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517Y1 -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517Y1
KR200350517Y1 KR20-2004-0003578U KR20040003578U KR200350517Y1 KR 200350517 Y1 KR200350517 Y1 KR 200350517Y1 KR 20040003578 U KR20040003578 U KR 20040003578U KR 200350517 Y1 KR200350517 Y1 KR 200350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anal
heat carrier
current
filling device
recharge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수
이인환
백승호
Original Assignee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3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5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61C5/55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with heating means, e.g. for heating gutta perch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2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펜 형상의 케이스에 충전식 전원부 및 제어부 등을 모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시술시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는, 근관치료에 사용되는 히트캐리어를 구비하는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을 제공하는 펜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거치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사용시 상기 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식 직류 전원부; 상기 충전식 직류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히트캐리어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히트캐리어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시술자의 접촉에 의해 상기 히트캐리어에 공급되는 전류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 및 장치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회로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Wireless type device for dental treatment of root canal obturation}
본 고안은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컨트롤러와 유선으로 연결된 프로우브(probe)로 구성되는 종래의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와 달리, 펜 형상의 케이스에 충전식 전원부 및 제어부 등을 모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시술시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병원에서 충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치아의 썩은 부위를 천공기구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치수가 손상된 경우는 손상되거나 오염된 치수를 제거한 후 치료 부위인 근관에 충전재(근관충전용 시멘트 또는 sealer)를 채워 넣어 밀폐시킨 상태에서 보철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위와 같이 근관을 충전할 때는 그 충전재가 근관에 침투하여 이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임시충전물로서 거타-퍼차(Gutta-Percha, 혹은 구타페르카) 콘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천연의 식물성 추출물로서 상온에서는 반고체 상태이나 압을 가하거나 열을 가하여 고형화된 고무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것을 보통 화이트 거타-퍼차(White Gutta-Percha)라 부른다.
여기에 산화아연, 황산바륨, 왁스, 색소 등을 넣고 롤이나 믹서기 등에서 조합을 하여 판상으로 뽑아낸 후 이것을 절단하여 각 사이즈 별로 원추형의 모양으로 만들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거타-퍼차 콘은 근관치료에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로서 치근단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어 생체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타-퍼차 콘은 규격화된 콘(standardized cone)과 보조 콘(accessory cone)으로 되어 있는데, 규격화된 콘은 치과용 천공기구(file)와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신경 치료시에는 천공기구로 치수 감염부를 천공하여 감염된 신경조직 등을 제거한 후 근관에 더이상 감염원이 생기지 않도록 근관벽에 충전재를 도포하고 상기 근관에 적합한 사이즈의 거타-퍼차 콘을 삽입하여 상기 충전재를 주근관 및 부근관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거타-퍼차 콘이 근관벽 및 근첨 측으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해서 근관이 충전되면 X-선 촬영을 통해 충전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거타-퍼차 콘을 제거하며, 거타-퍼차 콘의 제거에는 불에 달군 엑스커베이터(excavator) 및 불에 달군 치수용 플러거(endodontic plugger) 또는 불에 달군 스프레더 등이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근관을 충전하는 방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보편적으로 측방가압법(lateral condensation)과 수직가압법(vertical condensation)이 사용되고 있다.
측방가압법(lateral condensation method)은 일반적으로 치료할 근관의 작업길이와 같고 근첨에 꼭 맞도록 선택된 거타-퍼차 콘, 즉 마스터 콘(master cone)을 충전재(시멘트 또는 sealer)를 삽입하고 남은 공간에 테이퍼형 스프레더(spreader)를 삽입하여 수평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마스터 콘을 근관 측벽에 밀착시키고, 보조 콘을 삽입하며 이를 반복하는 방법으로 근관을 충전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전술한 측방가압법의 일종으로서 가열된 스프레더를 이용하여 거타-퍼차 콘을 연화시키며 가압하는 방법(warm lateral condensation method)이 있다. 이는 60℃이상의 온도에서 거타-퍼차가 가소성을 가지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이를 위한 장치로서 미국 Medidenta International Inc.사의 EndotecII™가 있다.
