세라믹을 이용한 전자식 뜸 장치
US20130122451A1 (en) Endodontic plugger
KR100959405B1 (ko)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KR101097902B1 (ko) 치과용 충전기
KR101588419B1 (ko) 펠티어소자에 의해 치과용 매트리얼을 가열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KR20090035675A (ko) 치아 성형용 왁스 디스펜서
KR200350517Y1 (ko)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KR101855583B1 (ko) 인덕션 가열방식의 치과용 충전기
KR100614628B1 (ko)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근관 충전장치
CN208337953U (zh) 一种便于通讯模组选择及更换的led控制装置
KR200382194Y1 (ko) 치과용 근관치료 충전재(充塡材) 처리기구
KR200306002Y1 (ko) 개선된 근관충전기용 니들의 구조
KR101097900B1 (ko) 치과용 충전기
CN211880119U (zh) 热牙胶充填仪用搁置式充电设备
KR102591127B1 (ko) 형상가압 구조를 가지는 속눈썹 고데기
KR19990046316A (ko) 지피포인터컷팅용치과기구
CN212879647U (zh) 一种无线可充电式电蜡勺
CN221357179U (zh) 一种牙齿矫治器
CN210138127U (zh) 一种口镜加热装置
CN109549716B (zh) 一种具有压平功能的牙胶尖切断器及其头部的生产方法
KR20230045431A (ko) 헤어볼륨용 미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