도1a는 종래의 가열 측방가압 방식의 근관충전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종래의 가열 측방가압 방식의 근관충전 장치(100)는 그 몸체(110)에 소정의 발열부(120) 및 상기 발열부를 작동시키는 스위치(112)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부(120)와 연결되어 가열되는 스프레더 팁(121)을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장치(100)는 발열부(120)에서 발생한 열을 거타-퍼차 콘에 전달함에 있어서 가늘고 긴 금속 스프레더 팁(121)을 통한 열전도에 의존하므로 효율이 떨어지고, 거타-퍼차를 용융시킬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수준까지 온도를 높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100)는 거타-퍼차 콘의 측방가압에는 사용될 수 있으나, 콘을 자르거나 제거하는 데는 사용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이러한 단점은 시술시 별도의 스프레더나 플러거 등을 불에 달구어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수직가압법(vertical condensation method)은 근관벽에 충전재(시멘트 또는 sealer)를 도포하고, 콘에 상기 충전재를 묻혀 근관내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치관측 콘을 가열한 기구로 잘라내고, 가열된 스프레더 또는 고온의 히트캐리어를 이용콘의 일부를 제거해 내어 시술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측방가압법 및 수직가압법에 의한 시술을 위해서는 거타-퍼차 콘을 절단하고 용융시킬 수 있는 수준의 온도까지 도달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 알코올 램프 등을 이용해 달군 스프레더 또는 플러거는 많은 불편이 따르므로 고온 발열이 가능한 히트캐리어를 구비하는 프로우브(probe)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히트캐리어의 기본 원리는 미합중국 특허 제4527560호에서 개시된 바 있는 발열팁(self-heating tip)과 같다.
도1b는 종래의 근관충전용 프로우브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히트캐리어(240)을 구비하는 종래의 근관충전 장치(200)는 메인 스위치(211)와 출력조절부(212)를 구비하는 컨트롤박스(210)와 상기 컨트롤박스로부터 코드(230)로 연결된 프로우브(220)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우브(220)는 상기 컨트롤박스(210)로부터 제어된 전력을 인가 받아 상기 히트캐리어(240)에 공급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프로우브(220)의 몸체(221) 내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리드선(미도시)과, 상기 히트캐리어(24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 또는 유지시키는 스위치(222)가 존재할 뿐이어서 별도의 콘트롤박스(210)를 필요로하고, 그로부터 긴 코드(230)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근관충전 시술시에 코드가 엉켜 시술자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시야를 가리는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시술중에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박스를 조작하여야하므로 시술자의 집중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근관에 삽입된 고형의 충전물을 가열하여 절단 또는 유화시키는 히트캐리어를 구비하는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에 있어서, 펜 형상의 케이스에 충전식 전원부 및 제어부 등을 모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시술시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a는 종래의 가열 측방가압식 근관충전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1b는 종래의 근관충전용 프로우브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개략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4는 히트캐리어의 끝단 발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충전거치대에 거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회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 하부케이스 12: 충전단자
21: 상부케이스 22: 표시창
23: 입력버튼 32: 발광체(LED)
51: 충전 배터리 70: 메인회로기판
100: 종래의 가열 측방가압식 근관충전장치
120: 발열부 121: 스프레더 팁
200: 종래의 근관충전용 프로우브 210: 컨트롤박스
230: 코드 240, 40: 히트캐리어
400: 충전거치대
상기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는 근관치료에 사용되는 히트캐리어를 구비하는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을 제공하는 펜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거치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사용시 상기 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식 직류 전원부; 상기 충전식 직류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히트캐리어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히트캐리어에 공급되는 전류를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시술자의 접촉에 의해 상기 히트캐리어에 공급되는 전류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 및 장치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회로기판은 상기 메인회로기판은, 시술에 요구되는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설정 입력부; 상기 히트캐리어에 인가된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검출부; 강기 검출부에서 측정된 전류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히트캐리어의 저항값을 산출하고 저항의 온도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팁의 현재온도를 산출한 후,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대비하여 상기 히트캐리어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설정온도, 현재온도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시술자의 접촉에 의해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상기 히트캐리어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는 상기 메인회로기판에 상기 히트캐리어의 기부에 인접하는 발광체,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하고, 상기 펜형 케이스의 첨두부 즉, 히트캐리어 기부 측에 투명 또는 반투명 캡을 씌움으로써 조명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명수단에 의해서 시술하고자 하는 치아를 효과적으로 비출 수 있다.
상기 충전식 직류 전원부는, 충전 배터리;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된 충전단자; 및 상기 충전 배터리와 상기 충전단자 및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전원 연결부를 연결하는 배선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충전 배터리로는 리튬이온전지, 니켈수소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등 다양한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지 수명과 무게 등을 고려하여 리튬이온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배터리는 본 장치의 수명에 비해 그 수명이 제한적이므로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전원 연결부는 커넥터 연결방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배터리를 모듈화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그에 대응되는 소켓을 설치하여 탈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크게 전술한 충전식 직류 전원부와,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함으로써 치과용 충전물을 세공할 수 있도록 하는 히트캐리어과,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히트캐리어에 적정한 전류를 인가하는 주제어부로 나뉘어진다.
상기 주제어부는 설정 입력부로 부터 시술자가 요구하는 설정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검출부로 부터 히트캐리어에 인가된 전류 및 전압값을 받아 히트캐리어의 저항값을 산출하고 저항의 온도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히트캐리어의 현재온도를 산출하며, 이때 산출된 현재온도와 초기 설정온도를 대비하여 그 차에 따라 상기 히트캐리어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또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온도제어를 위해서 전술한 온도 차 뿐만 아니라 그 변화율 등을 활용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설정 입력부 및 검출부 등을 통해 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는 하나 또는 수 개의 색 표현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숫자 및 문자 등의 표현이 가능한 LCD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설정온도, 현재온도, 배터리 잔류량, 전류 또는 전압 등 다양한 값이 표현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300)는 내부에 충전 배터리 및 메인회로기판이 장착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펜형 케이스를 갖는다. 상기 펜형 케이스는 충전 배터리를 수용하는 하부케이스(11)와 메인회로기판을 수용하고 상단부에 돌출된 히트캐리어(40)을 구비하는 상부케이스(21)로 나뉘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11)가 나사로 결합되도록 하나 후크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 하부케이스를 분리 및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므로, 상기 펜형 케이스의 내부에 충전 배터리와 메인회로기판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예를들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케이스의 상단 및 하단에 개방 가능한 캡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고, 펜형 케이스를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하여 내부 조립 후 케이스 양측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와 하부케이스로 나뉘어 나사결합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하부케이스(11)는 충전 배터리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확대된 지름을 갖는다. 내부에는 충전 배터리가 수용되고, 외측으로는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단자(12)를 구비한다.
상부케이스(21)는 시술자에게 우수한 그립(grip)감을 제공하기 위해 적정한지름을 가져야하므로, 상기 하부케이스(11)보다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적어도 내부에 메인회로기판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케이스(21)에는 설정온도 및 현재온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창(22)과 상기 설정온도를 입력하고 기타 조작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버튼(23)이 표면에 제공된다. 또한, 시술자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의 접촉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케이스(21)의 상단부에는 근관에 삽입되고 그 끝단(41)에서 발열하여 충전물에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히트캐리어(40)이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히트캐리어(40)의 기부가 상기 상부케이스(21)와 만나는 부분에는 중앙 구멍을 통해 상기 히트캐리어(40)을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상부케이스(2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히트캐리어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부캡(31)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캡(31)은 내부에 구비된 발광체로부터 방사된 빛을 투과시켜 환부를 비출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하부에는 충전 배터리(51)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 배터리(51)로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리튬이온전지, 니켈수소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등 다양한 충전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는 전지 수명이 길고, 용량에 비해 가볍다는 점에서 리튬이온전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 배터리(51)은 소정의 배선(52)을 통해서 상기 충전단자 및 메인회로기판의 전원 연결부(71)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원 연결부(71)는 커넥터 연결방식을 취함으로써 충전 배터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상부에는 메인회로기판(70)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회로기판(70)은 설정 입력버튼(23)과 표시창(22)을 구비하고, 이들은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메인회로기판(70)에는 상기 히트캐리어(40)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가 형성되고, 검출된 값과 미리 설정된 값으로 소정의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히트캐리어의 끝단(41)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연산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연산기는 상기 표시창(22)을 통해 설정 및 현재상태를 출력하고, 표시창은 숫자나 문자의 표현이 가능한 액정화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하나 또는 수 가지의 색상을 발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의 조합, 또는 부져의 등에 의해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히트캐리어(40)은 그 기부가 연결수단(42)에 의해서 상기 메인회로기판(70)에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회로기판(70)의 상단부에는 상기 히트캐리어(40)의 기부와 인접하게 발광체(32), 예를들면 조명용 LE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4는 히트캐리어의 끝단 발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히트캐리어는 1985년 등록된 미합중국특허 제4527560에 개시된 히트캐리어(self-heating tip)을 기본으로 한다. 전기 전도성 있는 코어(core)(43)와 상기 코어(43)의 말단을 제외한 둘레를 둘러싸는 절연체막(45) 및 상기 절연체막 바깥쪽에 형성된 저항 발열체 층(44)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항 발열체 층(44)은상기 코어의 말단을 향해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고, 그 말단부(46)는 상기 코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 발열체 층(44)과 코어(43)를 통해 전류가 흐를 때 상기 말단부(46)에서는 전류밀도(current density)가 높아짐으로써 가장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충전거치대에 거치시킨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300)는 외부 전원과 코드(401)를 통해 연결된 충전거치대(400)에 거치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충전거치대(400)로부터 상기 충전단자를 통해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배터리의 출력전압보다 다소 높다.
상기 충전 배터리의 출력 전압은 메인회로기판의 설계에 따라 정해지며, 그에따라 충전 전압도 결정된다. 예를들면, 메인회로기판의 요구에 따라 충전 배터리의 출력전압이 3.7볼트(V)라 할 때, 충전 전압은 4.2볼트(V)로 할 수 있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회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술한 연산기를 포함하는 주제어부(81)는 설정 입력부(83)로 부터 시술자가 요구하는 설정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검출부(87)로 부터 히트캐리어(86)에 인가된 전류 및 전압값을 받아 히트캐리어의 저항값을 산출하고 저항의 온도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히트캐리어의 현재온도를 산출하며, 이때 산출된 현재온도와 초기 설정온도를 대비하여 그 차에 따라 정전류인가부(84)를 통해 히트캐리어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81)는 상기 설정 입력부(83) 및 검출부(87) 등을 통해 받은 정보 및 이를 이용하여 산출된 결과를 표시하도록 표시부(88)를 제어한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이 켜지면 장치가 초기화 되고, 설정온도와 히트캐리어의 현재온도를 읽는다(91). 이때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92)하여 저전압인 경우는 표시부 등을 통해 저전압 표시(93) 한 후 장치를 종료시켜 충전하도록 하고, 정상 전압인 경우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여 현재 상태 등의 데이터를 표시(94)한다.
시술자가 터치 스위치를 온(on) 시키면, 검출부를 통해 산출된 현재온도와 설정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설정온도를 비교한다(96). 현재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97) 히트캐리어에 인가되는 전류를 증가시키고, 현재온도가 설정온도와 같거나 더 높으면 발열을 중단시킨다.
이와 같이,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는, 고형의 근관 충전재를 절단 및 용융시킬 수 있을 정도의 고온으로 발열하는 히트캐리어를 구비하여 근관에 무리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통증을 유발하거나 치근을 파절시킬 염려를 해소하고, 펜 형상의 케이스에 충전식 전원부 및 제어부 등을 모두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프로우브 연결코드를 제거하여 근관충전 시술시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근관치료에 사용되는 히트캐리어를 구비하는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을 제공하는 펜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거치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사용시 상기 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식 직류 전원부;
    상기 충전식 직류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히트캐리어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히트캐리어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와, 시술자의 접촉에 의해 상기 히트캐리어에 공급되는 전류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 및 장치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회로기판은,
    시술에 요구되는 설정온도를 입력하는 설정 입력부;
    상기 히트캐리어에 인가된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검출부;
    강기 검출부에서 측정된 전류와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히트캐리어의 저항값을 산출하고 저항의 온도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팁의 현재온도를 산출한 후,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대비하여 상기 히트캐리어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주제어부;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설정온도, 현재온도 등의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시술자의 접촉에 의해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상기 히트캐리어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직류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히트캐리어 측을 향해 구비된 발광체로부터 빛을 방사하는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발광다이오드인,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직류 전원부는,
    충전 배터리;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된 충전단자;
    상기 충전 배터리와 상기 충전단자 및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전원 연결부를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는,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KR20-2004-0003578U 2004-02-12 2004-02-12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KR200350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578U KR200350517Y1 (ko) 2004-02-12 2004-02-12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578U KR200350517Y1 (ko) 2004-02-12 2004-02-12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517Y1 true KR200350517Y1 (ko) 2004-05-17

Family

ID=4943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578U KR200350517Y1 (ko) 2004-02-12 2004-02-12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5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404B1 (ko) 2006-10-18 2010-05-25 이인환 치아 근관충전용 근관치료기 및 그의 발열팁
KR101097902B1 (ko) 2009-08-14 2011-12-23 (주)디엑스엠 치과용 충전기
KR101097900B1 (ko) 2009-08-14 2011-12-23 (주)디엑스엠 치과용 충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404B1 (ko) 2006-10-18 2010-05-25 이인환 치아 근관충전용 근관치료기 및 그의 발열팁
KR101097902B1 (ko) 2009-08-14 2011-12-23 (주)디엑스엠 치과용 충전기
KR101097900B1 (ko) 2009-08-14 2011-12-23 (주)디엑스엠 치과용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1510B2 (ja) バイトブロックを用いたled口腔照明器
KR100959404B1 (ko) 치아 근관충전용 근관치료기 및 그의 발열팁
KR100668424B1 (ko)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KR101132750B1 (ko) 치과용 충전기
GB2409648A (en) Dental curing light with polymer and metallic heat-sinks
KR100531015B1 (ko)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KR100972647B1 (ko) 치과용 충전기
US20170128158A1 (en) Dental material heating infuser for heating dental material by peltier element
EP2366361B1 (en) Treatment unit
EP2815719B1 (en) Dental light curing device
KR200350517Y1 (ko)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KR100959405B1 (ko)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KR101016177B1 (ko)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제거용 디바이스
KR101588419B1 (ko) 펠티어소자에 의해 치과용 매트리얼을 가열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US7008222B2 (en) Root canal plugging apparatus for dental work
KR100317420B1 (ko) 지피포인터 컷팅용 치과기구
KR101110395B1 (ko)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KR100614628B1 (ko)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근관 충전장치
CN214511345U (zh) 一种热熔牙胶充填枪
KR200409740Y1 (ko) 치과용 수술장비에 탈착이 가능한 조명장치
KR100544585B1 (ko) 치아 상 불소 이온 도입 장치
JPH11137574A (ja) 歯科用光重合器
CN210138127U (zh) 一种口镜加热装置
KR102332749B1 (ko) 상악동 내막 거상장치의 주입조절 시스템
CN218220382U (zh) 一种牙齿美白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